KR101151856B1 -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856B1
KR101151856B1 KR1020090005651A KR20090005651A KR101151856B1 KR 101151856 B1 KR101151856 B1 KR 101151856B1 KR 1020090005651 A KR1020090005651 A KR 1020090005651A KR 20090005651 A KR20090005651 A KR 20090005651A KR 101151856 B1 KR101151856 B1 KR 10115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ill
grill plate
leve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341A (ko
Inventor
오일권
Original Assignee
오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권 filed Critical 오일권
Priority to KR102009000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8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구동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물이 올려지는 석쇠판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구이물과 화기와의 거리가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구동을 반복하도록 구성하여 구이물로서의 고기 등이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물이 올려지며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석쇠판과 상기 석쇠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불판본체와 상기 불판본체에 일측면에 위치하며 토션스프링과 다수의 기어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탄성저장수단으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기어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함에따라 높이가 달라지며, 상기 석쇠판의 일측이 거는 형태의 고리부재와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상하로 유동하여 토션스프링을 감아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저 구이물에 대한 맛과 향을 높이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를 개시한다.
구이장치, 석쇠, 불판, 상하구동, 기어박스, 레버

Description

상하구동식 구이장치{UP-DOWN MOVING TYPE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상하구동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의 유동에 따라 토션스프링을 감아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서로 맞물려 있는 다수의 기어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출력하여 구이물이 올려지는 석쇠판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구이물과 화기와의 거리가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구동을 반복하도록 구성하여 구이물에 가해지는 화기가 계속적으로 가해져서 타거나 눌어붙이 않도록 하기 위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구이 할 때에는 구이물이 화기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거나, 구이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별도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여 간접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구이장치로는 석쇠나 다양한 형태의 불판 등이 이용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구이장치의 경우에는 화력을 조절할 수 없어 고기나 생선 등의 구이물이 쉽게 타게 되어 구이물이 갖는 특유의 맛과 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이조리에 이용되는 가열방식에서 변화를 주어, 화력의 조절이 힘든 숯불의 방식 이외에도 가스불이나 전기 등을 이용하여 화력을 조절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구이물의 특유의 맛과 향을 제대로 즐길 수 없게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어떠한 가열방식에서도 수동으로 화력을 조절하지 않은 이상 종래의 구이장치에서는 구이조리를 위해서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화기에 의하여 구이물이 쉽게 타는 구조로서, 즉, 일반적으로 불판은 모양 및 재질, 크기만 다르고 움직임이 없는 판으로 되어 있어 고기가 익고 난 후에서 구이물에 계속적으로 화기가 가해지는 까닭에 불판에 밀착된 구이물의 부위가 타서 불판을 빈번하게 교체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뒤집어 줘서 열이 가해지는 부위를 바꿔주거나 빨리 먹거나 또는 구이물이 익으면 불판과 같은 구이장치에서 분리하여 접시 등에 덜어 놓았는데, 이러한 방법은 구이물이 금방 식게 되어 그 참맛을 잃어 버리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불판의 교체작업 시에는 대부분 불판에 형성된 홈에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를 끼워 분리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불판을 하나의 손잡이로 이동하는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뜨겁게 달궈져 있는 불판이 쉽게 손잡이로부터 이탈할 수 있어 화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이물이 올려지는 석쇠판을 임의로 움직여 구이물을 익히는데 이용되는 화기가 계속적으로 가해져서 구이물을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구이물이 쉽게 식지 않도록하여 구이물 특유의 맛과 향을 오랜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물이 올려지며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석쇠판과; 상기 석쇠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불판본체와; 상기 불판본체에 일측면에 위치하며 토션스프링과 다수의 기어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탄성저장수단으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기어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함에따라 높이가 달라지며, 상기 석쇠판의 일측이 거는 형태의 고리부재와;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상하로 유동하여 토션스프링을 감아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쇠판은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거치대에 일정간격으로 석쇠살이 일측에서부터 중반까지 부착되는 이루어지는 제1석쇠판과 제2석쇠판을 대응되도록 끼움하고 중심에 위치한 각각의 석쇠살을 연결대로 결합하여 X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석쇠판을 다수개 구비하여 직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석쇠판의 석쇠살에 걸치는 연결고리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판본체는 석쇠판의 끝단이 고정홈에 끼워저 고정되며 상부면에 석쇠판의 석쇠살과 대응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불판본체에 얹혀지는 보조불판이 더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 불판본체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와 기어박스에 연결되는 레버는 주연부를 향해 방사상 방향으로 요홈부가 다수 형성된 톱니형상의 클러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부를 구성하는 두개의 빗면 중 일측이 단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일측 빗면의 길이가 타측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클러치홈에 끼움되어 외측으로 연장되어 레버와 결합되되, 각각의 클러치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클러치핀이 돌출되어 있어 단턱에 걸림으로써 한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내측 끝단에는 원동축기어가 결합되고, 몸체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구성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 끝단이 각각 원동축기어와 걸림홈에 끼움되어 구성되는 원동축과; 상기 원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성되며 순차적으로 원동축기어로부터 맞물리는 중간기어가 각각 끼움되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축과; 상기 중간기어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종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동축의 끝단에는 상기 레버가 원동축에 구성된 클러치핀에 걸 리는 것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클러치작동레버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는 불판본체의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고기나 생선 등의 구이물을 구울 때 구이물이 올려지는 석쇠판을 상하로 유동하도록 구성하여 구이물을 익히는데 가해지는 화기와의 거리가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구동을 반복하도록 하여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동안 구이물 속부터 은은하게 익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이 타지 않고 따뜻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구이물의 최고의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이조리시에 연기발생을 줄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석쇠나 불판 등을 교체할 시에 손잡이가 구성되어 있어 화상등의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교체하여 이동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하구동식 구이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서, 본 발명인 상하구동식 구이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100)는 구이물이 올려지는 석쇠판(10)을 X자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석쇠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석쇠판이 얹혀지는 불판본체(20)이 구성되어 하부에서 가해지는 화기에 의해 열을 전달하며, 상기 불판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토션스프링(31)과 다수의 기어(33-1, 34-1)가 연결되어 구성된 기어박스(30)가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최종적으로 회전력을 출력하며, 이를 석쇠판의 상하 유동에 이용하기 위하여 고리부재(40)가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석쇠판의 일측이 걸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레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성되는 불판본체(20)는 하단에서 가해지는 화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가해진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때 가해진 열을 고기나 생선 등의 구이물에 간접적으로 가하여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본체(20)과 석쇠판(10) 사이에 보조불판(23)을 추가로 더 형성하고, 보조불판과 불판본체에 각각 고정홈(25)이 형성되어 석쇠판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하는 형태의 3단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석쇠판은 일정간격으로 석쇠살(14)이 배열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각 각의 석쇠살이 끼움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요철부(24), 즉 볼록부(24-1)와 오목부(24-2)가 보조불판(23)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불판본체(20)는 상기 볼록부(24-1)가 형성된 간격으로 돌출부(21)가 형성되어, 각각의 돌출부에 볼록부가 대응되도록 얹혀서 불판본체와 보조불판의 결합할 수 있는 안착부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불판본체(20)에 형성된 돌출부(21)의 높이가 볼록부의 골에서 오복부의 골까지 형성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보조불판과 불판본체가 결합하였을 때 도 7(a)에 도시된 확대도에서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26)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필요 이상의 열이 상단에 위치한 보조불판(2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불판본체(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둘레면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구이조리시에 기름 등이 외부로 튀기지 않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측벽과 외부공기의 이동 통로로서의 공간부의 양 끝단이 닿는 부위인 상기 측벽의 정면과 배면에 공기유출입구(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불판(23)의 오목부는 구이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기름 배출통로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오목부의 상면에 흐르는 기름을 보다 원할하게 수거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불판이 요철부가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고, 기울어져서 기름이 모이는 부분에 배출홈이 형성되어 기름받이부로 유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할 것이며, 상기한 형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불판본체의 측벽은 상기 기어박스(30)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도 이용되는데, 이때, 상기 레버(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되, 상기 불판본체의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손잡이(60)를 하나 더 구비하여, 상기 레버(50)를 상하로 유동할 때 이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100)를 이동하게 될 때, 상기 레버와 손잡이를 모아 잡으면 무게중심이 잡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며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50)와 손잡이(60)의 상단 중심부는 열이 전달되지 않는 세라믹 등의 단열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장치 중 석쇠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로서, 본 발명에 의한 석쇠판(10)은 제1석쇠판(11)과 제2석쇠판(12)을 끼움하여 X자 형태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제1석쇠판(11)과 제2석쇠판(12)은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거치대(13)에 일정간격으로 석쇠살(14)이 일측에서부터 중반까지 부착되는 이루어지며, 이를 대응되도록 끼움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거치대(13)의 중반부에 위치한 석쇠살(14)의 배열중 끝단에 위치한 석쇠살은 거치대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석쇠살의 직경과 같은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된 석쇠살을 끼움할 수 있는 연결대(15)를 이용하여 제1석쇠판(11)과 제2석쇠판(12)을 결합하게 되며, 일측 석쇠판, 즉 제1석쇠판(11)의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거치대(13)의 끝단은 바깥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절곡부(17)가 구성되어 상기 보조불판(23)과 불판본체(20)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25)에 끼움하여 고정되게 되는데,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석쇠판(10)의 분리도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도는 도 2(b)에 도시되었다.
도 4은 본 발명의 분리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때 도시된 도면에는 석쇠판(10)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불판(23)과 불판본체(20)이 결합체는 상기 석쇠판의 끝단, 즉 절곡부(17)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5) 일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석쇠판(10)의 석쇠살이 대응되도록 상부면에 요철부(2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24)는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석쇠판(10)이 하강할 시에 석쇠살(1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석쇠살의 배열과 동일한 간격으로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요철부(24)를 형성하여 열이 가해져 달궈진 보조불판에 구이물이 근접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러한 오목부는 구이과정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기름 배출통로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불판의 일측으로 기어박스(30)가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기어박스(30)와 기어박스에서 연장되어 있는 축인 원동축(33)에 끼움되어 연결되는 레버(50)의 결합부에는 톱니형상의 클러치홈(32)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한 클러치홈의 구체적인 형태와 기능에 대해서는 도 6를 참조하면서 하단에 설명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러치홈이 형성된 부위에 끼움되는 원동축(33)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레버와 결합되되, 기어박스 몸체에 형성된 클러치홈과 레버에 구성된 클러치홈과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클러치핀(33-2, 33-3)이 돌출되어 있어 상기 클러치홈에 구성된 단턱에 의하여 한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동축(33)은 끝단에는 원동축기어(33-1)가 결합되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걸림홈(33-4)이 구성되어 있어, 상기 토션스프링이 원동축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끼움되었을 때 상기 토션스프링이 양 끝단중 일측은 원동축에 구성됨 걸림홈(33-4)에 끼움되고, 다른 일측은 원동축기어에 형성된 통공에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원동축에 고정된 토션스프링(31)은 원동축이 레버(50)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토션스프링도 감아지게 되어 탄성력을 발생하고, 이렇게 탄성저장수단으로서의 토션스프링이 풀리면서 회전력을 출력하여 원동축에 구성된 원동축기어(33-1)를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순차적으로 원동축기어로부터 맞물리는 중간기어(34-1)가 구성되는 다수개의 중간축(34)과 상기 중간기어의 회전비에 따라 최종력으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종동축(35)이 상기 원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토션스프링(31)에서 발생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어의 회전비해 의한 높은 회전비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레버(50)가 원동축에 끼움되는 클러치홈을 중심점으로하여 회전하게 되면, 즉 1회 상하로 유동하게 되면 이에 맞물린 원동축이 회전하면서 토션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상기 레버를 놓으면 감겨 있던 토션스프링이 풀리면서 맞물려 있는 원동축기어(33-1)와 다수의 중간기어(34-1)를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력이 최종적으로 종동축(35)으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축(35)을 끝단에는 상기 석쇠판의 일측을 거는 형태의 고리부재(40)가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종동축의 회전에 따라 고리부재(40)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결합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상기 종동축(35)의 끝단에 원판(35-1)을 부착하고 상기 원판에 통공을 형성하여 고리부재(40)에 베어링을 끼움하여 삽입하여 종동축의 회전에 따라 원판은 연동하되 고리부재는 회전하지 않고서 결합부위의 높이만 달라지게 되는것이다.
이와같은 고리부재의 결합부위의 높이가 달라짐에따라 상기 고리부재에 걸려저 있는 석쇠판이 상하로 연동되게 되는데, 이와같이 레버(50)의 1회 상하동작에 의하여 출력되는 종동축의 회전은 기어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5회정도 적당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러한 출력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석쇠판의 상하유동속도를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까닭에 종동축의 외주면에 가해지는 마찰에 따라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종동축의 상부과 하부에 속도조절부재(36)인 볼트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 중 기어박스와 레버의 작용도로서, 도 1의 A부분을 일부 확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기어박스에 구성된 원동축의 회전에 영향을 주는 레버(5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동축의 몸체에 돌출되어 있는 클러치핀(33-2, 33-3)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하나의 클러치핀(33-3)은 기어박스 몸체에 형성된 클러치홈에 끼움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클러치핀(33-2)이 레버에 구성된 클러치홈에 걸려야만 상기 레버의 상하유동 동작이 원동축을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이 레버에 구성된 클러치홈에 클러치핀(33-2)의 물리도록 조절하기 원동축의 끝단에 클러치작동레버(33-5)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러치작동레버(33-5)의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기어박스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원동축(33)의 몸체에 스프링(33-6)을 끼움한 뒤 레버(50)를 삽입하여 텐션이 생기도록 구성하여 클러치작동레버(33-5)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레버(5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5a는 클러치작동레버(33-5)가 하단으로 회전되어 있어 레버(50)를 내측으로 밀어 레버에 클러치핀(33-2)이 물려있지 않은, 즉 레버의 바깥부분에 위치한 보조와샤에 상기 클러치핀이 물려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상하 유동에 의하여 상기 원동축이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레버는 원동축은 회전하여 토션스프링(31)을 감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도 5b는 도 5a에서의 클러치작동레버(33-5)를 상단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프링(33-6)의 텐션에 의하여 레버(50)가 외측으로 밀려 지면서 레버(50)에 클러치핀(33-2)이 물려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상하 유동에 의하여 상기 원동축이 회전되 어 토션스프링을 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레버(50)와 손잡이(60)는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여 상하고 유동이 가능하여, 구이물의 구이조리시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으로 회전하여 구이조리에 방해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며, 본 상하구동식 구이장치(100)를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와 손잡이를 모아 무게중심이 잡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손잡이와 레버의 외측방향으로의 회전을 한정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바(37)가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원동축(33)이 외측으로 연장되기 위해 기어박스 몸체에 형성된 클러치홈 및 상기 원동축에 끼움되어 연결되는 레버(50)의 결합부에 각각 형성되는 클러치홈(32)은 주연부를 향해 방사상 방향으로 요홈부가 다수 형성된 톱니형상으로서, 상기 요홈부에 클러치핀(33-2,33-3) 끼움되거나 빠지게 되는데, 상기 요홈부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두개의 빗면 중 일측이 단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일측 빗면의 길이가 타측보다 짧게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운데 탄성체를 형성하고 양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눌러졌다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클러치핀(33-2, 33-3)이 상기 클러치홈의 짧은 빗면이 형성된 방향, 즉 단턱이 형성된 방향으로는 돌출되어 있어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긴 빗면이 형성된 방향으로는 원활하게 클러치핀이 원동축 내부로 눌러져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레버(50)를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리는 회전구동에 의해서는 상기 클러치핀(33-2)이 클러치홈(32)의 요홈부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 원동축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지만, 레버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리는 회전구동에서는 클러치핀(33-2)이 클러치홈(32)의 요홈부의 긴 빗면을 타고 눌러졌다가 돌출되는 구동을 반복하면서 공회전하게 되어 원동축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레버에 의해서 상기 원동축에 구성된 토션스프링(31)을 한방향으로 감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인 상하구동식 구이장치(100)의 X자 형태의 석쇠판(10)이 하강하여 각각의 석쇠살이 보조불판(23)에 구성된 요철부(24)의 오목부에 위치한 형태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30)의 출력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판(35-1)에 끼움된 고리부재(40)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일측에 걸린 석쇠판(10)이 연동되어 상부로 올라간 형태가 도 7(b)에 도시되었다.
이때, 최종적으로 회전력이 출력되는 종동축(35)의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접하도록 속도조절부재(36)인 볼트를 삽입하여 종동축에 가해지는 마찰을 조절함으로써 출력되는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직렬로 연장하여 대량의 구이물을 한번에 구울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석쇠판의 구비하여 이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석쇠판 양단의 석쇠살에 걸칠 수 있는 연결고리(16)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이러한 구성 형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석쇠판의 연결로 이루어진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에 석쇠판에 상하로 구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0)를 양단에 구성하여 출력된 회전력이 상쇠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구이물이 올려지는 석쇠판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로서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분리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장치 중 석쇠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분리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 중 기어박스와 레버의 작용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구동식 구이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석쇠판 13:거치대 14:석쇠살
15:연결대 16:연결고리 20:불판본체
21:돌출부 22:공기유출입구 23:보조불판
24:요철부 25:고정홈 26:공간부
30:기어박스 31:토션스프링 32:클러치홈
33:원동축 33-1:원동축기어 33-2,3:클러치핀
33-4:걸림홈 33-5:클러치작동레버 34:중간축
34-1:중간기어 35:종동축 40:고리부재
50:레버 60:손잡이 100:상하구동식 구이장치

Claims (8)

  1.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이물이 올려지며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석쇠판(10);
    상기 석쇠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불판본체(20);
    상기 불판본체에 일측면에 위치하며 토션스프링(31)과 다수의 기어(33-1,34-1)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탄성저장수단으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기어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어박스(30);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함에따라 높이가 달라지며, 상기 석쇠판의 일측이 거는 형태의 고리부재(40);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상하로 유동하여 토션스프링을 감아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레버(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판(10)은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거치대(13)에 일정간격으로 석쇠살(14)이 일측에서부터 중반까지 부착되는 이루어지는 제1석쇠판(11)과 제2석쇠판(12)을 대응되도록 끼움하고 중심에 위치한 각각의 석쇠살을 연결대(15)로 결합하여 X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판을 다수개 구비하여 직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석쇠판의 석쇠살에 걸치는 연결고리(16)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본체(20)는
    석쇠판의 끝단이 고정홈(25)에 끼워저 고정되며 상부면에 석쇠판의 석쇠살과 대응되는 요철부(24)가 형성되며 불판본체에 얹혀지는 보조불판(23)이 더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도록 돌출부(21)가 일정간격으로 불판본체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와 기어박스에 연결되는 레버(50)는
    주연부를 향해 방사상 방향으로 요홈부가 다수 형성된 톱니형상의 클러치홈(32)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부를 구성하는 두개의 빗면 중 일측이 단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일측 빗면의 길이가 타측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는
    상기 클러치홈에 끼움되어 외측으로 연장되어 레버와 결합되되, 각각의 클러치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클러치핀(33-2,3)이 돌출되어 있어 단턱에 걸림으로써 한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며, 내측 끝단에는 원동축기어(33-1)가 결합되고, 몸체 길이방향으로 걸림홈(33-4)이 구성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 끝단이 각각 원동축기어와 걸림홈에 끼움되어 구성되는 원동축(33);
    상기 원동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성되며 순차적으로 원동축기어로부터 맞물리는 중간기어(34-1)가 각각 끼움되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축(34);
    상기 중간기어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종동축(3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33)의 끝단에는
    상기 레버(50)가 원동축에 구성된 클러치핀(33-2)에 걸리는 것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클러치작동레버(33-5)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50)는
    불판본체(20)의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손잡이(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KR1020090005651A 2009-01-22 2009-01-22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KR10115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51A KR101151856B1 (ko) 2009-01-22 2009-01-22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51A KR101151856B1 (ko) 2009-01-22 2009-01-22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341A KR20100086341A (ko) 2010-07-30
KR101151856B1 true KR101151856B1 (ko) 2012-05-31

Family

ID=4264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651A KR101151856B1 (ko) 2009-01-22 2009-01-22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12Y1 (ko) 2012-05-31 2012-09-24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석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3517A (zh) * 2018-04-11 2019-10-2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箱的旋转烤架用烤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235U (ko) 1979-08-14 1981-03-17
JPH06233727A (ja) * 1993-02-04 1994-08-23 Asaka Kogyo Kk バーベキュー用炉
JPH06311932A (ja) * 1993-05-06 1994-11-08 Asaka Kogyo Kk バーベキュー用炉
KR200338472Y1 (ko) 2003-10-08 2004-01-16 정한섭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8235U (ko) 1979-08-14 1981-03-17
JPH06233727A (ja) * 1993-02-04 1994-08-23 Asaka Kogyo Kk バーベキュー用炉
JPH06311932A (ja) * 1993-05-06 1994-11-08 Asaka Kogyo Kk バーベキュー用炉
KR200338472Y1 (ko) 2003-10-08 2004-01-16 정한섭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12Y1 (ko) 2012-05-31 2012-09-24 주식회사 삼일레이져 석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341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CN109803565A (zh) 空气炸系统和方法
CN107174139B (zh) 一种转动电烤箱
KR100601783B1 (ko) 상부회전식 구이장치
KR101660647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01151856B1 (ko) 상하구동식 구이장치
KR200470999Y1 (ko)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KR101910103B1 (ko) 회전형 구이장치
CN202960171U (zh) 自动循环烧烤装置
DE60210624T2 (de) Bratofen
KR20150003312U (ko) 휴대용 숯불 및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200434678Y1 (ko) 회전식 꼬치구이기계
KR100644844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101298093B1 (ko) 바베큐장치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US534255A (en) Combined broiler
KR20200024634A (ko) 복사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기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1821928B1 (ko) 옥수수 회전 구이장치
KR20120005388U (ko) 야외 구이기용 꼬지 회전기구
KR200423312Y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