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999Y1 -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 Google Patents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999Y1
KR200470999Y1 KR2020110010907U KR20110010907U KR200470999Y1 KR 200470999 Y1 KR200470999 Y1 KR 200470999Y1 KR 2020110010907 U KR2020110010907 U KR 2020110010907U KR 20110010907 U KR20110010907 U KR 20110010907U KR 200470999 Y1 KR200470999 Y1 KR 200470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barbecue
metal mesh
circular metal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596U (ko
Inventor
정순경
Original Assignee
정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경 filed Critical 정순경
Priority to KR2020110010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99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숯불, 전기 및 가스를 이용하여 육류(소, 돼지, 닭 등)를 바비큐 구이함에 있어서, 육류를 바비큐 구이하는 바비큐 그릴, 별도 구이기, 업소 테이블 및 야외 구이기 등의 구이 수단에 사용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육류를 바비큐 구이함에 있어서, 적당하게 썰어진 육류를 바비큐 구이가 잘되도록 안치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한쪽을 분리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분할되게 함으로써 바비큐할 육류를 넣거나 구이가 다된 육류를 빼는데 보다 수월하다.

Description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Circle type grill for barbercue}
본 고안은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숯불, 전기 및 가스를 이용하여 육류(소, 돼지, 닭 등)를 바비큐 구이를 함에 있어서, 육류를 바비큐 구이하는 바비큐 그릴, 별도 구이기, 업소 테이블 및 야외 구이기 등의 구이 장치에 사용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육류를 바비큐 구이를 함에 있어서, 적당하게 썰어진 육류를 바비큐 구이가 잘되도록 안치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를 구이할 때 숯불이나 전기 및 가스를 이용해 통구이나 큰 덩어리를 삼지창에 꼽거나 석쇠나 불판 등과 같은 구이 수단을 이용한 직접 및/또는 간접 가열 방식을 통해 익힌다.
그런데, 바비큐 방식의 구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고르게 익힘이 되지 않거나, 지방이 너무 많이 남아있거나, 수분과 지방이 너무 많이 빠져서 육질이 뻣뻣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육류의 가열 위치가 일정시간 동안 동일하여 반대쪽으로 익어가면서 열을 늦게 받는 쪽에서는 수분과 육즙이 과다하게 손실되고, 빨리 가열되는 쪽은 부분적으로 타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원통 방식의 원통형 석쇠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원통형 석쇠의 경우 육류를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회전시키게 되므로 강한 불에 바비큐 구이를 함에 있어서, 원통형 석쇠가 회전하므로 육류가 교반되어 표면이 동시에 익어감으로써 육즙과 수분의 손실이 적고, 육질이 골고루 익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원통형 석쇠를 보여주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73592호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이 한국등록특허 제10-0673592호에 따르면, 한쪽에 설치된 문만을 통하여 바비큐할 육류를 넣거나 구이가 다된 육류를 빼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교반 판이 내측에 하나만 설치되므로 육류의 앞뒤가 자주 바뀌지 않게 되어 교반이 잘 이루어 지지 않아 육류가 골고루 익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숯불, 전기 및 가스를 이용하게 되므로 일부분은 화기가 강한 반면에 다른 부분은 화기가 약하게 되므로, 일정 부분에만 있는 육류만 너무 구워지고 다른 부분에 있는 육류가 덜 구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주 약한 불에 구어야 되는 육류의 경우, 고기의 수분 및 육즙이 많이 보존되도록 사용자가 수동으로 서서히 구어야 되는데 일정 속도로 회전만 가능하므로 육안으로 보면서 육류를 굽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중 회전을 위한 구동 장치가 고장나거나 전원 계통의 이상으로 인해 동작이 안 될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는데, 수동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3592호
본 고안은 위에서 제기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바비큐할 육류를 넣거나 구이가 다된 육류를 빼는데 보다 수월한 구조의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교반이 잘 이루어 지게 하여 육류가 골고루 익혀지도록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기의 수분 및 육즙이 많이 보존되도록 사용자가 수동으로 서서히 구어야 하거나 구동 장치가 고장난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교반이 가능하고 육류의 넣기 및/또는 구어진 육류의 수거가 간편한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제공한다. 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는,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이 양단에 결합되는 상반원형 금속망(120); 다수의 경첩(130)을 통하여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과 정합되어 원통 형상을 만들며, 한 쌍의 하반원형 금속판(111,112)이 양단에 결합되는 하반원형 금속망(110); 상기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 또는 하반원형 반원 금속판(111,112)에 결합되어 회전의 구심축이 되는 카플링(113-1,113-2); 및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 및 한 쌍의 하반원형 금속판(111,112)에 설치되어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과 하반원형 금속망(110)을 잠금하는 잠금 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 및 상기 하반원형 금속망(11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에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교반편(14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 및 상기 하반원형 금속망(11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에 다수의 나선형 이동편(60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플링(113-1,113-2)에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회전 레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 또는 상기 하반원형 금속망(110)의 일측에 개폐 도어(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는, 일단의 지름보다 타단의 지름이 큰 깔때기형 금속망(500); 상기 깔때기형 금속망(500)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개방형 원형 금속판(510); 상기 깔때기형 금속망(500)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 및 상기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에 각각 형성되어 회전 중심축이 되는 외축 카플러(5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에 형성되는 개폐식 금속판 도어(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한쪽을 분리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분할되게 함으로써 바비큐할 육류를 넣거나 구이가 다된 육류를 빼는데 보다 수월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서는 교반편을 내부에 소정의 갯수로 형성시킴으로써 교반이 잘 이루어 지게 되므로 육류가 골고루 익혀지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나선형 이동편을 형성시키거나 양 끝단의 지름을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지름이 작은 쪽 측판은 일부를 개방하여 육류를 소량씩 자동(수동)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하고, 지름이 큰 쪽의 측판은 전부 개방시킴으로써 육류가 한쪽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회전 속도에 따라 일정한 익힘을 할 수 있고 다 익혀진 고기는 자동으로 빠지게 되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구동축을 일체형으로 하되 일측에 착탈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단면도로서 교반편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잠금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잠금 장치를 A-A'축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회전 레버(400)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양단의 지름이 다른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나선형 이동편(60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개폐 도어(7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는,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이 양단에 결합되는 상반원형 금속망(120); 다수의 경첩(130)을 통하여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과 정합되어 원통 형상을 만들며, 한 쌍의 하반원형 금속판(111,112)이 양단에 결합되는 하반원형 금속망(110); 상기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 또는 하반원형 반원 금속판(111,112)에 결합되어 회전의 구심축이 되는 카플링(113-1,113-2); 및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과 하반원형 금속망(110)을 잠금하는 잠금 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반원형 금속망(120)과 하반원형 금속망(110)은 정합되게 구성되며, 정합되는 경우 원통 형상이 된다. 물론, 이를 위해 일단에는 다수의 경첩(130)이 설치되고, 상반원형 금속판(121)과 하반원형 금속판(111)에는 잠금 수단으로서 잠금부(150)가 설치된다. 잠금부(15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되며, 이에 대한 일례가 도 3a 및 3b에 도시된다. 도 3a 및 3b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계속 설명하면, 정합되는 경우 양단을 폐색하기 위해 각각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 및 하반원형 금속판(111,112)이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반원형 금속망(120)의 양단에는 각각 제 1 상반원형 금속판(121)과 제 2 상반원형 금속판(122)이 구성되며, 하반원형 금속망(110)의 양단에는 각각 제 1 하반원형 금속판(111)과 제 2 하반원형 금속판(112)이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상반원형 금속판(121)과 제 1 하반원형 금속판(111)이 정합되어 하나의 원판이 되고, 제 2 상반원형 금속판(122)과 제 2 상반원형 금속판(112)이 정합되어 하나의 원판이 된다.
또한, 내측에는 안에 놓이는 육류가 잘 교반되도록 교반편(1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다. 이 교반편(140)은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의 내측에 놓이는 육류가 회전되면서 뒤집어 지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육류가 연속적으로 일정시간을 두고 뒤집히지 않으면 육류의 가열 위치가 일정시간 동안 동일하여 열을 늦게 받는 쪽에서는 수분과 육즙이 과다하게 손실되고, 빨리 가열되는 쪽은 부분적으로 타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육류를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에 넣고 회전시키면서 강한 불에 구이를 함에 있어서 교반편(140)에 의해 서로 교반된다. 즉, 육류의 앞뒤가 수시로 바뀌어 열에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교반으로 인해 육류 표면의 앞뒤가 동시에 익어감으로써 육류의 수분과 육즙이 많이 보존되고, 지방이 빠르게 빠지고, 가열된 많은 량의 지방이 육류 표면에 고루 머물면서 구이에 필요한 적정온도를 유지시켜주어 구이시간이 매우 짧고 타지 않게 된다.
교반편(140)은 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교반편(140)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하나의 교반편(140)을 여러 조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가 바비큐 그릴, 별도 구이기, 업소 테이블 및 야외 구이기 등의 구이 장치에 설치되기 위해 카플링 구조가 형성된다.
부연하면, 제 1 하반원형 금속판(111)과 제 2 하반원형 금속판(112)의 각각에 제 1 카플링(113-1) 및 제 2 카플링(113-2)이 형성된다. 즉, 회전 구동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의 중심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제 1 및 제 2 카플링(113-1,113-2)이 회전의 중심축이 된다.
물론, 이 제 1 및 제 2 카플링(113-1,113-2)이 설치되기 위해서 상반원 형상의 제 1 고정부(115-1) 및 제 2 고정부(115-2)가 제 1 하반원형 금속판(111)과 제 2 하반원형 금속판(112)의 상단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돌출된 제 1 및 제 2 고정부(115-1,115-2)가 정합되도록 제 1 상반원형 금속판(121)과 제 2 상반원형 금속판(122)에 각각 제 1 중심축 홈(125-1) 및 제 2 중심축 홈(125-2)이 형성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반원형 금속판(121,122) 및 하반원형 금속판(111,112)의 양단에는 별도의 보조 손잡이(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보조 손잡이(350)는 육류가 다 구어진 경우 사용자가 이 보조 손잡이(350)를 잡고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를 개방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보조 손잡이(350)가 필요한 이유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가 화기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직접 손댈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보조 손잡이(350)를 두지 않고 홈을 만들어서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는,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에 착탈가능하게 보조 손잡이를 구성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보조 손잡이(350)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가 바비큐 그릴, 별도 구이기, 업소 테이블 및 야외 구이기 등의 구이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측면 틈에 들어갈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카플링(113-1,113-2), 고정부(115-1,115-2)가 하반원형 금속망(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들 구성을 상반원형 금속망(12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단면도로서 교반편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반편(140)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을 보여준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잠금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잠금부(150)는 회전 가능하게 잠금 손잡이(302)가 있는 잠금 걸쇠(300)와 이 잠금 걸쇠(300)의 표면에 볼 형상(301)과 이 볼 형상(301)이 안착되는 안착홈(311)이 형성되는 잠금 몸체(310)로 구성된다.
부연하면, 잠금 걸쇠(300)는 상반원형 금속판(121)에 볼트 너트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이와 달리 리벳으로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잠금 걸쇠(30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잡기 쉽도록 잠금 손잡이(302)가 설치된다.
잠금 몸체(310)는 하반원형 금속판(111)에 설치되며 내측에 안착홈(311)이 형성되고, 일단이 일정 높이로 뜨고 타단이 하반원형 금속판(111)에 고정되는 "Z"자 형상이 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잠금 장치를 A-A'축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잠금 걸쇠의 볼 형상(301)이 잠금몸체(310)의 안착홈(311)에 완전하게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회전 레버(400)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탈이 가능한 회전 레버(400)가 구성된다.
부여하면, 제 1 카플링(113-1)을 외삽하도록 일단에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있는 "Z"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손잡이의 내부에 베어링(미도시)이 있어 회전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양단의 지름이 다른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의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측단의 지름(d1)과 우측단의 지름(d2)을 다르게 구성한다.
부연하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는, 일단의 지름보다 타단의 지름이 큰 깔때기형 금속망(500); 상기 깔때기형 금속망(500)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개방형 원형 금속판(510); 상기 깔때기형 금속망(500)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 및 상기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에 각각 형성되어 회전 중심축이 되는 외축 카플러(521) 등으로 구성된다.
물론, 도 5에서는 개폐식 금속판 도어(510)가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 개방형 원형 금속판(510)에도 개폐식 금속판 도어(51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연하면, 도 5의 경우,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의 외축 카플러(521)가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지지되고 회전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 내측에 놓이는 육류 대상물이 지름이 작은 쪽에서 지름이 큰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쪽 측판인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의 일부를 개방하여 육류를 소량씩 자동(수동)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하고, 지름이 큰 쪽의 측판인 제 1 개방형 원형 금속판(510)이 전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육류가 한쪽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회전 속도에 따라 일정한 익힘을 할 수 있고 다 익혀진 고기는 자동으로 빠지게 된다.
이와 달리, 좌측과 우측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연하면, 양단의 금속판 지름을 동일하게 하면서도 우측과 좌측의 설치 높이를 각각 달리하게 되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도 1의 100)가 기울어지게 되므로 회전하게 되면서 육류 대상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교반판(도 1의 140)에 의해 교반이 이 이루어지더라도, 숯불, 전기 및 가스를 이용하게 되므로 일부분만이 화기가 강하고 다른 부분은 화기가 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기가 강한 일정 부분에만 있는 육류는 너무 구워지고 다른 부분에 있는 육류는 덜 구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5와 같이, 양쪽 금속판의 지름을 다르게 구성하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가 회전함에 따라 육류 대상물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육류가 골고루 구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나선형 이동편(60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에 나선형 이동편(600)을 설치함으로써 이 나선형 이동편(600)을 따라 육류 대상물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부연하면, 도 6은 도 5와 달리, 양단의 금속판 지름을 동일하게 하면서도 나선형으로 턱을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100)의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도 5와 동일한 효과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개폐 도어(7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반원형 금속망(120) 또는 하반원형 금속망(110)의 일측에 개폐 도어(700)를 설치하여 간단하게 육류를 안쪽으로 넣거나 구어진 육류를 바깥쪽으로 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폐 도어(700)에는 개폐 도어 잠금부(720)가 구성된다.
110: 하반원형 금속망
111: 제 1 하반원형 금속판 112: 제 2 하반원형 금속판
113-1: 제 1 카플링 113-2: 제 2 카플링
115-1: 제 1 고정부 115-2: 제 2 고정부
120: 상반원형 금속망
121: 제 1 상반원형 금속판 122: 제 2 상반원형 금속판
125-1: 제 1 중심축 홈 125-2: 제 2 중심축 홈
130: 경첩
140: 교반편
150: 잠금부
400: 회전 레버
500: 깔때기형 금속망
510: 제 1 개방형 원형 금속판
520: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 521: 외축 카플링
530: 개폐식 금속판 도어
600: 나선형 이동편
700: 개폐 도어
720: 개폐 도어 잠금부

Claims (7)

  1.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이 양단에 결합되는 상반원형 금속망(120);
    다수의 경첩(130)을 통하여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과 정합되어 원통 형상을 만들며, 한 쌍의 하반원형 금속판(111,112)이 양단에 결합되는 하반원형 금속망(110);
    상기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 또는 하반원형 반원 금속판(111,112)에 결합되어 회전의 구심축이 되는 카플링(113-1,113-2); 및
    한 쌍의 상반원형 금속판(121,122) 및 한 쌍의 하반원형 금속판(111,112)에 설치되어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과 하반원형 금속망(110)을 잠금하는 잠금 수단(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 및 상기 하반원형 금속망(11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에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교반편(14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 및 상기 하반원형 금속망(11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에 다수의 나선형 이동편(60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플링(113-1,113-2)에 일체형 또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회전 레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원형 금속망(120) 또는 상기 하반원형 금속망(110)의 일측에 개폐 도어(7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6. 일단의 지름보다 타단의 지름이 큰 깔때기형 금속망(500);
    상기 깔때기형 금속망(500)의 상기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개방형 원형 금속판(510);
    상기 깔때기형 금속망(500)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 및
    상기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에 각각 형성되어 회전 중심축이 되는 외축 카플러(5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방형 원형 금속판(520)에 형성되는 개폐식 금속판 도어(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KR2020110010907U 2011-12-08 2011-12-08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KR200470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07U KR200470999Y1 (ko) 2011-12-08 2011-12-08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907U KR200470999Y1 (ko) 2011-12-08 2011-12-08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96U KR20130003596U (ko) 2013-06-18
KR200470999Y1 true KR200470999Y1 (ko) 2014-01-24

Family

ID=5141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907U KR200470999Y1 (ko) 2011-12-08 2011-12-08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9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246B1 (ko) * 2018-08-17 2019-12-20 류욱현 직화 구이기용 회전 구이틀
KR20230015590A (ko) 2021-07-23 2023-01-31 전유학 버덕요리용 조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1488A (zh) * 2018-05-18 2018-08-07 王思为 笼式组合烧烤架
KR102038034B1 (ko) * 2019-06-03 2019-10-29 김문겸 고기 구이장치
KR102426799B1 (ko) * 2021-02-05 2022-07-28 백지헌 초벌구이 장치
KR102465735B1 (ko) * 2022-03-21 2022-11-10 고정규 구이통을 이용한 고기 구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531Y1 (ko) * 2004-11-08 2005-03-11 윤석남 고기구이기
KR200419691Y1 (ko) * 2006-04-07 2006-06-22 민병익 회전식 구이기용 로스트
KR20090129567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골드푸드시스템 석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531Y1 (ko) * 2004-11-08 2005-03-11 윤석남 고기구이기
KR200419691Y1 (ko) * 2006-04-07 2006-06-22 민병익 회전식 구이기용 로스트
KR20090129567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골드푸드시스템 석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246B1 (ko) * 2018-08-17 2019-12-20 류욱현 직화 구이기용 회전 구이틀
KR20230015590A (ko) 2021-07-23 2023-01-31 전유학 버덕요리용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96U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999Y1 (ko) 바비큐 구이용 원통형 석쇠
US3103161A (en) Barbecuing apparatus
US3943837A (en) Dual purpose barbecue grill and rotisserie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US20110097468A1 (en) Rotisserie chili roaster
US2893307A (en) Portable electric cooking device
US20120285338A1 (en) Attachment to barbeque grill
US20100199855A1 (en) Vertical rotisserie broiler
KR101660647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US8887627B1 (en) Barbecue apparatus
US20050028803A1 (en) Barbeque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20150080758A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101618604B1 (ko) 바베큐 장치
DE202012006470U1 (de) Multifunktionsgrill
US20150144010A1 (en) Rotisserie accessory kit
KR20140140998A (ko) 바비큐 겸용 숯불구이기
US20210315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ooking of foodstuff for rotisserie grilling applications
CN204105784U (zh) 一种电烤炉
TWI508660B (zh) 自動燒烤機結構
CN113143037A (zh) 一种户外用具有稳定性的旋转式烧烤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