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106B1 - 엔진 프레임 - Google Patents

엔진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106B1
KR101150106B1 KR1020100016155A KR20100016155A KR101150106B1 KR 101150106 B1 KR101150106 B1 KR 101150106B1 KR 1020100016155 A KR1020100016155 A KR 1020100016155A KR 20100016155 A KR20100016155 A KR 20100016155A KR 101150106 B1 KR101150106 B1 KR 10115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iding plate
sliding
crosshead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817A (ko
Inventor
다께시 가도와끼
노부유끼 구니히로
가쯔미 이마나까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21Construction
    • F02F7/0024Casings for large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21Construction
    • F02F7/0034Built from sheet material and welded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95Constructing engine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 프레임은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2 판과, 제1 판과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한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한다. 제1 판과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된다. 제1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2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2 판의 두께(B)에 대한 미끄럼판의 두께(A)의 비(A/B)는 1.5 이상이다.

Description

엔진 프레임{ENGINE FRAME}
본 발명은 크로스헤드 엔진 프레임, 특히 크로스헤드 엔진 프레임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심사 실용신안 출원 공보 평06-48137호는 크로스헤드 내연 엔진 프레임의 프레임을 개시한다.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격벽(104)을 포함한다. 격벽(104)은 주조에 의해 주강(鑄鋼)으로 일체 형성된다. 격벽(104)은 중앙판(101), 안내 바아(미끄럼판)(102), 개재판(103), 측벽(110) 및 수평 리브(112)를 포함한다. 각 개재판(103)에 보스(111)가 형성된다. 각 보스(111)는 조임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일본 특허 공개 출원 제2001-289114A호 및 제2007-211786A호와, 일본 특허 제2977901호, 제3226458호, 제3538280호 및 제4005550호는 각각 크로스헤드 엔진 프레임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한 엔진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엔진 프레임은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2 판과, 제1 판과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한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한다. 제1 판과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된다. 제1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2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2 판의 두께(B)에 대한 미끄럼판의 두께(A)의 비(A/B)는 1.5 이상이다.
비(A/B)가 1.5 이상이도록 미끄럼판이 두껍기 때문에, 엔진 프레임의 강성은 수평 리브와 같은 보강재 없이 보장된다.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엔진 프레임은 단순 형상을 갖고, 엔진 프레임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엔진 프레임은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2 판과, 제1 판과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한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한다. 제1 판과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된다. 제1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2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1 판의 두께(C)에 대한 미끄럼판의 두께(A)의 비(A/C)는 1.5 이상이다.
비(A/C)가 1.5 이상이도록 미끄럼판이 두껍기 때문에, 엔진 프레임의 강성은 수평 리브와 같은 보강재 없이 보장된다.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엔진 프레임은 단순 형상을 갖고, 엔진 프레임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엔진 프레임은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2 판과, 제1 판과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한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한다. 제1 판과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된다. 제1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2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미끄럼판은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평면의 법선을 따라 측정된 평면으로부터 미끄럼판의 단부까지의 거리(D)의 미끄럼판의 두께(A)에 대한 비(D/A)는 4.0 이하이다.
비(D/A)가 4.0 이하이도록 거리(D)가 작기 때문에, 미끄럼판의 두께(A)에 대한 크로스헤드로부터 미끄럼판에 작용된 측력의 작용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의 비는 작다. 따라서, 엔진 프레임의 강성은 수평 리브와 같은 보강재 없이 보장된다.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엔진 프레임은 단순 형상을 갖고, 엔진 프레임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엔진 프레임은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2 판과, 제1 판과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한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한다. 제1 판과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된다. 제1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2 판과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된다. 제1 판의 두께(C)에 대한 제2 판의 두께(B)의 비(B/C)는 1.5 이상이다.
비(B/C)가 1.5 이상이도록 제2 판이 두껍기 때문에, 제2 판은 크로스헤드로부터 미끄럼판에 작용된 측력에 대해 미끄럼판을 보강한다. 따라서, 엔진 프레임의 강성은 수평 리브와 같은 보강재 없이 보장된다.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엔진 프레임은 단순 형상을 갖고, 엔진 프레임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판이 미끄럼판의 상측에 용접되고, 바닥판이 미끄럼판의 하측에 용접되고, 측판이 제2 판의 측면에 용접된다. 제2 판의 측면은 제1 판에 대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판 또는 측판으로부터 미끄럼판을 보강하는 보강재는 구비되지 않는다.
제2 판 또는 측판으로부터 미끄럼판을 보강하는 보강재가 없기 때문에, 엔진 프레임은 단순 형상을 갖고, 엔진 프레임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엔진 프레임이 단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 판과 제2 판이 각각 미끄럼판에 용접된 경우, 용접 및 검사에 대한 인시가 단축된다.
엔진 프레임이 단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 판과 미끄럼판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되고 제2 판이 미끄럼판에 용접된 경우, 주조용 목형이 용이하게 마련되고, 주조의 주조성이 향상되고, 주조가 용이하게 검사되고, 미끄럼판과 제2 판 사이의 용접 및 그 검사에 대한 인시가 단축된다.
엔진 프레임이 단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2 판과 미끄럼판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되고 제1 판이 미끄럼판에 용접된 경우, 주조용 목형이 용이하게 마련되고, 주조의 주조성이 향상되고, 주조가 용이하게 검사되고, 미끄럼판과 제1 판 사이의 용접 및 그 검사에 대한 인시가 단축된다.
엔진 프레임이 단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판과, 제2 판과, 미끄럼판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 주조용 목형이 용이하게 마련되고, 주조의 주조성이 향상되고, 주조가 용이하게 검사된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엔진 프레임은 미끄럼판의 상측에 용접된 상판과, 미끄럼판의 하측에 용접된 바닥판과, 제2 판의 측면에 용접된 측판을 더 포함한다. 제2 판의 측면은 제1 판에 대향한다. 엔진 프레임이 단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판과, 제2 판과, 미끄럼판과, 상판과, 바닥판과, 측판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 주조용 목형이 용이하게 마련되고, 주조의 주조성이 향상되고, 주조가 용이하게 검사된다.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엔진 프레임은 미끄럼판의 상측에 용접된 상판과, 미끄럼판의 하측에 용접된 바닥판과, 제2 판의 측면에 용접된 측판을 더 포함한다. 제2 판의 측면은 제1 판에 대향한다. 엔진 프레임이 단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판의 일부와, 제2 판과, 미끄럼판과, 상판과, 바닥판과, 측판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 주조용 목형이 용이하게 마련되고, 주조의 주조성이 향상되고, 주조가 용이하게 검사된다. 엔진 프레임의 형상이 단순하기 때문에, 주조로서 형성되지 않은 판을 주조에 용접함으로써 엔진 프레임이 형성되는 경우, 용접 및 검사에 대한 인시가 단축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엔진 프레임은 상기 엔진 프레임과,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크로스헤드와, 크랭크축과, 크로스헤드를 크랭크축에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와, 실린더가 배열된 재킷과, 크랭크축이 배열된 베드와, 재킷, 엔진 프레임 및 베드를 고정하는 조임 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한 엔진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의 후술되는 기재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프레임의 수평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의 종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정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수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정면도.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수평 단면도.
도 7은 크로스헤드의 위치와 측력의 크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재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이 설명된다. 엔진 프레임은 실린더(2)와,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3)과, 피스톤(3)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4)와, 피스톤 로드(4)에 연결된 크로스헤드(5)와, 크랭크축(8)과, 크로스헤드(5)를 크랭크축(8)에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7)와, 실린더(2)가 배열된 재킷(1)과, 크랭크축(8)이 배열된 베드(9)와, 재킷(1)과 베드(9)의 사이에 배열된 프레임(엔진 프레임)(6)을 포함한다. 실린더(2)와 피스톤(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연소 공간에서, 연료가 연소된다. 연소로 인한 피스톤(3)의 병진 운동은 커넥팅 로드(7)를 통해 크랭크축(8)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재킷(1)과, 프레임(6)과, 베드(9)는 조임 볼트(10)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6)은 격벽(20)과, 재킷(1)에 인접한 측면 상에 배열된 상판(23)과, 베드(9)에 인접한 측면 상에 배열된 바닥판(24)과, 측판(25)을 포함한다. 격벽(20)은 격벽(20)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중앙판(21)과, 격벽(20)의 캠샤프트측 부분과 배기측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개재판(22)과, 중앙판(21)과 각 개재판(22)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31)을 포함한다. 격벽(20)의 캠샤프트측 부분과 배기측 부분의 위치는 각각 엔진 프레임의 캠샤프트측과 배기측의 위치에 대응한다. 미끄럼판(31)은 도 3에서의 횡방향을 따라 중앙판(21)의 양측 상에 각각 위치된다. 개재판(22)은 양 미끄럼판(31)의 외부에 위치되고, 측판(25)은 양 개재판(22)의 외부에 각각 위치된다. 도 3에서의 종방향은 크로스헤드(5)의 이동 방향(수직 방향)과 일치하고, 도 3에서의 깊이 방향은 크랭크축(8)의 회전축 방향과 일치하고, 도 3에서의 횡방향은 크로스헤드(5)의 이동 방향 및 크랭크축(8)의 회전축 방향에 직각임을 알 수 있다. 미끄럼판(31)의 내측면은 중앙판(21)에 용접된다. 개재판(22)의 내부 모서리는 미끄럼판(31)의 외측면에 용접된다. 측판(25)의 내측면은 개재판(22)의 외부 모서리에 용접된다. 개재판(22)의 외부 모서리는 미끄럼판(31)에 대향하는 측이다. 상판(23)은 미끄럼판(31), 개재판(22) 및 측판(25)의 상측에 용접된다. 바닥판(24)은 미끄럼판(31), 개재판(22) 및 측판(25)의 하측에 용접된다.
미끄럼판(31)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미끄럼판(31)은 크로스헤드(5)를 안내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각 미끄럼판(31)은 크로스헤드(5)로부터 측력을 수용한다. 측력의 방향은 도 3에서의 횡방향에 평행하다. 미끄럼판(31)의 두께 방향은 도 3에서의 횡방향에 평행하다. 중앙판(21) 및 개재판(22)의 두께 방향은 도 3에서의 깊이 방향에 평행하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격벽(20)의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조임 볼트(10)가 각 개재판(22)의 양측 상에 각각 배열된다. 중앙판(21) 및 개재판(22)이 격벽(20)의 중앙 평면(S1) 상에 배열된다. 중앙 평면(S1)의 법선은 크랭크축(8)의 회전축 방향에 평행하다. 중앙판(21)과 미끄럼판(31)이 T형으로 배열되고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이 T형으로 배열되도록 각 중앙판(21) 및 개재판(22)이 미끄럼판(31)에 용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각 미끄럼판(31)의 두께를 나타내고, B는 각 개재판(22)의 두께를 나타내고, C는 중앙판(21)의 두께를 나타내고, D는 중앙 평면(S1)의 법선을 따라 측정된 중앙 평면(S1)으로부터 각 미끄럼판(31)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각 미끄럼판(31)은 중앙 평면(S1)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재판(22)의 두께(B)에 대한 미끄럼판(31)의 두께(A)의 비(A/B)가 1.5 이상이도록 각 미끄럼판(31)이 두껍기 때문에, 프레임(6)의 강성은 수평 리브와 같은 보강재 없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개재판(22)으로부터 미끄럼판(31)을 보강하는 보강재 및 측판(25)으로부터 미끄럼판(31)을 보강하는 보강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프레임(6)의 강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크로스헤드(5)의 이동 궤적이 안정화된다.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프레임(6)은 단순 형상을 갖고, 프레임(6)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중앙판(21)의 두께(C)에 대한 미끄럼판(31)의 두께(A)의 비(A/C)가 1.5 이상이도록 각 미끄럼판(31)이 두꺼운 경우, 유사한 이점이 달성된다.
미끄럼판(31)의 두께(A)는 설계 제약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일반적으로, 두께(A)는 미끄럼판(31)의 폭(예를 들어, 2D)보다 작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끄럼판(31)의 두께(A)에 대한 중앙 평면(S1)으로부터 미끄럼판(31)의 단부까지의 거리(D)의 비(D/A)는 4.0 이하이다. 측력이 미끄럼판(31)의 단부 또는 단부보다 중앙 평면(S1)에 근접한 미끄럼판(31)의 위치 상에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비(D/A)가 4.0 이하이도록 거리(D)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미끄럼판(31)의 두께(A)에 대한 측력의 작용점과 중앙 평면(S1) 사이의 거리의 비는 작다. 따라서, 프레임(6)의 강성은 수평 리브와 같은 보강재 없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개재판(22)으로부터 미끄럼판(31)을 보강하는 보강재 및 측판(25)으로부터 미끄럼판(31)을 보강하는 보강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프레임(6)은 단순 형상을 갖고, 프레임(6)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중앙 평면(S1)으로부터 미끄럼판(31)의 단부까지의 거리(D)는 설계 제약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일반적으로, 거리(D)는 중앙판(21)의 두께(C)의 절반 및 개재판(22)의 두께(B)의 절반 중 큰 값보다 크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판(21)의 두께(C)에 대한 개재판(22)의 두께(B)의 비(B/C)가 1.5 이상이도록 각 개재판(22)이 두껍기 때문에, 각 개재판(22)은 측력에 대해 미끄럼판(31)을 보강한다. 이 결과, 프레임(6)의 강성이 수평 리브와 같은 보강재 없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개재판(22)으로부터 미끄럼판(31)을 보강하는 보강재 및 측판(25)으로부터 미끄럼판(31)을 보강하는 보강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프레임(6)은 단순 형상을 갖고, 프레임(6)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개재판(22)의 두께(B)는 설계 제약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일반적으로, 두께(B)는 미끄럼판(31)의 폭(예를 들어, 2D)보다 작다.
또한, 전술된 각 실시예에서 중앙판(21)과 미끄럼판(31)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전술된 각 실시예에서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전술된 각 실시예에서 중앙판(21)과, 미끄럼판(31)과, 개재판(22)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전술된 각 실시예에서 중앙판(21) 전체와,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과, 상판(23)과, 바닥판(24)과, 측판(25)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전술된 각 실시예에서 중앙판(21)의 일부와,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과, 상판(23)과, 바닥판(24)과, 측판(25)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 주조용 목형이 용이하게 마련되고, 주조의 주조성이 향상되고, 주조가 용이하게 검사된다. 주조로서 형성되지 않은 판을 주조에 용접함으로써 프레임(6)이 형성되는 경우, 용접 및 검사에 대한 인시가 단축된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엔진 프레임이 후술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엔진 프레임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6)의 격벽(20)에서, 보강재(40)가 미끄럼판(31) 중 하나를 캠샤프트측에서 보강하고, 미끄럼판(31)을 배기측에서 보강한다. 보강재(40)는 미끄럼판(31)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다. 보강재(40)는 판형이고, 보강재(40)의 두께 방향은 수직 방향에 평행하다.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격벽(20)의 수평 단면도이다. 미끄럼판(31)의 하부에 구비된 보강재(40)는 격벽(20)의 중앙 평면(S1)의 양측 상에 각각 배열되고, 미끄럼판(31) 및 개재판(22)에 용접된다. 미끄럼판(31)의 하부에 구비된 보강재(40)는 미끄럼판(31)의 하부에 용접된다. 조임 볼트(10)는 보강재(40)와, 미끄럼판(31)과, 개재판(2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관통한다. 미끄럼판(31)의 상부에 구비된 보강재(40)는 미끄럼판(31)의 하부에 구비된 보강재(4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7을 참조로, 보강재(40)가 구비된 미끄럼판(31)의 상부 및 하부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헤드(5)로부터 미끄럼판(31)에 의해 수용된 측력의 크기(F)는 수직 방향(Z측 방향)으로 크로스헤드(5)가 이동함에 따라 변화한다. 측력의 크기(F)는 크로스헤드(5)가 제1 위치(Z1)에 있는 경우에 제1 국부 최대값을 갖고, 크로스헤드(5)가 제2 위치(Z2)에 있는 경우에 제2 국부 최대값을 갖는다. 제2 위치(Z2)는 제1 위치(Z1)보다 낮다. 미끄럼판(31)의 상부는 크로스헤드(5)가 제1 위치(Z1)에 있는 경우에 측력을 수용한다. 미끄럼판(31)의 하부는 크로스헤드(5)가 제2 위치(Z2)에 있는 경우에 측력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가 캠샤프트측의 미끄럼판(31) 중 하나 및 배기측의 미끄럼판(31)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6)은 단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보강재(40)가 구비된 미끄럼판(31)에 있어서, 보강재(40)가 미끄럼판(31)의 상부 및 하부에만 구비되어, 프레임(6)은 단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프레임(6)의 용접 및 검사에 대한 인시가 단축되고, 프레임(6)의 제조 및 검사가 용이하다.
보강재(40)가 구비된 미끄럼판(31)의 두께(A)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두께(A)보다 얇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보강재(40)는 미끄럼판(31)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앙판(21)과 미끄럼판(31)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본 실시예에서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본 실시예에서 중앙판(21)과, 미끄럼판(31)과, 개재판(22)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본 실시예에서 중앙판(21)과,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과, 상판(23)과, 바닥판(24)과 측판(25)이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본 실시예에서 중앙판(21) 전체와,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과, 상판(23)과, 바닥판(24)과, 측판(25)과, 보강재(40)가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와, 본 실시예에서 중앙판(21)의 일부와, 개재판(22)과, 미끄럼판(31)과, 상판(23)과, 바닥판(24)과, 측판(25)과, 보강재(40)가 주조로서 일체 형성된 경우에, 주조의 주조성이 향상되고 주조가 용이하게 검사된다. 주조로서 형성되지 않은 판을 주조에 용접함으로써 프레임(6)이 형성되는 경우, 용접 및 검사에 대한 인시가 단축된다.
본 발명이 몇몇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로부터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도시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것이 자명하고, 첨부된 청구범위를 제한된 의미로 해석하도록 의존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4)

  1.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상기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 2판과,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판의 두께(B)에 대한 상기 미끄럼판의 두께(A)의 비(A/B)는 1.5 이상인, 엔진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크로스헤드를 안내하고,
    상판이 상기 미끄럼판의 상측에 용접되고,
    바닥판이 상기 미끄럼판의 하측에 용접되고,
    측판이 상기 제2 판의 측면에 용접되고,
    상기 제2 판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판에 대향하고,
    상기 제2 판 또는 상기 측판으로부터 상기 미끄럼판을 보강하는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는, 엔진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은 각각 상기 미끄럼판에 용접되는, 엔진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주조로서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2 판은 상기 미끄럼판에 용접되는, 엔진 프레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주조로서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 판은 상기 미끄럼판에 용접되는, 엔진 프레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주조로서 일체 형성되는, 엔진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의 상측에 용접된 상판과,
    상기 미끄럼판의 하측에 용접된 바닥판과,
    상기 제2 판의 측면에 용접된 측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크로스헤드를 안내하고,
    상기 제2 판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판에 대향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은 주조로서 일체 형성되는, 엔진 프레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의 상측에 용접된 상판과,
    상기 미끄럼판의 하측에 용접된 바닥판과,
    상기 제2 판의 측면에 용접된 측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크로스헤드를 안내하고,
    상기 제2 판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판에 대향하고,
    상기 제1 판의 일부와,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은 주조로서 형성되는, 엔진 프레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의 일부에 구비된 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헤드로부터의 측력의 크기는 상기 크로스헤드가 일 위치인 경우에 국부 최대값을 갖고,
    상기 미끄럼판의 상기 일부는 상기 크로스헤드가 상기 위치인 경우에 상기 측력을 수용하는, 엔진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미끄럼판의 상기 일부와 상기 제2 판에 용접된, 엔진 프레임.
  11. 제1항 또는 제2항의 엔진 프레임과,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상기 크로스헤드와,
    크랭크축과,
    상기 크로스헤드를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와,
    상기 실린더가 배열된 재킷과,
    상기 크랭크축이 배열된 베드와,
    상기 재킷과, 상기 엔진 프레임과, 상기 베드를 고정하는 조임 볼트를 포함하는, 엔진 프레임.
  12.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상기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 2판과,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판의 두께(C)에 대한 상기 미끄럼판의 두께(A)의 비(A/C)는 1.5 이상인, 엔진 프레임.
  13.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상기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 2판과,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판의 두께(A)에 대한 상기 평면의 법선을 따라 측정된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기 미끄럼판의 단부까지의 거리(D)의 비(D/A)는 4.0 이하인, 엔진 프레임.
  14. 격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1 판과,
    상기 격벽의 캠샤프트측 부분 또는 배기측 부분을 형성하는 제 2판과,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의 사이에 배열된 미끄럼판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은 크로스헤드를 안내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은 평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판과 상기 미끄럼판은 T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판의 두께(C)에 대한 상기 제2 판의 두께(B)의 비(B/C)는 1.5 이상인, 엔진 프레임.
KR1020100016155A 2009-09-29 2010-02-23 엔진 프레임 KR101150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4072A JP2011074765A (ja) 2009-09-29 2009-09-29 エンジンの架構
JPJP-P-2009-224072 2009-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817A KR20110035817A (ko) 2011-04-06
KR101150106B1 true KR101150106B1 (ko) 2012-06-14

Family

ID=4216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155A KR101150106B1 (ko) 2009-09-29 2010-02-23 엔진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05990A1 (ko)
JP (1) JP2011074765A (ko)
KR (1) KR101150106B1 (ko)
CN (1) CN1020322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5611B2 (ja) 2014-09-26 2018-0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イド板、隔壁ユニット、架構及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JP6314075B2 (ja) 2014-11-04 2018-04-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補強部材、隔壁ユニット、架構、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JP6675956B2 (ja) * 2016-08-29 2020-04-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架構及びクロスヘッド式内燃機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312A (en) * 1976-03-13 1977-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Engine frame for crosshead type internal-combustion engine
WO1994012874A1 (en) * 1992-11-27 1994-06-09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of identifying liquid petroleum products
KR100223084B1 (ko) * 1993-09-14 1999-10-15 정몽규 일체형 래더 프레임을 갖는 실린더 블록 구조 및 차량용 엔진 블록
KR100530203B1 (ko) * 2003-10-10 2005-11-22 맨 비 앤드 더블유 디젤 에이/에스 엔진 프레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9350A (en) * 1929-08-03 1935-04-30 Sulzer Ag Frame for reciprocating engines
GB579846A (en) 1941-05-31 1946-08-19 Ove Peters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rossheads and crosshead guid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615201A (en) * 1945-08-11 1949-01-03 Mark Ferdinand Meinertz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rames for vertical piston engines
CH625603A5 (ko) * 1977-10-27 1981-09-30 Sulzer Ag
JP2721667B2 (ja) * 1987-04-22 1998-03-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ヘッド形往復動内燃機関の架構構造
JPH0648137Y2 (ja) * 1987-07-01 1994-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ロスヘツド型内燃機関の架構
JPH09209774A (ja) * 1996-01-30 1997-08-12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チエーンカバー
JP3528616B2 (ja) * 1997-12-26 2004-05-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ウエザストリップ
JP4005550B2 (ja) * 2003-10-10 2007-11-07 エムエーエヌ・ディーゼル・エーエス エンジンフレーム構造
KR101361590B1 (ko) * 2006-07-18 2014-02-11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왕복 피스톤 엔진의 샤프트용 허브 홀더
KR101419328B1 (ko) * 2007-06-18 2014-07-14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대형 크로스헤드 디젤 엔진
KR101646631B1 (ko) 2009-03-20 2016-08-08 빈터투르 가스 앤 디젤 아게 대형 크로스헤드 디젤 엔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312A (en) * 1976-03-13 1977-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Engine frame for crosshead type internal-combustion engine
WO1994012874A1 (en) * 1992-11-27 1994-06-09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of identifying liquid petroleum products
KR100223084B1 (ko) * 1993-09-14 1999-10-15 정몽규 일체형 래더 프레임을 갖는 실린더 블록 구조 및 차량용 엔진 블록
KR100530203B1 (ko) * 2003-10-10 2005-11-22 맨 비 앤드 더블유 디젤 에이/에스 엔진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32245A (zh) 2011-04-27
KR20110035817A (ko) 2011-04-06
JP2011074765A (ja) 2011-04-14
EP2305990A1 (en)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1030B1 (en) Cylinder block
WO2012032888A1 (ja) 軽合金部材に鋳込まれる鉄系金属製のベアリングキャップ
KR101150106B1 (ko) 엔진 프레임
JP5811280B2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のアクチュエータ取付構造
KR20100105357A (ko) 대형 크로스헤드 디젤 엔진
US20140026841A1 (en) Composite cylinder block of an i.c. engine
JP5511302B2 (ja) エンジンの架構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7230B1 (ja) ユニフロー式クロスヘッド型燃焼機関
CA2189382C (en) Housing for a cylinder-operated combustion-powered machine
KR101419328B1 (ko) 대형 크로스헤드 디젤 엔진
KR101398769B1 (ko) 크로스헤드형 디젤 기관의 크로스헤드
JP2010071137A (ja) クローズドデッキタイプのシリンダブロック
JP2007120506A5 (ko)
JP4595817B2 (ja) 内燃機関
JP2011043096A (ja) 内燃機関における排気ガス還流装置
JP2006348859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ック
JP5029537B2 (ja) エンジン本体構造
JPH1061485A (ja) V型ドライライナエンジンのシリンダブロック
JP2021055584A (ja) 多気筒内燃機関の本体ブロック
JP4432553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
JP7332261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本体ブロック
JP4506517B2 (ja) エンジンのv型シリンダブロック
JP4304472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及びそのシリンダブロックの製造方法
WO2010067652A1 (ja) クランクケースの構造
JP6570262B2 (ja) エンジン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