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226B1 -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226B1
KR101143226B1 KR1020110082093A KR20110082093A KR101143226B1 KR 101143226 B1 KR101143226 B1 KR 101143226B1 KR 1020110082093 A KR1020110082093 A KR 1020110082093A KR 20110082093 A KR20110082093 A KR 20110082093A KR 101143226 B1 KR101143226 B1 KR 10114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ner cylinder
production apparatus
mixing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도
Original Assignee
허정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도 filed Critical 허정도
Priority to KR102011008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226B1/ko
Priority to PCT/KR2012/006397 priority patent/WO201302501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13Plant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operation or the construction of the mixing apparatus; Mixing apparatus
    • E01C19/104Mixing by means of movable members in a non-rotating mixing enclosure, e.g. stirrers
    • E01C19/1045Mixing by means of movable members in a non-rotating mixing enclosure, e.g. stirrers the mixture being discharged continu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5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apparatus; Aggregate screening, cleaning, drying or heating apparatus; Dust-collec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and placing the materials, e.g. slurry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현장에서 상온의 폐골재와 신골재를 혼합하거나, 상온의 폐골재 또는 신골재만을 이용하여 생산된 아스콘을 포장 도로면에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를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혼합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A mobile production device of asphalt concrete mixtures}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현장에서 상온의 폐골재와 신골재를 혼합하거나, 상온의 폐골재 또는 신골재만을 이용하여 생산된 아스콘을 포장 도로면에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과 기간산업의 발달로 도로를 신설, 보수하거나 재건설 함으로 인해 아스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아스콘 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더 많은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스콘 생산장치(10)는 골재가 입도별로 수용되는 다수개의 콜드빈(12)이 구비되고, 콜드빈(12)으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4)가 구비되며, 이송컨베이어(14)로 이송된 골재를 가열하는 가열로(16)가 구비되며, 가열된 핫골재를 이송시키는 핫엘리베이터(18)가 구비되고, 이송된 골재를 입도별로 분리하는 진동스크린(22)이 구비되며, 진동스크린(22)에서 선별되는 골재가 입도별로 저장되는 다수개의 핫빈(24)이 구비되고, 핫빈(24)에 저장된 핫골재를 용량 비율로 배출하여 혼합하는 혼합부(2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아스콘 생산장치는 분쇄된 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여 콜드빈에 수용시키고, 콜드빈에 수용된 골재는 이송컨베이어의 상부로 배출되어 이송되고, 이송된 골재는 가열로로 공급되며, 이 골재는 가열로에서 가열되어 배출되고 배출된 핫골재는 이송엘리베이터로 공급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며, 이송엘리베이터로 이송된 핫골재는 진동스크린에서 핫골재의 입도별로 분리되어 핫빈에 저장된다.
이렇게, 종래에는 별도의 장소에서 아스콘을 생산한 후 운반 수단을 이용하여 작업현장으로 운반하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운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아스콘을 작업 현장으로 운반하는 도중에 아스콘의 온도저하가 발생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포장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속식 아스콘 생산장치는 폐골재와 신골재를 혼합하여 아스콘을 생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일측부 상단에 폐골재가 투입되는 호퍼(50a)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배출구(50b)가 형성된 외통(50)과, 외통(5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일측부에는 신골재가 투입되는 투입부재(52a)가 구비된 내통(52)과, 내통(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재료혼합부(52b)와, 내통(52)의 내주면에는 나선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옆지날개(52c)와, 내통(52)의 내측으로 아스팔트를 공급하는 공급관(53)과, 내통(52)으로 열을 발산하는 버너(5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내통(52)에 구비된 투입부재(52a)를 통하여 신골재가 투입되고, 투입된 신골재는 내통(52)의 내측에 구비된 옆지날개(52c)에 의해 외통(50)의 호퍼(50a)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공급관(53)을 통하여 아스팔트가 분사되어 신골재를 피복하고,피복된 상태로 이동하여 외통(50)의 내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내통(52)으로부터 배출된 아스팔트로 피복된 가열 신골재는 외통(50)의 호퍼(50a)로 투입된 폐골재와 만나서 외통(50)의 재료혼합부(52b)에서 열교환과 혼합을 이루어 아스콘이 생산되고 외통(50)의 배출구(50b)로 생산된 아스콘이 배출되었다.
이러한 장비는 골재가열부와 재료혼합부가 각기 분리되어 있어서, 내통의 이송과정에서 가열된 신골재가 외통의 상온 폐골재를 만나 혼합되는 과정에서 열전달을 이루어, 폐골재에 피복된 구 아스팔트를 용융시키고 신골재와 폐골재의 혼합을 가능하게 하여 재생아스콘을 생산하게 되므로, 폐골재 사용량이 항상 신골재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여야 하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폐아스콘을 수거하고 즉시 포장하는 재생방법으로서 현장가열재생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예열판을 이용하여 포장을 미리 예열하고, 예열로 인해 용융된 포장의 폐아스콘을 수거장비로 수거하여 재생하는 가열재생방법으로서, 열의 낭비가 심하고 간단하게 재료를 섞음으로 혼합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스콘을 작업현장에서 생산하여 공급함으로써, 아스콘을 운반하는 운반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작업현장에서 아스콘을 생산하고 공급하여 작업 현장에서 바로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반에 따른 온도저하문제가 전혀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노면 절삭장치를 이용하여 수거된 상온 폐아스콘을 현장에서 바로 공급받아 재생 아스콘을 생산한 후 바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골재를 운반하는 운반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를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혼합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혼합부가 상부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는 양측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되게 제1,2,3호퍼가 형성되고, 타측 하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설치되어 양측부가 외통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내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위치되게 내통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다수개의 교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통에는 증기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통은 외통의 제1호퍼가 형성된 부분은 직경이 작고, 외통의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은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의 내측부에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의 칸막이가 구비되고, 이 칸막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는 내통의 외주면에 압출스크루의 나선방향으로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외통의 양측으로 돌출된 어느 일측의 내통 외주면에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되, 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내통의 내측에 설치되는 히터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는 내통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내통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발열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에는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회수하는 폐열회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폐열회수부는 일측부는 혼합부의 내통 일측에 연통되게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혼합부의 외통에 형성된 제1호퍼에 권취되는 회수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부에는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회수하여 노면에 분사하는 폐열분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폐열분사부는 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 일측 하부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도로포장의 폭과 같거나 약간 긴 분사관이 포장의 폭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분사관은 일측이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혼합부의 내통의 내측에 연통되게 체결고정되는 공급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두 쌍의 차단판이 분사관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에워싸서 분사열의 외부유출을 막고 노면을 가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신골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는 재료이송을 쉽게 하기 위해 재료 투입구가 높고 배출구가 낮게 경사각도를 가지며, 내주면에 엽지날개가 형성된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의 일측부에 설치되되, 신골재가 투입되는 제4호퍼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가 설치된 건조통의 타측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건조통과 연통되어 건조통 내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아스콘을 작업현장에서 생산하여 공급함으로써, 아스콘을 운반하는 운반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현장에서 아스콘을 생산하여 공급하고 작업 현장에서 그대로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반에 따른 온도저하문제가 전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면 절삭장치를 이용하여 수거된 폐아스콘은 현장에서 바로 공급받아 재생하여 아스콘을 생산한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골재를 운반하는 운반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스콘 생산장치를 보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혼합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혼합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혼합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100)는 프레임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110)에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10)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112)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프레임(114)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4)은 혼합부(210)가 1-15의 범위 내에서 경사 각도를 갖도록 재료입구 쪽이 높고 출구 쪽이 낮게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112)의 하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바퀴(1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12)의 전방에는 차량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견인부재(118)를 설치할 수도 있고, 자력에 의해 운행할 수 있는 엔진부(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동식 아스콘 생산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2)에 설치되는 견인부재(118)를 견인차량에 결합하거나 미도시한 엔진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0)의 고정프레임(114)에 안착되어 폐골재와 신골재를 혼합하여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부(210)는 프레임부(110)의 고정프레임(114) 상부에 안착되는 외통(2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통(212)은 양측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일측부에 폐골재가 투입되는 제1호퍼(214)가 형성되고, 제1호퍼(214)와 이격되어 신골재가 투입되는 제2호퍼(216)가 형성되며, 제1, 2호퍼(214)(216)와 이격되어 유기첨가제(아스팔트, 재생첨가제, 개질첨가제, 단 섬유, 등)가 투입 또는 분사되는 제3호퍼(217)가 형성되며, 제1호퍼(214)가 형성된 타측 하단부에는 폐골재와 신골재와 유기첨가제가 혼합되어 생산되는 아스콘이 배출되는 배출구(218)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폐골재와 신골재를 혼합한 혼합골재가 공급될 경우에는 제1호퍼(214)와 유기첨가제가 투입되는 제3호퍼(217) 만을 사용하고, 제2호퍼(216)는 사용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외통(212)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부가 외통(212)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내통(220)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내통(220)의 외주면에는 스크루 형상이 되도록 나선방향으로 다수개의 교반부재(230)가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교반부재(23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내통(220)의 외주면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교반부재(2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압출스크루의 플라이트 형상을 하나, 내통(220)의 곡률반경과 이송골재의 크기를 고려하여 그 치수가 충분히 커야 하며, 혼합골재와 접촉하는 교반부재(230)의 접촉면은 골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엠보싱, 그루빙, 홈, 등 다양한 패턴이 가공될 수 있으며, 이동 방향으로 오목홈(2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212)에는 폐골재와 신골재가 원활하게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첨가하는 아스팔트나, 개질제, 재생첨가제, 단 섬유, 등 혼합제가 주입되는 제3호퍼(217)가 구비되고, 외통(212)의 측부에는 폐골재와 신골재에 함유된 수분이 교반시 증기로 증발하게 되면 이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구(21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22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240)는 외통(212)의 외측으로 돌출된 내통(220)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 외주면에 스프라켓(242)이 구비되고, 이 스프라켓(242)과 체인(244)에 의해 회전되도록 모터(246)가 구비되되, 이 모터(246)는 프레임부(110)의 지지프레임(112) 상부에 안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246)의 동작에 의해 내통(220)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 내통(220)의 회전에 의해 외통(212)의 제1,2,3호퍼(214)(216)(217)로 투입되는 폐골재, 신골재와 유기첨가제가 교반부재(230)에 의해 전단마찰을 일으켜 혼합되면서 나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외통(212)의 배출구(218)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220)의 외주면에 구비된 혼합부(210)에서 폐골재, 신골재와 유기첨가제가 서로 혼합될 때 내통(220)의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켜 재료들에게 간접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2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250)는 내통(220)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산하는 히터봉(25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외통(212)의 내측에는 히터봉(252)에서 발산하는 열기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250)에서 발산하는 열에 의해 폐골재, 신골재와 유기첨가제가 혼합될 때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내통(22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회수하는 폐열회수부(2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폐열회수부(260)는 일측부가 내통(220)의 내측부와 연통되게 연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외통(212)에 형성되어 폐골재가 투입되는 제1호퍼(214)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회수관(26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내통(220)의 내측에 발생한 열기는 회수관(262)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제1호퍼(214)에 권취된 방향으로 배출되게 되어 제1호퍼(214)로 투입되는 폐골재를 예비가열하게 된다. 상기 회수관(262)을 통과한 열은 폐골재를 예비가열한 후에 프레임부(110)의 지지프레임(112) 하부에 구비된 폐열분사부(270)를 통하여 포장작업을 수행하는 노면에 폐열이 분사되도록 공급관(276)으로 연결함으로서, 뜨거운 열이 직접 공기 중에 방출되지 않고 노면을 가열하게 하여, 노면위에 포장되는 아스콘과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폐열분사부(270)는 프레임부(110)의 지지프레임(112) 일측 하부에 고정구(272)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272)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장공사를 수행할 노면에 폐열을 분사하는 분사관(27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사관(274)을 둘러싸서 내부에 위치되게 지지프레임(112)의 하부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두쌍의 차단판(278)이 구비된다. 이 차단판(278)은 열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막아서 노면을 가열할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폐열을 냉각시키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상기 분사관(274)에 일측이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혼합부(210)의 내통(220)에 체결 고정된 회수관(262)에 연결되어 폐열이 제1호퍼(214)의 권취관을 통과하여 분사관(274)으로 공급되는 공급관(27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사관(274)으로 폐열을 공급하는 공급관(276)은 회수관(262)에 연결시키지 않고, 직접 내통(2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100)는 먼저, 동력전달부(240)의 동력을 전달받아 내통(2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열부(250)의 히터봉(252)에 전원을 인가시켜 열이 발산되도록 한 상태에서 외통(212)의 제1호퍼(214)로 폐골재를, 제2호퍼(216)에는 신골재를, 제3호퍼(217)에는 유기첨가제를 투입 또는 분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내통(220)이 회전함과 동시에 히터봉(252)에서 열을 발산하는 상태에서 폐골재, 신골재 및 유기첨가제가 내통(220)의 회전에 의해 내통(220)의 외주면에 압출스크루 방향으로 부착된 교반부재(230)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나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출구(218) 쪽으로 나아가게 된다.
상기 교반부재(230)의 기능은 내통(220)이 회전함에 따라 내통(220)에 부착된 교반부재(230)와 혼합재료와의 접촉에 의해 접촉부위에서 전단마찰을 일으켜 혼합재료의 혼합과 이송을 이루면서 나선방향으로 재료를 이동시킨다는 점이며, 이때 재료와 교반부재(230)와의 전단마찰에 의해 걸리는 부하는 동력전달부(240)의 회전동력에 의해서 극복해 간다.
즉, 상기 교반부재(230)와 접촉하지 못하는 교반부재(230)와 교반부재(230) 사이에 위치한 혼합재료는 내통(220)이 회전하더라도 전단마찰에 의해 나선방향으로 전진될 수 없음으로, 오히려 그 반대로 역류하게 된다.
이처럼 역류하는 재료는 전단마찰 부하가 걸리지 않아서 동력전달부(240)의 회전동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회전동력의 완화정도는 교반부재(230)와 교반부재(230) 사이의 간격과, 나선과 나선 사이의 거리에 의해 조정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역류하는 앞의 재료는 전진하는 뒤의 재료와 만나 더욱 원활하게 혼합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통(220)이 회전함에 따라 교반부재(230)에 의해 폐골재, 신골재 및 유기첨가제가 혼합되면서 이동될 때 두 가지 열을 받게 된다. 하나는 재료와 재료간의 전단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고 다른 하나는 가열부(250)의 히터봉(252)에서 발산한 열이 내통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간접적인 열이다. 두 열은 혼합재료로 전달되어 재료온도를 높여서 폐아스팔트와 유기첨가제를 용융시키고, 용융점도를 낮추고, 서로 균일하게 혼합되어 각 골재를 피복시키며, 골재도 가열되어 피복이 쉬워지도록 허용된다.
이때, 상기 외통(212)의 제1,2호퍼(214)(216)로 투입되는 폐골재와 신골재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열과정에서 수분이 수증기로 변하여 외통(212)의 측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21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내통(220)의 회전에 의해 재료가 나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혼합을 이루어 생산되는 아스콘은 외통(212)의 배출구(218)로 배출되게 되게 된다.
한편, 상기 외통(212)으로 투입되어 내통(22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폐골재, 신골재 및 유기첨가제의 혼합재료가 골재간의 마찰열과 가열부(250)의 전달열을 받으면 폐골재에 피복된 폐아스팔트와 투입된 유기첨가제가 함께 녹아서 균일하게 혼합된 후 모든 골재를 피복할 뿐만 아니라 외통(212)의 내주면 및 내통(220)의 외주면 그리고 교반부재(230)에도 피복이 되어, 교반부재에 의해 골재가 전단마찰을 일으킬 때, 피복된 액상재료가 마찰부위에서 윤활작용을 하게 되므로 내통(22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240)의 부하를 낮추어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외통(212)의 배출구(218)를 통하여 생산 배출되는 아스콘은 별도의 운반 수단을 이용하여 페이브의 호퍼에 운반하여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외통(212)의 배출구(218)를 통하여 배출되는 아스콘을 즉시 노면에 일정두께로 도포할 수 있도록 배출구(218)외 연통되게 페이브장치를 만들어 부착하거나, 기존의 페이브와 바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아스콘 생산과 포설을 동시에 행한 후 다짐장비로 다짐하여 포장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220)의 내측에 발생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이 폐열을 회수하여 회수관(262)을 통하여 순환하도록 하고, 이 순환관(262)을 순환하는 폐열은 제1호퍼(214)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호퍼(214)가 회수관(262)을 순환하여 배출되는 폐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제1호퍼(214)로 투입되는 폐골재가 1차 예열된 상태로 투입되게 되어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수관(262)을 순환하여 배출되는 폐열은 회수관(262)에 연결된 공급관(276)을 통하여 분사관(274)으로 전달되고. 이 분사관(274)으로 전달된 폐열은 포장공사를 수행할 노면에 분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관(274)을 통하여 폐열이 분사될 때 분사관(274)을 에워싸도록 차단판(278)을 구비하여 분사관(274)을 통하여 분사되는 폐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노면을 가열할 수 있게 하여 폐열의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노면 가열로 인한 아스콘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뜨거운 열기를 냉각시켜 외부로 방출함으로서 환경을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폐골재와 신골재를 혼합하여 아스콘을 생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폐골재만을 투입하거나, 신골재만을 투입하여 아스콘을 생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220)의 일측부, 즉 외통(212)의 제1호퍼(214)가 형성된 방향은 직경이 작은 관(220a)으로 형성되고, 외통(212)에 배출구(218)가 형성된 방향은 직경이 큰 관(220b)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외통(212)의 제1호퍼(214)에 위치한 내통(220)의 일측 방향이 직경이 작은 관(220a)으로 형성되어 외통(212)의 내주면과 내통(220)의 작은 관(220a) 외주면 사이에 공간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제1,2,3호퍼(214)(216)(217)로 폐골재, 신골재 및 유기첨가제가 투입되어 교반부재(230)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나선방향으로 이동시 제1,2호퍼(214)(216) 방향에 폐골재 및 신골재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반부재(230)에 과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210)의 내통(220)에 설치되는 가열부(250)는 내통(220)의 일측부에 화염을 발산하는 화염구가 위치되게 버너(25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외통(212)의 제1,2,3호퍼(214)(216)(217)로 투입되는 폐골재, 신골재 및 유기첨가제가 교반부재(230)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나선방향으로 이동될 때 버너(254)에서 발산되는 화염에 의해 내통(220)의 내측에 발생된 열이 내통(220)의 외주에 위치한 혼합골재에 전달되어 간접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혼합재료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우수한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254)가 일측에 설치된 내통(220)의 내측부에는 열기가 정체되어 서서히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222a)이 형성된 칸막이(222)가 구비되되, 이 칸막이(222)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버너(254)에서 발산되는 화염의 열기는 내통(220)의 내측에 구비된 칸막이(222)에 의해 정체되고, 이 정체된 열기는 순차적으로 칸막이(222)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222a)을 통하여 이웃하는 칸막이(222)의 사이로 이동하여 정체되는 방식으로 하여 버너(254)가 설치된 내통(220)의 반대 방향으로 열기가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254)에서 발산하는 화염에 의해 발생한 열기가 칸막이(222)에 의해 서서히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혼합골재에 많은 열을 공급하여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고품질의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210)의 내통(220)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250)는 내통(22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하여 다수개의 발열선(256)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내통(220)의 내주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발열선(256)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고, 이 발열선(256)에서 발산하는 열은 내통(220)으로 전달되어 제1,2,3호퍼(214)(216)(217)로 투입된 폐골재, 신골재 및 유기첨가제의 교반시 열을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폐골재와 신골재를 포함하는 혼합재료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210)의 외통(212)에 형성된 제2호퍼(216)로 신골재가 투입되기 전에 신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31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3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되,내주면에 압출스크루(314)가 형성된 건조통(312)이 구비되고, 이 건조통(31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건조통(312)의 내측으로 신골재를 투입하는 제4호퍼(316a)가 구비된 제1고정부재(316)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통(312)은 골재 투입구가 높고 배출구가 낮게 1-15의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골재의 이송을 쉽게 한다.
이때, 상기 건조통(312)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은 내통(220)을 회전시키는 동일한 구성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건조통(312)을 회전시키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상기 건조통(312)의 타측부, 즉 제1고정부재(316)가 설치된 건조통(312)의 타측부에는 혼합부(210)의 외통(212)에 형성된 제2호퍼(216)로 건조된 신골재가 공급되도록 건조통(312)의 내측에 투입된 신골재를 배출시키는 배출구(318a)가 형성된 제2고정부재(31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내통(220) 일측부에 설치되어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부(260)의 회수관(262)은 건조통(312)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건조통(312)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제1고정부재(316) 및 제2고정부재(318)는 회전을 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수관(262)을 통하여 내통(220)의 내측에서 발생한 폐열을 회수하여 건조통(312)의 내측으로 공급하여 건조통(312)의 내측으로 공급된 신골재를 가열하여 신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통(312)에서 신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건조시킬 때 발생하는 분진 등을 집진하는 집진기(32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통(312)의 내측에서 폐열을 이용하여 신골재를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 등과 폐열을 집진기(320)에 포집되고, 이 집진기(320)에 포집된 폐열과 분진 등을 집진기(320)에서 분진 등을 필터링하여 열기만 외측으로 배출시키거나, 공급관(276)과 연결하여 분사관(274)을 통해 노면에 분사시켜,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면을 가열하게 하여 아스콘과의 접착력을 높이고, 페열로 인한 공해를 경감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혼합부(210)의 외통(212)에 형성된 제2호퍼(216)로 신골재를 투입하기 전에 이 신골재는 건조부(310)를 거쳐 신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한 후 혼합부(210)로 공급하여 아스콘이 생산되도록 함으로써, 혼합부(210)에서 더욱 용이하게 폐골재와 혼합이 잘 이루어져 우수한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통(220)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건조통(312)의 내측으로 공급하여 건조통(312)에서 신골재를 건조시키는 열기로 사용함으로써, 폐열을 최대한 활용하여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콘 재생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아스콘 생산장치 110 : 프레임부
112 : 지지프레임 114 : 고정프레임
116 : 바퀴 118 : 견인부재
210 : 혼합부 212 : 외통
214, 216, 217 : 제1,2,3호퍼 218 : 배출구
219 : 증기배출구 220 : 내통
222 : 칸막이 222a : 통공
230: 교반부재 232 : 오목홈
240 : 동력전달부 242 : 스프라켓
244 : 체인 246 : 모터
250 : 가열부 252 : 히터봉
254 : 버너 256 : 발열선
260 : 폐열회수부 262 : 회수관
270 : 폐열분사부 272 : 고정구
274 : 분사관 276 : 공급관
310 : 건조부 312 : 건조통
314 : 압출스크루 316 : 제1고정부재
316a : 제4호퍼 318 : 제2고정부재
318a : 배출구

Claims (19)

  1.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를 회동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혼합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가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혼합부가 상부에 안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로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부는 재료투입구가 높고 배출부가 낮게 1-15도의 경사 각도를 가지며,
    양측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되게 제1,2,3호퍼가 형성되고,
    타측 하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설치되어 양측부가 외통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내통과,
    상기 외통의 내측에 위치되게 내통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다수개의 교반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통에는 증기배출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교반부재는 다수개가 압출스크루의 나선형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내통의 위주 면에 설치되며, 인접한 교반부재의 거리는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측부는 혼합부의 내통 일측에 연통되게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혼합부의 외통에 형성된 제1호퍼에 권취되는 회수관이 구비되어,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회수하는 폐열회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외통의 제1호퍼가 형성된 부분은 직경이 작고, 외통의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은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내측부에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의 칸막이가 구비되고, 이 칸막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외통의 양측으로 돌출된 어느 일측의 내통 외주면에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되, 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내통의 내측에 설치되는 히터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내통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내통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발열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에는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회수하여 노면에 분사하는 폐열분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분사부는 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 일측 하부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도로포장의 폭과 같거나 약간 긴 분사관이 포장의 폭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분사관은 일측이 체결 고정되고, 타측부는 혼합부의 내통의 내측에 연통되게 체결고정되는 공급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지지프레임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두 쌍의 차단판이 분사관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에워싸서 분사열의 외부유출을 막고 노면을 가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신골재를 건조시키는 건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재료이송을 쉽게 하기 위해 재료 투입구가 높고 배출구가 낮게 경사각도를 가지며, 내주면에 압출스크루가 형성된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의 일측부에 설치되되, 신골재가 투입되는 제4호퍼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가 설치된 건조통의 타측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과 연통되어 건조통 내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KR1020110082093A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KR10114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93A KR101143226B1 (ko)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PCT/KR2012/006397 WO2013025018A2 (ko) 2011-08-18 2012-08-10 이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093A KR101143226B1 (ko)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226B1 true KR101143226B1 (ko) 2012-05-18

Family

ID=4627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093A KR101143226B1 (ko)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3226B1 (ko)
WO (1) WO201302501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46B1 (ko) * 2013-05-30 2014-01-20 (주)희정건설 아스콘 제조장치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644388B1 (ko) * 2015-03-25 2016-08-02 주식회사 다현산업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중온 아스콘 제조장치와 중온 아스콘 제조장치 및 원적외선 열을 이용하여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101681264B1 (ko) * 2015-08-05 2016-11-30 위성환 골재 예열기
KR102552601B1 (ko) * 2022-08-30 2023-07-07 김현유 구스 아스콘 공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453A (ko) * 2005-02-04 2006-08-09 이경직 순환아스콘 간접가열장치
KR101047600B1 (ko) * 2010-06-08 2011-07-07 김보석 폐아스콘을 이용한 도로 재포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798B1 (ko) * 1998-12-28 2001-12-17 엄동섭 아스팔트재생장치
KR20050107716A (ko) * 2004-05-10 2005-11-15 백재흠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KR100606291B1 (ko) * 2004-07-20 2006-08-02 태성개발(주)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453A (ko) * 2005-02-04 2006-08-09 이경직 순환아스콘 간접가열장치
KR101047600B1 (ko) * 2010-06-08 2011-07-07 김보석 폐아스콘을 이용한 도로 재포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46B1 (ko) * 2013-05-30 2014-01-20 (주)희정건설 아스콘 제조장치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1644388B1 (ko) * 2015-03-25 2016-08-02 주식회사 다현산업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중온 아스콘 제조장치와 중온 아스콘 제조장치 및 원적외선 열을 이용하여 파손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101681264B1 (ko) * 2015-08-05 2016-11-30 위성환 골재 예열기
WO2017023018A3 (ko) * 2015-08-05 2017-05-11 위성환 골재 예열기
KR102552601B1 (ko) * 2022-08-30 2023-07-07 김현유 구스 아스콘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5018A3 (ko) 2013-06-13
WO2013025018A9 (ko) 2013-04-25
WO2013025018A2 (ko)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226B1 (ko) 이동식 아스콘 생산장치
CN100441776C (zh) 就地热再生沥青路面复拌机
CN105951560B (zh) 一种废旧沥青加热搅拌机、废旧沥青再生系统及再生方法
KR101136204B1 (ko) 연속식 아스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KR101521471B1 (ko) 현장 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 장치
KR101217055B1 (ko) 내통회전드럼과 외통회전드럼의 2중 드럼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방법
CN102337717A (zh) 沥青混合料就地热再生车
CN104131506B (zh) 一种热再生设备
KR101087402B1 (ko) 재생 가열 아스팔트혼합물 생산을 위한 경사 조절 평행류형 드럼믹서
JP2001090018A (ja) アスファルト廃材の移動式再生装置
CN102322013B (zh) 用于沥青路面就地热再生复拌机上的拌合装置
KR101120952B1 (ko) 재생 가열 아스팔트혼합물 생산을 위한 2단 평행류형 드럼 믹서
KR101003007B1 (ko) 2중 원통형 회전드럼을 갖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 및 순환아스팔트콘크리트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51873A (ko) 열순환식 아스팔트 노면 가열장치
KR101012657B1 (ko) 재생 아스콘용 드라이어
CN208072134U (zh) 一种基于沥青铣刨料的冷拌温铺混合料快速加热装置
KR100624345B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KR200364925Y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101770212B1 (ko) 친환경 폐아스콘 재생설비
KR100412067B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CN202164527U (zh) 沥青混合料就地热再生车
KR101681264B1 (ko) 골재 예열기
KR100606291B1 (ko)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CN110158428B (zh) 用于加热沥青路面铣刨料的多层次加热装置
CN101736676B (zh) 旧沥青混凝土循环加热回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