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716A -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 Google Patents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716A
KR20050107716A KR1020040032869A KR20040032869A KR20050107716A KR 20050107716 A KR20050107716 A KR 20050107716A KR 1020040032869 A KR1020040032869 A KR 1020040032869A KR 20040032869 A KR20040032869 A KR 20040032869A KR 20050107716 A KR20050107716 A KR 2005010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scon
waste ascon
sorting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흠
Original Assignee
백재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재흠 filed Critical 백재흠
Priority to KR102004003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716A/ko
Publication of KR2005010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1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13Plant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operation or the construction of the mixing apparatus; Mixing apparatus
    • E01C19/104Mixing by means of movable members in a non-rotating mixing enclosure, e.g. stirr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거된 폐아스콘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재생처리한 후 도로포장용 개보수작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현장포설용으로 제공되는 폐아스콘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포장용 아스콘을 분리 취출하여 수거함에 있어서, 수거된 폐아스콘이 일정량씩 투입된 채 소정의 입경단위로 파쇄될 수 있도록 파쇄기가 포함되어 있는 호퍼; 상기 파쇄기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수용하여 이를 순차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운반된 폐아스콘을 수용하여 이를 분리 선별한 후 일정 크기 이하의 입경을 갖는 폐아스콘만을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고, 나머지는 별도의 이송수단을 통해 호퍼로 강제이송시키는 선별수단; 상기 선별수단을 거친 폐아스콘이 양질의 아스콘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계량처리된 유화제, 조골재, 세골재 및 아스팔트가 폐아스콘과 고온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나선형 스크류가 내장된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으로 혼합된 아스콘 용해물이 임의의 량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폐조절기능을 갖는 배출슈트가 구비됨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삼는다.

Description

폐아스콘 재활용장치{Device for recycling waste asphalt concrete}
본 발명은 수거된 폐아스콘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재생처리한 후 도로포장용 개보수작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현장포설용으로 제공되는 폐아스콘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로의 노후화와 차량하중 및 지반침하 등으로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된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개보수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해당 부분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이하, 아스콘으로 통칭함)를 파쇄 및 절삭 등의 방법으로 분리 취출하여 수거한 후 이러한 폐아스콘을 파쇄와 선별 및 혼합가열의 방법을 통해 양질의 아스콘으로 재생산한 다음 필요한 량만큼 배출시켜 현장포설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폐아스콘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가 일반화된 오늘날에 있어서 도로포장의 자연수명이 다하거나 혹은 기후변화 등 자연환경의 이유로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점차 균열이 발생하거나 표면박리 및 부분이탈 등 파손이 불가피한 면이 있고, 최근에는 차량의 급속한 증가와 중량화로 이러한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어 안전하면서도 안락한 주행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로상태의 정상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개보수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아스콘은 그 기능의 유용성에 따라 도로포장재로서의 보차도용은 물론이고 자전거 도로와 광장 등에도 폭 넓게 시공되어 이용자의 안락함과 시각적인 만족감도 동시에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아스콘은 기본적으로 화학적 부산물인 아스팔트를 주 구성요소로 하고 있어 결코 친환경적일 수 없었고, 제조 및 시공과정에 수반되는 공정의 추가와 높은 제조원가 등 경제적인 비용의 증가는 아스콘의 효율적인 사용을 방해하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도로공사를 위한 신설 포장은 물론이고 별도의 시설공사나 개보수공사를 위해 포장된 아스콘을 철거한 후 재포장 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도 상기한 여러문제점은 공사주체자의 입장에서 적지 않은 부담이 되어 왔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폐아스콘의 재활용 방안은 매우 제한적인 범위내에서만 제시되어 있는 관계로 그 대부분이 수거 후 일반 건축폐기물과 함께 매립되거나 방치되고 있는 등 시급히 처리되어야 할 현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달리 건축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폐콘크리트는 발달된 자원의 재처리기술에 힘입어 배출량의 60% 이상이 새로운 건축자재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같은 건축폐기물로서 이러한 폐콘크리트에 비해 폐아스콘의 재활용 방안은 현재까지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국내외에 설정등록된 특허권의 대부분도 일부 지엽적인 활용기술의 개선에만 그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선별 수거된 폐아스콘을 현장에서 즉시 재처리가공하여 포설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간이장치가 제안되어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소정량에 한정해 유화아스팔트 재생혼합물이 생산 즉시 포설가능할 수 있도록 함에 착안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별 수거된 폐아스콘을 이동이 간편한 비교적 간단한 설비를 이용하여 짧은 작업시간 동안 현장에서 도로포장용 아스콘으로 재처리한 후 이러한 아스콘을 공급할 수 있도록하여 수거와 동시에 재포설에 따른 시공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유지보수작업에 따른 효율성과 경제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도로포장용 아스콘에 있어서, 수거된 폐아스콘이 일정량씩 투입된 채 소정의 입경단위로 파쇄될 수 있도록 파쇄기가 포함되어 있는 호퍼; 상기 파쇄기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수용하여 이를 순차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운반된 폐아스콘을 수용하여 이를 분리 선별한 후 일정 크기 이하의 입경을 갖는 폐아스콘만을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고, 나머지는 별도의 이송수단을 통해 호퍼로 강제이송시키는 선별수단; 상기 선별수단을 거친 폐아스콘이 양질의 아스콘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계량처리된 유화제, 조골재, 세골재 및 아스팔트가 폐아스콘과 고온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나선형 스크류가 내장된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으로 혼합된 아스콘 용해물이 임의의 량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폐조절기능을 갖는 배출슈트가 유지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아스콘 재활용장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양호한 상태로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구하기 위해 제시되어진 일실시예로서의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아스콘의 수거와 재포설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장소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설치되어야 하므로 최소의 면적차지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인 호퍼(10)와 이송수단으로서의 벨트 컨베이어(11), 선별기(12) 및 가열챔버(15) 등이 작업용 차량에 일체로 탑재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이동용 로울러를 부설하여 현장의 일정한 곳에 운반되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조립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차량탑재형과 이동 조립식은 장치구성상 선택적인 것임에 분명하다.
호퍼(10)는 현장에서 인위적인 수단을 통해 수거된 폐아스콘이 일반 토사물과 함께 투입되도록 사일로우 형식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그 용량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재질은 후술하는 파쇄기(10a)로 인해 견고성이 유지되는 우수한 내구성이 재질로 마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파쇄기(10a)는 장치의 간략함을 구한다는 본 발명의 취지상 호퍼(10)의 내하단부에 일체로 설치됨이 요망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 이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면적의 차지와 배출로가 별도로 구성되어야 한다는데 다소간의 문제점이 수반된다.
파쇄기(10a)로는 죠크러셔가 일차적으로 바람직한데, 경우에 따라 차선책으로 임펙트크러셔나 콘크러셔가 투입되는 폐아스콘의 경도나 크기를 고려하여 채택될 수도 있다.
폐아스콘은 호퍼(10)에 투입됨과 동시에 파쇄기(10a)를 통해 잘게 파쇄되고, 그 파쇄물은 호퍼(10)의 배출구로 볼 수 있는 파쇄기(10a)의 하단에 위치하는 벨트 컨베이어(11)에 자유 낙하되어 적치된 후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데, 그 이송과정중 자선기를 이용하여 철근이나 못 등의 금속재가 제거될 수 있도록 배려될 수 있으나 도로포장된 폐아스콘의 특성상 이러한 자선기의 설치가 필수적인 구성은 될 수 없다.
이후 상기 벨트 컨베이어(11)로부터 운반된 폐아스콘은 경사진 선별기(12)로 순차 수용되는데, 선별기(12)는 진동식 평판스크린의 방식으로 폐아스콘 파쇄물을 입경별로 분리 선별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일정 크기 이하의 입경을 갖는 폐아스콘과 토사는 선별기(12)의 하단을 통해 이송용 타공망(12a)으로 낙하되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고, 토사는 페아스콘보다 당연 그 입경이 작을 것이어서 전술한 타공망(12a)을 통해 지면으로 낙하된다.
이때 일정 크기 이상의 입경으로 경사진 선별기(12)의 표면을 따라 낙하되는 폐아스콘 파쇄물은 상술한 호퍼(10)로 강제 피드백되어 재파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려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선별기(12)의 경사진 단부에 호퍼(10)로 연결되는 또다른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13)가 마련된다.
위와 같이 강제이송된 폐아스콘 파쇄물은 버킷엘리베이터(14)에 옮겨져 입설된 호퍼(10)로 투입된 후 앞서의 공정을 다시 거치게되며, 이와 달리 선별기(12)를 통과한 폐아스콘 파쇄물은 재생작업을 위한 가열챔버(15)로 투입되는데, 폐아스콘에 함유된 아스팔트의 효용성 저하와 골재의 마모 및 파쇄를 보전하면서도 재생량의 증대를 위해 별도의 아스팔트 공급수단(30)과 조골재 공급수단(40) 및 세골재 공급수단(50)을 마련하여 이들을 총합비율로 계량처리한 후 별도의 배출수단에 따라 상기 가열챔버(15)에 투입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계량작업은 별도의 계측펌프를 이용하여 중량단위로 제어된 후 재료유동을 측정 지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 투입된 폐아스콘과의 화학적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아스팔트 에멀젼 등으로 마련된 유화제 공급수단(20)을 통해서도 적정량의 유화제가 같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가열챔버(15)는 그 내부에 나선형 스크류(15a)가 내장되어 있어 각각의 투입물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이들을 교반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버너(15b)를 이용한 고온의 열이 투입된 폐아스콘의 아스팔트를 용해시키므로 효율적인 교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양질의 아스콘으로 재생산된 용해물은 작업자의 제어작동으로 조절가능한 배출슈트(16)를 이용하여 포설작업이 필요한 장소에 배출되므로서 비로소 소정의 아스콘 재생작업과 포설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폐아스콘 재활용장치에 따르면,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유지보수작업이 수거현장의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공해발생의 요인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으로 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이 가능해짐은 물론이고 동시에 높은 경제성과 함께 작업의 효율성도 구할 수 있어 시행자와 시공자 및 이용자 모두의 만족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그 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해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퍼 10a : 파쇄기
11,13 : 벨트 컨베이어 12 : 선별기
12a : 타공망 14 : 버킷엘리베이터
15 : 가열챔버 15a : 나선형 스크류
15b : 버너 16 : 배출슈트
20 : 유화제 공급수단 30 : 아스팔트 공급수단
40 : 조골재 공급수단 50 : 세골재 공급수단

Claims (1)

  1. 도로포장용 아스콘을 분리 취출하여 수거함에 있어서,
    수거된 폐아스콘이 일정량씩 투입된 채 소정의 입경단위로 파쇄될 수 있도록 파쇄기가 포함되어 있는 호퍼;
    상기 파쇄기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수용하여 이를 순차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운반된 폐아스콘을 수용하여 이를 분리 선별한 후 일정 크기 이하의 입경을 갖는 폐아스콘만을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고, 나머지는 별도의 이송수단을 통해 호퍼로 강제이송시키는 선별수단;
    상기 선별수단을 거친 폐아스콘이 양질의 아스콘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계량처리된 유화제, 조골재, 세골재 및 아스팔트가 폐아스콘과 고온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나선형 스크류가 내장된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으로 혼합된 아스콘 용해물이 임의의 량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폐조절기능을 갖는 배출슈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KR1020040032869A 2004-05-10 2004-05-10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KR20050107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69A KR20050107716A (ko) 2004-05-10 2004-05-10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869A KR20050107716A (ko) 2004-05-10 2004-05-10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16A true KR20050107716A (ko) 2005-11-15

Family

ID=3728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869A KR20050107716A (ko) 2004-05-10 2004-05-10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716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71B1 (ko) * 2007-03-16 2008-03-31 (주)대전산업건기 폐아스콘 또는 폐콘크리트 재생 플랜트의 믹서 그리스주입장치
KR100927648B1 (ko) * 2009-03-04 2009-11-20 백운석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1013213B1 (ko) * 2008-09-22 2011-02-22 주식회사 바스코플랜트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WO2013025018A2 (ko) * 2011-08-18 2013-02-21 Huh Jung Do 이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KR101301165B1 (ko) * 2013-03-26 2013-09-03 하나케이환경 주식회사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믹싱장치
CN104032664A (zh) * 2014-07-07 2014-09-10 郎溪县恒云工程机械有限公司 用于沥青混凝土废料回收再利用的环保加工设备
KR20160031628A (ko) 2014-09-12 2016-03-2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가열 표층재생 아스팔트 포장공법용 가변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장치
CN105839499A (zh) * 2016-03-29 2016-08-10 南方高科工程技术有限公司 L型沥青冷再生拌和设备
CN112323580A (zh) * 2020-11-28 2021-02-05 汤炬 一种道路施工用沥青铺设辅助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71B1 (ko) * 2007-03-16 2008-03-31 (주)대전산업건기 폐아스콘 또는 폐콘크리트 재생 플랜트의 믹서 그리스주입장치
KR101013213B1 (ko) * 2008-09-22 2011-02-22 주식회사 바스코플랜트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0927648B1 (ko) * 2009-03-04 2009-11-20 백운석 폐아스콘 재생장치
WO2013025018A2 (ko) * 2011-08-18 2013-02-21 Huh Jung Do 이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WO2013025018A3 (ko) * 2011-08-18 2013-06-13 Huh Jung Do 이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KR101301165B1 (ko) * 2013-03-26 2013-09-03 하나케이환경 주식회사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믹싱장치
CN104032664A (zh) * 2014-07-07 2014-09-10 郎溪县恒云工程机械有限公司 用于沥青混凝土废料回收再利用的环保加工设备
CN104032664B (zh) * 2014-07-07 2016-05-25 郎溪县恒云工程机械有限公司 用于沥青混凝土废料回收再利用的环保加工设备
KR20160031628A (ko) 2014-09-12 2016-03-2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가열 표층재생 아스팔트 포장공법용 가변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장치
CN105839499A (zh) * 2016-03-29 2016-08-10 南方高科工程技术有限公司 L型沥青冷再生拌和设备
CN112323580A (zh) * 2020-11-28 2021-02-05 汤炬 一种道路施工用沥青铺设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06059401A1 (ja) 舗装のアスファルト混合物層を路上で連続的に再生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自走車両システム
US78915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using bituminous products
KR20050107716A (ko) 폐아스콘 재활용장치
JP5713583B2 (ja) アスファルト廃材から再生アスファルト簡易舗装材を製造する方法
KR20040070362A (ko)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101803964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가 구비된 파쇄시스템.
JPH073715A (ja) 道路舗装用車輛
KR102089849B1 (ko) 폐숏크리트 재생장치
KR101301165B1 (ko)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믹싱장치
JP2009052361A (ja) 舗装のアスファルト混合物層を路上で連続的に再生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自走車両システム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CN105408262A (zh) 用于处理淤渣、尤其港口淤渣的方法和设备
KR100828543B1 (ko) 포장 아스팔트 혼합물층을 노상에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방법 및 그를 위한 자주차량 시스템
JP2005342558A (ja) 戻り生コンの再生処理施設及び再生骨材の管理方法
KR102022478B1 (ko) 입도 조정형 혼합 파쇄 시스템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030019755A (ko) 폐아스콘을 재생할 수 있는 가열식 아스콘 제조장치
KR100632787B1 (ko) 폐 아스콘 재생방법
JP3718220B1 (ja) 研磨装置
KR100632786B1 (ko) 폐주물사와 폐골재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KR100393650B1 (ko) 쓰레기 처리장치
JP4479476B2 (ja)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を活用した廃棄コンクリートのリサイク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