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512B1 - 검안 장치 - Google Patents

검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512B1
KR101133512B1 KR1020050059588A KR20050059588A KR101133512B1 KR 101133512 B1 KR101133512 B1 KR 101133512B1 KR 1020050059588 A KR1020050059588 A KR 1020050059588A KR 20050059588 A KR20050059588 A KR 20050059588A KR 101133512 B1 KR101133512 B1 KR 10113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ens
switching
stat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796A (ko
Inventor
테라베 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06004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61B3/103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for measuring astigmat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효율이 좋은 검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검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검안 장치는 검사창, 검사창에 전환되어 배치된 광학 소자(optical element)-구면 렌즈(spherical lenses), 주면 렌즈(cylindrical lenses) 및 크로스 실린더 렌즈(a cross cylinder lens)-를 각각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니트, 검사창에 배치된 광학 소자를 전환하는 제 1 전환 수단, 제 1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검자용 메인 콘트롤러, 검사창에 배치된 크로스 실린더 렌즈의 축을 회전시키는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제 2 전환 수단 및 메인 콘트롤러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제 2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피검자용 서브 콘트롤러를 가진다.
크로스 실린더 렌즈, 전환 수단

Description

검안 장치{Optometric Apparatus}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검안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좌안용의 렌즈실 유니트를 위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광학 소자의 회전 기구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검자용 메인 콘트롤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시스템 전체의 제어계 블록도이다.
도 6은 검안 프로그램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적/녹 검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최고 시력 확인 검사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피검자 눈의 굴절력을 자각적으로 검사하는 검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면 렌즈, 주면 렌즈 등의 광학 소자를 피검자 눈 앞에 배치하고, 배치된 광학 소자를 끼우며 피검자 눈 전방의 제시 시표를 보는, 피검자 눈의 굴절력 (시력)을 자각적으로 검사(측정)하는 검안 장치가 있다. 이로 인해 검안 장치를 사용 하여 행하는 피검자 눈의 난시(주면) 축 및 난시(주면) 도수의 검사 방법에 있어서는, 축이 서로 직교하고, 굴절력의 절대치가 같으며, 극성의 차이가 있는 2매의 주면 렌즈 및 광학적으로 등가의 크로스 실린더 렌즈(이하, XC 렌즈)를 사용하는 검사 방법이 있다. 이 검사 방법에서는 피검자 눈으로 점군 시표를 제시하고, 검자가 피검자 눈 앞에 배치된 XC 렌즈를 전환(XC 렌즈를 반전, 즉 XC렌즈의 축을 90도 회전시킴)하고 그 전후의 제시 시표의 보이는 쪽(보이는 상태)을 피검자에게 비교?응답 받는다. 그리고나서, 검자가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피검자 눈 앞에 배치된 주면렌즈의 축 및 도수를 조정하고, XC렌즈의 전환 전후에 피검자가 제시 시표를 같은 정도로 보도록 하고, 피검자 눈의 난시축 및 난시 도수를 얻는다.
그러나, 검자에 의한 XC렌즈의 전환에 있어서는, 피검자에 의한 제시 시표의 보이는 쪽의 비교가 따라지지 않고, 피검자의 응답이 부정확하게 되면 검자가 몇도로 전환 조작을 행하여야 하는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살피고, 효율이 좋은 검안을 행할 수 있는 검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검안 장치는 검사창 및 검사창에 전환 배치된 광학 소자(optical element)-구면 렌즈(spherical lenses), 주면 렌즈(cylindrical lenses) 및 크로스 실린더 렌즈(a cross cylinder lens)를 포함-를 각각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니트, 검사창에 배치된 광학 소자를 전환 하는 제1 전환 수단, 제1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검자용 메인 콘트롤러, 검사창에 배치된 크로스 실린더 렌즈의 축을 회전시키고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쪽으로 전환하는 제 2 전환 수단, 및 메인 콘트롤러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제 2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피검자용 서브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크로스 실린더 렌즈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것에 있는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3) 또한, 상기 (1)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제 2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4) 상기 (1)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콘트롤러의 스위치는 난시 검사시에는 상기 크로스 실린더 렌즈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것을 선택하고, 적/녹 검사시에는 적색 시표 및 녹색 시표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이고, 검안 장치는, 적/녹 검사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 및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및 선택 스위에 의한 선택에 기초하여, 제 1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검사창에 배치된 구면 렌즈를 전환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5) 또한, 상기 (1)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콘트롤러의 스위치는 난시 검사시에는 상기 크로스 실린더 렌즈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것을 선택하고, 최고 시력 확인 검사 시에는 시력 치시표의 판독가 및 판독불가의 어떤 것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이고, 검안 장치는, 시력 치시표를 피 검자에게 제시하는 시표 제시 수단, 최고 시력 확인 검사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및 선택 스위치에 의한 선택에 기초하여, 시표 제시 수단을 제어하고 제시된 시력 치시표를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 태양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형태의 검안 시스템 전체의 개략 구성도이다. 검안 장치 본체 1는 검사창 4을 가지는 좌우 대칭 한 쌍의 렌즈실 유니트 2 및 렌즈실 유니트를 아래로 매달리도록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 3을 구비한다.
도 2는 좌안용의 렌즈실 유니트 2를 상부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10은 검사창 4을 통한 측정 광축이다. 렌즈실 유니트 2의 몸체 5 내에는, 강구면 렌즈 디스크 11, 약구면 렌즈 디스크 12, 제 1 보조 렌즈 디스크 13, 강주면 렌즈 디스크 14, 약주면 렌즈 디스크 15, 및 제 2 보조 렌즈 디스크 16가 각각 샤프트 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디스크에는 동일 원주 상에 개구(또는 0D의 렌즈)와 복수의 광학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각 디스크의 외주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각 디스크는 모터 18a~18f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며, 광축 10 위(검사창 4)에 배치된 광학 소자가 전환된다. 보호 유리 4a는 검자 측의 검사창에 배치되고, 보호 글라스 4b는 피검자측의 검사창 4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안용의 렌즈실 유니트 2는 좌안용의 렌즈실 유니트 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크 11에는 강도수(예를 들어, 3D) 단위(스텝)(예를 들어, -18D~+15D)의 구면 렌즈 110가 복수(예를 들어, 12매(개구 또는 0D의 렌즈를 포함)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12에는 약도수(예를 들어, 0.25D) 단위(-1D~+1.75D)의 구면 렌즈 120이 복수(예를 들어, 12매 (개구 또는 0D의 렌즈를 포함))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14에는 강도수(예를 들어, 1.5D) 단위(-7.5D~0D)의 주면 렌즈 140가 복수(예를 들어, 6매 (개구 또는 0D의 렌즈를 포함))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15에는 약도수(예를 들어, 0.25D) 단위(-1.25D~0D) 의 주면 렌즈 150가 복수(예를 들어, 6매(개구 또는 0D의 렌즈를 포함))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13에는 분산 프리즘, 핀홀, 마독스 렌즈, 녹 필터 등의 보조 렌즈 130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16에는 크로스 실린더(XC) 렌즈 17 및 18, ±0.25D의 오토 크로스 실린더(AXC) 렌즈 19 등이 배치되어 있다. XC 렌즈 17는 +0.25D의 주면 렌즈와 -0.25D의 주면 렌즈가 각각의 축을 직교시켜 조합된 렌즈이다. 한편, XC 렌즈 18는 +0.5D의 주면 렌즈와 -0.5D 주면 렌즈가 각각 축을 직교시켜 조합된 렌즈이다.
도 3은 디스크 14, 15 및 16에 배치된 광학 소자의 회전 기구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주면 렌즈 140는 치차를 가진 홀더 141를 끼우고, 디스크 14에는 광축 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면 렌즈 150는 치차를 가진 홀더 151를 끼우고, 디스크 15에 광축 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홀더 141 및 151의 치차는 샤프트 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태양 치차 153로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나서, 모터 156의 회전력이 중간 치차 155. 치차 154, 및 태양 치차 153을 끼우고 홀더 141 및 151로 전달된다.
XC렌즈 17는 치차를 가진 홀더 161을 끼우고, 디스크 16에 광축 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AXC 렌즈 19는 치차를 가진 홀더 168를 끼우고, 디스크 16에 광축 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홀더 161 및 168의 치차는 샤프트 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태양 치자 173와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나서, 모터 176의 회전력이 중간 치차 175, 치차 174, 및 태양 치차 173를 끼우고 홀더 161 및 168에 전달된다. 또한, XC 렌즈 18과 동일한 구성으로 인해 광축 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시표 제시 장치 20는 검안 장치 본체 1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1m 정도) 떨어져 위치되어 있고, 검사용 시표를 피검자 눈에 제시한다.(도 1에서는 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표 제시 장치 20는 장치 내부에, 종종의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 수단 21, 빔 스플리터 22, 요(凹)면 거울 23등을 구비한다. 시표 제시 수단 21으로 인한 시표의 광은, 빔 스플리터 22를 투과하여 요면 거울 23로 반사되며, 다시 빔 스플리터 22로 반사되어 창 24을 끼워 피검자 눈으로 향한다.
검자용 메인 콘트롤러 30는 검자의 조작으로 검안 장치 본체 1 또는 시표 제시 장치 20를 구동 제어시킬 목적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메인 콘트롤러 30의 개략 구성도이다. 디스플레이부 31는 검사 정보 등을 표시한다. 스위치부 32는 시표 전환(선택) 스위치군 33, 검안 프로그램용의 스타트 스위치 34 및 보냄(전진) 스위치 35, 기능 스위치군 36, 회전 다이얼(다이얼 스위치) 37, 크로스 실린더 전환 스위치 38a 및 38b 및 마스크 스위치군 39 등을 구비한다. 기능 스위치군 36은 디스플 레이부 30의 화면 하방의 소정 위치에 표시된 종종의 스위치 표치도 대응하는 것을 선택할 때 사용된다. 회전 다이얼 37은 구면 도수, 난시(주면) 도수 및 난시(주면) 축 각도를 조정할 목적과 XC렌즈 등을 전환(반전시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크로스 실린더 전환 스위치 38a 및 38b는 XC렌즈 17등을 전환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장치에서 XC 렌즈를 전환(반전시킴)하는 것은 XC 렌즈의 축을 90도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마스크 스위치군 39은 시표 제시 장치 20에 의하여 제시된 시표군의 일부로 마스크를 내거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제 1 스위치 101 및 제 2 스위치 102를 구비하는 피검자용 서브 콘트롤러 100는 피검자의 조작으로 XC렌즈 17 또는 18을 전환하는 목적의 물건이다. 또한, 서브 콘트롤러 100에는 스위치 101 및 102를 조작할 때의 조작음, 피검자에의 검사 방법의 음성 가이드 등을 출력하는 목적의 음출력부 103가 설치되어 있다. 음성 데이터는 메인 콘트롤러 30의 메모리 40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음출력부 103는 검안 장치 본체 1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각식 눈 굴절력 측정 장치 63는 피검자 눈의 굴절력을 타각적으로 측정한다. 검안 장치 본체 1, 시표 제시 장치 20, 메인 콘트롤러 30, 서브 콘트롤러 100 및 다각식 눈 굴절력 측정 장치 63는 교체 유니트 50를 끼우고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어떠한 구성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그 동작을 도 5의 제어계 블록도 및 도 6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검자가 메인 콘트롤러 30를 조작하는 것으로, 타각식 눈 굴절력 측정 장치 63에서 얻어진 타각 굴절력 데이터가 교체 유니트를 끼우고 검안 장치 본체 1로 입력된다. 타각 굴절력 데이터가 입력되고, 검안 장치 본체 1의 마이크로 컴퓨터부 62는 타각 굴절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교정 광학계(광학 소자)를 초기치로 하여 광축 10 위로 세트(배치)한다.
다음으로, 검자가 스타트 스위치 34를 조작하는 것으로, 이전에 메모리 40로 기억된 자각 검안용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검안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우선, 제 1의 적/녹 검사(이하, R/G검사)가 행하여진다. 이 검사에서는 시표 제시 장치 20에 의한 R/G 검사 시표가 제시된다. 또한, 검안 장치 본체 1의 측정 눈 측의 광축 1 0위에는 초기치에 대하여 +0.5D의 구면 도수가 더해진다(운무가 걸림). 그리고나서, 피검자에는 광축 10위로 세트된 교정 광학계를 끼우고 R/G 시표를 보게한다. 검자는 피검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피검자가 적색 시표와 녹색 시표를 같은 정도로 보는 것에 의해, 회전 다이얼 37을 조작하고 피검자 눈에 부여하는 구면 도수를 조정한다(광축 10위에 배치된 구면 렌즈를 전환한다).
검안 프로그램은 보냄 스위치 35가 조작된 것에 의하여 다음의 검사로 이행된다. 제 1의 R/G 검사가 종료되고, 검자가 보냄 스위치 3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XC 렌즈 17(XC 렌즈 18라도 좋다)가 사용된 난시 축 조정 검사로 이행된다. 이 검사에서는 시표 제시 장치 20에 의하여 점군 시표가 제시된다. 또한 검안 장치 본체 1의 광축 10위로는 XC 렌즈 17가 배치됨과 동시에 모터 176에 의한 XC렌즈 17의 마이너스축이 타각 굴절력 데이터의 난시 축 각도로 응하여 조정된다(난시축 조정 검사에서는 XC 렌즈 17의 마이너스 축이 광축 10 위로 배치된 주면 렌즈 140의 마이너스축에 대하여 45°로 배치된다). 피검자에는 스위치 101 및 102를 조작하고 제시 시표의 보이는 쪽(보이는 상태)를 비교하고 얻는 동시에, 제시 시표가 분명히 보이는 쪽을 선택해 주는 뜻을 미리 설명해 둔다. 또한, 이 설명은 음출력부 103로부터의 음성 가이드로 인한 것으로서도 좋다.
난시 축 조정 검사에는 광축 10 위로 배치된 주면 렌즈 140의 마이너스 축에 대응하고 XC 렌즈 17의 마이너스 축이 45도로 배치된 상태가 제 1의 상태이다. 이 제 1의 상태에서 피검자에 의한 제 2 스위치 102가 조작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부 62는 이 조작 신호(전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XC렌즈 17의 축을 90도 회전시키고, 제 2의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이 제 2의 상태에서 피검자에 의한 스위치 101가 조작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부 62는 이 조작 신호(전환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XC 렌즈 17를 제 2의 상태로부터 제 1의 상태로 전환한다. 즉, 스위치 101가 조작되고 XC 렌즈 17은 제 1의 상태가 되고, 스위치 102가 조작되고 XC렌즈 17는 제 2의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서브 콘트롤러 100(스위치 101 및 102)의 조작으로 인해, XC 렌즈 17를 제 1의 상태 및 제 2의 상태의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콘트롤러 30의 마이크로 컴퓨터부 60에는 교체 유니트 50를 끼우고, 서브 콘트롤러 100(스위치 101 및102)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부 60는 디스플레이부 31의 확인 프레임 31a으로, XC 렌즈 17가 제 1의 상태인가 제 2의 상태인가를 표시한다. 도 4에는 XC 렌즈 17가 제 1의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로 인하여, 검자는 피검자에 의한 XC 렌즈 17의 전환 상태를 확인하고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 101 및 102에 의하여 XC 렌즈 17가 장상으로 전환되는 때에는 음 출력부 103로부터 그 뜻을 알게하는 알림음이 출력된다. 한편, 예를 들어, XC 렌즈 17가 제 1의 상태에 있는 때에 스위치 101가 조작된 때 등, 정상으로 전환되지 않을 때에는 음 출력부 103로부터 그 뜻을 알리는 경고음이 출력된다. 이로 인하여 피검자도 XC 렌즈 17가 정상으로 전환되지 않았음을 아는 것이 가능하다.
난시축 조정 검사에서는, 피검자는 먼저 XC 렌즈 17가 제 1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시표 제시 장치 20에 의하여 제시된 시표의 보이는 방향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피검자는 스위치 102를 조작하고, XC 렌즈 17가 제 2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시표 제시 장치 20에 의하여 제시된 시표를 확인한다. 이로 인하여, 피검자는 XC 렌즈 17가 제 1의 상태에 있는 경우와 제 2의 상태에 있는 경우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제 2의 상태 쪽이 시표가 분명이 보인다고 피검자가 응답한 경우에는, 검자가 회전 다이얼 37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인하여, 피검자 눈에 부여된 난시축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조정된다. 반대로, 제 1의 상태의 방향이 시표가 분명히 보인다고 피검자가 답한 경우에는, 검자가 회전 다이얼 37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인하여 피검자 눈에 부여된 난시축이 플러스 방향으로 조정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 31의 확인 프레임 31a에는 XC 렌즈 17가 제 1의 상태 또는 제 2의 상태의 어디에 있는가가 표시되고, 검자는 XC 렌즈 17의 전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확실한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의 상태 및 제 2의 상태를 1회 전환되는 정도로는 시표의 보이는 방향이 비교될 수 없는 때에는, 피검자가 더욱더 스위치 10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렌즈 17가 제 1의 상태로 밀리고, 다시 시표의 보이는 방향을 비교하는 것이 가 능하다. 이로 인하여, 피검자가 자신의 타이밍으로 XC 렌즈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것에 의하여, XC 렌즈 17의 전환으로 인하여 피검자가 시표를 동일한 정도로 보이기까지 난시축이 조정된다. 난시축 조정 검사가 종료하고, 검자는 보냄 스위치 35를 조작하는 것으로 인하여, 난시 도수 조정 검사 단계로 이행된다. 이 경우는, 계속해서, 시표 제시 장치 20에 의한 점군 시표가 제시된다. 난시 도수 조정 검사에는, 광축 10 위에 배치된 주면 렌즈 140의 마이너스 축에 대응하는 XC 렌즈 17의 마이너스 축이 90도로 위치된 상태가 제 1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나서 이 제 1의 상태에 대응하는 XC 렌즈 17가 90도 회전된 상태가 제 2의 상태로 된다. 이 난시 도수 조정에 있어서도, 피검자가 스스로 콘트롤러 100(스위치 101 및 102)를 조작하는 것으로 인하여 피검자 자신의 타이밍으로 XC 렌즈 17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31의 확인 프레임 31a에는 난시축 조정 검사시와 동일하게 XC 렌즈 17가 제 1의 상태 및 제 2의 상태의 어디에 있는가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의 메인 콘트롤러 100의 구성은 스위치 101 및 10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단일의 스위치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단일 스위치의 경우, 1회의 조작마다 XC 렌즈가 제 1의 상태와 제 2의 상태로 번갈아 전환하면 좋다. 또한, 스위치 101 및 102에 더하여 제 3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제 1의 상태 및 제 2의 상태에서 시표가 동일한 정도로 보이는 것을 응답하는 목적의 응답 스위치로써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죠이스틱형의 스위치로써, 복수의 조작(경도) 방향의 가운데로부터 소정의 2 방향의 조작 신호를 사용하여, 스위치 101 및 102의 조작 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난시 도수 조정 검사가 종료되면, 검자가 보맨 스위치 3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 2의 R/G 검사로 이행된다. 제 1의 R/G 검사와 동일하게 시표 제시 장치 20에 의한 R/G 시표가 제시되고, 검안 장치 본체 1의 측정 눈 측의 광축 10위에는 +0.5D의 구면 도수가 더해진다(운무가 걸쳐짐). 그리고나서, 검자는 피검자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피검자가 적색 시표 및 녹색 시표를 동일한 정도로 보는 것에 의하여 회전 다이얼 37을 조작하고 피검자 눈에 부여하는 구면 도수를 조정한다.
제 2의 R/G 검사가 종료되면, 검자가 보냄 스위치 35를 조작하는 것으로 인하여, 최고 시력 확인 검사로 이행된다. 이 검사에는, 시표 제시 장치 20으로 인하여 얽힌 마스크가 걸린 시력치 1.0의 시표가 제시된다. 검자는, 마스크 스위치 39를 조작하고 피검자가 시인할 수 있는 최고 시력을 확인한다. 그리고나서 최고 시력을 확인하면, 회전 다이얼 37을 조작하고 피검자 눈에 부여한 구면 도수를 조정하며, 최대한 플러스 보다도 최고 시력인 구면 도수로써 완전 교정치를 결정한다.
이상으로 인하여, 서브 콘트롤러 100에 2개의 스위치(스위치 101 및 102)를 구비한 구성이라 하면, 이하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R/G 검사에 있어서, 적색 시표와 녹색 시표의 어느 쪽이 분명하게 보이는가의 응답을 스위치 101 및 102로 이행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위치 101은 녹색 시표의 방향이 분명하게 보이는 경우에 조작하는 것이고, 스위치 102는 적색 시표의 방향이 분명하게 보이는 경우에 조작하는 것이다(스위치 101의 색을 녹색으로 스위치 102의 색을 적색으로 분리하는 것이 알기 쉽다). 그리고나서, 스위치 102가 조작되고, 그 조작 신호 는 마이크로 컴퓨터부 60와 마이크로 컴퓨터부 62로 보내진다. 마이크로 컴퓨터부 62는 R/G 검사로의 전환 지시 신호(검안 프로그램에 의한 검사에는, 보냄 스위치 35로 인한 전환 지시 신호가 입력된다)와 스위치 102의 조작 신호에 기초한 데이터 18a 및 18b를 구동 제어하고, 광축 10위에 배치되어 있는 구면 도수에 대하여 -0.25D의 구면 도수를 더한다. 한편, 스위치 101이 조작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부 62는 광축 10 위에 배치되어 있는 구면 도수에 대하여 +0.25D의 구면 도수를 더한다(도 7참조). 피검자에는, 적색 시표 및 녹색 시표가 동일한 정도로 보일 때까지 피검자 자신에게서 서브 콘트롤러 100(스위치 101 및 102)를 조작하여 얻은 것으로 인하여, 검자가 동일한 질문을 조작 반복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31의 확인 프레임 31a에는 피검자가 적색 시표 및 녹색 시표의 어느 것을 선택한 것이 표시된다.
또한, 최고 시력 확인 검사에 있어서, 제시된 시표를 읽고(판독 가) 읽지 않고(판독 불가)의 응답을 스위치 101 및 102에 의하여 행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위치 101은 시표를 읽는 경우에 조작하는 것이고, 스위치 102는 시표를 읽지 못하는 경우에 조작하는 것이다. 그리고나서, 스위치 101가 조작되고, 이 조작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부 60와 시표 제시 장치 20의 마이크로 컴퓨터부 61로 돌아간다. 메인 콘트롤러 61는 최고 시력 확인 검사로의 전환 지시 신호와 스위치 101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제시되어 있는 시력치 시표보다 1단계 위의 시력치 시표를 제시하는 것으로 인하여 시표 제시 수단 21을 제어한다. 한편, 스위치 102가 조작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부 61는 현재 제시되어 있는 시력치 시표보다 1단계 낮은 시력치 시표를 제시하는 것으로 시표 제시 수단 21을 제어한다(도 8참조). 그리고나서, 최종적으로 제시된 시표의 시력치가, 피검자 눈의 최고 시력으로 결졍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 31의 확인 프레임 31a에는, 피검자가 선택한 시표의 시력치가 표시된다. 이로 인하여, 서브 콘트롤러 100(스위치 101 및 102)의 신호를 응용하는 것으로 인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자각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란돌트 고리 시표를 사용하여 시력 검사를 행하는 경우는, 서브 콘트롤러 100에는 스위치 101 및 102에 더하여, 란돌트 고리 시표의 잘린 눈 방향을 선택하게 하는 것으로 인하여 4 방향 또는 8 방향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죠이스틱형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으로 정확한 난시 검사를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검자에게 조작시키는 콘트롤러의 스위치 구성을 복수로 하는 일 없게, 적/녹 검사를 효율 좋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검사창 및 검사창에 전환 배치된 광학 소자(optical elements)-구면 렌즈(sphrical lenses), 주면 렌즈(cylindrical lenses) 및 크로스 실린더 렌즈(cross cylinder lens)를 포함-를 각각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니트,
    검사창에 배치된 광학 소자를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
    제1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검자용 메인 콘트롤러,
    검사창에 배치된 크로스 실린더 렌즈의 축을 회전시키고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쪽으로 전환하는 제 2 전환 수단, 및
    메인 콘트롤러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제 2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피검자용 서브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크로스 실린더 렌즈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디에 있는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제 2 전환 수단용의 전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콘트롤러의 스위치는 난시 검사시에는 상기 크로스 실린더 렌즈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것을 선택하고, 적/녹 검사시에는 적색 시표 및 녹색 시표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이고,
    상기 검안 장치는
    적/녹 검사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 및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및 선택 스위치에 의한 선택에 기초하여, 제 1 전환 수단을 제어하고 검사창에 배치된 구면 렌즈를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콘트롤러의 스위치는 난시 검사시에는 상기 크로스 실린더 렌즈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의 어느 것을 선택하고, 최고 시력 확인 검사 시에는 시력 치 시표의 판독가 및 판독불가의 어떤 것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이고,
    상기 검안 장치는
    시력치 시표를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시표 제시 수단,
    최고 시력 확인 검사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및 선택 스위치에 의한 선택에 기초하여, 시표 제시 수단을 제어하고 제시된 시력 치시표를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검안 장치.
KR1020050059588A 2004-07-05 2005-07-04 검안 장치 KR101133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8599A JP4481748B2 (ja) 2004-07-05 2004-07-05 検眼装置
JPJP-P-2004-00198599 2004-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796A KR20060049796A (ko) 2006-05-19
KR101133512B1 true KR101133512B1 (ko) 2012-04-05

Family

ID=3578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588A KR101133512B1 (ko) 2004-07-05 2005-07-04 검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81748B2 (ko)
KR (1) KR101133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401B (zh) * 2012-01-13 2014-02-05 张仁发 一种多功能自动综合验光设备
ES2577860B2 (es) * 2013-03-12 2018-01-09 Steven P. Lee Determinación computerizada de refracción y astigmatismo
EP3398501A1 (en) * 2017-05-02 2018-11-07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stigmatism of an eye of a pers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3A (ja) * 1993-05-31 1994-01-18 Topcon Corp 視力検査装置
JPH09276218A (ja) * 1996-04-10 1997-10-28 Nikon Corp 自覚式検眼装置
JP2002034917A (ja) * 2000-07-24 2002-02-05 Nidek Co Ltd 検眼装置
JP2004057741A (ja) * 2002-07-31 2004-02-26 Nidek Co Ltd 検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3A (ja) * 1993-05-31 1994-01-18 Topcon Corp 視力検査装置
JPH09276218A (ja) * 1996-04-10 1997-10-28 Nikon Corp 自覚式検眼装置
JP2002034917A (ja) * 2000-07-24 2002-02-05 Nidek Co Ltd 検眼装置
JP2004057741A (ja) * 2002-07-31 2004-02-26 Nidek Co Ltd 検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15083A (ja) 2006-01-19
JP4481748B2 (ja) 2010-06-16
KR20060049796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47B1 (ko)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
EP2005878B1 (en) Vision testing system
JP3330968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2012085697A (ja) 検眼装置
US20100157249A1 (en) Vision tester
JPH07502922A (ja) 眼の遠近視および乱視の測定装置
KR101133512B1 (ko) 검안 장치
JPH0690902A (ja) 自覚眼屈折計
KR101002356B1 (ko) 검안장치
JPH08164112A (ja) 自覚式検眼装置
JP2585611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3672434B2 (ja) 検眼装置
JP2002224034A (ja) 自覚式検眼装置
US7144112B2 (en) Optometric apparatus
JP4280081B2 (ja) 検眼装置
KR101254945B1 (ko) 검안 장치
JP6064445B2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2001346762A (ja) 自覚式検眼装置
US4840479A (en) Crossed cylinder lenses refractor with three-lens variable crossed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2022034690A (ja) 視力検査装置
JP2740936B2 (ja) 自覚的屈折力検査装置
JP2818150B2 (ja) 検眼装置
JPH1156779A (ja) 自覚式検眼装置
JP4413015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2019062936A (ja) 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