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080B1 -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080B1
KR101132080B1 KR1020070102027A KR20070102027A KR101132080B1 KR 101132080 B1 KR101132080 B1 KR 101132080B1 KR 1020070102027 A KR1020070102027 A KR 1020070102027A KR 20070102027 A KR20070102027 A KR 20070102027A KR 101132080 B1 KR101132080 B1 KR 10113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ments
unit
cad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099A (ko
Inventor
다케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3Blending, e.g. for anti-alia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2Symbolic sche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편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AD 장치(100)는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를 중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부(152)와,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고, 레이어로부터 삭제하는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삭제하는 편집부(15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CA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HAVING CAD PROGRAM RECORDED}
본 발명은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설계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성된 도면 데이터를 제조 공정 등의 후속 공정에서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 CAD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CAD 장치를 이용한 설계에서는 하나의 도면을 복수의 레이어로 분할하여 작도(作圖)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서는, 공통 부분을 갖는 복수의 전자 회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공통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어와 개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어로 도면을 나누어 작도하는 기술적 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도면 프레임 정보, 구체 정보(building frame informaion), 부품 정보, 치수 정보 등을 독립된 레이어에 입력함으로써, 도면 데이터의 메인터넌스를 용이 하게 하는 기술적 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제9-10198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6396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CAD 장치는 단순히 도면 데이터를 복수의 레이어로 분할하여 편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일 뿐, 도면 데이터를 편집하는 설계자 등의 조작이 복잡하게 되어, 도리어 작업 효율이 저하하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로는,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도면 데이터의 표시 및 편집을 행하는 CAD 장치로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를 중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도면 데이터의 표시 및 편집을 행하는 CAD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를 중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 순서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편집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레이어로부터 삭제하는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요소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복사하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이동한 위치로 복사하는 요소 복사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레이어에 산재하는 관련된 요소를 관련지어 관리하고, 관련지어진 요소를 연동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므로, 관련하는 요소 에 대해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레이어마다 동일한 조작을 반복할 필요가 없어지고, 일회의 조작으로 처리를 완료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전기계(電氣系)의 CAD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전기계의 CAD 장치만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CAD 장치가 편집, 표시하는 도면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CAD 장치가 편집, 표시하는 도면 데이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면 데이터는 전기계의 도면에 있어서 필수적인 회로도를 포함하는 레이어, 회로도에 관한 각종 코멘트를 포함하는 레이어, 회로도를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의 각종 제약 조건을 포함하는 레이어, DRC(Design Rule Check)의 결과를 포함하는 레이어, 시뮬레이터에 의한 해석 결과를 포함하는 레이어, 부품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는 레이어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발 단계(페이즈)나 이용 목적에 따라, 표시/비표시가 전환되고, 표시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만 중첩 표시된다. 예컨대, 회로 설계시에는, 회로도의 레이어에 부가하여, 제약 조건의 레이어 등이 중첩 표시되고, 해석시에는, 회로도의 레이어에 부가 하여, 해석 결과의 레이어 등이 중첩 표시된다.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회로도의 레이어만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회로도의 레이어와 제약 조건의 레이어를 중첩하여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와 같이, 제약 조건이나 해석 결과 등은 회로도와 중첩하여 표시된 경우에, 대응하는 부품의 근방에 표시되도록 레이어 상에 배치된다.
종래의 CAD 장치는 회로도를 표시 및 편집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DRC의 결과 등은 워드 프로세서 등의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나 편집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회로도의 전자 데이터와, 회로도에 관련되는 각종 부대 정보가 별개로 관리되어, 회로도의 설계 변경에 따라 부대 정보가 정확하게 갱신되지 않거나, 부대 정보의 소재를 알 수 없게 되거나 하는 운용상의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CAD 장치는 각종 부대 정보를 레이어로서 회로도와 동일한 전자 데이터 내에 저장함으로써, 회로도와 부대 정보를 확실하게 일괄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CAD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CAD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D 장치(100)는 표시부(110)와, 입력부(120)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기억부(140)와, 제어부(150)를 갖는다.
표시부(110)는 도면 데이터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며,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입력부(120)는 CAD 장치(100) 의 이용자가 도면 데이터를 표시 또는 편집하기 위한 지시 등을 입력하는 장치이고,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CAD 장치나 데이터베이스 장치 등과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기억부(140)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고, 레이어 정보 기억부(141)와, 요소 정보 기억부(142)와, 관련 정보 기억부(143)와, 영역 정보 기억부(144)와, 설정 정보 기억부(145)를 갖는다.
레이어 정보 기억부(141)는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레이어를 중첩하는 순서나, 레이어마다의 표시 여부 등을 관리하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과, 각 레이어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정보를 관리하는 페이지 리스트를 기억한다.
도 6은 레이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은 레이어 번호, 레이어명, 코멘트, 유효 플래그, 표시 플래그, 편집 플래그 등의 항목을 갖고 있고, 엔트리마다 하나의 레이어의 정보를 유지한다. 레이어 번호는 레이어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며, 레이어의 종별을 나타내는 문자와 일련 번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선두가 「S」로 시작되는 레이어 번호는 그 레이어가 시스템 레이어인 것을 나타낸다. 시스템 레이어는 CAD 장치(100)가 도면 데이터마다 디폴트로 작성하는 레이어이다. 시스템 레이어는 미리 용도가 상정되어 있고, 레이어명이나 코멘트에는 그 용도에 따른 미리 정해진 값이 설정된다. 레이어명은 레이어에 부여된 이름이며, 코멘트는 레이어가 유지하는 정보에 관한 설명문이다.
선두가 「U」로 시작되는 레이어 번호는 그 레이어가 페이지별 레이어인 것을 나타내고, 선두가 「C」로 시작되는 레이어 번호는 그 레이어가 공통 레이어인 것을 나타낸다. 페이지별 레이어와 공통 레이어는 이용자가 자유롭게 추가나 삭제를 행할 수 있는 레이어이고, 사용자 레이어로 총칭된다. 사용자 레이어에 있어서는, 레이어의 용도에 따라, 이용자가 레이어명이나 코멘트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레이어명이나 코멘트는 이용자가 레이어의 표시/비표시를 전환하는 경우 등에 표시되고, 레이어를 추가한 본인 이외이더라도 각 레이어의 역할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페이지별 레이어와 공통 레이어는 페이지의 관리 방식에 있어서 상이하다. CAD 장치(100)가 표시/편집하는 도면 데이터는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지지만, 페이지별 레이어는 도 7에 도시하는 「U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레이어와 같이, 페이지마다 상이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고, 일반적인 용도에 이용된다.
한편, 공통 레이어는 1페이지분의 정보만을 유지하고, 도 8에 도시하는 「C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레이어와 같이, 모든 페이지에 있어서 동일한 정보가 표시된다. CAD 장치(100)의 이용자는 모든 페이지에 공통된 정보를 표시하고 싶은 경우, 공통 레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페이지를 늘린 경우 등에 필요한 사항의 입력을 잊어버리는 편집 미스를 회피할 수 있다.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페이지별 레이어와 공통 레이어는 동일한 형식으로 관리되어 있으므로, 레이어의 표시/비표시가 변경된 경우나, 레이어의 삭제가 행해진 경우 등에서, CAD 장치(100)는 처리 대상이 페이지별 레이어인지 공통 레이어인지를 의식하지 않고, 공통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유효 플래그는 그 레이어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유효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레이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유효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레이어가 존재하지않는 것을 의미한다.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은 미리 소정의 수의 엔트리를 갖고 있고, 레이어의 추가나 삭제에 따라, 유효 플래그의 값을 변화시킨다.
표시 플래그는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표시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레이어를 표시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표시 플래그의 값이 「O」인 경우, 레이어를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표시 플래그의 값이 「1」인 레이어가 복수개 있었던 경우, 이들 레이어는 중첩하여 표시되지만, 중첩 순서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서의 엔트리의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즉,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엔트리가 아래에 있는 레이어일수록 중첩되는 순서도 아래가 된다.
편집 플래그는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레이어를 편집 대상으로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편집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레이어를 편집 대상으로 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편집 플래그의 값이 「O」인 경우, 레이어에 대한 편집이 금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와 같이 엔트리마다 단일 플래그를 설 정하여 레이어의 편집 여부를 제어하는 대신에, CAD 장치(100)의 이용자의 권한이나 소속 부서 등에 따라 편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은 일례이며, 유효 플래그를 설정하지 않고서, 존재하는 엔트리만을 테이블 혹은 리스트로서 유지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자 레이어뿐만 아니라, 시스템 레이어에 있어서도, 페이지별 레이어와 공통 레이어를 구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5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요소 정보 기억부(142)는 레이어 상에 배치되는 각종 요소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여기서 말하는 요소란, 예컨대 회로도에 배치되는 부품 심볼이나, 이들에 접속하는 배선이나, 각종 문자 정보 등에 상당한다. 레이어와 그 위에 배치되는 요소의 관계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정보 기억부(141)에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부가하여, 페이지 리스트(141b)가 기억된다. 페이지 리스트(141b)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의 엔트리마다 존재하고,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레이어의 각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오브젝트를 멤버로 갖는다.
도 9의 예에서는, 「S1」이라는 레이어 번호를 갖는 레이어는, 3페이지로 이루어지고, 「페이지 1」~ 「페이지 3」이라고 하는 3개의 페이지 오브젝트를 멤버로 갖는 페이지 리스트(141b)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C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를 갖는 레이어는 공통 레이어이므로 하나의 페이지로 이루어지고, 「페이지*」라고 하는 단일 페이지 오브젝트를 멤버로 갖는 페이지 리스트(141b)와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페이지 리스트(141b)의 각 멤버에는, 요소 정보 기억부(142)에 기억되어 있는 요소 리스트(142a)가 연관되어 있다. 요소 리스트(142a)는 각 레이어의 페이지마다 존재하고, 연관되어 있는 페이지 오브젝트에 상당하는 페이지 상에 배치되는 요소를 멤버로서 갖는다.
도 9의 예에서는, 「S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를 갖는 레이어의 1페이지째에 상당하는 「페이지1」이라고 하는 페이지 오브젝트에, 「요소1-1-1」~ 「요소1-1-3」이라고 하는 3개의 멤버를 갖는 요소 리스트(142a)가 연관되어 있다. 이것은, 「S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를 갖는 레이어의 1페이지째가 표시 대상이 된 경우에, 이들의 3개의 요소가 나타내는 도형이나 문자가 표시부(110) 등에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요소 리스트(142a)에 포함되는 요소의 구성을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요소는 도형 정보나 문자 정보와 같이 그 요소에 고유한 정보에 부가하여, 식별 번호, 넥스트(Next) 포인터, 관련 포인터, 페이지 포인터, 오리진(origin) 포인터라고 하는 모든 요소에 공통된 정보를 갖는다. 식별 번호는 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Next 포인터는 요소 리스트(142a)에 있어서의 다음 멤버를 나타내는 포인터이다. 관련 포인터는 요소끼리를 관련짓기 위한 관련 리스트를 나타내는 포인터이고, 페이지 포인터는 그 요소가 포함되는 요소 리스트가 연관되어 있는 페이지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포인터이다. 오리진 포인터는 그 요소가 도형 요소화에 따라 생성된 요소인 경우에, 원래 요소를 나타내는 포인터이다. 또한, 요소 간의 관련짓기 나 도형 요소화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관련 정보 기억부(143)는 레이어 상에 배치되는 요소 간의 관련짓기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예컨대, 회로도의 레이어 상에 배치된 부품과, 제약 조건의 레이어 상에 배치된 그 부품의 제약 조건을 관련지어 둠으로써, 회로도의 레이어 상의 부품이 삭제되었을 때에, 관련되어 있는 그 부품의 제약 조건을 동기하여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도면 데이터의 편집 작업을 크게 효율화하는 동시에, 편집 미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요소 간의 관련짓기는 요소를 삭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요소를 이동시키는 경우, 요소를 복사하는 경우, 관련이 있는 다른 요소를 알고 싶은 경우 등에도 이용된다. 예컨대, 회로도의 레이어 상의 부품이 이동 혹은 복사된 경우에, 관련되어 있는 제약 조건 등을 동기하여 이동 혹은 복사함으로써, 부품과 제약 조건 등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련지어진 요소를 강조 표시함으로써, 부품과 관련이 있는 요소를 명시할 수도 있다.
요소끼리의 관련짓기의 구조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S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레이어 상에 배치된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를, 「S2」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레이어 상에 배치된 「요소2-1-1」이라고 하는 요소와 관련되어지는 경우, 우선, 관련 정보 기억부(143)에 빈 관련 리스트(143a)가 작성되고, 이 관련 리스트(S)와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가 연관된다. 관련 리스트(143a)는 관련되어 있는 상대의 요소를 나타내는 관련 오브젝트를 멤버로서 갖는 리스트이며, 관련짓기가 행해지고 있는 요소마다 존재한다.
그리고, 작성된 빈 관련 리스트(143a)에 「관련1-1-2a」라고 하는 관련 오브젝트가 추가되고, 이 관련 오브젝트가 「요소2-1-1」이라고 하는 요소와 연관된다. 이에 따라,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로부터, 「요소2-1-1」이라고 하는 요소로의 관련짓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동일하게, 「요소2-1-1」이라고 하는 요소로부터,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로의 관련짓기가 행해지고, 양방향의 관련짓기가 완성된다.
요소끼리의 관련짓기는 1:1이 아닌 1:다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를 추가로 「요소3-1-1」이라고 하는 요소에 관련짓는 것도 필요하게 된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에 연관되어 있는 관련 리스트(143a)에 관련 오브젝트가 추가되고, 추가된 관련 오브젝트와, 「요소3-1-1」라는 요소가 연관되며, 역방향으로 관련짓기가 행해진다.
영역 정보 기억부(144)는 페이지를 소정 분할한 영역 상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CAD 장치(100)는 이용자가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표시부(110)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선택된 요소를 고속으로 특정하기 위해 영역 정보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는 영역 정보를 이용한다.
도 13을 참조하면서, 영역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 정보는 영역 테이블(144a)을 포함한다. 영역 테이블(144a)은 페이지를 소정 분할한 영역마다 엔트리를 갖고 있고, 각 엔트리는 페이지 리스트(144b)와 연관 된다. 페이지 리스트(144b)는 모든 페이지분의 페이지 오브젝트를 멤버로 갖는 리스트이고, 영역 테이블(144a)의 엔트리마다 존재한다.
페이지 리스트(144b)에는, 공통 레이어에 의해 실현되는 모든 페이지 공통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오브젝트(도 13의 예에서는, 「페이지*」라고 하는 페이지 오브젝트)도 포함된다.
그리고, 각 페이지 오브젝트에는, 상기 페이지의 상기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의 식별 번호를 유지하는 요소 리스트(144c)가 연관된다. 요소 리스트(144c)에는, 요소가 유지되어 있는 레이어에 관계없이, 상기 페이지의 상기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모든 요소의 식별 번호가 멤버로서 유지된다.
설정 정보 기억부(145)는 CAD 장치(100)의 동작을 결정하는 각종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설정 정보 기억부(145)에 기억되는 설정 정보에는, 예컨대, 어떤 요소에 대해 삭제나 이동 등의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 그 요소와 관련되어 있는 다른 요소에 대해서도 연동하여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가 포함된다. 설정 정보 기억부(145)에 기억되는 설정 정보는 입력부(120)의 조작 등에 의해 갱신된다.
계속해서, 제어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CAD 장치(100)를 전체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와, 레이어 표시부(152)와, 레이어 추가부(153a)와, 레이어 삭제부(153b)와, 편집부(154)와, 소속 레이어 표시부(155)와, 요소 검색부(156)와, 요소 이동부(157a)와, 요소 복사부(157b)와, 도형 요소화부(158a)와, 요소 복원부(158b)를 갖는다.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의 중첩 순서, 표시 여부 및 편집 여부를 관리하는 처리부이다.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입력부(120)에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레이어 제어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하고, 이 화면에 대해 행해진 조작에 따라,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의 내용을 갱신한다.
도 14는 레이어 제어 화면의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제어 화면에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유효 플래그의 값이 1인 엔트리의 정보가 리스트로 표시된다. 각 엔트리의 표시 순서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의 순서와 동일하고, 레이어를 중첩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레이어 제어 화면에 있어서는, 표시 플래그와 편집 플래그의 값이 체크 박스의 ON/OFF로서 표시되고, 체크 박스의 ON/OFF를 변경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그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표시 플래그 혹은 편집 플래그의 값을 갱신한다.
또한, 리스트로 표시되어 있는 레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표시부(110)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 중, 선택된 레이어에 속해 있는 것을 일시적으로 색을 변경하는 등으로 하여 강조 표시하고, 이용자에게 각 레이어의 내용을 알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스트로 표시되어 있는 레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업」 버튼 혹은 「다운」버튼이 눌러지면,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선택된 레이 어의 레이어 제어 화면에 있어서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동시에,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의 순서도 갱신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순서」 버튼이 눌러지면,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레이어 제어 화면에 있어서의 레이어의 표시 순서를 미리 정해진 상태로 변경하는 동시에,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의 순서도 미리 정해진 상태로 갱신한다.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의 레이어의 순서를 갱신한 경우,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레이어 표시부(152)에 도면 데이터의 재묘화(再描畵)를 지시하여, 순서의 갱신 결과를 화면 표시에 반영시킨다.
또한, 레이어 상태 관리부(151)는 이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하나의 레이어만을 편집 대상으로 해야 하는 취지의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레이어 제어 화면에 있어서 하나의 레이어만이 편집 가능하게 되도록 체크 박스의 상태를 제어한다.
레이어 표시부(152)는 처리 대상의 도면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레이어를 표시부(110)에 중첩 표시하는 처리부이다. 레이어 표시부(152)가 레이어를 표시하는 순서를 도 15에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표시부(152)는 우선,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의 최하위 레이어를 선택한다(단계 S101).
그리고, 선택한 레이어의 유효 플래그의 값이 1이고, 또한, 표시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단계 S102 긍정), 그 레이어가 공통 레이어이면(단계 S103 긍정), 요소 링크를 찾아가 모든 요소를 표시부(110)에 표시하고(단계 S104), 그 레이어가 공통 레이어가 아니면(단계 S103 부정), 표시 중인 페이지의 요소 링크를 찾아가 모든 요소를 표시부(110)에 표시한다(단계 S105).
한편, 선택한 레이어의 유효 플래그 혹은 표시 플래그의 값이 1이 아닌 경우(단계 S102 부정), 그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는 표시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모든 레이어를 선택한 경우에는(단계 S106 긍정) 처리를 종료하고, 모든 레이어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106 부정)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서 다음 레이어를 선택하여(단계 S107), 단계 S102로 되돌아가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레이어 표시부(152)는 동일한 처리 순서로 처리 대상의 도면 데이터의 인쇄 이미지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인쇄 장치 등으로 출력하여, 도면 데이터의 인쇄물을 얻는 처리도 행한다.
레이어 추가부(153a)는 처리 대상의 도면 데이터에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하는 처리부이다. 레이어 추가부(153a)는 입력부(120)에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레이어 추가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하고, 이 화면에 대해 입력된 정보를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의 미사용 엔트리에 등록함으로써 레이어를 추가한다.
도 16은 레이어 추가 화면의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추가 화면에는, 레이어를 페이지별 레이어로서 추가할지, 공통 레이어로서 추가할지를 선택하는 라디오 버튼과, 레이어명을 입력하는 입력란과, 코멘트를 입력하는 입력란이 설정된다. 이 화면에 적절하게 정보가 입력되어 「OK」 버튼이 눌러지면, 레이어 추가부(153a)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의 미사용 엔트리를 선택하여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여기서는, 표시 플래그와 편집 플래그에는 미리 정해진 값을 설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표시 플래그와 편집 플래그의 값을 레이어 추가 화면으로써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레이어 추가부(153a)의 처리 순서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추가부(153a)는 추가하는 레이어가 페이지별 레이어이면(단계 S201 긍정), 유효 플래그의 값이 0인 페이지별 레이어의 엔트리를 선택하고(단계 S202), 추가하는 레이어가 공통 레이어이면(단계 S201 부정), 유효 플래그의 값이 0인 공통 레이어의 엔트리를 선택한다(단계 S203).
그리고, 선택한 엔트리의 유효 플래그를 1로 갱신하고(단계 S204), 레이어 추가 화면에서 입력된 레이어명과 코멘트를 그 엔트리에 설정한다(단계 S205). 그리고, 그 엔트리의 표시 플래그와 편집 플래그에 미리 정해진 값을 설정하여 초기화하고(단계 S206), 그 엔트리에 연관되어 있는 페이지 링크와 요소 링크도 초기화한다(단계 S207).
또한, 상기 처리 순서에서는, 레이어의 중첩 순서를 조작하지 않지만, 새롭게 추가된 레이어를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의 최상위 혹은 최하위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레이어 삭제부(153b)는 처리 대상의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레이어로부터 지정된 레이어를 삭제하는 처리부이다. 레이어 삭제부(153b)는 입력부(120)에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그 조작에 의해 선택된 레이어에 대응하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의 엔트리의 유효 플래그의 값을 0으로 변경함으로써 레이어를 삭제한다.
또한, 레이어 삭제부(153b)는 레이어를 삭제함에 있어서, 그 레이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다른 요소와의 관련짓기나 도형 요소화를 고려하여 부정합이 생기지 않도록 삭제한다.
레이어 삭제부(153b)에 의한 레이어 삭제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 18에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삭제부(153b)는 레이어의 삭제가 지시되면, 삭제 대상의 레이어에 연관되어 있는 요소 리스트로부터 요소를 하나 선택한다(단계 S301). 그리고 선택된 요소에 대해 후술하는 요소 삭제 처리를 실행하여 그 요소를 삭제하고(단계 S302), 모든 요소의 선택이 종료되기까지 단계 S301~S302를 반복한다(단계 S303).
모든 선택이 종료되고, 새롭게 선택하는 요소가 없는 상태가 되었으면(단계 S303 긍정), 레이어 삭제부(153b)는 삭제 대상의 레이어에 연관되어 있는 페이지 리스트와 요소 리스트를 삭제하고(단계 S304), 삭제 대상의 레이어의 유효 플래그의 값을 0으로 갱신하여(단계 S305),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처리 순서는 하나의 레이어의 삭제가 지시된 경우의 처리 순서이지만, 복수의 레이어의 삭제가 지시된 경우에는, 이 처리 순서가 삭제 대상의 레이어마다 실행된다.
도 19는 요소 삭제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삭제부(153b)는 요소의 삭제가 필요하게 되면, 우선 영역 정보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는 영역 정보로부터 그 요소에 관한 정보를 삭제한다(단계 S401).
그리고, 그 요소가 다른 요소와 관련되어 있으면(단계 S402 긍정), 관련지어진 요소를 하나 선택하여(단계 S403), 선택한 요소와의 관련짓기를 해제하고(단계 S404), 관련지어진 요소에 연동하여 동일한 처리를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405 긍정), 재귀적으로 요소 삭제 처리를 실행하고, 관련되어 있던 요소를 삭제한다(단계 S406).
이렇게 하여, 선택한 요소와의 관련짓기를 해제한 후, 삭제 대상의 요소가 다른 요소와도 관련짓도록 되어 있으면(단계 S407 부정), 레이어 삭제부(153b)는 단계 S403으로 되돌아가 다음 요소와의 관련짓기를 해제한다.
한편, 모든 요소와의 관련짓기를 해제한 경우(단계 S407 긍정), 혹은, 삭제 대상의 요소가 어느 쪽의 요소와도 관련지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402 부정), 삭제 대상의 요소의 오리진 포인터를 통해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가 연관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408 긍정), 재귀적으로 요소 삭제 처리를 실행하고, 오리진 포인터를 통해 연관되어 있는 요소를 삭제한다(단계 S409).
이렇게 하여, 삭제 대상의 요소와 관련되는 정보를 전부 삭제한 후, 레이어 삭제부(153b)는 삭제 대상의 요소를 요소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요소 삭제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410). 상기 요소 삭제 처리는 레이어가 삭제된 경우뿐만 아니라, 레이어에 유지된 요소를 삭제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 편집부(154) 등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처리 순서에서는, 어떤 요소를 삭제한 경우에, 회로도의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부품 등의 중요한 요소가 의도치 않게 삭제되어 버릴 우려가 있 다. 그래서, 관련지어진 요소가 삭제되는 경우에는, 사전에 그 취지를 표시하고, 이용자에게 삭제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중요한 요소는 시스템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확인을 행하는 것은 시스템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가 관련지워진 요소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만으로 하여도 좋다.
편집부(154)는 입력부(120)에서 행해진 조작에 따라, 처리 대상의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 상에 요소를 추가하거나, 요소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요소를 삭제하거나 하는 편집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편집부(154)는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 설정 정보 기억부(145)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를 결정한다.
편집부(154)가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를 결정하는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 20에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집부(154)는 설정 정보 기억부(145)로부터 입력 모드에 관한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단계 S501), 하나의 레이어만을 편집 대상으로 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502 긍정),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편집 플래그의 값이 1로 되어 있는 레이어를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로 한다(단계 S503).
또한, 최상위 레이어에 추가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504 긍정),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편집 플래그의 값이 1로 되어 있는 레이어 중 최상위의 레이어를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로 한다(단계 S505).
또한, 추가처의 레이어를 매번 선택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506 긍정),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편집 플래그의 값이 1로 되어 있는 레이어의 리스트를 선택 메뉴에 표시하고(단계 S507), 선택된 레이어를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로 한다(단계 S508).
또한, 신규 레이어에 추가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었던 경우에는(단계 S509 긍정), 레이어 추가부(153a)에 레이어 추가 화면의 표시와 레이어의 추가 처리를 실행시키고(단계 S510), 추가된 레이어를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로 한다(단계 S511).
또한, 취득한 설정 정보가 상기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 정보 기억부(145)로부터 이전회 추가 대상이 되었던 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그 레이어를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로 한다(단계 S512).
이렇게 하여,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를 결정한 후, 편집부(154)는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를 다음회 결정할 때를 위해, 이번 결정한 레이어를 설정 정보 기억부(145)에 기억해 둔다(단계 S513).
이와 같이, 편집부(154)는 새롭게 추가된 요소를 추가하는 레이어를 결정하는 방식을 복수개 포함하고, 설정에 의해 어떤 방식을 채용하는지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용자는 상황에 따라 가장 알맞은 방식을 선택하여 편집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편집부(154)는 입력부(120)에 있어서 행해진 조작에 따라, 도 11이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정된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처리도 행한다.
소속 레이어 표시부(155)는 표시부(110)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가 어떤 레이 어에 소속하고 있는 것인지를 표시하는 처리부이다. 도 21은 소속 레이어의 표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20)에 의한 조작 대상을 특정하기 위해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포인터(11)(커서라고도 함)가 어떤 요소 위에 일정 시간 멈추면, 소속 레이어 표시부(155)는 포인터(11)의 아래에 위치하는 요소가 소속되는 레이어의 정보를 표시부(110)에 표시시킨다.
도 21의 예에서는, 포인터(11)의 아래에 위치하는 요소가 소속하는 레이어의 정보로서, 「U2」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와, 「부품 배치 조건(1)」이라고 하는 레이어명과, 「우선도 1의 부품 배치 조건」이라고 하는 코멘트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소가 소속되어 있는 레이어의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CAD 장치(100)의 이용자는 그 요소가 어떤 레이어에 속해 있는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어에 부여되어 있는 이름이나 코멘트에 기초하여, 그 요소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소속 레이어 표시부(155)가 요소가 소속된 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 22에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속 레이어 표시부(155)는 포인터(11)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포인터(11)가 일정 시간 정지하고 있었던 경우에는(단계 S601 긍정), 정지 위치의 영역을 특정하고(단계 S602), 영역 정보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는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그 영역에 연관되어 있는 요소 리스트(144c)를 취득한다(단계 S603).
그리고, 취득한 요소 리스트(144c)의 멤버가 나타내는 요소로부터, 포인터(11)의 아래에 위치하는 요소를 추출하고(단계 S604), 추출한 요소 중에서, 레이 어 관리 테이블(141a)에 있어서 표시 플래그의 값이 1로 최상위에 있는 레이어에 속해 있는 요소를 선택하여(단계 S605), 선택한 요소가 속하는 레이어의 레이어명 등을 포인터(11)의 위치에 표시한다(단계 S606).
또한, 상기 처리 순서에서는, 포인터(11)의 아래에 위치하는 요소를 고속으로 특정하기 위해 영역 정보를 참조하고 있지만, 이 정보를 참조하지 않고, 포인터(11)의 아래에 위치하는 요소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처리 순서에서는, 포인터(11)가 일정 시간 정지한 것을 트리거로서 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지만, 메뉴 선택 등의 조작에 의해, 레이어에 관한 정보의 표시가 명시적으로 지시된 경우에, 선택 상태에 있는 요소가 속하는 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요소 검색부(156)는 처리 대상의 도면 데이터에 포함되는 요소로부터 소정의 조건에 맞는 것을 검색하는 처리부이다. 요소 검색부(156)는 입력부(120)에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요소 검색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하고, 이 화면에 대해 입력된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요소를 검색하며,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요소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점멸시키거나 하여 강조 표시된다.
도 23은 요소 검색 화면의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 검색 화면에는, 검색 문자열을 입력하는 입력란과, 검색 대상의 레이어를 선택하는 메뉴가 설정된다. 검색 대상의 레이어를 선택하는 메뉴는 미리 정해진 상태에서는 모든 레이어를 검색 대상으로 하도록 설정되지만, 특정 레이어만을 검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화면에서 검색 조건이 입력되고, 「실행」버튼이 눌러지면, 요소 검색부(156)는 검색 대상으로서 지정된 레이어로부터, 지정된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요소를 검색하여 강조 표시한다. 검색 대상의 레이어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CAD 장치(100)의 이용자는 제약 조건에 관한 정보가 유지되어 있는 레이어나 부품 정보에 관한 정보가 유지되어 있는 레이어 등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여, 검색 대상을 적격으로 좁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요소 이동부(157a)는 레이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이동시키는 처리부이다. 요소의 이동은 동일한 레이어 내에서 행하는 것도, 상이한 레이어 사이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요소의 이동은 요소를 하나만 선택하여 행하는 것도, 복수의 요소를 선택하여 행하는 것도, 레이어를 선택하여 그 레이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모든 요소를 대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소 이동부(157a)는 요소를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 필요하다면, 이동 대상의 요소에 관련되어 있는 다른 요소도 동시에 이동시킨다.
도 24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 이동부(157a)는 이동 대상의 요소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701). 그리고, 그 이동 대상의 요소가 다른 요소와 관련지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702 부정), 혹은, 관련지어진 요소에 연동하여 동일하게 처리를 행해야 하는 취지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703 부정), 여기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그 이동 대상의 요소가 다른 요소와 관련지어 있고(단계 S702 긍정), 또한, 관련지어진 요소에 연동하여 동일하게 처리를 행해야 하는 취지의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단계 S703 긍정), 관련지어진 요소를 하나 선택하여(단계 S704), 선택한 요소를 이동 대상의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킨다(단계 S705). 그리고, 그 외에 관련지어진 요소가 있으면(단계 S706 부정), 단계 S704로 되돌아가 그 요소도 이동시키고, 모든 관련지어진 요소가 선택이 완료되면(단계 S706 긍정), 여기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처리 순서는 하나의 요소를 이동시키는 경우의 처리 순서이지만, 복수의 요소의 이동이 지시된 경우에는, 이 처리 순서가 이동 대상의 각 요소마다 실행된다.
도 25는 요소를 상이한 레이어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 이동부(157a)는 어떤 레이어 상에 배치된 모든 요소를 다른 레이어로 이동시키도록 지시된 경우에는(단계 S801 긍정), 이동원의 레이어에 연관되어 있는 각 요소 링크를, 이동처의 레이어의 동일 페이지의 요소 링크에 전체 삽입한다(단계 S802).
한편, 어떤 레이어 상에 배치된 일부 요소를 다른 레이어로 이동시키도록 지시된 경우에는(단계 S801 부정), 지시된 요소의 하나를, 이동처의 레이어의 동일 페이지의 요소 링크에 삽입한다(단계 S803). 그리고, 지정된 요소를 전부 이동시킨 경우에는(단계 S804 긍정),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다면(단계 S804 부정), 단계 S803로 되돌아가 다음 요소를 이동시킨다.
요소 복사부(157b)는 레이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복사하는 처리부이 다. 요소의 복사는 동일한 레이어 내에서 행하는 것도, 상이한 레이어 간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요소의 복사는 요소를 하나만 선택하여 행하는 것도, 복수의 요소를 선택하여 행하는 것도, 레이어를 선택하여 그 레이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모든 요소를 대상으로 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소 복사부(157b)는 요소를 복사하는 데 있어서, 필요하다면, 복사 대상의 요소에 관련되어 있는 다른 요소도 동시에 복사한다.
또한, 요소 복사부(157b)의 처리 순서는 복사 대상의 요소를 현재 상태로 남기는 것 이외에는 요소 이동부(157a)의 처리 순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형 요소화부(158a)는 편집 대상의 도면 데이터에 포함되는 요소를 도형 요소화하는 처리부이다. 도형 요소화란, 도면 데이터에 포함되는 요소를, 외견은 그대로이면서, 시뮬레이션 등의 설계 지원 작업이나 제조 등의 후속 공정에 있어서는 무시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도면 데이터 중에 매립하는 처리이며, 전형적으로는, 설계 변경 시에, 변경전의 요소를 변경 이력으로서 도면 데이터 중에 남길 목적으로 이용된다.
도형 요소화의 개요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은 요소를 도형 요소화하기 전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한 예에서는, 레이어 관리 테이블(141a)의 「S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엔트리의 1페이지째의 페이지 오브젝트에 「요소1-1-1」~「요소1-1-3」이라고 하는 3개의 요소를 멤버로서 갖는 요소 리스트(142a)가 연관되어 있다.
요소 리스트(142a)에 포함되는 3개의 요소는, Next 포인터에 의해 리스트 내의 다음 멤버와 연관되는 동시에, 페이지 포인터에 의해, 「S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엔트리의 1페이지째에 상당하는 페이지 오브젝트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U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엔트리의 1페이지째의 페이지 오브젝트에 「요소2-1-1」이라고 하는 요소를 멤버로서 갖는 요소 리스트(142b)가 연관되어 있다. 요소 리스트(142b)에 포함되는 요소는 페이지 포인터에 의해, 「U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엔트리의 1페이지째에 상당하는 페이지 오브젝트와 연관되어 있다.
여기서, 요소 리스트(142a)에 포함되는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를 도형 요소화하여 「U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를 갖는 레이어에 남기는 경우,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는 단순한 선도(線圖)나 문자의 집합으로 변환되어, 「요소2-1-2」라고 하는 요소로서 요소 리스트(142b)에 추가된다. 이에 따라, 「U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를 갖는 레이어를 표시 대상으로 하면, 변환 전의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와 동일한 외견을 갖는 요소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도 27의 예에서는,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는 요소 리스트(142a)에서는 분리되고 있지만, 이 요소는 「S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엔트리의 1페이지째에 상당하는 페이지 오브젝트와 연관된 채로 되어 있다. 또한, 변환 후의 「요소2-1-2」라고 하는 요소는 오리진 포인터에 의해, 변환 전의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와 연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인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는 불가시(不可視) 상태로 「S1」이라고 하는 레이어 번호의 레이어에 유지된 채로 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가능한 「요소2-1-2」라고 하는 요소에 대해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오리진 포인터를 찾아가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취득하고, 도형 요소화 전의 상태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를 도형 요소화할 때에, 이 요소를 요소 리스트(142a)에서 제외하여 불가시 상태로 레이어에 유지시키고 있지만, 「요소1-1-2」라고 하는 요소를 도형 요소화할 때에, 이 요소를 요소 리스트(142a)에 남겨, 표시 가능한 상태로 레이어에 유지해 두는 것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요소의 도형 요소화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형 요소화부(158a)는 어떤 요소의 도형 요소화가 지시되면, 그 요소의 복제를 작성하여, 단순한 도형 요소로 변환한다(단계 S901). 그리고, 변환 후의 요소를 지정된 레이어로 이동시킨다(단계 S902).
그리고,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불가시화해야 할 취지가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903 긍정),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요소 리스트로부터 분리하고 (단계 S904), 변환 후의 요소의 오리진 포인터로부터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로의 링크를 설정한다(단계 S905).
요소 복원부(158b)는 도형 요소화시에 불가시 상태로 된 요소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처리부이다. 도형 요소화시에 불가시화된 요소를 복원하는 처리의 처 리 순서를 도 29에 도시한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 복원부(158b)는 지정된 요소의 오리진 포인터에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도시하는 유효한 링크가 설정되어 있으면(단계 S1001 긍정), 그 링크처의 요소를 도형 요소화 전에 속해 있었던 요소 링크로 추가하고(단계 S1002), 용도가 없어진 그 링크를 삭제한다(단계 S1003).
그리고, 도형 요소화 후의 요소를 삭제하여야 할 취지가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004 긍정), 요소 삭제 처리를 실행하여 도형 요소화 후의 요소를 삭제한다(단계 S1005).
이와 같이, 설계 변경 전의 설계 정보를, 제조 공정 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형태로 도면 데이터 중에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복원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설계 변경의 구체적인 이력을 설계 정보와 일원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설계자 본인이나 제3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계 변경을 취소할 필요가 생긴 경우 등에, 설계 변경 전의 상태를 용이하게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불가시 상태로 레이어에 유지해 두고, 도형 요소화 후의 요소로부터 링크시켜 놓은 것으로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대신에,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에 관한 복원 정보를 도형 요소화 후의 요소에 부가하여, 이 복원 정보를 이용하여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복원할 수도 있다.
이 방식을 취할 경우,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 「요소1-1-2」)는 도형 요소화 후, 완전히 삭제되고, 도형 요소화에 따라 새롭게 생성된 요소(「요소2-1-2」)에,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정보(142c)가 부가된다. 복원 정보(142c)에는 원칙적으로,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가 유지하고 있었던 모든 속성 정보가 포함된다.
단,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가 전자 부품인 경우와 같이, 일부의 속성 정보를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 등을 참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의 참조 가능한 속성 정보 대신에, 이들을 참조하기 위한 키인 물품 번호 등이 복원 정보(142c)에 포함된다.
도 31은 이 방식을 취한 경우의 요소의 도형 요소화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형 요소화부(158a)는 어떤 요소의 도형 요소화가 지시되면, 그 요소의 복제를 작성하고, 단순한 도형 요소로 변환한다(단계 S1101). 그리고, 변환 후의 요소를 지정된 레이어로 이동시킨다(단계 S1102).
그리고,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삭제하여야 할 취지가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103 긍정),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정보를 생성하여 도형 요소화 후의 요소에 부가하고(단계 S1104), 요소 삭제 처리를 실행하여 도형 요소화 전의 요소를 삭제한다(단계 S1105).
도 32는 이 방식을 취한 경우의 요소의 복원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 복원부(158b)는 지정된 요소에 복원 정보가 부가되어 있으면(단계 S1201 긍정), 지정된 요소의 도형 정보와 부가되어 있는 복원 정보로부터 당초 요소를 복원하여 당초 요소 링크에 추가하고(단계 S1202), 용도가 없어진 복원 정보를 삭제한다(단계 S1203).
그리고, 도형 요소화 후의 요소를 삭제하여야 할 취지가 지시된 경우에는(단계 S1204 긍정), 요소 삭제 처리를 실행하여 도형 요소화 후의 요소를 삭제한다(단계 S1205).
또한, 도 5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CAD 장치(1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CAD 장치(100)의 제어부(150)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서 실장하고, 이것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CAD 장치(100)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하에, 제어부(150)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서 실장한 CAD 프로그램(1071)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3은 CAD 프로그램(1071)을 실행하는 컴퓨터(1000)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 컴퓨터(1OOO)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0)와,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102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1030)와,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등을 읽어내는 매체 판독 장치(1040)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50)와, 각종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1060)과, 하드디스크 장치(1070)를 버스(1080)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드디스크 장치(1070)에는, 도 5에 도시한 제어부(15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CAD 프로그램(1071)과, 도 5에 도시한 기억부(140)에 기억되는 각종 데이터에 대응하는 CAD용 데이터(1072)가 기억된다. 또한, CAD용 데이터(1072)를 적절하게 분산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컴퓨터에 기억시켜 둘 수도 있 다.
그리고, CPU(1010)가 CAD 프로그램(1071)을 하드디스크 장치(1070)로부터 판독하여 RAM(1060)에 전개함으로써, CAD 프로그램(1071)은 CAD 프로세스(1061)로서 기능하도록 된다. 그리고, CAD 프로세스(1061)는 CAD용 데이터(1072)로부터 판독한 정보 등을 적절하게 RAM(1060) 상의 자체에 할당된 영역에 전개하여, 이 전개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CAD 프로그램(1071)은 반드시 하드디스크 장치(1070)에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CD-ROM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1000)가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공중 회선,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통해 컴퓨터(100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 등에 이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1000)가 이들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부기 1)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도면 데이터의 표시 및 편집을 행하는 CAD 장치로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를 중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편집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 장치.
(부기 2)
상기 편집 수단은 레이어로부터 삭제하는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CAD 장치.
(부기 3)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를 삭제하기 전에 삭제의 가부를 이용자에게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한 CAD 장치.
(부기 4)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요소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CAD 장치.
(부기 5)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복사하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이동한 위치로 복사하는 요소 복사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CAD 장치.
(부기 6)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도면 데이터의 표시 및 편집을 행하는 CAD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를 중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 순서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편집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 프로그램.
(부기 7)
상기 편집 순서는, 레이어로부터 삭제하는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한 CAD 프로그램.
(부기 8)
상기 편집 순서는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를 삭제하기 전에 삭제의 가부를 이용자에게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한 CAD 프로그램.
(부기 9)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요소 이동 순서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한 CAD 프로그램.
(부기 10)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복사하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짓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이동한 위치로 복사하는 요소 복사 순서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한 CAD 프로그램.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은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의 편집에 유용하며 특히,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도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편집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도 1은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도면 데이터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단계/목적에 따른 도면 데이터의 표시/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회로도만을 표시시킨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회로도와 제약 조건을 중첩하여 표시시킨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은 본 실시예에 따른 CAD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6은 레이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페이지별 레이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공통 레이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레이어와 요소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요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요소의 관련짓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요소의 관련짓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영역 정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는 레이어 제어 화면의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레이어 표시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레이어 추가 화면의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레이어 추가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은 레이어 삭제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9는 요소 삭제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0은 추가 대상 레이어 결정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1은 소속 레이어 표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2는 소속 레이어 표시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은 요소 검색 화면의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5는 요소를 상이한 레이어 간에 이동시키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6은 요소를 도형 요소화하기 전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요소를 도형 요소화한 후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요소의 도형 요소화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9는 도형 요소화한 요소의 복원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0은 요소를 다른 방식으로 도형 요소화한 후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요소의 도형 요소화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2는 도형 요소화한 요소의 복원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3은 CAD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포인터 100: CAD 장치
110: 표시부 120: 입력부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기억부
141: 레이어 정보 기억부 141a: 레이어 관리 테이블
141b: 페이지 리스트 142: 요소 정보 기억부
142a, 142b: 요소 리스트 142c: 복원 정보
143: 관련 정보 기억부 143a: 관련 리스트
144: 영역 정보 기억부 144a: 영역 테이블
144b: 페이지 리스트 144c: 요소 리스트
145: 설정 정보 기억부 150: 제어부
151: 레이어 상태 관리부 152: 레이어 표시부
153a: 레이어 추가부 153b: 레이어 삭제부
154: 편집부 155: 소속 레이어 표시부
156: 요소 검색부 157a: 요소 이동부
157b: 요소 복사부 158a: 도형 요소화부
158b: 요소 복원부 1000: 컴퓨터
101O: CPU 1020: 입력 장치
1030: 모니터 1040: 매체 판독 장치
10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1060: RAM
1061: CAD 프로세스 1070: 하드디스크 장치
1071: CAD 프로그램 1072: CAD용 데이터
1080: 버스

Claims (5)

  1.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도면 데이터의 표시 및 편집을 행하는 CAD 장치로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를 중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끼리를 관련시키는 지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지시에 기초하여 요소끼리를 관련시키는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편집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편집 수단은, 상기 관련지어지는 요소마다 관련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관련 오브젝트를 상기 각 요소와 관련되는 상대의 요소와 연관시킴으로써, 상기 관련지어지는 요소끼리의 양방향 관련짓기를 행하는 상기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수단은 레이어로부터 삭제하는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시키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시키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요소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레이어에 배치되어 있는 요소를 동일 레이어 상에서 복사하는 경우에, 상기 요소에, 요소끼리를 관련시키는 상기 데이터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데이터 구조에 의해 관련지어진 다른 요소도 상기 요소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로 복사하는 요소 복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 장치.
  5.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도면 데이터의 표시 및 편집을 행하는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도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에 유지되어 있는 요소를 중첩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레이어 표시 순서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요소끼리를 관련시키는 지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지시에 기초하여 요소끼리를 관련시키는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편집 순서
    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며,
    상기 편집 순서는, 상기 관련지어지는 요소마다 관련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관련 오브젝트를 상기 각 요소와 관련되는 상대의 요소와 연관시킴으로써, 상기 관련지어지는 요소끼리의 양방향 관련짓기를 행하는 상기 데이터 구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02027A 2006-12-05 2007-10-10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32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8121A JP4806338B2 (ja) 2006-12-05 2006-12-05 Cad装置およびcadプログラム
JPJP-P-2006-00328121 2006-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99A KR20090003099A (ko) 2009-01-09
KR101132080B1 true KR101132080B1 (ko) 2012-04-02

Family

ID=3866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027A KR101132080B1 (ko) 2006-12-05 2007-10-10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29755A1 (ko)
EP (1) EP1930829B1 (ko)
JP (1) JP4806338B2 (ko)
KR (1) KR101132080B1 (ko)
CN (1) CN1011969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55A1 (ko) * 2014-12-11 2016-06-16 주식회사 디오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1164B2 (en) * 2006-03-28 2013-02-19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of intelligent interactive graphics electrical plug map to analyze text and distances between electrical contacts and physical layout file builder
US8207984B2 (en) * 2008-07-21 2012-06-26 Matthew John Kuhns Method and system for typesetting with multiple-color characters using layer fonts
JP2011198028A (ja) 2010-03-19 2011-10-06 Fujitsu Ltd 回路設計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366031A (zh) * 2012-04-09 2013-10-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Cad对象与树形对象整合系统及方法
JP2014032584A (ja) * 2012-08-06 2014-02-20 Fujitsu Ltd 部品置換のための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4130422A (ja) * 2012-12-28 2014-07-10 Canon Marketing Japan Inc 遠隔会議システム、遠隔会議システムの制御方法、ホストコンピュータ、ホスト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902740B (zh) * 2014-04-22 2017-07-18 锤子科技(北京)有限公司 短信息验证码的驻留方法及装置
US10013168B2 (en) * 2015-12-24 2018-07-03 Intel Corporation Disaggregating block storage controller stac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4343A1 (en) * 1983-05-18 1985-06-19 Mint-Pac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modul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1055831A1 (en) * 2000-01-25 2001-08-02 Auto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nd working with architectural drawings on the interne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5417A (en) * 1990-08-14 1996-02-27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automatically producing different semiconductor products in different quantities through a plurality of processes along a production line
JP3202845B2 (ja) * 1993-09-27 2001-08-2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回路設計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H10171861A (ja) * 1996-10-11 1998-06-26 Hitachi Ltd 階層図作成支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571526B2 (ja) * 1997-10-23 2004-09-29 富士通株式会社 システム設計/評価cad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300280B2 (ja) * 1998-04-23 2002-07-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合成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850946B1 (en) * 1999-05-26 2005-02-01 Wireless Valley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 building database manipulator
US7130775B2 (en) * 2001-11-07 2006-10-31 Kajima Corporation Integrated building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WO2003107221A1 (en) * 2002-06-12 2003-12-24 Fslogic, Inc. Layered computing systems and methods
US7280123B2 (en) * 2004-01-13 2007-10-09 Bentley Systems, Inc. Display priority for 2D CAD docu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4343A1 (en) * 1983-05-18 1985-06-19 Mint-Pac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modul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1055831A1 (en) * 2000-01-25 2001-08-02 Auto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nd working with architectural drawings on the inter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55A1 (ko) * 2014-12-11 2016-06-16 주식회사 디오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US10478269B2 (en) 2014-12-11 2019-11-19 Dirco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object in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0829B1 (en) 2017-07-19
JP2008140304A (ja) 2008-06-19
CN101196948A (zh) 2008-06-11
US20080129755A1 (en) 2008-06-05
CN101196948B (zh) 2012-01-04
JP4806338B2 (ja) 2011-11-02
KR20090003099A (ko) 2009-01-09
EP1930829A1 (en)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080B1 (ko)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48544B1 (ko)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48546B1 (ko)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5219928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プログラム
US8456489B2 (en)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with image
KR20080052329A (ko)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0222493A (ja) オブジェクト編集装置及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
JP2004282225A (ja) 写真印刷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7180111B2 (ja) 表示編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338134A (ja) 設備データの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276159A (ja) 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方法
JP4159496B2 (ja) 回路図作成装置および回路図作成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009064347A (ja) 作業支援情報表示装置および作業支援情報表示方法
JP2008003670A (ja) 図面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2005346432A (ja) 操作器画面生成装置
JP2009245215A (ja) Cadシステム、cadプログラム
JP2007122152A (ja) 文書編集装置、文書編集方法、および文書編集プログラム
JP2010122786A (ja) 解析データ入力装置、cae装置、解析データ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09959A (ja) 図面管理システム
JPH05158644A (ja) メニュー処理装置
JP2003030258A (ja) Cadシステム
JPH1185827A (ja) 図面作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08

Effective date: 2012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