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93455A1 -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93455A1
WO2016093455A1 PCT/KR2015/007012 KR2015007012W WO2016093455A1 WO 2016093455 A1 WO2016093455 A1 WO 2016093455A1 KR 2015007012 W KR2015007012 W KR 2015007012W WO 2016093455 A1 WO2016093455 A1 WO 20160934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tance
vector
moving
preset
vecto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0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진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코
진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코, 진용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코
Priority to US15/535,04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78269B2/en
Priority to CN201580067792.7A priority patent/CN107106259B/zh
Publication of WO20160934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934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61C2007/004Automatic construction of a set of axes for a tooth or a plurality of teet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an object in a simulation system and a simulation system to which the same is improved by automatically moving adjacent objects when objects overlap or move.
  •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 FEA finite element analysi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when an object moves, an object moves automatically in a simulation system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moving adjacent objects according to a specific condition, and a simulation system applying the same. It is about.
  • an object automatic moving method in a simulation system includes: moving a first object of a plurality of objects in a first direction; Measuring a vector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that is an adjacent object of the first obj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And automatically moving the second objec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preset path so that the vector distance is within a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determining that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within a preset range, and separating the second objec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object.
  •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etermining that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within a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and moving the second object to an adjacent vector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object.
  •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an object in the simulation system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ove the third object so that the third object, which is an adjacent object of the second object, is within the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according to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second objec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ving.
  • the step of automatically moving the second objec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preset path such that the vector distance is within a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ontrol points in the second object; Determining; And vector moving the first control point and the second control point along the preset path.
  • the step of automatically moving the second objec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preset path so that the vector distance is within a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may include: moving the second object by a reference distance smaller than the preset vector distance; It may include repeating the step.
  • moving the first object of the plurality of objects in a first direction includes moving the first object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such that the vector distance is within a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 Automatically moving the second objec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preset path includes: determining a center point of each of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s a control point; Determining a vector direction between the control points; And linearly moving the second object by a reference distance in the vector direction.
  • the step of automatically moving the second objec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preset path so that the vector distance is within a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may include moving the second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long a preset path. And mov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arch.
  • the plurality of objects may be 3D objects.
  •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an object in the simulation system may include extracting an intersection point at which the plurality of 3D objects and a reference plane having a plane equation intersect; Converting the 3D object into a 2D object using the intersection point; And setting the 2D path determined using the center point of the 2D project as the preset path.
  • the measuring of the vector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that is an adjacent object of the first obj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may include: a point of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preset path;
  •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the vector distance by calculating a shortest distance between points of the second object.
  • the measuring of the vector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that is an adjacent object of the first obj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may include: a point of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preset path;
  •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the vector distance by calculat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plane of the second object.
  •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an object in the simulation system may include: leveling based on the number of points of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nd calculating the shortest distance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point of the first object and the point of the second object according to the level determined by the user input signal.
  • a simulation system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objects; A memory storing an object distance measuring program for measuring a vector distance between objects; A us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 movement sig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And moving the first object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in a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movement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driving the object distance measur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to move the first obj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moving a vector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an object in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an object in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in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measuring a vector distance in an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in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oving a vector in the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in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ctor distance is defined as a distance having a directionality or a distance having a vector value in order to know whether collisions between objects occur or are spaced apart.
  • vector movement means moving to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 the separation vector movement refers to a movement in which th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collision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is increas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path.
  • the adjacent vector movement refers to the move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the narrowing of the distance between objects, based on the predetermined path.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an object in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s the first object is moved, a view for explaining movement of the second object wh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overlap.
  • FIG. 1A When each of the teeth is objectized from the teeth image of the patient obtained through CT imaging, an image as shown in FIG. 1A is displayed.
  • the first object A which is a transposition
  • the second object adjacent to the first object A' and the first object A ' is moved.
  • the object B collides (nests). Since this cannot actually happen, the tee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B) must actually be moved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 the second object B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preset path P (moves to B '), thereby avoiding the collision.
  • the preset path P may be generated based on standard archery data pre-stored in memory, or may be generated through archery images in the tooth image of the examinee, and the center point (control point) of each object. You can also create).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in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object A moves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object B (moves to A ′).
  • the second object B moves adjacent to the first object 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predetermined vector distance) (movement to B').
  • each object is align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center of gravity of each object serves as a control point, the control point is moved along the preset path (P). This mov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in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objects are obtained (S1).
  • each tooth is objectified from the image of the archery obtained through CT imaging of the examinee. Accordingly, a plurality of tooth objects are generated.
  • the user moves the first object,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objects,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S3). That is,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means to move the first objec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Each object can also have a control point.
  • control point is the center of gravity (that is, when there is one control point) and when there are two control points on the plane of the object (that is, the first control point and the second control point).
  • control point may be used as a part that matches the preset path when the object moves, and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a 1st direction here means a forward direction (clockwise) or a reverse direction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cording to a preset path
  • the vector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ich is an adjacent object of the first object is measure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S5).
  • the vector distance here is a distance having a positive value (ie, when the first and second objects are spaced apart), or a distance having a negative value (ie, when the first and second objects overlap). Can be divided into It then checks to see if the vector distance is a preset range (ie, a well aligned distance). If the vector distance is not within the preset range, the second object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preset path (S9).
  • the preset path may be set by connecting center points of the plurality of objects, or the predetermined path of the pre-stored standard data may be the preset path.
  • the vector moving distance is a negativ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overlap each other, and the second object is set to the first object so that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within a preset range.
  • the separation vector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 the vector moving distance is a positiv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spaced apart, and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preset vectors.
  • the second object is moved to an adjacent vector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object (S9).
  • the automatic vector movement of the second object is to determine the vector direction between the control point (center point and the center point (control point) of the first object), and then move the second object in a straight line by the reference distance in the vector direction.
  • the arch that is, the second object may be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object,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If there are two control points, the second object can be moved while both control points match the preset path, in which case the two objects naturally match the preset path, In the preset pass, movement and rotation are made so that they stay at the expected point.
  • the vector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s calculated again (S5). This operation is repeated so that the vector distance is within the preset vector distance.
  • the third object which is another object adjacent to the second object, is also moved vector by the above-described steps. That is, according to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second object, the third object is automatically moved so that the third object, which is an adjacent object of the second object, is within the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with the second object. By doing this for all objects, all objects are automatically aligned on the preset pat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 the moving distance of each object moves according to the reference distanc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ector distanc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objects are 3D objects. Therefore, a large amount of calculation is required, so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objects, which are 3D objects, are converted into 2D objects using a plane equation. That is, extracting an intersection point at which the plurality of 3D objects and a reference plane having a plane equation intersect, converting the 3D object into a 2D object by using the intersection point, and converting the 2D path determined by using the center point of the 2D project. By setting the preset path, the preset path can be easily set. In addition, the automatic movement process of the second object may also be performed after converting to a 2D object.
  • FIGS. 4A and 4B are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measuring a vector distance in an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in a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enotes a first object and B denotes a second object.
  •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object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oints.
  • a method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a method in which the direction from A to B is a positive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of B from the points of A is meas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distance between all points P1 to P7 of A and all points p1 to p7 of B is measured, and the shortest distance d of these distances is defined as a vector distance.
  • FIG. 4A and 4B A denotes a first object and B denotes a second object.
  •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object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oints.
  • a method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a
  •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and the surface is measured.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all the points P1 to P7 in the first object A and the plurality of planes S1 and S2 consisting of three points in B of the second object, the shortest distance being the vector distance. define.
  •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in A as the first object and the point in B as the second object may be measured and the shortest distance among them may be defined as a vector distance. This is the case opposite to FIG. 4B.
  • the vector distance has a positive value wh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f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overlap, the vector distance will have a negative value.
  • the number of points of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may be leveled.
  • the level 1, 1000, the level 2, 10000, the level 3, 100000, and the level 4 may be set to 100 points of the first object.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vector in the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in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xample shown in FIG. 5 is a case where the first object is moved in the separation direction, that is, when the first object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 the second object repeats the movemen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at is, the predetermined distance should be smaller than the vector moving distance.
  • this predetermined distance is highly related to the accuracy of the automatic align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repeated, the higher the accuracy of automatic alignment, while the greater the computational burden.
  • the second object moves to B ', B ", and B"'. In this way, the second object is automatically aligned by repeatedly moving a small distance.
  • the simul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memory 110, a user input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d a controller 140.
  • the memory 110 is a component in which an object distance measuring program for measuring vector distances between objects is stored.
  • the memory 11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magnetic disk, optical disk.
  • the user input unit 120 is a component for generating a movement signal for the first object.
  • a key button a mouse, a keyboar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teeth, which are objects, and displaying various GUI and UI information related thereto.
  • 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LC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LCD flexible display
  • the controller 140 drives the object distance measur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10 to generate the first object.
  • a vector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which is an adjacent object of the first object,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s moved along a preset path so that the vector distance is within a preset vector distance range. Accordingly, a function of automatically moving a vector in a first distance in a first direc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130. Sinc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at is, the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tooth protrusion angle in the above-described orthodontic simulation apparatus may be stored in a store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processo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 the automatic object movement method and the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in the above-described simulation system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each embodimen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or some of these may optionally be combin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본 발명은, 오브젝트가 중첩되거나 이동되는 경우 인접 오브젝트를 자동이동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보조 엔지니어링(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이 많은 작업들에서 엔지니어들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구조 또는 제품 디자인 절차에서, CAE 분석, 특히 유한 요소 분석(FEA: finite element analysis)이 종종 다양한 로딩(loading) 조건(예를 들면, 정적이거나 동적인) 하에서 응답들(예를 들면, 스트레스, 변위 등)을 평가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 이러한 컴퓨터 보조 엔지니어링 기술을 위한 다양한 모의 실험 장치들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모의 실험 장치들을 과학 기술의 연구 분야를 넘어서, 영화 촬영에서의 CG 작업이나, 의료업에 있어서의 가상 실험 등에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모의 실험에 있어서, 다수개의 객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목적에 따라 하나의 객체를 이동시키면, 이와 관련있는 객체도 다 수동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모의 실험에서의 수고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객체가 이동하는 경우, 인접 객체가 특정 조건에 맞게 자동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은,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소정거리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벡터 이동거리가 마이너스값이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중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기설정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분리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소정거리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벡터 이동거리가 플러스값이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이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인접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은,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자동이동에 따라 제 2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제 3 오브젝트를 제 2 오브젝트와 상기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에 있도록 제 3 오브젝트를 자동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오브젝트에서 제 1 제어점 및 제 2 제어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어점 및 상기 제 2 제어점이 상기 기설정패스를 따라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 벡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기설정 벡터 거리보다 작은 기준 거리를 반복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 벡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 각각의 중심점을 제어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점들 사이의 벡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방향으로 기준거리 만큼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 벡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아치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는 3D 오브젝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은, 상기 복수의 3D 오브젝트과 평면방정식을 가진 기준면이 교차하는 교차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교차점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를 2D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2D 프로젝트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결정된 2D 패스를 상기 기설정 패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 패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포인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포인트간의 최단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벡터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 패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포인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면과의 최단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벡터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은, 상기 제 1 오브젝트 및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포인트의 수를 기초로 하여 레벨링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레벨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포인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최단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오브젝트간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오브젝트 거리 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제 1 오브젝트에 대하여 이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이동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오브젝트 거리 측정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를 하나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의사를 고려하여, 인접한 오브젝트가 자동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에 있어서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에 있어서 벡터 이동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치과 교정 치료에 있어서, 치아 이동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벡터 거리라 함은, 오브젝트간에 충돌이 발행하는지, 또는 이격되었는지를 알기 위하여 방향성을 가진 거리, 벡터값을 갖는 거리라는 의미로 정의한다.
또한, 벡터 이동이란, 기설정 패스를 기준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분리 벡터 이동이란, 기설정 패스를 기준으로 역방향, 즉 오브젝트간의 간격을 벌리는 것, 또는 충돌된 상태의 오브젝트를 분리시키는 이동을 말한다.
또한 인접 벡터 이동이란, , 기설정 패스를 기준으로 역방향, 즉 오브젝트간의 간격을 좁히는 이동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제 1 오브젝트가 이동됨에 따라,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가 중첩되었을 때의 제 2 오브젝트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T 촬영등을 통해 획득되는 수진자의 치아 이미지로부터 치아의 각각을 오브젝트화하면, 도 1의 (a)와 같은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전치인 제 1 오브젝트(A)를 기설정 패스(P)를 따라 위치이동시키게 되면(A'로 이동), 제 1 오브젝트(A')와 제 1 오브젝트(A')와 인접하는 제 2 오브젝트(B)가 충돌(중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일은 실제로 일어날 수 없으므로, 치아 교정시에는 실체로 제 2 오브젝트(B)에 해당하는 치아가 이동되어야 한다. 이 때, 도 1의 (b)에서와 같이, 제 2 오브젝트(B)는 기설정 패스(P)를 따라 소정거리 이동하게 되어서(B'로 이동), 상기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설정 패스(P)는,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표준 악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생성될 수 있고, 또는 수진자의 치아 이미지에서의 악궁이미지를 통해 생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각 오브젝트의 중심점(제어점)을 연결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에서는 치아간에 이격이 되었을 때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의 (a)에서는 도 1의 (a)와 달리, 제 1 오브젝트(A)는 제 2 오브젝트(B)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로 이동). 이러면, 제 2 오브젝트(B)는 제 1 오브젝트(A')와 기설정 거리(기설정 벡터거리내)로 벡터 인접 이동하게 된다(B'로의 이동). 이에 따라, 각 오브젝트들은 소정 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정렬이 되게 된다. 이 때, 각 오브젝트의 무게 중심점은 제어점으로 역할을 하며, 이 제어점이 기설정 패스(P)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방법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복수의 오브젝트를 획득한다(S1). 여기서는, 수진자의 CT 촬영등을 통해 획득된 악궁 이미지로 부터 각각의 치아를 객체화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치아 오브젝트가 생성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인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3). 즉,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이란,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 1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오브젝트는 제어점을 가질 수 있다. 제어점은 무게 중심점인 경우(즉 제어점이 하나인 경우)가 있고, 제어점이 오브젝트의 면에 2개 있는 경우(즉, 제 1 제어점 및 제 2 제어점)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점은 오브젝트가 이동할 때 기설정 패스와 매칭되는 부분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고,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을 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여기서 제 1 방향은 기설정 패스에 따라 정방향(시계 방향) 또는 역방향(역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그 다음,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계산)하게 된다(S5). 여기서의 벡터거리는 양의 값을 갖는 거리(즉,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 또는 음의 값을 갖는 거리(즉,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가 중첩되어 있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범위(즉, 잘 정렬되어 있는 거리)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벡터거리가 기설정 범위가 아니라면, 이에 대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게 된다(S9). 여기서, 상기 기설정 패스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기저장된 표준 데이터의 악궁라인이 상기 기설정 패스일 수도 있다.
한편, 벡터 이동에 대하여서는 도 5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벡터 이동거리가 마이너스값이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중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기설정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분리 벡터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벡터 이동거리가 플러스값이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이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인접 벡터이동시키게 된다(S9). 여기서, 제 2 오브젝트의 자동 벡터 이동은, 제 1 오브젝트의 제어점(중심점과, 제 2 오브젝트이 중심점(제어점)간의 벡터 방향을 결정한 후, 상기 벡터 방향으로 기준거리 만큼 직선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게 할 수 있다. 한편, 아치 이동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아치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2 오브젝트가 2개의 제어점이 있는 경우, 이 두개의 제어점이 모두 기설정 패스에 매칭되도록 하면서 제 2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2개의 제어점이 기설정 패스에 매치되므로, 자연스럽게 제 2 오브젝트가 기설정 패스에서 이동 및 회전이 이루어저 예상 지점에 정치되게 된다.
그 다음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의 벡터거리를 다시 계산한다(S5).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벡터거리가 기설정벡터 거리내에 있도록 하게 한다.
그 다음, 제 2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제 2 오브젝트에 인접해 있는 또 다른 오브젝트인 제 3 오브젝트도 상술한 단계에 따라 벡터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자동이동에 따라 제 2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제 3 오브젝트를 제 2 오브젝트와 상기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에 있도록 제 3 오브젝트를 자동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모든 오브젝트에 행하게 됨으로써, 제 1 오브젝트 이동에 따라 모든 오브젝트가 기설정 패스 위에 자동 정렬하게 된다.
여기서의 각 오브젝트의 이동거리는 상기 기설정 백터 거리 보다 작은 기준거리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오브젝트들은 3D 오브젝트이다. 따라서, 연산량이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3D 오브젝트인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평면방정식을 이용하여 2D 오브젝트로 변환한다. 즉, 상기 복수의 3D 오브젝트과 평면방정식을 가진 기준면이 교차하는 교차점을 추출한 다음, 상기 교차점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를 2D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단계하고, 상기 2D 프로젝트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결정된 2D 패스를 상기 기설정 패스로 설정하여, 기설정 패스를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자동 이동 과정도, 2D 오브젝트로 변환한 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2D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모든 자동 정렬 과정을 마친 후, 다시 상기 평면 방정식을 이용하여 3D 오브젝트로 환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3D 환경하에서, 이동 및 위치 변경은 2D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에 있어서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 및 (b)에서 A는 제 1 오브젝트를, B는 제 2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는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2차원 또는 3차원 오브젝트이다. 이들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A에서 B로의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하고, A의 점에서 B의 점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A의 모든 점(P1~P7)과 B의 모든 점(p1~p7)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들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d)를 벡터거리로 정의한다. 도 4의 (b)에서는 점과 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제 1 오브젝트인 A에서의 모든 점(P1~P7)과, 제 2 오브젝트의 B에서 3개의 점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면(S1,S2)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들 중 최단 거리를 벡터 거리로 정의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1 오브젝트인 A에서의 면과 제 2 오브젝트인 B에서의 점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들 중 최단 거리를 벡터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도 4의(b)과는 반대인 경우라 할 것이다.
도 4에서는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벡터 거리는 양의 값을 갖게 된다. 만약 제 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가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벡터 거리는 음의 값을 갖게 됨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연산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 및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포인트 수를 레벨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오브젝트의 포인트 수를 100으로 정한 것을 레벨 1, 1000개 인 것을 레벨 2, 10000개 인것을 레벨 3, 100000개 인 것을 레벨 4로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레벨 1을 선택한 후,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자동이동을 행하는 경우, 연산속도는 매우 높지만, 정확성은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레벨 4를 선택한후,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자동이동을 행하는 경우, 연산속도는 매우 느리지만, 정확성은 가장 우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 2 오브젝트의 이동 방식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에 있어서 벡터 이동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예는, 제 1 오브젝트가 이격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즉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 젝트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오브젝트가 이동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제 2 오브젝트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거리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즉, 여기서 소정 거리는 상기 벡터 이동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특히 이 소정 거리는 본 발명에서의 자동 정렬의 정확도와 매우 관련이 높다. 반복되는 소정거리가 작을 수록 자동 정렬의 정밀도가 높아지는 반면, 연산 부담은 더 크게 된다. 도 5에서는 제 2 오브젝트가 B', B", B"' 로 이동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작은 거리로 여러번 반복 이동하여 제 2 오브젝트가 자동으로 정렬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동작을 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뮬레이션 시스템(100)은, 메모리(110), 사용자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오브젝트간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오브젝트 거리 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이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0)로는 키버튼,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제어부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즉, 오브젝트인 치아를 표시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GUI 및 UI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이동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오브젝트 거리 측정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 제어부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치아 교정 시뮬레이션 장치에서의 치아돌출 각도 자동 조절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를 하나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의사를 고려하여, 인접한 오브젝트가 자동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소정거리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벡터 이동거리가 마이너스값이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중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기설정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분리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소정거리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벡터 이동거리가 플러스값이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이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인접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자동이동에 따라 제 2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제 3 오브젝트를 제 2 오브젝트와 상기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에 있도록 제 3 오브젝트를 자동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오브젝트에서 제 1 제어점 및 제 2 제어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어점 및 상기 제 2 제어점이 상기 기설정패스를 따라 벡터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 벡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상기 기설정 벡터 거리보다 작은 기준 거리를 반복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 벡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 각각의 중심점을 제어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점들 사이의 벡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 방향으로 기준거리 만큼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 벡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아치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는 3D 오브젝트인,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3D 오브젝트과 평면방정식을 가진 기준면이 교차하는 교차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교차점을 이용하여 상기 3D 오브젝트를 2D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2D 프로젝트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결정된 2D 패스를 상기 기설정 패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 패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포인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포인트간의 최단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벡터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 패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포인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면과의 최단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벡터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브젝트 및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포인트의 수를 기초로 하여 레벨링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레벨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포인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포인트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최단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14.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오브젝트간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는 오브젝트 거리 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제 1 오브젝트에 대하여 이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이동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오브젝트 거리 측정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1 오브젝트의 인접 오브젝트인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벡터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벡터 거리가 기설정 벡터 거리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기설정 패스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소정거리 자동으로 벡터이동시키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에 기재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CT/KR2015/007012 2014-12-11 2015-07-07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1609345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35,048 US10478269B2 (en) 2014-12-11 2015-07-07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object in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201580067792.7A CN107106259B (zh) 2014-12-11 2015-07-07 在模拟系统中的对象自动移动方法及利用其的模拟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446A KR101651629B1 (ko) 2014-12-11 2014-12-11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14-0178446 2014-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3455A1 true WO2016093455A1 (ko) 2016-06-16

Family

ID=5610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012 WO2016093455A1 (ko) 2014-12-11 2015-07-07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78269B2 (ko)
KR (1) KR101651629B1 (ko)
CN (1) CN107106259B (ko)
WO (1) WO2016093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2506B2 (en) 2014-07-07 2020-09-15 Align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ental confocal imaging
US9675430B2 (en) 2014-08-15 2017-06-13 Align Technology, Inc. Confocal imaging apparatus with curved focal surface
US10449016B2 (en) 2014-09-19 2019-10-22 Align Technology, Inc. Arch adjustment appliance
US9610141B2 (en) 2014-09-19 2017-04-04 Align Technology, Inc. Arch expanding appliance
US9744001B2 (en) 2014-11-13 2017-08-29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with cavity for an unerupted or erupting tooth
US10504386B2 (en) 2015-01-27 2019-12-10 Align Technology, Inc. Training method and system for oral-cavity-imaging-and-modeling equipment
US10248883B2 (en) 2015-08-20 2019-04-02 Align Technology, Inc. Photograph-based assessment of dental treatments and procedures
US11931222B2 (en) 2015-11-12 2024-03-19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s
US11554000B2 (en) 2015-11-12 2023-01-1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
US11596502B2 (en) 2015-12-09 2023-03-0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US11103330B2 (en) 2015-12-09 2021-08-31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EP3471653B1 (en) 2016-06-17 2021-12-22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 performance monitor
EP3471599A4 (en) 2016-06-17 2020-01-08 Align Technology, Inc. INTRAORAL DEVICES WITH SENSOR
US10507087B2 (en) 2016-07-27 2019-12-17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volumetric model of a subject's teeth
CN211433450U (zh) 2016-07-27 2020-09-08 阿莱恩技术有限公司 透照适配器套筒设备和透照适配器
US11058524B2 (en) * 2016-09-26 2021-07-13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Dental restoration design tools
CN109922754B (zh) 2016-11-04 2021-10-01 阿莱恩技术有限公司 用于牙齿图像的方法和装置
CN113440273A (zh) 2016-12-02 2021-09-28 阿莱恩技术有限公司 一系列腭扩张器及其形成方法和形成设备
US11273011B2 (en) 2016-12-02 2022-03-15 Align Technology, Inc. Palatal expanders and methods of expanding a palate
WO2018102770A1 (en) 2016-12-02 2018-06-07 Align Technology, Inc. Force control, stop mechanism, regulating structure of removable arch adjustment appliance
US10548700B2 (en) 2016-12-16 2020-02-04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etch template
CN108268673B (zh) * 2016-12-30 2022-08-16 无锡时代天使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用于对牙齿矫治器的矫治效果进行数字化仿真的方法
US10456043B2 (en) 2017-01-12 2019-10-29 Align Technology, Inc. Compact confocal dental scanning apparatus
US10779718B2 (en) 2017-02-13 2020-09-22 Align Technology, Inc. Cheek retractor and mobile device holder
WO2018183358A1 (en) * 2017-03-27 2018-10-04 Alig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assisting in dental therapies
US10613515B2 (en) 2017-03-31 2020-04-07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including at least partially un-erupted teeth and method of forming them
US11045283B2 (en) 2017-06-09 2021-06-29 Align Technology, Inc. Palatal expander with skeletal anchorage devices
WO2018232299A1 (en) 2017-06-16 2018-12-20 Align Technology, Inc. Automatic detection of tooth type and eruption status
WO2019005808A1 (en) 2017-06-26 2019-01-03 Align Technology, Inc. BIOCAPTOR PERFORMANCE INDICATOR FOR INTRABUCCAL DEVICES
US10885521B2 (en) 2017-07-17 2021-01-05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interactive ordering of dental aligners
WO2019018784A1 (en) 2017-07-21 2019-01-24 Align Technology, Inc. ANCHOR OF CONTOUR PALATIN
US10517482B2 (en) 2017-07-27 2019-12-31 Align Technology, Inc.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orthodontic aligners
CN110996842B (zh) 2017-07-27 2022-10-14 阿莱恩技术有限公司 牙齿着色、透明度和上釉
US11116605B2 (en) 2017-08-15 2021-09-14 Align Technology, Inc. Buccal corridor assessment and computation
WO2019036677A1 (en) 2017-08-17 2019-02-21 Align Technology, Inc. SURVEILLANCE OF CONFORMITY OF DENTAL DEVICE
US10813720B2 (en) 2017-10-05 2020-10-27 Align Technology, Inc. Interproximal reduction templates
WO2019084326A1 (en) 2017-10-27 2019-05-02 Align Technology, Inc. OTHER BORE ADJUSTMENT STRUCTURES
CN116602778A (zh) 2017-10-31 2023-08-18 阿莱恩技术有限公司 具有选择性牙合负荷和受控牙尖交错的牙科器具
CN115252177A (zh) 2017-11-01 2022-11-01 阿莱恩技术有限公司 自动治疗规划
WO2019100022A1 (en) 2017-11-17 2019-05-23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retainers
US11219506B2 (en) 2017-11-30 2022-01-11 Align Technology, Inc. Sensors for monitoring oral appliances
US11432908B2 (en) 2017-12-15 2022-09-06 Align Technology, Inc. Closed loop adaptive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es
US10980613B2 (en) 2017-12-29 2021-04-20 Align Technology, Inc.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dental practitioners
CA3086553A1 (en) 2018-01-26 2019-08-01 Align Technology, Inc. Diagnostic intraoral scanning and tracking
US11937991B2 (en) 2018-03-27 2024-03-26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CN116211501A (zh) 2018-04-11 2023-06-06 阿莱恩技术有限公司 腭扩张器、腭扩张器设备及系统、腭扩张器的形成方法
KR102097070B1 (ko) * 2018-07-16 2020-04-03 김정일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
CN111281579B (zh) * 2020-02-27 2021-05-07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联动排牙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74A (ko) * 1989-09-20 1991-04-30 미다 가쓰시게 2차원 3차원 통합형 cad 시스템 및 cad 시스템을 사용한 설계지원 방법
KR20050042043A (ko) * 2001-10-31 2005-05-04 이마그노시스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시뮬레이션장치 및 의료용 시뮬레이션장치에있어서의 3차원화상의 표시제어방법
KR101132080B1 (ko) * 2006-12-05 2012-04-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12096427A (ja) * 2010-11-01 2012-05-24 Keyence Corp 三次元造形装置用の設定データ作成装置、三次元造形装置用の設定データ作成方法及び三次元造形装置用の設定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413222B1 (ko) * 2011-10-25 2014-06-30 (주)쓰리디아이티 디지털 치아교정을 위한 영상 매칭정보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원격 모의치료 방법 및 치아교정장치의 제작정보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1562A (en) * 1990-01-19 1995-07-11 Ormc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nd forming a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and for the straightening of teeth therewith
US5602891A (en) * 1995-11-13 1997-02-11 Beth Israe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compensation for object motion
US5975893A (en) * 1997-06-20 1999-11-02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rementally moving teeth
US6744914B1 (en) * 2000-04-28 2004-06-01 Orametrix,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US6648640B2 (en) * 1999-11-30 2003-11-18 Ora Metrix, Inc. Interactive orthodontic care system based on intra-oral scanning of teeth
US8251699B2 (en) * 2002-12-31 2012-08-28 Brian C. Reis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attaching orthodontic brackets to teeth
KR100583183B1 (ko) * 2004-02-19 2006-05-25 차경석 치열 교정 데이터 제공방법
KR101340971B1 (ko) * 2006-10-27 2013-12-12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치아 구성요소 및 물리적 치아 모형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
GB0706048D0 (en) * 2007-03-28 2007-05-09 Unilever Plc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odel of an object
CN101604456A (zh) * 2009-07-03 2009-12-16 西安市恒惠科技有限公司 计算机辅助牙齿正畸中的牙齿移动器
KR101138354B1 (ko) * 2011-06-16 2012-04-26 김태원 투명 교정기 제조용 교정 치아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1218388B1 (ko) * 2011-11-25 2013-01-03 김태원 투명 교정기 제조용 교정 치아 데이터 생성 장치
EP2874562B1 (de) * 2012-07-18 2019-12-18 Bruno Spindler Abutmentschraube
CN103932807B (zh) * 2013-01-18 2016-10-05 无锡时代天使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获得牙齿目标矫治状态的方法、牙齿矫治器制造方法以及牙齿矫治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74A (ko) * 1989-09-20 1991-04-30 미다 가쓰시게 2차원 3차원 통합형 cad 시스템 및 cad 시스템을 사용한 설계지원 방법
KR20050042043A (ko) * 2001-10-31 2005-05-04 이마그노시스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시뮬레이션장치 및 의료용 시뮬레이션장치에있어서의 3차원화상의 표시제어방법
KR101132080B1 (ko) * 2006-12-05 2012-04-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Cad 장치 및 cad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12096427A (ja) * 2010-11-01 2012-05-24 Keyence Corp 三次元造形装置用の設定データ作成装置、三次元造形装置用の設定データ作成方法及び三次元造形装置用の設定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413222B1 (ko) * 2011-10-25 2014-06-30 (주)쓰리디아이티 디지털 치아교정을 위한 영상 매칭정보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원격 모의치료 방법 및 치아교정장치의 제작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8071A1 (en) 2017-12-07
CN107106259A (zh) 2017-08-29
KR101651629B1 (ko) 2016-09-05
CN107106259B (zh) 2020-05-29
US10478269B2 (en) 2019-11-19
KR20160071127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3455A1 (ko)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자동 이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20207190A1 (zh) 一种三维信息确定方法、三维信息确定装置及终端设备
WO20200178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3d association of detected objects
WO2014185710A1 (ko) Tiled display에서 3d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057453A (zh) 机器人装置以及被加工物的制造方法
CN104997514A (zh) 康复辅助系统
WO2017039220A1 (ko) 치아 교정 계획을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WO2021071288A1 (ko) 골절 진단모델의 학습 방법 및 장치
WO2022131642A1 (ko) 의료 영상 기반 질환 중증도 결정 장치 및 방법
US201800202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anoramic image display,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204635A1 (ko) 병리 진단 지원 장치 및 방법
WO2014112782A1 (ko) 트랙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랙킹 방법
JP2021088028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プログラム
WO2016072610A1 (ko)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WO2021117963A1 (ko) Sph 기반의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 장치 및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 방법
WO2016159613A1 (ko) 영상 합성을 위한 객체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14116435A (zh) 游戏测试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086533A1 (ko) Nui/nux 기반의 vr환경 게임 컨트롤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115908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y tracing in a 3-dimensional image system
WO2021117972A1 (ko) Lbm 기반의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070564A1 (ko) 다중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운드 출력 방법 및 장치
EP3975111A1 (en) Object detection device, object detection system, object detec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281294B2 (en)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method
WO2024071733A1 (ko) 식별자 인식 기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4029697A1 (ko) 뇌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뇌질환 위험도 분석 모델의 학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66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3504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0/11/2017)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0.11.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668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