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347B1 - 시일 구조체,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 - Google Patents

시일 구조체,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347B1
KR101127347B1 KR1020080040742A KR20080040742A KR101127347B1 KR 101127347 B1 KR101127347 B1 KR 101127347B1 KR 1020080040742 A KR1020080040742 A KR 1020080040742A KR 20080040742 A KR20080040742 A KR 20080040742A KR 101127347 B1 KR101127347 B1 KR 101127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housing
concave step
sealing
se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088A (ko
Inventor
다카오 시노다
신고 야마구치
히데히코 히즈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 등의 신호선 또는 회로부를 통과시키는 하우징의 시일에 관한 것으로, 지수(止水), 방진 등의 시일 기능을 높이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하우징[케이스부(6, 8)]을 시일하고, 그 시일 부분[시일부(22)]에서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시일 구조 또는 시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접합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부[케이스부(6, 8)]의 접합면부(28, 30)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 단차(32)를 형성하고, 이 오목 단차의 부분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사이에 제1 시일재[양면 접착 시트(24)], 신호선[플렉시블 케이블(20)] 또는 회로부, 및 제2 시일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1 시일재가 갖는 점착성이나 유연성과, 제2 시일재[개스킷(26)]가 갖는 신축성으로써 신호선 또는 회로부를 통과시키면서 기밀(氣密) 유지를 실현하고 있다.

Description

시일 구조체,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SEAL STRUCTURE, ELECTRONIC APPARATUS, PORTABLE APPARATUS AND SEAL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 장치 등의 각종 전자 장치에 지수(止水)나 방진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시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시블 케이블 등의 신호선의 통과를 가능하게 한 시일 구조체,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장치 등의 전자 장치에서는, 그 용도나 기능에 따른 방수 기능이 필요하여, 종래, 물 등의 침입 방지를 위한 시일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이 시일 구조에 관하여, 특허 문헌 1에는, 패킹 사이에 기판을 끼운 경우라도 방수 기능을 유지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플렉시블 기판과 접촉하는 패킹에 동일한 높이 및 폭을 갖는 리브 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이 볼록부가 기기의 몸통 및 뒤쪽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하우징을 폐쇄 상태로 했을 때에, 기판의 측면부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간극을 막아, 물의 침입을 억제한 기기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상측 장치와 하측 장치를 힌지부를 통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한 휴대 단말 장치로서, 힌지부와 상측 장치 및 하측 장치와의 경계에서, FPC 및 접속 케이블과 그 외측 케이스 사이의 공간이 시일 패킹에 의해 충전되어 있는 방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8664호 공보(요약 및 도 1 등)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968호 공보(요약 및 도 1 등)
그런데, 종래, 휴대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의 시일 구조에서는, 방수, 방진이 필요한 부위에의 시일제(sealant) 주입이나, 플렉시블 케이블 등의 신호선과 고무와의 일체 성형 또는 접착, 신호선의 케이스 구멍에의 압입, 또는 패킹의 삽입 등이 채용되고 있다. 시일제의 주입이나, 플렉시블 기판과 고무와의 접착에는, 시일제나 접착제의 고화까지 시간이 걸리고, 그 고화까지의 동안에 시일제나 접착제에 진애가 부착한다는 단점이 있어, 시일제나 접착제의 고화 관리나 진애의 부착을 저지하기 위한 처리를 동반하는 것은 제조 공정적으로도 불리하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과 고무와의 일체 성형에는, 사용 가능한 고무의 종류나 플렉시블 케이블의 조건에 제약이 있어, 제조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도 있다.
시일 구조에는, 단순히 스펀지 또는 고무 등의 개스킷을 하우징에 끼워 넣는 구조가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두께나 개스킷의 경도에 따라서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개스킷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막을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침수나, 진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하우징과 실링으로써 케이블을 끼워 넣는 구조에서는, 하우징이 단단하고, 케이블이 두꺼운 경우에는, 케이블과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을 메울 수 없는 경우에는 충분한 지수 및 방진 기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을 끼워 넣는 2개의 패킹을 설치한 구조에서는, 패킹을 삽입하는 하우징에는 높은 조립 정밀도가 요구되고, 또한, 케이블 두께의 증대 나 패킹의 경도에 따라서는, 케이블과 패킹 사이에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고, 이 간극에 의해 충분한 지수 및 방진의 기능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요구나 과제에 대하여, 특허 문헌 1, 2에는 그 개시나 시사가 없고, 그것을 해결하는 구성 등에 대한 개시나 시사도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케이블 등의 신호선 또는 회로부를 통과시키는 하우징의 시일에 관련하여, 지수, 방진 등의 시일 기능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케이블 등의 신호선 또는 회로부를 통과시키는 하우징의 시일에 관련하여, 시일 처리의 작업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을 시일하고, 그 시일 부분에서 신호선 또는 회로부를 통과시키는 시일 구조체 또는 시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접합되는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 단차를 형성하고, 이 오목 단차의 부분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사이에 제1 시일재, 신호선 또는 회로부, 및 제2 시일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1 시일재가 갖는 점착성이나 유연성과, 제2 시일재가 갖는 신축성으로써 신호선 또는 회로부를 통과시키면서 기밀 유지를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하우징을 시일하고, 그 시일 부분에서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시일 구조체로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와, 상기 오목 단차를 덮도록 설치된 제1 시일재와, 상기 오목 단차의 오목부 내에 설치된 신호선을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시일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오목 단차가 제1 시일재로 덮이고, 오목 단차 내에 설치된 신호선은 제1 시일재와 제2 시일재 사이에 끼워 넣어져서 제1 및 제2 하우징부 간의 오목 단차의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신호선이 통과되고,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 제1 하우징부와 신호선 사이, 제2 하우징부와 신호선 사이가 시일된다. 따라서, 신호선의 통과와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수 및 방진이 도모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일 구조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시일재는 수분 또는 공기를 차단하는 유연성 재료를 사용해도 좋고,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상기 오목 단차의 단차 높이를 넘는 폭으로 해도 좋으며,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폭이 상기 오목 단차의 폭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상기 제1 시일재는 신축 가능한 불연속성 발포체, 또는 불연속성 발포체를 포함해도 좋으며, 또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신호선의 두께보다 큰 것도 좋고, 또한, 상기 오목 단차는 저면부가 평탄면, 요철면 또는 만곡면, 측벽부가 수직면, 경사면 또는 만곡면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신호선의 통과와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수 및 방진이 도모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전자 장치에 상기 시일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신호선의 통과와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지수 및 방진이 도모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휴대 장치에 상기 시일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신호선의 통과와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휴대 단말 장치 등의 휴대 장치의 지수 및 방진이 도모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전자 장치로서, 제1 하우징부와, 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접합되는 제2 하우징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와, 상기 오목 단차를 덮도록 설치된 제1 시일재와, 상기 오목 단차의 오목부 내에 설치된 상기 회로부를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시일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오목 단차가 제1 시일재로 덮이고, 오목 단차 내에 설치된 회로부는 제1 시일재와 제2 시일재 사이에 끼워 넣어져서 제1 및 제2 하우징부 간의 오목 단차의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에 회로부가 통과되고,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 제1 하우징부와 회로부 사이, 제2 하우징부와 회로부 사이가 시일된다. 따라서, 회로부의 통과와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수 및 방진이 도모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하우징을 시일하고, 그 시일 부분에서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시일 방법으로서, 제1 하우징부부와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 단차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 단차를 덮는 제1 시일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 단차의 오목부 내에 설치된 신호선을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간에 제2 시일재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일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일 구조를 하우징부 사이에 실현할 수 있고, 신호선의 통과와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수 및 방진이 도모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접합되는 하우징부 간의 시일 부분에 신호선 또는 회로부를 통과시킬 수 있고, 그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져서, 지수 및 방진을 도모할 수 있다.
(2) 접합되는 하우징부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 제1 및 제2 시일재를 사용하여 신호선 또는 회로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고, 하우징부 사이를 시일할 수 있으며, 시일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이러한 시일 구조 또는 시일 방법을 사용하면, 신호선 또는 회로부와 시일재와의 일체 성형과 같은 고도의 기술은 필요 없어, 제조나 조립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4) 접합되는 하우징부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에 제1 시일재를 개재시켜서 신호선 또는 회로부가 설치되고, 그 위에 제2 시일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신호선 또는 회로부의 가장자리부측에 발생하기 쉬운 간극을 제1 및 제2 시일재가 둘러싸서 막을 수 있어,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5) 제1 시일재로서, 신호선 또는 회로부보다 두꺼운 점착재를 사용하면, 신호선 또는 회로부의 가장자리부측에 발생하기 쉬운 간극을 점착재로 막을 수 있어, 시일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지수 및 방진을 높일 수 있다.
(6) 이러한 시일 구조를 전자 장치나 휴대 장치에 사용하면, 전자 장치나 휴대 장치의 하우징부의 시일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지수 및 방진을 높일 수 있고, 신호선 또는 회로부가 하우징부를 통과할 수 있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7) 본 발명의 시일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일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신호선이 하우징부를 통과하면서 시일성을 향상시켜서, 각종 기기의 지수 기능이나 방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형태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가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며, 도 3은 오목 단차 상에 설치 된 양면 접착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가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이 휴대 장치(2)는, 시일 구조, 시일 방법이 적용된 전자 기기 또는 전자 장치의 일례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케이스(4)는 제1 및 제2 하우징부로서 케이스부(6, 8)를 구비하고 있다. 각 케이스부(6, 8)는 수직벽부(10, 12)가 접합되며, 케이스부(6, 8)의 내부에는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14)에는 신호선, 회로부로서, 예컨대 회로 기판(16), 전자 부품 등의 각종 수납물이 수납되고, 회로 기판(16)의 커넥터부(18)에는 판형의 배선, 신호선 또는 회로부로서, 예컨대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접속되며, 이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시일부(22)를 통과시켜서 케이스(4)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판형의 배선, 신호선에는 신호선, 전원선 등의 각종 회로 배선이 포함되고, 회로부에는 전자 회로, 전기 회로 등의 회로가 포함된다.
시일부(22)에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을 사이에 두고 제1 시일재로서 점착재 인 양면 접착 시트(24)와, 제2 시일재로서 개스킷(26)이 설치되고, 개스킷(26)은 케이스부(6)의 접합면부(28)측에 설치되며, 양면 접착 시트(24)는 케이스부(8)의 접합면부(30)측에 설치되어 있다. 개스킷(26)은 탄성, 공기의 통류(通流)를 저지하는 기밀성, 물의 통류를 저지하는 지수성(止水性)을 갖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예컨대, 고무 또는 탄성 중합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양면 접착 시트(24)는 불연속성 발포 기재 또는 불연속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기재로 구성되고, 적당한 신축성을 갖는 재료이면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8)의 접합면부(30)에는 오목 단차(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 단차(32)는 접합면부(30)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플렉시블 케이블(20), 양면 접착 시트(24) 및 오목 단차(32)의 대소 관계에 대하여, 플렉시블 케이블(20)의 폭을 W1, 오목 단차(32)의 폭을 W2, 양면 접착 시트(24)의 폭을 W3라고 하면, 양면 접착 시트(24)의 폭 W3는 오목 단차(32)의 폭 W2보다 크고, 오목 단차(32)의 폭 W2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의 폭 W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W1<W2<W3의 관계이다. 플렉시블 케이블(20), 오목 단차(32) 및 양면 접착 시트(24)의 각 중심을 일치시킨 경우,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오목 단차(32) 사이에는 폭 W4, 오목 단차(32)와 양면 접착 시트(24) 사이에는 폭 W5가 존재하게 된다. 이들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W3 = W1+2(W4+W5) = W2+2×W5 …(1)
W2 = W1+2×W4 …(2)
이며, 이러한 관계로부터,
W4 = (W2-W1)/2 > 0 …(3)
W5 = (W3-W2)/2 > 0 …(4)
이다. 폭 W4는 플렉시블 케이블(20)에 대한 오목 단차(32)의 여유도를 나타내고, 폭 W5는 오목 단차(32)에 대한 양면 접착 시트(24)의 크기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W1<W2<W3의 관계가 유지되면, 오목 단차(32)가 양면 접착 시트(24)로 덮이고, 오목 단차(32)보다 폭이 좁은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양면 접착 시트(24)에 접착된다. 즉,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오목 단차(32)에 의해 양면 접착 시트(24)에 생긴 오목부 내에 설치된다.
오목 단차(32)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오목 단차(32)는 케이스부(8)의 접합면부(30)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플랫면부(34)와, 오목면부(36)와, 이들 면부 사이에 형성된 수직면부(38)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면부(38)는 오목 단차(32)의 깊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플렉시블 케이블(20), 양면 접착 시트(24) 및 수직면부(38)에 있어서,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두께를 T1, 오목 단차(32)의 수직면부(38)의 높이(깊이)를 T2, 양면 접착 시트(24)의 두께를 T3라고 하면, 양면 접착 시트(24)의 두께 T3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두께 T1보다 크고, 양면 접착 시트(24)의 두께 T3는 수직면부(38)의 높이(깊이) T2보다 크게 설정된다. 즉, T3>T1, T3>T2의 관계에 있다. 이 경우, 폭 W4는 수직면부(38)의 높이(깊이) T2보다 크게 설정하면 된다. 즉, W4>T2의 관계에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부(8)의 오목 단차(32)측에 양면 접착 시트(24)가 접착되고, 그 위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설치되어 접착되며, 그 위에서 플렉시블 케이블(20) 및 양면 접착 시트(24)를 덮어서 개스킷(26)이 설치되고, 이 개스킷(26) 위에 케이스부(6)가 설치된다.
이 경우, 오목 단차(32)의 깊이 T2보다 양면 접착 시트(24)의 두께 T3가 크기 때문에, 오목 단차(32)의 오목부는 양면 접착 시트(24)로 덮이고, 양면 접착 시트(24) 상에 설치된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상면은 플랫면부(34) 상의 양면 접착 시트(24)의 상면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케이스부(6, 8)에 대하여 접합면부(28, 30)의 간격을 좁히도록 압축 력을 가하여 유지시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6, 8) 사이의 시일부(22)에는, 개스킷(26)이 수축하고, 개스킷(26)과 케이스부(8) 사이에 존재하였던 간극에 개스킷(26)이 들어가서, 시일 구조가 실현된다. 개스킷(26)의 유연성을 플렉시블 케이블(20)이나 양면 접착 시트(24)보다 높게 설정하면, 고도의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시일 구조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이 저지되어, 공간부(14) 내의 회로 기판(16) 등의 수납물을 물이나 진애 등으로부터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일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도 5는 시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시일 방법의 일례로서 시일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시일 방법에는, 오목 단차의 형성 공정, 점착재의 설치 공정, 시일재의 설치 공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A) 오목 단차(32)의 형성 공정
케이스부(8)는 합성 수지로 성형 가공되는데, 그때, 접합면부(30)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인출 부분에 오목 단차(32)가 형성된다. 이 오목 단차(32)의 높이 T2나 폭 W2는 전술한 바와 같다.
(B) 점착재의 설치 공정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단차(32)의 중심과 양면 접착 시트(24)의 중심을 맞춰서, 오목 단차(32) 위에 양면 접착 시트(24)가 설치된다. 양 면 접착 시트(24)는 오목 단차(32)를 덮어서 접합면부(30)에 접착된다. 접착된 양면 접착 시트(24)에는, 오목 단차(32)에 따른 오목부가 생긴다.
(C)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설치 공정
양면 접착 시트(24)의 상면에는,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부(14)(도 1)의 회로 기판(16)으로부터 인출된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설치되어 접착된다. 이 경우,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중심과 오목 단차(32)의 중심을 일치시키면, 전술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면, 오목 단차(32)에 의해 양면 접착 시트(24)의 상면에 생긴 오목부 내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설치된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양면 접착 시트(24) 상에 그 접착력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D) 시일재의 설치 공정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상면측에는 도 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20) 및 양면 접착 시트(24)를 덮도록, 개스킷(26) 및 케이스부(6)가 설치된다.
(E) 조립 공정
케이스부(6, 8)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압축력을 부여하여, 케이스부(6, 8)를 고정하면, 도 6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26)이 압축되어, 시일부(22)에 생겼던 간극이 개스킷(26)에 의해 밀봉된다. 이 경우, 양면 접착 시트(24)도 가해진 압축력에 의해 변형되어, 오목 단차(32)의 간극으로 들어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밀성이 높은 시일 구조가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시일 구조 및 시일 방법에 대하여, 이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 다.
전술한 시일 구조 또는 시일 방법에서는, 오목 단차(32)를 형성한 케이스부(8)에 양면 접착 시트(24)를 부착하고, 그 위에 플렉시블 케이블(20) 및 개스킷(26)을 배치하며, 다른쪽 케이스부(6)로 끼워 넣는 구성이기 때문에, 종래의 시일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제조 시간을 삭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20)과 개스킷(26)을 일체 성형하는 것과 같은 고도의 기술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메이커의 제약도 받지 않고, 또한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개스킷(26)과, 플렉시블 케이블(20)보다 두꺼운 불연속 발포 기재의 양면 접착 시트(24)와의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을 끼워 넣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의 가장자리부에 생기는 간극을 확실하게 메울 수 있으며, 시일성을 향상시켜서, 지수성이나 방진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오목 단차(32)에 수직면부(38)(도 3)를 사용하였으나,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부(40)로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사면부(40)를 사용하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접착 시트(24)를 경사면부(40)를 따라서 밀착 상태로 할 수 있어,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에서, 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오목 단차(32)에 경사면부(40)(도 7)를 사용하였으나,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을 만곡시킨 곡면부(42)로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곡면부(42)를 사용하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접착 시트(24)를 곡면부(42)를 따라서 밀착 상태로 할 수 있어,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A 및 B에서, 도 3, 도 7의 A 및 B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부(8)측에만 오목 단차(32)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케이블(20)을 통과시켰으나,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8)측에 오목 단차(32A)를 형성하고, 케이스부(6)측에 오목 단차(32B)를 형성하며, 제1 시일재로서, 양면 접착 시트(24A, 24B)를 설치하고, 양면 접착 시트(24A)측에 플렉시블 케이블(20A), 양면 접착 시트(24B)측에 플렉시블 케이블(20B)을 설치하며, 이들 플렉시블 케이블(20A, 20B) 사이에 제2 시일재인 개스킷(26)을 끼워 넣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6, 8)를 압접(壓接)시킴으로써, 시일부(22)를 밀착시켜, 플렉시블 케이블(20A, 20B)의 통과 부분에 그리고 케이스부(6, 8) 간에 고도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시일 구조 또는 시일 방법으로써 복수의 플렉시블 케이블(20A, 20B)을 통과시킬 수 있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시일재로서 양면 접착 시트(24)를 예시하였으나, 이 양면 접착 시트(24)를 대신하여, 기밀성(공기 투과성)을 갖고 또한 점착성을 갖지 않는 유연성 시트로 구성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합면부(30)에 대향하는 개스킷(26)의 면부를 플랫면으로 하였으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20) 및 양면 접착 시트(24)에 대향하는 면부에 오목부(44)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44) 내에 플렉시블 케이블(20) 및 양면 접착 시트(24)를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0에서,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목 단차(32)의 오목면부(36)를 플랫면으로 하였으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면부(46)로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양면 접착 시트(24)나 유연성 시트를 밀착시킬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목 단차(32)의 오목면부(36)를 플랫면으로 하였으나, 곡면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양면 접착 시트(24)나 유연성 시트를 밀착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한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휴대 장치의 힌지부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 단면도이고, 도 15는 개스킷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서, 도 1과 동일 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휴대 장치(2)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로서 케이스(401)와, 제2 하우징부로서 케이스(402)를 힌지부(404)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401)에는 복수의 키를 구비한 입력 조작부(406)가, 그리고 케이스(402)에는 표시부(40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401)는 케이스부(6A, 8A)로 구성되고, 케이스(402)는 케이스부(6B, 8B)로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401)측의 공간부(14A)측에 설치된 회로 기판(16A)과, 케이스(402)측의 공간부(14B)측에 설치된 회로 기판(16B)은, 플렉시블 케이블(20)을 통해 접속되고, 이 플렉시블 케이블(20)은 힌지부(404)를 통과하여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401)에는 전술한 시일부(22)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케이스(402)측에도 시일부(22)가 형성되며, 각 공간부(14A, 14B)가 밀봉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401)측에는 양면 접착 시트(24a), 개스킷(26A)이, 그리고 케이스(402)측에는 양면 접착 시트(24b), 개스킷(26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시일부(22)의 시일 구조는 제1 실시형태(도 1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휴대 장치(2)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6A, 6B)의 각각에 주회(周回) 형상의 개스킷(26A, 26B)이 설치되고, 이들 개스킷(26A, 26B)에 의해 각 시일부(22) 이외의 부분도 시일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케이스(401, 402)를 연결시킨 휴대 장치(2)에서는, 본 실 시형태의 시일 구조나 시일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케이스(401, 402)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을 통과시킬 수 있고, 플렉시블 케이블(20)의 통과 부분의 시일성을 높여서, 물 등의 유체나 진애 등의 침입으로부터 각 케이스(401, 402)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휴대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 장치(2)를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형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로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200)에 적용할 수 있다. 이 PC(200)에서는, 케이스(401, 402)를 힌지부(404)로 연결하여 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일 구조나 시일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6에서, 도 1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 장치(2)나 PC(200)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전자 장치로서, 예컨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404)를 구비하여 표시측의 케이스(401, 402)가 본체부와 개폐 가능하게 된 비디오 카메라(300)에 적용해도 좋다. 도 17에서, 도 1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개폐 가능한 전자 장치나 휴대 장치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힌지부를 구비하지 않는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게임 기기, 카메라 등의 전자 장치나 휴대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힌지부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여러 가지 레벨이나 변형에 의해 파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하의 부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하우징을 시일하고, 그 시일 부분에서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시일 구조로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와,
상기 오목 단차를 덮도록 설치된 제1 시일재와,
상기 오목 단차의 오목부 내에 설치된 신호선을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시일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2)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일재는 수분 또는 공기를 차단하는 유연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3)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점착성을 갖는 유연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4)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상기 오목 단차의 단차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5)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폭이 상기 오목 단차의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6)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신축 가능한 불연속성 발포체, 또는 불연속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7)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신호선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8)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목 단차는 저면부가 평탄면, 요철면 또는 만곡면이고, 측벽부가 수직면, 경사면 또는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9)
부기 1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목 단차는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의 양방의 대향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
(부기 10)
부기 1, 2, 3, 4, 5, 6, 7, 8 또는 9에 기재된 시일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부기 11)
부기 1, 2, 3, 4, 5, 6, 7, 8 또는 9에 기재된 시일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부기 12)
제1 하우징부와,
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접합되는 제2 하우징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와,
상기 오목 단차를 덮도록 설치된 제1 시일재와,
상기 오목 단차의 오목부 내에 설치된 상기 회로부를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시일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부기 13)
케이스를 시일하고, 그 시일 부분에서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시일 방법으로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 단차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 단차를 덮는 제1 시일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 단차의 오목부 내에 설치된 신호선을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제2 시일재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14)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일재는 수분 또는 공기를 차단하는 유연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15)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점착성을 갖는 유연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16)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상기 오목 단차의 단차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17)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폭이 상기 오목 단차의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18)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신축 가능한 불연속성 발포체, 또는 불연속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19)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신호선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20)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목 단차는 저면부가 평탄면, 요철면 또는 만곡면이고, 측벽부가 수직면, 경사면 또는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부기 21)
부기 13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의 양방의 대향면부에 상 기 오목 단차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휴대 장치 등의 전자 기기나 각종 전자 장치에 지수(止水)나 방진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시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휴대 장치 등의 각종 전자 장치에 지수나 방진 등을 위해서 사용되며, 접합되는 하우징부 간의 시일 부분에 신호선을 통과시킬 수 있고, 그 하우징부 간의 시일성이 높아져서, 지수 및 방진이 도모되는 등, 전자 장치나 휴대 장치의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하여 유용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가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오목 단차 상에 설치된 양면 접착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가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시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시일 방법의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오목 단차를 나타내며, A는 양면 접착 시트의 설치 전의 오목 단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양면 접착 시트가 설치된 오목 단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오목 단차를 나타내며, A는 양면 접착 시트의 설치 전의 오목 단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양면 접착 시트가 설치된 오목 단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장치의 시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휴대 장치의 힌지부 및 그 근방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휴대 장치의 개스킷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휴대 장치 6, 8: 케이스부
14: 공간부 20: 플렉시블 케이블
22: 시일부 24: 양면 접착 시트
26: 개스킷 28, 30: 접합면부
32: 오목 단차 38: 수직면부
40: 경사면부 42: 곡면부
200: 퍼스널 컴퓨터 300: 비디오 카메라

Claims (11)

  1. 하우징을 시일(seal)하고, 그 시일 부분에서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시일 구조체에 있어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와,
    점착성을 갖는 접착 시트로서, 상기 오목 단차를 덮도록 설치된 제1 시일재와,
    상기 오목 단차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1 시일재에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설치된 신호선을 상기 제1 시일재와의 사이에 끼워서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시일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일재는 수분 또는 공기를 차단하는 유연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상기 오목 단차의 단차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폭이 상기 오목 단차의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신축 가능한 불연속성 발포체, 또는 불연속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재는 그 두께가 신호선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단차는, 저면부가 평탄면, 요철면 또는 만곡면이고, 측벽부가 수직면, 경사면 또는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일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일 구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0. 제1 하우징부와,
    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접합되는 제2 하우징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 단차와,
    점착성을 갖는 접착 시트로서, 상기 오목 단차를 덮도록 설치된 제1 시일재와,
    상기 오목 단차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1 시일재에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설치된 상기 회로부를 상기 제1 시일재와의 사이에 끼워서 덮으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제2 시일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하우징을 시일하고, 그 시일 부분에서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시일 방법에 있어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접합면부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 단차를 형성하는 공정과,
    점착성을 갖는 접착 시트로서, 상기 오목 단차를 덮는 제1 시일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 단차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1 시일재에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설치된 신호선을 상기 제1 시일재와의 사이에 끼워서 덮는 제2 시일재를,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방법.
KR1020080040742A 2007-07-19 2008-04-30 시일 구조체,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 KR101127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8787A JP4900106B2 (ja) 2007-07-19 2007-07-19 シール構造、電子装置、携帯装置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7-00188787 2007-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88A KR20090009088A (ko) 2009-01-22
KR101127347B1 true KR101127347B1 (ko) 2012-03-29

Family

ID=4026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742A KR101127347B1 (ko) 2007-07-19 2008-04-30 시일 구조체,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12129B2 (ko)
JP (1) JP4900106B2 (ko)
KR (1) KR101127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9947A1 (de) * 2008-02-20 2009-08-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elektrischen/elektronischen Bauteils und entsprechendes Montageverfahren sowie Abdeckung für eine solche Vorrichtung
JP2010238745A (ja) * 2009-03-30 2010-10-21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11024022A (ja) * 2009-07-16 2011-02-03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JP2011035823A (ja) * 2009-08-05 2011-02-17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US8625290B2 (en) * 2009-10-15 2014-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JP5473535B2 (ja) * 2009-10-28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
JP5560758B2 (ja) * 2009-12-28 2014-07-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防水部材付き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503329B2 (ja) * 2010-02-24 2014-05-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457226B2 (ja) * 2010-02-26 2014-04-02 富士通株式会社 シール構造、電子装置、携帯装置及びシール方法
JP2011192794A (ja) * 2010-03-15 2011-09-29 Yamatake Corp ケーブル引き出し構造
JP5461309B2 (ja) * 2010-06-01 2014-04-02 富士通株式会社 筐体及び電子機器
CN102918942B (zh) * 2010-07-15 2015-06-10 日本梅克特隆株式会社 密封构造体
JP5613515B2 (ja) * 2010-09-28 2014-10-2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2448265B (zh) * 2010-09-30 2015-01-07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防尘结构及具有该防尘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8608173B2 (en) * 2011-08-25 2013-12-1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sealing contact between first and second fueldraulic components
JP2013207173A (ja) * 2012-03-29 2013-10-07 Yazaki Corp 配線板の防湿構造
WO2014164753A1 (en) * 2013-03-11 2014-10-09 Emory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naging vascular conditions
JP7020008B2 (ja) * 2017-09-12 2022-02-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リカチタニア複合エアロゲル粒子、シリカチタニア複合エアロゲル粒子の製造方法、光触媒形成用組成物、光触媒、及び構造体
JP6984258B2 (ja) * 2017-09-12 2021-12-1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リカチタニア複合エアロゲル粒子、シリカチタニア複合エアロゲル粒子の製造方法、光触媒形成用組成物、光触媒、及び構造体
JP7183655B2 (ja) * 2018-09-21 2022-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ール材付き筐体および気密構造および気密構造の製造方法
US11510322B2 (en) 2019-07-22 2022-11-22 Sensus Spectrum, Llc Flexible circuits for use with gaskets in electronic equipment and related systems and meters
US11320868B2 (en) * 2019-08-28 2022-05-03 Apple Inc. Liquid ingress control for electronic devices
US11375629B2 (en) * 2019-09-26 2022-06-28 Apple Inc. Rotating frame lock for front crystal retention and sealing
JP7480805B2 (ja) 2022-06-21 2024-05-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装置、光源装置、及び投影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676A (ja) * 1998-09-11 2000-03-31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防水性可撓電線管用コネクター
JP2005032752A (ja) * 2003-07-07 2005-02-03 Fujitsu Ltd 折り畳み型携帯端末
JP2005129573A (ja) * 2003-10-21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防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1987A (en) * 1983-01-11 1987-07-2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equipment having a key input function
JPH039545U (ko) * 1989-06-09 1991-01-29
CA2081361C (en) * 1991-10-31 1999-09-07 Kenichiro Hashimoto Recording apparatus
JP3009545U (ja) 1994-09-28 1995-04-04 アイホ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の外部配線引出し構造
JP2002198664A (ja) * 2000-12-26 2002-07-12 Seiko Instruments Inc 携帯電子機器
JP3791510B2 (ja) 2002-05-13 2006-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防水構造を備える折り畳み型携帯端末装置
US7251512B2 (en) * 2002-05-13 2007-07-31 Nec Corporation Water-proof collapsible cellular terminal apparatus
JP2004072214A (ja) * 2002-08-02 2004-03-04 Sharp Corp 電子印鑑、icカード、本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携帯機器
US7551048B2 (en) * 2002-08-08 2009-06-23 Fujitsu Component Limited Micro-re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3642332B2 (ja) * 2002-12-20 2005-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EP1445821A1 (en) * 2003-02-06 2004-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boom portion
JP4300210B2 (ja) * 2004-11-18 2009-07-2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型無線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676A (ja) * 1998-09-11 2000-03-31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防水性可撓電線管用コネクター
JP2005032752A (ja) * 2003-07-07 2005-02-03 Fujitsu Ltd 折り畳み型携帯端末
JP2005129573A (ja) * 2003-10-21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20962A1 (en) 2009-01-22
JP4900106B2 (ja) 2012-03-21
US8112129B2 (en) 2012-02-07
JP2009026966A (ja) 2009-02-05
KR20090009088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347B1 (ko) 시일 구조체,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
JP5513168B2 (ja) 電子機器
KR101220647B1 (ko) 시일 구조, 시일 구조의 형성 방법, 배선체 및 전자 기기
JP5003762B2 (ja) 密封構造、電子機器及び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US8243458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485127B1 (en) Water tight electronic device display
JP5909655B2 (ja) 電子機器
JP4424445B1 (ja) 電子機器
KR101253432B1 (ko) 시일 구조, 전자 장치, 휴대 장치 및 시일 방법
WO2007100023A1 (ja) スライド型電子機器の防塵構造およびスライド型電子機器
JP6101911B2 (ja) シール部材及び複合シール部材
JP2003142836A (ja) 電子機器
US944859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JP2006093510A (ja) 携帯型電子装置
JP4966620B2 (ja) 電子機器
JP5056648B2 (ja) 配線体,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WO2010026935A1 (ja) シール構造、シール構造の形成方法、配線体及び電子機器
JP5613515B2 (ja) 電子機器
JP5374975B2 (ja) シール構造および電子機器
CN101682984B (zh) 密封构造体
JP4935864B2 (ja) 配線体、シール構造及び電子機器
JP2010045096A (ja) シール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12186031A (ja) 電子機器における外部コネクタ接続口のシール構造、及び電子機器、並びにシール方法
JP2010021173A (ja) 配線体,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4501585B2 (ja) 防水構造を持つ電気回路部品および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