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804B1 -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804B1
KR101113804B1 KR1020057001497A KR20057001497A KR101113804B1 KR 101113804 B1 KR101113804 B1 KR 101113804B1 KR 1020057001497 A KR1020057001497 A KR 1020057001497A KR 20057001497 A KR20057001497 A KR 20057001497A KR 101113804 B1 KR101113804 B1 KR 10111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ottom plate
vibration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442A (ko
Inventor
순 가야마
유키코 시미즈
마사히로 스즈키
도시노리 야마스에
히로시 아즈마
히로카즈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1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with magnet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밸런서를 가지는 로터가 회전하는 진동 발생 장치이며, 평판형 코일(120)이 장착되는 바닥판(47)과, 이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91)과, 이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베어링을 통해 장착되고, 평판형 코일 표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마그넷(85)과, 이 마그넷에 장착되는 웨이트(87)를 구비하고, 평판형 코일에 설치되는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마그넷 및 웨이트를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40)이며, 바닥판(47)이 비자성체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이 바닥판(47)을 사이로 하여 마그넷(85)과 자성체 박판(48)이 장착되어 있다.
Figure R1020057001497
언밸런서, 코일, 바닥판, 마그넷, 고정축.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VIBRATION GENE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 및 이 진동 발생 장치를 사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3년 6월 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3-157471 및 2003년 8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3-286438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휴대형 전화기를 예로 들면, 휴대형 전화기는 이른바 매너 모드의 경우에는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형 전화기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액추에이터로서의 진동 발생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 종류의 진동 발생 장치로서, 일본 특허 제 3187029 호 공보에 기재된 진동 발생용 편심 분동(分銅)을 가지는 소형 진동 모터가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이와 같은 브러시 부착 모터를 사용하면, 이른바 슬릿 쇼트에 의한 부전(不轉) 불량 등을 제로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진동 발생 동작의 신뢰성상 문제 가 있다.
또, 모터 본체는, 예를 들면 직경 3.5mm 정도까지 작게 할 수는 있지만, 회전수나 소비 전력은 너무 올라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낮은 쪽이 양호한 것은 휴대형 전화기와 같은 휴대형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 등의 관점에서도 명백하다. 이와 같은 진동 발생 장치를 탑재하려고 하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의 요청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와 그것을 가지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구조의 간단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소형 진동 발생 장치로서 평판형(코인형)의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 종류의 평판형 진동 발생 장치를 더욱 소형화하려고 한 경우, 로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의한 중량의 저감으로 마그넷의 자력에 의한 바닥판 방향으로의 끌어 당기는 힘으로 마찰이 증대하여, 로터의 회전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마그넷을 작게 하는, 또는 바닥판을 얇게 하여 자력을 약하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것으로는 로터의 회전 토크 저하나 구조상의 강도 부족을 초래하여, 신뢰성이 높은 진동 발생 장치를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의 진동 발생 장치 및 이 진동 발생 장치를 사용한 전자 기기를 적용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자를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 토크 저하나 구조상의 강도 부족을 초래하지 않고 신뢰성이 높은 진동 발생 장치 및 이 진동 발생 장 치를 사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는 평판형 코일 기판이 장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축과,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베어링을 통해 장착되고, 평판형 코일 기판 표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마그넷과, 마그넷에 장착되는 언밸런서(unbalancer)를 구비하고, 평판형 코일 기판에 설치되는 코일로의 통전(通電)에 의해 마그넷 및 언밸런서를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이 비자성체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이 바닥판을 사이로 하여 마그넷과 반대측에 자성체 박판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는 바닥판이 비자성체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마그넷과 바닥판 사이에 자력에 의한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아,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의 회전력이 그 흡인력으로 방해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바닥판을 사이로 하여 마그넷과 반대측에 자성체 박판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자성체 박판과 마그넷 사이의 흡인력에 의해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의 회전에 의한 부상(浮上)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자성체 박판의 면적에 의해 마그넷의 흡인력을 조정할 수 있어, 로터의 회전을 손상하지 않고, 또한 로터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흡인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는 웨이트를 가지는 로터가 회전하는 경우에, 축 동요를 일으키기 어려워, 수명이 길고 또한 탑재하려고 하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나 박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장치 자체의 소형화, 박형화에 의한 로터의 회전 로스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로터의 회전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인 휴대형 전화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화기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진동 발생 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진동 발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6은 진동 발생 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진동 발생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진동 발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로터와 고정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고정자측의 평판형 코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평판형 코일의 제1 층 배선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평판형 코일의 제2 층 배선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평판형 코일의 제3 층 배선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평판형 코일의 제4 층 배선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 (A)는 진동 발생용 웨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 (B)는 진동 발생용 웨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진동 발생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A)~도 17 (C)는 각각 원추 코일형 전기 접속 단자에서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 (A)는 캔틸레버 형식의 전기 접속 단자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 (B)는 캔틸레버 형식의 전기 접속 단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 및 이 진동 발생 장치를 사용한 전자 기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형 전화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가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의 휴대형 전화기(10)는, 예를 들면,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이 0.8~1.5GHz의 디지털 방식 전화기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2), 안테나(14), 표시부(16), 조작부(18), 마이크(20), 스피커(22) 등을 가지고 있다.
조작부(18V)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의 조작 키를 가지고 있으며, 통화 버튼(18A), 통화 절단 버튼(18B), 텐 키(18C) 등을 가지고 있다. 표시부(16) 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도 1에 나타낸 프론트부(24)와 도 2에 나타낸 리어부(26)를 가지고 있으며, 리어부(26)측에는 배터리(28)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안테나(14)는 하우징(12)에 대하여 출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하우징(12)에는,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4O)가 내장되어 있다. 이 진동 발생 장치(4O)는, 예를 들면 휴대형 전화기(10)에서, 착신한 경우에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착신이 있는 것을 진동으로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진동 발생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 진동 발생 장치(40)는 진동 액추에이터라고도 불려지고 있으며, 케이스(43)와, 케이스(43) 중에 배치된 진동 모터(50)를 가지고 있다.
도 4는 진동 발생 장치(40)를 구성하는 케이스(4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에서는 진동 모터(5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케이스(43)는 덮개 부재(45), 바닥판(47) 및 자성체 박판(48)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43)의 덮개 부재(45)는 투자성(透磁性) 재료, 예를 들면 금속인 일례로서 철이나, 자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강(鋼)이나 규소 강판 등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으며, 자로(磁路)를 닫는 부재이다. 그리고, 덮개 부재(45)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물론 없어도 된다.
바닥판(47)은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으며, 대략 정사각 형상의 판부재로 되어 있다. 바닥판(47)의 네 코너에는 코킹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판(47)의 중앙에는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47)의 구멍(51) 주위에는 복수 개의 구멍(40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47)이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터(80)의 마그넷(85)과 바닥판(47) 사이에 마그넷(85)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아, 로터(80) 등의 회전력이 그 흡인력으로 방해되는 것이 없어진다.
자성체 박판(48)은 투자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인 일례로서 철이나, 자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강이나 규소 강판 등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자성체 박판(48)이 바닥판(47)을 사이로 하여 로터(80)의 마그넷(85)과 반대측[바닥판(47)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 자성체 박판(48)과 마그넷(85) 사이의 흡인력에 의해 마그넷(85)을 바닥판(47)측으로 끌어 당겨 로터(80)의 회전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고 있다.
도 4의 덮개 부재(45)는 대략 원형상에 가까운 평탄 부분(53)과 4개의 코너부(55)를 가지고 있다. 4개의 코너부(55)에는 각각 노치(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노치(57)에는, 바닥판(47)이 대응하는 위치의 코킹부(49)가 끼어 넣어지고, 코킹부(49)를 기계적으로 코킹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부재(45)와 바닥판(47)이 진동 모터(50)를 수용한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자성체 박판(48)은 바닥판(47)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체 박판(48)은 착탈 가능한 상태로 접착해 두어도 된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나 형상의 것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진동 모터(50)는 전기 접속 단자(270)를 사용하여 메인 회로 기판(99)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진동 발생 장치의 형상예를 나타낸 일부 파단 평면도이며, 도 4에 나타낸 덮개 부재(45)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진동 발생 장치의 형상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에 있어서의 진동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단면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부재(45)는, 예를 들면 철이나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자성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47)과 덮개 부재(45) 안의 공간에는, 진동 모터(50)와,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전자 부품(71, 72, 73, 74)이 수용되어 있다.
덮개 부재(45)는 바닥판(47)에 대하여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코킹에 의해 장착함으로써, 그 안에 진동 모터(50)를 수용하고 있다. 진동 모터(50)는 로터(80)와 고정자(83)를 가지고 있다.
진동 발생 장치(40)의 진동 모터(50)에서는, 고정자(83)는 로터(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자(83)의 평판형 코일(120)에 대하여 도 3의 메인 회로 기판(99)으로부터 통전(通電)함으로써 로터(80)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진동 발생 장치(40)의 진동 모터(50)의 로터(80)는 진동을 발생한다.
먼저, 진동 모터(50)의 로터(80)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80)는 고정자(83)에 대하여, 중심축 CL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80)는 베어링(150), 슬리브(151), 마그넷(85), 진동 발생용 웨이트(87), 그리고 로터 요크(89)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150)은 원통형의 부재이며, 이 베어링(150)은, 예를 들면 소결(燒結) 메탈이나 수지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이 수지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PPS(폴리페닐렌 술피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베어링(150)의 외주면에 대해서는, 슬리브(151)가, 예를 들면 압입(壓入)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슬리브(151)는 베어링 하우징이라고도 불려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놋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이나, 수지(예를 들면 PPS)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베어링(150)과 슬리브(151)는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지만, 베어링(150)과 슬리브(151)를 일체물(一體物)로 형성해도 된다. 이에 따라, 부품 개수의 감소, 조립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구동용 마그넷(85)은 슬리브(151)의 외주면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85)은 도너츠형 또는 링형의 마그넷이며, 예를 들면 네오디뮴계 또는 사무륨 코발트계의 소결재를 사용하고 있다. 마그넷(85)은 로터 요크(89)의 내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마그넷(85)은 원주 방향에 따라 S극과 N극이 교대로 다극 착자(多極着磁)된 것이다.
로터 요크(89)는, 예를 들면 철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의 투자성 재료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로터 요크(89)는 슬리브(151)[슬리브(151)와 베어링(150)이 일체인 경우에는 베어링(150)]의 외주면에 대하여 압입 또는 접착, 초음파 용착 또는 코킹 또는 그 전부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초음파 용착을 행하는 경우에는, 슬리브(151)[슬리브(151)와 베어링(150)이 일체인 경우에는 베어링(150)]의 단면(端面)에 삼각추 형상의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해 둠으로써, 초음파를 인가하는 혼으로부터 이 돌기를 통해 효율 양호하게 초음파를 인가하여 용착할 수 있게 된다. 로터 요크(89)의 직경은 마그넷(85)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도 8의 로터 요크(89)와 마그넷(85)의 외주면에는 웨이트(87)가 설치되어 있다. 웨이트(87)는 도 15 (A) 및 도 15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반원주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요크(89)와 웨이트에 대하여 코킹 또는 접착 또는 그 밖의 고정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웨이트(87)는 도 5에 나타낸 로터(80)를 고정자(83)에 대하여 샤프트(91)의 중심축 CL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언밸런스 에너지를 진동 성분으로서 꺼내기 위한 언밸런서이다. 웨이트(87)는, 예를 들면 텅스텐 등의 비중이 큰 재질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로터(80)는 덮개 부재(45)와 바닥판(47)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넷(85)과 평판형 코일(120)이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고정자(83)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자(83)는 바닥판(47), 자성체 박판(48), 평판형 코일(120), 고정축(91), 단자 하우징(250), 그리고 전기 접속 단자(270)를 가지고 있다.
전기 접속 단자(270)는 평판형 코일(120)에 대하여,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전기 접속 단자(270)는 평판형 코일(120)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회로 기판(99)의 전극(27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기 접속 단자(270)는 이른바 캔틸레버 형식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 금속, 예를 들면 Au 또는 Cu에 의해 만들 수 있다.
도 8의 단자 하우징(250)은 도 6에 나타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전기 접속 단자(270)를 바닥판(47)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단자 하우징(250)은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PPS, LCP(액정 폴리머) 등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이 단자 하우징(250)은 도 6에 나타내고 있으며, 바닥판(47)의 거의 전체면을 피복하고 있다. 그러나 단자 하우징(250)은 2개의 개구부(255)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개구부(255)로부터는 2개의 전기 접속 단자(270, 270)가 노출되어 있다.
도 8의 고정축(91)은 덮개 부재(45)와 바닥판(47)에 대하여,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늘어뜨려 설치되는 고정의 축이다. 고정축(91)의 중심은 중심축 CL이다. 고정축(91)의 일단부는 덮개 부재(45)의 내면(45H)에 대하여 용접 부분(45G)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하여 고정축(91)의 타단부는 바닥판(47)의 구멍부 내주면(47H)에 대하여 용접 부분(47G)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축(91)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으며, 중심축 CL에 따른 길이가 매우 짧게 설정되어 있다. 고정축(91)의 일단부와 타단부 각각의 단면은 평탄면이 아니고 볼록형의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축(9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덮개 부재(45)와 바닥판(47)에 대하여 용접 부분(45G, 47C)에 의해 확실하게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축(91) 단면의 한쪽 또는 양쪽은 필요에 따라 평탄면이라도 된다.
이 고정축(91)은 로터(80)의 베어링(150) 내에 삽입되어 있고, 베어링(150)에 대하여 래디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고정자(83)의 평판형 코일(120)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평판형 코일(12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구동 패턴(121)을 가지고 있다. 이들 구동 패턴(121)은 중심축 CL을 중심으로 하여, 구멍(120H)의 주위에서 원주 방향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 10은 평판형 코일(120) 구동 패턴의 형상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구동 패턴(121)은 각각 대략 부채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구동 패턴(121)은 원주 방향에 관해 6개 형성되어 있다. 이 평판형 코일(120)은 도 9에 나타낸 바닥판(47)의 내면(47M)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전자 부품(71~74)은 평판형 코일(120)에 대하여 직접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고정되어 있고, 각 전자 부품(71~74)은 평판형 코일(120)을 통해 필요한 개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평판형 코일(120)은 복수 매의 얇은 플렉시블 배선판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11~도 14는 복수 매의 배선판의 배선 패턴의 형상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층의 배선판(311)을 나타내고 있고, 도 12는 제2층의 배선판(312) 를 나타내고, 도 13은 제3층의 배선판(313)을 나타내고, 그리고 도 14는 제4층의 배선판(314)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배선판(311~314)은 적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각 구동 패턴(121)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패턴(121)은, 예를 들면 제1층의 배선판(311)~제4층의 배선판(314)을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메리트가 있다.
즉, 각 구동 패턴(12l)이, 예를 들면 제1층~제4층의 배선판(311~314)에 의해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구동 패턴(121)이 발생하는 자계를 1매의 배선판을 사용하는 데 비해 매우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평판형 코일(120)이 통전됨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로터(80)측의 구동용 마그넷(85)의 자계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큰 구동력으로 로터(80)를 고정자(83)에 대하여 연속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87)는 보다 큰 진동 성분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4O)는 보다 큰 진동을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1~도 14에 나타낸 제1층의 배선판(311)~제4층의 배선판(314)에는 U상(相), V상, W상 및 코먼(C)의 배선이 각각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도 8에 나타낸 평판형 코일(120)은 로터(80)의 회전 구동력을 올리기 위해, 예를 들면 4층의 배선판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판형 코일(120)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층의 배선판으로 구성해 도 되고, 2층 또는 3층 또는 5층 이상의 배선판으로 적층하여 구성해도 된다.
전술한 평판형 코일(12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배선판을 복수 매 적층하여 복층화(예를 들면 4층화)함으로써, 로터(80)를 회전할 때의 토크 정수(定數)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진동 발생 장치(40)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각 구동 패턴(121)은 U층, V층, W층의 인출 전극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고, 인출 전극은 도 3에 나타낸 메인 회로 기판(9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평판형 코일(120)의 각 구동 패턴(121)은, 예를 들면 센서레스 형식으로 3상 전파 방식의 통전에 의해, 로터(80)를 고정자(83)에 대하여 3상 전파 구동에 의해 연속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어디 쪽이든, 평판형 코일(120)과 평판형 바닥판(47)을 접착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40)는 중심축 CL 방향에 관한 박형화 및 직경 방향에 관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바닥판(47)의 외측에 장착되는 자성체 박판(48)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바닥판(47)에 대하여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박판으로 되어 있어, 바닥판(47)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로터(80)의 마그넷(85) 사이의 흡인력을 이 자성체 박판(48)에서 발생시켜 로터(80) 등의 회전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고 있다.
즉, 바닥판(47)이 비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판(47)에서는 마그넷(85)의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고, 이에 따라 로터(80)가 바닥판(47)측으로 끌어 들여지지 않아, 베어링(150)과 바닥판(47) 사이의 접촉 마찰의 저감에 의해 로터 (80)가 소형, 경량화되어도 충분한 회전 토크를 얻을수 있다.
한편, 바닥판(47)과 마그넷(85) 사이에서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는 로터(80)의 회전에 의해 로터(80)가 부상하고, 로터 요크(89)나 베어링(150)이 덮개 부재(45)와 접촉하여 버리거나, 마그넷(85)과 평판형 코일(120)의 간극이 변화되어 버려, 로터(80)의 회전을 방해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47)에 자성체 박판(48)을 장착함으로써, 마그넷(85)을 바닥판(47)측으로 끌어당기도록 하여 로터(80)의 회전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고 있다.
또, 자성체 박판(48)의 면적에 의해 마그넷(85)의 흡인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로터(80)가 너무 끌어당기는 데 따른 회전 로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회전에 의한 로터(8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흡인력을 가능하게 또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 자성체 박판(48) 면적의 결정은 진동 발생 장치(40)의 설계 사양에 의해 미리 필요한 흡인력으로부터 구해지지만, 제조 불균일이 발생한 경우 등, 장착할 자성체 박판(48)의 면적을 미조정함으로써 로터(80)의 규정 회전 확보 및 부상 방지를 실현할 수 있어, 제품 수율을 큰 폭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 바닥판(47)을 변경하지 않고, 외부 부착하는 자성체 박판(48)의 변경에 의해 로터(80)의 끌어 당기는 힘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구조 상의 강도를 해치는 일도 없어진다.
도 5에 나타낸 전자 부품(71~74)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전자 부품(71)은 드라이버 IC(집적 회로)이며, 전자 부품(72)은 저항 소자이며, 전자 부품(73)과 전자 부품(74)은 콘덴서이다. 이들 전자 부품(71~74)은 외부 부착 부품이면서, 평판형 코일(120)에 대하여 직접 탑재할 수 있다.
이들 전자 부품(71~74)은 플렉시블 배선판(123)에서, 리플로 등에 의해 일괄하여 마운트 가능하다. 또, 이들 전자 부품(71~74)은, 예를 들면 베어 칩과 같은 것이며, 일례로서 2mm 각(角) 정도의 크기이다.
이들 전자 부품(71~74)의 중심축 CL 방향의 높이는 도 8에 나타낸 로터(80)의 웨이트(87)에 닿지 않는 크기이다. 즉, 웨이트(87)와 전자 부품은 도 5의 평면에서 보아 오버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5에서 보아 진동 발생 장치(40)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폭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40)는 도 7 및 도 3에 나타낸 메인 회로 기판(99)에 대하여 전기 접속 단자(27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접속 단자(27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단자이다. 전기 접속 단자(270)는 메인 회로 기판(99)의 전극(271)에 대하여 꽉 누르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메인 회로 기판(99)은 비교적 두께가 있는 단단한 기판, 예를 들면 유리 에폭시 기판 등이나 그 밖의 종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40)의 전기 접속 단자(270)는 메인 회로 기판(99)에 대하여, 평판형 코일(120)의 각 구동 패턴(121)이나 각 전자 부품(71~74)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동 패턴(121)의 대략 중심 부분에는, 구멍 (4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00)은 도 4와 도 9에도 나타내고 있다. 각 구멍(40O)이 각각 구동 패턴(121)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구멍(400)은 대응하는 바닥판(47)의 위치에도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400)은 구동 패턴(121)의 구동력 발생 부분에는 관계가 없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 진동 발생 장치(4O)에서는, 메인 회로 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행하는 단자로서 코일형 전기 접속 단자(270)를 사용하고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진동 발생 장치(40)에서는 전기 접속 단자(270)(도 7 참조)가 캔틸레버 형식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원추 코일형 전기 접속 단자(270)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도전성 금속이면서, 메인 회로 기판(99)과의 접속에 필요한 면적을 캔틸레버 형식의 도전성 금속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어, 회로 기판(99)의 소형화 및 설계 자유도 증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7 (A)~도 17 (C)는 도 16에 나타낸 진동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원추 코일형 전기 접속 단자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 (A)는 2개의 전기 접속 단자(270)가 진동 발생 장치(40)의 도면 중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도 17 (B)는 2개의 전기 접속 단자(270)가 진동 발생 장치(40)의 대각(對角)이 되는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어느 레이아웃을 채용하는가는 접속 대상이 되는 회로 기판(99)의 배선 레이아웃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
또, 도 17 (C)는 4개의 전기 접속 단자(270)가 진동 발생 장치(40)의 각 코 너부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각 전기 접속 단자(270)는, 예를 들면 판형의 코일(120)에 부여하는 U, V, W, 코먼의 4개의 상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 접속 단자(270)의 수나 레이아웃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판형의 코일(120)에 부여하는 전류나 회로 기판(99)의 배선 레이아웃에 맞추어 설정하면 된다.
또, 도 18 (A) 및 도 18 (B)는 캔틸레버 형식의 전기 접속 단자에서의 다른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8 (A)는 그 평면도, 도 18 (B)는 측면도이다. 즉, 이 전기 접속 단자(270)는 캔틸레버 형식이지만 평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2개의 L자형 전기 접속 단자(270)가 진동 발생 장치(40)의 2변에 따라 각각 배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전기 접속 단자(270)를 L자형으로 굽혀 배치함으로써, 직선형 전기 접속 단자와 비교하여 고정단(270a)으로부터 자유단(270b)에 걸친 길이를 크게 취할 수 있어, 충분한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자유단(270b)이 회로 기판(99)의 패드와 접촉할 때의 가로 어긋남량을 적게 할 수 있어 패드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L자형 전기 접속 단자(270)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유단(270b)의 위치가 진동 발생 장치(40)의 대각으로 배치되고, 회로 기판(99)이 대응하는 2개의 패드 간격을 크게 취할 수 있어, 패드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여 패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4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케이스(43) 중에 진동 모터(50)를 수용하고 있다. 이 진동 모터(50)는 로터(80)의 마그넷(85)과, 고정자(83)의 판형 코일(120)이 간격을 조금 둔 이른바 면 대향하고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모터(50)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40)는 중심축 CL 방향에 관한 두께를 종래의 브러시 부착 모터에 비해 대폭 박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87)는, 예를 들면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무거운 것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지만, 매우 박형이며 또한 소형 웨이트(87)를 사용할 뿐이어서, 진동 모터(50)는 로터(80)를 회전할 때 큰 회전 언밸런스 에너지에 의한 진동 성분을 발생할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케이스(43)의 덮개 부재(45)는 조리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강성을 높이면서 경량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결 재료를 사용한 박형의 마그넷(85)과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형의 얇은 판형 코일(120)을 사용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40)의 중심축 CL 방향에 관한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소비 전력화도 도모된다.
또, 평판형 코일(120)은 복수 매의 배선판을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복수 매의 배선판은 각각 래미네이트 코일이라고 부르고 있다. 각 래미네이트 코일은 절연재인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의 내부에 코일 동선을 배치한 것이다.
평판형 코일(120)은 평판형 바닥판(47)에 대하여 접착제 등에 의해 직접 접착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 코일(120)은 바닥판 (47)에 대하여 기계적인 고정인 코킹이나 끼워넣기 등으로 고정해도 된다.
또, 몇 개의 전자 부품은 평판형 코일(120)의 표층 전극에 대하여, 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자(83)측의 고정축(91)은 덮개 부재(45) 및 바닥판(47)에 대하여, 예를 들면 YAG 레이저에 의해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고정축(91)의 고정 방법은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 또는 압입 또는 코킹이라도 물론 상관없다. 이 경우, 고정축(91)의 양단은 구면(球面)형이라도 되지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면형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로터(80)의 베어링(150)은, 예를 들면 카본 파이버들이의 PPS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원통형 베어링은 플라스틱에 한정되지 않고 소결 메탈이라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고정자(83)측의 고정축(91)에 대하여 로터(80)의 베어링(150)을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로터측의 축을 고정자측의 베어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데 비해, 로터의 나무공이 운동이 없어, 로터가 회전할 때 축 동요를 일으키지 않는다.
즉, 로터의 베어링(150)과 고정자(83)의 고정축(91)의 슬라이드 이동 부분과의 마모가 적어져, 진동 발생 장치(40)의 수명이 길어진다. 또, 고정자(83)측의 고정축(91)에 대하여 로터(80)측의 베어링(1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진동 발생 장치(4O)의 축 방향 길이를 작게 해도, 진동 발생 장치(4O)의 로터(80)가 회전할 때의 축 동요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40)의 박형화와 소형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베어링(150)의 축 방향 길이가 고정축(91)의 길이에 근접할수록, 로터(80)의 축 동요는 더욱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한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발생 장치는 휴대형 전화기 외에, 그 밖의 휴대형 통신 기기, 예를 들면 휴대형 정보 단말기나 컴퓨터 또는 그 밖의 분야의 전자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평판형 코일 기판이 장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베어링을 통해 장착되고, 상기 평판형 코일 기판 표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에 장착되는 언밸런서(unbalancer)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형 코일 기판에 설치되는 코일로의 통전(通電)에 의해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언밸런서를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이 비자성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상기 마그넷과 자성체 박판(薄板)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 박판의 면적이, 상기 자성체 박판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서 생기는 끌어당기는 힘으로서,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언밸런서가 회전해도, 상기 마그넷과 상기 평판형 코일 기판 표면과의 간극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크기로 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진동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박판은,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진동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는 평판형의 코일 기판은, 구동 패턴이 형성된 배선판을 복수매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진동 발생 장치.
  4.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비자성체로 구성되며, 평판형 코일 기판이 장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베어링을 통해 장착되고, 상기 평판형 코일 기판 표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에 장착되는 언밸런서와,
    상기 바닥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평판형 코일 기판과 반대측에 장착되는 자성체 박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자성체 박판의 면적이, 상기 자성체 박판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서 생기는 끌어당기는 힘으로서, 상기 마그넷 및 상기 언밸런서가 회전해도, 상기 마그넷과 상기 평판형 코일 기판 표면과의 간극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크기로 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기기.
  5. 삭제
KR1020057001497A 2003-06-03 2004-06-03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113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57471 2003-06-03
JP2003157471 2003-06-03
JP2003286438A JP3987011B2 (ja) 2003-06-03 2003-08-05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3-00286438 2003-08-05
PCT/JP2004/008067 WO2004108306A1 (ja) 2003-06-03 2004-06-03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442A KR20060015442A (ko) 2006-02-17
KR101113804B1 true KR101113804B1 (ko) 2012-07-27

Family

ID=3351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497A KR101113804B1 (ko) 2003-06-03 2004-06-03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1269B2 (ko)
EP (1) EP1550514B1 (ko)
JP (1) JP3987011B2 (ko)
KR (1) KR101113804B1 (ko)
WO (1) WO2004108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478A1 (en) 2003-05-20 2004-12-02 Collins James F Ophthalmic drug delivery system
US8012136B2 (en) * 2003-05-20 2011-09-06 Optimyst Systems, Inc. Ophthalmic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7798029B2 (en) * 2006-02-20 2010-09-21 Doo Sang Kim Vibration apparatus for generating spheroid wavelength
US20090212133A1 (en) * 2008-01-25 2009-08-27 Collins Jr James F Ophthalmic fluid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WO2009113540A1 (ja) * 2008-03-10 2009-09-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モータ
US20100007229A1 (en) * 2008-07-08 2010-01-14 Do Hyun Kim Vibration Motor
US20100242640A1 (en) * 2009-03-24 2010-09-30 Motorola, Inc. Vibrator Assembly having a Cylindrical Unbalanced Counterweight
KR20130051476A (ko) 2010-07-15 2013-05-20 코린시언 아프샐믹 인코포레이티드 안과용 약물 전달
EA201390121A8 (ru) 2010-07-15 2014-02-28 Коринтиан Офтэлмик, Инк.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лечения и контроля
ES2835886T3 (es) 2010-07-15 2021-06-23 Eyenovia Inc Dispositivo generador de gotas
US10154923B2 (en) 2010-07-15 2018-12-18 Eyenovia, Inc. Drop generating device
CN102056059B (zh) * 2011-01-05 2014-08-1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功能发声器
JP5960840B2 (ja) 2011-12-12 2016-08-02 アイノビア,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エジェクタ機構、エジェクタ装置及びそれらの使用方法
TW201721014A (zh) * 2015-12-01 2017-06-16 guo-zhang Huang 波浪型發電裝置
JP2017118734A (ja) * 2015-12-25 2017-06-29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振動部付き基板、無音報知デバイスおよび振動モータの製造方法
JP6657058B2 (ja) 2016-11-28 2020-03-04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電子機器
JP6664691B2 (ja) 2016-11-28 2020-03-13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CN115300226A (zh) 2017-06-10 2022-11-08 艾诺维亚股份有限公司 用于将一体积的流体输送到眼睛的设备
KR102238019B1 (ko) * 2020-01-31 2021-05-31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713A (ja) 1998-01-30 1999-08-10 Fuji Xerox Co Ltd 磁気軸受
JP2001231197A (ja) 2000-02-17 2001-08-24 Suzuka Fuji Xerox Co Ltd モータおよびスキャナー用モータ
JP2001232290A (ja) * 1999-12-15 2001-08-2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扁平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63B2 (ja) * 1987-09-30 1996-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偏平ブラシレスモータ
JPH0279762A (ja) * 1988-09-14 1990-03-20 Sony Corp フラット形ブラシレスモータ
JP2736023B2 (ja) * 1994-12-27 1998-04-02 ユニデン株式会社 バイブレータ取付構造、バイブレータ取付用保持具、および、バイブレータ取付方法
JP3281268B2 (ja) * 1996-09-25 2002-05-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機の小型モータ保持装置
US6051900A (en) * 1999-08-03 2000-04-18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Flat coreless vibrator motor having no output shaft
JP2002291197A (ja) * 2001-03-28 2002-10-0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給電機構
KR200268109Y1 (ko) * 2001-12-06 2002-03-15 김정훈 편평형 무정류자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713A (ja) 1998-01-30 1999-08-10 Fuji Xerox Co Ltd 磁気軸受
JP2001232290A (ja) * 1999-12-15 2001-08-2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扁平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1231197A (ja) 2000-02-17 2001-08-24 Suzuka Fuji Xerox Co Ltd モータおよびスキャナー用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1269B2 (en) 2007-01-09
JP3987011B2 (ja) 2007-10-03
KR20060015442A (ko) 2006-02-17
US20060082231A1 (en) 2006-04-20
EP1550514A4 (en) 2016-12-07
JP2005020980A (ja) 2005-01-20
EP1550514B1 (en) 2018-11-07
EP1550514A1 (en) 2005-07-06
WO2004108306A1 (ja)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804B1 (ko) 진동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09509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US7781927B2 (en) Vibration motor
JP2007082393A (ja) ロータ、これを備える振動モータ及びロータの製作方法(rotor、vibrationmotorhavingthesameandfabricatingmethodtherefor)
JP2004112870A (ja) 薄型コアレスモータ
WO2001094035A1 (fr) Vibreur et telephones cellulaires utilisant ce dernier
JP3166757B2 (ja) 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100663262B1 (ko) 편심 로터 및 이를 구비한 진동 모터
JP2005028331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05901B2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1755206A1 (en) Integral brush and vibration motor having the same
JP3894493B2 (ja) 偏心ロータとこの偏心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振動モータ
JP2005012935A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CN100396389C (zh) 振动发生装置及电子设备
JP4015918B2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振動発生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7023077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JP2004147386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129319A (ja)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EP2009772A2 (en) Vibration motor
JP2004195392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8494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CN114553050A (zh) 一种压电马达及电子设备
JP2004320875A (ja) 小型振動用リニアモータ
KR100783537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120054842A (ko) 초소형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