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924B1 -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924B1
KR101108924B1 KR1020107000685A KR20107000685A KR101108924B1 KR 101108924 B1 KR101108924 B1 KR 101108924B1 KR 1020107000685 A KR1020107000685 A KR 1020107000685A KR 20107000685 A KR20107000685 A KR 20107000685A KR 101108924 B1 KR101108924 B1 KR 10110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ntroller
program
remote management
cont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068A (ko
Inventor
쇼조 호가
야스노리 후쿠시게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원격 관리 서버(20)는, 복수의 컨트롤러(10a, 10b, …)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을 기억하고 있다. 조작자는, 그룹 검색 화면(D1), 그룹 정의 화면(D2) 및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정의한다. 이어서, 조작자는,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D5)을 통하여 각 컨트롤러(10a, 10b, …)에 정의한 그룹을 대응짓는다. 이것에 의하여, 원격 관리 서버(20)에 있어서, 각 컨트롤러(10a, 10b, …)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모듈이 용이하게 등록된다.

Description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REMOTE MANAGEMENT DEVICE AND REMO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각각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러를 복수의 컨트롤러의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원격 관리 센터에 설치된 원격 관리 장치에 의하여, 각지에 점재(點在)하는 물건(物件, 물품 등의 동산 외에, 토지, 건물 등의 부동산) 내의 공조 설비나 방재 기기 등의 설비 기기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프로그램 배신(配信, 불특정 다수로 송신) 서비스가 실시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 4). 여기서 말하는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란,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 모듈을, 통신 회선을 통하여 원격 관리 장치로부터 컨트롤러로 배신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는,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수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원격 관리 장치는, 각지의 물건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컨트롤러를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각 컨트롤러는, 그 컨트롤러가 제어하는 설비 기기의 구성이나 그 컨트롤러의 이용자의 형편에 따라, 각각 다른 프로그램 모듈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원격 관리 장치는,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을 효율적으로 실시하는데 있어서, 어느 컨트롤러가 어느 프로그램 모듈을 필요로 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런데, 현상(現狀)에서는, 관리자가 원격 관리 장치에 대하여, 수동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모듈을 하나하나 지정한다고 하는 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국공개특허공보특개2007-078221호 일본국공개특허공보특개2006-244269호 일본국공개특허공보특개2006-244164호 일본국공개특허공보특개2006-209469호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하나하나 지정하여 가는 작업은, 그것을 행하는 관리자에게 있어서 번잡한 것이다. 또한, 근년, 설비 기기의 다양화?고도화와 함께,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수도 증대하여, 그 갱신의 빈도도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프로그램 배신 서비스를 도입하는 컨트롤러의 수도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따라서, 관리자의 부담은 향후 더욱 더 증대하여 갈 것이 예상되고, 나아가서는, 입력 미스 등에 의하여, 이용자에게 잘못된 프로그램 모듈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버린다고 하는 사태도 생길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원격 관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프로그램 기억부와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와 제1 관리 정보 등록부와 통신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컨트롤러를 복수의 컨트롤러의 원격으로부터 관리한다. 복수의 컨트롤러는 각각 설비 기기를 제어한다. 프로그램 기억부는, 복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는,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인다. 그룹 정의 정보는,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그룹을 정의한다. 제1 관리 정보 등록부는, 제1 관리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인다. 제1 관리 정보는 컨트롤러 각각과 그룹을 개별로 대응짓는다. 통신부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을 당해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한다.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는 그룹 정의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제1 관리 정보 등록부는 제1 관리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이 원격 관리 장치는, 복수의 컨트롤러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원격 관리 장치는, 각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의 등록을 받아들이고, 각 컨트롤러에 당해 등록의 내용에 따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원격 관리 장치에의 프로그램의 등록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정의하고, 정의한 그룹을 각 컨트롤러에 대응짓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이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는, 제1 그룹 정의 정보 및 제2 그룹 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인다. 제1 그룹 정의 정보는 제1 그룹을 정의한다. 제1 그룹은,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그룹이다. 제2 그룹 정의 정보는 제2 그룹을 정의한다. 제2 그룹은, 제1 그룹과 다른 그룹이고,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그룹이다.
이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그룹을 복수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보다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는, 제1 그룹 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제1 그룹 정의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이며, 입력된 변경을 제1 그룹 정의 정보에 반영한 것을 제2 그룹 정의 정보로서 등록한다.
이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새로운 그룹(제2 그룹)을 프로그램의 기존의 그룹(제1 그룹)에 기초하여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자는, 프로그램의 그룹을 새롭게 정의하는 경우, 새로운 그룹과 기존의 그룹과의 차이점만을 입력하면 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프로그램의 그룹을 용이하게 정의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그룹에 약간의 변경을 가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그룹을 정의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룹의 정의가 보다 용이해진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2 발명 또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등록 변경부를 더 구비한다. 등록 변경부는, 제1 그룹에 제1 관리 정보에 의하여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괄 표시하고, 일괄 표시된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의 선택을 받아들이며, 선택된 컨트롤러를 제2 그룹에 대응짓도록 제1 관리 정보를 변경한다.
이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조작자는, 어느 그룹(제1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일괄하여, 그 그룹(제1 그룹)과의 대응 관계를 해소시켜 다른 그룹(제2 그룹)을 대응짓는 것이 가능하다. 즉, 어느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전부 또는 일부의 컨트롤러를 새로운 그룹에 다시 대응지을 필요가 있는 경우, 당해 변경에 관련되는 컨트롤러가 복수 존재하고 있는 경우여도, 그들 복수의 컨트롤러에 대하여 개별의 등록 변경을 행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같은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복수의 컨트롤러에 같은 내용의 등록 변경이 필요해진 경우, 조작자에 의한 당해 변경 작업이 용이해진다.
덧붙여, 설비 기기의 신규 기종이 개발?도입되거나, 설비 기기에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에 수정의 필요가 생기거나 등 하였을 경우에는, 특정의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괄하여 변경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생기기 쉽다. 제4 발명은, 특히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그 효과를 발휘한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제2 관리 정보 등록부를 더 구비한다. 제2 관리 정보 등록부는 제2 관리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인다. 제2 관리 정보는 컨트롤러와 프로그램을 대응짓는다.
이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컨트롤러에, 그룹을 이용하는 것 없이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대응지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컨트롤러마다의 사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등록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그룹 정의 정보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와 그룹 식별 정보를 대응짓는 정보이다. 프로그램 식별 정보는 그룹에 속하는 프로그램을 식별한다. 그룹 식별 정보는 그룹을 식별한다.
이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그룹 정의 정보 자체에 프로그램 본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프로그램 본체에 관해서는 프로그램 기억부에서 일원 관리하여 둘 수 있다. 따라서, 같은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복수의 그룹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여도, 같은 프로그램을 각각의 기억 영역에 격납(格納)하여 둘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하여, 기억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통신부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군과 함께, 당해 컨트롤러에 제1 관리 정보에 의하여 대응지어져 있는 그룹을 정의하는 그룹 정의 정보를, 당해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한다.
이 원격 관리 장치는, 각 컨트롤러에, 그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군과, 그 컨트롤러에 대응지어져 있는 그룹의 그룹 정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컨트롤러는, 자신에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을 인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특정부를 더 구비한다. 특정부는, 제1 관리 정보 및 그룹 정의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서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을 특정한다. 통신부는, 복수의 프로그램 중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프로그램만을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한다.
이 원격 관리 장치는, 각 컨트롤러에, 그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만을 제공한다. 이것에 의하여, 여분의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일이 없어, 이 원격 관리 장치 및 컨트롤러 사이에서의 통신 부하가 억제된다.
삭제
삭제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컨트롤러와 원격 관리 장치를 구비한다. 복수의 컨트롤러는, 각각 설비 기기를 제어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복수의 컨트롤러를 복수의 컨트롤러의 원격으로부터 관리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프로그램 기억부와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와 제1 관리 정보 등록부와 원격 측 통신부를 가진다. 프로그램 기억부는, 복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는,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인다. 그룹 정의 정보는,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그룹을 정의한다. 제1 관리 정보 등록부는 제1 관리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인다. 제1 관리 정보는 컨트롤러 각각과 그룹을 개별로 대응짓는다. 원격 측 통신부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을 당해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한다.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측 통신부와 프로그램 실행부를 가진다. 컨트롤러 측 통신부는, 원격 측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프로그램 실행부는, 컨트롤러 측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는 그룹 정의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제1 관리 정보 등록부는 제1 관리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이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 관리 장치가, 복수의 컨트롤러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원격 관리 장치는, 각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의 등록을 받아들이고, 각 컨트롤러에 당해 등록의 내용에 따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원격 관리 장치에의 프로그램의 등록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정의하고, 정의한 그룹을 각 컨트롤러에 대응짓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원격 관리 장치에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이고,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는,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제1 그룹을 정의하는 제1 그룹 정의 정보, 및, 제1 그룹과 다른 그룹이고,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제2 그룹을 정의하는 제2 그룹 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인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보다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그룹을 용이하게 정의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그룹에 약간의 변경을 가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그룹을 정의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룹의 정의가 보다 용이해진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같은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복수의 컨트롤러에 같은 내용의 등록 변경이 필요해진 경우, 조작자에 의한 당해 변경 작업이 용이해진다. 덧붙여, 설비 기기의 신규 기종이 개발?도입되거나, 설비 기기에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에 수정의 필요가 생기거나 등 하였을 경우에는, 특정의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괄하여 변경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생기기 쉽다. 제4 발명은, 특히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그 효과를 발휘한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컨트롤러마다의 사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등록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기억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각 컨트롤러는, 자신에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을 인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에서는, 여분의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일이 없어, 이 원격 관리 장치 및 컨트롤러 사이에서의 통신 부하가 억제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원격 관리 장치에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물건의 구성도.
도 3은 공조 설비의 구성도.
도 4는 컨트롤러의 구성도.
도 5는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도.
도 6은 프로그램 모듈 데이터베이스의 디렉토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그룹 일람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그룹 정의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그룹 검색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그룹 정의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그룹 일괄 변경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어느 컨트롤러에 의하여 관리되는 공조 설비의 구성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어느 컨트롤러에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서버(원격 관리 장치, 20)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체의 구성〕
원격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물건(1a, 1b, …) 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 시스템(40a, 40b, …)을 원격 관리 센터(2)에 있어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원격 관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공조 시스템(40a, 40b, …)과 컨트롤러(10a, 10b, …)와 원격 관리 서버(20)로 구성되어 있다. 물건(1a, 1b, …)은 다양한 지역에 존재하고 있다. 컨트롤러(10a, 10b, …)는 각각 물건(1a, 1b, …) 내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 공조 시스템(40a, 40b, …)을 관리하고 있다. 원격 관리 서버(20)는, 물건(1a, 1b, …)의 원격에 존재하는 원격 관리 센터(2) 내에 설치되어 있고, 컨트롤러(10a, 10b, …)에 인터넷 회선(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물건의 구성〕
물건(1a, 1b, …) 내에는, 각각 공조 시스템(40a, 40b, …)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물건(1a)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그 외의 물건(1b, …)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건(1a)은, 예를 들어, 오피스 빌딩이며, 복수의 구획(7a, 7b, 7c, …)으로 분할되어 있다. 구획(7a, 7b, 7c, …)에는, 각각 공조 시스템(40a)에 포함되는 공조 설비(50a, 50b, 50c, …)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7a)은, 물건(1a) 전체를 관리하는 빌딩 관리 회사가 사용하는 관리실이며, 나머지의 구획(7b, 7c, …)에는 세입자가 들어가 있다. 관리실인 구획(7a)에는, 공조 설비(50a, 50b, 50c, …)를 관리하는 컨트롤러(10a)와, 컨트롤러(10a)가 존재하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5)(이하, LAN)를 인터넷 회선(4)에 접속하는 라우터(30)가 설치되어 있다. 라우터(30)는 파이어월(fire wall) 기능을 가지고 있고, LAN(5) 외의 기기로부터 LAN(5) 내의 컨트롤러(10a)로의 액세스를 금지하고 있다. 덧붙여, 컨트롤러(10a) 측으로부터 LAN(5) 외의 기기 측으로의 문의의 응답에 관해서는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공조 설비의 구성〕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공조 설비(50a)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그 외의 공조 설비(50b, 50c, …)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물건(1a)의 구획(7a) 내를 공기 조화하는 공조 설비(50a)는, 도시되지 않는 압축기나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매 회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조 설비(50a)에는, 각종 센서(42a, 42b, 42c, 42d, 42e, …)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42a)는, 공조 설비(50a)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42b)는, 공조 설비(50a)가 설치되어 있는 물건(1a) 부근의 외기(外氣)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42c)는, 공조 설비(50a)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인 토출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42d)는, 공조 설비(50a)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인 토출압을 검출한다. 센서(42e)는, 공조 설비(50a)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흡입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인 흡입압을 검출한다.
또한, 공조 설비(50a)는 제어부(41)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41)는, 컨트롤러(10a)를 통하여 물건(1a)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이나, 리모컨(43)을 통하여 구획(7a) 내의 일반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공조 설비(50a)의 동작을 제어하는, 즉, 냉매 회로에 포함되는 압축기 등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는, 공조 설비(50a)에 관한 기기 데이터를 컨트롤러(10a)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1)는,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분)으로 제어부(41)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센서(42a, 42b, 42c, 42d, 42e, …)에 있어서 검출된 값을 컨트롤러(10a)를 향하여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41)는, 리모컨(43)을 통하여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즉시 당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10a)를 향하여 송신한다.
〔컨트롤러의 구성〕
이하, 컨트롤러(10a)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그 외의 컨트롤러(10b, …)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컨트롤러(10a)는, 물건(1a) 내의 관리실(7a)에 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물건(1a) 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 설비(50a, 50b, 50c, …)를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내부 통신용의 공조 네트워크(6)를 통하여 관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0a)는, 공조 설비(50a, 50b, 50c, …)에 있어서의 이상(異常)을 검출하거나,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운전 스케줄의 입력을 받아들이거나, 당해 운전 스케줄에 따라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운전을 제어하거나 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10a)는, 라우터(30)를 통하여 인터넷 회선(4)에 접속되고, 나아가, 인터넷 회선(4)을 통하여 원격 관리 센터(2) 내의 원격 관리 서버(20)에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0a)는, 주로 제어부(11), 기억부(12), 인터넷 통신부(13), 공조 측 통신부(14), 출력부(15) 및 입력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 통신부(13)는, 컨트롤러(10a)의 인터넷 회선(4)에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공조 측 통신부(14)는, 컨트롤러(10a)의 공조 네트워크(6)에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억부(12)에는,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12a) 및 일보(日報) 데이터 기억 영역(12b)이 확보되어 있다.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12a)에는, 공조 측 통신부(14)에 의하여 수집되는 공조 설비(50a, 50b, 50c, …)에 관한 기기 데이터가 기억된다.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12a)은, 이와 같은 기기 데이터를 소정의 기간분(본 실시예에서는 30분) 기억하여 두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기억 용량만을 가지고 있고, 새로운 기기 데이터가 취득될 때마다, 차례차례, 가장 오래된 기기 데이터가 소거되어 가도록 되어 있다.
일보 데이터 기억 영역(12b)에는, 컨트롤러(10a)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20)를 향하여 1일 1회 송신되는 일보 데이터의 원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일보 데이터란, 1일분의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운전 이력이나 운전 상태를 정리한 데이터이며, 그 1일에 센서(42a, 42b, 42c, 42d, 42e, …)에 있어서 검출된 값의 최대값?최소값이나, 그 1일의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누적 가동 시간 등을 포함한다. 일보 데이터 기억 영역(12b)에 기억되어 있는 일보 데이터의 원데이터란, 최종적으로 원격 관리 서버(20)를 향하여 송신되게 되는 일보 데이터가 완성되기 전의 가공 도중의 데이터이다. 일보 데이터는,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30분)으로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12a)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공되어 가고, 1일 1회, 소정의 시간에 인터넷 통신부(13)를 통하여 원격 관리 서버(20)를 향하여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일보 데이터의 원격 관리 서버(20)로의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이 끝난 일보 데이터는 일보 데이터 기억 영역(12b)으로부터 소거된다. 즉, 일보 데이터 기억 영역(12b)은, 새롭게 다음날의 일보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하여 명도(明渡)된다.
제어부(11)는,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이상 검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5분)으로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12a)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조 설비(50a, 50b, 50c, …)에 있어서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한다. 덧붙여, 제어부(11)는, 당해 이상 검출 처리를, 공조 설비(50a, 50b, 50c, …) 단위로 실시한다. 이상 검출 프로그램은,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프로그램 모듈은, 인터넷 회선(4)을 통하여 원격 관리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되고, 기억부(12)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을 검출한 제어부(11)는, 이상 경보 발생 데이터를 작성하여, 인터넷 통신부(13)에 원격 관리 서버(20)를 향하여 즉시 송신하게 한다. 덧붙여, 제어부(11)가 이상 검출 프로그램에 의하여 검출하는 이상의 종별로서는, 「이상」 및 「예지」의 2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이상」으로 분류되는 이상이란, 기기가 고장나 있는 상태를 말하고, 「예지」로 분류되는 이상이란, 아직 고장에는 이르지 않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 고장날 것이 예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출력부(15) 및 입력부(16)는, 터치 패널 기능 및 스피커 기능이 딸린 디스플레이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상에는, 공조 설비(50a, 50b, 50c, …)에 대한 제어 명령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버튼 등이 나열되는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당해 버튼을 관리자가 만지면, 그 버튼에 대응하는 처리가 컨트롤러(10a) 내에서 실행되게 된다. 예를 들어, 당해 디스플레이 상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관리자에 의하여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전원을 온(on)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공조 측 통신부(14)를 통하여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제어부(41)에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전원을 온하는 것을 지령하는 제어 명령이 송신되게 된다.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
원격 관리 서버(20)는, 원격 관리 센터(2) 내에 설치되어 있고, 인터넷 회선(4)을 통하여 물건(1a, 1b, …) 내의 컨트롤러(10a, 10b, …)에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20)는, 주로 제어부(21), 기억부(22), 인터넷 통신부(23), 디스플레이(24) 및 입력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원격 관리 서버(20)는, 실제로는 복수대의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컴퓨터군이며, 이들의 컴퓨터가 협동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원격 관리 서버(20)를 구성하고 있다.
인터넷 통신부(23)는, 원격 관리 서버(20)의 인터넷 회선(4)에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인터넷 회선(4)을 통하여 컨트롤러(10a, 10b, …)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상 경보 발생 데이터 및 일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트롤러(10a, 10b, …)에 프로그램 모듈을 송신하거나 한다.
기억부(22)에는, 데이터베이스(22a) 및 데이터 테이블(22b ~ 22e)이 기억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22a) 및 데이터 테이블(22b ~ 22e)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1)는, 컨트롤러(10a, 10b, …)로부터 보내져 온 이상 경보 발생 데이터 및 일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지의 공조 시스템(40a, 40b, …)을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40a, 40b, …)에 있어서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그 공조 시스템(40a, 40b, …)에 서비스 맨을 파견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1)는, 컨트롤러(10a, 10b, …)에 필요한 프로그램 모듈을 인터넷 회선(4)을 통하여 제공한다.
디스플레이(24)는, 후술하는 화면(D1 ~ D5)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26)는, 마우스나 키보드로 구성되어 있고, 조작자로부터의 각종 입력을 받아들인다.
〔각종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테이블〕
이하, 원격 관리 서버(20)의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2a) 및 데이터 테이블(22b ~ 22e)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1) 프로그램 모듈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모듈 데이터베이스(22a)는, 원격 관리 서버(20)의 기억부(22) 내에 확보되어 있는 기억 영역이고, 각지의 컨트롤러(10a, 10b, …)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격납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모듈 데이터베이스(22a) 내에는, 기종군에 1대 1로 대응하는 디렉토리가 설치되어 있다. 각 디렉토리 내에는, 당해 디렉토리에 대응하는 기종군에 속하는 기종에 있어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본체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각 디렉토리의 명칭으로서는, 당해 디렉토리에 대응하는 기종군의 ID가 이용되고 있다.
덧붙여, 기종군이란, 공조 설비(50a, 50b, 50c, …)를 제공하는 제조업자에 의하여 이용되고 있는,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기종을 분류하기 위한 관리상의 그룹이다.
(2) 그룹 일람 테이블
그룹 일람 테이블(22b)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등록하여 두기 위한 테이블이다. 즉, 그룹 일람 테이블(22b)은, 정의가 끝난 그룹의 리스트가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룹 일람 테이블(22b)에는, 「그룹명」 「코멘트」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각 레코드는 하나의 그룹에 대응한다.
각 레코드의 「그룹명」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그룹의 명칭이 격납된다. 그룹의 명칭은, 각 그룹을 일의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각 레코드의 「코멘트」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그룹이 어떠한 그룹인지를 설명하기 위한 코멘트가 격납된다.
(3) 그룹 정의 테이블
그룹 정의 테이블(22c)은, 각 그룹이 어느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등록하여 두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룹 정의 테이블(22c)에는, 「그룹명」 「모듈명」 「기종군 ID」 「기종 ID」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각 레코드는, 하나의 그룹과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과의 대응 관계를 정의하는 것과 함께, 당해 프로그램 모듈이 어느 기종군에 속하는 어느 기종의 공조 설비(50a, 50b, 50c, …)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한다.
각 레코드의 「그룹명」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그룹의 명칭이 격납된다. 각 레코드의 「모듈명」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이 격납된다. 각 레코드의 「기종군 ID」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기종군의 ID가 격납된다. 각 레코드의 「기종 ID」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기종의 ID가 격납된다. 덧붙여, 각 레코드의 「기종군 ID」 필드의 값과 「모듈명」 필드의 값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이 일의로 식별되게 된다(도 6 참조).
(4)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은, 각지의 컨트롤러(10a, 10b, …)에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을 할당하는 정보를 등록하여 두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에는, 「컨트롤러 ID」 「그룹명」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각 레코드는, 하나의 컨트롤러와 하나의 그룹과의 대응 관계를 정의한다.
각 레코드의 「컨트롤러 ID」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컨트롤러의 ID가 격납된다. 각 레코드의 「그룹명」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그룹의 명칭이 격납된다.
(5)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은, 각지의 컨트롤러(10a, 10b, …)에 프로그램 모듈을 할당하는 정보를 등록하여 두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에는, 「컨트롤러 ID」 「모듈명」 「기종군 ID」 「기종 ID」 「설비 ID」 필드가 정의되어 있다. 각 레코드는, 하나의 컨트롤러와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과의 대응 관계를 정의하는 것과 함께, 당해 프로그램 모듈이 어느 기종군에 속하는 어느 기종의 어느 공조 설비(50a, 50b, 50c, …)에서 실행되어야 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한다.
각 레코드의 「컨트롤러 ID」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컨트롤러의 ID가 격납된다. 각 레코드의 「모듈명」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이 격납된다. 각 레코드의 「기종군 ID」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기종군의 ID가 격납된다. 각 레코드의 「기종 ID」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기종의 ID가 격납된다. 덧붙여, 각 레코드의 「기종군 ID」 필드의 값과 「모듈명」 필드의 값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이 일의로 식별되게 된다. 각 레코드의 「설비 ID」 필드에는,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공조 설비(50a, 50b, 50c, …)의 ID가 격납된다.
<각종 등록 처리>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을 정의할 때의 처리의 흐름〕
이하에, 조작자가 원격 관리 서버(20)에 있어서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을 정의할 때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조작자는 마우스나 키보드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6)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24) 상에 그룹 검색 화면(D1, 도 11 참조)을 표시시킨다.
그룹 검색 화면(D1) 상에는 신규 작성 버튼(D12)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신규 작성 버튼(D12)이 눌리면, 디스플레이(24) 상의 표시가 그룹 검색 화면(D1)으로부터 그룹 정의 화면(D2, 도 12 참조)으로 전환된다. 그룹 정의 화면(D2)은, 그룹마다 작성되는 화면이며, 조작자에게 그룹과 프로그램 모듈을 대응짓는 설정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이다.
또한, 그룹 검색 화면(D1) 상에는, 새롭게 정의하려고 하는 그룹의 모형으로 되는 그룹의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D1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란(D11)에 모형으로 되는 그룹의 명칭이 입력된 상태로 신규 작성 버튼(D12)이 눌리면, 당해 모형으로 되는 그룹에 변경을 가한다고 하는 작업 형식으로 새로운 그룹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모형으로 되는 그룹을 선택 가능한 당해 기능은, 새롭게 정의하려고 하는 그룹이 등록이 끝난 그룹에 약간의 변경을 가할 뿐의 것인 경우에 편리한 기능이다.
입력란(D11)은 풀다운(pull-down)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미 원격 관리 서버(20)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의 명칭의 일람이, 풀다운 메뉴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모형으로 되는 그룹의 명칭을, 표시된 그룹의 명칭의 일람 중에서 선택하면 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모형으로 되는 그룹을 선택하는 것 없이, 처음부터 그룹의 내용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자는, 입력란(D11)에 있어서 풀다운 메뉴 중에서 공백을 선택하면 된다.
대신에, 그룹 정의 화면(D2) 상에는, 그룹명 설정란(D21), 코멘트 설정란(D22) 및 모듈 표시란(D2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는, 그룹명 설정란(D21)에 그룹의 명칭을 입력하고, 코멘트 설정란(D22)에 당해 그룹을 설명하는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듈 표시란(D23)에는, 당해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이 표시된다. 어느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은, 그룹 정의 테이블(22c)을 참조하여 판단된다. 모듈 표시란(D23)은, 하나 또는 복수의 행(D23a)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행(D23a)은, 그룹 정의 테이블(22c) 내의 하나의 레코드에 대응하는 것이며, 횡 방향으로 「모듈명」 「기종군 ID」 「기종 ID」를 표시한다.
덧붙여, 그룹 검색 화면(D1) 상에 있어서 모형으로 되는 그룹이 선택된 상태로 신규 작성 버튼(D12)이 눌린 경우에는, 그룹 정의 화면(D2) 상의 그룹명 설정란(D21), 코멘트 설정란(D22) 및 모듈 표시란(D23)에는, 각각 디폴트값으로서 당해 모형으로 되는 그룹의 명칭, 당해 모형으로 되는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코멘트 및 당해 모형으로 되는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이 표시된다. 한편, 그룹 검색 화면(D1) 상에 있어서 모형으로 되는 그룹이 선택되지 않은 채로 신규 작성 버튼(D12)이 눌린 경우에는, 그룹 정의 화면(D2) 상의 그룹명 설정란(D21), 코멘트 설정란(D22) 및 모듈 표시란(D23)에는, 각각 디폴트값으로서 공백이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자에 의하여 각 행(D23a)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편집 버튼(D24)이 눌리면, 디스플레이(24) 상에 그 행(D23a)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 도 13 참조)이 표시된다.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은, 그룹 정의 화면(D2) 상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화면이다.
한편, 조작자에 의하여 각 행(D23a)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는 삭제 버튼(D25)이 눌리면, 그 행(D23a)이 모듈 표시란(D23) 상으로부터 소거된다.
또한, 조작자가, 추가 버튼(D26)을 누른 경우에도, 디스플레이(24) 상에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 도 13 참조)이 표시된다.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 상에는, 「모듈명」 「기종군 ID」 「기종 ID」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란(D31 ~ D33)이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추가 버튼(D26)이 눌린 것에 의하여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으로 천이(遷移)한 경우에는, 각 입력란(D31 ~ D33)에는 디폴트값으로서 공백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편집 버튼(D24)이 눌린 것에 의하여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으로 천이한 경우에는, 각 입력란(D31 ~ D33)에는 디폴트값으로서 당해 편집 버튼(D24)에 대응하는 행(D23a)에 표시되어 있던 각 값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조작자가, 각 입력란(D31 ~ D33)에 표시되어 있던 디폴트값에 변경을 가하여 최종적으로 선택해야 할 값을 입력하고, OK 버튼(D35)을 누르면, 디스플레이(24) 상에는 재차, 그룹 정의 화면(D2, 도 12 참조)이 표시된다. 이때의 그룹 정의 화면(D2) 상의 모듈 표시란(D23)에는, 직전의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D3) 상에서 입력된 값이 표시된다.
나아가, 그룹 정의 화면(D2) 상에는 등록 버튼(D27)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등록 버튼(D27)이 눌리면, 그 취지를 제어부(21)가 검출한다. 그리고, 등록 버튼(D27)이 눌린 취지를 검출한 제어부(21)는, 그룹 일람 테이블(22b) 및 그룹 정의 테이블(22c) 내에 신규 레코드를 추가하거나, 혹은 기존의 레코드의 내용을 변경한다. 즉, 제어부(21)는, 등록 버튼(D27)의 압압(押壓) 시에 그룹 정의 화면(D2) 상에 입력 내지 표시되어 있던 내용을, 그룹 일람 테이블(22b) 및 그룹 정의 테이블(22c) 내의 레코드에 반영한다.
되돌아와, 그룹 검색 화면(D1, 도 11 참조) 상에는, 그룹명 입력란(D13), 검색 버튼(D14) 및 그룹 표시란(D15)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검색 버튼(D14)이 눌리면, 그룹 표시란(D15)에 하나 또는 복수의 행(D15a)이 표시된다. 각 행(D15a)은, 그룹 일람 테이블(22b) 내의 레코드에 1대 1로 대응한다. 각 행(D15a)에는, 당해 행(D15a)에 대응하는 레코드의 「그룹명」 「코멘트」 필드의 값이 가로로 나열된 상태로 표시된다. 덧붙여, 그룹명 입력란(D13)이 공백의 상태로 검색 버튼(D14)이 눌린 경우에는, 그룹 표시란(D15)에는, 모든 그룹에 대응하는 행(D15a)이 표시된다. 한편, 그룹명 입력란(D13)에 문자열이 입력된 상태로 검색 버튼(D14)이 눌린 경우에는, 그룹명에 당해 문자열을 포함하는 그룹의 일람이 그룹 표시란(D15)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조작자에 의하여 각 행(D15a)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편집 버튼(D16)이 눌리면, 디스플레이(24) 상에 그 행(D15a)에 대응하는 그룹을 정의하기 위한 그룹 정의 화면(D2, 도 12 참조)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자는, 정의가 끝난 그룹의 등록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그룹 검색 화면(D1) 상에 있어서 편집 버튼(D16)이 눌린 것에 의하여 그룹 정의 화면(D2)으로 천이한 경우에는, 그룹명 설정란(D21), 코멘트 설정란(D22) 및 모듈 표시란(D23)에는, 각각 디폴트값으로서 당해 편집 버튼(D16)에 대응하는 그룹의 명칭, 당해 편집 버튼(D16)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코멘트 및 당해 편집 버튼(D16)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이 표시된다.
〔컨트롤러에 프로그램 모듈을 대응지을 때의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조작자가 원격 관리 서버(20)에 있어서 컨트롤러(10a, 10b, …)에 프로그램 모듈을 대응지을 때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덧붙여, 컨트롤러(10a, 10b, …)에 프로그램 모듈을 대응짓는 방법으로서는, 컨트롤러(10a, 10b, …)에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을 대응짓는 것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대응짓는 방법과, 컨트롤러(10a, 10b, …)에 프로그램 모듈을 직접적으로 대응짓는 방법이 있다.
우선, 조작자는, 마우스나 키보드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6)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24) 상에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D5, 도 15 참조)을 표시시킨다.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D5)은 컨트롤러(10a, 10b, …)마다 작성되는 화면이다.
어느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하는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D5) 상에는, 그 컨트롤러(10a, 10b, …)에 현재 대응지어져 있는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 및 프로그램 모듈을 표시하는 현재값 표시란(D51)이 설치되어 있다. 어느 컨트롤러(10a, 10b, …)에 현재 대응지어져 있는 그룹 및 프로그램 모듈은,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및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을 참조하여 판단된다.
또한, 어느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하는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D5) 상에는, 그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짓는 그룹의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D5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란(D53)에 그룹의 명칭이 입력된 상태로 등록 버튼(D55)이 눌리면, 당해 그룹의 명칭을 표시하는 행(D51a)이 현재값 표시란(D51)에 추가된다. 또한, 하나의 행(D51a)의 추가와 함께,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내에는 당해 행(D51a)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하나 추가된다. 현재값 표시란(D51) 상의 각 행(D51a)은, 그 행(D51a)의 좌측의 삭제 버튼(D52)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소거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내로부터, 당해 행(D51a)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삭제된다.
덧붙여, 입력란(D53)은 풀다운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미 원격 관리 서버(20)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의 일람이, 풀다운 메뉴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지으려 하고 있는 그룹을, 표시된 그룹의 일람 중에서 선택하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느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하는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D5) 상에는, 그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짓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D54)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란(D54)에 「모듈명」 「기종군 ID」 「기종 ID」 「설비 ID」가 입력된 상태로 등록 버튼(D55)이 눌리면, 당해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을 표시하는 행(D51b)이 현재값 표시란(D51)에 추가된다. 또한, 하나의 행(D51b)의 추가와 함께,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 내에는 당해 행(D51b)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하나 추가된다. 현재값 표시란(D51) 상의 각 행(D51b)은, 그 행(D51b)의 좌측의 삭제 버튼(D52)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소거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 내로부터, 당해 행(D51b)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삭제된다.
〔컨트롤러별 등록 내용의 일괄 변경 처리의 흐름〕
원격 관리 서버(20)에는, 컨트롤러(10a, 10b, …)와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과의 대응 관계를 그룹마다 일괄 변경하는 기능이 실장(實裝, 전자 부품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것)되어 있다. 당해 기능은, 같은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10a, 10b, …)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일괄하여, 당해 그룹과의 대응 관계를 해소시켜 다른 그룹과의 대응 관계를 구축시키는 기능이다.
조작자에 의하여 그룹 검색 화면(D1) 상의 각 행(D15a)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일괄 변경 버튼(D17)이 눌리면, 디스플레이(24) 상에 그 행(D15a)에 대응하는 그룹과 컨트롤러(10a, 10b, …)와의 대응 관계를 일괄하여 변경하기 위한 그룹 일괄 변경 화면(D4, 도 14 참조)이 표시된다.
그룹 일괄 변경 화면(D4) 상에는, 컨트롤러 ID 입력란(D41), 검색 버튼(D42) 및 컨트롤러 표시란(D45)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에 의하여 검색 버튼(D42)이 눌리면, 컨트롤러 표시란(D45)에 하나 또는 복수의 행(D45a)이 표시된다. 각 행(D45a)에는, 당해 그룹 일괄 변경 화면(D4)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10a, 10b, …)의 ID 및 명칭이 하나씩 표시된다. 당해 그룹 일괄 변경 화면(D4)에 대응하는 그룹과 컨트롤러(10a, 10b, …)와의 대응 관계는,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을 참조하여 판단된다. 덧붙여, 컨트롤러 ID 입력란(D41)이 공백의 상태로 검색 버튼(D42)이 눌린 경우에는, 컨트롤러 표시란(D45)에는, 당해 그룹 일괄 변경 화면(D4)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모든 컨트롤러(10a, 10b, …)의 ID 및 명칭이 표시된다. 한편, 컨트롤러 ID 입력란(D41)에 문자열이 입력된 상태로 검색 버튼(D42)이 눌린 경우에는, ID에 당해 문자열을 포함하는 컨트롤러(10a, 10b, …)의 일람이 컨트롤러 표시란(D45)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 표시란(D45)의 각 행(D45a)의 좌측에는, 체크 박스(D47)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는, 각 체크 박스(D47)에 하나씩 체크 마크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두 선택 버튼(D46)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모든 체크 박스(D47)에 한꺼번에 체크 마크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룹명 입력란(D43)은, 변경처의 그룹명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룹명 입력란(D43)은 풀다운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미 원격 관리 서버(20)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의 명칭의 일람이, 풀다운 메뉴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변경처의 그룹의 명칭을, 표시된 그룹의 명칭의 일람 중에서 선택하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에 의하여 변경 버튼(D48)이 눌리면, 변경 버튼(D48)의 압압 시에 그룹 일괄 변경 화면(D4) 상에서 지정되어 있던 변경 내용이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에 반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1)는,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중에서, 「그룹명」 필드에 당해 그룹 일괄 변경 화면(D4)에 대응하는 그룹의 명칭이 격납되어 있고, 또한, 「컨트롤러 ID」 필드에 조작자에 의하여 변경 버튼(D48)의 압압 시에 체크되어 있던 컨트롤러(10a, 10b, …)의 ID가 격납되어 있는 레코드를 추출한다. 조작자에 의하여 체크가 이루어지고 있었는지 여부는, 체크 박스(D47) 내의 체크 마크의 유무에 의하여 판단된다. 그리고, 추출한 레코드의 「그룹명」 필드의 값을, 변경 버튼(D48)의 압압 시에 그룹명 입력란(D43)에 있어서 입력되어 있던 그룹명으로 갱신한다.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원격 관리 서버(20)로부터 각 컨트롤러(10a, 10b, …)로 프로그램 모듈이 배신되는 처리의 흐름에 관하여 설명한다.
원격 관리 서버(20)로부터 각 컨트롤러(10a, 10b, …)로의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의 타이밍은, 각 컨트롤러(10a, 10b, …)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20)로의 일보 데이터의 송신 시로 되어 있다. 원격 관리 서버(20) 측으로부터 각 컨트롤러(10a, 10b, …) 측으로의 액세스는, 파이어월 기능을 가지는 라우터(30)의 존재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1일 1회 정기적으로 행하여지는 각 컨트롤러(10a, 10b, …) 측으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20) 측으로의 문의 시에, 그 응답으로서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일보 데이터에는, 송신원의 컨트롤러(10a, 10b, …)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 컨트롤러(10a)로부터 일보 데이터가 보내져 온 경우를 예로 하여, 원격 관리 서버(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덧붙여, 컨트롤러(10a)에 의하여 관리되는 공조 설비(50a, 50b, 50c)의 「기종군 ID」 「기종 ID」 「설비 ID」는 각각 도 16과 같이 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컨트롤러(10a)에는 공조 설비(50a, 50b, 50c) 이외의 공조 설비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정보는, 컨트롤러(10a)의 ID에 관련지어져 원격 관리 서버(20)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원격 관리 서버(20)의 제어부(21)는, 인터넷 통신부(23)를 통하여 컨트롤러(10a)로부터의 일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및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을 참조하여, 컨트롤러(10a)에 대응지어져 있는 그룹의 명칭 및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을 도출한다. 이어서, 제어부(21)는, 그룹 정의 테이블(22c)을 참조하여, 도출한 그룹에 속하는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 등을 도출한다. 이 단계에서, 도 17에 도시하는 정보가 도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기종 ID의 란의 「ALL」은, 대응하는 기종군 ID에 속하는 모든 기종 ID를 의미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표는, 7개의 행 데이터 1 ~ 7로 구성되어 있지만, 행 데이터 1 ~ 6은,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및 그룹 정의 테이블(22c)을 참조하여 도출된 데이터로 되어 있고, 설비 ID까지 도출되어 있는 행 데이터 7은,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을 참조하여 도출된 데이터로 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부(21)는, 도 17에 도시하는 정보를 격납하는 파일(이하, 인덱스 파일)에 의하여 지정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인덱스 파일과 함께, 인터넷 통신부(23)를 통하여 컨트롤러(10a)로 송신한다. 이때 송신되는 프로그램 모듈은, 구체적으로는, (모듈명, 기종군 ID) = (N01, BL)(N02, BL)(N01, SA)(N03, RS)(N03, BL)에 의하여 특정되는 5개의 프로그램 모듈이다.
한편, 컨트롤러(10a)에서는, 이들 5개의 프로그램 모듈과 인덱스 파일이 기억부(12)에 기억된다. 그리고, 다음으로 이상 검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타이밍이 찾아왔을 때에, 제어부(11)에 의하여 이들의 프로그램 모듈이 실행된다. 덧붙여, 제어부(11)는,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여, 공조 설비(50a)에 관해서는 (모듈명, 기종군 ID) = (N01, BL)(N02, BL)로 특정되는 2개의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고, 공조 설비(50b)에 관해서는 (모듈명, 기종군 ID) = (N01, BL)(N02, BL)(N03, BL)로 특정되는 3개의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며, 공조 설비(50c)에 관해서는 (모듈명, 기종군 ID) = (N03, RS)로 특정되는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한다. (모듈명, 기종군 ID) = (N01, SA)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은 실행되지 않는다. 즉, 컨트롤러(10a)는,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공조 설비(50a, 50b, 50c)마다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모듈만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징〕
(1)
원격 관리 서버(20)는, 복수의 컨트롤러(10a, 10b, …)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원격 관리 서버(20)는, 각 컨트롤러(10a, 10b, …)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 모듈의 등록을 받아들이고, 각 컨트롤러(10a, 10b, …)에 당해 등록의 내용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을 제공한다. 원격 관리 서버(20)에의 프로그램 모듈의 등록은, 조작자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정의하고, 정의한 그룹을 각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짓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원격 관리 서버(20)에서는, 각 컨트롤러(10a, 10b, …)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
(2)
원격 관리 서버(20)에서는, 프로그램 모듈의 새로운 그룹을, 프로그램 모듈의 기존의 그룹을 모형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자는, 그룹을 새롭게 정의하는 경우, 새로운 그룹과 기존의 그룹과의 차이점만을 입력하면 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을 용이하게 정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기존의 그룹에 약간의 변경을 가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그룹을 정의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룹의 정의가 보다 용이해진다.
(3)
원격 관리 서버(20)에서는, 어느 프로그램 모듈의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일괄하여, 그 그룹과의 대응 관계를 해소시켜, 다른 그룹과의 대응 관계를 구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같은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복수의 컨트롤러에 같은 내용의 등록 변경이 필요해진 경우에, 조작자에 의한 당해 변경 작업이 용이해진다.
덧붙여, 공조 설비의 신규 기종이 개발?도입되거나, 공조 설비(50a, 50b, 50c, …)에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 모듈에 수정의 필요가 생기거나 등 하였을 경우에는, 특정의 그룹에 대응지어져 있는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괄하여 변경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생기기 쉽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20)는, 특히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그 효과를 발휘한다.
(4)
원격 관리 서버(20)에서는, 컨트롤러(10a, 10b, …)에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대응지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컨트롤러(10a, 10b, …)마다의 사정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1)
공조 설비(50a, 50b, 50c, …) 이외의 설비 기기가, 컨트롤러(10a, 10b, …)의 관리 대상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a, 10b, …)의 관리 대상으로 되는 설비 기기가 방재 기기여도 무방하고, 조명 기기여도 무방하고, 공조 설비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설비 기기가 조합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2)
컨트롤러(10a, 10b, …)와 원격 관리 서버(20)가, 인터넷 회선(4) 이외의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전화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3)
상기 각 화면(D1 ~ D5)은, 인터넷 회선(4)을 통하여 원격 관리 서버(20)에 액세스 가능한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있어서도 표시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원격 관리 서버(20)에의 각종 등록을, 원격 관리 서버(20)의 원격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4)
원격 관리 서버(20)로부터 컨트롤러(10a, 10b, …)로 배신되는 프로그램 모듈은, 이상 검출에 관련되는 것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은, 여러가지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에 이용될 수 있다.
(5)
컨트롤러(10a, 10b, …)가 각각 공조 시스템(40a, 40b, …)에 내장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공조 시스템(40a, 40b, …)이 각각 상기 컨트롤러(10a, 10b, …)의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별체의 컨트롤러(10a, 10b, …)를 통하는 것 없이 원격 관리 서버(20)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컨트롤러(10a, 10b, …)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20)로 일보 데이터가 보내져 올 때마다, 그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지어져 있는 모든 프로그램 모듈이 원격 관리 서버(20)로부터 그 컨트롤러(10a, 10b, …)로 배신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이미 배신이 끝난 프로그램 모듈에 관해서는, 반복하여 배신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예를 들어,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및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에 「배신 상황」 필드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배신 상황」 필드에는,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이 「배신 상황」 필드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어느 컨트롤러(10a, 10b, …)로부터의 일보 데이터의 수신 시에, 그 컨트롤러(10a, 10b, …)에 대응지어져 있는 각 프로그램 모듈이 배신이 끝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배신이 끝난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을 하지 않고, 배신이 아직도 이루어져 있지 않은 프로그램 모듈만을 컨트롤러(10a, 10b, …)로 송신한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20)로부터 컨트롤러(10a, 10b, …)로의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의 타이밍은, 컨트롤러(10a, 10b, …)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20)로의 일보 데이터의 송신 시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 컨트롤러(10a, 10b, …)의 시운전 시에 있어서도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즉, 프로그램 모듈의 배신은, 컨트롤러(10a, 10b, …) 측으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20) 측으로 문의가 행하여지는 임의의 타이밍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8)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20)로부터 컨트롤러(10a, 10b, …)로 배신되는 프로그램 모듈 중에는, 당해 컨트롤러(10a, 10b, …)에 있어서 실행되는 일이 없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원격 관리 서버(20)에 있어서, 제어부(21)가,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22d), 그룹 정의 테이블(22c) 및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22e)을 참조하여, 송신처의 컨트롤러(10a, 10b, …)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 모듈을 특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어부(21)에 의하여 특정된 프로그램 모듈만이, 인터넷 통신부(23)로부터 당해 컨트롤러(10a, 10b, …)로 송신된다.
당해 변형예에서는, 각 컨트롤러(10a, 10b, …)에, 그 컨트롤러(10a, 10b, …)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 모듈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여분의 프로그램 모듈이 송신되는 일이 없어, 통신 부하가 억제된다.
본 발명은, 각각 설비 기기를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러를 복수의 컨트롤러의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서 유용하고, 각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되는 프로그램을 원격 관리 장치에 용이하게 등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1a, 1b, … : 물건
2 : 원격 관리 센터
10a, 10b, … : 컨트롤러
11 : 제어부(프로그램 실행부)
13 : 인터넷 통신부(컨트롤러 측 통신부)
20 : 원격 관리 서버(원격 관리 장치)
21 : 제어부
22 : 기억부
22a : 프로그램 모듈 데이터베이스(프로그램 기억부)
22c : 그룹 정의 테이블
22d : 컨트롤러별 그룹 등록 테이블
22e :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테이블
23 : 인터넷 통신부(통신부, 원격 측 통신부)
40a, 40b, … : 공조 시스템(설비 기기)
100 : 원격 관리 시스템
D1 : 그룹 검색 화면
D2 : 그룹 정의 화면
D3 : 프로그램 모듈 설정 화면
D4 : 그룹 일괄 변경 화면
D5 : 컨트롤러별 프로그램 모듈 등록 화면

Claims (10)

  1. 각각 설비 기기(40a, 40b, …)를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러(10a, 10b, …)를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의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20)이고,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부(22a)와,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그룹을 정의하는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21, 22c, D1 ~ D3)와,
    상기 컨트롤러 각각과 상기 그룹을 개별로 대응짓는 제1 관리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제1 관리 정보 등록부(21, 22d, D5)와,
    상기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상기 프로그램을 당해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하는 통신부(23)
    를 구비하고,
    상기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21, 22c, D1 ~ D3)는, 상기 그룹 정의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상기 제1 관리 정보 등록부(21, 22d, D5)는, 상기 제1 관리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원격 관리 장치(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21, 22c, D1 ~ D3)는,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제1 그룹을 정의하는 제1 그룹 정의 정보, 및, 상기 제1 그룹과 다른 그룹이고,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제2 그룹을 정의하는 제2 그룹 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원격 관리 장치(2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21, 22c, D1 ~ D3)는, 상기 제1 그룹 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제1 그룹 정의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이며, 입력된 상기 변경을 상기 제1 그룹 정의 정보에 반영한 것을 상기 제2 그룹 정의 정보로서 등록하는,
    원격 관리 장치(2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상기 제1 관리 정보에 의하여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컨트롤러(10a, 10b, …)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괄 표시하고, 일괄 표시된 상기 컨트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의 선택을 받아들이며, 선택된 상기 컨트롤러를 상기 제2 그룹에 대응짓도록 상기 제1 관리 정보를 변경하는 등록 변경부(21, 22d, D4)
    를 더 구비하는,
    원격 관리 장치(2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0a, 10b, …)와 상기 프로그램을 대응짓는 제2 관리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제2 관리 정보 등록부(21, 22e, D5)
    를 더 구비하는,
    원격 관리 장치(2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의 정보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상기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프로그램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 정보를 대응짓는 정보인,
    원격 관리 장치(2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23)는, 상기 컨트롤러(10a, 10b, …)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군과 함께, 당해 컨트롤러에 상기 제1 관리 정보에 의하여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그룹을 정의하는 상기 그룹 정의 정보를, 당해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하는,
    원격 관리 장치(20).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정보 및 상기 그룹 정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컨트롤러(10a, 10b, …)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상기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특정부(21)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23)는,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상기 프로그램만을 상기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하는,
    원격 관리 장치(20).
  9. 각각 설비 기기(40a, 40b, …)를 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러(10a, 10b, …)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를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의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20)
    를 구비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이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10a, 10b, …)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복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부(22a)와,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그룹을 정의하는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21, 22c, D1 ~ D3)와,
    상기 컨트롤러 각각과 상기 그룹을 개별로 대응짓는 제1 관리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제1 관리 정보 등록부(21, 22d, D5)와,
    상기 컨트롤러에 있어서 실행되어야 할 상기 프로그램을 당해 컨트롤러를 향하여 송신하는 원격 측 통신부(23)
    를 가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격 측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컨트롤러 측 통신부(13)와,
    상기 컨트롤러 측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11)
    를 가지고,
    상기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21, 22c, D1 ~ D3)는, 상기 그룹 정의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상기 제1 관리 정보 등록부(21, 22d, D5)는, 상기 제1 관리 정보에 대한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원격 관리 시스템(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의 정보 등록부(21, 22c, D1 ~ D3)는,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제1 그룹을 정의하는 제1 그룹 정의 정보, 및, 상기 제1 그룹과 다른 그룹이고,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요소로 하는 제2 그룹을 정의하는 제2 그룹 정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그룹 정의 정보의 등록을 받아들이는,
    원격 관리 시스템(100).
KR1020107000685A 2007-06-25 2008-06-20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108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65883 2007-06-25
JP2007165883A JP2009003830A (ja) 2007-06-25 2007-06-25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PCT/JP2008/061301 WO2009001761A1 (ja) 2007-06-25 2008-06-20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068A KR20100018068A (ko) 2010-02-16
KR101108924B1 true KR101108924B1 (ko) 2012-02-07

Family

ID=4018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685A KR101108924B1 (ko) 2007-06-25 2008-06-20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85758A1 (ko)
EP (1) EP2175364A1 (ko)
JP (1) JP2009003830A (ko)
KR (1) KR101108924B1 (ko)
CN (1) CN101689118A (ko)
AU (1) AU2008268199B2 (ko)
WO (1) WO2009001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3391B2 (ja) * 2009-05-01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保護制御装置
KR101214488B1 (ko) * 2010-02-04 2012-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JP5593720B2 (ja) * 2010-02-10 2014-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装置およ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US9063775B2 (en) 2011-09-01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vent aggregation for background work execution
US9032413B2 (en) 2011-09-01 2015-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coupling background work and foreground work
KR101343589B1 (ko) * 2011-11-09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305292B1 (ko) * 2011-11-2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JP5797536B2 (ja) * 2011-11-28 2015-10-21 アズビル株式会社 機器状態表示装置および機器状態表示方法
US9164803B2 (en) 2012-01-20 2015-10-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ckground task resource control
WO2013171889A1 (ja) * 2012-05-17 2013-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89236B2 (en) 2012-10-31 2016-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prioritization
US10274910B2 (en) 2013-01-25 201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20140222980A1 (en) * 2013-02-04 2014-08-07 Ricoh Company, Lt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including remote configuration of device preference settings
JP6044527B2 (ja) * 2013-11-29 2016-12-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05899887B (zh) * 2014-03-27 2018-12-25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管理系统
KR101708330B1 (ko) * 2015-03-12 2017-02-20 김귀찬 종합정보서버를 이용한 극한 작업 환경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자동화 장비의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16363B2 (ja) * 2016-09-14 2018-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CN110294372B (zh) * 2018-03-23 2023-02-28 奥的斯电梯公司 一种无线信号装置、电梯服务请求系统和方法
JP7212500B2 (ja) * 2018-10-31 2023-0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遠隔管理装置及び遠隔管理システム
WO2020153021A1 (ja) * 2019-01-24 2020-07-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配信方法
JP7303424B2 (ja) * 2019-05-22 2023-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7294950B2 (ja) * 2019-08-23 2023-06-2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家電機器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985621B2 (ja) * 2019-11-26 2021-1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管理システム
JPWO2022168193A1 (ko) * 2021-02-03 2022-08-11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294A (ja) * 2003-07-17 2005-02-10 Fanuc Ltd 制御装置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779B2 (ja) * 1980-08-13 1984-10-24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制御方式
US5796951A (en) * 1995-12-22 1998-08-18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computer network including association devices with tasks performable on those devices
US7085385B2 (en) * 2002-01-04 2006-08-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strong encryption using existing SSL connection for secure key exchange
US7293102B2 (en) * 2002-03-26 2007-1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data and replaying stored data in a temporally accurate manner
JP2003276284A (ja) * 2002-03-26 2003-09-30 Kyocera Mita Corp 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る画像形成装置
KR100484144B1 (ko) * 2002-06-20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및 원격 관리 방법
EP1518198A2 (en) * 2002-07-03 2005-03-30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nsor installation
US7933967B2 (en) * 2003-06-25 2011-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multaneous sharing of storage drives on blade center
US7321929B2 (en) * 2003-08-01 2008-01-22 Network Appliance, Inc. Programmable remote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locally or remotely controlling and/or configuring a communication network switch
US7197365B2 (en) * 2004-02-13 2007-03-27 Sanyo Electric Co., Ltd. Controller, program product, and storage medium
JP2006209469A (ja) 2005-01-28 2006-08-10 Daikin Ind Ltd 機器管理装置、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
JP2006244164A (ja) 2005-03-03 2006-09-14 Daikin Ind Ltd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機器管理装置
JP2006244269A (ja) 2005-03-04 2006-09-14 Daikin Ind Ltd 設備管理装置、プログラム更新システム、設備管理プログラム更新方法、起動プログラム、および設備管理プログラム
JP4274163B2 (ja) 2005-09-13 2009-06-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US8543996B2 (en) * 2005-11-18 2013-09-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wind farm software
US8050268B2 (en) * 2006-04-18 2011-11-01 Fluk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P management traffic consolidation
US8055719B2 (en) * 2008-07-16 2011-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formance and reduce network traffic for remote hardware data scan oper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294A (ja) * 2003-07-17 2005-02-10 Fanuc Ltd 制御装置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5364A1 (en) 2010-04-14
CN101689118A (zh) 2010-03-31
JP2009003830A (ja) 2009-01-08
KR20100018068A (ko) 2010-02-16
AU2008268199A1 (en) 2008-12-31
WO2009001761A1 (ja) 2008-12-31
AU2008268199B2 (en) 2012-04-05
US20100185758A1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924B1 (ko)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JP5382169B1 (ja) 空調管理システム
US2021035992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060159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placing nodes in a network
JP5589928B2 (ja) 空調システム
CN101589351A (zh) 便于用户定制的建筑物自动化系统
US20150134814A1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US9863658B2 (en) 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gning rooms based on air conditioner state and room temperature
EP2237484B1 (en)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59593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운전 방법
US20200394730A1 (en) Facility management local server and proxy management center server
JPH10268933A (ja) ビル管理装置およびビル管理方法
JP2008271474A (ja) 遠隔管理装置
JP3641137B2 (ja) 分散制御システム
JP2019020033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8032288A (ja) 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制御システム
JP2015197230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JP4539094B2 (ja) 修理結果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JP2005223786A (ja) 複数機器監視システム
JP6435352B2 (ja) 空調管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0266390A (ja) 空調機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5293549A (ja) 設備機器の遠隔監視装置、及び設備機器監視システム
JP2008267765A (ja) 遠隔管理装置
CN113906258B (zh) 空调冷热设备管理装置
JP4966071B2 (ja) 設備機器のチャネル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