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92B1 -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292B1
KR101305292B1 KR1020110125258A KR20110125258A KR101305292B1 KR 101305292 B1 KR101305292 B1 KR 101305292B1 KR 1020110125258 A KR1020110125258 A KR 1020110125258A KR 20110125258 A KR20110125258 A KR 20110125258A KR 101305292 B1 KR101305292 B1 KR 10130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logic
control
facilit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116A (ko
Inventor
민인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에 의하면, 중앙 관제 서버에 관리자가 사용자가 관리하고자하는 관제점만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션 단위로 빌딩내에 설치된 설비를 관제함으로써 불필요한 리소스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설정된 관제점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선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다른 물리적 서버를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서버의 일원화 관리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FACILITIES CONTRO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할 관제점을 선택적으로 등록하여 생성한 가상의 서버를 이용하여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건물 내 설치된 전력, 조명, 공조, 방재 및 방범 등의 설비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설비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설비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관제점"이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또는 감시를 위한 감시점을 바탕으로 관제가 이루어진다. 관리자는 하나의 설비(장비)에 여러 개 혹은 단일 관제점을 설정하고 그 관제점의 값을 통해 설비에 대한 감시, 제어 등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엔지니어는 빌딩에 설치되는 설비의 종류 및 형태별로 해당 관제점을 설정하고, 설비 관제 시스템에 상기 관제점을 등록하여 건물내의 설비들을 자동 제어한다. 이때, 상기 관제점에 대한 등록과 설비들에 대한 제어는 중앙관제서버로 불리우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종합적인 제어 및 감시가 물리적인 서버단위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일단 등록된 관제점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해야하고 이에 근거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설비 관제 시스템은 관리자가 현재 관심이 없거나 또는 제어 및 감시가 불필요한 설비에 대해서도 정보가 수집되고 제어가 수행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설비를 제어 및 감시하는 중앙 서버의 리소스가 낭비되고 그로 인해 빌딩내 설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관리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관제점을 선택적으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에 대한 관제가 보다 작은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제점들의 선택적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서버를 사용 목적에 따라 복수 개 구성하여 운영함으로써, 별도의 물리적 서버를 추가하지 않고도 효율적인 설비 제어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가상의 서버에 대응하는 사용자 화면의 그래픽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설비와;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관제점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관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등록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각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받고,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서 등록된 일부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 등록 여부, 및 구동 여부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로직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할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를 각각 등록 및 설정하고,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스테이션생성모듈과;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에 의한 설정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등록하는 스테이션등록모듈과; 구동할 스테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중앙관제서버와의 연결을 요청받는 연결요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은, 기설정된 관제점, 로직 오브젝트, 및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목록으로부터 사용할 관제점, 로직 오브젝트,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상기 로직 페이지 및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은, 상기 로직 페이지로부터 상기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의 입출력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그래픽 페이지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테이션의 설정 정보 및 상기 스테이션에 등록된 관제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테이션에 설정된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로직 페이지 및 그래픽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테이션에 운전 로직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운전 로직을 사용하여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운전 로직 또는 관제 프로그램을 연결된 설비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운전 로직 또는 관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은,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상기 설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이션의 운전 로직을 실행하는 설비제어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은,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각 스테이션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하는 단계와;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스테이션을 구동하고, 그 운전 로직을 설비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할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로직 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운전 로직을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은, 상기 설비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등록된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은, 상기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중앙관제서버에 사용자가 관리하고자하는 관제점만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션 단위로 빌딩내에 설치된 설비를 관제함으로써 불필요한 리소스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사용 목적에따라 기설정된 관제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물리적 서버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서버의 일원화 관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현재 관리를 요하지 않는 관제점은 스테이션의 구성으로부터 제외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의 수집 및 제어를 미연에 방지하여 설비에 대한 관제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중앙관제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입력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 블록도;
도 4는 일반적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물리적인 서버 단위로 설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가상 서버인 스테이션 단위로 설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예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의 설정 및 로직 페이지 구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의 설정 및 그래픽 페이지 구성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의 예시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은, 중앙관제서버(100),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설비제어장치(200), 하나 이상의 설비(300), 및 장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설비(300)와, 상기 설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관제점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관제서버(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관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등록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또는 '가상의 서버')을 구비하고, 상기 각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받고,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서 등록된 일부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비(300)는,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에어컨, 환기, 공조기, 팬, 보일러,냉각탑, 펌프, 온/습도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화재 시스템 등을 가리킨다.
또한, 장비(400)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한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건물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및/또는 감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설비들(300),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설비제어장치(2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300) 및 이에 포함된 장비들(400)을 제어 또는 감시하는 자동화 서버이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일반적으로, 상기 설비(300) 또는 장비(400))에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관제점을 통해 상기 설비(300) 또는 장비(400)를 운전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 프로그램은 설비들(300)을 감시 또는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포함한다. 또,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관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300)을 제어 및/또는 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관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등록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받고,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서 상기 등록된 일부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를 논리적으로 분할한 가상 서버에 해당한다.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3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운전 로직 또는 관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는, 설비들(300)을 제어하는 직접 제어기(Direct Digital Controller)로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운전 로직 또는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설비들(30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는, 상기 설비들(3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400),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에 설정된 관제점을 통해 건물 내 설비들의 제어출력 및 상태 변화 등과 같은 설비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저장한다.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는, 예를 들어, 상기 관제 프로그램 내의 운전 로직에 따라 상기 설비(300) 또는 장비(400)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와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그에 따라, 건물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에 대한 각 관제점들을 감시 또는 제어하고, 상기 각 관제점들에 내장된 함수를 이용하여 설비(300) 또는 장비(400)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300) 사이에 연결되어서 운전 로직 또는 관제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이들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는 그 실행 결과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운전 로직을 상기 설비제어장치(200)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 제어장치(200)로부터 상기 운전 로직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통신부(130, 도2)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실행 결과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120, 도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와, 설비제어장치(200), 및 각 설비들(3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백넷(Building Automation &Control Network; BACnet)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중앙관제서버(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서 입력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앙관제서버(100)는, 입력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통신부(130)와, 제어부(140)와, 저장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설비제어장치(200)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스테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와, 등록 및 구동 여부에 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중앙관제서버(100)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생성되는 가상 서버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기술을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110)는, 중앙 제어 서버(100)에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생성하는 스테이션생성모듈(111)과, 생성된 스테이션을 중앙 제어 서버(100)에 등록하는 스테이션등록모듈(112)과, 중앙 제어 서버(100)에 연결을 요청하는 서버연결요청모듈(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111)은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로직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할 관제점과 로직 오브젝트를 각각 등록 및 설정한다. 여기서, 로직 오브젝트는 상기 스테이션에 설정할 개개의 운전 로직의 객체를 의미하며, 미리저장된 운전 로직 목록으로부터 사용할 로직 오브젝트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111)은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여서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개개의 객체를 의미하며,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 예를 들어 레이블을 선택한 경우, 입력을 통해 그의 표시값, 바인딩 소스, 위치표시와 같은 속성 정보를 설정한다.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각 스테이션마다 사용자 화면의 그래픽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111)은 기설정된 관제점, 로직 오브젝트, 및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목록으로부터 사용할 관제점, 로직 오브젝트,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검출하여서 상기 로직 페이지 및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목록은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서버(100)의 저장부(150)에 라이브러리 파일 형태로 미리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111)은 상기 로직 페이지로부터 상기 관제점과 로직 오브젝트 간의 입출력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스테이션의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의 하위에 복수의 슬롯들을 구성하고 예를 들어, 연산로직을 수행하는 로직 오브젝트의 출력슬롯에 상기 스테이션에 등록된 모든 관제점의 출력슬롯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스테이션의 관제점과 로직 오브젝트 간의 출력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111)은 상기 그래픽 페이지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각 속성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등록모듈(112)은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111)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에 등록한다. 이러한 등록과정은 상기에 기술한 스테이션의 구성 정보, 예를 들어 설정한 로직 오브젝트, 그래픽 오브젝트, 이들의 하위에 구성된 슬롯들에 대한 설정 정보들을 중앙관제서버(100)에 저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버연결요청모듈(113)은 구동할 스테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와의 연결을 요청받는다. 상기 스테이션은 다수 개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현재 실행하고자 하는 하나의 스테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각 스테이션은 가상의 서버에 해당하기 때문에 실제 구동은 중앙관제서버(100)와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동작할 스테이션으로부터 중앙관제서버(100)로 연결요청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관제서버(100), 즉 물리적 서버에 가상의 서버, 즉 특정 스테이션이 연결되면, 연결된 스테이션에 등록된 관제점에 대해서만 감시 또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스테이션의 설정 정보 및 상기 스테이션에 등록된 관제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스테이션에 설정될 하나 이상의 표준 단위의 운전 로직을 미리 저장하거나 현장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들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ROM(Read Only Memory) 형태의 저장부, 또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와, 송수신 또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처리하는 임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형태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의 설정 정보, 상기 중앙관제서버(100)의 사용자 화면 그래픽, 및 상기 관제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스테이션에 설정된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로직 페이지와 그래픽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설비 관제 시스템내의 설비(300) 또는 장비(400)에 대한 운전 상태를 표시하고, 스테이션에 포함된 운전 로직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스테이션에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출력유닛과 입력유닛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스테이션에 운전 로직을 설정하거나 상기 설정된 운전 로직을 포함하는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운전 로직 및/또는 관제 프로그램을 연결된 설비제어장치(200)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로부터 상기 운전 로직 및/또는 관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가상 서버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테이션 단위로 건물내에 설치된 설비들을 제어 또는 감시한다. 도 5 및 도 6은 이와 같이 스테이션 단위로 설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 다수의 스테이션이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션은 물리적 서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단위의 가상 서버에 해당한다. 상기 다수의 스테이션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전력, 조명과 같은 설비 종류마다 별개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건물내의 일정 구획 영역마다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기준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사용목적에 따라 상호 연계성이 없는 관제점들을 조합하여서 각 스테이션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스테이션은, 기존의 물리적 서버를 통해 물리적 서버와의 연결, 연결해제, 구동, 정지 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동작은 스테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공조에 대한 관제점만으로 구성된 스테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그 스테이션에 설정된 운전 로직만이 실행되며, 전력, 조명과 같은 설비에 대해서는 관제를 위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거나 운전 로직이 실행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중앙관제서버(100)의 리소스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일반적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물리적인 서버 단위로 설비들을 관제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전력, 조명 등을 포함한 모든 설비들 또는 건물내 모든 영역에 대하여 구동, 정지, 연결, 또는 연결해제와 같은 동작이 수행된다. 즉, 중앙관제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설비제어장치(200)로부터 모든 설비들 또는 건물내 모든 영역의 관제점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운전하고자 하는 설비를 포함한 모든 설비들에 대한 제어명령이 설비제어장치(200)로 전송된다. 따라서, 기존의 설비 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자가 현재 관심이 없거나 또는 제어 및 감시가 불필요한 설비에 대해서도 중앙관제서버(100)가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를 수행해야하고, 중앙관제서버(100)의 리소스가 낭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에서, 가상 서버인 스테이션 단위로 설비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예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 복수의 스테이션이 구성된다. 상기 각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건물내에 설치된 모든 전력에 대한 설비의 관제점을 등록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건물내의 각 층마다 또는 일정 영역마다 설정된 관제점을 분할 등록하여 복수 개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중앙관제서버(100)에 등록된 관제점의 선별 기준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 등이 관리하고자 하는 관제점을 임의로 조합하여 복수의 스테이션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성된 스테이션들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실제 구동은 물리적 서버, 즉 중앙관제서버(100)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내부 운전 로직의 실행과 관제점으로부터의 정보 수집은 선택된 스테이션단위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화면의 구성]
이하에서는, 상기 기술한 스테이션의 설정, 즉 로직 페이지와 그래픽 페이지를 구성하는 과정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a 내지 7c 및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사용자 화면을 참조한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의 설정 및 로직 페이지 구성을 위한 사용자 화면을 도시한다. 먼저, 중앙관제서버(100)에 설정된 스테이션들 중에서 구성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선택된 스테이션 하위에 구비된 로직파트에서 구성하고자 하는 로직 페이지를 선택한다. 도 7a에는 예로서, 환기 로직 페이지를 선택하였다. 상기 선택은 예를 들어, 더블 클릭, 드래그앤드롭, 화면에의 터치입력 인가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로직 페이지의 구성 형식은 입력 및 출력요소, 기능블록요소, 요소별 연결선 및 꺾인선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관제점 목록으로부터 사용할 관제점을 선택하여서 상기 로직 페이지로 가져온다. 그리고 미리설정된 로직 오브젝트의 목록으로부터 사용할 로직 오브젝트를 상기 로직 페이지에 가져온다. 여기서, 상기 관제점 목록은 중앙관제서버(100)에 미리등록된 것이며, 상기 로직 오브젝트는 중앙관제서버(100)에 미리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이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스테이션의 관제점과 로직 오브젝트의 입출력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각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의 하위에 각각 복수의 슬롯들을 구성한다. 도 7b에는 예를 들어 출력(out)슬롯 및 입력(in) 슬롯이 구비된다. 그런 다음, 도 7c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스테이션에 등록한 관제점들을 로직 오브젝트와 연결시킨다. 여기서는 연결방법으로 드래그앤드롭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관제점들이 외부 설비에 대한 온도이므로, 로직 오브젝트에 이들의 합(Add)을 설정하면 외부온도의 총합을 구하는 로직 페이지가 구성된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의 설정 및 그래픽 페이지 구성을 위한 사용자 화면을 도시한다. 먼저, 중앙관제서버(100)에 설정된 스테이션들 중에서 구성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선택된 스테이션 하위에 구비된 그래픽파트에서 구성하고자 하는 그래픽 페이지를 선택한다. 그에 따라 해당 그래픽 페이지가 탭에 나타나며 그러한 예가 도 8a에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 방식은, 예를 들어 더블 클릭, 드래그앤드롭, 화면에의 터치입력 인가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설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목록에서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그래픽 페이지로 가져온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중앙관제서버(100)에 미리설정된 것이거나 이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이와 같이 미리설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목록으로부터 레이블 오브젝트를 가져오는 것을 도시한다.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속성을 설정하는 모습이 도 7c에 도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블 오브젝트를 더블 클릭하여 보여지는 제목, 데이터값, 위치 등에 대한 속성을 키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을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중앙 관제 서버(100,도 1)에 생성한다(S10). 여기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장치이고, 상기 스테이션은 중앙관제서버(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가상의 서버에 해당한다. 그런 다음, 중앙관제서버는 미리설정된 관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각 스테이션에 등록한다(S20). 이때, 등록되는 관제점에 대한 특별한 선택 기준은 없으며, 시스템의 관리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관제점, 예를 들어 특정 종류의 설비들 또는 특정 영역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관제점들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등록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스테이션에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한다(S30).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할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로직 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한 로직 페이지 및 그래픽 페이지가 설정되면,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스테이션을 구동하고, 그 운전 로직을 설비제어장치(200, 도1)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테이션은 중앙관제서버(100)에 연결요청신호를 보내고 그에 따라 연결이 이루어지면, 스테이션 단위로 운전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션의 운전 로직이 중앙관제서버(100)에 의해 전송된다(S40).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설비제어장치(200)로부터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수신한다(S50).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등록된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한다. 또, 상기 중앙관제서버(100)는 상기 설비제어장치(200)에 의해 수행된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소정의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의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은, 중앙 관제 서버에 사용자가 관리하고자하는 관제점만을 등록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션 단위로 빌딩내에 설치된 설비를 관제함으로써 불필요한 리소스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설정된 관제점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선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다른 물리적 서버를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서버의 일원화 관리가 가능해진다.
100 - 중앙관제서버 110 - 입력부
111 - 스테이션생성모듈 112 - 스테이션등록모듈
113 - 서버연결요청모듈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200 - 설비제어장치
300 - 설비 400 - 장비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설비; 및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등록하고, 상기 관제점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를 관제하는 중앙관제서버; 를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관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등록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및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설정 정보, 등록 여부, 및 구동 여부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로직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할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를 각각 등록 및 설정하고, 상기 스테이션에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스테이션생성모듈;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에 의한 설정 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등록하는 스테이션등록모듈; 및
    구동할 스테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중앙관제서버와의 연결을 요청받는 서버연결요청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각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받고,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서 등록된 일부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은,
    기설정된 관제점, 로직 오브젝트, 및 그래픽 오브젝트의 표시목록으로부터 사용할 관제점, 로직 오브젝트,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상기 로직 페이지 및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생성모듈은,
    상기 로직 페이지로부터 상기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의 입출력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그래픽 페이지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테이션의 설정 정보 및 상기 스테이션에 등록된 관제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테이션에 설정된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하나 이상의 로직 페이지 및 그래픽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스테이션에 운전 로직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운전 로직을 포함하여 관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전 로직 또는 관제 프로그램을 연결된 설비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설비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운전 로직 또는 관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상기 설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이션의 운전 로직을 실행하는 설비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1. 삭제
  12. 하나 이상의 관제점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설비를 관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제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각 스테이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운전 로직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스테이션을 구동하고 그 운전 로직을 설비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할 관제점 및 로직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로직 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운전 로직을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테이션에 등록된 관제점에 대한 설비를 관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로직의 실행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의 운전 방법.
KR1020110125258A 2011-11-28 2011-11-28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30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58A KR101305292B1 (ko) 2011-11-28 2011-11-28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58A KR101305292B1 (ko) 2011-11-28 2011-11-28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16A KR20130059116A (ko) 2013-06-05
KR101305292B1 true KR101305292B1 (ko) 2013-09-06

Family

ID=4885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258A KR101305292B1 (ko) 2011-11-28 2011-11-28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5942A (zh) * 2015-05-18 2015-08-26 北京均友欣业科技有限公司 流程控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68B1 (ko) * 2013-12-27 2016-02-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내 장비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8489B1 (ko) * 2014-10-31 2021-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KR101786660B1 (ko) 2014-10-31 2017-10-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관제 맵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6144B1 (ko) * 2015-03-10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KR102459770B1 (ko) * 2020-11-09 2022-10-27 주식회사 케이티 건물에 구비된 복수의 설비를 제어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830A (ja) * 2007-06-25 2009-01-08 Daikin Ind Ltd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20110090693A (ko) * 2010-02-04 201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830A (ja) * 2007-06-25 2009-01-08 Daikin Ind Ltd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20110090693A (ko) * 2010-02-04 201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5942A (zh) * 2015-05-18 2015-08-26 北京均友欣业科技有限公司 流程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16A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292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US93192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ata center resources in real time
US95689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ata center resources in real time
JP5611458B2 (ja) 空調管理装置、空調システム、画像データ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02184A1 (ja) 設備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2047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ata center resources in real time incorporating manageability subsystem
US201101530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monitoring robot application and robot driven thereby
US11493893B2 (en) Integrated intelligent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1343589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759593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운전 방법
CN114489954A (zh) 基于虚拟化平台的租户创建方法、租户访问方法及设备
KR101214488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JPH10333735A (ja) プラント監視装置
TWI803829B (zh) 智慧建築整合管理系統
JP7237173B2 (ja) 機器管理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生成方法
US8424002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of outputting information
JP2005065164A (ja) 通信制御処理装置及び通信制御処理方法
KR20110087640A (ko) 설비 관제 시스템, 이의 운전 방법, 이의 관제점을 저장한 저장 매체
US20150180797A1 (en) Network appliance mapping
KR20110090691A (ko) 설비 관제 시스템
JPH1097482A (ja) 計算機システム
WO2022147106A1 (en) Edge compute environment automatic server configuration tool
US9842486B2 (en) User interface configuration for alarm systems
CN116521361A (zh) 一种模拟配单方法、装置及设备
US20140006571A1 (en) Process execu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