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489B1 -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489B1
KR102338489B1 KR1020140149998A KR20140149998A KR102338489B1 KR 102338489 B1 KR102338489 B1 KR 102338489B1 KR 1020140149998 A KR1020140149998 A KR 1020140149998A KR 20140149998 A KR20140149998 A KR 20140149998A KR 102338489 B1 KR102338489 B1 KR 10233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ain
user
control
neighboring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026A (ko
Inventor
안평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4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원격 관제 시스템의 사용자가 자신이 관심 있는 관제 문제를 직접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은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관제 대상 시설에 대한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고, 성립 된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Control problem notify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빌딩, 공장, 스타디움과 같은 시설에 대한 관제 문제를 상기 시설에 대한 관리자 등에게 통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관제 대상 시설 내 전체 객체 중, 상기 시설(또는, 상기 시설의 일부)에 대한 원격 관제를 담당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관심 객체 및 상기 관심 객체의 관련 객체에 대한 관제 상 문제를 통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업무용 빌딩, 공공기관 빌딩, 아파트 등과 같은 중대형 건물에는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 및 청정 등을 조절하여 실내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공기조화기, 보일러, 펌프 등과 같은 현장 기기(빌딩 설비)들이 구축되어 있다. 인력에 의한 각 설비 정상 동작 여부의 확인이 불가능해 질 정도로 시설의 규모가 거대해 지면서, ICT 기술을 활용한 원격 관제 시스템이 제공 되고 있다.
그런데, 시설의 규모가 거대해 지면서, 원격 관제 시스템에서 관리 되는 객체(예를 들어, 관제 대상 시설에 설치 된 관제점, 설비 또는 제어기)의 개수가 많아지고, 각각의 객체에 대하여 발생하는 관제 상 문제점(예를 들어, 특정 공간의 온도를 가리키는 관제점의 온도가 지정 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을 어떻게 지정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결국, 원격 관제 시스템의 사용자가 자신이 관심 있는 관제 문제를 직접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제 문제 통보 기술의 제공이 요청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11-008307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 관제 시스템의 사용자가 자신이 관심 있는 관제 문제를 직접 정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원격 관제 시스템의 사용자를 가리키는 중심 노드에, 관제 문제 통보 대상 객체들을 가리키는 주변 노드들이 에지(edge)로 연결 되는 관제 맵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제 문제 통보가 수행 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관심 객체를 지정 받으면, 그 관심 객체 및 그 관심 객체와 관련 된 관련 객체들을 포함하는 관제 맵의 자동 구성을 지원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고,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은,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제 문제 통보 장치가, 관제 대상 시설에 대한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제 문제 통보 장치가,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고, 성립 된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 중 적어도 일부의 위험도를 입력 정보로 하는 관제 문제 성립 요건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가 상기 관제 문제 성립 요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가 상기 관제 문제 성립 요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또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또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의 속성 값을 변수로 포함하는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에 따라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렌더링하는 단계와, 상기 렌더링된 관제 문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제공 되는 화면에,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는 화면에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주기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된 각 객체에 매칭 되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자동으로 생성 된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가 조회되고,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가 관련 된 경우, 상기 제1 객체에 매칭 되는 제1 보조 주변 노드와 상기 제2 객체에 매칭 되는 제2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에지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은,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노드의 상기 에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 및 보조 주변 노드에 대하여, 각각의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 된 통계치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계치는, 기 지정 된 주기 동안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 및 상기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가 제어 된 횟수의 총합에 기반한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각의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또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의 속성 값을 변수로 포함하는 통계치 산출 수식을 포함하는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치는, 상기 통계치 산출 수식에 의하여 연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고, 성립 된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 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로딩 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이 기록 된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장치가 제공 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일련의 오퍼레이션(operation)들로 구성 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를 가리키는 객체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고, 관리 대상 시설에 대한 원격 관제를 위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과, 상기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과,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 및 상기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과,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을 취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과,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생성된 관제 문제 정보를 통보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 공장 등 시설의 관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관심 있는 관제 문제를 직접 정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 동작인 관제 맵의 수동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 동작인 관제 맵의 자동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인, 노드 및 에지에 대한 가중치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인, 관제 맵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방법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8은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인, 관제 맵 및 그 부가 정보의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의 방법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3은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에 따라 생성 된 관제 맵의 각 노드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 되는 노드 속성 값의 조회 및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인, 각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연산 및 연산 된 위험도를 이용한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보충 도면이다.
도 16 내지 17은 도 14의 방법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 될 수 있는 관제 문제 통보 메시지 창의 일 예이다.
도 18은 도 14의 방법에 포함 되는 동작 중, 제어 로직을 통한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비교 동작 및 상기 제어 로직의 동작 결과를 반영하여 연산 된 위험도를 조정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4의 방법의 일부인, 각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보조 주변 노드들 사이의 속성 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조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방법에 따라 생성 되는 상기 제어 로직의 그래픽 디자인의 일 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은 원격 관제 시스템(20) 및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를 포함한다.
원격 관제 시스템(20)은 관제 대상 시설(30)에 구비된 각종 설비 및 관제점을 모니터링하고, 관제 시스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원격 관제 시스템(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디지털 제어기(Direct Digital Controller; DDC)등의 제어기와 연결 될 수 있다. 상기 직접 디지털 제어기(DDC)는 각종의 센서 및 부하에 상응하는 관제점을 통해 관제 대상 시설(30) 내 설비들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한다.
상기 직접 디지털 제어기(DDC)는 설비들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원격 관제 시스템(20)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하, 상기 소프트웨어를 제어 로직(controller logic)으로 지칭한다. 추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제어 로직은 도 20에 도시 된 것과 같이 그래픽 형태로 작성 되고, 그래픽 형태의 제어 로직은 그래픽 파싱(graphic parsing) 과정을 거쳐서 텍스트 형태로 변환되고, 이것은 다시 컴파일의 과정을 거쳐서 DDC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관제 대상 시설(30)은, 예를 들어 빌딩, 스타디움, 연구소, 공장, 공항, 항구, 테마파크, 아파트, 호텔 등 정보 통신 기술에 의한 모니터링 및 제어가 이뤄지는 다양한 시설을 의미한다.
원격 관제 시스템(20)은 관제 대상 시설(30)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관제 대상 시설(30)에 구비된 다양한 설비, 관제점, 제어기, 제어로직 등과, 원격 관제 시스템(20)의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 된 관제 보고서, 그래픽 페이지 등 다양한 관리 매체들 각각을 객체(object)로서 관리할 수 있다. 원격 관제 시스템(20)은, 관제 대상 시설(3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 점에서 중앙 관제 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는 점을 유의한다.
원격 관제 시스템(20)에서 관리되는 객체는 아래의 객체를 포함한다.
- 관제점: 예를 들어, 특정 설비의 온도, 습도, 압력, 유량 등 각각의 관제 포인트를 의미함.
- 관제 보고서: 관제 대상 시설(30)의 관리자이자 원격 관제 시스템(20)의 사용자가, 관제 대상 시설(30)의 운영 상황에 대하여 작성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제 보고서에는 특정 관제점의 실시간 트렌드, 특정 설비의 동작 스케줄, 특정 관제점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등의 데이터가 포함 될 수 있음.
-제어기: 관제점의 현재 값을 입력 받고, 제어 로직에 의하여 입력 값에 의하여 디지털 연산을 수행하고, 디지털 연산의 결과로 설비의 제어 신호 출력. 예를 들어, 직접 디지털 제어기(DDC).
-제어 로직: 설비들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제어기에 다운로드 됨.
-그래픽 페이지: 관제 대상 시설(30)의 설비 운영현황을 직관적으로 실시간 관제를 하기 위해 활용하는 그래픽 화면. 그래픽 화면에는 각 설비 또는 각 설비의 관제점 동작 상황 등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할 수 있음.
-실시간 트렌드: 특정 관제점의 현재 값의 변화 추이를 실시간 표현하는 챠트(chart) 등의 디지털 데이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됨.
-동작 스케줄: 특정 설비 또는 특정 제어기의 일간, 주간, 월간 동작 스케줄을 가리킴. 예를 들어, 특정 설비가 매일 오전 9시에 ON 되고 오후 11시에 OFF 되는 것.
-설비: 관제 대상 시설(30)에 설치 된 각각의 시설로써, 상기 제어기의 제어를 받는 것. 예를 들어, 공조기, 보일러 등)
-사용자: 원격 관제 시스템(20)에 사용자로서 등록된, 각 사용자. 사용자를 가리키는 객체는, 그 속성으로서 관제 문제 성립 요건 및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을 가질 수 있음. 관제 문제 성립 요건 및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에 대하여는 추후 자세히 설명함.
몇몇 실시예들에서,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는 원격 관제 시스템(20)과 연결 되어, 관제 대상 시설(30)의 객체 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다. 또한, 특정 객체의 속성 값의 직접 갱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 된 데이터를 원격 관제 시스템(20)에 제공한다. 원격 관제 시스템(20)은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로부터 제공 된 속성 값으로, 상기 특정 객체의 기존의 속성 값을 갱신한다.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는 하나의 중심 노드와, 하나 이상의 주요 주변 노드와, 하나 이상의 보조 주변 노드와,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들 중 관련 있는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일대일로 연결하는 에지를 포함하는 관제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지에 의하여 서로 연결 되는 보조 주변 노드는 동일한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되는 것들로 한정된다.
상기 중심 노드는, 원격 관제 시스템(20)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특정 사용자를 가리키는 객체에 일대일 매칭되는 것이다. 상기 중심 노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으나, 원격 관제 시스템(20)을 통하여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에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에 의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요 주변 노드는, 관제 대상 시설(30)에 대한 원격 관제 시스템(20)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일대일 매칭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신의 관리 대상 설비들 중 특별히 유의하여 모니터링 해야 하는 설비들을 상기 주요 주변 노드로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 주변 노드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주요 주변 노드가 특정 설비의 객체에 매칭 된 것이라면,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되는 보조 주변 노드는 상기 특정 설비가 가지는 관제점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 주변 노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생성되거나,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에 의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는 상기 생성된 관제 맵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제 문제의 통보 여부 및, 통보 될 관제 문제의 컨텐츠를 결정하고, 관제 문제에 대한 통보를 수행한다.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는 상기 관제 맵이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상기 관제 맵을 렌더링하고, 상기 렌더링 결과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에 연결 되거나, 원격 관제 시스템(20)에 연결 될 수 있다.
도 1에는 원격 관제 시스템(20)과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가 별개의 장치로 구성 되는 것으로 도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가 원격 관제 시스템 내부에 구비 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도 2에 도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40)은 관제 문제 통보 모듈(42), 레거시(legacy) 원격 관제 모듈(44) 및 객체 데이터 관리부(46)를 포함한다.
레거시 원격 관제 모듈(44)은 관제 대상 시설(30)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관제 대상 시설과 관련 된 다양한 객체를 객체 데이터 관리부(46)를 통해 관리한다. 관제 문제 통보 모듈(42)은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도 2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 된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 또는 도 2에 도시 된 원격 관제 시스템(40)일 수 있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에 포함 되는 각 동작의 수행 주체는 그 기재가 생략 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인 관제 맵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그 중 도 3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manual) 관제 맵을 생성하는 방법이고, 도 4는 사용자가 주요 주변 노드 만 생성하면, 각 주요 주변 노드의 보조 주변 노드는 자동으로 생성 되는 방법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에 따라 생성되는 관제 맵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관제 맵의 중심 노드는 상기 사용자를 가리킨다. 상기 중심 노드는 관제 문제 통보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다만, 관제 문제 통보의 대상이 되는 객체를 가리키는 주요 주변 노드 및 각 주요 주변 노드의 객체와 관련된 객체를 가리키는 보조 주변 노드가 모두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객체들 만으로 구성 된 관제 맵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객체 및 상기 관련 객체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에지(edge)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관제 맵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를 가리키는 객체에 일대일 매칭되는 중심 노드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관제 문제 통보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생성된다(S100).
사용자는 관제 맵 편집 화면에서, 편집 UI를 통해 노드 생성 및 에지 생성의 입력을 할 수 있다(S102). 노드 생성 입력의 경우(S104), 중심 노드의 생성인지 여부를 더 입력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집 UI는 중심 노드 생성 버튼 및 주변 노드 생성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노드 생성 버튼을 선택한 후, 편집 패널의 특정 영역을 지정하면, 지정 된 영역에 중심 노드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변 노드 생성 버튼을 선택한 후, 편집 패널의 특정 영역을 지정하면, 지정 된 영역에 주변 노드가 생성될 수 있다.
주변 노드가 생성 되면(S106), 생성 된 주변 노드에 매칭 될 객체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 받는다(S108).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객체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의 ID는 상기 편집 UI를 통해 제시 되는 복수의 객체의 ID들 중 선택 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 될 수 있다. 상기 객체의 ID는 상기 중심 노드에 일대일로 매칭 될 것이다(S110).
사용자가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지정한 에지 생성 입력을 한 경우(S112),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한다(S114). 에지의 생성에 의하여, 중심 노드는 복수의 주요 주변 노드와 연결 될 수 있고, 각 주요 주변 노드는 복수의 보조 주변 노드와 연결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주요 주변 노드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된 보조 주변 노드끼리도 상기 에지를 통하여 연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총 10개의 객체를 모니터링 대상으로 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모니터링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를 가리키는 중심 노드 및 각각의 모니터링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10개의 주요 주변 노드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객체에 관련된 객체에 매칭 된 보조 주변 노드가 상기 관제 맵에 포함된다. 따라서,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동작 및 에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관제 맵의 생성이 마무리 될 때까지 반복될 것이다(S116).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사용자가 모니터링 대상 객체에 매칭 된 주요 주변 노드의 생성만 완료하면,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보조 주변 노드가 자동으로 생성 되고, 각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보조 주변 노드들이 에지로 자동 연결 되는 점에서, 보조 주변 노드도 직접 생성 해야 하는 도 3의 방법과는 서로 다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관제 맵에 포함 될 모든 객체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점에서, 사용자의 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주요 주변 노드로 생성된 모니터링 대상 객체가 많은 수의 관련 객체를 가지는 경우, 사용자의 단순 조작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관제 맵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를 가리키는 객체에 일대일 매칭되는 중심 노드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관제 문제 통보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생성된다(S100).
먼저,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 받는다(S118). 상기 사용자 입력은, 관제 맵 편집 영역 상의 특정 영역에 노드를 생성할 것을 가리키는 입력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특정 영역에 상기 주요 주변 노드가 생성된다(S120).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생성 된 노드에 매칭 될 객체의 ID를 지정하는 입력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상기 지정 된 객체의 ID를 매칭한다(S122). 예를 들어, 주요 주변 노드가 10개라면, 주요 주변 노드의 생성 동작(S118, S120, S122)은 10 번 반복될 것이다(S124).
주요 주변 노드의 생성이 마무리되면, 중심 노드와 각 주요 주변 노드 사이가 에지로 연결된다(S126).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관제 문제 통보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중심 노드와 각 주요 주변 노드는 하나의 에지에 의하여 연결 되기 때문에, 중심 노드와 각 주요 주변 노드는 '관계 레벨 1'으로 표현된다.
다음 동작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수행 된다. 아래의 동작은 각 주요 주변 노드에 대하여 반복하여 수행된다(S132).
먼저,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된 객체를 조회한다(S129). 다음으로, 조회된 객체와 일대일으로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S130). 이 때, 상기 주요 주변 노드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보조 주변 노드가 골고루 분포 될 수 있도록, 관제 맵 편집 패널 상의 각 보조 주변 노드 생성 위치가 기 지정 된 규칙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 된다. 다음으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각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한다.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가 조회되고,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가 관련 된 경우, 상기 제1 객체에 매칭 되는 제1 보조 주변 노드와 상기 제2 객체에 매칭 되는 제2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에지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타입에 따라, 조회 되어야 할 객체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몇 개의 예시를 제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를 주(main) 모니터링 객체로 지칭하고, 상기 메인 모니터링 객체와 관련된 객체를 보조 모니터링 객체로 지칭한다.
상기 주 모니터링 객체가 관제 대상 시설에 설치 된 설비를 가리키는 객체인 경우, 상기 보조 모니터링 객체는 상기 설비의 관제점을 가리키는 객체, 상기 설비에 구비된 제어 로직을 가리키는 객체 및 상기 설비의 동작 스케줄을 가리키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주 모니터링 객체가 관제 대상 시설에 설치 된 제어기를 가리키는 객체인 경우, 상기 보조 모니터링 객체는 상기 제어기에 입력을 제공하는 관제점을 가리키는 객체,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설비, 상기 제어기에 구비 된 제어 로직을 가리키는 객체 및 상기 제어기의 동작 스케줄을 가리키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주 모니터링 객체가 관제 대상 시설에 대한 그래픽 페이지를 가리키는 객체인 경우, 상기 보조 모니터링 객체는 관제점을 가리키는 객체, 실시간 트렌드를 가리키는 객체, 다른 그래픽 페이지를 가리키는 객체, 설비를 가리키는 객체 및 제어기를 가리키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주 모니터링 객체가 관제 대상 시설에 설치 된 제어기에 다운로드 되어 실행 되는 제어 로직을 가리키는 객체인 경우, 상기 보조 모니터링 객체는 상기 제어 로직에 입력 값을 제공하는 관제점을 가리키는 객체, 상기 제어 로직에 입력 값을 제공하는 다른 제어 로직을 가리키는 객체, 상기 제어 로직의 출력 값을 입력 받는 다른 제어 로직을 가리키는 객체, 상기 제어 로직의 출력 값에 의하여 제어 되는 설비 및 상기 제어 로직이 다운로드 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 로직의 동작 스케줄을 가리키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 동작인 관제 맵 생성 방법을 설명하였다. 상기 설명에서는 각 주변 노드 및 에지가 동일한 중요도를 가지는 상황을 가정하였으나, 실제로는 제1 주변 노드와 제2 주변 노드의 중요도가 다를 수 있고, 제1 에지와 제2 에지 사이에도 중요도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각 주변 노드 및 에지에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주변 노드 또는 특정 에지의 가중치 값이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입력 되면(S127-1), 상기 입력 된 가중치 값을 특정 주변 노드 또는 특정 에지 자체의 속성 값으로 설정한다(S127-2). 이 때, 상기 주변 노드의 가중치는 상기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관련 객체의 속성 값이 아닌, 상기 주변 노드의 속성 값인 점을 유의한다. 상기 가중치는, 그 값이 클수록 상기 주변 노드 또는 에지가 중요하다는 점을 가리킨다.
각 보조 주변 노드, 주요 주변 노드와 보조 주변 노드 사이의 에지의 가중치는 및 동일한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된 보조 주변 노드 사이의 에지의 가중치는,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기초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방법은, 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관제 맵은, 도 6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먼저, 관제 맵에 속한 모든 노드 및 에지가 렌더링(rendering)(S128) 되어, 버텍스(vertex) 및 에지로 구성 된 그래프(graph) 데이터 구조인 상기 관제 맵이 그래픽 구조로 변환되고, 상기 그래픽 구조를 표현하는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며(S136),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 받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관제 맵이 디스플레이 된다(S138). 상기 관제 맵은 사용자가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객체 만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인 점에서, 개인화된 관제 맵 또는 customized 관제 맵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방법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관제 맵 표시 화면의 일 예이다. 중심에는 중심 노드(50)가 표시 된다. 주요 주변 노드(51)는 중심 노드(50)와 하나의 에지로 연결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가 N개의 에지로 연결 될 때, 제1 노드와 제2 노드의 관계 레벨이 N이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주요 주변 노드(51)는 중심 노드(50)와 관계 레벨이 1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보조 주변 노드(52)는 중심 노드(50)와 관계 레벨이 2이다. 중심 노드(50)와 주요 주변 노드(51) 사이의 에지의 가중치(53)가 2인 점이 표시 되어 있다. 또한, 각 주변 노드 내부에 표시된 숫자(54)는 각 주변 노드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주변 노드 옆에 표시된 숫자(55)는 주변 노드 자체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주변 노드의 가중치는 별도 설정 되지 않으면 표시 되지 않는다.
도 7에서는 관제 맵에 포함 된 각 주변 노드 및 에지 자체의 속성 값만 표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의 편의를 위하여, 각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이 더 표시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심 노드에 매칭 된 관심 객체 및 각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관련 객체의 현재 값이 더 표시 될 수 있다(S140). 아날로그 타입의 관제점 객체의 경우, 실수 값을 상기 현재 값으로 가진다. 바이너리 타입의 관제점 객체의 경우, ON/OFF(또는 1/O, 또는 동작/정지)를 상기 현재 값으로 가진다. 제어 로직 오브젝트의 경우 동작/정지를 상기 현재 값으로 가진다. 제어기 오브젝트의 경우, ON/OFF를 상기 현재 값으로 가진다. 그러나, 동작 스케줄, 실시간 트렌드 등 현재 값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타입 오브젝트가 매칭 된 주변 노드에는 현재 값이 표시 되지 않는다.
도 9에는 각 주변 노드의 현재 값(56a 내지 56l)이 각 주변 노드에 인접하여 텍스트 형태로 표시 되는 점이 도시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각 에지의 가중치가, 에지의 굵기로 표시 되는 점이 도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각 주변 노드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이 노드 안의 숫자로 표시 되지 않고, 노드에 채워지는 색상 또는 패턴으로 표시 되는 점이 더 도시 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각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관련 객체의 현재 상태 값을, 약자로 표시(57a, 57b)하는 점이 도시 되어 있다. 아래의 표 1에는 국제 규격인 BACnet의 event state 값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어 변환 결과를 표시한다.
Figure 112014105030682-pat00001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 주변 노드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이 표시 될 수 있고(S142), 각 주변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가 더 표시 될 수 있다(S144).
또한, 도 1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에 따라 생성 된 관제 맵의 각 노드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노드 속성 값의 조회 및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 될 수 있다(S146).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요 주변 노드(56d)를 선택하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컨텍스트 메뉴(context menu)가 표시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컨텍스트 메뉴를 통해 주변 노드(56d)에 매칭 된 관련 객체의 속성 값을 바로 조회하거나, 상기 속성 값을 바로 수정하거나, 상기 관련 객체의 동작 스케줄을 관리하거나, 상기 관련 객체의 실시간 트렌드를 조회할 수 있다(주변 노드(56d)에 매칭 된 관련 객체가 현재 값을 가지는 것인 경우).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가 연산 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관련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상기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일부인, 각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연산 및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의 순서도이다.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는, 주요 주변 노드와 하나 이상의 에지를 통해 연결 된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각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을 취합하는 것에 의하여 연산 될 수 있다(S148).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은 기 지정 된 주기 동안 발생된 비정상 상황 횟수일 수도 있으나, 해당 객체가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된 이후 발생 된 비정상 상황 횟수의 누적 수치일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에는 가중치가 반영 될 수 있다(S150). 보다 자세하게는, 각각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에는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및 제3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반영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중치 반영 후의 각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을 이용하여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한다(S152).
특정 비정상 상황 횟수를 가지는 제1 보조 주변 노드에 대하여, 상기 가중치가 어떻게 결정 될지 예시한다. 상기 제1 가중치는 상기 제1 보조 주변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 사이의 차수(degree)가 클 수록 더 작아지도록 설정 된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중치는 제1 보조 주변 노드와 주요 주변 노드 사이의 관계 레벨의 역수일 수 있다. 상기 제2 가중치는 제1 보조 주변 노드 자체의 속성 값인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설정 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중치는 상기 제1 보조 주변 노드의 가중치 값일 수 있다. 상기 제3 가중치는 상기 제1 보조 주변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 사이에 존재하는 에지의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설정 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가중치는 상기 제1 보조 주변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 사이에 존재하는 에지의 가중치 합이거나, 상기 제1 보조 주변 노드에서 상기 주요 주변 노드로 향하는 첫 번째 에지의 가중치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도 15에 표시 된 주요 주변 노드(74)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에는 주요 주변 노드(74)가 중심 노드(75)에 연결 된 것이 도시 되어 있다. 도 15는 전체 관제 맵 중,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만 발췌한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즉, 전체 관제 맵에는, 중심 노드(75)에 연결 된 다른 주요 주변 노드도 존재할 수 있다.
먼저, 주요 주변 노드(74)에 연결된 각 보조 주변 노드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에 제1, 2, 3 가중치를 적용한다. 상기 제1 가중치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에서 상기 중심 노드로 향하는 첫번째 에지의 가중치이고, 상기 제2 가중치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의 가중치이며, 상기 제3 가중치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와 주요 주변 노드 사이의 관계 레벨의 역수인 것으로 전제한다. 아래는 도 15의 각 보조 주변 노드(60 내지 73)에 대한 가중치 적용 후의 상황 발생 빈도 값을 표시한 것이다.
노드(60): (0 x 2) / 1 = 0
노드(61): (7 x 2) / 2 = 7
노드(62): (3 x 3) / 1 = 9
노드(63): (9 x 2) / 2 = 9
노드(64): {(1 x 1)} x 3 / 1 = 3
노드(65): (1 x 2) / 2 = 1
노드(66): (2 x 2) / 2 = 2
노드(67): (1 x 1) / 1 = 1
노드(68): (0 x 1) / 2 = 0
노드(69): (0 x 2) / 1 = 0
노드(70): (1 x 4) / 2 = 2
노드(71): (0 x 1) / 1 = 0
노드(72): (1 x 1) / 2 = 0.5
노드(73): (0 x 2) / 2 = 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주변 노드(74)의 위험도는 상기 14개의 주변 노드의 가중치 적용 후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의 합산 치를 상기 주요 주변 노드(74)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된 보조 주변 노드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연산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험도는 (0 + 7 + 9 + 9 + 3 + 1 + 2 + 1+ 0 + 0 + 2 + 0 + 0.5 + 0 )/14 = 약 2.46이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산 된 위험도가, 발생 가능한 최대 위험도를 기준으로 하여 조정 될 수 있다. 즉, 비정상 상황 발생이 한번이라도 있었던 모든 보조 주변 노드가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의 최대치를 가진다고 했을 때 갖게 되는 최대 위험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 된 위험도를 상기 최대 위험도로 나눈 값으로 주요 주변 노드(74)의 상기 위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 후 위험도 = 조정 전 위험도 / 최대 위험도"가 된다. 상기 조정 후 위험도를 퍼센티지(%) 단위로 연산한다면 조정 전 위험도를 최대 위험도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된다.
상기 발생 가능한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의 최대치는 주요 주변 노드(74)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으로 설정 되거나, 상기 중심 노드 자체의 속성 값으로 설정 될 수 있다.
상기 최대 위험도를 연산하기 위하여, 비정상 상황 발생이 한번이라도 있었던 모든 주변 노드에 대하여, 상기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의 최대치를 적용한 후, 상기 조정 전 위험도 연산과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다. 이 때,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의 최대치는 20이라고 가정한다.
노드(61): (20 x 2) / 2 = 20
노드(62): (20 x 3) / 1 = 60
노드(63): (20 x 2) / 2 = 20
노드(64): {(20 x 1)} x 3 / 1 = 60
노드(65): (20 x 2) / 2 = 20
노드(66): (20 x 2) / 2 = 20
노드(67): (20 x 1) / 1 = 20
노드(70): (20 x 4) / 2 = 40
노드(72): (20 x 1) / 2 = 10
이 경우, 상기 최대 위험도는 (20+60+20+60+20+20+20+40+10)/14 = 약 19.28이 된다. 따라서, 퍼센티지 단위의 조정 후 위험도는 2.46 / 19.28 * 100 = 약 12.75로 연산 된다.
다시, 도 14로 돌아와서 설명하면, 상기 연산 된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가 더 표시 될 수 있도록 렌더링 될 수 있다(S156). 도 16은 도 14의 방법을 수행한 결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노드(76)에 연결 된 각 주요 주변 노드(77a 내지 77f)의 위험도 수치(78a 내지 78f)가 숫자로 표시 될 수 있다.
그런데, 관제 맵에 너무 많은 숫자가 표시 되면 인식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요 주변 노드(77a 내지 77f)의 위험도를 중심 노드의 내부 색상 또는 패턴(79a 내지 79f)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색상 또는 패턴은 상기 위험도가 속한 구간에 따라 결정 될 수 있다.
다시, 도 14로 돌아와서 설명하면, 중심 노드에 연결된 각 주요 주변 노드들의 위험도 값이, 중심 노드에 설정 된 '문제 성립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문제 성립 요건이 중심 노드에 설정 되었다는 것은, 상기 중심 노드가 가리키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었고,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될 관제 문제는 상기 문제 성립 요건을 통과한 것으로 한정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제 성립 요건은, 전체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값을 이용하여 정의된 것일 수도 있고, 일부의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값을 이용하여 정의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값의 합산이 특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을 상기 문제 성립 요건으로 정의할 수도 있고, 특정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값이 기 지정된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것을 상기 문제 성립 요건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문제 성립 요건은, 상기 관제 맵의 생성이 마무리 된 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입력 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문제 성립 요건은 상기 중심 노드의 속성 값 중 하나로서 설정 될 수 있다.
상기 문제 성립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 통보 될 관제 문제의 표시 템플릿도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또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또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의 속성 값을 변수로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심 노드에 매칭 된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에 따라 구성 된 관제 문제 컨텐츠를 통보한다. 상기 관제 문제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제공 되는 화면에 표시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는 화면에 주기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은 상기 관제 문제 컨텐츠의 몇가지 예시이다. 도 18에 표시 된 관제 문제 컨텐츠는 상기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에 의하여 구성되는 점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관제 문제 컨텐츠(80)의 경우, 아래의 같은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에 의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USER_ID'님이 관리 중인 장비 중 #NUM_SERIOUS_NODE건의 위험도가 '심각' 단계입니다."
상기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에서 #USER_ID는 중심 노드가 가리키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가리키는 변수이고, #NUM_SERIOUS_NODE는 위험도가 심각 범위(기 지정된 수치 범위)에 있는 주요 주변 노드의 개수를 가리키는 변수이다.
또한, 관제 문제 컨텐츠에는 관제 맵 표시 화면으로 바로 연결 되는 링크(83)가 제공 되어, 사용자가 관제 문제 발생 시, 바로 관제 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 노드의 에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 및 보조 주변 노드에 대하여, 각각의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통계치를 산출하고, 상기 통계치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컨텐츠를 통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4와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연산 방법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치는, 기 지정 된 주기 동안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 및 상기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가 제어 된 횟수의 총합에 기반한 수치일 수 있다. 도 18에는 이러한 통계치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컨텐츠(82)가 도시 되어 있다.
상기 통계치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 및 보조 주변 노드에 대하여, 각각의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값을 속성 값으로서 가지고 있는 각 객체에 대하여, 그 현재 값의 평균 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 값을 포함하는 상기 관제 문제 컨텐츠가 제공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또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의 속성 값을 변수로 포함하는 통계치 산출 수식을 포함하는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기 관제 문제 컨텐츠는 상기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각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연산 방법에 따르면, 서로 다른 관련 객체의 속성 값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른 위험도를 반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조기의 급기 온도가 환기 온도보다 같거나 낮으면 상기 공조기에 문제가 있다는 점은, 상기 설명된 위험도 연산 방식에서는 반영 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산 된 위험도가 제어 로직을 통한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비교 동작 및 상기 제어 로직의 동작 결과를 반영하여 더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도 14의 위험도 연산 동작(S152)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기본 위험도를 연산한다(S1520).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연산 된 위험도를 '기본 위험도'라 지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보조 주변 객체의 속성 값 사이를 비교하는 연산을 포함하는 제어 로직을 생성한다(S1522).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된 복수의 보조 주변 노드 중 제1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과 제2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을 비교하는 제어 로직이 생성된다.
도 20은 생성된 제어 로직(그래픽 형태로 작성 된 것)의 일례이다. 공조기가 중심 노드로 생성 되고, 상기 공조기의 급기 온도 관제점 및 환기 온도 관제점이 각각 주변 노드로 생성된 관제점을 가정한다. 'AHU02-SAT'라고 표시 된 블록이 급기 온도 관제점을 가리키고, 'AH02-SAU'라고 표시 된 블록이 환기 온도 관제점을 가리키며, 'COMP'라고 표시된 블록은 비교 연산을 가리킨다. 비교 연산 결과는 'OUTPUT'이라고 표시된 블록을 통하여 출력 된다. 도 20에 도시 된 제어 로직은 공조기의 급기 온도가 환기 온도보다 같거나 낮으면 TRUE 값을 출력하고, 그 반대의 경우 FALSE 값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 로직을 제어기가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형태로 컴파일 한 후,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예를 들어, DDC)에 다운로드 한다(S1524).
다음으로, 제어 로직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추가 위험도를 확정하고(S1526), 최종 위험도는 상기 기본 위험도에 상기 추가 위험도를 합한 값이 된다(S1528).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로직의 출력 값이 TRUE이면, 상기 기본 위험도는 상기 추가 위험도만큼 증가할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로직이 상기 기본 위험도를 입력 받아 직접 상기 최종 위험도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중심 노드의 위험도 값을 제공 받고, 상기 중심 노드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된 복수의 주변 노드 중 제1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과 제2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중심 노드의 위험도 값을 조정하며, 조정 된 위험도 값을 출력하는 제어 로직이 생성된다(S1522). 이때,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 로직의 출력 값을 제공 받고, 상기 제어 로직으로부터 제공 받은 위험도 값이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로서 연산 될 것이다.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 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고, 성립 된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 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는 개인화 관제 맵 생성부(12), 렌더링부(13), 비디오 출력부(14) 및 관제 문제 통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드 및 에지의 생성과, 생성 된 노드 및 에지에 대한 가중치의 입력과, 노드에 매칭 된 객체에 대한 직접 접근을 위한 입력 등을 제공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 관제 맵 생성부(12)는,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고,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한다.
렌더링부(13)는, 상기 중심 노드, 상기 주요 주변 노드, 상기 보조 주변 노드 및 상기 에지가 그래픽화 되도록 렌더링(rendering) 한다.
비디오 출력부(14)는 상기 렌더링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하여 송신한다.
관제 문제 통지부(15)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고,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고, 성립 된 관제 문제를 통보한다. 관제 문제 통지부(15)에 의하여 생성된 관제 문제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에 바로 제공되거나, 사용자 화면에 표시 될 수 있도록 비디오 출력부(14)에 제공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1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문제 통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는 도 22에 도시 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관제 문제 통보 장치(10)는 명령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106), 관제 맵 기반의 관제 문제 통보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스토리지(102), 메모리(108),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 및 스토리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 프로세서(106) 및 메모리(108)와 연결되어 데이터 이동 통로가 되는 시스템 버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맵 제공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를 가리키는 객체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고, 관리 대상 시설에 대한 원격 관제를 위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operation)과, 상기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과,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 및 상기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과,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을 취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과,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생성된 관제 문제 정보를 통보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는 상기 관제 대상 시설에 설치 된 제어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제 맵 기반의 관제 문제 통보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객체의 속성 값을 제공 받는 일련의 인스트럭션과, 상기 중심 노드 및 상기 주변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하여,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렌더링 하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관제 문제 통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관제 대상 시설에 대한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요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 정보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고, 성립 된 관제 문제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립 된 관제 문제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 중 적어도 일부의 위험도를 입력 정보로 하는 관제 문제 성립 요건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가 상기 관제 문제 성립 요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가 상기 관제 문제 성립 요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립 된 관제 문제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 또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또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의 속성 값을 변수로 포함하는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에 따라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된 관제 문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로그인 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제공 되는 화면에,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제공되는 화면에 상기 관제 문제 정보를 주기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각 객체에 매칭 되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자동으로 생성 된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제1 객체 및 제2 객체가 조회되고,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가 관련 된 경우, 상기 제1 객체에 매칭 되는 제1 보조 주변 노드와 상기 제2 객체에 매칭 되는 제2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에지를,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8. 관제 문제 통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에지를 통해 상기 중심 노드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 및 보조 주변 노드에 대하여, 각각의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 된 통계치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치는, 기 지정 된 주기 동안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 및 상기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가 제어 된 횟수의 총합에 기반한 수치인,
    관제 문제 통보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각의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속성 값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문제 통보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속성 값 또는 상기 보조 주변 노드의 속성 값을 변수로 포함하는 통계치 산출 수식을 포함하는 관제 문제 표시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계치는, 상기 통계치 산출 수식에 의하여 연산된 것인,
    관제 문제 통보 방법.
  12.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자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 되는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각각의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관제 문제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고, 성립 된 관제 문제를 통보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 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딩 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이 기록 된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를 가리키는 객체에 매칭(matching) 되는 중심 노드를 생성하고, 관리 대상 시설에 대한 원격 관제를 위하여 관리 되는 객체(object)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 된 객체에 매칭 되는 주요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operation)
    상기 객체 중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와 관련 된 객체에 매칭 되는 보조 주변 노드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
    상기 중심 노드와 상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 상기 주요 주변 노드와 상기 보조 주변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 및 상기 보조 주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를 생성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
    상기 주요 주변 노드에 연결 된 상기 보조 주변 노드에 매칭 된 객체의 비정상 상황 발생 빈도 값을 취합하여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연산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 및
    상기 주요 주변 노드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생성된 관제 문제 정보를 통보하는 일련의 오퍼레이션을 포함하는 것인,
    관제 문제 통보 장치.
KR1020140149998A 2014-10-31 2014-10-31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98A KR102338489B1 (ko) 2014-10-31 2014-10-31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98A KR102338489B1 (ko) 2014-10-31 2014-10-31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026A KR20160052026A (ko) 2016-05-12
KR102338489B1 true KR102338489B1 (ko) 2021-12-10

Family

ID=5602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998A KR102338489B1 (ko) 2014-10-31 2014-10-31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071B1 (ko) * 2018-06-18 2023-06-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관제 맵 가중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2B1 (ko) 2009-02-11 2009-12-14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연 열화 및 이상 온도를 자기 진단하는 수배전반 시스템 및 방법
WO2011025293A2 (ko) 2009-08-28 2011-03-03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242A (ko) * 2007-11-26 2009-05-29 세메스 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962043B1 (ko) * 2007-12-28 2010-06-08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유에스엔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022186B1 (ko) * 2008-12-17 2011-03-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관제 및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3145B1 (ko) 2010-01-13 2011-12-12 한국기계연구원 다층금속판재 연속제조장치
KR101305292B1 (ko) * 2011-11-2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92B1 (ko) 2009-02-11 2009-12-14 세종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연 열화 및 이상 온도를 자기 진단하는 수배전반 시스템 및 방법
WO2011025293A2 (ko) 2009-08-28 2011-03-03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026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6531B2 (en) Integration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s in a logical graphics display without scale and a geographic display with scale
US20200201273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custom dashboard generation
US11079727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integrated control of multiple components
US85840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HVAC information
CA2910895C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uilding environmental data
US9262371B2 (en) System for monitoring multiple building automation systems
US20160132614A1 (en) Contextual indexing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20200304330A1 (en) Building automation management
GB2563705B (en) Building automation management
KR101786660B1 (ko) 관제 맵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8489B1 (ko)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US9921728B2 (e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102547071B1 (ko) 관제 맵 가중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52027A (ko) 관제 맵 기반 다이어그램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WO2008150815A2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text messaging
KR102530364B1 (ko) 노드 분석 방법 및 장치
WO2013048427A1 (en) Management system with versatile display
US20230258359A1 (en) Control Application for a System of Networked Air Filtering Appliances
US20230161306A1 (en) Building system with involvement features
EP3693814B1 (en) Mapping a loop object to a feedback loop
KR101659038B1 (ko)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US20220103391A1 (en) Hospitality property management tool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2017130972A (ja) 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6144B1 (ko) 설비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 방법
JPWO2016084225A1 (ja) 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