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892B1 -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892B1
KR101103892B1 KR1020090121121A KR20090121121A KR101103892B1 KR 101103892 B1 KR101103892 B1 KR 101103892B1 KR 1020090121121 A KR1020090121121 A KR 1020090121121A KR 20090121121 A KR20090121121 A KR 20090121121A KR 101103892 B1 KR101103892 B1 KR 101103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emitting device
patter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483A (ko
Inventor
강정모
김선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892B1/ko
Priority to US12/893,710 priority patent/US8530882B2/en
Priority to EP10187348.7A priority patent/EP2333850B1/en
Priority to CN201010533782.7A priority patent/CN102088050B/zh
Publication of KR2011006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Abstract

실시예는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발광구조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상에 패드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구조물의 상면 면적 중 상기 제1 전극의 면적 비율인 필링팩터(Filling Factor)가 20%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발광소자, 반사

Description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실시예는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는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변환되는 특성의 p-n 접합 다이오드를 주기율표상에서 Ⅲ족과 Ⅴ족의 원소가 화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LED는 화합물 반도체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색상구현이 가능하다.
발광소자는 전극의 위치에 따라 수평형 타입(Lateral Type)과 수직형 타입(Vertical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직형 LED의 전극은 p형 전극과 n형 전극으로 나눌 수 있다. 홀(hole)을 공급하는 p형 전극은 홀의 큰 유효 질량(effective mass)으로 인한 유동성(mobility) 저하로 p-GaN 전체 영역에 접한다.
반면에 n형 전극은 광 탈출면에 위치하므로 n-GaN 표면 중 일부에 증착되며, n-GaN 층 내 전자의 자유로운 이동으로인해 n형 전극이 부분적으로 적용되더라도 전류 흐름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n형 전극의 면적 또는 모양에 따라 광량 또는 전기적인 특성, 예를 들 면, 동작전압 등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LED의 n형 전극은 광량과 동작전압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광추출 효율(wall-plug efficiency)가 최대가 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하면 n형 전극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동작전압 특성은 향상되는 반면에 광량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n형 전극 면적증가에 의해 광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n형 전극의 반사율이 유한하기 때문이다.
또한, n형 전극이 100%의 반사율을 가지는 이상적인 반사층이더라도, n형 전극에서 반사된 빛이 소자 내부로 재 진입하여 흡수됨으로 인해 광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동작전압 특성을 만족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n형 전극의 개발이 필요하다.
실시예는 동작전압 특성을 만족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발광구조물; 및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구조물의 상면 면적 중 상기 제1 전극의 면적 비율인 필링팩터(Filling Factor)가 20%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상에 패드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전극을 기준으로 가까운 제1 영역과 멀리 있는 제2 영역 각각의 필링팩터(Filling Factor)(단, 상기 필링팩터는 상기 발광구조물의 상면 면적 중 상기 제1 전극의 면적 비율 )가 같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패키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에 의하면, 제1 전극은 소정의 패턴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전류확산이 용이하며, 동시에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은 와이어 본딩패드(wire bonding pad)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얇은 투명금속을 도입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동작전압 특성을 만족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에 의한 흡수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패드전극과 상대적 거리에 따라 패턴의 필링팩터(Filling Factor)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over)"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over)"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00)는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1 전극(130) 및 상기 제1 전극(130) 상에 형성된 패드전극(140)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상면 면적 중 상기 제1 전극(130)의 면적 비율인 필링팩터(Filling Factor)가 20%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패턴(H)의 크기는 0.45a 이상(단, a는 패턴의 주기)일 수 있다.
상기 필링팩터는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30)은 제1 오믹층(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오믹층(132)은 도 3과 같이 투명 오믹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오믹층(132)은 투명 오믹층으로서 약 10 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오믹층(132)은 Cr, Pt, Ni, Au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30)은 도 2와 같이 상기 제1 오믹층(132) 상에 제1 반사층(134)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130)은 발광구조물(110) 전체영역에 전극금속을 증착 한 뒤 건식 또는 습식 식각방법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또는 비주기적인 패턴(H)을 도입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구조물(110) 전체 영역 상단에 일정하게 제1 전극(130)이 분포하므로 전류 확산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빛이 발광층(활성층)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이는 특히, 고출력 LED의 신뢰성 개선에 기 여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130)은 평면 금속층 내의 주기적인 또는 비주기적인 패턴(H)으로 인해 광추출 구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n형 전극은 반사 거울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 실시예에서의 제1 전극(130)은 금속/유전체(패턴을 메우는 물질) 경계면의 패턴(H)을 통해 일부분의 빛을 외부로 추출하는 역할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금속과 유전체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패턴(H)은 일반적인 유전체 경계면에 형성되는 패턴보다 우수한 광 추출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광추출 능력이 경계면을 이루는 두 물질의 굴절률 차이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주기 400 nm의 패턴(H)이 금속/유전체 경계면에 도입되었을 때, 유전체의 굴절률 및 패턴 높이(h)에 따른 추출효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점선은 패턴을 도입하지 않을 때의 추출효율이다.
전자기학 방정식을 통해 제1 전극(130)의 금속과 유전체 경계면 내 패턴에 의한 추출효율을 산출하면 기존(non-patterned structure)의 약 18%에 비해 크게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외부 유전체의 굴절률에 따라 추출효율이 최대가 되는 패턴의 높이가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패턴의 크기에 따른 광추출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패턴(H)의 주기(a) 및 크기(Radius)에 따른 광 추출효율의 변화를 계산한 그래프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패턴의 주기에 관계없이 패턴(H)의 크기가 0.45a 이상일 때, 최대의 추출효율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에 의하면, n형 전극은 평면 금속층 내에 일정한 주기의 패턴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전류 확산이 용이하며, 동시에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n형 전극은 와이어 본딩 패드(wire bonding pad)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얇은 투명 금속을 도입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동작전압 특성을 만족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에 의한 흡수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패드전극과 상대적 거리에 따라 패턴의 필링팩터(Filling Factor)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6과 같이 제1 도전형의 반도체층(112), 활성층(114)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11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도 6과 같이 제1 기판(105)을 준비한다. 상기 제1 기판(105)은 사파이어(Al2O3) 기판, SiC 기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기판에 대해 습식세척을 하여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기판(105)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 활성층(114)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은 화학증착방법(CVD) 혹은 분자선 에피택시 (MBE) 혹은 스퍼터링 혹은 수산화물 증기상 에피택시(HVPE)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N형 GaN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은 챔버에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실리콘(Si)와 같은 n 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실란 가스(SiH4)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는 상기 제1 기판(105) 상에 언도프트(undoped) 반도체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언도프트 반도체층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을 형성함으로써 기판과 발광구조물 간의 결정격자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114)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와 이후 형성되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이 서로 만나서 활성층(발광층) 물질 고유의 에너지 밴드에 의해서 결정되는 에너지를 갖는 빛을 방출하는 층이다.
상기 활성층(114)은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다중 양자 우물 구조(MQW: Multi Quantum Well), 양자 선(Quantum-Wire) 구조, 또는 양자 점(Quantum Dot)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층(114)은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트리메틸 인듐 가스(TMIn)가 주입되어 InGaN/GaN 또는 InGaN/InGaN 구조를 갖는 다중 양자우물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은 챔버에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 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마그네슘(Mg)과 같은 p 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비세틸 사이클로 펜타디에닐 마그네슘(EtCp2Mg){Mg(C2H5C5H4)2}가 주입되어 p형 GaN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7과 같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6) 상에 제2 전극(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전극(120)은 제2 오믹층(122), 제2 반사층(미도시), 제2 결합층(미도시), 제2 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20)은 티탄(Ti), 크롬(Cr), 니켈(Ni),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텅스텐(W), 또는 불순물이 주입된 반도체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120)은 제2 오믹층(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공주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단일 금속 혹은 금속합금, 금속산화물 등을 다중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오믹층(122)은 ITO, IZO(In-ZnO), GZO(Ga-ZnO), AZO(Al-ZnO), AGZO(Al-Ga ZnO), IGZO(In-Ga ZnO), IrOx, RuOx, RuOx/ITO, Ni/IrOx/Au, 및 Ni/IrOx/Au/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전극(120)이 제2 반사층을 포함하는 경우 Al, Ag, 혹은 Al이나 Ag를 포함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이나 은 등은 활성층에서 발생된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120)이 제2 결합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반사층이 제2 결합층의 기능을 하거나, 니켈(Ni), 금(Au) 등을 이용하여 제2 결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20)은 제2 기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이 50㎛ 이상으로 충분히 두꺼운 경우에는 제2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효율적으로 정공을 주입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금속합금, 혹은 전도성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판은 구리(Cu), 구리합금(Cu Alloy) 또는 Si, Mo, SiGe 중 어느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전기화학적인 금속증착방법이나 공융금속을 이용한 본딩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2)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기판(105)을 제거한다. 상기 제1 기판(105)을 제거하는 방법은 고출력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1 기판을 분리하거나 화학적 식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05)은 물리적으로 갈아냄으로써 제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와 같이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1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는 제1 전극(130)이 형성되기 전에 표면 거칠기(미도시) 또는 주기적인 표면 구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H)을 포함하는 제1 전극(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제1 전극물질(미도시)을 형성한 후 습식 또는 건식 식각에 의해 상기 제1 전극물질에 패터닝을 진행하여 패턴(H)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30)은 도 2와 같이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제1 오믹층(132)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오믹층(132) 상에 제1 반사층(13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과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전극(130)은 반사층 없이 제1 오믹층(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오믹층(132)은 투명 오믹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오믹층(132)이 투명 오믹층인 경우 10 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Cr, Pt, Ni, Au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130)에서의 패턴(H)은 주기적인 2차원 구조로 삼각 격자, 사각 격자 및 이를 응용한 아르키메디안 격가(Archimedean lattice), 또는 준결정(Quasi-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인 패턴에서 확장하여 불규칙적인 랜덤 패턴까지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전극(130)의 패턴(H)은 전류 확산을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홀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H)은 공기, 에폭시(Epoxy) 또는 기타 유전체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유전체로 패턴(H)이 채워지는 경우 유전체의 굴절률은 1보다 크며 3보다 작을 수 있다. 공기로 패턴(H)이 채워지는 경우에는 패턴의 영역에 감광막, 절연물 등을 위치 시키고, 제1 전극(130) 상에 추가 물질을 형성한 후 감광막 또는 절연물 등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패턴(H)의 주기는 약 100~약 5,000 nm 이며, 전체 LED Chip 상면 면적에 대한 제1 전극(130)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약20%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패턴(H)의 필링팩터(Filling Factor)(발광구조물 상면 전체 면적에서 제1 전극이 차지하는 비율)는 20% 이하가 됨으로써 전류확산에 기여하고, 동작전압 특성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전극(130)의 패턴(H)은 전류 확산을 위해 공간적으로 서로 이어져 있는 구조가 돼야 하므로, 홀(Hole)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전극(130)의 패턴(H)에 의한 광 추출 효과를 고려할 때, 홀(Hole)의 크기는 0.45a 이상일 수 있다(여기서, a는 패턴의 주기)(도 5 참조).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홀(Hole) 크기가 커질수록 제1 전극(130)의 필링팩터가 작아지므로, 제1 전극에 의한 흡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패턴(H)이 삼각 격자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0.45a의 크기를 가지는 홀 패턴의 필링팩터는 약 20% 이하가 되므로, 일반적인 n형 전극의 면적 비율을 적용하고도 동시에 광 추출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전극(130) 상에 패드전극(140)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전극(140)은 도 2와 같이 전류 확산을 위한 금속 계면 접합을 위한 제3 결합층(146), 와이어 본딩을 위한 본딩층(14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패턴(H)이 도입되는 제1 전극(130) 구조는 패드전극(140) 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본딩층과 결합층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130)은 제1 오믹층(132), 제1 반사층(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전극(140)은 제3 결합층(14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니켈(Ni), 금(Au) 등을 이용하여 제3 결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패드전극(140)은 Au 등에 의해 본딩층(1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3과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130)에서 반사층까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패드전극(140)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 제1 오믹층(132) 금속만이 도입되는 경우, 제1 오믹층(132)의 두께를 약 10 nm 이하로 줄여 투명 오믹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드전극(140)은 빛의 반사를 위한 제3 반사층(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반사층(144)은 Al, Ag, 혹은 Al이나 Ag를 포함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제1 전극은 평면 금속층 내에 소정의 패턴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전류확산이 용이하며, 동시에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은 와이어 본딩패드(wire bonding pad)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얇은 투명금속을 도입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동작전압 특성을 만족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기술적인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2 실시예의 차별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필링팩터는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드전극(140)으로 부터 제1 거리에 있는 제1 영역(A)의 필링팩터는 상기 패드전극(140)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멀리 있는 제2 거리의 제2 영역(B)의 필링팩터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130)의 패턴(H)은 전류확산 효과를 고려하여 전체 영역에 동일한 필링팩터(Filling Factor)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전극(140) 주위의 제1 영역(A)에서는 상대적으로 금속 면적이 적은, 즉, 홀(Hole Size)이 큰 제1 패턴(H1)을 적용하거나 패턴 자체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패드전극(140)에서 떨어진 제2 영역(B)일에서는 서서히 금속 면적의 비율을 높여나갈 수 있다. 즉, 제2 영역(B)에서는 홀(Hole Size)이 점점 작아지는 제2 패턴(H2)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제1 전극(130)의 비율(필링팩터)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광 추출 효과가 일어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제1 전극은 평면 금속층 내에 소정의 패턴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전류확산이 용이하며, 동시에 광 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전극에 의한 흡수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패드 전극과 상대적 거리에 따라 패턴의 필링팩터(Filling Factor)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설치된 발광소자 패키지를 설명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에 설치된 제1 전극층(210) 및 제2 전극층(220)과, 상기 몸체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극층(210) 및 제2 전극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100)와, 상기 발광소자(100)를 포위하는 몰딩부재(400)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200)는 실리콘 재질,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100)의 주위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210) 및 제2 전극층(220)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발광소자(1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210) 및 제2 전극층(220)은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광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도 1 또는 도 10에 예시된 수직형 타입의 발광소자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상기 몸체부(200) 상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1 전극층(210) 또는 제2 전극층(2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100)는 와이어(300)를 통해 상기 제1 전극층(210) 및/또는 제 2 전극층(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수직형 타입의 발광소자(100)가 예시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와이어(300)가 사용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발광소자(100)가 수평형 타입의 발광소자인 경우 두개의 와이어(3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100)가 플립칩 방식의 발광소자의 경우 와이어(30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몰딩부재(400)는 상기 발광소자(100)를 포위하여 상기 발광소자(1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부재(400)에는 형광체가 포함되어 상기 발광소자(100)에서 방출된 광의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정하는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 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패턴의 크기에 따른 광추출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의 공정단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단면도.

Claims (23)

  1. 발광구조물; 및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구조물의 상면 면적 중 상기 제1 전극의 면적 비율인 필링팩터(Filling Factor)가 20% 이하를 차지하는 발광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크기는 0.45a 이상인(단, a는 패턴의 주기) 발광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팩터는
    상기 발광구조물 상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발광소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팩터는
    상기 발광구조물 상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발광소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상에 패드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전극으로부터 제1 거리에 있는 제1 영역의 필링팩터는 상기 패드전극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멀리 있는 제2 거리의 제2 영역의 필링팩터 보다 낮은 발광소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오믹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층은 투명 오믹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오믹층은 10 n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발광소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오믹층; 및
    상기 오믹층 상에 반사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10. 제1 항에 있어서,
    굴절률이 1 이상 3 이하이고, 상기 패턴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발광소자.
  11.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상에 패드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전극을 기준으로 가까운 제1 영역과 멀리 있는 제2 영역 각각의 필링팩터(Filling Factor)(단, 상기 필링팩터는 상기 발광구조물의 상면 면적 중 상기 제1 전극의 면적 비율 )가 같지 않은 발광소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필링팩터는 상기 제2 영역의 필링팩터 보다 낮은 발광소자.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팩터(Filling Factor)의 평균은 20% 이하인 발광소자.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크기는 0.45a 이상인(단, a는 패턴의 주기) 발광소자.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투명 오믹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오믹층; 및
    상기 오믹층 상에 반사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17. 제11 항에 있어서,
    굴절률이 1 이상 3 이하이고, 상기 패턴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발광소자.
  18.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패키지 몸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조물의 상면 면적 중 상기 제1 전극의 면적 비율인 필링팩터(Filling Factor)가 20% 이하인 발광소자 패키지.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크기는 0.45a 이상인(단, a는 패턴의 주기) 발광소자 패키지.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팩터는
    상기 발광구조물 상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발광소자 패키지.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상에 패드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전극을 기준으로 가까운 제1 영역의 필링팩터(Filling Factor)는 상기 패드전극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보다 멀리있는 제2 영역의 필링팩터 보다 낮은 발광소자 패키지.
  23. 제18 항에 있어서,
    굴절률이 1 이상 3 이하이고, 상기 패턴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KR1020090121121A 2009-12-08 2009-12-08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103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21A KR101103892B1 (ko) 2009-12-08 2009-12-08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US12/893,710 US8530882B2 (en) 2009-12-08 2010-09-29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EP10187348.7A EP2333850B1 (en) 2009-12-08 2010-10-12 Light emitting device
CN201010533782.7A CN102088050B (zh) 2009-12-08 2010-10-29 发光器件、发光器件封装和照明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21A KR101103892B1 (ko) 2009-12-08 2009-12-08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483A KR20110064483A (ko) 2011-06-15
KR101103892B1 true KR101103892B1 (ko) 2012-01-12

Family

ID=4341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121A KR101103892B1 (ko) 2009-12-08 2009-12-08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30882B2 (ko)
EP (1) EP2333850B1 (ko)
KR (1) KR101103892B1 (ko)
CN (1) CN102088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16B1 (ko) * 2008-05-15 2010-02-11 주식회사 에피밸리 반도체 발광소자
JP5988568B2 (ja) * 2011-11-14 2016-09-07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187498B (zh) * 2011-12-29 2016-08-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US9450152B2 (en) 2012-05-29 2016-09-20 Micron Technology, Inc. Solid state transducer dies having reflective features over contac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508901B2 (en) * 2013-08-29 2016-11-29 Epistar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609596A (zh) * 2015-09-11 2016-05-25 映瑞光电科技(上海)有限公司 具有电流阻挡结构的led垂直芯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703A (ko) * 2002-09-09 2004-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KR20050008035A (ko) * 2003-07-14 2005-01-21 (주)아트세미텍 조명용 고출력 다전극 발광 다이오드 칩
KR20050008259A (ko) * 2003-07-15 2005-01-21 (주)아트세미텍 고휘도 고절대정격 발광 다이오드 칩
JP2007287851A (ja) 2006-04-14 2007-11-01 Toyoda Gosei Co Ltd 光通信に用いる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9484B2 (ja) 1998-12-24 2003-11-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89658B2 (ja) * 1999-11-19 2007-10-10 昭和電工株式会社 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
US6420732B1 (en) * 2000-06-26 2002-07-16 Luxnet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of improved current blocking and light extraction structure
JP2002170989A (ja) 2000-12-04 2002-06-14 Sharp Corp 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JP3821128B2 (ja) * 2001-07-12 2006-09-1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
TW508845B (en) 2001-11-05 2002-11-01 Epitech Technology Corp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JP2004055646A (ja) 2002-07-17 2004-02-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発光ダイオード素子のp側電極構造
US7105861B2 (en) 2003-04-15 2006-09-12 Luminus Devices, Inc. Electronic device contact structures
JP3841092B2 (ja) * 2003-08-26 2006-11-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WO2005022654A2 (en) * 2003-08-28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648444B1 (ko) 2003-11-18 2006-11-24 나이넥스 주식회사 고휘도 발광소자 및 그 제작 방법
US7250635B2 (en) * 2004-02-06 2007-07-31 Dicon Fiberoptics, Inc. Light emitting system with high extraction efficency
US20050173714A1 (en) * 2004-02-06 2005-08-11 Ho-Shang Lee Lighting system with high and improved extraction efficiency
EP1733439B1 (en) * 2004-03-18 2013-05-15 Panasonic Corporation Nitride based led with a p-type injection region
CN1993835A (zh) * 2004-06-14 2007-07-04 三菱电线工业株式会社 氮化物半导体发光器件
US7557380B2 (en) 2004-07-27 2009-07-07 Cree, In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a reflective bond pad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reflective bond pads
KR100895452B1 (ko) 2004-07-29 2009-05-07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소자용 양전극
WO2006011672A1 (en) 2004-07-29 2006-02-02 Showa Denko K.K. Positive electrode for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CN100342558C (zh) 2004-08-11 2007-10-10 深圳市瑞丰光电子有限公司 陶瓷封装发光二极管的封装方法
JP2006245379A (ja) * 2005-03-04 2006-09-14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US20060226429A1 (en) 2005-04-08 2006-10-12 Sigalas Mihail M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100878433B1 (ko) 2005-05-18 2009-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소자의 오믹컨택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발광소자의 제조방법
US7284573B2 (en) * 2005-05-24 2007-10-23 Certainteed Corporation Hose for installing loose fill insulation
JP4947954B2 (ja) * 2005-10-31 2012-06-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発光素子
JP4986445B2 (ja) * 2005-12-13 2012-07-25 昭和電工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KR100819883B1 (ko) 2006-02-17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736623B1 (ko) * 2006-05-08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직형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86091B1 (ko) 2006-06-08 200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평형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8047871A (ja) * 2006-07-18 2008-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
US8076688B2 (en) * 2006-09-25 2011-12-13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iode having extensions of electrodes for current spreading
JP4835377B2 (ja) 2006-10-20 2011-12-14 日立電線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US7692203B2 (en) 2006-10-20 2010-04-06 Hitachi Cable,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O2008064068A2 (en) 2006-11-17 2008-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lanarized led with optical extractor
KR100847847B1 (ko) 2007-01-22 2008-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백색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2779918B (zh) * 2007-02-01 2015-09-02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半导体发光元件
JP2008283037A (ja) * 2007-05-11 2008-11-20 Hitachi Cable Ltd 発光素子
KR100850667B1 (ko) 2007-05-22 2008-08-07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3307A (ko) 2007-11-23 2009-05-27 한국광기술원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8053B1 (ko) * 2007-12-13 2014-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21281B1 (ko) 2008-03-13 2013-01-1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651288B2 (ja) * 2008-03-25 2015-01-0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2079B1 (ko) * 2008-04-24 2011-1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278679B2 (en) * 2008-04-29 2012-10-02 Tsmc Solid State Lighting Ltd. LED device with embedded top electrode
KR100941616B1 (ko) 2008-05-15 2010-02-11 주식회사 에피밸리 반도체 발광소자
KR20100030472A (ko) * 2008-09-10 201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
TWI473292B (zh) * 2008-12-15 2015-02-11 Lextar Electronics Corp 發光二極體晶片
JP2011054598A (ja) * 2009-08-31 2011-03-17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23012B1 (ko) 2009-10-23 2012-03-19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JP5150684B2 (ja) * 2010-07-13 2013-02-2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5608589B2 (ja) * 2011-03-10 2014-10-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703A (ko) * 2002-09-09 2004-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KR20050008035A (ko) * 2003-07-14 2005-01-21 (주)아트세미텍 조명용 고출력 다전극 발광 다이오드 칩
KR20050008259A (ko) * 2003-07-15 2005-01-21 (주)아트세미텍 고휘도 고절대정격 발광 다이오드 칩
JP2007287851A (ja) 2006-04-14 2007-11-01 Toyoda Gosei Co Ltd 光通信に用いる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3850B1 (en) 2019-01-02
CN102088050A (zh) 2011-06-08
US20110133233A1 (en) 2011-06-09
KR20110064483A (ko) 2011-06-15
US8530882B2 (en) 2013-09-10
EP2333850A2 (en) 2011-06-15
CN102088050B (zh) 2015-09-02
EP2333850A3 (en)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779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064053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6129195B (zh) 发光二极管及制造该发光二极管的方法
KR101007077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07139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3094B1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US9786814B2 (e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KR101103892B1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20129449A (ko) 자외선 발광 소자
KR101134802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154750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5756A (ko) 발광소자
KR100999756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4033185A (ja)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101114047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81166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2042171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223225B1 (ko) 테두리 영역에 형성된 광 추출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130113268A (ko) 발광효율이 우수한 발광소자 어레이
KR101148190B1 (ko) 리세스들을 가지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204429B1 (ko) 반사층이 형성된 전극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172136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189429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2561565B1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2249637B1 (ko)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