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701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701B1
KR101102701B1 KR1020100000101A KR20100000101A KR101102701B1 KR 101102701 B1 KR101102701 B1 KR 101102701B1 KR 1020100000101 A KR1020100000101 A KR 1020100000101A KR 20100000101 A KR20100000101 A KR 20100000101A KR 101102701 B1 KR101102701 B1 KR 101102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duct
hole
wind flow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591A (ko
Inventor
마사아키 아지마
유키히로 타카노
토시나리 이토
코지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5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primary and secondary refrigeration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수납하는 상품의 수를 감소하는 일 없이, 가열실에 가까운 위치에 수납된 상품을 충분히 냉각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자동판매기(100)는, U자형상으로 배치된 냉각 흡입 덕트(40)와, 냉각 바닥덕트(50)와, 냉각 취출 덕트(60)를 가지며, 냉각 취출 덕트(60) 내에는 전후 칸막이판(70)에 의해, 앞면 근처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제 1 바람흐름(W1)을 형성하는 제 1 풍로(60A)와, 후면 근처의 범위에서 상승한 후에 앞면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 2 바람흐름(W2)을 형성하는 제 2 풍로(60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풍로(60B)의 상하 칸막이부(67)의 하방에는, 제 2 바람흐름(W2)에서의 앞면 방향의 바람흐름을 폭방향으로 안내하는 풍향판(80)이 설치되고, 제 2 풍로(60B)에서의 취출구멍(61)을 형성하는 취출 관통구멍(61b)은, 제 1 풍로(60A)에서의 취출구멍(61)을 형성하는 취출 관통구멍(61a)보다도 후면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특히, 상품을 시인(視認)할 수 있는 유리문을 앞면에 가지며, 상품(캔, 병, 팩, 페트병 등의 용기에 넣어진 음료 등)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품을 시인할 수 있는 유리문을 앞면에 갖는 자동판매기는, 양측면 및 저면에 따른 U자형상의 냉각 덕트를 갖고 있다. 즉, U자형상의 냉각 덕트는, 흡입구멍을 구비하는 냉각 취출(吹出) 덕트와, 흡입구멍을 구비하는 냉각 흡입 덕트와, 양자를 연통하는 냉각 바닥(底)덕트로 구성되고, 냉각 바닥덕트의 내부에는 공기 냉각 수단 및 공기 순환 수단(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냉각 송풍 수단」이라고 칭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래크의 각 단(段)에 대응한 위치에, 취출구멍 및 흡입구멍을 마련함에 의해, 각 단에 수납된 상품의 균일 냉각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후면(앞면에 대치하는 면과 같다) 근처의 취출구멍 및 흡입구멍을 닫으며 앞면 근처의 취출구멍 및 흡입구멍을 열 수 있는 차폐 가이드를 마련하고, 유리문을 통과하여서의 외기로의 열 로스(냉열의 산일(散逸))를 저감하는 존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 특개2008-065532호 공보(제 4페이지, 도 1)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상기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이지만, 차폐 가이드가 냉각 취출 덕트로부터 상품 래크측으로 돌출한다. 이 때문에, 상품 래크의 폭을 좁게 할 필요가 생겨서, 수납하는 상품의 수가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품 수납고(收納庫)의 상부에 가열 송풍 수단을 배치하여, 수납한 상품의 일부를 가열하기 위해 단열 칸막이판에 의해 상품 수납고를 가열실과 냉각실로 구분한 때, 양 실(室) 사이를 완전히 단열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가열실로부터 침입하는 온열(溫熱)에 의해 냉각실의 단열 칸막이판에 가까운 범위의 냉각이 저해되고, 해당 범위에 수납된 상품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수납하는 상품의 수를 감소하는 일 없이, 가열실에 가까운 위치에 수납된 상품을 충분히 냉각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청구항 1)는, 앞면에 개폐문이 설치된 상품 수납고(收納庫)와,
해당 상품 수납고 내에서, 상기 개폐문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설치되고, 후면 근처로부터 앞면 방향으로 수납하는 상품을 반송하는 상품 래크와,
상기 상품 수납고의 천장면(天面) 근처에 배치된 가열 송풍 수단과,
상기 상품 수납고의 한쪽의 측면에 따라 배치되고, 흡입구멍이 형성된 냉각 흡입 덕트와,
해당 냉각 흡입 덕트에 대향하여 상기 상품 수납고의 다른쪽의 측면에 따라 배치되고, 앞면 근처의 범위에 취출구멍이 형성된 냉각 취출 덕트와,
상기 냉각 흡입 덕트와 상기 냉각 취출 덕트를 연통하고, 상기 상품 수납고의 저면에 따라 배치된 냉각 바닥덕트와,
해당 냉각 바닥덕트의 내부에 배치된 냉각 송풍 수단과,
상기 상품 수납고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상품 수납고를 상부의 가열실과 하부의 냉각실로 구획하는 단열 칸막이판과,
상기 냉각 취출 덕트의 상기 상품 수납고의 외측에 고(庫)외측 풍로(風路)와, 상기 냉각 취출 덕트의 상기 상품 수납고의 내측이며 상기 냉각실의 범위에 고(庫)내측 풍로를 형성하는 내외 칸막이판과,
상기 수납고 내측 풍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해 보내진 공기를, 앞면 근처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제 1 바람흐름(風流)과, 후면 근처의 범위에서 상승함과 함께,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 앞면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 2 바람흐름을 형성하는 전후 칸막이판을 갖는다.
(2)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청구항 2)는,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 내측 풍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상기 냉각 흡입 덕트 방향 근처로 안내하는 풍향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청구항 3)는,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멍이, 각각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군(群)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해당 군이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람흐름의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의 군의 관통구멍의 일부가, 상기 제 1 바람흐름에서의 군의 관통구멍보다도, 후면 근처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바람흐름에서의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의 군의 관통구멍의 수가, 상기 제 1 바람흐름에서의 군의 관통구멍의 수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청구항 4)는, 상기 (1) 내지 (30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상기 취출구멍이 상기 상품 래크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청구항 5)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냉각 취출 덕트의 내부에 설치된 전후 칸막이판에 의해, 제 1 바람흐름과 제 2 바람흐름을 형성하고, 제 2 바람흐름의 앞면 방향으로 방향 전환한 범위(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범위와 같음)로부터, 단열 칸막이판의 바로 아래로 냉각 공기를 취출하기 때문에, 가열실로부터 냉각실로 온열이 침입하였다고 하여도, 냉각실의 상부(단열 칸막이판에 가까운 위치와 같음)에 수납된 상품을 충분히 냉각할 수 있다.
(ⅱ)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풍향판에 의해, 냉각 공기의 송풍 방향이 냉각 흡입 덕트 방향 근처, 즉, 직접 앞면에 설치된 개폐문에 충돌하지 않는 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좌우 방향이 넓은 범위에 냉각 공기가 직접적으로 냉각 공기가 골고루 미침과 함께, 개폐문을 경유한 냉열의 방산(放散)이 방지된다. 따라서, 수납된 상품을 폭방향으로 보다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고, 또한, 열 로스를 줄일 수 있다.
(ⅲ) 본 발명의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제 2 바람흐름의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단열 칸막이판에 가까운 위치와 같음)에서의 군의 관통구멍은, 그 밖의 군의 관통구멍보다도 수가 많고, 그 일부는 보다 후면 근처에 형성되기 때문에, 냉각실의 상부(단열 칸막이판에 가까운 위치와 같음)의 후면 근처에 수납된 상품도, 충분히 냉각할 수 있다.
(ⅳ) 본 발명의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구멍의 군이 상품 래크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단에 수납된 상품이 효율 좋게 냉각된다.
(v) 본 발명의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자동판매기는, 전후 칸막이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기 때문에, 가열실을 가열할 때는, 전후 칸막이판을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제 2 바람흐름에 의해 가열실의 가까운 범위를 집중적으로 냉각한다(이 때문에, 제 1 바람흐름는 냉각실의 비교적 넓은 범위를 냉각한다). 한편, 가열실을 냉각할 때는, 전후 칸막이판을 수납고 내측 풍로의 높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설치하여, 제 1 바람흐름과 제 2 바람흐름의 쌍방에 의해, 냉각실을 평균적으로 냉각한다. 따라서 가열실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냉각실에 침입하는 온열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고, 가열실을 냉각하는 경우에는, 가열실 및 냉각실의 넓은 범위를 균일하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단면도로서, 가열과 냉각을 실행하는 경우.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단면도로서, 냉각만을 실행하는 경우.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자동판매기의 냉각 취출 덕트(수납고 내측 풍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자동판매기의 냉각 취출 덕트(수납고 내측 풍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자동판매기의 냉각 흡입 덕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자동판매기의 소정 범위의 바람흐름을 조사한 조사 결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수납고 내측 풍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이동 전후 칸막이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자동판매기에서의 이동 전후 칸막이판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자동판매기에서의 이동 전후 칸막이판의 효과를 도시하는 실험 결과.
[실시의 형태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자동판매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고, 도 1은 가열과 냉각을 실행하는 경우, 도 2는 냉각만 실행하는 경우로서, 각각 (a)는 정면을 본 단면도, (b)는 측면을 본 단면도이다. 또한, 각 도명은 모식적으로 그려진 것이기 때문에, 각 부재의 상대적인 대소 관계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품 수납고)
도 1 및 도 2에서, 자동판매기(100)는, 단열재(11)에 의해 포위되고, 앞면(도면중, Y방향)이 개구한 상품 수납고(10)와, 상품 수납고(10)의 앞면을 개폐하는 유리문(개폐문와 같음)(12)을 갖고 있다.
상품 수납고(10)에는, 유리문(12)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상품 래크(20)가, 상하 방향으로 7단 설치되어 있다. 상품 래크(20)는, 후면 근처로부터 앞면 방향으로 수납하는 상품을 반송한다.
또한, 상품 수납고(10)의 위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래크(20)와 3단째의 상품 래크(20) 사이에, 단열 칸막이판(13a, 13b)이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즉, 후면 근처에 설치된 단열 칸막이판(13a)과 앞면 근처에 설치된 단열 칸막이판(13b)에 의해, 상품 수납고(10)는 상부의 가열실(10H)과 하부의 냉각실(10C)로 구획되어 있다.
(가열 공기의 흐름)
도 1에서, 가열실(10H)을 가열할 때, 가열실(10H)은 상품 수납고(10)의 천장면(天面)에 가까운 후면 근처에 배치된 가열 송풍 수단(30)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 송풍 수단(30)은, 가열 흡입 덕트(31)와, 가열 팬(32)과, 수납고내(庫內) 히터(33)와, 가열 풍동(風洞)(34)을 갖고 있다. 도 1에 가열 공기가 흐르는 가열 흡입 덕트(31) 및 가열 풍동(34)을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사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냉각 공기의 흐름)
냉각실(10C)의 한쪽의 측면(도 1의 (a)에서의 우측중, +X측)에 따라, 흡입구멍(41)이 형성된 냉각 흡입 덕트(40)와, 냉각 흡입 덕트(40)에 대향하여 상품 수납고(10)의 다른쪽의 측면(도 1의 (a)에서의 좌측중, -X측)에 따라 배치되고, 앞면 근처의 범위에 취출구멍(61)이 형성된 냉각 취출 덕트(60)와, 냉각 흡입 덕트(40)와 냉각 취출 덕트(60)를 연통하고, 상품 수납고(10)의 저면에 따라 배치된 냉각 바닥덕트(50)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 바닥덕트(50)의 내부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51)와, 냉각 팬(52)이 배치되어 있다(이하, 증발기(51)와 냉각 팬(52)을 통합하여 「냉각 송풍 수단(53)」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냉각 취출 덕트(60)는, 가열실(10H)에 냉각 공기를 보내기 위한 제 3 풍로(60C)(수납고 외측 풍로와 같음)와, 냉각실(10C)에 냉각 공기를 보내기 위한 제 1 풍로(60A) 및 제 2 풍로(60B)(양자를 합친 풍로가 수납고 내측 풍로와 같음)로 구획되어 있다(이에 관해서는 별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가열실(10H)을 가열하면서, 냉각실(10C)을 냉각할 때, 냉각 송풍 수단(53)에 의해 보내진 냉각 공기는, 냉각 취출 덕트(60)의 제 1 풍로(60A) 및 제 2 풍로(60B)를 경유하여, 냉각실(10C)에 취출되고, 냉각실(10C)을 좌우 방향(+X방향)으로 흐른 후, 냉각 흡입 덕트(40)에 흡입되고, 재차, 냉각 송풍 수단(53)으로 되돌아오는 순환을 한다. 도 1에 냉각 공기가 흐르는 냉각 흡입 덕트(40), 냉각 바닥덕트(50) 및 냉각 취출 덕트(60)를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가열실(10H) 및 냉각실(10C)을 냉각할 때, 냉각 송풍 수단(53)에 의해 보내진 냉각 공기는, 냉각 취출 덕트(60)의 제 3 풍로(60C)를 경유하여 가열실(10H)에 취출되고, 또한, 냉각 취출 덕트(60)의 제 1 풍로(60A) 및 제 2 풍로(60B)를 경유하여, 냉각실(10C)에 취출되고, 각각 좌우 방향(+X방향)으로 흐른 후, 냉각 흡입 덕트(40)에 흡입되고, 재차, 냉각 송풍 수단(53)으로 되돌아오는 순환을 한다. 도 2에 냉각 공기가 흐르는 냉각 흡입 덕트(40), 냉각 바닥덕트(50) 및 냉각 취출 덕트(60)를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냉각 취출 덕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냉각 취출 덕트를 설명하는 것이고, 도 3의 (a)는 부분(수납고 내측 풍로)을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3의 (b)는 부분(수납고 내측 풍로)의 일부(풍향판)를 투과하여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3의 (c)는 도 3의 (a)에서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의 (d)는 도 3의 (a)에서의 B-B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부분(수납고 내측 풍로)의 일부를 투과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그려진 것이기 때문에, 각 부재의 상대적인 대소 관계 등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냉각 취출 덕트(60)는, 전후 방향(Y-Z면과 평행)으로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배치된 덕트 내판(62) 및 덕트 외판(64)과, 폭방향(X-Z면과 평행)으로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배치된 덕트 전판(63) 및 덕트 후판(65)으로 형성된 통형상(筒狀)이다. 또한, 덕트 내판(62)의 하단의 근처에는, 냉각 바닥덕트(50)로부터의 냉각 공기가 통과하는 냉각 공기 유입구(66)가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덕트 후판(65)의 상부(가열실(10H)에 상당하는 범위)는 절곡되고, 앞면 근처에 위치하고, 이러한 절곡부의 후방, 가열 흡입 덕트(31)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냉각 취출 덕트(60)는, 단열 칸막이판(13a)과 거의 같은 위치에 설치된 상하 칸막이부(67)와, 덕트 내판(62)과 덕트 외판(64) 사이에 이들을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좌우 칸막이부(68)로 이루어지는 단면 L자형상의 내외 칸막이판(69)이 마련되어 있다.
즉, 냉각 취출 덕트(60)는 내외 칸막이판(69)에 의해, 상품 수납고(10)의 바깥 가까이에 위치하는 수납고 외측 풍로(이하「제 3 풍로」라고 칭한다)(60C)와, 상품 수납고(10)의 속 가까이에 위치하는 수납고 내측 풍로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풍로(60C)는, 가열실(10H)을 냉각할 때에, 냉각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流路)가 된다.
(전후 칸막이판)
냉각 취출 덕트(60)의 상기 수납고 내측 풍로의 내부에는, 냉각 수단(53)에 의해 보내진 냉각 공기를, 앞면 근처에서 소정의 높이(위부터 3단째의 상품 래크(20)와 4단째의 상품 래크(20) 사이에 상당한다)까지 상승하는 제 1 바람흐름(W1)과, 후면 근처의 범위에서 상승함과 함께,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 앞면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Γ(감마)형상의 제 2 바람흐름(W2)를 형성하는 전후 칸막이판(7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전후 칸막이판(70)은 연직부(71)와 수평부(72)를 구비하는 L자형상으로 형성된 판재이고, 이에 의해, 제 1 바람흐름(W1)을 형성하는 제 1 풍로(60A)와, 제 2 바람흐름(W2)을 형성하는 제 2 풍로(60B)가 형성되어 있다.
(풍향판)
또한, 상기 수납고 내측 풍로(제 1 풍로(60A) 및 제 2 풍로(60B))의 가장 앞면 근처(+Y방향)에 풍향판(80)이 설치되어 있다. 풍향판(80)은, 제 2 바람흐름(W2)에서의 앞면 방향(Y방향)의 바람흐름을 폭방향(X방향, 냉각 흡입 덕트(40)의 방향와 같음)으로 안내하거나, 제 1 바람흐름(W1)에서, 앞면 방향(Y방향)에서 외측(-X방향)의 구석부(우부(隅部)에, 바람흐름의 정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으로서, 폭방향(X방향)에 대하고 각도(θ)가 대강 30 내지 60°(예를 들면, 45°) 기울어져 있다.
(취출구멍)
취출구멍(61)은, 각각 4개의 취출 관통구멍(61a)으로 이루어지는 7군(群)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군이, 상하 방향으로 상품 래크(20)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취출 관통구멍(61a)은 제 1 풍로(60A)의 전역과 제 2 풍로(60B)의 앞면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풍로(60B)의 제 1 풍로(60A)의 후방 범위, 즉, 윗방향의 바람흐름이 형성되는 범위에는 취출 관통구멍(61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제 2 풍로(60B)의 후면 근처에서 상하 칸막이부(67)의 근처(위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래크(20)와 4단째의 상품 래크(20) 사이에 상당한다)에 취출 관통구멍(61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바람흐름(W2)의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는, 제 1 풍로(60A)에서의 군을 형성하는 관통구멍의 개수(4개)보다도 많은 개수(합계 6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일부(취출 관통구멍(61b))는 제 1 풍로(60A)에서의 것보다 후면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 도 1에 의거하여 자동판매기(100)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하는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품 래크의 단삭, 취출구멍(61)을 형성하는 군의 수량, 또는, 각 군을 구성하는 취출 관통구멍(61a)의 수량이나 취출 관통구멍(61b)의 수량 등은,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높이 방향으로, 상하 칸막이부(67)의 위치나 전후 칸막이판(70)의 수평부(72)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풍향판(80)을 철거하여도 상당하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냉각 흡입 덕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자동판매기에서의 냉각 흡입 덕트를 설명하는 일부를 투과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모식적으로 그려진 것이기 때문에, 각 부분의 상대적인 대소 관계 등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냉각 흡입 덕트(40)는, 전후 방향(Y-Z면과 평행)으로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배치된 덕트 내판(42) 및 덕트 외판(도시 생략)과, 폭방향(X-Z면과 평행)으로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배치된 덕트 전판(43) 및 덕트 후판(45)으로 형성된 통형상이고, 덕트 내판(42)의 하단의 근처에는, 냉각 바닥덕트(50)에 공기를 송출하기 위한 순환 공기 유출구(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 내판(42)의 앞면 근처에, 흡입구멍(41)이, 각각 4개의 흡입 관통구멍(41a)으로 이루어지는 5군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군이, 상하 방향으로 상품 래크(20)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덕트 내판(42)의 상단 근처에는 후면 근처에, 6개의 흡입 관통구멍(41b)이 형성되고, 덕트 내판(42)의 상단은 개구하고 순환 공기 유입구(48)가 형성되어 있다.
즉, 냉각 흡입 덕트(40)의 상단 근처에서는, 합계 10개의 흡입 관통구멍(41a, 41b)과 순환 공기 유입구(48)에 의해, 냉각 취출 덕트(60)의 제 2 바람흐름(W2)로부터 취출된 냉각 공기가, 용이하게 냉각 흡입 덕트(40)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 관통구멍(41a) 및 흡입 관통구멍(41b)의 수량이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바람흐름)
자동판매기(100)는 이상의 구성이기 때문에, 가열실(10H)을 가열하고 냉각실(10C)을 냉각할 때, 냉각 송풍 수단(53)으로부터 보내진 냉각 공기는, 냉각 취출 덕트(60)의 제 1 풍로(60A) 및 제 2 풍로(60B)에 유입하고, 각각 제 1 바람흐름(W1) 및 제 2 바람흐름(W2)이 된다.
제 1 바람흐름(W1)은 상승하면서(+Z방향으로 흐르면서),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 상품 수납고(10)의 내부로 취출하고, 상품 래크(2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 후, 흡입 관통구멍(41a)으로부터 냉각 흡입 덕트(40)에 흡입되어 냉각 송풍 수단(53)으로 되돌아온다.
한편, 제 2 바람흐름(W2)는, 앞면 방향(+Y방향)으로 흐르면서, 취출 관통구멍(61b) 및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 상품 수납고(10)의 내부, 특히, 단열 칸막이판(13a)의 바로 아래로 취출하고, 주로, 위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래크(2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한 후, 흡입 관통구멍(41a, 41b) 및 순환 공기 유입구(48)로부터, 냉각 흡입 덕트(40)에 흡입되어 냉각 송풍 수단(53)으로 되돌아온다.
도 6은, 자동판매기(100)의 단열 칸막이판(13a)의 바로 아래에서의, 수평 방향(X-Y방향)의 바람흐름을 조사한 조사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즉,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 6의 (c)가 자동판매기(100)이고, 도 6의 (a), (b), (d)는, 각 부재의 효과를 확인한 비교 자동판매기이다.
[표 1]
Figure 112010000103795-pat00001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칸막이판(70)이 없는 경우, 냉각 송풍 수단(53)으로부터 보내진 냉각 공기는 냉각 취출 덕트(60)에서 상승류가 되고, 상승에 수반하여, 앞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 상품 수납고(10)에 취출되지만, 서서히 유량이 감소함과 함께, 앞면 근처의 흐름으로 되어 있다(도시 생략).
이 때문에, 상하 칸막이부(67)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 냉각 공기는, 앞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 상품 수납고(10)에 취출하고, 후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b)으로부터는, 거의 취출하고 있지 않다(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때문에, 폭방향의 양단의 앞면 근처의 범위(파선으로 둘러싼 범위)에, 냉각 공기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실(10H)로부터의 온열의 침입에 의해 해당 범위에 수납된 상품의 온도가 상승(냉각이 불충분함과 같음)하고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향판(80)이 없는 경우, 냉각 송풍 수단(53)으로부터 보내진 냉각 공기는, 냉각 취출 덕트(60)에서 각각 개략 등량의 풍량인 제 1 바람흐름(W1)과 제 2 바람흐름(W2)으로 나뉘여진다.
그리고, 제 2 바람흐름(W2)은 상승에 수반하는 풍량의 감소가 없는 채로, 상하 칸막이부(67)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고, 후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b) 및 앞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a)의 쌍방에서 상품 수납고(10)에 취출하고 있다.
이 때, 풍향판(80)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 앞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는, 앞면측(Y방향)으로의 바람흐름이 강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냉각 흡입 덕트(40)의 근처에서 앞면 근처의 범위(파선으로 둘러싼 범위)에, 냉각 공기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실(10H)로부터의 온열의 침입에 의해 해당 범위에 수납된 상품의 온도가 상승(냉각이 불충분함과 같음)하고 있다. 또한, 유리문(12)에 충돌한 바람흐름에 의해 냉열이 유리문(12)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산일하고, 열 로스가 증가하고 있다.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칸막이판(70)이 설치되고, 또한, 후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b)이 없는 경우, 냉각 송풍 수단(53)으로부터 보내진 냉각 공기는, 냉각 취출 덕트(60)에서 각각 개략 등량의 풍량인 제 1 바람흐름(W1)과 제 2 바람흐름(W2)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제 2 바람흐름(W2)은 상승에 수반하는 풍량의 감소가 없는 채로, 상하 칸막이부(67)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고, 앞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 상품 수납고(10)에 취출하고 있다.
이 때, 풍향판(80)이 설치되어 있지만, 풍량이 많기 때문에, 취출 풍속이 빨라져서, 유리문(12)에 충돌한 바람흐름이 생기고 있다. 이 때문에, 냉각 흡입 덕트(40)의 근처에서 앞면 근처의 범위(파선으로 둘러싼 범위)에, 냉각 공기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실(10H)로부터의 온열의 침입에 의해 해당 범위에 수납된 상품의 온도가 상승(냉각이 불충분함과 같음)하고 있다. 또한, 유리문(12)에 충돌하는 바람흐름에 의해 냉열이 유리문(12)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산일하고, 열 로스가 증가하고 있다.
도 6의 (c)는 자동판매기(100)이고, 제 2 바람흐름(W2)은 전후 칸막이판(70)에 의해 풍량을 줄이는 일 없이, 상하 칸막이부(67)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고, 후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b) 및 앞면 근처에 형성된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 상품 수납고(10)에 취출하고 있다.
이 때, 풍향판(80)에 의해 제 2 바람흐름(W2)의 앞면 방향으로 흐름은 폭방향(+X방향)으로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는, 주로 냉각 흡입 덕트(40)의 근처에서 앞면 근처의 범위를 향하여, 냉각 공기가 취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앞면 근처에서 폭방향이 넓은 범위(파선으로 둘러싼 범위)에, 냉각 공기가 도달하기 때문에, 해당 범위에 수납된 상품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흡입 덕트(40)의 덕트 내판(42) 및 냉각 취출 덕트(60)의 덕트 내판(62)으로부터 돌출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상품 래크의 폭(X방향의 거리)을 좁힐 필요가 없고, 수납하는 상품의 수량이 감소하지 않는다.
(냉각만 운전)
이상, 자동판매기(100)에 있어서, 상부에 수납한 상품을 가열하고, 하부에 수납한 상품을 냉각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자동판매기(100)는 수납하는 상품의 전부를 냉각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때, 단열 칸막이판(13a, 13b) 및 상하 칸막이부(67)를 철거하고, 가열 송풍 수단(30)을 정지한다. 그렇게 하면, 냉각 송풍 수단(53)으로부터 보내진 냉각 공기는, 제 1 풍로(60A) 및 제 2 풍로(60B)의 쌍방에 유입하고, 제 2 풍로(60B)에 유입한 냉각 공기는, 상품 수납고(10)의 천장 근처(냉각 취출 덕트(60)의 가열 흡입 덕트(31)의 앞면측)까지 상승하고, 취출 관통구멍(61a)으로부터 상품 수납고(10)에 취출한다.
또한, 풍향판(80)을 착탈 자유롭게 하여 두고, 전실(全室)을 냉각할 때, 풍향판(80)을 철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2]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자동판매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7의 (a)는 부분(수납고 내측 풍로)을 일부(이동 전후 칸막이판)를 철거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의 (b)는 부분(수납고 내측 풍로)에 설치되는 일부(이동 전후 칸막이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의 (a)는 가열실에 냉각 공기를 보내지 않는 경우의 수납고 내측 풍로를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8의 (b)는 가열실에 냉각 공기를 보내는 경우의 수납고 내측 풍로를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도 9는, 일부(이동 전후 칸막이판)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도 7에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자동판매기(도시 생략)는, 이것이 갖는 냉각 취출 덕트(60)의 수납고 내측 풍로에, 자동판매기(100)(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전후 칸막이판(70)에 대신하여, 이동 전후 칸막이판(270)이 설치된 것이고, 이것을 제외한 부재는 자동판매기(100)에 같다. 또한, 자동판매기(100)와 같은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냉각 취출 덕트(60)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판(70)이 철거된 것이지만, 전후 칸막이판(70)을 구성하고 있던 연직부(71)의 일부(하방 범위)만이 남아 있다. 그리고, 덕트 내판(62)의 제 2 풍로에 상당한 범위에서 상하 방향(Z방향)으로, 고정용 볼트(274)가 관통 가능한 고정용 슬릿(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전후 칸막이판(270)은, 전후 칸막이판(70)의 연직부(71)에 상당하는 연직부(271)(정확하게는 연직부(71)보다 짧다)와, 전후 칸막이판(70)의 수평부(72)에 상당하는 수평부(272)와, 연직부(271)와 수평부(272)에 접속된 당접부(273)를 가지며, 당접부에는, 고정용 볼트(274)가 관통 가능한 고정용 구멍(27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접부(273)를 덕트 내판(62)(Y-Z면)에 맞댄 때, 연직부(271)는 「X-Z면」에, 수평부(272)는 「X-Y면」에 평행하게 되고, 연직부(271)는 수평부(72)에 맞닿고, 고정용 슬릿(62a)과 고정용 구멍(273a)의 위상이 일치한다.
도 8의 (a)에서, 가열실(10H)을 가열하고, 냉각실(10C)만에 냉각 공기를 보내는 경우, 이동 전후 칸막이판(270)의 수평부(272)가, 위로부터 3단째의 취출구멍(61)과 위로부터 4단째의 취출구멍(61) 사이에 배치되고, 이동 전후 칸막이판(270)은 덕트 내판(62)에 고정용 슬릿(62a)과 고정용 구멍(273a)을 관통한 고정용 볼트(27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실(10H)(위로부터 1단째 및 2단째의 취출구멍(61)의 범위와 같음)로부터의 온열의 침입에 의한 영향이 완화되어 있다.
도 8의 (b)에서, 가열실(10H) 및 냉각실(10C)에 냉각 공기를 보내는 경우, 이동 전후 칸막이판(270)의 수평부(272)가, 위로부터 4단째의 취출구멍(61)과 위로부터 5단째의 취출구멍(61)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용 볼트(27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위로부터 3단째의 취출구멍(61)으로부터 취출한 냉각 공기의 양 및 유속은, 도 8의 (a)에서의 것보다 작게 되어 있다(도 8의 (a)에서 위로부터 3단째의 취출구멍(61)으로부터 취출된 냉각 공기가, 도 8의 (b)에서는, 위로부터 3단째의 취출구멍(61) 및 4단째의 취출구멍(61)에 분산되어 있다).
따라서, 위로부터 3단째의 취출구멍(61)에 상당한 위치에 저장된 상품이, 과잉하게 냉각된 일이 없어진다.
도 9는, 이동 전후 칸막이판(270)의 작용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고, 종축은 취출구멍(61)의 위치를 도시하는 단의 명칭(위로부터 1단째 등), 횡축은 각각의 단의 취출구멍(61)으로부터 취출된 취출 풍량(㎥/min)이다.
즉, 전단(全段)에서 냉각 공기를 취출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수평부(272)를 3단째와 4단째의 사이로부터, 4단째와 5단째의 사이로 끌어내리고 있다. 수평부(272)를 3단째와 4단째의 사이에 배치한 경우의 각 취출구멍(61)으로부터 취출된 취출 풍량(㎥/min)을 「흰원과 파선」으로, 4단째와 5단째의 사이에 배치한 경우의 각 취출구멍(61)으로부터 취출된 취출 풍량(㎥/min)을 「검은원과 실선」으로, 각각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풍로(60A)에 유입한 냉각 공기는, 4단째 내지 7단째의 합계 4단으로부터, 5단째 내지 7단째의 합계 3단의 냉각을 분담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각각의 단으로부터의 취출 풍량이 늘어나 있다. 한편, 제 2 풍로(60B)에 유입한 냉각 공기는, 3단째뿐이여서, 3단째 및 4단째의 합계 2단의 냉각을 분담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각각의 단으로부터의 취출 풍량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에 상 등하는 위치에 저장된 상품의 냉각이 균일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하는 상품의 수를 감소하는 일 없이, 가열실에 가까운 위치에 수납된 상품을 충분히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자동판매기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0 : 상품 수납고
10C : 냉각실
10H : 가열실
11 : 단열재
12 : 유리문
13a : 단열 칸막이판
20 : 상품 래크
30 : 가열 송풍 수단
31 : 가열 흡입 덕트
32 : 가열 팬
33 : 고내 히터
34 : 가열 풍동
40 : 냉각 흡입 덕트
41 : 흡입구멍
41a : 흡입 관통구멍
41b : 흡입 관통구멍
42 : 덕트 내판
43 : 덕트 전판
45 : 덕트 후판
46 : 순환 공기 유출구
48 : 순환 공기 유입구
50 : 냉각 바닥덕트
51 : 증발기
52 : 냉각 팬
53 : 냉각 송풍 수단
60 : 냉각 취출 덕트
60A : 제 1 풍로
60B : 제 2 풍로
61 : 취출구멍
61a : 취출 관통구멍
61b : 취출 관통구멍
62 : 덕트 내판
63 : 덕트 전판
64 : 덕트 외판
65 : 덕트 후판
66 : 냉각 공기 유입구
67 : 상하 칸막이부
68 : 좌우 칸막이부
69 : 내외 칸막이판
70 : 전후 칸막이판
71 : 연직부
72 : 수평부
80 : 풍향판
100 : 자동판매기
62a : 고정용 슬릿
270 : 이동 전후 칸막이판
271 : 연직부
272 : 수평부
273 : 당접부
273a : 고정용 구멍
274 : 고정용 볼트
W1 : 바람흐름
W2 : 바람흐름

Claims (5)

  1. 앞면에 개폐문이 설치된 상품 수납고와,
    해당 상품 수납고 내에서, 상기 개폐문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설치되고, 후면 근처로부터 앞면 방향으로 수납하는 상품을 반송하는 상품 래크와,
    상기 상품 수납고의 천장면 근처에 배치된 가열 송풍 수단과,
    상기 상품 수납고의 한쪽의 측면에 배치되고, 흡입구멍이 형성된 냉각 흡입 덕트와,
    해당 냉각 흡입 덕트에 대향하여 상기 상품 수납고의 다른쪽의 측면에 배치되고, 앞면 근처의 범위에 취출구멍이 형성된 냉각 취출 덕트와,
    상기 냉각 흡입 덕트와 상기 냉각 취출 덕트를 연통하고, 상기 상품 수납고의 저면에 배치된 냉각 바닥덕트와,
    해당 냉각 바닥덕트의 내부에 배치된 냉각 송풍 수단과,
    상기 상품 수납고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상품 수납고를 상부의 가열실과 하부의 냉각실로 구획하는 단열 칸막이판과,
    상기 냉각 취출 덕트의 상기 상품 수납고의 외측에 수납고 외측 풍로와, 상기 냉각 취출 덕트의 상기 상품 수납고의 내측이며 상기 냉각실의 범위에 수납고 내측 풍로를 형성하는 내외 칸막이판과,
    상기 수납고 내측 풍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해 보내진 공기를, 앞면 근처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제 1 바람흐름과, 후면 근처의 범위에서 상승함과 함께,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 앞면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제 2 바람흐름을 형성하는 전후 칸막이판을 구비하며,
    상기 취출구멍이, 각각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군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해당 군이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람흐름의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의 군의 관통구멍의 일부가, 상기 제 1 바람흐름에서의 군의 관통구멍보다도, 후면 근처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바람흐름에서의 상기 소정의 높이를 초과한 위치에서의 군의 관통구멍의 수가, 상기 제 1 바람흐름에서의 군의 관통구멍의 수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 내측 풍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상기 냉각 흡입 덕트 방향 근처로 안내하는 풍향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상기 취출구멍이 상기 상품 래크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20100000101A 2009-03-06 2010-01-04 자동판매기 KR101102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53696 2009-03-06
JP2009053696A JP5262852B2 (ja) 2009-03-06 2009-03-06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591A KR20100100591A (ko) 2010-09-15
KR101102701B1 true KR101102701B1 (ko) 2012-01-05

Family

ID=4297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101A KR101102701B1 (ko) 2009-03-06 2010-01-04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62852B2 (ko)
KR (1) KR101102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3580B2 (ja) * 2013-08-28 2017-05-1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11928551B (zh) * 2019-05-13 2022-02-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128A (ja) * 2006-07-13 2008-01-3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08108189A (ja) * 2006-10-27 2008-05-0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09042886A (ja) 2007-08-07 2009-02-26 Panasonic Corp 自動販売機
JP2009042947A (ja) 2007-08-08 2009-02-26 Kubota Corp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10748U (ko) * 1972-03-24 1973-12-19
JP3503046B2 (ja) * 1997-08-20 2004-03-02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4534407B2 (ja) * 2001-09-28 2010-09-0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4517559B2 (ja) * 2001-09-30 2010-08-0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4419803B2 (ja) * 2004-11-04 2010-02-2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4997885B2 (ja) * 2006-09-06 2012-08-0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128A (ja) * 2006-07-13 2008-01-3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08108189A (ja) * 2006-10-27 2008-05-0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09042886A (ja) 2007-08-07 2009-02-26 Panasonic Corp 自動販売機
JP2009042947A (ja) 2007-08-08 2009-02-26 Kubota Corp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591A (ko) 2010-09-15
JP2010211288A (ja) 2010-09-24
JP5262852B2 (ja)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3896B2 (en) Outdoor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KR101076188B1 (ko) 자동 판매기
KR101102701B1 (ko) 자동판매기
JP2022117745A (ja) 物品販売機
JP5423010B2 (ja) 自動販売機
JP4997885B2 (ja) 自動販売機
JP5760718B2 (ja) 商品収納装置
JP2020130010A (ja) 解凍庫
JP6056449B2 (ja) 自動販売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CN103886688B (zh) 自动售货机
JP4085947B2 (ja) 自動販売機
JP5523986B2 (ja) 冷蔵庫
KR20210112188A (ko) 냉장고
JP2005114178A (ja) ショーケース
KR101668568B1 (ko) 자동 판매기
JP5375332B2 (ja) 自動販売機
JP4052208B2 (ja) 自動販売機
KR20220145627A (ko) 냉각모듈 장착형 쇼케이스
JP2883552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CN117043078A (zh) 储藏库
JP4049060B2 (ja) 自動販売機
JP3970743B2 (ja) 自動販売機
JP2009134674A (ja) 自動販売機
JP2017122542A (ja) 冷却貯蔵庫
JP2009222290A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