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677B1 - 튀김기 - Google Patents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677B1
KR101098677B1 KR1020090034577A KR20090034577A KR101098677B1 KR 101098677 B1 KR101098677 B1 KR 101098677B1 KR 1020090034577 A KR1020090034577 A KR 1020090034577A KR 20090034577 A KR20090034577 A KR 20090034577A KR 101098677 B1 KR101098677 B1 KR 10109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king oil
oil
cooking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534A (ko
Inventor
서인원
권영중
Original Assignee
서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원 filed Critical 서인원
Priority to KR102009003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6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534A/ko
Priority to PCT/KR2009/004203 priority patent/WO2010123172A1/ko
Priority to US13/265,443 priority patent/US20120037011A1/en
Priority to CN200980158882.1A priority patent/CN102413743B/zh
Priority to EP09843700.7A priority patent/EP2422665B1/en
Priority to JP2012507133A priority patent/JP543821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용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채소류나 또는 닭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가열된 기름에 튀길 때 채소나 육류표면에 도포된 튀김가루나 밀가루반죽 등이 채소나 육류에서 박리되어 장기간 식용유와 같은 발열원에 접촉하여 방치될 때 탄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 하고, 고온상태에서 장기간 운영됨에 따른 식용유의 산화를 방지하기위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운영하되 함유열량을 높여 요리 속도를 촉진하도록 하는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발열원인 전기 히터(1)와 튀김 솥(2)에 채소류나 육류등에 묻혀진 밀가루등이 육류등에서 이탈 또는 박리된 튀김 가루나 밀가루와 같은 이물질을 발열원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 채집통(7)과 튀김 솥(2)으로부터 이물질을 채집통(7)으로 이송하면서 일정 비율로 식용유와 물을 섞기 위해 교반기 기능을 겸한 스크류(104) 등으로 구성하여 식용유의 산패현상을 막고 탁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도록 한 것이다.
전기 히터, 튀김가루, 밀가루, 튀김 솥, 채집통, 스크류, 산패현상.

Description

튀김기 { Frying Machine}
종래 닭고기와 같은 육류나 야채 등을 기름에 튀기고자 할 때 고열의 발열원이 내장된 튀김 솥 내에서 육류나 야채와 같은 식재료에 묻혀 놓은 밀가루나 튀김가루 등이 식재료에서 이탈하여 튀김 솥의 하부에 설치된 발열원인 히터 등에 접촉하여 탄화되거나 식용유의 색깔 탁도 등에 영향을 미치거나 육 가공품을 튀기기 위해 식용유의 발화점 근처에 까지 고열을 가함으로서 트랜스지방과 같은 유해 물질 등이 생성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직접 열원을 내포한 튀김 솥과는 열적으로 차단되고 식용유에 비해 비열이 높고 비중이 높은 물을 담아두는 채집통 등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요리 후 튀김가루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지 않고 튀김요리 중에 자동적으로 분리 처리하며 정량적 제어를 통하여 일정비율의 물을 포함시킨 식용유를 튀김 솥의 하부에 순환시킴으로써 튀김 솥의 하부에 침전되는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이고 일정량의 물이 히터의 표면에서 가열되어 고열량의 수증기가 되어 식용유 전반에 산포 전도(傳導)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적정량의 열량을 함유한 튀김 솥을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채소나 육류와 같은 식자재에서 분리 또는 박리되는 빵가루나 밀가루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야하고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한 채집통의 물을 처리할 때 식용유가 폐수에 섞이지 않게 하여야 하며 일정량의 수분이 튀김 솥에서 수증기가 되도록 정량적 제어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고열의 튀김 솥과 저온의 물이 차있는 채집통을 분리하여 파이프로 연결하고 파이프 중간에 한 방향으로 식용유를 순환시키는 스크류를 설치하여 순환되는 식용유에 포집된 이물질이 채집통에서 상기한 스크류의 와류에 의한 교반작용으로 물과의 접촉을 빠르게 하여 기름 성분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이물질이 튀김 솥으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격벽 등이 채집통에 구성되며, 일정량의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로 수위를 관리하기위한 수돗물 유입 및 차단용 전자변, 수위센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스크류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등이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식용유를 장기간 사용 시 식용유의 색깔이 검게 변색되는 것을 막고 밀가루 등의 탄수화물이 고열에 노출되어 트랜스지방과 같은 유해 물질로의 변이되는 것을 막고 일정량의 수증기가 고칼로리의 열량을 함유하고 있어 요리시간을 줄이고 식자재에 과도한 탈 수 현상을 막아줌은 물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보다 빨리 요리되면서도 영양소파괴를 현저히 줄이는 효과로 식용유를 오래 가용할 수 있으면서도 건강에 유익한 조리를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실시예와 함께 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발명의 구성 설명도이며, 도2는 내부 투시 설명도로, 상기 도1과 도2에서 중력이 미치는 위치적으로 최상부에 기름을 가열하는 튀김 솥(2)(이하 "솥"으로 약칭)이 위치하고 솥(2)의 내부에는 하부로부터 적정 높이에 전열과 같은 가열 히터(1)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 히터(1)의 하부에는 기름보다 비중이 큰 물이 채워 지도록 되어 있으며, 솥(2)의 아래 측에는 이물질을 걸러 가라앉히는 채집통(8)을 위치시켜 상기한 솥(2)과의 사이에 수동으로 개폐하는 밸브(4)및 유니온 연결구(5)구로 연결된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도1에서 미설명 부호 3은 식용유 배출 벨브 이며, 6은 수위(급수) 조절용 전자변이며, 7은 급수 벨브, 9는 수위(배출) 조절용 전자변, 10은 배출구, 11,15는 수위 센서, 13은 순환유 이송파이프, 14는 유니온 연결구, 16은 공기 배출구, 17은 수위 지시창을 의미한다.
도3은 본 방명을 설명키 위한 도1의 우측 절개한 내부 투시도로 부호 101은 이물질 거름용 격벽이며, 부호104는 순환 및 교반 스크류를 표시하는 것이며, 도4 역시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식용유의 순환 설명도이며, 도5는 순환유 및 수증기 발생 노즐닥트 설명도이고, 도6은 도1의 정면 절개한 내부 설명도이고, 도7은 순환용 스크류 설명도이다. 상기 도면중 부호 102는 스크류 회전용 모터이며, 103은 상기한 회전 모터(102)와 스크류(104)를 연결하는 회전축이며, 부호 105는 순환유 유도 및 수증기 발생 노즐 닥트이며, 106은 순환을 설명하는 화살표, 110은 스크류 외벽 파이프, 120은 히터(1)의 간격 유지를 위한 지지대이며, 121은 순환유 유도 깔대기, 122는 수증기 발생용 순환유 토출구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 시 우선 급수 개폐용 밸브(7)와 직렬로 연결된 수위조절(투입)용 전자변(6)을 열고 채집통(8)에 물을 채워 넣도록 도시하지 않은 전자 제어기에 의해 전자식 수위센서(15)를 모니터 하며 적정 수위까지 물을 채워 넣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부의 솥(2)에 기름이 먼저 채워져 있을 경우 상하 식용유 차단 밸브(4)와 순환유 차단밸브(12)가 수동 조작으로 잠가져 있는 상태이고 물이 채집통으로 채워지는 동안 채집통 안의 공기는 공기 배출구(16)를 통해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적정 수위만큼 물이 채워지면 도시하지 않은 전자 제어기가 적정 수위까지 물이 찾음을 알리는 신호 소리와 디스플레이에 차단밸브(4,12)를 개방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게면 인위적으로 밸브를 열어주고 이때 솥(2) 안에 차있던 식용유는 밸브(4)와 유니온 연결구(5)로 되는 연결 파이프를 따라 채집통(8)으로 내려오고 채집통(8) 수위 면에서 물과 식용유가 접하게 된다.
반대로 물을 방류시키기 위하거나 식용유를 배출시키기 위한 동작에 있어서 는 밸브(4)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수돗물을 유입시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변(6)을 개방하여 물을 추가 보충하면 식용유와 물과의 접촉면이 상승하여 물이 튀김 솥(2)으로 올라갈 때까지 식용유를 밀어 올리게 되어 있고, 이때 수위센서(11)를 모니터 하던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가 수돗물의 유입을 중단하고 소리음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인위적으로 밸브(4,12)를 폐쇄하고, 채집통(8)내의 물을 방류 할 때는 배출구(10)를 통해 외부로 방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식용유를 배출 하고자 할 때는 식용유 배출 밸브(3)를 열어 배출시키면 된다. 물이 배출될시 배출수에 식용유가 혼입되지 않게 하기위한 기법으로서 식용유가 물보다 비중이 낮은 것을 이용하여 물을 채워 넣으면서 상하 분리할 수 있는 밸브(4) 위까지 물을 넣는 것이다. 또한 수위센서(11. 15)에 있어서는 일반 식용유는 도전성이 없고 물은 도전성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센서를 구성 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튀김요리 운용 시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전자 온도제어기에 설정한 온도에 이르기 까지 히터(1)에 전원을 공급하여 식용유를 가열하는데 이때 설정된 적정온도에 도달 할 때까지 급속히 가열하면 도3의 스크류(104)를 가동하여 상부의 식용유를 채집통(8)으로 끌어 내리고 모터(102)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스크류(104)의 끝 부분은 물 층과 접한 상태가 되고, 이때 물과 기름이 교반된다. 상부의 솥(2)에서 내려온 식용유만큼 채집통(8)의 압력이 올라가는데 이 압력 증가분만큼 물과 식용유가 혼합된 혼합물이 도4의 격벽(101)의 슬리트 홈을 통해 순환 파이프(13, 109)를 따라 솥(2)의 하부 순환유 유도 및 수증기 발생 노즐 닥트(105)를 통해 솥(2)안으로 유입된다. 이 혼합물은 온도가 솥(2) 안의 식용유보다 낮기 때문에 대류역학상 상승 하지 못하고 솥 하부에 흐르면서 하부에 낙하된 빵가루 등의 이물질을 스크류(104)의 동작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배출되어 채집통(8)으로 밀어 내리게 된다. 순환하는 식용유의 유도 및 수증기 발생 노즐 닥트(105)의 압력을 받아 올라온 혼합액은 일부가 닥트(105)의 상부에 형성된 도5의 수증기 발생용 순환유 토출구(122) 로 올라가 상부에 위치한 발열원인 히터(1)에서 가열되어 수증기가 되어 상승한다. 물이 수증기가 되기 위해서는 약 593 cal/g 의 열량이 필요한데 이때 수증기는 히터(1) 표면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억재하면서 충분한 열량을 흡수하여 식용유 중에 혼합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면서 온도가 높은 식용유의 열량을 흡수하면서 높은 함열을 가지는 수증기가 되는데 단순 비교하면 식용유 1g과 수증기 1g이 함유하는 열량은 1000배 이상이 된다.
따라서, 채집통(8)안에 구성된 스크류(104)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채집통안의 압력을 제어하고 그 압력에 따른 수증기 발생용 순환유 토출구(122)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여 적정량의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수증기가 포함된 뜨거운 식용유는 엄청난 대류가 일어나고 튀기고자 하는 도시하지 않은 식재료표면에 매우 급속한 열 교환을 이루고 수증기의 비열 때문에 높아진 함유에너지가 빨리 식재료를 튀기게 된다. 따라서 보통 닭고기를 튀길 때 180℃ 정도에서 15분정도 걸리던 시간이 수증기 함유 정도에 따라서 데이터가 다르지만 10분 내외로 튀겨지며 이때 식용유의 온도는 현저히 낮은 150℃ 정도에서 요리가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식용유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으로 인해 식재료 가 가지고 있는 영양소 파괴가 줄어들고 식용유의 산패도 늦춰지며 식재료가 내포한 고유의 즙 성분을 상대적으로 덜 배출시켜 요리가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요리 중 도시하지 않은 식재료에 도포된 밀가루나 튀김가루는 서로 부딪치면서 식재료로부터 박리되거나 이탈되는데 약간의 이탈된 빵가루나 밀가루는 뜨거운 기름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식용유 위에 떠 있다가 수분이 다 증발하면 상대적으로 식용유보다 밀도 및 비중이 높아 아래로 침전하여 가라앉는데 솥(2)하부에서 순환되는 물과 식용유의 혼합액에 휩쓸려 채집통(8)으로 내려가고 모터(10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04)에 의해 물과 격렬하게 교반되면서 침전물에 함유한 식용유 성분을 내어 놓고 비중 차에 의해 물속으로 가라앉는다. 이와 같이 침전물과 분리된 식용유는 도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시 솥(2) 안으로 올라가게 됨으로 채집통(8)의 배출구(10)를 통해 물 배출시 식용유가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연속 반복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동안 증발에 의해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조절(투입)용 전자변(6)을 개방하여 물을 보충하고 채집통(8)에 가라앉은 침전된 이물질이 과도하여 필요이상 수위가 올라가면 수위조절용(배출)용 전자변 (9)을 개방하여 물을 배출시켜 수위를 조절한다. 수위를 감지 하기위한 수위센서(15)는 몇 단계 수위를 지정하여 잦은 배출 및 인입이 안 되도록 히스테리시스를 주도록 하면 된다.
도 4에서 채집통(8) 안에는 스크류(104)에 의해 물과 교반되면서 이탈한 침전 이물질이 스크류(104)가 만들어내는 와류에 의해 다시 순환유 이송 파이프(109)로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격벽(101)을 설치하였는데, 이 격벽(101)에 설치된 슬리 트 구멍을 통해서 액체성분만 빠져나가고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되는 것이다.
파이프(110) 안에 설치된 스크류는 도6 및 도7에 도시와 같이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102)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데 펌프종류의 수단을 씀으로서 발생하는 고장 또는 비위생석인 소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에 설치된 모터(102)의 회전 축과 스크류(104)의 회전 축 사이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나선축(103)으로 연결하여 회전 하도록 함으로서 여하한 각도에서도 회전이 가능하고 튀김기 내의 유동성 물질과 분리된 상태여서 위생적으로도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1의 내부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도1의 우측 절개한 내부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용유 순환 설명도,
도 5는 순환유 유도 및 수증기 발생 노즐 닥트 구조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1에 있어서의 정면 절개 내부 투시도,
도 7은 순환용 스크류의 구성설명도이다.
********* 도면중 부호의 설명********
1은 전기히터(발열원), 2는 튀김 솥, 3은 식용유 배출 밸브 4는 상. 하 식용유 차단 밸브, 5및 14는 유니온 연결구, 6은 수위조절(투입)용 전자변, 7은 급수 개폐용 밸브, 8은 채집통, 9는 수위조절용(배출)용 전자변, 10은 배출구, 11,15는 수위센서, 12는 순환유 차단 밸브, 13은 순환유 이송 파이프, 16은 공기배출기, 17은 수위 지시창,
101은 이물질 거름 격벽, 102는 스크류 회전용 모터, 104는 순환 및 교반 스크류, 105는 순환유 유도 및 수증기 발생 노즐 닥트, 106은 순환유 이동표시, 107,109은 순환유 이송 파이프, 110은 스크류 외벽 파이프, 120은 히터 간격유지용 지지대, 121은 순환유 유도 깔데기, 122는 증기 발생용 순환유 토출구를 의미한다.

Claims (6)

  1. 튀김 솥의 하부에 채집통을 설치하여 전자 제어기에 의해 수위센서를 모니터 하면서 전자변과 벨브를 이용하여 수돗물의 유입 및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한 채집통에 유입되는 외부로 부터의 수돗물은 수압에 의해 물보다 비중이 낮은 식용유층이 항상 상부에 있게 하고, 하부에는 식용유와 물에 함께 혼합된 형태의 이물질을 순환시키면서 이물질은 침전 분리하여 상기한 채집통에 수집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튀김 솥에는 가열용 히터가 설치되고 물과 식용유가 혼합된 혼합물을 스크류 펌프의 압력으로 조절하여 히터 표면에 닿은 물이 수증기가 되어 식용유에 고온 고칼로리의 수증기가 전도되어 전체적으로 함열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튀김 솥 하부에 퇴적되는 이물질에 함유된 기름을 분리하여 이물질을 물속으로 침전하도록 하고, 튀김 솥과 채집통을 연결하는 파이프 끝단에 스크류 펌프를 설치하여 이물질의 이송 및 물과 기름의 적정비율로 혼합하도록 하며, 물과 식용유가 혼합된 혼합물이 튀김 솥 하부에 다다르는 높이를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집통의 물을 교환하거나 튀김 솥의 식용유를 배출시키고자 할 때 체집통에 유입되는 수돗물로 채집통 안의 수위를 높여 수압 및 비중차를 이용하여 식용유의 성분이 완전히 솥 위로 올라갈 때까지 수위를 조절하여 폐수를 방류할 때 기름이 섞이지 않게 하고 식용유를 배출시킬 때 물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집통내의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갈 때 외부로부터 찬 물을 인입시키고 수위센서의 모니터를 통해 유입된 만큼 배출 전자변을 작동시켜 높은 온도의 물을 배출시켜 채집통내의 수위와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식용유와 함께 수증기를 가열하여 튀김 솥 내부의 함유 열량을 높여 줌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요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식용유의 산패를 늦추어 요리의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
KR1020090034577A 2009-04-21 2009-04-21 튀김기 KR10109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577A KR101098677B1 (ko) 2009-04-21 2009-04-21 튀김기
PCT/KR2009/004203 WO2010123172A1 (ko) 2009-04-21 2009-07-28 튀김기
US13/265,443 US20120037011A1 (en) 2009-04-21 2009-07-28 Deep fryer
CN200980158882.1A CN102413743B (zh) 2009-04-21 2009-07-28 一种油炸机
EP09843700.7A EP2422665B1 (en) 2009-04-21 2009-07-28 Deep fryer
JP2012507133A JP5438210B2 (ja) 2009-04-21 2009-07-28 天ぷら揚げ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577A KR101098677B1 (ko) 2009-04-21 2009-04-21 튀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534A KR20090055534A (ko) 2009-06-02
KR101098677B1 true KR101098677B1 (ko) 2011-12-23

Family

ID=4098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577A KR101098677B1 (ko) 2009-04-21 2009-04-21 튀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37011A1 (ko)
EP (1) EP2422665B1 (ko)
JP (1) JP5438210B2 (ko)
KR (1) KR101098677B1 (ko)
CN (1) CN102413743B (ko)
WO (1) WO2010123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3454B1 (ja) * 2013-01-30 2014-01-29 有限会社石代生産 水流分布変動式フライヤー
KR101437858B1 (ko) * 2014-05-03 2014-09-04 이예순 다용도 열기구
CN109566677B (zh) * 2018-12-01 2021-06-25 陈宝光 一种用于食品油炸机的单向供油组件以及食品油炸机
NL2023510B1 (en) * 2019-07-16 2021-02-08 Reflexy Nederland B V Heating device for liqui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53Y1 (ko) 2000-02-26 2000-09-15 김희주 튀김용기
KR100387739B1 (ko) 2001-03-07 2003-06-18 송영주 튀김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349U (ja) * 1984-03-15 1985-10-03 武居 煕夫 フライヤ−
JPS6470014A (en) * 1987-09-11 1989-03-15 Sanwa Chiyuuri Kogyo Kk Fryer
JPH04341222A (ja) * 1991-05-17 1992-11-27 Harman Co Ltd フライヤー
KR100227466B1 (ko) * 1997-05-02 1999-11-01 좌병식 튀김기의 수위 및 배수 자동조절장치
KR100309040B1 (ko) * 1999-04-09 2001-09-29 송영주 튀김기의 수분 공급장치
JP3903242B2 (ja) * 2000-10-18 2007-04-11 泳柱 宋 油揚げ器の水分供給装置
JP3740573B2 (ja) * 2001-03-15 2006-02-01 泳柱 宋 油揚げ器
JP2005102783A (ja) * 2003-09-29 2005-04-21 Hoshizaki Electric Co Ltd フライヤー
ATE468058T1 (de) * 2004-10-06 2010-06-15 Usui Rie Fritteuse
CN101438936B (zh) * 2004-10-06 2011-02-16 臼井理惠 油炸锅灶
JP4993894B2 (ja) * 2005-10-11 2012-08-08 株式会社パロマ 圧力フライヤー
JP4795833B2 (ja) * 2006-04-03 2011-10-19 株式会社マーメード フライヤー
BRPI0702898A2 (pt) * 2006-04-03 2011-03-22 Mermaid Co Ltd fritadeira, e, método de remoção de impurezas para uma fritadei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53Y1 (ko) 2000-02-26 2000-09-15 김희주 튀김용기
KR100387739B1 (ko) 2001-03-07 2003-06-18 송영주 튀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7011A1 (en) 2012-02-16
EP2422665A4 (en) 2012-09-05
CN102413743B (zh) 2014-10-29
JP5438210B2 (ja) 2014-03-12
WO2010123172A1 (ko) 2010-10-28
EP2422665B1 (en) 2013-09-11
CN102413743A (zh) 2012-04-11
JP2012524598A (ja) 2012-10-18
KR20090055534A (ko) 2009-06-02
EP2422665A1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7313T3 (es) Dispositivo multiuso de cocción por calentamiento de un baño de agua
KR101331289B1 (ko) 드럼식 조리기
US20040055474A1 (en) Multifunctional combined apparatus for food preparation
US4487691A (en) Deep fat fryer with swivel filter element
KR101098677B1 (ko) 튀김기
US20200008616A1 (en) Housing with Moisture Prevention Channel
CN104770418A (zh) 新型空气炸锅
CN115054108B (zh) 烹饪器具及其滤油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6073483B (zh) 单独炒多份菜的炒菜装置及其装配方法
AU2007350311A1 (en) Fryer device
CN106618150B (zh) 一种自动炒菜机
CN105310468A (zh) 电饭煲
MX2012009991A (es) Olla en lote.
US3750560A (en) Deep fat fryer
CN215124121U (zh) 一种炒制火锅底料的炒制设备
CN104545424A (zh) 自动米汤分离式电饭锅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CN101000149A (zh) 一种带有过热蒸汽的多功能微波炉
CN110150981A (zh) 粉末冲调搅拌器、混合仓、粉末冲调装置及其控制方法
WO2020046198A1 (en) Batch fryer with a booster pump
KR200448049Y1 (ko) 구이용 전열조리장치
CN210748859U (zh) 一种加热均匀的调压式电炸炉
CN110115499A (zh) 一种炒、煎、煮加热食材时可实现对食材防氧化加热的装置
CN104473561A (zh) 一种电饭锅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