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653B1 - 면발광체 및 이것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 - Google Patents
면발광체 및 이것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3653B1 KR101093653B1 KR1020107008773A KR20107008773A KR101093653B1 KR 101093653 B1 KR101093653 B1 KR 101093653B1 KR 1020107008773 A KR1020107008773 A KR 1020107008773A KR 20107008773 A KR20107008773 A KR 20107008773A KR 101093653 B1 KR101093653 B1 KR 101093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itting body
- surface light
- led element
- top film
- signboar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25205 Aneth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7 bo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12—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LED 소자를 내장한 면발광체를 간판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때의 실용적인 기능 예를 들면 방수성의 향상이나 돋보임 향상 혹은 시공성 향상 등을 추구한 신규의 면발광체와, 이것을 조립한 내조식 간판의 개발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면발광체(1)는, 전기배선(12)을 구비하고 굴곡 가능한 기판(11)과, 이 기판(11) 상에 대략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13)와, LED 소자(13)의 표면에 펼쳐져서 설치되는 톱 필름(1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톱 필름(14)을 기판(11) 상에 펼쳐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톱 필름(14)을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충분히 밀착시켜서 점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LED 소자(13)와 톱 필름(14)의 사이를 진공으로 만들고, 가열한 톱 필름(14)을 LED 소자(13)의 표면에 압착하는 진공압착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LED 소자를 내장한 면발광체를 간판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때의 실용적인 기능 예를 들면 방수성의 향상이나 돋보임 향상 혹은 시공성 향상 등을 추구한 신규의 면발광체와, 이것을 조립한 내조식 간판의 개발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면발광체(1)는, 전기배선(12)을 구비하고 굴곡 가능한 기판(11)과, 이 기판(11) 상에 대략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13)와, LED 소자(13)의 표면에 펼쳐져서 설치되는 톱 필름(1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톱 필름(14)을 기판(11) 상에 펼쳐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톱 필름(14)을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충분히 밀착시켜서 점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LED 소자(13)와 톱 필름(14)의 사이를 진공으로 만들고, 가열한 톱 필름(14)을 LED 소자(13)의 표면에 압착하는 진공압착방법을 들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LED 소자를 굴곡(屈曲) 가능한 기판(基板) 상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면발광체(面發光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사용에 직결된 기능을 현저하게 향상시켜서 실제로 제품으로서의 실용성을 매우 향상시킨 신규의 면발광체와, 이것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內照式 看板)에 관한 것이다.
빌딩의 벽면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옥외 간판(내조식 간판)으로서는, 종래에 있어서 형광등을 적용한 것이 주류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형광등을 적용한 간판은,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내부에 형광등을 수용하는 만큼의 크기(두께)가 필요하고 또 소비전력도 과대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내조식 간판은, 소비전력이 작은 LED 소자를 사용한 것으로 서서히 이행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물론 이러한 내조식 간판이 형광등 타입으로부터 LED 타입으로 이행하고 있는 것은, 상기한 에너지 절약이라는 관점뿐만 아니라, 청색 LED의 실용화에 의한 다채로운 광색(光色)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 것이나 LED 소자의 단가가 비교적 저렴하게 된 것도 큰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1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11') 상에 설치된 LED 소자(13') 상으로부터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톱 필름(14'))을 펼쳐서 설치하는 것이지만,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점에 있어서 더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우선 상기 특허문헌1의 면발광체(1')에서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톱 필름(14')을 펼쳐서 설치할 때에 LED 소자(13')를 부착한 기판(11') 상에, 핫멜트(hot melt)(접착제)를 부착시킨 톱 필름(14')(일례로서 한국의 GMP에서 제조된 염화비닐 핫멜트 라미네이트 필름(polyvinyl chloride hot melt laminate film)(75미크론))을 포개고, 이들을 한 쌍의 가압 롤러(pressure roller)(R)에 삽입하여 톱 필름(14')을 부착하는 방법이었다(이하, 이것을 핫 라미네이터에 의한 가압시공(加壓施工)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LED 소자(13')는 표면에 요철(凹凸)을 구비하기 때문에(LED 소자 상의 요철(LED 소자 자체가 울퉁불퉁하게 되어 있다)이 아니라, LED 소자에 의한 기판 표면 상의 요철(LED 소자의 두께에 의한 기판 표면 상의 요철)이다), 상기 핫 라미네이터에 의한 가압시공에서는 LED 소자(13')와 톱 필름(14')의 사이에 에어가 인입되고(에어 캐비티(air cavity)(ar)의 발생), 이것이 외부로부터의 열에 의하여 팽창되었을 경우에는 LED 소자(13')의 탈락이나 점등이 안 되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핫 라미네이터에 의한 가압시공에서는, 가압 롤러(R)로 톱 필름(14')을 LED 소자(13')에 가압할 때에 LED 소자(13')의 모서리(하우징(housing)의 모서리)에 의하여 톱 필름(14')을 파손시켜서 방수성(防水性)을 손상시키는 것도 우려되었다.
또한 에어 캐비티(ar)의 에어량은 모든 LED 소자(13')에 있어서 당연히 균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LED 소자(13')를 점등시킨 경우에는 LED 소자(13')의 광도 균일하게 되지 않아(LED 소자(13')의 광은 에어 캐비티(ar)에 의하여 난반사(亂反射)되지만, 에어의 양이 일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난반사의 상태도 구비되지 않는다), 보는 사람에게 있어서 언밸런스감이나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즉 LED 소자(13')와 톱 필름(14') 사이의 에어 캐비티(ar)는 간판으로서의 돋보임이나 비주얼 효과(visual effect)라는 점에서 반드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고, 특히 LED 소자(13')(기판(11'))를 하우징에 수용하지 않고 그대로 조명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람이 LED 소자(13')로부터의 광을 직시(直視)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 캐비티(ar)에 의한 위화감은 더한층 나빠지게 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에 있어서 각 LED 소자(13')에 통전(通電)되는 전기배선(電氣配線)(12')은,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몇 개의 LED 소자(13')가 직렬로 나란하게 되어 하나의 회로를 형성하고 있고, 이것을 복수, 병렬로 배치하여 전체 회로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회로의 중앙부에 공사용의 구멍(결손부분(FC))을 형성한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는 LED 소자(13')가 출현하게 되어 시공성이 낮은 점에 있어서도 특허문헌1의 면발광체(1')는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LED 소자를 내장한 면발광체를 간판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때의 실용적인 기능 예를 들면 방수성의 향상이나, 선전효과에 직결되는 돋보임 향상 혹은 내장공사 등에 있어서의 시공성 향상 등을 추구한 신규의 면발광체와, 이것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의 개발을 시도한 것이다.
즉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면발광체는, 전기배선(電氣配線)을 구비하고 굴곡 가능한 기판(基板)과, 이 기판 상에 대략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LED 素子)와, LED 소자의 표면에 펼쳐져서 설치되는 톱 필름(top film)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면발광체(面發光體)에 있어서, 상기 톱 필름을 기판 상에 펼쳐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톱 필름을 LED 소자의 요철(凹凸) 형상에 충분하게 밀착시켜서 점착(粘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여 이루어진다.
또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면발광체는, 상기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톱 필름을 LED 소자의 요철 형상에 충분하게 밀착시켜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LED 소자와 톱 필름의 사이를 진공으로 만들고, 가열한 톱 필름을 LED 소자의 표면에 압착(壓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면발광체는, 상기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톱 필름에는,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highly clingy and highly stretchable polyvinyl chloride film)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면발광체는, 상기 청구항1, 2 또는 3에 기재되어 있는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복수의 LED 소자에 통전(通電)하는 전기배선은, 회로 전체가 대략 메쉬 모양(mesh-shaped)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회로의 중간이 부분적으로 절단되어도 절단된 결손부분(缺損部分)을 우회하여 남은 각 LED 소자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 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면발광체는, 상기 청구항1, 2, 3 또는 4에 기재되어 있는 요건에 추가하여, 상기 톱 필름에는, 투명 필름뿐만 아니라 불투명 유리 시트, 간유리 시트, 내장용의 벽지, 인쇄물 등 투과성(透過性)이 낮은 소재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 청구항6에 기재되어 있는 내조식 간판(內照式 看板)은, 간판 표면(看板 表面)과, 측판(側板)과, 배판(背板)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간판 케이스(看板 case) 내에 면발광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간판에 있어서, 이 면발광체는,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발광체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각 청구항에 있어서 발명의 구성을 수단으로 하여 상기 과제의 해결이 도모된다.
즉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톱 필름이 LED 소자의 요철 형상에 충분히 밀착되어 부착되기 때문에, LED 소자와 톱 필름의 사이에 에어가 인입되는 것(에어 캐비티)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LED 소자의 고정력(固定力)을 강화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열의 영향도 받기 어렵다. 즉 에어 캐비티가 발생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열에 의하여 공기가 팽창하여 LED 소자의 미동(slightly move)(소위 래틀(rattle))을 초래하기 쉽다. 이 경우(래틀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LED 소자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LED 소자가 기판으로부터 탈락되어 버리는 것도 생각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될 우려가 없다. 또한 에어 캐비티가 없기 때문에, 에어에 의한 불균일한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어 면발광체의 돋보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LED 소자와 톱 필름의 사이를 진공으로 만드는 소위 진공압착(眞空壓着)에 의하여 가열하여 신장률을 높인 톱 필름을 펼쳐서 설치하기 때문에, LED 소자의 요철 형상에 더 확실하게 밀착시켜서 톱 필름을 펼쳐서 설치할 수 있다.
또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톱 필름에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 진공압착방법과 더불어 톱 필름을 LED 소자의 요철 형상에 더 확실하게 밀착시켜서 설치할 수 있어 면발광체로서의 방수성을 높이고 또한 LED 소자 자체의 고정력도 한층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일례로서 일본의 히로시마 카세이(HIROSHIMA KASEI, LTD.) 제품의 100미크론)은 소재 중에 핀홀(pinhole)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방수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상기 필름에는 핀홀이 없기 때문에, 펼쳐서 설치한 후에 외측 표면으로부터 LED 소자측으로의 물의 침입(투과)을 높은 레벨에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이 한 시험에서는, 상기 필름을 부착한 면발광체를 수몰(水沒)시킨 후에 4개월이 경과하여도 침수(侵水)가 관찰되지 않아 높은 방수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면발광체를 케이스(하우징) 등에 수용하지 않고 그 그대로의 상태(노출상태)에서 옥외나 물이 있는 장소(예를 들면 욕실의 벽면 등) 등에 설치할 수 있어 매우 신규하고 또한 폭넓은 용도를 가능하게 하여 면발광체의 풍부한 다양성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또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전기배선이 메쉬 모양의 회로이기 때문에 절단된 결손부분을 우회하여 남은 LED 소자에 통전을 도모함으로써 이들을 점등·점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면발광체를 건축물의 내장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콘센트 등에 의하여 면발광체(1유닛)의 일부를 절단하여야만 하는 때에도 자유롭게 절단할 수 있어 면발광체의 시공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내측으로 형성된 모서리나 외측으로 형성된 모서리 등에 대한 시공도 할 수 있다.
또한 LED 소자는 일반적으로 수명이 길지만 드물게 끊어지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다른 LED 소자를 점등시켜서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면발광체에서는, 1개의 LED 소자가 끊어졌을 경우에 모두 또는 끊어진 LED 소자를 포함하는 몇 개가(예를 들면 일렬이) 점등되지 않는 전기배선이 많았다.
또 청구항5에 기재되어 발명에 의하면, 톱 필름으로서 일반적인 투명 필름이 아니라 불투명 유리 시트 등 투과성이 낮은 소재를 적용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면발광체를 주택용의 내장재 등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면발광체로서 풍부한 다양성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톱 필름으로서 내장용의 벽지인 경우에는, 주간 등의 비점등 시에 있어서는 LED 소자가 거의 눈에 띄지 않아 톱 필름이 마치 LED 소자를 은폐하는 것과 같은 작용효과를 담당하지만(일종의 컴플라쥬 효과(camouflage effect)), 야간 등에 LED 소자를 점등시킨 경우에는 톱 필름으로서의 벽지를 통하여 LED 소자가 희미하게 점등되기 때문에, 일종의 간접조명과 같은 부드러운 광을 연출할 수 있다(일종의 힐링 효과(healing effect)). 이 때문에 면발광체를 간단하게 간판조명으로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매우 의외성을 가진 내장용 자재(벽지 등)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면발광체를 내장용 자재로서 벽면에 설치하는 형태는, 벽면에 조명기능을 갖게 하는 사상 바꾸어 말하면 조명을 매우 얇게 형성하는 박형 조명(薄型照明)이라고 하는 새로운 기술사상으로도 이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형광등 등을 벽면에 삽입하는 종래의 시공에 있어서 형광등을 매립하기 위한 벽두께를 필요로 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두께는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형광등을 부착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고 있었던 조명 박스 등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 형광등을 부착하기 위하여 벽에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미세한 시공(공사에 소요되는 수고) 그 자체도 불필요하게 되어 매우 용이하게 시공을 할 수 있다. 물론 조명을 박형으로 하는 사상(착상)은, 천장면에 부착된 종래의 조명(천장조명)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는 사상이다.
또한 불투명 유리 시트, 간유리 시트 등은 투과성이 낮지만 많이 광(일광(日光))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을 적용한 면발광체를 예를 들면 통상의 창문 유리, 들창용의 천창, 스켈리톤조(skeleton調)의 바닥 등에 부착하여, 주간의 채광과 야간의 전식(電飾 : decorating light)을 양립시킬 수도 있다.
또 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인쇄물」로서는, 미리 톱 필름에 적당한 모양 등이 인쇄된 필름은 물론이고 진공압착 후에 톱 필름의 표면에 적당한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청구항6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1∼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면발광체를 조립하여 내조식 간판을 형성하기 때문에, 겉모습이 아름답고 또 얇은 내조식 간판(박형 전식)을 제작할 수 있다. 즉 LED 소자의 도트가 보이지 않아 밝기도 균일하게 아름다운 박형 전식이 얻어진다. 또 박형 전식이면, 예를 들면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아 아이의 머리에 접촉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으므로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면발광체 자체의 방수성이 높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간판을 설치하는 빌딩 벽면의 형상 등에 따라 간판 케이스의 방수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이더라도 방수성이 높은 박형 전식을 설치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면발광체를 조립한 내조식 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b)는 내조식 간판을 화살표(A) 방향에서 본 확대단면도이다.
도2(a)는 면발광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유닛(단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2(b)는 골격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3은 톱 필름을 기판에 밀착상태로 펼쳐서 설치할 때의 진공압착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결손부분이 있더라도 결손부분을 우회하여 남은 LED 소자에 통전시키는 메쉬 모양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메쉬 모양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메쉬 모양 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면발광체를, 그리드 천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패널로서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종래의 면발광체에 있어서 톱 필름을 펼쳐서 설치하는 방법(핫 라미네이터에 의한 가압시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종래의 면발광체에 있어서 그 일부를 절단한 경우에 남은 LED 소자의 점등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a)는 면발광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유닛(단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2(b)는 골격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3은 톱 필름을 기판에 밀착상태로 펼쳐서 설치할 때의 진공압착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결손부분이 있더라도 결손부분을 우회하여 남은 LED 소자에 통전시키는 메쉬 모양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메쉬 모양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메쉬 모양 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면발광체를, 그리드 천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패널로서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종래의 면발광체에 있어서 톱 필름을 펼쳐서 설치하는 방법(핫 라미네이터에 의한 가압시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종래의 면발광체에 있어서 그 일부를 절단한 경우에 남은 LED 소자의 점등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을 그 중 하나의 실시예로 하고 또한 그 기술사상 내에 있어서 개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설명에 있어서는, 면발광체(1)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하여 우선 설명하고, 그 후에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이 면발광체(1)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SB)이나 면발광체(1)의 다른 용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면발광체(面發光體 : surface emitter)(1)는, 일례로서 도1,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기배선(電氣配線)(12)을 구비하고 굴곡(屈曲) 가능한 기판(基板)(11)과, 이 기판(11) 상에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LED 素子)(13)와(여기에서 말하는 규칙적이라는 것은, 완전하게 규칙적인 것 이외에 대략 규칙적인 것도 포함한다), LED 소자(13)를 피복하도록 기판(11) 상으로부터 펼쳐서 설치되는 톱 필름(top film)(1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판(11)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11)은 LED 소자(13)가 규칙적으로 부착되는(마운트(mount) 되는) 베이스 부재(base 部材)가 되는 것으로서, 필름 모양 또는 시트 모양을 이루고, 절연성(絶緣性) 및 굴곡성(屈曲性)을 구비하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취급의 편리성이나 가공의 용이함 등의 측면으로부터 플라스틱(합성수지)이 적용되고, 특히 내열성(耐熱性), 내광성(耐光性),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이미드(polyimide), 염화비닐(vinyl chlorid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등의 적용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백색 PET 필름이 적용된다.
또한 이 기판(11) 상에는, LED 소자(13)에 통전(通電)시키고 이것을 점등·점멸시키기 위한 전기배선(12)이 형성되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면발광체(1))에 공사용의 구멍 등을 형성하여 회로의 중간을 부분적으로 절단하더라도, 남은 모든 LED 소자(13)를 점등·점멸시키는 배선 패턴(配線 pattern)을 채용하는 것이고, 이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기판(11) 상에 전기배선(12)을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필름 또는 시트 모양 부재의 일방(一方)의 면에, 미리 설정된 적당한 배선 패턴을 인쇄하여 두고(이것을 프린트 배선(print 配線)이라고 부르고, 전기배선과 동일한 부호 12를 붙인다), 이 프린트 배선(12)을 기판(11)에 포개어지도록 점착(粘着) 등을 하여 원하는 전기배선(12)을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트 모양 부재에 도전성 은 페이스트(conductive silver paste)를 스크린 인쇄하여 원하는 프린트 배선(12)을 얻는 것이고, 이것을 기판(11)에 접합하여 기판(11) 상에 전기배선(12)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기판(11) 상에 전기배선(1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쇄(프린트) 방법뿐만 아니라 증착(蒸着)이나 에칭(etching)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다음에 광원(光源)이 되는 LED 소자(13)에 대하여 설명한다. LED 소자(13)는 이러한 기판(11)에 복수, 규칙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여기에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로·가로 모두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LED 소자(13)가 배치된 기판(11)을 1유닛으로 하고, 이 유닛을 복수 연결(접속)하거나 또는 절단하거나 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복수의 LED 소자(13)를 세로·가로방향 모두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은, 유닛으로서의 범용성(시공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고, 또 유닛을 간판(看板)에 사용하였을 경우에 LED 소자(13)의 도트(dot)나 광의 불균일(non-uniform light)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면발광체(1)를 유닛화 함으로써 배선이나 부착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1유닛의 면발광체(1)로서는, 예를 들면 기판(11)을 450mm X 450mm의 정사각형 크기로 하고, 여기에 12개 X 12개(합계 144개)의 LED 소자(13)를 균등하게 마운트 하는 것이다(일례로서 1유닛당 약 280g). 이와 관련하여 1유닛의 면발광체(1)를 절단 등을 하여 간판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LED 소자(13)는 적어도 24개 정도(예를 들면 최저 2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유닛의 면발광체(1)를 열 모양(예를 들면 2열, 3열 등)으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절단된 기판(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가장 외측 가장자리의 LED 소자(13)까지의 거리는 LED 소자(13) 상호간 간격의 반 정도로 하는 것이 돋보임 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물론 면발광체(1)로서는, 반드시 상기 450 X 450(12열)의 유닛을 적당하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미리 몇 개의 유닛으로 패턴화 하는 제품 전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표준적인 패턴으로서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450 X 450(12열) 이외에 450 X 225(6열), 450 X 187.5(5열), 450 X 150(4열), 450 X 112.5(3열), 450 X 75(2열) 등이 있다.
또한 LED 소자(13)로서는, 일례로서 일본의 니치아(Nichia Coporation) 제품의 NSSW100C가 적용되고, 발광각도(發光角度)(소위 뷰각(view angle))로서는 약 60도∼약 120도 정도이다. 또 LED 소자(13)의 형상(하우징(housing) 형상)으로서는, 둥근 평면(circular planar) 모양 또는 사각형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1유닛의 면발광체(1)는, LED 소자(13)의 세로·가로의 간격이 대략 37.5mm 정도가 되지만(450mm ÷ 12), 이 간격은 예를 들면 10mm∼60mm의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기배선(12)을 형성한 기판(11) 상에 LED 소자(13)를 마운트 하는 것에 있어서는, 납땜이나 접착제 등에 의한 고정방법(접합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LED 소자(13)는 동일한 색(色)에서도 제조 로트(lot)에 따라 발색(發色)의 차이가 다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면발광체(1)에 사용하는 복수의 LED 소자(13)에는 동일한 로트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톱 필름(14)에 대하여 설명한다. 톱 필름(14)은 LED 소자(13)가 부착된 기판(11) 상으로부터 이들을 라미네이트(laminate) 모양으로 피복하는 것으로서, 주로 면발광체(1)의 방수성(防水性)을 높이는 작용·목적을 담당한다. 물론 이러한 목적의 이외에 상기 톱 필름(14)은, LED 소자(13)(면발광체(1))를 외력이나 태양광으로부터 보호·강화하는 작용 등도 담당하고 있다.
톱 필름(14)으로서는, 투과성(透過性)이 우수한 투명 플라스틱 시트뿐만 아니라 불투명 유리 시트, 간유리 시트, 내장용 천(interior cloth), 인쇄물 등 투과성이 낮은 소재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들은 주로 면발광체(1)의 사용형태(용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면발광체(1)는 오로지 간판(내조식 간판(內照式 看板)(SB))에 조립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톱 필름(14)으로서도 LED 소자(13)의 광을 대략 그대로 투과시키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면발광체(1)를 간판뿐만 아니라 직접 옥외에 설치하거나(하우징에 수용하지 않음), 점포나 거실 내에 있어서의 벽면이나 바닥면 혹은 파티션(partition), 태피스트리(tapestry) 등의 전식(電飾 : decorative lighting), 또 창면(窓面)의 전식 등의 용도도 상정하고 있고, 이 때문에 여러 가지의 톱 필름(14)을 상정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면발광체(1)의 방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것은, 면발광체(1)를 간판(내조식 간판(SB))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옥내에 있어서 물이 있는 욕실이나 물방울이 부착되는 창 등에서의 사용, 혹은 풀(pool), 연못, 수조(水槽) 등의 저면이나 측면에서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면발광체(1)를 내장재로서 벽면에 설치한 경우에는, 이미 면발광체(1)라는 개념보다는 오히려 조명벽(lighting wall)(내장재) 즉 「조명기능을 구비한 벽면」 혹은 「전식기능을 구비한 내장재」라는 개념에 가깝게 되어, 매우 새로운 내장재(면발광체(1))라고 말할 수 있다.
또 상기 여러 종류의 톱 필름(14) 중에서 투명 플라스틱 시트는 대략 그대로 LED 소자(13)의 광을 투과시키는 개념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주로 면발광체(1)를 간판(내조식 간판(SB))에 조립하는 형태가 주로 상정된다.
이에 비하여 불투명 유리 시트나 간유리 시트는, 태양광을 많이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업용 점포의 창문 유리에 면발광체(1)를 설치하는 경우 등에 적합하여, 주간에는 점포 내에 충분한 광을 받아들이면서 야간에는 창문 유리면을 전식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불투명 유리 시트 등은 LED 소자(13)의 존재를 덜 인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비점등 시에는 LED 소자(13)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창문 유리나 벽면 등에 설치되는 LED 소자(13)를 점포나 거실의 분위기와 매치시켜서 위화감이 없는 공간연출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벽지나 인쇄물은 LED 소자(13)의 존재를 대략 완전하게 은폐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어, 점등 시에는 LED 소자(13)의 광을 부드럽게 투과시켜서 말하자면 환상적인 광을 연출하는 톱 필름(14)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 벽지나 인쇄물로서는 장척 시트(elongated sheet)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톱 필름(14)의 재질로서는,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후성(耐朽性)(내수성, 내열성 및 내광성 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염화비닐, ABS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highly clingy and highly stretchable polyvinyl chloride film)(일례로서 일본의 히로시마 카세이(HIROSHIMA KASEI, LTD.) 제품의 100미크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은 소재 중에 핀홀(pinhole)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방수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톱 필름(14)을 기판(11)(LED 소자(13))에 펼쳐서 설치할 때에는, 필름을 LED 소자(13)의 요철(凹凸)에 밀착시켜서 부착하여 LED 소자(13)와 톱 필름(14) 사이에 에어(air)가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이에 대한 구체적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면발광체(1)에는 이러한 주요부재 이외에도 다른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것 이외의 구성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도2 참조).
예를 들면 면발광체(1)에는, 기판(11)에 있어서의 LED 소자(13)와 반대측의 면(이면(back surface)이라고 한다)에, 점착제(粘着劑)(양면)를 사이에 두고 판의 두께가 0.5mm 정도의 알루미늄판(aluminum plate)(15)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이면에 점착필름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판의 두께가 0.5mm 정도의 알루미늄판(15)은 면발광체(1)의 안정화,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면발광체(1)를 내장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박(aluminium foil)(알루미늄 테이프) 등으로 대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또 점착제는 알루미늄판(15)을 부착하기 위한 접합제(접착제)로서 설치되고, 점착필름은 방수제 보호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 중의 부호 16은 정전류회로(定電流回路)이다.
면발광체(1)는 이상과 같은 기본구조를 구비하는 것이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면발광체(1)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1)톱 필름의 밀착접합(密着接合)
본 발명에서는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따라 톱 필름(14)을 밀착상태로 펼쳐서 설치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LED 소자(13)와 톱 필름(14)의 사이를 진공상태로 하여 필름을 펼쳐서 설치한다(진공압착(眞空壓着)). 이러한 진공압착을 하기 위해서는, 일례로서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진공압착장치(眞空壓着裝置)(4)를 사용한다. 또 상기 도3은 진공압착을 하여 시공할 때의 모양을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나타낸 것으로서, 접합처리를 받는 기판(11) 등과 장치의 축척은 동일하지 않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톱 필름(14)을) 밀착상태로 펼쳐서 설치한다」는 것은, LED 소자(13)와 톱 필름(14)의 사이에 에어가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즉 이들 사이에 에어 캐비티(air cavity)(ar)를 발생시키지 않고 톱 필름(14)을 부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진공압착장치(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3에 나타나 있는 진공압착장치(4)는 소위 차세대 성형법(Next Generation Forming ; NGF)의 일종으로서, 상하로 밀폐 가능한 1조의 박스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측의 박스를 41A, 하측의 박스를 41B라고 하고, 상측 박스(41A)는 하방이 개구(開口)되는 한편, 하측 박스(41B)는 상방이 개구되어 이루어지고, 상하의 박스(41A, 41B)를 접촉시켰을 때에 펼쳐서 설치되는 톱 필름(14)을 사이에 두고 내부가 밀폐공간(sealed space)이 된다. 여기에서 각 박스 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을 각각 41AR, 41BR이라고 한다.
또한 상측 박스(41A)는 박스 자체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박스 내에는 전기히터(electric heater)(42)가 내장된다. 또한 하측 박스(41B)는 부동상태(不動狀態)로 형성되지만, 그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 테이블(lifting table)(43)이 설치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부호 44는 압력공기탱크(pressurized air tank), 부호 45는 진공탱크(vacuum tank), 부호 46은 절환밸브(switch valve)이다.
이하, 이 진공압착장치(4)에 의하여 톱 필름(14)을 밀착상태로 펼쳐서 설치하는 작동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1)준비작업
실질적인 처리작업에 앞서서 이하와 같은 준비작업을 한다. 이것에는, 우선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간개방상태(離間開放狀態)로 있는 하측 박스(41B) 내의 승강 테이블(43)에, LED 소자(13)를 부착한 상태의 기판(11)(이것을 중간제품(中間製品)(1a)이라고 한다)을 재치(載置)한다. 계속하여 프레임(frame)(F)에 지지시킨 톱 필름(14)으로 하측 박스(41B)의 상방을 덮도록 세트한다.
(2)가열(진공)
그 후에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박스(41A)를 하강시켜서 톱 필름(14)을 상하의 박스(41A, 41B)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의 박스(41A, 41B) 내에는, 톱 필름(14)을 사이에 두고 각각 독립된 밀폐공간(41AR, 41BR)이 형성된다. 또 절환밸브(46)를 조작하여 진공탱크(45)가 밀폐공간(41AR)에도 작용하도록 한 후에, 양쪽 밀폐공간(41AR, 41BR)을 동시에 진공상태로 한다.
그리고 양쪽 밀폐공간(41AR, 41BR)이 일정한 진공도(眞空度)에 도달한 후에, 상측 박스(41A) 내의 전기히터(42)를 작동시켜서 톱 필름(14)을 가열한다.
(3)1차성형(primary molding)
가열에 의하여 톱 필름(14)이 원하는 성형온도에 도달하면(필름의 신장률(elongation percentage)이 최고가 되는 온도가 바람직하다), 도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박스(41B) 내의 승강 테이블(43)을 상승시켜서 1차성형을 한다. 이 1차성형에 있어서 톱 필름(14)은,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간제품(1a)의 가장 높은 위치(톱면(top surface))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4)2차성형(secondary molding)
다음에 상측 박스(41A)의 내부(밀폐공간(41AR))만 진공을 해제한다. 이것에는, 도3(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환밸브(46)를 조작하여 밀폐공간(41AR)을 대기개방상태(大氣開放狀態)로 바꾼 후에, 여기에 대기를 유입하여 상측 박스(41A) 내를 대기압상태(大氣壓狀態)로 한다. 이 때에 하측 박스(41B) 내 즉 중간제품(1a)이 존재하는 톱 필름(14)보다 하측의 공간은 여전히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상측 박스(41A) 내로 유입된 대기압에 의하여 바꾸어 말하면 톱 필름(14)의 상하에 형성되는 압력차이에 의하여 톱 필름(14)이 중간제품(1a)으로 압력을 받아서 모서리에도 확실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톱 필름(14)과 중간제품(1a)의 사이를 진공상태로 하여 필름을 펼쳐서 설치하기 때문에, 필름과 LED 소자(13) 사이에 에어가 침입하는 경우가 없는(에어 캐비티(ar)를 할 수 없는) 것이다. 또 펼쳐서 설치할 때에 톱 필름(14)을 가열하고 있기 때문에 필름이 잘 신장되어 잔주름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어, 톱 필름(14)을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캐비티(ar)를 할 수 없기 때문에, LED 소자(13)가 외부로부터의 열 영향을 받기 어렵다. 반대로 말하면 에어 캐비티(ar)를 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열에 의하여 갇힌 공기가 팽창하여 LED 소자(13)의 탈락으로 연결되는 것이 우려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에어 캐비티(ar)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LED 소자(13)가 탈락될 우려도 없다. 물론 본 방법은 톱 필름(14) 자체를 직접 롤러 등으로 가압하여 LED 소자(13)에 가압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펼쳐서 설치할 때에 필름을 파손시킬 우려도 없다.
(2)톱 필름으로서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을 적용
또 본 발명에서는 톱 필름(14)에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일례로서 일본의 히로시마 카세이 제품의 100미크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진공압착방법과 더불어 톱 필름(14)을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대략 완전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톱 필름(14)은 두꺼운 필름이고(일례로서 종래의 약 4/3배 정도의 두께) 또한 신축성에 있어서도 현저하게 우수하기 때문에, 필름을 높은 신장률에 의하여 시공하는 상기 진공압착에 적합하여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종래의 톱 필름(14')(도8 참조)에서는, 필름 두께가 얇고 또 신축성(수축성)도 낮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기판(11)에 진공압착하더라도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밀착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종래의 톱 필름(14')은 어디까지나 핫 라미네이터(hot laminator)에 의한 가압시공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 종래의 톱 필름(14')을 그대로 적용하여 상기 진공압착을 한 경우에는, 진공압착을 할 때에 LED 소자(13)의 요철 형상에 의하여 톱 필름(14')을 파손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 제품의 완성률도 매우 낮다.
또한 상기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은 소재 중에 핀홀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방수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상기 필름에는 핀홀이 없기 때문에, 펼쳐서 설치한 후에 외측 표면으로부터 LED 소자(13)측으로의 물의 침입(투과)을 높은 레벨에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이 한 시험에서는, 상기 필름을 펼쳐서 설치한 면발광체(1)를 수몰(水沒)시킨 후에, 4개월이 경과하여도 침수(浸水)가 관찰되지 않아 높은 방수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면발광체(1)를 케이스 등에 수용하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노출상태)로 옥외나 물이 있는 장소(예를 들면 욕실의 벽면 등)에도 설치할 수 있어, 매우 새롭고 또한 폭넓은 용도를 가능하게 하여 면발광체(1)의 풍부한 다양성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톱 필름(14)(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은 「IP58」을 취득한 것으로서, 이 「IP58」의 「5」는 제1특성숫자의 「5급」의 의미이고, 고형물(固形物)에 대한 보호등급 소위 「방진(防塵)」에 관한 보호등급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5급」이란 「유해한 영향이 발생한 만큼의 분진이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방진형(防塵形))」라는 것이다. 또한 「IP58」의 「8」은 제2특성숫자의 「8급」의 의미이고, 물에 대한 보호등급을 나타내고 있다. 이 물에 대한 내성(耐性) 레벨은 0∼8의 등급으로 규정되어 있고, 6급까지의 경우에는 적지 않게 내부로의 침수의 가능성이 있고, 8급은 방수의 최고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방수의 8급」이란 「계속적으로 수몰하여도 내부로 침수하는 경우가 없다(수중형(水中形))」라는 것이다.
(3)메쉬 모양(mesh-shaped)의 전기배선
또한 또 본 발명에서는, 전기배선(12)은 일부가 절단되더라도 그 절단(프리 커트(free cut))된 결손부분(缺損部分)(FC)을 우회하여 남은 각 LED 소자(13)에 전류가 유입되는 회로(이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메쉬 모양 회로라고 부르고 있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4∼도6 참조).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면발광체(1)를 내장재로서 시공할 때에, 콘센트 등 때문에 면발광체(1)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도 잔류한 LED 소자(13)를 모두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매우 높은 시공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도6의 전기배선(12)에서는 원형으로 절단된 결손부분(FC)의 우측에 위치하는 3개의 LED 소자(13)가 점등되지 않지만, 이들 3개의 LED 소자(13)는 유닛의 최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돋보임 등에 있어서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현실적으로 절단된 결손부분(FC)과, 실제로 점등되지 않는 LED 소자(13)에 차이가 있더라도 점등되지 않는 LED 소자(13)(결손부분(FC) 이외)가 최외측 가장자리이면, 어둠 속에서는 그 차이가 눈에 띄지 않아 이것을 의식하는 사람도 적다고 생각된다. 또한 예를 들어 이러한 결손부분(FC)이 대형의 발광면의 중앙에 위치하였을 경우에서도 다른 유닛을 이웃하게 나란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겉보기의 영향은 매우 적다고 생각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어둠 속에서 면발광체(1)를 본 사람에게는 마치 처음부터 9개의 LED 소자(13)를 점등시키지 않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절단된 결손부분(FC)으로 보여서, 점등 시의 위화감을 어느 정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기배선(12)에 있어서는, 이러한 결손부분(FC)이 어느 부위에 형성(개구)되어 있어도 잔류하고 있는 LED 소자(13)를 모두 동일한 밝기로 점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각 LED 소자(13)에 미리 제어체를 설치하여 두고, 이것에 의하여 각 LED 소자(13)로 유입되는 전류를 대략 균일하게 제어하는 방법(개별제어방법)이 생각된다.
한편 이러한 개별제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메쉬 모양 회로에 있어서 전류유입점(電流流入點)의 전단(前段)에 LED 소자(13)로 유입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안정기(安定器)를 미리 설치하고, 메쉬 모양 회로가 부분적으로 절단되었을 경우에 이 안정기에 의하여 각 LED 소자(13)로 유입되는 전류를 일괄하여 제어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면발광체(1)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SB)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조식 간판(SB)은 면발광체(1)의 가장 일반적인 이용형태(용도)로서,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간판 표면(看板 表面)(21), 측판(側板)(22), 배판(背板)(23)으로 이루어지는 간판 케이스(2) 내에 상기 면발광체(1)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간판 표면(21)으로서는, 강도(强度)가 있는 섬유로 완성된 부재의 양면을 반투명수지층(半透明樹脂層)에 의하여 협지(挾持)된(일체화 형성된) 섬유 시트(FF 시트)나 아크릴이 바람직하다. 또 LED 소자(13)에 있어서 세로·가로의 간격이 상기한 약 37.5mm 정도이고 또한 뷰각이 약 105도∼110도 정도인 경우에 간판 표면(21)이 FF 시트이면, 표시면과 LED 소자(13)의 간격은 약 50mm 정도로서, LED 소자(13)의 도트가 보이지 않는다는(LED 소자(13)로부터의 발산광이 균일하게 되는)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확인되었고, 이것은 약 50mm 정도의 얇은 내조식 간판(SB)(박형(薄型) 전식)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간판 표면(21)이 5mm 정도의 아크릴이면(상기와 동일한 설정), 내조식 간판(SB)은 더 얇은 약 40mm 정도의 치수(35∼38mm)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또 본 발명의 면발광체(1)는, 이러한 내조식 간판(SB)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가 가능하고 예를 들면 톱 필름(14)으로서 불투명 유리 시트, 간유리 시트, 내장용의 벽지, 인쇄물 등을 사용하면 주택용의 내장재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 간판 케이스(2)에 수용되지 않고 그대로 옥외에서 면발광체(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높은 방수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욕실 등 물이 있는 장소에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특히 옥내의 벽면, 창, 바닥면, 파티션 등을 발광시킨다는 발상은 매우 새로운 착상이라고 말할 수 있고, 이러한 간판 이외의 용도는 종래에는 착상할 수 없었던 면발광체(1)의 완전히 새로운 용도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옥내외를 막론하고 피난 유도 라인, 난간 유도로서의 제품 전개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면발광체(1)는,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형 오피스 빌딩 등의 천장조명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7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는, 복수의 패널을 세로·가로로 나란하게 하여 천장면을 구성하는 소위 그리드 천장 시스템(grid ceiling system)이고, 이 때의 패널로서 LED 소자(13)를 적당하게 배치한 본 발명의 면발광체(1)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벽면에 설치하는 벽지(면발광체(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명 박스가 불필요한 것 등으로부터 두께가 없는 천장 조명이 실현되고, 따라서 깨끗하고 또한 개방적인 실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그리드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는, 보통의 경우에 조명기능을 구비한 패널(면발광체(1))이 조명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패널과 혼재되어 어떤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지만, 모든 패널에 조명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명기능을 부가하는 패널(한 장의 패널)에는, 당해 패널의 중앙부를 제외한 가장자리 부분에 LED 소자(13)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때문에 LED 소자(13)가 배치되지 않는 패널의 중앙부분에 스피커, 비상등, 연기감지기, 공기조절용 디퓨저(diffuser) 등을 적절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도7의 확대도 참조). 이와 관련하여 그리드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조명기능을 구비한 패널)을 균등하게 배치하는 이점은, 실내의 밝기를 조정하기 용이하여 실내의 어디에서도 적정한 조도를 확보하기 쉽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로어를 파티션으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조명이 방해되지 않고, 또한 모든 파티션에 적정한 조도가 확보되기 용이하다는 이점을 들 수 있다.
1 : 면발광체 1a : 중간제품
2 : 간판 케이스 4 : 진공압착장치
11 : 기판 12 : 전기배선(프린트 배선)
13 : LED 소자 14 : 톱 필름
15 : 알루미늄판 16 : 정전류회로
21 : 간판 표면 22 : 측판
23 : 배판 41A : 상측 박스
41AR : 밀폐공간 41B : 하측 박스
41BR : 밀폐공간 42 : 전기히터
43 : 승강 테이블 44 : 압력공기탱크
45 : 진공탱크 46 : 절환밸브
ar : 에어 캐비티 F : 프레임
FC : 결손부분 R : 가압 롤러
SB : 내조식 간판
2 : 간판 케이스 4 : 진공압착장치
11 : 기판 12 : 전기배선(프린트 배선)
13 : LED 소자 14 : 톱 필름
15 : 알루미늄판 16 : 정전류회로
21 : 간판 표면 22 : 측판
23 : 배판 41A : 상측 박스
41AR : 밀폐공간 41B : 하측 박스
41BR : 밀폐공간 42 : 전기히터
43 : 승강 테이블 44 : 압력공기탱크
45 : 진공탱크 46 : 절환밸브
ar : 에어 캐비티 F : 프레임
FC : 결손부분 R : 가압 롤러
SB : 내조식 간판
Claims (11)
- 전기배선(電氣配線)을 구비하고 굴곡 가능한 기판(基板)과, 이 기판 상에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LED 소자(LED 素子)와, LED 소자의 표면에 펼쳐져서 설치되는 톱 필름(top film)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면발광체(面發光體)에 있어서,
상기 톱 필름을 기판 상에 펼쳐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톱 필름을 LED 소자의 요철(凹凸) 형상에 밀착시켜서 점착(粘着)하도록 하고,
상기 톱 필름을 LED 소자의 요철 형상에 밀착시켜서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LED 소자와 톱 필름의 사이를 진공으로 만들고, 가열한 톱 필름을 LED 소자의 표면에 압착(壓着)하도록 하고,
상기 톱 필름에는,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highly clingy and highly stretchable polyvinyl chloride film)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 필름에는, 강점착 고신축 염화비닐 필름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체.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소자에 통전(通電)하는 전기배선은, 회로 전체가 메쉬 모양(mesh-shaped)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회로의 중간이 부분적으로 절단되어도 절단된 결손부분(缺損部分)을 우회하여 남은 각 LED 소자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체.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톱 필름에는, 투명 필름뿐만 아니라 불투명 유리 시트, 간유리 시트, 내장용의 벽지, 인쇄물 등 투과성(透過性)이 낮은 소재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톱 필름에는, 투명 필름뿐만 아니라 불투명 유리 시트, 간유리 시트, 내장용의 벽지, 인쇄물 등 투과성이 낮은 소재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체.
- 간판 표면(看板 表面)과, 측판(側板)과, 배판(背板)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간판 케이스(看板 case) 내에 면발광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간판에 있어서, 이 면발광체는, 상기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면발광체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조식 간판(內照式 看板).
- 간판 표면과, 측판과, 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간판 케이스 내에 면발광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간판에 있어서, 이 면발광체는, 상기 제5항에 기재된 면발광체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조식 간판.
- 간판 표면과, 측판과, 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간판 케이스 내에 면발광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간판에 있어서, 이 면발광체는, 상기 제6항에 기재된 면발광체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조식 간판.
- 간판 표면과, 측판과, 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간판 케이스 내에 면발광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간판에 있어서, 이 면발광체는, 상기 제7항에 기재된 면발광체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조식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274094 | 2007-10-22 | ||
JPJP-P-2007-274094 | 2007-10-22 | ||
PCT/JP2008/055539 WO2009054153A1 (ja) | 2007-10-22 | 2008-03-25 | 面発光体 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で成る内照式看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5526A KR20100075526A (ko) | 2010-07-02 |
KR101093653B1 true KR101093653B1 (ko) | 2011-12-15 |
Family
ID=4057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8773A KR101093653B1 (ko) | 2007-10-22 | 2008-03-25 | 면발광체 및 이것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12198A1 (ko) |
EP (1) | EP2213931A4 (ko) |
JP (2) | JP4865799B2 (ko) |
KR (1) | KR101093653B1 (ko) |
CN (1) | CN101836032B (ko) |
AU (1) | AU2008315237B2 (ko) |
SG (1) | SG184740A1 (ko) |
WO (1) | WO200905415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348B1 (ko) * | 2017-07-05 | 2018-05-28 | 박동순 | 투명 방수필름이 코팅 처리된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42939A1 (en) * | 2007-09-26 | 2009-04-02 | Fortuna Mark W | Illuminated glove device |
US8152337B2 (en) * | 2009-05-01 | 2012-04-10 | Billboard Video, Inc. | Electronic display panel |
KR101051845B1 (ko) * | 2009-07-22 | 2011-07-25 | 렉거스 컴퍼니 엘티디 | 빛 확산층이 형성되는 엘이디 모듈 |
JP5638214B2 (ja) * | 2009-09-09 | 2014-12-10 | 株式会社アムクルー | インクジェット印刷による電気配線を具えた面発光体の製造方法 |
JP2011076834A (ja) * | 2009-09-30 | 2011-04-14 | I-Ene Planning Co Ltd | 防水性エッジライト |
ITMI20101066A1 (it) * | 2010-06-11 | 2011-12-12 | Skg Italia S P A | Elemento di rivestimento e decoro, in particolare piastrella, mattonella e/o simili, per superfici |
JP5558987B2 (ja) * | 2010-09-17 | 2014-07-23 | 三洋電機株式会社 | 携帯式の照明 |
CN102281701A (zh) * | 2011-08-16 | 2011-12-14 | 吴广毅 | 一种led灯上的立体拉伸螺旋状线路板及其制作方法 |
JP5572672B2 (ja) * | 2012-06-27 | 2014-08-13 | 株式会社アップロード・プランズ | 2次元配列led照明の製造方法 |
JP6173468B2 (ja) * | 2012-10-08 | 2017-08-02 |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 Ledアレイからのledの除去を補償する方法及び装置 |
CN102881236A (zh) * | 2012-10-10 | 2013-01-16 | 陈华清 | 软性led标牌贴及其制造工艺 |
USRE49069E1 (en) * | 2012-12-12 | 2022-05-10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Side viewable lighted bezel for a display device |
US9824549B2 (en) * | 2012-12-12 | 2017-11-21 | Triatek Holdings Llc | Side viewable lighted bezel for a display device |
WO2015089116A1 (en) | 2013-12-11 | 2015-06-1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Building automation control systems |
WO2015104520A1 (en) * | 2014-01-08 | 2015-07-16 | Julie Claire Company Limited | A submersible display |
JP2015184431A (ja) * | 2014-03-24 | 2015-10-22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
JP6408335B2 (ja) * | 2014-10-08 | 2018-10-17 | スパークリングライツ株式会社 | 背面発光型の照明装置 |
US20160131328A1 (en) * | 2014-11-07 | 2016-05-12 | Lighthouse Technologies Limited | Indoor smd led equipped for outdoor usage |
CN106469780B (zh) * | 2015-08-18 | 2018-02-13 | 江苏诚睿达光电有限公司 | 一种基于串联滚压的有机硅树脂光转换体贴合封装led的工艺方法 |
CN106469767B (zh) * | 2015-08-18 | 2017-12-01 | 江苏诚睿达光电有限公司 | 一种基于串联滚压的有机硅树脂光转换体贴合封装led的装备系统 |
US11277893B2 (en) | 2015-10-28 | 2022-03-15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Thermostat with area light system and occupancy sensor |
US10655881B2 (en) | 2015-10-28 | 2020-05-19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Thermostat with halo light system and emergency directions |
JP6297231B1 (ja) * | 2016-07-14 | 2018-03-20 | 株式会社カネカ | 内装用建材及びその取付構造 |
US10488062B2 (en) | 2016-07-22 | 2019-11-26 | Ademco Inc. | Geofence plus schedule for a building controller |
DE102016216381A1 (de) * | 2016-08-31 | 2018-03-01 | Robert Bosch Gmbh | Display-Einheit, Display-Vorrichtung enthaltend mindestens eine Display-Einheit und Verwendung der Display-Einheit und der Display-Vorrichtung |
US20180350787A1 (en) * | 2017-01-27 | 2018-12-0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Display uni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unit |
JP6710327B2 (ja) * | 2017-05-23 | 2020-06-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表示ユニット、表示装置及び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
JP7066991B2 (ja) * | 2017-07-24 | 2022-05-16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植物育成用のled照明装置 |
EP3661327A1 (en) * | 2017-07-26 | 2020-06-03 | Light Flex Technology, S.L. | Laminar luminaire and method of manufacture |
WO2019156105A1 (ja) * | 2018-02-08 | 2019-08-15 | 暁人 田辺 | 面発光体 並びにその製造方法 |
JP7338953B2 (ja) * | 2018-03-30 | 2023-09-05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自発光型表示体用の封止材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自発光型表示体 |
JP2019192805A (ja) * | 2018-04-26 | 2019-10-31 | 株式会社エス・ケー・ジー |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US11107390B2 (en) | 2018-12-21 | 2021-08-31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Display device with halo |
JP7404769B2 (ja) * | 2019-02-04 | 2023-12-26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動植物の育成棚用のled照明シート組合体、動植物の育成棚及び動植物育成工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33662A (ja) | 2005-07-25 | 2007-02-08 | I K C Kk | 面発光体及びこれを使用した内照式看板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67045B2 (ja) * | 1994-03-24 | 2002-03-18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Led素子 |
US6080263A (en) * | 1997-05-30 | 2000-06-27 | Lintec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protecting film to a semiconductor wafer |
EP1037862B1 (en) * | 1998-07-20 | 2005-07-13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Flexible substrate |
TW460927B (en) * | 1999-01-18 | 2001-10-21 | Toshiba Corp | Semiconductor device, mount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
US6194839B1 (en) * | 1999-11-01 | 2001-02-27 |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 Lattice structure based LED array for illumination |
JP3761843B2 (ja) * | 2001-07-03 | 2006-03-29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
JP2005036172A (ja) * | 2003-07-18 | 2005-02-10 | Hiroshima Kasei Ltd | 生分解性軟質透明フィルム用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した生分解性軟質透明フィルム |
JP2006201718A (ja) * | 2005-01-24 | 2006-08-03 | Sugoku E:Kk | 表示装置とこの表示装置を有する看板 |
JP3941826B2 (ja) * | 2005-09-20 | 2007-07-04 | 松下電工株式会社 | Led照明器具の製造方法 |
US20080067526A1 (en) * | 2006-09-18 | 2008-03-20 | Tong Fatt Chew | Flexible circuits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thermal dissipation |
-
2008
- 2008-03-25 US US12/734,096 patent/US201002121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3-25 KR KR1020107008773A patent/KR101093653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 2008-03-25 EP EP08738834.4A patent/EP221393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8-03-25 CN CN200880112775.0A patent/CN101836032B/zh active Active
- 2008-03-25 SG SG2012067286A patent/SG184740A1/en unknown
- 2008-03-25 AU AU2008315237A patent/AU2008315237B2/en not_active Ceased
- 2008-03-25 WO PCT/JP2008/055539 patent/WO200905415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3-25 JP JP2008532515A patent/JP4865799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7-19 JP JP2011157492A patent/JP5744657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33662A (ja) | 2005-07-25 | 2007-02-08 | I K C Kk | 面発光体及びこれを使用した内照式看板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348B1 (ko) * | 2017-07-05 | 2018-05-28 | 박동순 | 투명 방수필름이 코팅 처리된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8315237B2 (en) | 2011-07-21 |
CN101836032B (zh) | 2014-07-02 |
WO2009054153A1 (ja) | 2009-04-30 |
JP5744657B2 (ja) | 2015-07-08 |
SG184740A1 (en) | 2012-10-30 |
EP2213931A1 (en) | 2010-08-04 |
AU2008315237A1 (en) | 2009-04-30 |
JPWO2009054153A1 (ja) | 2011-03-03 |
CN101836032A (zh) | 2010-09-15 |
US20100212198A1 (en) | 2010-08-26 |
JP2011215641A (ja) | 2011-10-27 |
EP2213931A4 (en) | 2015-04-29 |
KR20100075526A (ko) | 2010-07-02 |
JP4865799B2 (ja) | 2012-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3653B1 (ko) | 면발광체 및 이것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 | |
JP2010286600A (ja) | 両面発光体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で成る両面広告型内照式看板 | |
US20130051000A1 (en) | Transparent display structure | |
US20080198584A1 (en) | Building Structures Having Electrically Functional Architectural Surfaces | |
US20120176789A1 (en) | Light output sticker | |
KR101610453B1 (ko) | 조광식 이중 글레이징 | |
DE102004026730A1 (de) | Fläche mit elektrischen Verbrauchern, insbesondere Leuchtmitteln | |
WO2018177037A1 (zh) | 带电压补偿的双层导电 led 光电玻璃及其制造工艺 | |
AU2011203151B2 (en) | Surface emitting body and internally illuminated sign having the surface emitting body assembled therein | |
CN209325539U (zh) | 一种柔性透明led单元板及其透明屏 | |
JP5638214B2 (ja) | インクジェット印刷による電気配線を具えた面発光体の製造方法 | |
JP3136815U (ja) | Led表札 | |
CN217481107U (zh) | 亮化中空玻璃结构及建筑幕墙 | |
JP6510026B1 (ja) | 内照式照明装置 | |
KR20190071235A (ko) |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RU2369712C1 (ru) | Стеклян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 |
CN217927846U (zh) | 一种框体融合式led显示屏幕墙 | |
CN215814959U (zh) | 一种透明玻璃屏 | |
CN209817357U (zh) | 一种led发光玻璃踢脚线 | |
CN216868454U (zh) | 一种发光装饰板 | |
JP6408335B2 (ja) | 背面発光型の照明装置 | |
CN114991633A (zh) | 亮化中空玻璃结构、其制作方法及建筑幕墙 | |
CN114754332A (zh) | 一种室内设计用天花板装饰隐藏灯带及其施工方法 | |
ITVR20090137A1 (it) | Struttura di pannello luminoso con diffusore di luce in materiale lapideo | |
JPH0610981U (ja) | ファンタジックイルミネーションパネ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20112 Effective date: 2012022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