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235A -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235A
KR20190071235A KR1020170172092A KR20170172092A KR20190071235A KR 20190071235 A KR20190071235 A KR 20190071235A KR 1020170172092 A KR1020170172092 A KR 1020170172092A KR 20170172092 A KR20170172092 A KR 20170172092A KR 20190071235 A KR20190071235 A KR 2019007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in
containing wood
housing
pres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상
Original Assignee
조용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상 filed Critical 조용상
Priority to KR102017017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235A/ko
Publication of KR2019007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7/00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수분 함유량이 8~20%이며 소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빛을 투과시키는 램프, 및 상기 램프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Lighting apparatus using wood having res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무늬를 넣지 않아도 송진 함유 목재의 송진에 빛이 투과하여 만들어지는 아름다운 무늬를 표시하며 오래 사용하여도 송진 함유 목재에 변형과 갈라짐이 없는 천연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일교차 또한 심하여 우리나라에서 자란 소나무, 잣나무는 송진 함유량이 많아 질기고 부드러운 성질을 갖는 원목이다. 이러한 소나무, 잣나무를 가구나 건축물에 사용하기 위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자연 건조의 경우 온도, 습도, 통풍 등 건조 조건이 까다로우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 건조 과정에서 습도 조절의 실패로 청태가 생기거나 휨 발생 또는 갈라짐이 발생한다. 또한, 건조가 잘 되었다고 하더라도 자연 건조된 소나무, 잣나무를 사용하여 가구나 건축물을 만들었을 경우 그 완성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과 변형을 일으켜 갈라지고 틀어져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자연건조 소나무, 잣나무가 유관상 건조가 다 되어 보이는 듯하나 몇 십년의 세월이 지나도 세포수가 남아있어 변형과 갈라짐 현상이 있다.
한편 소나무, 잣나무를 인공 건조할 경우 세포내 세포수까지 제거하여 변형과 갈라짐을 최소화시키고 있으나 송진 함유량이 낮아 얇게 켰을 경우 빛을 투과해도 송진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무늬를 표출하기 어려우며 장기간 사용시 쉽게 갈라지는 단점이 있다.
종래 개시된 나무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295624호에 개시된 나무 박피를 커버체로 형성시킨 전등갓, 미국등록 특허 제9242435호에 개시된 빛 투과 가능한 가요성 목재 패널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나무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295624호는 본체의 표면으로 내면에 전등열 차단시트가 형성된 나무 박피가 사용되어 나무 박피 그대로의 천연 질감과 무늬를 나타낼 수 있는 커버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박피를 커버체로 형성시킨 전등갓을 개시하며, 특히 나무 박피의 내면에 전등열 차단시트를 형성시켜 전등의 열에 의하여 나무박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증발되는 건조 현상으로 나무박피의 부서짐을 방지하여 전등갓의 소재로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기술을 개시한다.
미국등록 특허 제9242435호는 빛 투과가 가능하여 목재 패널의 아름다움과 강렬한 빛에서 미묘한 빛까지 조명을 제공하고 표면에 패턴이나 디자인을 넣을 수 있는 빛 투과성 가요성 목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 평평한 면과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 빛 투과성 가요성 비목재 기판, 빛을 통과시키도록 감소된 두께를 갖고 목재로 이루어진 표층, 상기 표층의 측면을 내부에서 마주하도록 부착된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은 평평한 투과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1 접착제가 상기 가요성 기판 및 상기 표층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후면을 통과하여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제1 측면에 상기 표층을 부착시키고,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제2 측면에 제2 접착제로 부착시킨 목재로 이루어진 후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층은 빛이 통과하도록 감소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성 가요성 목재 패널을 개시한다.
한국등록 실용신안 제20-0295624호 (2002.11.05) 미국등록 특허 제9242435호 (2016.01.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무늬를 넣지 않아도 송진 함유 목재의 송진에 빛이 투과하여 만들어지는 아름다운 무늬를 표시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래 사용하여도 송진 함유 목재에 변형과 갈라짐이 없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수분 함유량이 8~20%이며 소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빛을 투과시키는 램프, 및 상기 램프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은 21~49℃의 온도 범위에서 23~30일간 하루에 1~2%씩 제습하여 건조한 송진 함유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은 두께가 1~2 mm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명장치를 천장, 벽, 또는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방법은 저온 제습 방식으로 수분 함유량이 8~20% 되도록 송진 함유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소정의 두께로 얇게 켜는 단계,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소정의 형태로 가공하여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램프를 프레임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배열하고 접착하여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는 21~49℃의 온도 범위에서 23~30일간 하루에 1~2%씩 제습하여 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얇게 켜는 단계는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1~2mm의 두께로 얇게 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만을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별도의 무늬를 넣지 않아도 송진 함유 목재의 송진에 빛이 투과하여 만들어지는 아름다운 무늬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오래 사용하여도 송진 함유 목재에 변형과 갈라짐이 없어 내구성이 좋고 조명장치의 수명이 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 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구성에 있어서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구성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100)는 하우징(110), 램프(120), 및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송진 함유 목재를 저온 제습 건조하여 얇게 켜서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을 구비한다.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은 수분 함유량이 8~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10%일 수 있다. 송진 함유 목재로는 소나무, 잣나무 등이 있다.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은 송진이 엉긴 관솔 부분을 포함하며, 내부에 배치된 램프(120)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얇게 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램프(120)의 빛이 주로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에서 관솔 부분을 투과하면서 조명장치의 무늬를 형성하므로 송진 함유 목재 자체의 질감과 무늬를 그대로 표출하면서 은은한 불빛을 연출시킬 수 있어 분위기 창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은 수분 함유량이 8~20%인 것이 바람직하며, 21~49℃의 온도 범위에서 23~30일간 하루에 1~2%씩 제습하여 건조한 송진 함유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건조된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을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구성할 경우, 오래 사용하여도 송진 함유 목재에 변형과 갈라짐이 없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의 외부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처럼 한 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으며, 한 면이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다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은 하우징(110)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하우징(11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측면에만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거나 하면만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112)은 빛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최대한 얇게 켜는 것이 바람직하며, 빛 투과성과 조명장치의 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두께가 1~2 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이 송진 함유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얇게 켰을 때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일반 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램프(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외부로 빛을 투과시킨다. 램프(120)는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인 엘이디 램프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형광램프나 삼파장 램프, PL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프레임(130)은 램프(120)를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처럼 조명장치(100)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램프(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내부에 배치된 봉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램프(120)를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프레임(130)은 하우징(110)의 모서리 부분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모서리 부분에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관통하는 홀 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조명장치(100)를 천장, 벽, 또는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32)는 조명장치(100)의 프레임(130)을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조명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도 1의 조명장치를 다수 구비하며 모서리를 기준으로 이어 붙인 형태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조명장치는 다수의 하우징(110)을 세로 방향으로 모서리 부분에서 연결하여 구성되며, 프레임(130)이 다수의 하우징(110)을 통과하면서 각 하우징(110) 내부에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200)는 하우징(210)이 다면체로 구성되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 각각은 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는 하우징(210)의 일면을 바닥이나 평평한 면에 접촉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도 1에서처럼 프레임을 통해 벽이나 천장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300)는 하우징(310)이 직육면체로 구성되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 중 하우징(310)의 측면을 이루는 패널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는 하면이 바닥이나 평평한 면에 접촉시켜 설치하도록 하우징(310)의 하면을 덮는 지지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340)는 사각 판재의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310)은 일면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조각하여 조각된 무늬에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늬를 조각하는 면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은 무늬가 조각되지 않는 면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관통하지 않으며 홈을 파듯이 조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310)에 나무결 무늬 이외에 다른 형태의 무늬로 장식할 수 있다.
램프(미도시)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프레임(미도시)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무늬가 조각된 부분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400)는 하우징(410)이 육면체로 구성되며, 바닥 또는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 부재(44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440)는 다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41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410)은 하면이 개방된 구조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통하여 빛이 투과되는 이외에 하우징(410)의 하면을 통하여 나온 빛이 설치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방법은 송진 함유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S10), 송진 함유 목재를 얇게 켜는 단계(S20),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30), 램프 설치 단계(S40), 및 하우징 제조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진 함유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S10)는 저온 제습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수분 함유량이 8~20%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수분 함유량이 8~10%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송진 함유 목재를 21~49℃의 온도 범위에서 23~30일간 하루에 1~2%씩 제습하여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조건은 계절 또는 날씨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온 다습한 여름의 경우 외부 온도가 높기 때문에 건조 기간이 23일 정도로 비교적 짧게 걸릴 수 있으며, 날씨가 추운 겨울의 경우 외부 온도가 낮기 때문에 건조 기간이 30일 정도 걸릴 수 있다.
본 건조 공정에 따라 송진 함유 목재를 건조할 경우, 송진 함유 목재를 가공하여 조명장치를 제조하여도 오랜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갈라짐이나 부서짐이 없으며, 조명장치가 변형되지 않아 수명이 길어지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송진 함유 목재를 얇게 켜는 단계(S20)는 단계(S10)에서 건조된 송진 함유 목재를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로 켜는 단계이며, 송진이 엉긴 부분인 관솔 부분에 빛이 투과하도록 1~2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송진 함유 목재 패널에 다른 무늬를 조각하는 경우 조각된 무늬에 빛이 투과하므로 이보다 1~2mm 더 두껍게 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단계(S20)에서 얇게 켠 송진 함유 목재를 소정의 형태로 가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이 다면체일 경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이 각각의 면을 형성하도록 다각형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이 육면체일 경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은 각각 사각형의 형상으로 6개 가공될 수 있다.
램프 설치 단계(S40)는 광원인 램프를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램프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 제조 단계(S50)는 단계(S30)에서 가공된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단계(S40)에서 램프가 설치된 프레임의 외부에 배열하고 접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제조 단계(S50)는 다른 목재 패널 또는 투명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만을 접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제조 단계(S50)는 하우징의 전면이 밀폐되도록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전면에 배열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하우징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배열하여 접착하거나, 하우징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송진 함유 목재의 관솔 부분에 빛이 투과되면서 은은한 불빛을 연출하며 나무 자체의 무늬를 조명장치의 무늬로 구성하여 자연스러운 무늬를 갖는 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본 방법에 따른 저온 제습 건조 방법에 의하여 오래 사용하여도 변형이나 갈라짐이 없는 조명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110, 210, 310, 410: 하우징
120: 램프 130: 프레임
140: 지지 부재

Claims (8)

  1. 수분 함유량이 8~20%이며 소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빛을 투과시키는 램프; 및
    상기 램프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은
    21~49℃의 온도 범위에서 23~30일간 하루에 1~2%씩 제습하여 건조한 송진 함유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은
    두께가 1~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명장치를 천장, 벽, 또는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5. 저온 제습 방식으로 수분 함유량이 8~20% 되도록 송진 함유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소정의 두께로 얇게 켜는 단계;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소정의 형태로 가공하여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램프를 프레임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을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배열하고 접착하여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건조하는 단계는
    21~49℃의 온도 범위에서 23~30일간 하루에 1~2%씩 제습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얇게 켜는 단계는
    상기 송진 함유 목재를 1~2mm의 두께로 얇게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송진 함유 목재 패널만을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70172092A 2017-12-14 2017-12-14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1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92A KR20190071235A (ko) 2017-12-14 2017-12-14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92A KR20190071235A (ko) 2017-12-14 2017-12-14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35A true KR20190071235A (ko) 2019-06-24

Family

ID=67056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92A KR20190071235A (ko) 2017-12-14 2017-12-14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4401A1 (en) 2019-06-17 2020-12-23 HL Optics Co., Ltd. Asymmetric diffusion lens for led backlight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24Y1 (ko) 2002-08-27 2002-11-18 박옥분 나무박피를 커버체로 형성시킨 전등갓
US9242435B2 (en) 2012-01-31 2016-01-26 Gilbert Dobecz Light transmissive bendable wood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624Y1 (ko) 2002-08-27 2002-11-18 박옥분 나무박피를 커버체로 형성시킨 전등갓
US9242435B2 (en) 2012-01-31 2016-01-26 Gilbert Dobecz Light transmissive bendable wood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4401A1 (en) 2019-06-17 2020-12-23 HL Optics Co., Ltd. Asymmetric diffusion lens for led backlight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653B1 (ko) 면발광체 및 이것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내조식 간판
US9478154B2 (en) Light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light panel
CN102244131B (zh) 建筑光伏一体化中空型太阳能电池组件及制作方法
CN105864715A (zh) 一种发光墙砖
KR20190071235A (ko) 송진 함유 목재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73087Y1 (ko) 나무결 문양을 갖는 조명등기구
CN206495439U (zh) 一种发光墙纸
CN205261439U (zh) 一种发光墙砖
CN209249007U (zh) 多用显示板
CN201651835U (zh) 一种led灯具
CN206859559U (zh) 一种光源结构改进的天然透光石材背景墙
KR20090003932U (ko) 엘이디가 구비된 한지 조명등
KR100767013B1 (ko) 천연장식물을 이용한 장식용 복층유리
JP3330060B2 (ja) 照明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348627U (zh) 复合板
KR20150116040A (ko) 원목이 부착된 타일
CN204510691U (zh) 一种彩色装饰板
KR100306640B1 (ko) 천연원목 블라인드
CN107388121A (zh) 一种全屋整装吸顶雕花灯
CN205422043U (zh) 一种节能型匀光舞台
CN215212009U (zh) 一种带灯光效果的墙面装饰收边结构
CN213897603U (zh) 保温装饰一体板
JP4430158B2 (ja) 光装飾装置
CN211499587U (zh) 一种装饰用的墙板及墙壁
KR20100012737U (ko) 인테리어 장식용 조립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