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093B1 - 광섬유용 배선기구 - Google Patents

광섬유용 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093B1
KR101085093B1 KR1020050013400A KR20050013400A KR101085093B1 KR 101085093 B1 KR101085093 B1 KR 101085093B1 KR 1020050013400 A KR1020050013400 A KR 1020050013400A KR 20050013400 A KR20050013400 A KR 20050013400A KR 101085093 B1 KR101085093 B1 KR 10108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lug
outlet body
cov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954A (ko
Inventor
사토루 타나카
마사루 요시다
준 토쿠다
야스이치 키네카와
토시후미 사카모토
요시히로 쇼가키
히로아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 G02B6/3612Wiring methods or mach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8Patch-cords; Connector arrangements in the system or in the box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을 향상시킨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커버(2)는 콘센트본체(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내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콘센트본체(1)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으며, 커버(2)의 배면측에는 리셉터클(3)이 부착되어 있다. 리셉터클(3)은 적어도 사용상태에 있어서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 향하는 플러그 접속구, 및 조영 구조물의 내측에 배선된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섬유용 플러그가 삽입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고,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플러그 접속구를 통해 삽입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와 플러그 접속부에 접속된 광섬유용 플러그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며, 플러그 접속부에 삽입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콘센트본체(1)의 측벽(11b)에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1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섬유용 배선기구{WIRING DEVICE FOR OPTICAL FIBER}
도1은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하면도, (d)는 B-B단면도이다.
도4의 (a),(b)는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전방에서 본 외관사시도이다.
도5는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후방에서 본 외관사시도이다.
도6은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나타내며, 도3(a)의 A-A단면도이다.
도7은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의 돌출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C-C단면도, (c)는 D-D단면도이다.
도8은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의 유지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우측에서 본 도, (b)는 우측에서 본 단면도, (c)는 하측에서 본 도, (d)는 하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9는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의 유지체를 분리한 상태를 후방에서 본 외관사시도이다.
도10은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나타내며, (a)는 도3(a)의 일부를 생략시킨 A-A단면도, (b)는 E부 확대도이다.
도11은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나타내며, 도7(b)의 F부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콘센트본체 2:커버
3:리셉터클 11b:측벽
14:노치
본 발명은, 조영 구조물의 벽이면이나 바닥밑 등에 도입된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하는 광 콘센트를 사용한 광섬유용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로서는, 조영물의 벽면에 매설된 매입박스내에 조영물의 이면측에 배선된 광섬유 케이블을 도입하고, 매입형의 배선기구와 동일하게 규격화된 부착프레임을 사용해서 매입박스에 부착되는 광 콘센트를 사용한 것이 종래부터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793183호공보 참조).
상술한 광섬유용 배선기구에서는, 조영물의 외면측으로부터 광섬유용 플러그가 광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광 콘센트가 배선기구의 전면보다 돌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비사용상태에서는 광 콘센트를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광 콘센트가 배면측에 부착된 회동유지체를, 콘센트본체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개구내에 배치함과 아울러, 이 회동유지체를, 콘센트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켜 플러그 접속구를 콘센트본체의 외부로 향하게 하는 돌출상태, 또는 플러그 접속구를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콘센트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시키고, 이 회동유지체를 전방으로 상시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수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유지수단의 유지가 해제되었을 때 광 콘센트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팝업기구를 부가한 것도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이것에 사용되는 광 콘센트는, 조영물의 내측에 배선된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섬유용 플러그가 삽입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고,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플러그 접속구를 통해서 삽입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에 접속된 광섬유용 플러그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것이지만, 이 광 콘센트는 콘센트본체가 부착면에 정규방향으로 부착되었을 때에 플러그 접속구의 방향이 하향이 되도록(즉 플러그 접속구에의 삽입방향이 콘센트본체의 전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회동유지체의 배부(背部)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 광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부에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접속할 때, 콘센트본체의 횡벽이 방해가 되어 광섬유용 플러그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어, 시공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시공성을 향상시킨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1의 발명은, 조영 구조물의 외면에 개구된 부착구멍에 부착되는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에 부착되어, 적어도 사용상태에 있어서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 향하는 플러그 접속구 및 조영 구조물의 내측에 배선된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섬유용 플러그가 삽입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고,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플러그 접속구를 통해서 삽입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와 플러그 접속부에 접속된 광섬유용 플러그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플러그 접속부에 삽입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콘센트본체의 부위에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광섬유용 리셉터클은, 콘센트본체의 전면에 대해서 플러그 접속부의 삽입구측이 비스듬히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콘센트본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 광섬유용 리셉터클이 배면측에 부착됨과 아울러, 콘센트본체의 앞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서 플러그 접속구를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 향하게 하는 돌출상태, 또는, 플러그 접속구를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상태 중 어느 하나로 되도록 콘센트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유지체와, 회동유지체를 콘센트본체의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 단 및 수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지수단의 유지가 해제되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유지체를 콘센트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팝업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3의 발명에 있어서, 회동유지체의 배면과의 사이에서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끼워유지하는 누름부재를 회동유지체에 부착함과 아울러, 돌출상태에 있어서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누름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4의 발명에 있어서, 누름부재가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3∼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회동유지체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이 배면측에 부착됨과 아울러 콘센트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배면측에 돌출되어 광섬유용 리셉터클의 좌우 양측부를 각각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덮개부의 외측면에 돌출상태에서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결합클로와 결합해서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클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클로가 형성된 덮개부의 부위의 이면측부와 접촉해서 덮개부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6의 발명에 있어서, 보강부재가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8의 발명은, 청구항3∼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회동유지체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이 배면측에 부착됨과 아울러 콘센트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 하게 피벗팅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배면측에 돌출되어 광섬유용 리셉터클의 좌우 양측부를 각각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덮개부의 외측면에 돌출된 상태에서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결합클로와 결합해서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클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결합클로 및 피결합클로의 접촉면을, 회동유지체의 전방이동시에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1∼도11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도3(a)에 나타내는 방향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방향을 규정하여, 도3(a)중의 정면을 전면(前面)으로 한다. 따라서, 도3(b)에 있어서의 우단은 후단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는, 도1∼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JIS로 규격화된 대각(大角)형의 1개 모듈의 배선기구를 3개 부착할 수 있는 부착프레임과 동등의 치수의 창구멍(81)을 갖고, 조영 구조물의 외면에 개구된 부착구멍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부착프레임(8)과, 이 부착프레임(8)에 대해서 부착할 수 있는 3개 모듈의 치수로 형성된 콘센트본체(1)와, 콘센트본체(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내에 개폐가능하게 피벗팅되는 회동유지체로서의 커버(2)와, 커버(2)의 배면측에 부착되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이하, 리셉터클이라 약칭함)(3)과, 리셉터클(3)을 커버(2)에 고정하는 누름부재로서의 누름판(4)과, 리셉터클(3)에 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가 부착된 광섬유 케이블을 감는 권취체(5)와, 이 권취체(5)를 수납유지하는 유지체(6)와, 콘센트본체(1)의 전면측에 부착되는 화장커버(7)를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콘센트본체(1)는 좌우 및 상하의 사방이 측벽(11a,11a,11b,11c)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상측의 대략 절반부분이 전후방향으로 개구되고, 하측의 대략 절반부분에는 배부(11d)를 일체형성한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우의 측벽(11a,11a)의 후측 외면에는 후술하는 부착프레임(8)의 걸림 프레임편(88)에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12a)가 상하 양측에 2개씩 돌출되고, 상하의 측벽(11b,11c)의 전측 외면에는 후술하는 화장커버(7)의 탄성걸림편(73)이 걸리는 걸림오목부(12c)가 좌우 양측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의 측벽(11b)의 전측부에는 커버(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b)의 후측부에는 리셉터클(3)에 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14)가 형성되어 있다(도9참조).
또 하측의 측벽(11c)의 전측 가장자리에는 배부(11d)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기립된 단면 L형의 돌출편(15a)의 횡편이 연결되어 있다. 돌출편(15a)의 전측부에는 단차부(15b)가 형성되며, 돌출편(15a)에 있어서의 단차부(15b)보다 전측의 부위는 후측의 부위에 비해 한 단이 낮게 되어 있다. 또 돌출편(15a)의 좌우 양측에는 전단측으로 개방된 2개의 슬릿(15c,15c)이 전후방향을 따라 배부(11d)까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슬릿(15c,15c)에 의해 끼워지는 부위가, 후단부가 배부(11d)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단부가 두께방향(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는 가요편(可撓片)(15)으로 되어 있다. 또 가요편(15)의 전측부에는 단차부(15b)에 걸쳐지는 위치에 가요편(15)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커버(2)의 하단부 중앙으로 돌출된 걸림돌출편(25) 또는 누름판(4)의 하단부 중앙으로 돌출된 걸림돌출편 (44)과 걸림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구멍(15d)이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측벽(11a,11a)의 내측면에는 상측벽(11b)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걸쳐 커버수납시에 커버(2)의 양측부(21,21)의 후단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리브(16a,16a)가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의 리브(16a)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으로 후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측벽(11a,11a)의 내측면의 하측부에는 커버(2)가 전방으로 돌출했을 때에 커버(2)의 양측부(21)에 설치한 결합클로(21a)에 걸리는 복수개의 리브(16b)가 측벽(11a)의 전단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 배부(11d) 후면의 상단부 부근의 좌우 양측에는 유지체(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7,1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각 지지부(17)에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과 하단이 개구된 지지홈(17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홈(17a)을 이용해서 유지체(6)를 배부(11d)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커버(2)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듯이 직사각형상의 전면부(덮개부)(20)와, 이 전면부(20)의 회동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배면측으로 연장형성된 대략 부채꼴의 측부(덮개부)(21,21)와, 측부(21,21)의 하측부의 뒤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리편(21c,21c)과, 전면부(20)의 상단부의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축유지부(22,22)를 일체형성한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며, 전면부(20)의 배면측과 양측부(21,21) 사이의 공간부에서 리셉터클(3)을 수납유지하는 수납부를 구성하고 있다. 축유지부(22,22)는 원기둥형상이며, 축방향이 좌우방향과 대략 평행하도록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축유지부(22)의 중심에는 회전축(10)의 양단을 각각 삽입하는 축구멍(2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센트본체(1)의 베어링부(13)의 베어링 오목부(13a)내에 스프링체(9)를 수납함과 아울러, 축유지부(22,22) 사이에 콘센트본체(1)의 베어링부(13)를 개재시킨 후, 콘센트본체(1)의 한쪽의 측벽(11a)에 형성한 축구멍(11e), 한쪽의 축유지부(22)의 축구멍(22a), 베어링부(13)의 베어링 오목부(13a), 다른쪽의 축유지부(22)의 축구멍(22a), 다른쪽의 측벽(11a)의 축구멍(11e)에 회전축(10)을 관통시킴으로써, 커버(2)의 상단부를 콘센트본체(1)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피벗팅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프링체(9)에 의해 커버(2)의 하단측이 전방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또, 스프링체(9)는 중앙부(9a)를 ㄷ자형상으로 절곡형성함과 아울러, 양단부에 꼬임부(9b,9b)를 형성해서 구성된다.
또, 전면부(20)의 배면에는 측부(21,21) 사이에 리셉터클(3)의 하우징(30)의 전면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23)가 측부(21)와 평행하게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각 지지리브(23)는 상측일수록 후방으로의 돌출량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각 지지리브(23)의 하측부에는 하우징(30)의 표면형상에 맞춰 단차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2)의 다리편(21c,21c)의 후단부로부터는 외향으로, 컨센트본체(1)의 리브(16b)와 접촉하는 결합클로(21a,21a)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 각 다리편(21c)에는 누름판(4)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24)가 관통되는 관통구멍(2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3)은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부재를 하우징(30)으로서 이용하고, 이 하우징(30)은 선부(先部)(커버(2)에 부착했을 때에 하부가 됨)측의 외주면을 후부(커버(2)에 부착했을 때에는 상부가 됨)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또 내부에 있어서는 격벽(31)에 의해 내부 공간이 좌우의 수납실(32,32)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수납실(32)의 상측부를, 조영 구조물의 내측에 배선된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는 제1광섬유용 플러그(도시생략)가 접속되는 제1플러그 접속부로 하고, 또 각 수납실(32)의 하측부를,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하우징(30)의 하측의 개구(플러그 접속구)를 통해 삽입되는 제2광섬유용 플러그(도시생략)가 접속되는 제2플러그 접속부로 해서, 각 수납실(32)의 중간부에는 제1 및 제2플러그 접속부에 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의 페룰(ferrule)을 정렬, 유지함으로써 양 플러그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슬리브(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4)은 판금에 뽑기가공 및 굽힘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고, 리셉터클(3)의 하우징(30) 후면과 접촉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접촉편(40)과, 접촉편(40)의 하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하는 지지편(41,41)과, 접촉편(40)의 하측 가장자리의 중앙으로부터 경사 하향으로 돌출하는 경사편(42)과, 경사편(42)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접촉편(42a,4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지편(41)의 중간부에는 상기 나사(24)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43)이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는 커버(2)의 다리편(21c)의 후단부 이면(즉 결합클로(21a)의 이면측부)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편(42)의 하측 가장자리의 중앙에는 가요편(15)의 걸림 구멍(15d)에 걸리는 걸림돌출편(44)이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권취체(5)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듯이 편평한 원기둥형상의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권취몸통부(50)를 가지며, 이 권취몸통부(50)의 외주면에는 후단부의 전체둘레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51)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의 중간부의 하측부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플랜지부(52)의 외주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는 권취몸통부(50)의 외주면에 평행하는 돌출편(53,53)이 전방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몸통부(50)의 상부의 전단가장자리로부터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편(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54)은 전방으로 갈수록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치수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편(54)의 전측부의 편측가장자리로부터는 선단부가 돌출편(54)과 평행하도록 L자형으로 굴곡된 누름편(55)이 외측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몸통부(50)의 외주면의 상측부에는 돌출편(54)과의 연결부위로부터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까지 둘레방향으로 돌출하는 도출벽(56a,56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도출벽(56a,56b)은 서로의 간격이 후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 한쪽의 도출벽(56a)의 전단측은 누름편(55)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 권취몸통부(50)의 전단면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파여진 오목부(5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50a)의 상하 가장자리 사이에 가교된 손잡이부(58)가 권취몸통부(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손잡이부(58)는 권취몸통부(50)의 전단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권취몸통부(50)의 전단면의 하측부에는 후술하는 유지체(6)의 내측면에 형성된 클로(도시생략)가 걸리는 걸림오목부(59,59)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권취몸통부(50)의 외주면에 있어서, 플랜지부(52)보다 전측의 부 위가 외피유지부를 구성하고, 이 외피유지부에 외피가 박리되어 있지 않은 광섬유 케이블을 삽입하고, 플랜지부(52)에 돌출된 돌출편(53)과 권취몸통부(50)의 외주면 사이에서 외피를 끼워유지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의 외피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52)와 도출벽(56a 또는 56b) 사이의 간극을 통해 외피를 박리한 심선을 플랜지부(52)와 플랜지부(51) 사이의 권취몸통부(50)(권취부)측으로 도입하고, 이 권취부에 심선을 감은 후, 도출벽(56a,56b)의 전측부 사이의 도출홈(57)을 통해 권취체(5)밖으로 광섬유 케이블의 심선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권취작업은 권취몸통부(5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58)를 손으로 잡으면서 행하면 된다. 또 권취몸통부(50)의 외주면은 감겨지는 광섬유 케이블(예를 들면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광섬유 케이블)의 신호전송특성이 열화되지 않는 허용 최소 곡률반경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감겨지는 광섬유 케이블의 신호전송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도출홈(57)의 양측에 있는 도출벽(56a,56b)의 코너부의 내주면도 감겨지는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최소 곡률반경 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R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벽(56a,56b)을 따라 도출되는 광섬유 케이블의 신호전송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권취몸통부(50), 플랜지부(51,52) 및 도출벽(56a,56b)의 표면은 납땜이나 광택가공 등에 의해 미끄러지기 쉬운 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감겨진 광섬유 케이블의 외피나 심선을 회전시켜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권취체(5)를 수납유지함과 아울러 콘센트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유지체(6)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듯이,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며 하측의 개구가 저벽으로 폐쇄된 중공부재를 하우징(60)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하우징(60)의 전후의 측벽(61a,61b)은 전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옆으로 긴 직사각형부의 하측변에 반원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변을 제외한 둘레가장자리로부터 기립된 둘레벽(61c)에 의해 측벽(61a,61b) 사이가 연결되어 있고, 측벽(61a,61b)과 둘레벽(61c)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부가 권취체(5)를 수납하는 수납부(62)가 된다. 하우징(60)의 전측의 측벽(61a)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가이드홈(63)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63)에 권취몸통부(5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58)를 삽입함으로써, 권취체(5)가 가이드되면서 수납부(62)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측벽(61a)의 전면측에는 좌우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다이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다이부(64)의 하측부 전단의 좌우 양측으로부터는 각각 콘센트본체(1)의 지지홈(17a)에 걸리는 걸림편(64a)이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각 걸림편(64a)의 후면에는 지지홈(17a)의 표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오목부(17b)에 걸리는 걸림돌기(64b)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다이부(64)의 상측부의 전단에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편(65a,65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양 돌출편(65a,65b)은 상기 수납부(62)에 권취체(5)를 수납했을 때에 권취체(5)에 형성된 도출벽(56a,56b)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양 돌출편(65a,65b)의 서로의 간격은 후단부가 상기 도출홈(57)의 전단부의 폭과 대략 같은 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단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 돌출편(65a,65b)의 단면형상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좌측)의 돌출편(65a)은 다른쪽(우측)의 돌출편(65b)보다 전방까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양 돌출편(65a,65b)의 대향면에는 상기 수납부(62)에 권취체(5)를 수납했을 때에 권취체(5)에 형성된 도출홈(57)의 저면에 연속되는 저벽(65c)이 양 돌출편(65a,65b)의 대향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한쪽의 돌출편(65a)의 상단부의 전측부로부터는 상기 저벽(65c)과 평행한 누름편(66)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 누름편(66)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부(6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편(65a,65b)과 저벽(65c)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이 안내홈(65)이 된다.
여기에서, 둘레벽(61c)의 좌우방향의 간격은 권취체(5)의 플랜지부(5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되어 있고, 유지체(6)가 대형화되지 않고, 수납되는 권취체(5)에 감겨진 광섬유 케이블이 외향의 탄성력에 의해 그 권취지름이 넓어졌을 때에 허용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면서 필요이상으로 확경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측벽(61b)의 내측면에는 권취체(5)에 형성된 플랜지부(51)의 하측의 반원부와 결합하는 단차부(61d)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51)의 하측의 반원부가 단차부(61d)에 접촉함과 아울러, 손잡이부(58)의 하단부가 가이드홈(63)의 하단에 접촉함으로써, 권취체(5)를 수납부(62)에 수납했을 때에 권취체(5)와 수납부(62)의 저부 사이에 광섬유 케이블의 심선의 수납공간(67)을 확보할 수 있다(도6 참조). 따라서, 심선의 잔여길이부분을 이 수납공간(67)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권취체(5)밖으로 돌출하는 심선의 잔여길이부분을 짧게 할 수 있어, 광섬유 케이블의 심선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화장커버(7)는 콘센트본체(1)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세로로 긴 창구멍(71)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의 전면부(70)와, 전면부(70)의 외주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측부(72)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며, 전면부(70)의 배면에는 창구멍(71)의 상하 가장자리에 콘센트본체(1)의 걸림오목부(12c)에 걸리는 탄성걸림편(73)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측부(72)의 뒤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부착프레임(8)의 측편(83,83)의 선단면과 접촉하는 복수개의 돌기(7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부착프레임(8)은 대각형 연용 배선기구용의 부착프레임과 같은 치수의 창구멍(81)을 중앙에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측편(82,82)에는 도시가 생략된 매입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박스나사용 긴 구멍(84)과, 벽을 구성하는 석고보드 등에 부착하기 위한 종래주지의 끼움부재(도시생략)가 부착되는 부착구멍(85)과, 전면에 플레이트 프레임(도시생략) 등을 부착하기 위한 플레이트나사용 나사구멍(86)이 적어도 형성되어 있다. 또 양측편(82,82)의 창구멍(81)을 향하는 측가장자리에는 전방으로 돌출해서 콘센트본체(1)의 상하 측벽(11b,11c)과 접촉하는 접촉편(87,87)이 돌출되어 있다. 한편, 부착프레임(8)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측편(83,83)은 전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고, 양측편(83,83)의 전단측은 좌우방향의 외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각 측편(83,83)의 뒤가장자리에는 콘센트본체(1)의 걸림돌기(12a)와 각각 걸리는 각 2개의 U자형의 걸림 프레임편(88)이 상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커버(2)의 전면부(20)와 측부(21,21)로 둘러싸여지는 수납부에, 리셉터 클(3)의 하우징(30)의 방향을 맞춰서 삽입하고, 전면부(20)의 이면으로 돌출된 리브(23)를 하우징(30)의 전면에 접촉시킨다. 이 때 리브(23)의 단차부(23a)가 하우징(30)의 단차부에 접촉하고, 또한 리브(23)의 하측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브(23b)가 하우징(30) 하부의 전면측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30)이 커버(2)에 위치결정되고, 이 상태에서 누름판(4)의 접촉편(40)을 하우징(30)의 상부 후면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접촉편(42a,42a)을 하우징(30)의 하부 후면에 접촉시킨 후, 각 다리편(21c)의 관통구멍(21b)에 통과된 나사(24)를 누름판(4)의 지지편(41)에 형성된 나사구멍(43)에 나사삽입함으로써, 누름판(4)을 커버(2)에 고정하고, 누름판(4)과 커버(2) 사이에 리셉터클(3)을 끼워넣음으로써, 리셉터클(3)을 커버(2)에 유지시킨다(도8의 (b),(d) 참조). 이 때, 누름판(4)의 지지편(41)의 선단부가 덮개부(측부(21) 및 다리편(21c)으로 이루어짐)의 결합클로(21a)가 돌출된 부위의 이면측부에 배치되므로, 덮개부를 내측으로 압압하는 힘을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누름편(4)의 지지편(41,41)에서 받을 수 있다.
다음에 커버(2)를 콘센트본체(1)에 조립함에 있어서는, 콘센트본체(1)의 베어링부(13)의 하면측에 스프링체(9)의 중앙부(9a)의 중앙편을 걸리게 함과 아울러, 베어링 오목부(13a)의 양단에 형성된 오목부(도시생략)에 스프링체(9)의 양단의 꼬임부(9b,9b)를 끼워넣고, 베어링 오목부(13a)의 양단과 꼬임부(9b,9b)의 투공을 연통시킨다. 다음에 커버(2)의 축유지부(22,22)사이에 베어링부(13)를 개재시키도록 콘센트본체(1)의 전면측에 커버(2)를 배치하고, 한쪽의 측벽(11a)에 형성된 축구멍(11e)으로부터 한쪽의 축유지부(22)의 축구멍(22a), 한쪽의 꼬임부(9b)의 투공, 베 어링부(11)의 베어링 오목부(13a), 다른쪽의 꼬임부(9b)의 투공, 다른쪽의 축유지부(22)의 축구멍(22a), 다른쪽의 측벽(11a)에 형성된 축구멍(11e)에 회전축(10)을 삽입한다. 여기에서, 회전축(10)은 삽입측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가까이까지의 직경을 축구멍(11e,22a) 및 베어링 오목부(13a)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함으로써 관통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타단부(10a)의 직경을 축구멍(11e)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함과 아울러 외면에 널링(knurling)가공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타단부(10a)가 최종적으로 축구멍(11e)에 압입됨으로써 회전축(10)은 콘센트본체(1)에 고정된다. 이 때, 스프링체(9)의 꼬임부(9b,9b)로부터 연장형성된 각 연장부(9c,9c)가 커버(2)의 전면부(20)의 배면에 탄성접촉해서 커버(2)를 콘센트본체(1)의 앞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커버(2)는 상단부가 콘센트본체(1)에 대해서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으며, 스프링체(9)에 의해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해서 하단측이 콘센트본체(1)의 전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가압력이 부여되고 있다.
이렇게 커버(2)에 리셉터클(3)을 장착하고, 이 커버(2)를 콘센트본체(1)에 부착함으로써 광섬유용 배선기구가 완성된다. 도3(a)∼(d), 도4(b) 및 도6은 스프링체(9)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커버(2)를 콘센트본체(1)의 앞부분측으로 회동시키고, 커버(2)의 하단의 걸림돌출편(25) 선단을 가요편(15)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걸림구멍(15d)에 걸리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커버(2)는 전면부(20)의 전면을 콘센트본체(1)의 전면과 대략 동일높이로 한 상태로 유지되고, 전면부(20) 의 후방에 부착한 리셉터클(3)은 콘센트본체(1)의 내부에 수납된 수납상태로 된다(이 상태가 비사용상태가 된다). 이 때 커버(2)의 측부(21,21)의 뒤가장자리의 경사면이 콘센트본체(1)의 측벽(11a,11a)의 내면에 형성된 리브(16a,16a)의 전단면과 접촉함으로써 커버(2)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도10의 (a),(b)참조).
그리고, 이 비사용상태에 있어서 콘센트본체(1)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가요편(15)의 조작부(15e)를 하향 가감으로 누름조작하면, 가요편(15)이 하측으로 휘어지고, 걸림돌출편(25)의 선단이 걸림구멍(15d)으로부터 이탈하여, 커버(2)가 스프링체(9)의 가압력을 받아서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도6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커버(2)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회동하면 커버(2)의 측부(21,21)에 형성된 결합클로(21a,21a)가 콘센트본체(1)의 좌우의 측벽(11a,11a)의 내측면에 형성된 리브(16b)의 후단과 걸림으로써, 커버(2)의 전방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전면부(20)가 하향경사지도록 콘센트본체(1)의 앞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게 되고, 하단부와 콘센트본체(1)의 앞부분 사이로부터 리셉터클(3)의 플러그 접속구가 하향으로 외부를 향하게 된다. 이 상태가 플러그접속을 행하는 사용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는 커버(2)에 장착된 누름판(4)의 걸림돌출편(44)이 가요편(15)의 걸림구멍(15d)에 걸리고, 걸림돌출편(44)이 걸림구멍(15d)의 뒤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커버(2)의 후방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커버(2)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도7의 (a)∼(c) 및 도11 참조).
이와 같이, 커버(2)의 배면과의 사이에서 리셉터클(3)을 끼워유지하는 누름 판(4)에, 돌출상태에 있어서 콘센트본체(1)에 형성된 걸림구멍(15d)(피걸림부)과 걸리는 걸림돌출편(44)(걸림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금속제의 누름판(4)에 설치한 걸림돌출편(44)이 걸림구멍(15d)과 걸림으로써 커버(2)의 돌출상태가 유지되므로, 리셉터클(3)의 플러그 접속구에 외부로부터 제2광섬유용 플러그를 접속할 때에 플러그 접속구(즉 리셉터클(3))의 위치가 이동되기 어렵게 되어, 플러그의 접속작업이 쉬워지고, 또 플러그 접속구에 제2광섬유용 플러그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2)를 후방으로 미는 힘이 가해져도, 커버(2)가 폐쇄되는 일은 없으므로, 커버(2)가 폐쇄되어서 커버(2)와 콘센트본체(1) 사이에 제2광섬유용 플러그가 끼워져서, 제2광섬유용 플러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누름판(4)의 지지편(41) 선단부가, 커버(2)의 덮개부(측부(21) 및 다리편(21c)으로 이루어짐)에 있어서 결합클로(21a)가 돌출된 부위의 이면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덮개부를 내측으로 압압하는 힘을 보강부재로서의 지지편(41)에서 받고 있으므로, 횡방향으로부터의 외력이 커버(2)에 가해진 경우라도 커버(2)가 변형되기 어렵고, 결합클로(21a)와 리브(16b)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일은 없어 커버(2)의 돌출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누름판(4)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누름판(4)의 재료를 금속재료에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고, 누름판(4)을 수지성형체로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판(4)을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합성수지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서 누름판(4)의 강도가 높아져서, 걸림돌출편(44)과 걸림구멍(15d)의 걸림을 강고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클로(21a)가 형성된 덮개부의 부위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2)의 돌출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도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의 결합클로(21a)에 있어서의 리브(16b)와의 접촉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콘센트본체(1)의 리브(16b)(피결합클로)에 있어서의 결합클로(21a)와의 접촉면은,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결합클로(21a) 및 리브(16b)의 접촉면을 각각 커버(2)의 전방이동시에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돌출상태에 있어서 커버(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결합클로(21a)와 리브(16b)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결합클로(21a)와 리브(16b)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기 어려워, 커버(2)의 돌출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콘센트본체(1)의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가요편(15)의 조작부(15e)를 하향 가감으로 누름조작해서 가요편(15)을 하측으로 휘어지게 하면, 누름판(4)에 설치된 걸림돌출편(44)의 선단이 걸림구멍(15d)으로부터 이탈한다. 그리고 걸림돌출편(44)과 걸림구멍(15d)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커버(2)의 하측부를 스프링체(9)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후방(콘센트본체(1)의 앞부분측)으로 압압하고,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도7(b)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2)의 측부(21)의 후단이 콘센트본체(1)의 측벽(11a)에 설치된 리브(16a)의 전단면과 접촉해서 커버(2)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이 때 커버(2)의 하단의 걸림돌출편(25) 선단이 가요편(15)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걸림구멍(15d)에 걸림으로써, 커버(2)의 전면부(20)의 전면이 콘센트본체(1)의 전면과 대략 동일높이로 되고, 전면부(20)의 후방에 부착된 리셉터클(3)이 콘센트본체(1)의 내부에 수 납된 수납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조작부(15e)를 갖는 가요편(15)과 커버(2)의 걸림돌출편(25)에 의해 수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구성되며, 이 유지수단과 커버(2)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스프링체(9)로, 커버(2) 및 리셉터클(3)을 팝업시키는 팝업기구가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커버(2)에 리셉터클(3)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비사용상태에서는 리셉터클(3)을 콘센트본체(1)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함으로써, 리셉터클(3)이 방해가 되지 않고, 또 사용상태에서는 리셉터클(3)을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리셉터클(3)의 플러그 접속구에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광섬유용 플러그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팝업기구의 유지수단으로 리셉터클(3)의 수납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유지수단에 의한 유지가 해제되었을 때에는 가압수단에 의해 리셉터클(3)을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리셉터클(3)의 콘센트본체(1) 내부에의 수납유지나 콘센트본체(1) 외부로의 인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도4의 (a),(b)는 각각 사용상태와 비사용상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의 외관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5는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후측에서 본 외관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용 배선기구를 벽패널이나 콘크리트벽과 같은 벽을 구성하는 조영 구조물의 외면에 개구하도록 벽에 매설된 매입박스(도시생략)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구멍에 설치하는 시공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부착프레임(8)의 창구멍(81)에 후방으로부터 콘센트본체(1)의 앞부분을 끼워넣고, 부착프레임(8)의 측편(83,83)의 뒤가장자리로부터 2개씩 돌출되어 있 는 걸림 프레임편(88)을 콘센트본체(1)의 측벽(11a,11a)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2a)에 끼워넣고, 걸림 프레임편(88)의 후측의 편을 탄성변형시켜서, 걸림돌기(12a)의 뒤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12b)에 걸리게 함으로써 부착프레임(8)에 콘센트본체(1)를 고정한다(도8의 (a),(c) 참조).
다음에, 조영 구조물의 내측(벽패널의 경우에는 벽패널의 이면측의 벽내, 콘크리트벽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벽내)에 배선되고, 벽에 매설된 매입박스내로 도입되어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외피를 박리해서 벗겨낸 광섬유 심선(102)의 선단에 설치된 광섬유용 플러그(103)를 콘센트본체(1)의 상측의 측벽(11b)에 형성된 노치(14)를 통해서 콘센트본체(1)내에 도입하고(도8(b) 참조), 커버(2)에 유지된 리셉터클(3)의 상단에 개구하는 제1플러그 접속부에 삽입해서 리셉터클(3)에 접속한다. 여기에서 리셉터클(3)은 광섬유용 플러그(103)를 도8(b)중의 상측으로부터 좌측 아래로 비스듬히 하향해서 삽입하도록 커버(2)에 부착되어 있고, 광섬유용 플러그(103)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콘센트본체(1)의 상측의 측벽(11b)에 광섬유용 플러그(103)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1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광섬유용 플러그(103)를 노치(14)를 통해 리셉터클(3)에 삽입할 수 있으며, 플러그 삽입시에 콘센트본체(1)의 측벽(11b)이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삽입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리셉터클(3)은 콘센트본체(1)의 전면에 대해서 플러그 접속부의 삽입구측을 비스듬히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커버(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8(b)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3)에 대해서 상측으로부터 비스듬히 하향으로 광섬유용 플러그(103)를 삽입할 수 있어, 더욱 삽입이 쉽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광섬유용 플러그(103)를 리셉터클(3)에 접속한 후, 콘센트본체(1)의 배부(11d)에 유지체(6)를 부착하고, 광섬유용 플러그(103)에 부착된 광섬유 심선(102)을 유지체(6)의 누름편(66)의 하측을 통과시켜 안내홈(65)내에 삽입하고, 안내홈(65)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도출한다. 또 유지체(6)의 부착은 배부(11d) 후면의 좌우 양측에 일체 형성된 지지부(17)의 지지홈(17a)에, 하단측으로부터 유지체(6)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64a)을 걸고, 걸림편(64a)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돌기(64b)를 지지홈(17a)내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오목부(17b)에 걸리게 함으로써, 걸림편(64a)의 걸림상태를 유지하고, 유지체(6)를 콘센트본체(1)의 배부(11d)에 부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지체(6)의 안내홈(65)으로부터 후방으로 도출된 광섬유 케이블을 권취체(5)에 감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지만, 먼저 광섬유 케이블의 외피부분의 선단부(박리된 측의 선부)를 권취몸통부(50)의 외주면과 돌출편(53,53) 사이(외피유지부)에 유지시키고, 또한 광섬유 심선(102)을 돌출편(53)과 도출벽(56a 또는 56b) 사이의 간극을 통해 플랜지부(51)와 플랜지부(52) 사이의 권취부에 도입하고, 이 권취부에 광섬유 심선(102)을 감는다. 이 권취작업은 권취몸통부(50)의 편측의 끝면에 설치한 손잡이부(58)를 손으로 잡으면서 행하면 된다.
그리고 광섬유 심선(102)의 잔여길이부분이 짧게 된 경우에, 광섬유 심선(102)을 도출홈(57)을 통해 돌출편(54)과 누름편(55)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도출한 후, 도6 및 도7에 나타내듯이 권취체(5)를 유지체(6)의 수납부(62)에 삽입해서 유지체(6)에 유지시킨다. 또 권취체(5)를 삽입할 때에는 손잡이부(58)가 유지 체(6)의 측벽(61a)에 형성한 가이드홈(63)에 결합해서 가이드되므로, 권취체(5)를 유지체(6)에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 권취체(5)를 바른 방향을 향해서 수납부(62)내에 수납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권취체(5)를 바른 방향을 향해서 수납유지함으로써, 도출홈(57)의 전단과 유지체(6)의 안내홈(65)의 후단이 연통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도출홈(57)과 안내홈(65)에 의해 광섬유 심선(102)을 유도하는 유도로가 구성된다. 또 권취체(5)를 수납부(62)내에 권취몸통부(50)의 하측 가장자리가 측벽(61b)내면의 단차부(61d)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하면, 권취몸통부(50)의 전단면에 형성된 걸림오목부(59)가 측벽(61a)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생략)에 걸림으로써, 권취체(5)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 측벽(61a)의 걸림돌기가 걸림 오목부(59)에 걸릴 때에는 걸림오목부(59)의 하측에 형성된 테이퍼면과 측벽(61a)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체(5)를 콘센트본체(1)에 부착된 유지체(6)에 유지시킨 후, 유지체(6), 콘센트본체(1)의 후부, 및 광섬유 케이블의 외피의 잔여길이부분을 매입박스내에 수납한 후, 부착프레임(8)의 상하 프레임편에 형성된 긴 구멍(84)을 이용해서 매입박스의 나사구멍(도시생략)에 부착나사(도시생략)로 나사고정하고, 이 후 화장커버(7)의 탄성걸림편(73)을 콘센트본체(1)의 걸림오목부(12c)에 걸리게 함으로써 화장커버(7)를 콘센트본체(1)의 전면측에 부착한 후, 다시 도시가 생략된 화장플레이트를 부착프레임(8)의 전면측에 결합클로나 나사 등에 의해 부착하고, 이 화장플레이트에 의해 부착구멍 및 부착프레임(8)을 막고, 또 화장플레이트의 개구창으로부터 콘센트본체(1) 및 화장커버(7)의 앞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면 시공이 완료된다.
청구항1의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접속부에 삽입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콘센트본체의 부위에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광섬유용 플러그를 노치를 통해 광섬유용 리셉터클에 삽입할 수 있고,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2의 발명에 따르면, 광섬유용 리셉터클은, 콘센트본체의 전면에 대해서 플러그 접속부의 삽입구측이 비스듬히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콘센트본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조영물의 이면측에 배선되는 광섬유에 부착된 광섬유용 플러그를 플러그 접속부에 삽입하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유지체에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비사용상태에서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함으로써, 광섬유용 리셉터클이 방해가 되지 않고, 또 사용시에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돌출시킴으로써, 광섬유용 리셉터클의 플러그 접속구에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광섬유용 플러그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팝업기구의 유지수단으로 회동유지체를 수납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수단이 유지를 해제했을 때에는 가압수단으로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광섬유용 리셉터클의 콘센트본체 내부에의 수납유지나 콘센트본체 외부로의 인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 따르면, 돌출상태에 있어서 회동유지체에 부착된 누름판의 걸림부가 콘센트본체의 피걸림부에 걸림으로써 돌출상태가 유지되므로,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플러그 접속구에 광섬유용 플러그를 접속할 때에 플러그 접속구의 위치가 이동되기 어려워져서, 플러그의 접속작업을 행하기 쉬워지며, 또 플러그 접속구에 광섬유용 플러그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로 회동유지체를 후방으로 미는 힘이 가해져도, 회동유지체가 폐쇄되는 일은 없으며, 플러그 접속구에 접속된 광섬유용 플러그가 회동유지체와 콘센트본체 사이에 끼여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5의 발명에 따르면, 누름부재를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회동유지체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 따르면, 결합클로가 형성된 덮개부의 부위의 이면측부에 보강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보강부재로 덮개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회동유지체에 횡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회동유지체가 변형되기 어렵고, 결합클로와 피결합클로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기 어렵게 되므로, 회동유지체의 돌출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7의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재를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보강부재에 의해 보다 큰 힘을 받을 수 있어 돌출상태의 유지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청구항8의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에 설치된 결합클로 및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결합클로의 접촉면을, 회동유지체의 전방이동시에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경 사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돌출상태에 있어서 회동유지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결합클로와 피결합클로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결합클로와 피결합클로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기 어렵게 되어, 회동유지체의 돌출상태를 유지하는 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조영 구조물의 외면에 개구된 부착구멍에 부착되는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에 부착되어, 적어도 사용상태에 있어서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 향하는 플러그 접속구 및 상기 조영 구조물의 내측에 배선된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섬유용 플러그가 삽입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고,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접속구를 통해서 삽입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에 접속된 광섬유용 플러그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접속부에 삽입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콘센트본체의 부위에 상기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를 형성한 광섬유용 배선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용 리셉터클이 배면측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콘센트본체의 앞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서 상기 플러그 접속구를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 향하게 하는 돌출상태, 또는, 상기 플러그 접속구를 상기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상태 중 어느 하나로 되도록 상기 콘센트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유지체; 및
    상기 회동유지체를 상기 콘센트본체의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수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지수단의 유지가 해제되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회동유지체를 상기 콘센트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팝업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유지체는 상기 광섬유용 리셉터클이 배면측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콘센트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배면측에 돌출되어 광섬유용 리셉터클의 좌우 양측부를 각각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의 외측면에 상기 돌출상태에서 상기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결합클로와 결합해서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클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클로가 형성된 덮개부의 부위의 이면측부와 접촉해서 덮개부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용 리셉터클은, 상기 콘센트본체의 전면에 대해서 상기 플러그 접속부의 삽입구측이 비스듬히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콘센트본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지체의 배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끼워유지하는 누름부재를 상기 회동유지체에 부착함과 아울러, 돌출상태에 있어서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상기 누름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가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가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8. 조영 구조물의 외면에 개구된 부착구멍에 부착되는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에 부착되어, 적어도 사용상태에 있어서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 향하는 플러그 접속구 및 상기 조영 구조물의 내측에 배선된 광섬유 케이블에 부착되는 광섬유용 플러그가 삽입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구비하고,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접속구를 통해서 삽입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접속부에 접속된 광섬유용 플러그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접속부에 삽입접속되는 광섬유용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콘센트본체의 부위에 상기 광섬유용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를 형성한 광섬유용 배선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용 리셉터클이 배면측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콘센트본체의 앞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서 상기 플러그 접속구를 조영 구조물의 외면측으로 향하게 하는 돌출상태, 또는, 상기 플러그 접속구를 상기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상태 중 어느 하나로 되도록 상기 콘센트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유지체; 및
    상기 회동유지체를 상기 콘센트본체의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수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지수단의 유지가 해제되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회동유지체를 상기 콘센트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팝업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유지체는, 상기 콘센트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배면측에 돌출되어 광섬유용 리셉터클의 좌우 양측부를 각각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의 외측면에 상기 돌출상태에서 상기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결합클로와 결합해서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클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클로 및 상기 피결합클로의 접촉면을, 상기 회동유지체의 전방이동시에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지체의 배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광섬유용 리셉터클을 끼워유지하는 누름부재를 상기 회동유지체에 부착함과 아울러, 돌출상태에 있어서 콘센트본체에 설치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상기 누름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가 금속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용 배선기구.
KR1020050013400A 2004-02-20 2005-02-18 광섬유용 배선기구 KR101085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5299 2004-02-20
JP2004045299A JP3882820B2 (ja) 2004-02-20 2004-02-20 光ファイバ用配線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954A KR20060042954A (ko) 2006-05-15
KR101085093B1 true KR101085093B1 (ko) 2011-11-18

Family

ID=3501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00A KR101085093B1 (ko) 2004-02-20 2005-02-18 광섬유용 배선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90873B2 (ko)
JP (1) JP3882820B2 (ko)
KR (1) KR101085093B1 (ko)
CN (1) CN100406932C (ko)
TW (1) TWI2611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6284B1 (fr) * 2007-05-14 2009-11-06 Free Soc Par Actions Simplifie Capot de protection de fibre optique
FR2922032B1 (fr) * 2007-10-04 2011-06-17 Nexans Prise optique pour reseau de telecommunication.
CH707427A1 (de) * 2012-12-31 2014-07-15 Illi Sys Anschlussdose für Lichtwellenleiter.
US10162143B1 (en) * 2017-09-21 2018-12-25 Ofs Fitel, Llc Behind-the-wall fiber spool module
CN112017876B (zh) * 2019-05-28 2023-07-25 松下信息仪器(上海)有限公司 盖及配线器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728A (ja) * 2002-05-24 2003-12-05 Japan Recom Ltd 配線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3183B2 (ja) * 1987-04-15 1998-09-03 松下電工株式会社 光フアイバー用配線器具
JPH01123202A (ja) * 1987-11-09 1989-05-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室内配線用光ケーブル接続箱
JP3351604B2 (ja) * 1993-12-25 2002-12-0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光情報入出力器
US6572272B2 (en) * 2000-11-29 2003-06-03 Berg Technology, Inc. Angled optical connector mounting assembly
JP3815479B2 (ja) * 2004-02-20 2006-08-30 松下電工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配線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728A (ja) * 2002-05-24 2003-12-05 Japan Recom Ltd 配線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2820B2 (ja) 2007-02-21
TW200540480A (en) 2005-12-16
US20050220435A1 (en) 2005-10-06
TWI261132B (en) 2006-09-01
JP2005234384A (ja) 2005-09-02
US7190873B2 (en) 2007-03-13
KR20060042954A (ko) 2006-05-15
CN100406932C (zh) 2008-07-30
CN1673785A (zh)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2953A (ko) 광섬유용 배선기구
KR101167344B1 (ko) 광 커넥터 및 광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1085093B1 (ko) 광섬유용 배선기구
KR19990066911A (ko)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KR20040044874A (ko) 광섬유 소켓 및 광섬유 플러그를 포함하는 조립체
WO2020017254A1 (ja) 光コネクタ
JP3805238B2 (ja) 光コネクタ
EP3734340A1 (en) Optical connector
JP2005189288A (ja) 2芯コネクタユニット
JP4270255B2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JP6671847B2 (ja)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光ケーブル
JP3800606B2 (ja) 光コネクタアダプタ
JP3912403B2 (ja) 光コンセント
JP4332097B2 (ja) 光コンセント
JP2007163768A (ja) 光コネクタ、コネクタ固定具及び牽引用治具
JP4046047B2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JP2007279415A (ja) 光コネクタ
JP3439674B2 (ja) 光コネクタ
JP4200319B2 (ja) 光ファイバー用配線器具
JP4281598B2 (ja) 光ファイバー用配線器具及びその施工方法
JP4281599B2 (ja) 光ファイバー用配線器具
JP3532455B2 (ja) 光コネクタ用工具
JP4161848B2 (ja) 光ファイバー用配線器具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0347070A (ja) 光モジュール
JP2002022970A (ja) 光ファイバー余長収容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