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456B1 - 인코더 - Google Patents

인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456B1
KR101084456B1 KR1020040082595A KR20040082595A KR101084456B1 KR 101084456 B1 KR101084456 B1 KR 101084456B1 KR 1020040082595 A KR1020040082595 A KR 1020040082595A KR 20040082595 A KR20040082595 A KR 20040082595A KR 101084456 B1 KR101084456 B1 KR 10108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nector
encoder
adapt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814A (ko
Inventor
나카무라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덕터 요한네스 하이덴하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3735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844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덕터 요한네스 하이덴하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덕터 요한네스 하이덴하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3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Amplifie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한 종류의 커버라도 복수방향으로의 커넥터 설치가 가능한 구조의 인코더를 제공한다. 피측정물의 회전을 검출하는 인코더 본체(1)와, 이 인코더 본체 후부를 덮는 커버(2)와, 상기 인코더 본체(1)내부의 회로와 외부의 회로를 접속하는 커넥터(4)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4)는, 이 커넥터(4)의 설치방향이 변경가능한 방향변환어댑터(3)을 개재하여 상기 커버(2)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이며, 커버를 변경하지 않고 커넥터의 설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인코더이다.
인코더, 커넥터, 설치방향

Description

인코더{ENCODER}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인코더의 최적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더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인코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커넥터가 인코더 커버 후부로부터 꺼내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인코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커넥터가 인코더 커버측부로부터 꺼내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인코더 본체
2: 커버
2a: 피결합부 (체결부)
3: 방향변환어댑터
3a: 결합부(체결부)
35: 나사
4: 커넥터
41: 나사
42: 개스킷
본 발명은 모터용 회전자의 회전축에 연결(coupling)되는 인코더의 커버상에 장착되어 회전수 및/또는 회전각과 회전자의 위치를 탐지하는 커넥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인코더들의 종래 기술에서, 인코더들은 출력 시그널을 유도하거나 제어 시그널들을 입/출력하기 위해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제어회로 등에 연결된다. 유도를 위한 상기 커넥터의 구조, 예컨대 통상적인 구조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인코더 본체(1)상에 장착된 인코더 커버(2)의 배면부에 연결된 커넥터(4)를 가진다. 즉, 커넥터는 이 구조에서 페이퍼의 상부로부터 인코더 커버에 연결된다. 커넥터(4)는 본체의 공기 밀폐를 유지하기 위한 개스킷(42)를 통해 커버(2)에 연결된다. 커버(2)의 구성을 위해, 그것은 보통 인코더 본체의 구성을 매치시키기 예를 들면 한족 끝이 닫힌 원통형 모양 및 네모난 박스 형태가 포함되도록 채택된다.
여기서, 인코더 본체(1)는 서보모터와 같은 회전자의 회전수 또는 회전각을 탐지하기 위한 구조적인 부재를 가진다. 특히, 본체(1)는 본체(1)의 볼록한 부분(1a)에서 위치한 회전축(1b); 이 회전축(1b)에 부착된 코딩 플레이트(coding plate), 여기서 광 방사 영역 및 광 차폐 영역은 미리 지정된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 코딩 플레이트의 상기 패턴형성부들에 광을 방사시키기 위한 광원; 샌드위치(sandwich)된 상기 코딩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광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코딩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된 광을 받는 광센서; 및 회전각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1b)은 매우 잘 알려진 수단에 의하여 결정되기 위해 회전자의 회전축에 접촉되고, 이후 회전자의 회전운동은 상기 회전축(1b)에 전달될 것이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구조물은 커넥터(4)가 인코더 커버(2)의 측면부에 부착되는 유형이다. 즉, 이 구조에서, 커넥터는 페이퍼의 측면(오른쪽)방향으로부터 연결된다. 구조물의 나머지 구성요소의 배열은 도4의 배열과 거의 유사하므로, 대응하는 숫자를 가지는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전자적 부재상에 직접 고정된 커넥터를 통해 인코더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H09-243,409에 공개된 인코더와 같이, 알려져있다. 또한, 커넥터가 커버에 통합되는 인코더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151,192에서 공개된 인코더와 같이, 알려져있다.
이 방법에서, 본체의 커넥터를 꺼내는 방식 또는 방향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배면부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꺼내는 방식,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부로부터 꺼내는 방식,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넥터를 사선으로 뒷 방향 등과 같은 다른 방향으로 꺼내는 방법은 커넥터가 연결되는 장치 또는 고객의 명세서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커버(2)가, 부착되는 인코더 또는 고객의 명세서에 대응하도록 인코더의 한 유형에 대해 준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 기술에서 비용 감소는 이전 기술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새로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인코더 본체의 명세서가 정합될 때, 커버는 부적합한 커버 때문에 다시 설계되어야 하므로 상당한 배달 지연을 초래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경쟁자가 고객을 빼앗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장치들안에서 생성 또는 새로운 것과 오래된 것의 빠른 변경 뿐만 아니라 특히, 장치 기술 및 제어 장치에서의 최근의 신속한 개발에 따라, 보다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공보 번호 2002-151,192
[특허문헌2] 일본특허공개공보 번호 H09-243,409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한 종류의 커버를 가지고 여러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인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향변환어댑터(change direction adaptor)를 커넥터와 커버사이에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①: 결정된 피측정물체의 회전을 감지하는 인코더 본체(1); 상기 인코더 본체(1)의 배면부를 덮는 커버(2);및 상기 인코더 본체(1)의 내부회로와 외부회로를 연결하는 커넥터(4)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4)는 부착방향이 변경가능한 방향변환어댑터(3)를 통해 상기 커버(2)에 장착되는 인코더이다.
②: 상기 ①에 기재된 인코더에서, 상기 커버(2)는 상기 방향변환어댑터(3)가 장착되는 체결부(notching port)(2a)를 가진다.
③: 상기 ① 또는 ②에 기재된 인코더에서, 상기 체결부(2a)의 각은 변화될 각의 1/2이다.
④: 상기 ③에 기재된 인코더에서, 상기 방향변환어댑터(3)는 상기 커버 체결부(2a)에 장착하는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커넥터(4)의 부착 방향을 변하도록 만든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를 가지는 인코더는 한 종류의 커버를 가지고 커넥터를 복수의 방향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청구항 1에서 정의된 구성에 의하면, 공통부분들이 부착방향의 변경을 제공하는 방향변환어댑터에 의해 인코더 커버들을 변경하지 않고 적용되어, 비용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청구항 2에서 정의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의 부착방향은 체결부가 인코더안에 제공되고, 방향변환어댑터가 그 위에 장착되기 때문에 매우 쉽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 4에서 정의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의 부착방향은 방향변환어댑터의 부착방향을 단지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피측정물의 회전을 감지하는 인코더; 상기 인코더 본체의 배면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인코더 본체의 내부회로와 외부회로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부착방향이 변경가능한 방향변환어댑터를 통해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인코더이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방향변환어댑터가 장착되는 체결부를 가 지며, 상기 방향변환어댑터는 상기 커버체결부에 장착되는 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상기 커넥터의 부착방향을 만든다.
다음, 본 발명을 구체화시키는 최적의 모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코더의 최적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에서, 본 발명의 인코더는 볼록부(1a)에 배치된 회전축(1b), 즉 인코더 구조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인 상기 본체(1)의 배면부를 덮는 커버(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2)에, 커넥터(4)가 방향변환어댑터(3)를 통해 부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낮은(in low) 구조물에 의해 부착되는데 적합한 볼록부(1a)를 가지는 인코더가 예를 들면 마개(spigot)구조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 볼록부(1a)는 항상 필요하지는 않으며, 인코더는 사용 또는 명세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코더의 본체(1)의 배면부는 서보모터와 같은 회전자의 회전각 또는 회전수를 감지하는 구조부재를 가진다. 특히, 광전송영역 및 광차폐영역이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형성되는, 상기 회전축(1b)에 결합한 코딩 플레이트; 광을 이 코딩 플레이트의 상기 패턴형성부에 방사하기 위한 광원; 샌드위치된 코딩 플레이트를 가진 상기 코딩 플레이트는 상기 광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코딩 클레이트에 전송된 광을 수신하는 광센서; 회전각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회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1b)은 주지된 수단에 의해 결정될 회전자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이후 회전자의 회전운동은 상기 회전축(1b)에 전달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체는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미리 결정된 자기패턴을 발생하는 자기패턴발생수단, 및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수반되는 상기 자기패턴발생수단의 변화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회전자의 각에 대응하는 전자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자기 감지수단 등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요소의 합성물이나 다른 감지요소, 예를 들면 정전기 또는 기계적 컨택츠들에 의해 전도(conduct)됨으로써, 회전자의 각에 대응하는 패턴 변화를 감지하는 것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인코더 커버(2)는 상기 방향변환어댑터에 결합하기 위한 피결합부(coupled part)(2a)를 가지고, 이 부분에 대하여 또는 함께, 커넥터(4)를 가지는 방향변환어댑터(3)가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결합부(2a)는 도시한 도면에서 사선으로 체결된 체결부(notching part)이다. 상기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방향변환어댑터(3)에 의해 방향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다. 체결부의 각에 대해, 그것이 특히 제한되지 않더라도, 커넥터의 부착 방향이 거의 오른쪽 각 방향으로 변환될 때, 체결부의 각은 1/2이다. 즉, 회전축(1b) 또는 인코더(1c)의 부착 표면에서 45°근방의 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각이 오른쪽 각도 방향으로 변화할 때의 경우이므로, 각이 약 60°로 변환될 때, 체결부의 각은 바람직하게는 약 30°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바람직하게는 체결부(2a)의 변환가능한 커넥터(4)가 부착된 변환각의 1/2이더라도, 한편으로는 체결부(2a)는 어떤 각도 될 수 있다.
체결부의 형태에 대해,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잘리는 평면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단면의 표면은 원호를 가지고 굽혀질 수 있다.
부착 방향변경어댑터(3)의 전면은 상기 커버(2)의 피결합부(2a)에 결합시키 기 위한 결합부(3a)를 가진다. 이 결합부(3a)는 커버와 동일한 체결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부의 각은 상기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내부 공기를 밀폐시키거나, 먼지 또는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결합부(2a) 또는 결합부(3a)의 내부에 개스킷 또는 패킹이 제공될 수 있다.
방향변환어댑터(3)의 후단부는 바람직하게 내부 공기를 밀폐시키거나, 먼지 또는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개스킷 또는 패킹(42)를 통해 나사(thread)(41)에 의하여 커넥터(4)가 장착된다. 커넥터(4)는 상기 인코더 본체 구조부재의 내부회로 및 외부 제어회로 사이에서 인코더 출력 신호 또는 제어신호의 입출력을 전달한다. 즉, 이 커넥터(4)는 인코더의 내부 회로를 외부회로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폴(pole)들의 어떤 모양 및 어떤 숫자도 인코더의 명세서 또는 외부제어회로에 대응하고 최적인 한, 사용될 수 있다.
방향변환어댑터(3) 및 커넥터(4)는 함께 커넥터 어셈블리(assembly)를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어셈블리의 부착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커넥터의 부착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도에서 도시한 예에서, 어셈블리(14A)는 부착방향의 가로방향을 예시하는 한편, 어셈블리(14B)는 부착 방향의 길이방향을 예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를 꺼내는 방향은, 어셈블리들(14A, 14B)의 부착방향, 즉 방향변환어댑터를 변환함으로서, 직각(90°)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결합부(2a) 및 결합부(3a)의 형태들은 상기 다른 부착방향을 채택하기 위해 대칭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체결부가 다른 각을 가지는 다른 구성을 가지는 다양한 방향변환어댑터(3)에 의해 다양한 부착방향이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또는 이후의 예에서 도시되는 예로서, 커넥터를 꺼내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변환어댑터에 의하여 가로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 권고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코더를 도시하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4)가 가로방향으로부터 장착될 때, 방향변환어댑터(3)와 커넥터의 중앙링(ling), 볼록부(33a)(33b)의 단면을 포함하는 상태로 회전축(1b)을 포함하는 도 2의 인코더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주요 구성요소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번호를 가지는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하지 않는다. 이 예에서, 인코더 본체(1)에 장착되는 커버(2) 및 방향변환어댑터(3)는 보다 유용한 성질을 가진다. 커버(4)는 본체(1)의 외부형태에 적합한 외주부 및 외주부로부터 곡선으로 닫힌 후단부를 가진다. 또한, 인코더의 부착표면에 대해 45°의 각을 가지는 체결부는 방향변환어댑터(3)를 연결하는 피결합부(2a)를 형성하기 위해 후단부의 한쪽면위의 주변부로부터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는, 체결부(2a)를 통해 주변부로부터 경사진 면을 가짐으로써, 방향변환어댑터가 결합된 형태로 통합된 본체 모양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피결합부(2a)의 체결부 표면은 4개의 코너에서 거의 정사각형 개구부 (24)의 라운드니스(roundness)를 가진다. 이 개구부(24)는, 방향변환어댑터(3)상에 장착된 커넥터(4)를 가지고 인코더(1)본체의 구조적 부재의 권선연결회로가 이 개구부(24)를 통과하는 기능을 하고, 개구부(24)를 가지고, 사용자는 좌표에서 체의 내부에 트리머 등의 조정을 할 수 있다. 인코더 내부에 공기밀폐를 유지시키거나, 먼지 또는 액체의 어떤 침입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24)의 주변부에 개스킷 또는 패킹(0링)을 설정하기 위해 홈을 판다.
또한, 나사구멍들(thread vents)(21a, 21b)은 개구부(24)의 중심 및 상하 주위에서 방향변환어댑터(3)을 고정시기기 위해 제공된다. 이 나사 구멍들(21a, 21b)의 각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방향변환어댑터의 부착된 방향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요한 한쌍의 통로들(23a, 23b)은 개구부(24)의 후단부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형성된다. 그리고, 이 중요 통로들과 개구부의 중심 및 개구부(24)의 하부에 대칭으로 회전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중요 통로(23c,23d)들이 제공된다.
방향변환어댑터(3)은 원통부(barrel part)와 같은 거의 사각형의 폴을 가지고, 방향변환어댑터의 전면의 결합부(3a)는 상기 결합부(2a)의 체결표면과 같은 원통부의 중심축에 거의 약 45°의 각을 가진 체결표면을 갖는다. 원통부의 양쪽 끝은 절개가 후단부에서부터 전단부로 더 깊어지도록 홈이 파여서, 상기 커버(2)의 구성과 통합된다.
상기 커버(2)의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개구부(34)는 방향변환어댑터(3)가 그에 장착될 때, 커버(2)의 개구부(24)가 이 개구부(34)에 정합되도록 하기 위해 방향변환어댑터(3)의 결합부(3a)의 체결표면에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색인볼록부 들(33a, 33b)이 개구부(34)의 저측에서의 볼록부(22) 및 상기 중요 통로(23a,23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공된다. 또한, 커넥터(4)는 방향변환어댑터(3)의 배면부에서 개스킷(42)을 통해 나사에 의하여 죄어진다.
여기서, 방향변환어댑터(3) 및 커넥터(4)는 도 1에서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커넥터 어셈블리를 함께 구성한다. 도면에서, 인코더의 측면부로부터 부착된 상태에서 즉, 가로방향으로 도시된 것은 어셈블리(14A)이고, 인코더의 배면부로부터 부착된 상태로 즉, 위를 향하여(길이방향) 도시된 것은 어셈블리(14B)이다. 왜냐하면, 두개의 어셈블리들이, 이런 방식으로 상측 및 가로방향으로부터 다른 부착 양상을 나타내기 위해서, 도면들에 설명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그것들 중 단 하나의 어셈블리가 본체에 부착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어셈블리(14A) 및 어셈블리(14B)는 다른 부착 방향을 가진 동일한 구성요소일 뿐이다.
어셈블리(14A)가 가로방향으로부터 본체에 부착될 때, 가로부를 방향변환어댑터(3)의 색인볼록부(33a, 33b)사이에 배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후 이 색인볼록부(33a, 33b)는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커버의 개구부(34)의 하부면에서 구성된 스텝부(25)에 의하여 형성된 틈 아래에 포함된다. 이 때, 두 개구부들(24,34)은, 방향변환어댑터의 나사구멍(31) 및 커버(2)의 상부의 나사구멍(21b)이 각각 통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로 통합된다. 이후, 나사 구멍(21b)를 나사 구멍(31)을 통해 방향변환어댑터(3)의 틈부분(32)로부터 조이는 것에 의해, 즉, 단 하나의 위치에서 조임으로써, 나사(35)에 고정됨으로써 얻어지는 동일한 작용 효과가 상기 스텝부(25)하의 색인볼록부(33a,33b)에 의해 얻어질 수 있어서, 커버(2)에 어셈블리(14A)를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단면도에는 나사구멍(21a)의 단면부를 원래 포함하더라도, 색인볼록부들(33a)(33)및 스텝부(25)는 쉬운 이해를 위해 도 3에 나타낸다.
어셉블리(14B)가 상부로부터 본체에 부착될 때(길이방향으로), 색인볼록부(33a, 33b)는 커버(2)의 중요통로(23a, 23b)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두개의 개구부들이 수직 및 측면으로 축이 대칭이기 때문에, 이 개구부들(24, 34)은 나사구멍(31) 및 커버(2)의 저부의 나사구멍(21a)이 서로 정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로 정합된다. 이 후, 방향변환어댑터(3)의 틈부(32)로부터 나사구멍(31)을 통해 나사구멍(21a)로 조임으로써, 즉, 단 하나의 위치에서 조임으로써, 커버(2)에 어셈블리(14A)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향변환어댑터(3)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부착방향은 인코더 커버(2)의 형태를 수정하지 않고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인,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의 변화각의 1/2인 각이 되어 커넥터를 본체로부터 꺼내는 방향인, 결합부의 형상은 하나의 방향변환어댑터의 부착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코더가 다른 형태 또는 명세서를 가지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광학, 자성 및 다른 유형의 인코더에 적용될 수 있어서, 인력의 감소를 유도하고, 비용감소의 진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최근의 특히 심각한 저가경쟁력에서 매우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다.
상기 예에서, 축을 가지는 인코더가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축이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관통축 유형의 인코더, 다른 구조적 베어링을 가지지 않는 어셈블리 유형의 인코더, 거기 및 기타에 장착되는 커버들과 마찬가지로 모터와 같은 다른 장치에 설치되어지는 인코더와 같은 매우 다양한 인코더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어떤 경우, 본 발명은 모터들과 같은 회전자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를 가지는 인코더는 한 종류의 커버를 가지고 커넥터를 복수의 방향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청구항 1에서 정의된 구성에 의하면, 공통부분들이 부착방향의 변경을 제공하는 방향변환어댑터에 의해 인코더 커버들을 변경하지 않고 적용되어, 비용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청구항 2에서 정의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의 부착방향은 체결부가 인코더안에 제공되고, 방향변환어댑터가 그 위에 장착되기 때문에 매우 쉽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 4에서 정의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의 부착방향은 방향변환어댑터의 부착방향을 단지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Claims (10)

  1. 회전 물체의 회전 각을 감지하고, 회전축 부근의 회전 각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다른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 부근 물체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채택된 인코더 본체;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인코더 본체의 배면부를 덮도록 배열된 커버;
    또 다른 체결부를 가지는 방향변환어댑터(change direction adaptor); 및
    상기 인코더 본체의 내부회로와 외부회로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방향변환어댑터는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를 제공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체결부의 형태와 상기 방향변환어댑터의 상기 체결부의 형태가 상호 대칭적이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커버간 두 개의 다른 부착 방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체결부는 두 개의 부착 방향들의 각도의 1/2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방향은, 상기 커버의 상기 체결부에 상기 방향변환어댑터를 탑재하는 방향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방향변환어댑터 사이에 배열된 밀폐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방향변환어댑터는 상기 부착 방향들 각각에서 정렬되도록 배치된 대칭적인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체결부와 상기 방향변환어댑터의 체결부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체결부와 상기 방향변환어댑터의 체결부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첫 번째 부착방향에서, 상기 커넥터는 측정되는 상기 물체의 회전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9. 제 8 항에 있어서,
    두 번째 부착방향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 물체의 회전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 몸체 내의 상기 구성요소들 사이에는,
    상기 물체의 상기 회전 축에 부착된 코딩 플레이트, 감지 장치, 상기 회전 각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들을 출력하는 전자 회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더.
KR1020040082595A 2003-10-16 2004-10-15 인코더 KR101084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5775A JP2005121444A (ja) 2003-10-16 2003-10-16 エンコーダ
JPJP-P-2003-00355775 2003-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814A KR20050036814A (ko) 2005-04-20
KR101084456B1 true KR101084456B1 (ko) 2011-11-21

Family

ID=3437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595A KR101084456B1 (ko) 2003-10-16 2004-10-15 인코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07861B2 (ko)
EP (1) EP1524734B2 (ko)
JP (1) JP2005121444A (ko)
KR (1) KR101084456B1 (ko)
CN (1) CN100416229C (ko)
AT (1) ATE381127T1 (ko)
DE (1) DE602004010594T2 (ko)
TW (1) TWI3340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1664B (zh) * 2009-03-13 2014-09-01 Foxnum Technology Co Ltd 編碼器組合
JP5328463B2 (ja) * 2009-04-23 2013-10-30 株式会社日立国際八木ソリューションズ ケーブル引出し方向可変接栓
FR3013153B1 (fr) * 2013-11-14 2017-03-03 Hypertac Sa Connecteur electrique modulaire, formant un connecteur mobile de prise electrique
CN114440946B (zh) * 2021-12-30 2024-05-24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园区赋能平台智能学习的自编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6882U (ja) * 1982-08-13 1984-02-20 河村 滋 傾倒回転自在プラグ
JPH10141996A (ja) 1996-11-15 1998-05-29 Tamagawa Seiki Co Ltd エンコーダ
JP2002354756A (ja)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コーダ付き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4198A1 (de) 1986-04-26 1987-10-29 Endress Hauser Gmbh Co Anordnung zur einfuehrung eines kabels in ein gehaeuse
JPH064264Y2 (ja) 1987-05-12 1994-02-02 豊田工機株式会社 アブソリュ−ト磁気エンコ−ダ
US5533410A (en) * 1993-12-03 1996-07-09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otor power measuring cell for motor operated valves
FR2736716B1 (fr) * 1995-07-11 1997-10-10 Rockwell Body & Chassis Syst Dispositif de mesure de couple, notamment pour un motoreducteur d'activation d'un organe fonctionnel d'un vehicule automobile
JP3536069B2 (ja) 1996-03-08 2004-06-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コーダ
DE19718392C2 (de) 1997-04-30 2002-05-23 Sick Ag Gehäuse mit Drehkörper
US6118643A (en) * 1998-09-09 2000-09-12 Kui Hwan Shin Modular surg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JP2002151192A (ja) * 2000-11-09 2002-05-24 Tamagawa Seiki Co Ltd エンコーダカバー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6882U (ja) * 1982-08-13 1984-02-20 河村 滋 傾倒回転自在プラグ
JPH10141996A (ja) 1996-11-15 1998-05-29 Tamagawa Seiki Co Ltd エンコーダ
JP2002354756A (ja)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コーダ付き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9561A (zh) 2005-04-27
DE602004010594D1 (de) 2008-01-24
US20050081648A1 (en) 2005-04-21
JP2005121444A (ja) 2005-05-12
EP1524734B2 (en) 2012-03-28
TW200519358A (en) 2005-06-16
EP1524734B1 (en) 2007-12-12
EP1524734A1 (en) 2005-04-20
DE602004010594T2 (de) 2008-04-17
TWI334021B (en) 2010-12-01
KR20050036814A (ko) 2005-04-20
US7107861B2 (en) 2006-09-19
ATE381127T1 (de) 2007-12-15
CN100416229C (zh)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883B2 (en) Torque detec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030606B2 (en) Angular sensor with a magneto-electric transducer and a magnetic deflection device
KR101084456B1 (ko) 인코더
CN101334485A (zh) 光电传感器和用于光电传感器的发射装置
US20200244132A1 (en) Electric actuator
JP2016073118A (ja) モータ
CN1789910A (zh) 角度测量装置
US20200244140A1 (en) Electric actuator
US20040164728A1 (en) Inductive sensor and rotary encoder provided with an inductive sensor
EP3736539A1 (en) Sensing device
EP1596175A1 (en) Torque measuring device for rotating body having light conductive member provided with optical path converting means
US6066947A (en) Magnetic detec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magnetoresistive elements
CN1201354C (zh) 限位开关
CN112197739B (zh) 一种超轻小型光电转台的密封走线结构
US20160223368A1 (en) Sensor Carrier and Sensor
JP6868131B1 (ja) リニア伝動装置
KR102521179B1 (ko) 센싱 장치
JP2006267121A (ja) エンコーダ
CN220367637U (zh) 一种基于雷达振动融合入侵探测器及系统
CN217672814U (zh) 一种电子助力转向机
JP3549355B2 (ja) 測定器の筺体構造
JP4648685B2 (ja) 光学式エンコーダ及びその製造方法
CN218472868U (zh) 一种电机
KR102229313B1 (ko) 리니어 트랜스미션 장치
CN209200291U (zh) 阻抗匹配的奇偶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