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238B1 -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238B1
KR101084238B1 KR1020090108270A KR20090108270A KR101084238B1 KR 101084238 B1 KR101084238 B1 KR 101084238B1 KR 1020090108270 A KR1020090108270 A KR 1020090108270A KR 20090108270 A KR20090108270 A KR 20090108270A KR 101084238 B1 KR101084238 B1 KR 101084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ensing
temperature
main bod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614A (ko
Inventor
박재석
이윤미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238B1/ko
Priority to JP2010170827A priority patent/JP5836570B2/ja
Priority to US12/926,312 priority patent/US8833296B2/en
Publication of KR2011005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238B1/ko
Priority to US14/486,619 priority patent/US2015000471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펜싱 장치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여 상기 유체를 디스펜싱(dispensing)하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싱부,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을 센싱하는 간격 센서부 및 상기 간격 센서부가 센싱한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도록 상기 본체부를 열팽창시키는 열팽창 조절부를 포함한다.
디스펜싱, 센서부, 열팽창

Description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DISPENSING APPARATUS AND DISPENS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유체를 디스펜싱하는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싱(dispensing) 장치는 유체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유체를 피도포체에 도포할 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펜싱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를 제조할 때,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는 유기 발광 물질을 기판에 도포할 때 사용된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픽셀을 포함하는데, 이 복수개의 픽셀에 유기 발광 물질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픽셀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노즐(nozzle)을 가진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해 복수개의 픽셀 각각에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을 한번에 도포하였다.
최근, 멤스(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복수개 픽셀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고 있는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픽셀 중 이웃하는 픽셀의 간격이 최초 설계 값과 다르게 오차가 발생되어 형성된 경우, 최초 설계 값과 동일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픽셀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노즐을 가진 기존의 디스펜싱 장치로는 오차가 발생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픽셀에 정확하게 유기 발광 물질을 도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차가 발생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픽셀에 정확하게 유기 발광 물질을 도포할 수 있는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여 상기 유체를 디스펜싱(dispensing)하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싱부,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을 센싱하는 간격 센서부 및 상기 간격 센서부가 센싱한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도록 상기 본체부를 열팽창시키는 열팽창 조절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열팽창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부,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부 및 상기 온도 센서부가 센싱한 상기 본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부가 센싱한 상기 본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각부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센서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유체가 디스펜싱되는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본체부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본체부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싱부는 인바(invar) 또는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유체가 디스펜싱되는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여 상기 유체를 디스펜싱(dispensing)하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싱부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이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 중 이웃하는 픽셀 구조물의 간격과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를 열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 각각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에 상기 유체를 디스펜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를 열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 각각에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한 상기 본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디스펜싱부를 정렬하는 단계는 안착부 상에 상기 기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디스펜싱부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본체부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차가 발생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픽셀에 정확하게 유기 발광 물질을 도포할 수 있는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각각 일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또는 “상에”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일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유기 발광 물질을 유체 형태로 디스펜싱(dispensing)하는 장치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는 형광체 등의 다른 물질을 유체 형태로 디스펜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00)는 유기 발광 물질을 유체 형태로 디스펜싱하는 장치이며, 안착부(110), 정렬부(120), 디스펜싱부(130), 간격 센서부(140), 열팽창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안착부(110)는 유체 형태인 유기 발광 물질이 디스펜싱되는 기판(1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안착부(110)는 정렬부(120)에 의해 그 위치가 이동 가능하다.
정렬부(120)는 안착부(110)를 이동시켜 안착부(110) 상에 안착되어 있는 기판(10)에 대해 디스펜싱부(130)를 정렬하는 부분이다. 정렬부(120) 기판(10)에 대해 디스펜싱부(130)가 정렬되도록 설정된 위치로 안착부(110)를 이동시킨다. 정렬부(120)는 디스펜싱부(130)가 기판(10)의 일 부분으로부터 타 부분 까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판(10)에 대응하도록 안착부(110)를 이동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렬부(120)는 디스펜싱부(130)를 이동시켜 안착부(110) 상에 안착되어 있는 기판(10)에 대해 디스펜싱부(130)를 정렬하거나, 또는 안착부(110) 및 디스펜싱부(130)를 이동시켜 안착부(110) 상에 안착되어 있는 기판(10) 에 대해 디스펜싱부(130)를 정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에서 디스펜싱부 및 열팽창 조절부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부(130)는 유체 형태인 유기 발광 물질을 직접적으로 디스펜싱 하는 부분으로서, 본체부(131) 및 복수개의 노즐부(132)를 포함한다.
본체부(131)는 기판(10)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이 흐를 수 있는 채널(131a)을 포함한다. 본체부(131)는 튜브 등의 연결 부재(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131)의 채널(131a)은 연결 부재와 연통하여 연결 부재로부터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을 공급받는다.
노즐부(132)는 복수개가 본체부(131)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131)의 채널(131a)과 연통하여 채널(131a) 내에 흐르는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을 외부로 디스펜싱한다. 노즐부(132)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개폐부는 노즐부(132)를 열거나 또는 닫음으로써, 본체부(131)의 채널(131a)로부터 노즐부(132)를 통해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이 기판(10)에 디스펜싱되는 것을 제어한다.
디스펜싱부(130)는 인바(invar) 또는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스펜싱부(130)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체가 균일하게 열팽창한다. 일 예로서, 디스펜싱부(130)의 본체부(131)의 온도가 1도 상승할 경우, 디스펜싱부(130)의 복수개의 노즐부(132) 중 이웃하는 노즐부(132)의 간격(W1)은 1um 넓어진다.
간격 센서부(140)는 디스펜싱부(130)의 복수개의 노즐부(132) 중 이웃하는 노즐부(132)의 간격(W1)인 노즐부(132) 간의 피치(pitch)를 센싱한다. 간격 센서부(140)는 노즐부(132) 간의 피치를 센싱하여 그 값을 열팽창 조절부(150)로 전송한다. 간격 센서부(140)는 기판(10)에 형성되어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이 디스펜싱되는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 중 이웃하는 픽셀 구조물의 간격인 픽셀 구조물 간의 피치를 센싱한다. 상기한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은 기판(10)에 형성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복수개의 픽셀(pixel)을 구성하는 부분이다. 간격 센서부(140)는 기판(10)의 픽셀 구조물 간의 피치를 센싱하여 그 값을 열팽창 조절부(150)로 전송한다. 간격 센서부(140)는 카메라 형태를 가지며, 디스펜싱부(130)의 노즐부(132) 간의 피치 및 기판(10)의 픽셀 구조물 간의 피치를 이미지 형태로 촬상한 후,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노즐부(132) 간의 피치 값 및 기판(10)의 픽셀 구조물 간의 피치 값을 산출하여 그 값을 열팽창 조절부(150)로 전송한다.
열팽창 조절부(150)는 간격 센서부(140)가 센싱한 디스펜싱부(130)의 노즐부(132) 간의 피치 및 기판(10)의 픽셀 구조물 간의 피치에 기초하여 디스펜싱부(130)의 복수개의 노즐부(132)가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에 대응하도록 디스펜싱부(130)의 본체부(131)를 열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팽창 조절부(150)는 히터부(151), 냉각부(152), 온도 센서부(153), 온도 제어부(154)를 포함한다.
히터부(151)는 본체부(131)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본체부(131)의 외부에 위치하여 본체부(131)와 접촉하고 있으며, 본체부(131)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터부(151)는 본체부(131)의 전체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본체부(131) 전체의 온도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부(152)는 본체부(131)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본체부(131)의 외부에 위치하여 본체부(131)와 접촉하고 있으며, 본체부(131)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부(152)는 본체부(131)의 전체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본체부(131) 전체의 온도를 동시에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온도 센서부(153)는 본체부(131)의 온도를 센싱한다. 온도 센서부(153)는 히터부(151) 또는 냉각부(152)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 본체부(131)의 온도를 센싱하여 온도 제어부(154)로 그 값을 전송한다.
온도 제어부(154)는 온도 센서부(153)가 센싱한 본체부(131)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히터부(151) 또는 냉각부(152)를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된 온도란, 디스펜싱부(130)의 본체부(131)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노즐부(132)가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에 대응하도록 디스펜싱부(130)의 본체부(131)가 열팽창되는 온도를 말한다.
온도 제어부(154)는 간격 센서부(140)가 센싱한 노즐부(132) 간의 피치 및 기판(10)의 픽셀 구조물 간의 피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노즐부(132)가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에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히터부(151) 또는 냉각부(152)를 제어한다.
온도 제어부(154)가 히터부(151) 또는 냉각부(152)를 제어하여 본체부(131)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도달하게 되면, 본체부(131)가 열팽창하여 본체부(131)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즐부(132)가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과 대응하게 되 며, 이 때, 본체부(131)의 채널(131a)에 흐르는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을 노즐부(132)를 통해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에 디스펜싱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을 마련한다(S110).
구체적으로,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이 디스펜싱되는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이 형성된 기판(10)을 마련한다. 이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픽셀을 구성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 디스펜싱부(130)를 정렬한다(S120).
구체적으로, 안착부(110) 상에 기판(10)을 안착시킨 후, 정렬부(120)를 이용하여 안착부(110) 및 디스펜싱부(130)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기판(10) 상에 디스펜싱부(130)를 정렬한다.
다음, 이웃하는 노즐부(132)의 간격을 센싱한다(S130).
구체적으로, 간격 센서부(140)를 이용해 복수개의 노즐부(132) 중 이웃하는 노즐부(132)의 간격(W1)인 노즐부(132) 간의 피치를 센싱한다. 이 때, 간격 센서부(140)를 이용해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 중 이웃하는 픽셀 구조물(11)의 간격(W2)인 픽셀 구조물(11) 간의 피치를 센싱한다. 이렇게 센싱된 노즐 부(132) 간의 피치 및 픽셀 구조물(11) 간의 피치는 열팽창 조절부(150)로 전송된다.
다음, 본체부(131)를 열팽창시켜 복수개의 노즐부(132)를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에 대응시킨다(S140).
구체적으로, 간격 센서부(140)에 의해 센싱된 노즐부(132) 간의 피치 및 픽셀 구조물(11) 간의 피치에 기초하여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에 대해 복수개의 노즐부(132)가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디스펜싱부(130)의 본체부(131)를 설정된 온도로 도달 시켜 본체부(131)를 열팽창시킨다. 본체부(131)의 열팽창은 본체부(131)의 온도를 센싱한 후, 본체부(131)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도달하도록 본체부(131)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본체부(131)가 열팽창됨으로써 본체부(131)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즐부(132) 중 이웃하는 노즐부(132)의 간격(W1)이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 중 이웃하는 픽셀 구조물(11)의 간격(W2)과 대응되어 복수개의 노즐부(132) 각각이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 각각과 정확하게 대응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구조물(11)에 유체를 디스펜싱한다(S150).
구체적으로, 본체부(131)의 채널(131a)에 흐르고 있는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을 복수개의 노즐부(132)를 통해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에 디스펜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00)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은 디스펜싱부(130)의 본체부(131)를 열팽창시켜 본체부(131)에 연결된 복수개의 노즐부(132)를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이 디스펜싱되는 기판(10)의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11)에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판(10)의 이웃하는 픽셀 구조물(11) 사이의 간격에 오차가 발생된 경우라도,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되는 기판(10)의 픽셀 구조물(11)에 정확하게 유체 형태의 유기 발광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00)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은 노즐부(132) 간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10)의 제조 상태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00)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은 하나의 디스펜싱 장치(100)로도 노즐부(132) 간의 피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픽셀 구조물(11) 간의 피치 사이즈를 가지는 다양한 기판(10)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100)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은 범용성을 가지고 다양한 기판에 다양한 유체를 디스펜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에서 디스펜싱부 및 열팽창 조절부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9)

  1.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여 상기 유체를 디스펜싱(dispensing)하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싱부;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을 센싱하는 간격 센서부; 및
    상기 간격 센서부가 센싱한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에 도달하도록 상기 본체부를 열팽창시키는 열팽창 조절부
    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열팽창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부;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부; 및
    상기 온도 센서부가 센싱한 상기 본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열팽창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부가 센싱한 상기 본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각부를 더 제어하는 디스펜싱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간격 센서부는 카메라인 디스펜싱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유체가 디스펜싱되는 기판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본체부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본체부를 정렬하는 정렬부
    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디스펜싱부는 인바(invar) 또는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디스펜싱 장치.
  7. 유체가 디스펜싱되는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여 상기 유체를 디스펜싱(dispensing)하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싱부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이웃하는 노즐부의 간격이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 중 이웃하는 픽셀 구조물의 간격과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부를 열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 각각에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에 상기 유체를 디스펜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본체부를 열팽창시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픽셀 구조물 각각에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한 상기 본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디스펜싱부를 정렬하는 단계는,
    안착부 상에 상기 기판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디스펜싱부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본체부를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방법.
KR1020090108270A 2009-11-10 2009-11-10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 KR101084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70A KR101084238B1 (ko) 2009-11-10 2009-11-10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
JP2010170827A JP5836570B2 (ja) 2009-11-10 2010-07-29 ディスペンシング装置及びディスペンシング方法
US12/926,312 US8833296B2 (en) 2009-11-10 2010-11-09 Dispensing apparatus and dispensing method
US14/486,619 US20150004719A1 (en) 2009-11-10 2014-09-15 Dispensing apparatus and dispen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70A KR101084238B1 (ko) 2009-11-10 2009-11-10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614A KR20110051614A (ko) 2011-05-18
KR101084238B1 true KR101084238B1 (ko) 2011-11-16

Family

ID=4397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270A KR101084238B1 (ko) 2009-11-10 2009-11-10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833296B2 (ko)
JP (1) JP5836570B2 (ko)
KR (1) KR101084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7956A (zh) * 2012-11-20 2014-06-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点胶装置及点胶方法
US9707584B2 (en) 2014-07-09 2017-07-18 Nordson Corporation Dual applicator fluid dispensing methods and systems
CN104874521A (zh) * 2015-04-07 2015-09-02 苏州金童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新型复合彩钢板滴胶匀胶装置
CN110216054A (zh) * 2019-06-17 2019-09-10 安徽芯瑞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将荧光溶液均匀涂布在pcb上的工艺及其涂胶机构
CN111871731A (zh) * 2020-08-04 2020-11-03 亿铖达(深圳)新材料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的点胶方法
CN115593111B (zh) * 2022-11-28 2023-03-21 季华实验室 喷墨打印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977647B (zh) * 2023-09-22 2024-01-09 深圳市安铂柔印科技有限公司 一种图文点胶控制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751A (ja) 2001-10-29 2003-05-07 Hitachi Industries Co Ltd ペースト塗布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942A (ko) 1996-12-05 1998-09-05 구자홍 반도체소자 제조를 위한 엠.오.씨.브이.디 공정용 분사노즐의 온도 제어 장치
JP3372799B2 (ja) 1996-12-17 2003-02-04 株式会社 日立インダストリイズ ペースト塗布機
US6109719A (en) * 1998-06-03 2000-08-29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head thermal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EP1211073A1 (en) * 2000-11-29 2002-06-05 Océ-Technologies B.V. Ink jet printer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JP3953776B2 (ja) * 2001-01-15 2007-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材料の吐出装置、及び吐出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液晶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el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3084125A (ja) * 2001-07-04 2003-03-19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el発光層配設基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el発光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3243165A (ja) 2002-02-15 2003-08-29 Seiko Epson Corp 材料の配置方法、電子装置の製造方法、膜形成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280025B2 (ja) * 2002-04-23 2009-06-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微細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3760926B2 (ja) * 2003-04-25 2006-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方法
KR100541633B1 (ko) 2003-11-06 2006-01-10 한국기계연구원 디스팬싱 노즐 제조방법
KR100848162B1 (ko) * 2004-01-19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장치 및 헤드위치 조절방법
KR101015298B1 (ko) 2004-11-01 2011-02-15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평면 표시 패널의 전극 형성방법
JP2006130436A (ja) * 2004-11-08 2006-05-25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液滴吐出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4759516B2 (ja) * 2005-02-09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KR100713176B1 (ko) 2005-03-03 2007-05-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팽창부재를 구비한 전동식 사출기의 형후조정장치
JP2006247841A (ja) * 2005-03-08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その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に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その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によるインク記録方法
KR20060133379A (ko) 2005-06-20 2006-12-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배향막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 형성방법
JP2007078973A (ja) * 2005-09-13 2007-03-29 Fujifilm Corp カラーフィルタ製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0756581B1 (ko) 2006-02-15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983128B2 (ja) * 2006-07-25 2012-07-25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JP2008173528A (ja) * 2007-01-16 2008-07-31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方法
KR100874070B1 (ko) 2007-02-21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41785B1 (ko) 2007-02-28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펜싱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N101576643B (zh) * 2008-05-06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点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751A (ja) 2001-10-29 2003-05-07 Hitachi Industries Co Ltd ペースト塗布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4719A1 (en) 2015-01-01
US20110107963A1 (en) 2011-05-12
JP2011101874A (ja) 2011-05-26
US8833296B2 (en) 2014-09-16
KR20110051614A (ko) 2011-05-18
JP5836570B2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238B1 (ko) 디스펜싱 장치 및 디스펜싱 방법
CN110036492B (zh) 将微装置集成到系统衬底中
KR102162790B1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용 용접기
CN101279310B (zh) 基板涂敷设备和所述基板涂敷设备的涂敷方法
JP2007123790A (ja) 冷却プレート及びベーク装置並びに基板処理装置
CN111942020B (zh) 药液吐出装置及药液吐出方法
KR102011520B1 (ko)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US20150026947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sk assembly
CN101683640A (zh) 液滴喷出装置的回复方法
EP3395462B1 (en) Cooling device and cooling method
JP2011123460A (ja) 液晶滴下制御装置
JP2006173344A (ja) 基板保持装置及び基板保持方法並びに基板加熱装置
KR102012797B1 (ko) 열풍을 이용한 프로브 카드 예열이 가능한 웨이퍼 프로버
JP2012024704A (ja) 液体塗布装置及び液体塗布方法
US20050082273A1 (en) Wafer b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90077424A (ko) 제어된 조정 장치를 구비한 마스크 홀더
WO2011138883A1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US9487003B2 (en) Contact-type patterning device
KR20070043226A (ko) 프린팅 품질이 향상된 잉크젯 방식 액정 적하 장치, 이를이용한 액정 적하 방법,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액정표시 장치
JP4738373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641976B2 (ja) 基板温調装置
KR101062456B1 (ko) 정반 정렬장치
KR102503632B1 (ko) 기판 지지 장치, 기판 처리 설비 및 기판 처리 방법
JP4184317B2 (ja) 液滴塗布方法および液滴塗布装置
KR102260323B1 (ko) 잉크젯 헤드의 위치 처리 장치 및 잉크젯 헤드의 위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