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625B1 -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625B1
KR101082625B1 KR1020067005563A KR20067005563A KR101082625B1 KR 101082625 B1 KR101082625 B1 KR 101082625B1 KR 1020067005563 A KR1020067005563 A KR 1020067005563A KR 20067005563 A KR20067005563 A KR 20067005563A KR 101082625 B1 KR101082625 B1 KR 10108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crankshaf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225A (ko
Inventor
요시노부 사와무라
유키히로 츠바키노
야스유키 구로이와
데루오 기하라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3/00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 F02N3/04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having foot-actu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10)에 있어서 위치를 자유롭게 레이아웃할 수 있도록 한 킥식 시동 장치가 개시된다. 내연기관(10)은, 크랭크 케이스(13L, 13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15)과, 크랭크축(15)으로부터 출력축(2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12)와, 동력 전달 기구(12)의 일부 및 크랭크축(15)에 고정되는 보조 기계류를 덮는 크랭크케이스 커버(14L, 14R)와, 킥식 시동 장치(70)를 구비한다. 킥식 시동 장치(70)는, 크랭크케이스 커버(14L, 14R)의 외측에 설치된다. 킥식 시동 장치는, 내연기관 출력축(26)과 후륜(6)을 연결하는 체인(27)의 전부(前部)와 그 구동 스프로켓(26b)을 덮는 내연기관의 리어 커버(39)에 대하여 일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된다. 크랭크축(15)의 일측에 토크 컨버터(40)가 구비되고, 토크 컨버터(40)와 반대측의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에 킥식 시동 장치가 배치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킥식(kick-type) 시동 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크랭크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의 케이스 내에 킥식 시동 장치가 설치된 내연기관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내연기관과 같은 배치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로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킥식 시동 장치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 내연기관에서는, 킥식 시동 장치를 떼어낸 사양으로 변경한 경우에, 상기 케이스 내에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발생하여, 킥식 시동 장치를 떼어냈음에도 불구하고, 내연기관 전체를 콤팩트화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평8-177690호 공보(도 1).
킥식 시동 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레이아웃 할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의 킥식 시동 장치의 배치 및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킥식 시동 장치를 떼어낸 사양으로 한 경우에, 동력 전달 기구의 케이스 내에, 불필요한 공간이 남지 않도록 하는 킥식 시동 장치의 배치 및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크랭크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과, 출력축과, 상기 크랭크축으로부터 상기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이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고정되는 보조 기계류를 덮는 크랭크케이스 커버와, 시동 시에 크랭크축을 회전 구동하도록 크랭크축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킥식 시동 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있어서, 킥식 시동 장치가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외측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연기관은, 상기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킥식 시동 장치 커버를 구비하고, 이 킥식 시동 장치 커버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커버에 의하여, 양 커버의 사이에, 킥 아암에 의해 회동되는 킥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상기 킥식 시동 장치 커버의 내측에, 상기 킥 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와, 이 회전 전달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킥 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래칫 축을 지지하고, 이 래칫 축은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을 전달 가능하게 배치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은, 자동 이륜차에 탑재된 경우, 상기 킥식 시동 장치가, 상기 내연기관 출력축과 자동 이륜차의 후륜을 연결하는 체인의 전부(前部)와 그 구동 스프로켓을 덮는 내연기관의 리어 커버에 대하여, 자동 이륜차의 측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일부 겹치는 위치는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은, 상기 크랭크축의 일측에 토크 컨버터를 구비하고, 킥식 시동 장치는 이 토크 컨버터와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내연기관을 탑재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내연기관의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내연기관을 자동 이륜차의 좌측에서 본 외관도,
도 4는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 킥식 시동 장치의 내부 장치가 보이는 상태에서, 내연기관을 자동 이륜차의 좌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 셀식 시동 장치의 동력 전달 기구가 보이는 상태에서, 내연기관을 자동 이륜차의 좌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킥식 시동 장치와 셀식 시동 장치의, 크랭크축에 대한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킥식 시동 장치를 제거한 사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내연기관(10)을 탑재한 자동 이륜차(1)의 측면도이다. 이 자동 이륜차(1)는, 차체 프레임(2)의 중앙에 내연기관(10)이 현가(懸架)되고, 차체 프레임(2)의 전부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프론트 포크(3)에 전륜(4)이 축 지지되고, 내연기관(10)에 전단(前端)을 피봇 지지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포크(5)의 후단에 후륜(6)이 축 지지되어 있다. 후륜(6)의 상방(上方)은 시트(7)가 덮여 있다.
도 2는, 실린더 중심선, 크랭크축, 입력축, 및 출력축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10)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좌우」는 이 내연기관(10)을 탑재하는 자동 이륜차(1)에 관한 좌우를 의미한다. 내연기관(10)은, 동력 발생 기구(11)와 동력 전달 기구(12)를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반분한 좌측 크랭크케이스(13L)와 우측 크랭크케이스(13R)의 합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크랭크실과 기어실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지향하여 배치되는 크랭크축(15)이, 좌우 크랭크케이스(13L, 13R)의 각각에 베어링(16L, 16R)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동력 발생 기구(11)에 있어서는, 크랭크케이스(13L, 13R)에 접속된 실린더 블록(17)의, 실린더 구멍 내부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움 장착된 피스톤(18)과 상기 크랭크축(15)을 커넥팅 로드(19)가 연접(連接)해 있다. 실린더 블록(17)에 접합되는 실린더 헤드(20)는, 피스톤(18)의 상면과의 사이에 연소실(21)을 형성하고, 연소실(21)에 연통(連通)하는 흡·배기 포트를 개폐하는 흡·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배기 밸브를 구동하는 캠축(22)은, 크랭크축(15)과 평행하게 실린더 헤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기 포트에는 배기관(23)과 머플러(24)가 접속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12)에 있어서는, 좌우 크랭크케이스(13L, 13R)에, 크랭크축(15)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입력축(25)과 출력축(26)이 회전 가능하게 가설되어 있다. 입력축(25)에는, 우측 크랭크케이스(13R)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한 단부(端部)에 1차 감속 종동 기어(25a)가 끼움 장착되고, 동 입력축(25)의 좌우 크랭크케이스(13L, 13R)의 내측에는 구동 기어(25b)가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26)에는, 좌우 크랭크케이스(13L, 13R)의 내측에, 상기 구동 기어(25b)와 서로 맞물리는 종 동 기어(26a)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출력축(26)의 좌측 크랭크케이스(13L)로부터 좌측 외측으로 돌출한 단부에는, 후륜 체인 구동 스프로켓(26b)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후륜 체인 구동 스프로켓(26b)과, 후륜(6)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후륜 체인 종동 스프로켓(6a)(도 1 참조) 사이에 후륜 구동용 체인(27)이 가설되고, 최종 감속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륜 구동용 체인(27)의 전부와, 이 체인을 구동하는 체인 구동 스프로켓(26b)은, 내연기관의 리어 커버(39)에 의하여 덮여 있다.
크랭크축(15)의 우측 크랭크케이스(13R)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한 우측부에는, 우단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원심 클러치(30), 토크 컨버터(40), 1차 감속 구동 기어(48a)가 순차로 배치되어 있다. 1차 감속 구동 기어(48a)는 상기 동력 전달 기구(12)의 1차 감속 종동 기어(25a)와 맞물려 있다. 이 1차 감속 구동 기어(48a)와 1차 감속 종동 기어(25a)로 이루어지는 1차 감속 기구, 및 원심 클러치(30), 토크 컨버터(40)를, 우측으로부터 덮는 우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R)가, 우측 크랭크케이스(13R)의 우단면에 접합되어 있다. 크랭크축(15)의 단부는, 우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R)에 의하여, 베어링(29)으로 축 지지되어 있다.
원심 클러치(30)는, 클러치 이너(31)의 기단(基端)을 유지하는 이너 보스부(32)가 크랭크축(15)의 우단부에 스프라인 끼워맞춤되고, 클러치 이너(31)의 외주 단(端)측에 크랭크축(15)과 평행하게 돌출 설치된 복수의 지지축(33)에 각각 클러치 웨이트(34)가 경동(傾動)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아우터(35)는, 그 원통부가, 클러치 웨이트(34)에 내주면을 대향시켜 덮고, 클러치 아우터(35)의 기단을 유지하는 아우터 보스부(36)는 크랭크축(15)에 베어링(37)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됨과 동시에, 이너 보스부(32)에 대하여 일방향 클러치(38)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38)는, 클러치 아우터(35) 측으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클러치 이너(31)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크랭크축(15)의 회전에 대하여, 클러치 이너(31)는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클러치 이너(31)측으로부터 클러치 아우터(35)로는, 일방향 클러치(38)가 있기 때문에, 회전 토크는 전달되지 않는다. 크랭크축(15)의 회전 속도가 소정 속도를 초과하면, 클러치 웨이트(34)의 경동이 증가해 클러치 아우터(35)에 작용하여 클러치가 걸어맞춤 되어 클러치 아우터(35)를 회전시킨다.
이 원심 클러치(3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토크 컨버터(40)는, 상기 클러치 아우터(35)의 기단을 유지하는 아우터 보스부(36)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펌프 날개차(41)와, 이에 대향하는 터빈 날개차(42)와, 이들 날개차(41, 42) 사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날개차(43)로 구성되는 것이다.
스테이터 날개차(43)의 기단을 유지하는 스테이터 보스부(44)는 원통 형상의 스테이터 축(45)에 스프라인 끼워맞춤되고, 동 스테이터 축(45)은 크랭크축(15)에 베어링(46)을 개재하여 축 지지됨과 동시에 우측 크랭크케이스(13R)에 대하여 프리 휠(47)을 개재하여 지지되고, 스테이터 날개차(43)는 스테이터 축(45)과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터빈 날개차(42)의 기단을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터빈 축(48)은, 상기 스테이터 축(45)에 베어링(49)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터빈 축(48)의 좌단부에 상기 1차 감속 구동 기어(48a)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날개차(41)에는, 터빈 날개차(42)의 배면을 덮는 사이드 커버(50)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이 사이드 커버(50)와 터빈 축(48) 사이에 백로드 전달용의 프리 휠(51)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크랭크축(15)의 회전 속도가 소정 속도를 초과하여 원심 클러치(30)가 걸어맞춤되어 클러치 아우터(35)와 함께 펌프 날개차(41)가 회전하면, 토크 컨버터(40) 내의 작동 오일이 펌프 날개차(41)의 외주(外周)측으로부터 터빈 날개차(42), 및 프리 휠(47)에 의하여 회전 규제된 스테이터 날개차(43)를 순차로 흘러, 펌프 날개차(41)의 내주 측으로 되돌아가도록 순환하여 펌프 날개차(41)의 회전 토크를 터빈 날개차(42)에 전달하고, 터빈 날개차(42)와 일체인 터빈 축(48) 및 터빈 축(48)과 일체인 1차 감속 구동 기어(48a)를 회전 구동한다. 터빈 날개차(42)가 고속으로 되어 펌프 날개차(41)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프리 휠(47)에 의해 스테이터 날개차(43)가 공전하여 날개차(41, 42, 43)가 일체가 되어 유체 커플링으로서의 효율을 높게 하여 회전한다. 이와 같이 토크 컨버터(40)는 자동 변속 기능을 완수한다.
감속 시의 백로드가 동력 전달 기구(12)측으로부터 1차 감속 기구를 통하여 터빈 축(48)에 입력되었을 때는, 그 회전 토크는 프리 휠(51)의 걸어맞춤에 의해 사이드 커버(50)를 통하여 펌프 날개차(41)에 직접 전달되고, 펌프 날개차(41)와 일체의 아우터 박스부(36)의 회전이 일방향 클러치(38)를 통하여 크랭크축(15)에 전달되어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크랭크축(15)의 좌측 크랭크케이스(13L)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한 좌측부에는, 캠체인(55)이 감겨서 걸리는 캠체인 구동 스프로켓(56)이 설치되고, 그 외측에, 후술하는 셀 모터에 연결되는 대(大)직경 치차(85a)와, 원웨이 클러치(87)가 설치되고, 또한 그 외측에, AC 제너레이터(60)가 장착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87) 및 AC 제너레이터(60)의 아우터 로터(61)는 모두, 유지 부재(59)에 접속되어 있다. 동 유지 부재(59)는 크랭크축(15)의 좌단부에 키(58)를 개재하여 끼워 넣어지고, 보스 부재(65)를 개재 장착하여 크랭크축(15)의 좌단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64)에 의하여, 크랭크축(15)에 고정되어 있다. AC 제너레이터(60)를 좌측으로부터 덮는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가, 좌측 크랭크케이스(13L)의 좌단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는, 크랭크축(15)의 축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63)가 형성되어 있어, 이 개구 둘레 테두리부에 AC 제너레이터(60)의 이너 스테이터(62)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AC 제너레이터(60)는, 이너 스테이터(62)가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를 개재하여 크랭크케이스(13L)에 고정 지지되고, 아우터 로터(61)가 크랭크축(15)과 일체로 회전한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크랭크축(15)의 좌단에 있어서 아우터 로터(61)를 고정하는 보스 부재(65)는,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의 개구(63)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한 단부가 있고, 그 부분에, 후술하는 킥식 시동 장치(70)에 관련한 고리 형상 래칫 이(齒)(65a)가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AC 제너레이터(60)보다 좌측이며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의 보다 외측에 킥식 시동 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내연기관을 좌측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면 좌측(내연기관의 전부)에, 실린더 헤드(20), 실린더 블록(17)이, 도면의 우측(내연기관의 후방)에, 출력축(26)의 위치, 후륜 체인 구동 스프로켓(26b)의 위치, 후륜 구동용 체인(27), 및 리어 커버(39)가 도시되어 있다. 후륜 체인 구동 스프로켓(26b)과 상기 스프로켓(26b)에 걸려 감겨져 있는 후륜 구동용 체인(27)의 상기 스프로켓(26b)의 근방은 리어 커버(39)에 의하여 덮여 있다. 도면 중앙부의 킥 축(76)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킥 아암(79)이 신장되고, 선단에 킥 페달(79a)이 설치되어 있다. 킥 아암(79)은 킥 축(76)과 함께 회동한다. 킥 축(76)에 연결되는 치차 장치는,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에 의하여 덮여 있다. 내연기관(10)의 상부에, 셀 모터(81)의 일부가 보인다. 13L은 좌측 크랭크케이스, 14L은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이다.
도 4는,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 킥 아암(79), 킥 페달(79a), 및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를 제거하고, 킥식 시동 장치의 내부 장치가 보이는 상태에서, 내연기관을 좌측에서 본 그림이다. 도면에서, 점들을 부여하여 나타낸 부분(14j)은,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의 단면에 형성된,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에 대한 접합면이다. 킥식 시동 장치의 내부 장치는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킥 축(76)에, 동 킥 축과 일체 회동하는 부채형의 구동 헬리컬 기어(7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헬리컬 기어(77)에는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의 일부를 지점으로 하는 리턴 스프링(7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헬리컬 기어(77)는, 인접하는 래칫 축(72)에 설치된 종동 헬리컬 기어(73)에 맞물려 있다. 종동 헬리컬 기어(73)로부터 크랭크축(15)으로의 킥 시동력의 전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는,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 또한, 킥식 시동 장치의 내부 장치,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 및 AC 제너레이터(60)를 제거하고, 셀 모터(81)로부터 크랭크축(15)에 도달하는 셀식 시동 장치(80)의 시동력 전달 기구가 보이는 상태에서, 내연기관을 좌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에서, 점들을 부여하여 나타낸 부분(13j)은, 좌측 크랭크케이스(13L)의 단면에 형성된,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에 대한 접합면이다. 셀 모터(81)의 모터 회전축(82)에 피니언(82a)이 형성되고, 중간축(83)에 장착된 2중 치차(84)의 대직경 치차(84a)에 맞물려 있다. 크랭크축(15)에 롤러 베어링(86)을 개재하여 원통형 보스(85)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단부에 대직경 치차(85a)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중 치차(84)의 소직경 치차(84b)는, 상기 원통형 보스(85)의 대직경 치차(85a)에 맞물려 있다. 원통형 보스(85)로부터 크랭크축(15)에 도달하는 동력 전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은, 킥식 시동 장치(70)와 셀식 시동 장치(80)의, 크랭크축(15)에 대한 구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킥식 시동 장치(70)의 단면은, 도 3의 A-A 단면 및 도 4의 B-B 단면을 나타내고, 셀식 시동 장치(80)의 단면은, 도 5의 C-C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의 좌단면에 킥식 시동 장치(70)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덮어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가 접합되어 있다. 이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의 내면에는, 크랭크축(15)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크랭크축(15)과 동축인 원통 형상 지지부(71a)가 돌출해 있으며, 동 원통 형상 지지부(71a)에 래칫 축(72)이 회동 가능하면서도 축방향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음 지지되어 있다. 래칫 축 (72)은, 그 중앙의 노출부에 종동 헬리컬 기어(73)가 형성되고, 우단에는 래칫 휠(74)이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동 래칫 휠(74)의, 우측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한 단부에 형성된 래칫 이(74a)가, 상기 크랭크축(15)의 좌단에 고정된 보스 부재(65)의 래칫 이(65a)에 대향하고 있다.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와 래칫 휠(74) 사이에 개재 장착된 프릭션 스프링(75)에 의하여, 래칫 휠(74)과 함께 래칫 축(72)이 좌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프릭션 스프링(75)에 저항하여 래칫 휠(74)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래칫 휠(74)의 래칫 이(74a)가 보스 부재(65)의 래칫 이(65a)와 맞물린다.
킥식 시동 장치 커버(71)의 내면에는, 상기 원통 형상 지지부(71a)에 대하여 약간의 거리를 두어, 축받이 보스부(71b)가 내측으로 팽출해 있으며, 동 축받이 보스부(71b)에 킥 축(76)이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킥 축(76)의 좌단은 좌측 외부에 돌출하고, 우단은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넣음 되어 있다. 이 킥 축(76)에, 도 4에 도시한 부채형의 구동 헬리컬 기어(77)가 일체로 끼움 장착되어 리턴 스프링(78)에 의하여 일방의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 헬리컬 기어(77)는 래칫 축(72)의 헬리컬 기어(73)에 맞물려 있다. 킥 축(76)의 좌단에 기단부를 고정 장착하여 킥 아암(79)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 선단에 킥 페달(79a)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킥 페달(79a)에 발이 올려져, 킥 축(76)이 리턴 스프링(78)에 저항하여 회전하면, 킥 축(76)과 일체가 되어 구동 헬리컬 기어(77)가 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종동 헬리컬 기어(73)가 래칫 축(72)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프릭션 스프링 (75)에 저항하여 우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래칫 휠(74)의 래칫 이(74a)가, 크랭크축(15) 측의 보스 부재(65)의 래칫 이(65a)와 맞물려 크랭크축(15)을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내연기관(10)을 시동한다. 이 시동 시의 킥 페달(79a)의 발 디딤에 의한 크랭크축(15)의 회전 토크는, 회전수가 저속 회전이며 원심 클러치(30)의 클러치 이너만을 회전하여 클러치 아우터 이후의 동력 전달계에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시동 작업이 가볍고 용이하다.
도 4 및 도 6에서, 크랭크축(15)의 상방(上方)에 셀 모터(81)가 탑재되고, 셀 모터(81)의 좌단 소(小)직경부(81a)는, 좌측 크랭크케이스(13L)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끼워 넣어지고, 동 셀 모터(81)의 좌단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모터 회전축(82)은, 좌측 크랭크케이스(13L)와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 사이의 공간에 돌입(突入)해 있다. 모터 회전축(82)의 좌단부에는 피니언(8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82a)과 크랭크축(15) 사이에 위치하여, 좌측 크랭크케이스(13L)와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14L)에 중간축(83)이 회전 가능하게 가설되고, 이 중간축(83)에 대직경 치차(84a)와 소직경 치차(84b)를 일체로 형성한 2중 치차(8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치차(84a)는 상기 피니언(82a)과 맞물려 있다.
크랭크축(15)에는, 대직경 치차(85a)를 그 단부에 구비한 원통형 보스(85)가 롤러 베어링(86)을 개재하여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대직경 치차(85a)는, 상기 2중 치차(84)의 소직경 치차(84b)와 맞물려 있다. 상기 원통형 보스(85)의 외주에 원웨이 클러치(8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87)의 아우터 레이스는 볼트(88)를 개재하여 유지 부재(59)에 접속되어 있다. 동 유지 부재(59) 는 키(58)를 개재하여 크랭크축(1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87)는, 대직경 치차(85a)의 회전을 유지 부재(59)에 전달할 수는 있지만, 유지 부재(59)의 회전을 대직경 치차(85a)에 전달할 수는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부재에는, ACG60의 아우터 로터(61)도 접속되어 있다. 셀 모터(81)의 스위치가 ON이 되면, 셀 모터(81)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피니언(82a), 2중 치차(84), 대직경 치차(85a), 원웨이 클러치(87), 및 유지 부재(59)를 통하여 크랭크축(15)에 전달되고, 크랭크축(15)이 회전하여, 내연기관이 시동한다.
상기의 동력 전달 방식은, 상시(常時) 맞물림 방식으로서, 내연기관 시동 후에, 내연기관 측으로부터의 동력이, 반대로 셀 모터(81)에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원웨이 클러치(87)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87)는, 상기 원통형 보스(85)의 외주에 장착된 아우터 레이스 내에 설치된 쐐기 형상의 홈에, 롤러와 스프링이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원통형 보스(85)와 아우터 레이스 사이에서, 상기 롤러와 스프링에 의하여, 일방향 동력 전달 작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종래 킥식 시동 장치에서는, 동력 전달 기구로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킥 축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킥식 시동 장치가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케이스 커버 내의 보조 기계 및 동력 전달 기구와 간섭하는 일 없이, 운전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킥식 시동 장치의 각 부재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내연기관은, 킥식 시동 장치와 셀식 시동 장치를 모두 구비한 내연기관이지만, 킥식 시동 장치를 떼어낸 사양으로 변경하여, 셀식 시동 장치만의 사양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에 있어서, 킥식 시동 장치를 제거한 사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킥식 시동 장치를 떼어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되는 킥식 시동 장치 제거 시 전용의 좌측 크랭크케이스 커버(90)를 장착하여, AC 제너레이터(60)나 원웨이 클러치(87)나 대직경 치차(85a) 등을 덮기 때문에, 사양 변경 시의 변경 부분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크랭크케이스 내의 동력 전달 기구부(12)의 기어실 내에 킥식 시동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케이스 내에 불필요한 공간이 남지 않기 때문에, 내연기관을 전체적으로 콤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내연기관은, 킥식 시동 장치(70)를 리어 커버(39)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킥식 시동 장치(70)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토크 컨버터와 킥식 시동 장치를, 자동 이륜차의 좌우 방향의 서로 반대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좌우 밸런스가 양호하게 되어 있다. 또한, AC 제너레이터(60)가 토크 컨버터(40)와는 반대측의 크랭크축 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 통로를 토크 컨버터(40)측에 집약할 수 있어, 오일 통로를 복잡하게 감을 필요가 없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킥식 시동 장치를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외측에 지지하게 함으로써, 크랭크케이스 커버 내의 보조 기계 및 동력 전달 기구와 간섭하는 일 없이, 운 전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킥식 시동 장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 사양 변경에서, 킥식 시동 장치를 떼어내는 경우라도,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형상 변경만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양 변경 시의 변경 부분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크랭크케이스 내의 동력 전달 기구부의 기어실 내에 킥식 시동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내연기관 내에 여분의 공간이 남지 않기 때문에, 내연기관을 콤팩트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이 자동 이륜차에 탑재된 경우, 상기 킥식 시동 장치가, 상기 내연기관 출력축과 자동 이륜차의 후륜을 연결하는 체인의 전부와 그 구동 스프로켓을 덮는 내연기관의 리어 커버에 대하여, 자동 이륜차의 측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일부 겹치는 위치에 있도록 하면, 킥식 시동 장치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토크 컨버터와 킥식 시동 장치를, 자동 이륜차의 좌우 방향의 서로 반대측에 설치함으로써, 내연기관의 좌우 밸런스가 양호하게 된다.

Claims (4)

  1. 크랭크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과, 출력축과, 상기 크랭크축으로부터 상기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와, 이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 및 상기 크랭크축에 고정되는 보조 기계류를 덮는 크랭크케이스 커버와, 시동 시에 크랭크축을 회전 구동하도록 크랭크축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킥식 시동 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에 있어서,
    킥식 시동 장치가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외측에 지지되고,
    상기 크랭크축의 일측에 토크 컨버터를 구비하고, 킥식 시동 장치는 이 토크 컨버터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케이스 커버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킥식 시동 장치 커버를 구비하고, 이 킥식 시동 장치 커버와 상기 크랭크케이스 커버에 의하여, 양 커버 사이에, 킥 아암에 의해 회동되는 킥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킥식 시동 장치 커버의 내측에, 상기 킥 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와, 이 회전 전달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킥 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래칫 축 이 지지되고, 이 래칫 축은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을 전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이 자동 이륜차에 탑재되고, 상기 킥식 시동 장치는, 상기 내연기관 출력축과 자동 이륜차의 후륜을 연결하는 체인의 전부(前部)와 그 구동 스프로켓을 덮는 내연기관의 리어 커버에 대하여, 자동 이륜차의 측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일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20067005563A 2003-09-26 2004-09-24 내연기관 KR101082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6016 2003-09-26
JP2003336016A JP2005105825A (ja) 2003-09-26 2003-09-26 内燃機関
PCT/JP2004/013915 WO2005031156A1 (ja) 2003-09-26 2004-09-24 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225A KR20060090225A (ko) 2006-08-10
KR101082625B1 true KR101082625B1 (ko) 2011-11-10

Family

ID=3438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563A KR101082625B1 (ko) 2003-09-26 2004-09-24 내연기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666721B1 (ko)
JP (1) JP2005105825A (ko)
KR (1) KR101082625B1 (ko)
CN (1) CN100473823C (ko)
BR (1) BRPI0414706B1 (ko)
MX (1) MXPA06002633A (ko)
TW (1) TWI245095B (ko)
WO (1) WO20050311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12B1 (ko) 2009-03-31 2012-12-0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킥식 시동 장치가 부착된 내연기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181B2 (ja) * 2005-06-27 2009-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始動装置
JP2009085096A (ja) * 2007-09-28 2009-04-23 Honda Motor Co Ltd スタータモータ周辺構造
JP5047746B2 (ja) * 2007-09-28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
JP5555519B2 (ja) * 2010-03-24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用キックペダル機構
AU2012207027B2 (en) 2011-08-25 2013-04-18 Rohm And Haas Company Clear matte coating
CN103982352A (zh) * 2013-11-30 2014-08-13 淮北市天路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发电启动一体式的发动机
CN113994086B (zh) * 2019-06-18 2023-08-18 Tvs电机股份有限公司 发动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0259A (en) * 1952-12-05 1960-03-29 Riedel Norbert Starter-gene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772822B2 (ja) * 1989-06-05 1998-07-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H048865A (ja) * 1990-04-25 1992-01-13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キックスタータ装置
JPH11280623A (ja) * 1998-03-31 1999-10-15 Honda Motor Co Ltd パワーユニットおよび車輪の組立体
JP2000120511A (ja) * 1998-10-16 2000-04-25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始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12B1 (ko) 2009-03-31 2012-12-0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킥식 시동 장치가 부착된 내연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225A (ko) 2006-08-10
BRPI0414706A (pt) 2006-11-14
EP1666721B1 (en) 2012-01-18
EP1666721A4 (en) 2010-10-20
EP1666721A1 (en) 2006-06-07
WO2005031156A1 (ja) 2005-04-07
TW200512378A (en) 2005-04-01
MXPA06002633A (es) 2006-06-06
TWI245095B (en) 2005-12-11
BRPI0414706B1 (pt) 2013-08-13
JP2005105825A (ja) 2005-04-21
CN1842650A (zh) 2006-10-04
CN100473823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7927B2 (ja)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
US7216615B2 (en) Engine device for motorcycles
KR100672290B1 (ko) 일방향 클러치
KR101082625B1 (ko) 내연기관
WO2009098913A4 (ja) 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
KR100608531B1 (ko) 차량용 동력 전달 장치
TWI451992B (zh) 小型車輛
US20200309061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45862B1 (ko) 자동 이륜차
JP4181051B2 (ja) エンジン
JP3154693B2 (ja) 車輌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2018168822A (ja) 鞍乗り型車両用内燃機関
JP3518709B2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
JP3711266B2 (ja) 単気筒4サイクルエンジン
JP4494235B2 (ja) クラッチの潤滑装置
JP2006105167A (ja) 小型車両用伝動装置
JP4675408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ポンプ構造
JP2008057548A (ja) 自動二輪車
JP3006104B2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
JP4105057B2 (ja) スタータモータを備えた内燃機関
JP4733669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ピストン冷却構造
JP2001241310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オイルポンプ配置構造
JP2006022692A (ja) 内燃機関用組立型カム軸構造
JPH04246276A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