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764B1 -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764B1
KR101081764B1 KR1020077014944A KR20077014944A KR101081764B1 KR 101081764 B1 KR101081764 B1 KR 101081764B1 KR 1020077014944 A KR1020077014944 A KR 1020077014944A KR 20077014944 A KR20077014944 A KR 20077014944A KR 101081764 B1 KR101081764 B1 KR 10108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ehicle body
windshield wiper
wiper devic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836A (ko
Inventor
요아힘 찜머
제라르 알브레히트
위르겐 랍프
프랑스와 스까바넬
티노 보스
니꼴라 에쉔브렌너
프랑크 뽀르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9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7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non-screw fixation, (e.g. snap-in, bayonnet-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 B60S1/0469Devices for assisting the wiper positioning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점(16)을 가진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점에 의해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차체(14)에 고정된다. 지금까지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차체에 나사 조임되거나 또는 리벳 고정되므로, 특수한 공구 및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차체에 조립하는 것을 더 신속하고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조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은 차체(14)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고정점, 차체, 조인트

Description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Windshield wiper device}
본 발명은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점을 가진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차체에 나사 조임되거나 또는 리벳 고정되었다. 나사 조임 및 리벳 고정은 특수한 공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나사 조임 또는 리벳 고정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이것은 조립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에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조립이 더 신속하고 더 저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방식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조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이 차체에 대해 가동적인, 전술한 방식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로 인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차체의 선택된 영역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나사 조임, 리벳 고정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부분적으로 관 내로 삽입된, 관에 대해 가동적인 성형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성형관은 스프링에 의해 차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관 및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약간의 수동 조작으로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은 성형관을 차체에 대해 가압하므로, 상기 성형관은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고 동시에 진동시에도 차체에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또한, 성형관에 록킹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록킹 장치는 성형관이 예컨대 진동시 차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한다.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변형예에서, 록킹 장치는 관 내에 삽입된 성형관의 볼트형 돌출부에 배치된 고정 링일 수 있고, 상기 고정 링은 관에 부딪힌다. 고정 링은 바람직하게 차체에 성형관이 조립된 후에 볼트형 돌출부에 배치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관 내에 삽입된 성형관의 돌출부는 톱니들을 가질 수 있다. 톱니들은 관 내에 삽입된, 볼트형 돌출부와 관의 내부면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톱니들은, 조립 후 성형관을 차체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조적 조치이다.
성형관 및 관 내로 고정 핀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을 위해 예비 응력을 받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성형관 및 관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조립자는 조립을 위해 고정 핀을 성형관 및 관에서 분리해야 하고, 그러면 스프링은 성형관을 차체에 대해 이동시킨다.
고정점은 성형관에 배치될 수 있고 차체 내로 삽입 가능하다. 따라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성형관에 의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성형관은 조인트에 연결된 2개의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섹션은 가이드 관 내로 이동 가능하고, 성형관은 차체에 조립되기 전에 조인트에서 꺾인다. 이러한 변형예는, 조립자가 차체에 삽입 가능한 고정점을 차체 내의 개구 전방에 위치 설정한 후에 꺾임부를 형성하는 조인트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고정점이 차체 내의 개구 내로 이동되므로, 스프링 없이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조립이 실행된 후 성형관이 의도치 않게 차체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조인트는 록킹될 수 있다.
조인트가 슬리브에 의해 록킹될 수 있는 경우, 록킹 장치는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게 구현된다. 슬리브는 조인트 위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조인트가 원치않게 꺾여서 차체로부터 성형관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슬리브는 진동시 조인트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조인트에 의해 확실하게 록킹되도록, 슬리브는 조인트에 있는 리세스 내로 결합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조인트가 볼 조인트 또는 힌지를 포함하는 경우, 조인트는 매우 저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힌지가 박막 힌지이면, 힌지는 대량으로 매우 저렴하게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성형관은 연장 가능한 관에 연결될 수 있다. 관의 연장 가능성에 의해 성형관은 고정을 위해 차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관은 2개의 섹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내부 나사를 포함하는 슬리브에 연결되고, 이 경우 하나의 섹션은 슬리브의 내부 나사와 결합 가능한 외부 나사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다른 섹션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관은 슬리브의 회전 운동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이로써 성형관은 차체에 대해 이동된다. 성형관은 간단한 수동 조작으로 차체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가 회전 가능하게 다른 섹션에 배치되도록, 관의 다른 섹션은 환형 홈을 갖고, 상기 홈 내로 슬리브에 장착된 돌출부가 결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성형관은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은 차체에 장착된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와의 신속한 나사 조임, 리벳 고정 등이 생략될 수 있다.
진동시에도 성형관에 의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차체에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핀이 차체의 개구 내에 삽입 가능한 단부에 톱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핀이 성형관에서 록킹 가능한 경우에, 상기 핀은 예컨대 진동에 의해 원치 않게 차체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신속하고 확실한 조립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핀은 성형관 내에 걸릴 수 있는 레버에 의해 차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핀의 지지를 개선하기 위해, 차체의 개구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고무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핀은 성형관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고무 부품의 개구 내로 삽입된다. 특히, 핀에 톱니들이 제공되면, 상기 핀은 특히 확실하게 고무 부품 내에서 지지된다.
고무 부품이 성형관의 최종 조립 전에 이미 적어도 하나의 핀 위에 배치되면, 조립자는 제공된 성형관을 더 신속하게 차체에 조립할 수 있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성형관의 제 1 실시예를 위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성형관의 제 2 실시예를 위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성형관의 제 3 실시예를 위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성형관을 위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성형관의 제 5 실시예를 위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최종 조립 후 도 5의 성형관을 위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성형관의 조인트의 변형예의 상세도.
도 8은 록킹 상태에서 도 7의 조인트의 상세도.
도 9는 연장 가능한 관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연장된 상태에서 도 9의 관을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성형관의 제 6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레버를 가진, 도 11의 성형관의 측면도.
도 13은 최종 조립 후 도 11의 성형관의 측면도.
도 14는 도 11의 성형관의 사시도.
도 15는 고무 부품의 사시도.
도 1에 관(12) 내로 삽입된 돌출부(11)를 가진 성형관(10)이 도시된다. 성형관(10) 및 돌출부(11)는 관(12) 내에서 상기 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다. 돌 출부(11)의 단부에 스프링(13)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성형관(10)을 차체(14)에 배치된 개구(15)에 대해 이동시킨다.
성형관(10)에 고정점(16)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점은 개구(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13)에 의해 성형관(10)은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3)은 진동시에도 성형관(10)을 차체에 대해 확실하게 가압한다.
스프링(13)에 추가하여, 성형관(20)에 고정 링(21)이 배치될 수 있고(도 2 참조), 상기 고정 링은 고정점(16)이 차체(14)의 개구(15) 내로 삽입되면 성형관(20)을 록킹한다. 고정 링(21)은, 최종 조립 후 돌출부(22)가 관(12) 내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저지한다. 바람직하게 성형관(20)이 차체(14)에 조립된 후에, 고정 링(21)이 돌출부(22) 상에 배치된다.
관(30)에 삽입된, 성형관(32)의 돌출부(31)에 톱니들(33)이 제공될 수 있다(도 3 참조). 톱니들(33)은 돌출부(31)와 관(30)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성형관(32)은 조립 후 확실하게 차체(14)에 고정된다.
관(30) 및 성형관(32) 내로 고정 핀(34)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로써, 조립을 위해 예비 응력을 받은 스프링(13)에 의한 관(30)과 성형관(32)의 사전 조립이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조립자는 조립을 위해 고정 핀(34)을 관(30)과 성형관(32)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고정 핀(34)이 관(30) 및 성형관(32)으로부터 분리되자마자, 스프링(13)은 성형관(32)을 차체(14)에 대해 이동시키므로(도 4 참조), 고정점(16)이 개구(15) 내로 삽입된다. 동시에 톱니들(33)은 관(30)의 내벽 내로 압입된다.
도 5는 섹션(51, 52)을 가진 성형관(50)을 도시한다. 섹션(52)은 가이드 관(53)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섹션들(51, 52) 사이에 조인트(54)가 제공된다. 최종 조립 전에 성형관(50)은 조인트(54) 영역 내에서 꺾인다. 조립자는 꺾임부를 형성하는 조인트(54)를 가압함으로써, 고정점(16)이 차체의 개구 내로 삽입된다.
최종 조립 후에 성형관(50)이 의도치 않게 차체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조인트(54)는 슬리브(55)에 의해 록킹될 수 있다. 슬리브(55)는 록킹을 위해 조인트(54) 위로 이동된다(도 6 참조). 진동시 슬리브(55)가 조인트(54)로부터 아래로 이동되지 않도록, 슬리브(55)는 리세스(57) 내로 결합된 돌출부(56)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조인트(54)는 볼 조인트이다. 그러나, 섹션들(71, 72) 사이에 박막 힌지(70)가 제공될 수 있다(도 7 참조). 슬리브(73)가 박막 힌지(70) 위로 이동되면, 슬리브(73)는 리세스(75) 내로 결합하는 돌출부(74)를 갖는다(도 8 참조).
도 9는 2개의 섹션들(91, 92)을 포함하는 연장 가능한 관(90)을 도시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성형관이 관(90)에 연결될 수 있다. 성형관을 도시되지 않은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관(90)이 연장된다(도 10 참조).
섹션(91) 내로 수나사(94)를 갖는 볼트(93)가 삽입된다. 암나사(95)를 가진 슬리브(96)가 수나사(94)에 나사 조임 된다. 슬리브(96)는 섹션(92) 내로 삽입된 볼트(98)의 환형 홈 내로 결합하는 돌출부(97)를 포함한다. 이로써 슬리브(96)는 섹션(92)의 볼트(98)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관(90)은 슬리브(96)의 간단한 회전 운동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은 핀들(111)을 가진 성형관(110)을 도시한다. 핀들(111)은 차체(1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핀들(111)은 차체 개구(114)에 배치된 고무 부품(11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핀들(111)이 진동시에도 확실하게 차체(112)에서 록킹될 수 있도록, 상기 핀들은 톱니들(120)을 가질 수 있다.
성형관(110)은 신속하고 간단하게 차체(112)에 조립될 수 있도록, 레버(121)에 의해 핀(111)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도 12 참조).
성형관(110)에 후크(140)가 제공되고(도 12 및 도 14), 핀들이 고무 부품(113) 내로 삽입된 후에(도 13 참조), 개구(141;도 14 참조) 내로 삽입된 핀(111)을 록킹하기 위해, 핀에 리세스(122;도 12 참조)가 제공된다.
성형관(110)은 홈(130;도 13 및 도 14 참조)을 갖고, 핀들(111)을 고무 부품(113)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홈 내로 레버(121)가 걸릴 수 있다.
고무 부품(113)은 개구(150)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 내로 핀(111)이 삽입될 수 있다. 고무 부품(113)의 하부에는 차체(112) 내에 홈(151)이 배치된다. 홈(150)은 보행자 충돌 방지에 이용된다. 보행자가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충돌시 고무 부품(113)이 차체(112)로부터 풀어져 떨어지고, 이로써 성형관(110)도 차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충돌이 피해진다.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 차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상기 고정점외에도 트러스 트 베어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고정점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2)

  1. 고정점들(16)을 포함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로서, 상기 고정점들에 의해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차체(14, 112)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점들(16)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조립을 위해 상기 차체(14, 1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관(12, 30) 내로 삽입된, 상기 관(12, 3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성형관(10, 20, 32, 110)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관(10, 20, 32, 110)은 스프링(13)에 의해 상기 차체(14, 1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20)에 록킹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는 고정 링(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30) 내에 삽입된, 상기 성형관(32)의 볼트형 돌출부(31)에 톱니들(3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관(32) 및 상기 관(30) 내로 고정 핀(34)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점들(16) 중 하나는 상기 성형관(10, 20, 32, 110)에 배치되고, 상기 차체(14, 112) 내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77014944A 2004-12-29 2005-11-02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1081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63179A DE102004063179A1 (de) 2004-12-29 2004-12-29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4063179.4 2004-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836A KR20070098836A (ko) 2007-10-05
KR101081764B1 true KR101081764B1 (ko) 2011-11-10

Family

ID=3552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944A KR101081764B1 (ko) 2004-12-29 2005-11-02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18077B2 (ko)
EP (1) EP1833705B1 (ko)
JP (1) JP4625503B2 (ko)
KR (1) KR101081764B1 (ko)
AT (1) ATE469796T1 (ko)
DE (2) DE102004063179A1 (ko)
WO (1) WO20060724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3179A1 (de) * 2004-12-29 2006-07-1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5048341A1 (de) * 2005-06-10 2006-12-14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FR2952881A1 (fr) * 2009-11-20 2011-05-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canisme d'essuie-glace pour vehicule
FR2982219B1 (fr) * 2011-11-07 2016-07-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canisme d’essuie-vitre permettant une reduction de volume de conditionnement et/ou un montage facilite
DE102016206778A1 (de) * 2016-04-21 2017-10-26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mit solch einer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20213009A1 (de) 2020-10-15 2022-04-2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mit einer solchen Wisch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9175A (en) * 1929-08-03 1931-12-29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cleaner
US3784770A (en) * 1972-06-20 1974-01-08 G Codrino Control unit for lights, direction indicators, and windshield-wiper
DE2364278A1 (de) * 1973-12-22 1975-06-26 Daimler Benz Ag Schalter, insbesondere kombi-schalter fuer die scheibenwisch- und -waschanlage eines kraftfahrzeuges
DE2753371A1 (de) * 1977-11-30 1979-06-07 Daimler Benz Ag Schwenkbare haube, insbesondere an kraftwagen
DE3903976C2 (de) 1989-02-10 1997-07-03 Teves Gmbh Alfred Wischeranlage
ES2062798T3 (es) * 1990-08-03 1994-12-16 Bosch Gmbh Robert Limpiaparabrisas para vehiculos motorizados.
FR2720450B1 (fr) * 1994-05-26 1996-06-2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fixation d'un ensemble sur la caisse d'un véhicule automobile et module d'essuya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2742113B1 (fr) * 1995-12-07 1998-01-09 Valeo Systemes Dessuyage Platine support d'un mecanisme d'essuie-glace
DE19735818C2 (de) * 1997-08-18 1999-10-21 Daimler Chrysler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eines Kraftfahrzeuges
JP3423870B2 (ja) * 1997-11-11 2003-07-07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ワイパー
DE19806855C2 (de) 1998-02-19 2002-06-27 Bosch Gmbh Robert Wischerträger
DE19807062A1 (de) * 1998-02-20 1999-08-26 Itt Mfg Enterprises Inc Viergelenk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DE19818581A1 (de) * 1998-04-25 1999-10-28 Itt Mfg Enterprises Inc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Wischanlage an einem Fahrzeug
JPH11334539A (ja) * 1998-05-22 1999-12-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ワイパ装置
FR2779108B1 (fr) 1998-05-29 2000-09-01 Peugeot Essuie-glace repliable du type antagoniste papillon, pour vehicule automobile
US6493900B1 (en) * 1999-02-15 2002-12-17 Asmo Co., Ltd. Vehicle wiper device
DE19908639A1 (de) * 1999-02-27 2000-08-31 Bosch Gmbh Robert Wischerlager
DE19950739A1 (de) * 1999-10-21 2001-05-10 Bosch Gmbh Robert Wischerlager für eine Wischvorricht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Wischerlagers
GB0025520D0 (en) 2000-10-18 2000-11-29 Trico Products Dunstable Ltd Safety windscreen
JP3634303B2 (ja) * 2001-12-12 2005-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ネルギー吸収ワイパー構造
DE10232877A1 (de) 2001-12-19 2003-07-1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35565B4 (de) * 2002-08-03 2014-05-08 Robert Bosch Gmbh Verstärkungselement für ein Befestigungsteil
DE10242114A1 (de) * 2002-09-11 2004-03-25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FR2848515B1 (fr) 2002-12-16 2005-02-18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fixation d'une platine de systeme d'essuyage d'un vehicule automobile
DE10301900A1 (de) 2003-01-17 2004-07-29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FR2855488A1 (fr) 2003-06-02 2004-12-03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pour le montage d'un mecanisme d'essuie-glace realisant le positionnement longitudinal et vertical de chaque point de fixation
DE10325736A1 (de) 2003-06-06 2004-12-2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9574A1 (de) * 2003-06-30 2005-01-20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352468A1 (de) * 2003-11-07 2005-06-02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05068A1 (de) * 2004-02-02 2005-08-18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4016918A1 (de) * 2004-04-06 2005-10-2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4016917A1 (de) * 2004-04-06 2005-10-20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4017382A1 (de) * 2004-04-08 2005-10-27 Robert Bosch Gmbh Wischanlage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4063179A1 (de) * 2004-12-29 2006-07-1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69796T1 (de) 2010-06-15
JP2008525269A (ja) 2008-07-17
DE502005009700D1 (de) 2010-07-15
EP1833705B1 (de) 2010-06-02
US7618077B2 (en) 2009-11-17
KR20070098836A (ko) 2007-10-05
EP1833705A2 (de) 2007-09-19
US20080092319A1 (en) 2008-04-24
WO2006072486A2 (de) 2006-07-13
JP4625503B2 (ja) 2011-02-02
DE102004063179A1 (de) 2006-07-13
WO2006072486A3 (de)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764B1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5079679B2 (ja) 付加要素をキャリア要素上に締結する接続組立体
US11041520B2 (en) Device for fastening a component to a carrier component
US8572818B2 (en) Connecting assembly for fastening an add-on element on a carrier
US8950043B2 (en) Connecting assembly
US8393058B2 (en) Clip
US8042830B2 (en) Device for snap-fastening an airbag unit in a subassembly of a motor vehicle, especially in a steering wheel
US9360033B2 (en) Device for detachable fastening of an assembly part
JP4485281B2 (ja) 留め具
KR101589859B1 (ko) 부품과, 판형 지지 부재 상에 부품을 탄성 결합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JP2009528487A (ja) アンテナ保持器
US20060208485A1 (en) Connection element for the transport of gaseous, liquid or solid materials
JPH10315762A (ja) 車両のサンバイザのための支承ブロック
US11035161B2 (en) Hinge for a hinged opening of a vehicle
JP3714739B2 (ja) モールクリップ
JPH0642565A (ja) テレスコープ式の位置決め装置
US6658706B2 (en) Quick fastener device
JP3532727B2 (ja) 軸体操作用ハンドル
JP2019113091A (ja) 車両用部品
US20090094800A1 (en) Trim clip
CN110953237B (zh) 用于安装在中空支柱上的笼罩螺母装置
JP2005161986A (ja) 車両用フロントフェンダーの組付構造
US20180038409A1 (en) Side loading transmission pin cable attachment device
JP5896633B2 (ja) 自動車用開閉体のストッパ装置
KR200156428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