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879B1 -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 Google Patents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79B1
KR101066879B1 KR1020100072285A KR20100072285A KR101066879B1 KR 101066879 B1 KR101066879 B1 KR 101066879B1 KR 1020100072285 A KR1020100072285 A KR 1020100072285A KR 20100072285 A KR20100072285 A KR 20100072285A KR 101066879 B1 KR101066879 B1 KR 10106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elastic piece
optical cable
connection modul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빈
Original Assignee
레이트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트론(주) filed Critical 레이트론(주)
Priority to KR102010007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79B1/ko
Priority to PCT/KR2011/001666 priority patent/WO2012015137A1/en
Priority to US13/698,224 priority patent/US89261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연결 모듈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마련되는 셔터가 케이블 삽입구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터가 이탈된 케이블 삽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A)은,
광소자를 내장하는 것이면서 전방에 마련된 케이블 삽입구 양측 상단에 "U"자형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양측면 상단에 몸체의 "U"자형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된 셔터와,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전방의 선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연결모듈에 있어서,
전방의 상단 양측에 몸체(10)의 "U"자형 삽입홈(12)을 건너지르도록 된 돌기(42a)를 갖는 돌출편(42)이 마련된 커버(40)가 상기 몸체(10) 외측에 결합되어, 셔터(20) 배면이 판형 탄성편(30)의 선단에 맞닿은 채로 몸체(10) 내외측으로 회전할 때 커버(40)의 돌출편(42)에 형성된 돌기(42a)가 몸체(10)의 "U"자형 삽입홈(12) 상부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셔터(20) 개폐시 몸체(10)의 "U"자형 삽입홈(12)으로부터 셔터(20) 회전축(21)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중간부가 굽혀진 쐐기형의 것이면서 상단의 전방 양측에 셔터 상면에 밀접하도록 된 돌출편(31)이 마련된 탄성편(30')이 몸체(10') 내상부에 결합되어 탄성편(30')의 전방 하단이 셔터(20') 배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방 상단의 돌출편(31)이 셔터(20') 상면을 눌러줌으로써 셔터(20') 개폐시 몸체(10')의 "U"자형 삽입홈(12')으로부터 셔터(20') 회전축(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optical cable connecting module }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마련되는 셔터가 케이블 삽입구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터가 이탈된 케이블 삽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에는 광신호를 이용하기 위한 광케이블 연결 모듈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통상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광소자를 내장하는 것이면서 전방에 마련된 케이블 삽입구 양측 상단에 "U"자형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양측면 상단에 몸체의 "U"자형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된 셔터와,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전방의 선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서 셔터는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로 광케이블이 삽입될 때 몸체 내측으로 회전하며 케이블 삽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로부터 광케이블이 분리될 때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의 탄성에 의해 몸체 외측으로 회전하며 케이블 삽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몸체의 "U"자형 삽입홈 상부는 개방 상태에 있는 것이어서 셔터 개폐과정에서 셔터 회전축이 개방 상태에서 있는 몸체의 "U"자형 삽입홈 상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므로, 케이블 삽입구상에서 셔터가 빈번하게 이탈하였던바, 케이블 삽입구상에서의 셔터 이탈로 인해 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광신호의 전송이 원활치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해당 업계에서는 셔터 개폐 과정중에 케이블 삽입구상에서 셔터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에는 만족할 만한 결과물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광케이블 연결 모듈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마련되는 셔터가 케이블 삽입구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터가 이탈된 케이블 삽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광소자를 내장하는 것이면서 전방에 마련된 케이블 삽입구 양측 상단에 "U"자형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양측면 상단에 몸체의 "U"자형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된 셔터와,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전방의 선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있어서,
전방의 상단 양측에 몸체의 "U"자형 삽입홈을 건너지르도록 된 돌기를 갖는 돌출편이 마련된 커버가 상기 몸체 외측에 결합되어, 셔터 배면이 판형 탄성편의 선단에 맞닿은 채로 몸체 내외측으로 회전할 때 커버의 돌출편에 형성된 돌기가 몸체의 "U"자형 삽입홈 상부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셔터 개폐시 몸체의 "U"자형 삽입홈으로부터 셔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중간부가 굽혀진 쐐기형의 것이면서 상단의 전방 양측에 셔터 상면에 밀접하도록 된 돌출편이 마련된 탄성편이 몸체 내상부에 결합되어 탄성편의 전방 하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방 상단의 돌출편이 셔터 상면을 눌러줌으로써 셔터 개폐시 몸체의 "U"자형 삽입홈으로부터 셔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서 커버는 상단의 양측 전방에 몸체 삽입홈의 개방된 상부를 건너지르도록 된 돌기가 형성된 돌출편이 마련된 것인바, 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에 마련된 돌출편 전방의 돌기가 셔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몸체의 삽입홈 상부의 개방을 차단하게 되므로 셔터 개폐중에 셔터 회전축이 몸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셔터 이탈로 인한 몸체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쐐기형 탄성편은 상단의 전방 양측에 셔터 상면에 밀접하도록 된 돌출편이 마련된 것인바, 쐐기형 탄성편이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편이 셔터 상면을 눌러주게 되므로 셔터 개폐중에 셔터 회전축이 몸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셔터 이탈로 인한 몸체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서 몸체에 커버가 결합된 제1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제1실시예에서 몸체와 커버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제1실시예에서 커버를 통한 케이블 삽입구 개폐중의 셔터 이탈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서 몸체에 쐐기형 탄성편이 결합된 제2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제2실시예에서 쐐기형 탄성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제2실시예에서 쐐기형 탄성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제2실시예에서 쐐기형 탄성편을 통한 케이블 삽입구 개폐중의 셔터 이탈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A)은 몸체(10)와, 셔터(20)와, 탄성편(30)과, 커버(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11) 후방에 광소자(도면상 미도시)가 내장된 것으로, 케이블 삽입구(11) 양측 상단에 삽입홈(12)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서 통상적인 것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다만, 몸체(10)의 삽입홈(12) 후방에는 몸체(10) 상면 타부위에 비해 하부로 함몰된 안착홈(1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삽입홈(12) 후방에 몸체(10) 상면 타부위에 비해 하부로 함몰된 안착홈(13)이 마련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커버(40) 결합시 커버(40)의 돌출편(42)이 안착홈(13)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되므로 커버(40) 돌출편(42)의 돌기(42a)가 정확히 몸체(10) 삽입홈(12)의 개방부위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터(20)는 몸체(10)의 케이블 삽입구(11)상에 장착되어 케이블 삽입구(11)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단 양측에 회전축(21)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셔터(20)에서 회전축(21)의 직경은 몸체(10)의 삽입홈(12) 직경과 동일한 것이다.
셔터(20)의 회전축(21) 직경이 몸체(10)의 삽입홈(12) 직경과 동일한 것임으로써 회전축(21)이 삽임홈(12) 상에서 회전할 때 전후로의 유동 없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편(30)은 몸체(10) 내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셔터(20)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탄성편(30)은 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판형으로 된 탄성편(30)은 후방의 선단이 몸체(10) 내상부 삽입되어 탄성편(3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전방의 선단이 셔터(20) 배면에 밀접하여 셔터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40)는 몸체(10)의 평면 및 양 측면을 감싸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의 상단 양측에 몸체(10) 삽입홈(12)의 개방된 상부를 건너지르도록 된 돌기(42a)가 형성된 돌출편(42)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40)의 양측 하단에는 기판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편(4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0)의 양측 하단에 기판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편(41)이 마련됨으로써 커버(40)의 고정편(41) 기판에 고정하는 단순한 작업으로 몸체(10)를 기판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A)은 몸체(10')와, 셔터(20')와, 탄성편(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제1실시예의 몸체(10)와 마찬가지로 광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11') 후방에 광소자(도면상 미도시)가 내장된 것으로, 케이블 삽입구(11') 양측 상단에 삽입홈(12')이 마련된 것이고, 셔터(20') 또한 제1실시예의 셔터(20)와 마찬가지로 몸체(10')의 케이블 삽입구(11')상에 장착되어 케이블 삽입구(11')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단 양측에 회전축(21')이 마련된 것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탄성편(30')은 제1실시예의 탄성편(30과 마찬가지로 몸체(10') 내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셔터(20')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의 탄성편(30')은 제1실시예의 탄성편(30)과 달리 중간부가 굽혀진 쐐기형의 것이면서 상단의 전방 양측에 셔터(20') 상면에 밀접하도록 된 돌출편(31)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편(30')에서 돌출편(31)이 마련된 상단의 중간에는 절곡부(31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편(30')에서 돌출편(31)이 마련된 상단의 중간에 절곡부(31a)가 마련됨으로써 돌출편(31)에 상하로 탄성이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돌출편(31)이 셔터(20') 상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도 셔터(20')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A)에서 몸체(10)에 커버(40)가 결합되는 제1실시예를 통한 셔터(20) 이탈 방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셔터(20)의 회전축(21)이 몸체(10)의 삽입홈(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케이블(100)이 몸체(10)의 케이블 삽입구(11)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셔터(20)의 회전축(21)이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몸체(10) 내측으로 회전하여 셔터(20)가 열리게 되므로 케이블 삽입구(1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몸체(10)의 안착홈(13)에 수용된 커버(40)의 돌출편(42) 전방에 마련된 돌기(4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0)의 회전축(21)이 삽입된 몸체(10)의 삽입홈(12) 상부를 건너지르도록 된 것이어서,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하는 셔터(20)의 회전축(21)의 회전 과정에서 삽입홈(12) 상부로 들리더라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 상단이 커버(40)의 돌출편(42)에 마련된 돌기(42a) 저면과 맞닿으며 더 이상의 들림이 제한되는 것인바, 셔터(20) 개방중에 셔터(20)의 회전축(21)은 몸체(10)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할 뿐 몸체(10)의 삽입홈(12) 외부로 벗어날 수 없게 되므로 셔터(20) 개방과정에서 케이블 삽입구(11)상에서 셔터(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셔터(20) 배면의 상단은 판형 탄성편(30)에 지지되는 것인바, 셔터(20)가 개방됨에 따라 수축 상태에 있던 판형 탄성편(30)은 케이블 삽입구(11)상에서 광케이블(100)이 분리되는 순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상태로 전환되므로 셔터(20)는 판형 탄성편(30) 신장에 따른 탄성으로 회전축(21)이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몸체 외측으로 회전하여 셔터(20)가 닫히게 되는데, 셔터(20) 폐쇄 과정에서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21)이 삽입홈(12) 상부로 들리더라도 회전축(21) 상단은 셔터(20) 개방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커버(40)에 마련된 돌출편(42)의 돌기(42a) 저면과 맞닿으며 더 이상의 들림이 제한되는바, 셔터(20) 폐쇄과정에서도 셔터(20)의 회전축(21)은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할 뿐 몸체(10)의 삽입홈(12) 외부로 벗어날 수 없게 되므로 셔터(20) 폐쇄 과정에서도 케이블 삽입구(11)상에서 셔터(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A)에서 몸체(10')에 쐐기형의 탄성편(30')이 결합되는 제2실시예를 통한 셔터(20') 이탈 방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셔터(20')의 회전축(21')이 몸체(10')의 삽입홈(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케이블(100)이 몸체(10')의 케이블 삽입구(11')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셔터(20')의 회전축(21')이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몸체 내측으로 회전하여 셔터(20')가 열리게 되므로 케이블 삽입구(1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몸체(10) 내상부에 고정 설치된 쐐기형 탄성편(30') 선단에 마련된 돌출편(3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0') 상면을 누르고 있는 것이어서,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하는 셔터(20')의 회전축(21')의 회전 과정에서 삽입홈(12') 상부로 들리더라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0') 상면이 쐐기형 탄성편(30')의 돌출편(31) 저면에 눌려 더 이상의 들림이 제한되는 것인바, 셔터(20') 개폐중에 셔터(20')의 회전축(21')은 몸체(10')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할 뿐 몸체(10')의 삽입홈(12') 외부로 벗어날 수 없게 되므로 셔터(20') 개방과정에서 케이블 삽입구(11')상에서 셔터(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셔터(20') 배면의 상단은 쐐기형 탄성편(30') 전방 하단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바, 셔터(20')가 개방됨에 따라 수축 상태에 있던 쐐기형 탄성편(30')은 케이블 삽입구(11')상에서 광케이블(100)이 분리되는 순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상태로 전환되므로 셔터(20')는 쐐기형 탄성편(30') 신장에 따른 탄성으로 회전축(21')이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몸체 외측으로 회전하여 셔터(20')가 닫히게 되는데, 셔터(20') 폐쇄 과정에서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21')이 삽입홈(12') 상부로 들리더라도 셔터(20') 상면은 셔터(20') 개방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쐐기형 탄성편(30')의 돌출편(31) 저면과 맞닿으며 더 이상의 들림이 제한되는바, 셔터(20') 폐쇄과정에서도 셔터(20')의 회전축(21')은 몸체(10')의 삽입홈(12') 내에서 회전할 뿐 몸체(10')의 삽입홈(12') 외부로 벗어날 수 없게 되므로 셔터(20') 폐쇄 과정에서도 케이블 삽입구(11')상에서 셔터(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몸체 11, 11' : 케이블 삽입구
12, 12' : 삽입홈 13 : 안착홈
20, 20' : 셔터 21, 21' : 회전축
30, 30' : 탄성편 31 : 돌출편
40 : 커버 41 : 고정편
42 : 돌출편 42a : 돌기
100 : 광케이블
A : 광케이블 연결 모듈

Claims (5)

  1. 광소자를 내장하는 것이면서 전방에 형성된 케이블 삽입구 양측 상단에 "U"자형 삽입홈이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양측면 상단에 몸체의 "U"자형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된 셔터와,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전방의 선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있어서,

    전방의 상단 양측에 몸체의 "U"자형 삽입홈을 건너지르도록 된 돌기를 갖는 돌출편이 마련된 커버가 상기 몸체 외측에 결합되어, 셔터 배면이 판형 탄성편의 선단에 맞닿은 채로 몸체 내외측으로 회전할 때 커버의 돌출편에 형성된 돌기가 몸체의 "U"자형 삽입홈 상부 개방을 차단함으로써 셔터 개폐시 몸체의 "U"자형 삽입홈으로부터 셔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특징으로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돌출편과 접하는 몸체 상면 양측에는 몸체 상면 타부위에 비해 함몰된 안착홈이 마련되어 커버 돌출편이 안착홈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양측 하단에는 기판에의 고정을 위한 고정편이 마련되어 고정편을 기판에 끼워 몸체를 기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4. 광소자를 내장하는 것이면서 전방에 형성된 케이블 삽입구 양측 상단에 "U"자형 삽입홈이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양측면 상단에 몸체의 "U"자형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된 셔터와,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전방의 선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있어서,

    중간부가 굽혀진 쐐기형의 것이면서 상단의 전방 양측에 셔터 상면에 밀접하도록 된 돌출편이 마련된 탄성편이 몸체 내상부에 결합되어 탄성편의 전방 하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방 상단의 돌출편이 셔터 상면을 눌러줌으로써 셔터 개폐시 몸체의 "U"자형 삽입홈으로부터 셔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돌출편이 마련되는 상단의 중간에는 절곡부가 마련되어 탄성편의 돌출편에 상하로 탄성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KR1020100072285A 2010-07-27 2010-07-27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KR10106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85A KR101066879B1 (ko) 2010-07-27 2010-07-27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PCT/KR2011/001666 WO2012015137A1 (en) 2010-07-27 2011-03-10 Optical cable connection module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separation of shutter
US13/698,224 US8926193B2 (en) 2010-07-27 2011-03-10 Optical cable connection module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separation of sh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85A KR101066879B1 (ko) 2010-07-27 2010-07-27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879B1 true KR101066879B1 (ko) 2011-09-26

Family

ID=4495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285A KR101066879B1 (ko) 2010-07-27 2010-07-27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26193B2 (ko)
KR (1) KR101066879B1 (ko)
WO (1) WO20120151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165B1 (ko) * 2013-11-15 2015-04-17 레이트론(주)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KR101891591B1 (ko) 2017-03-03 2018-08-27 레이트론(주)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60827B1 (ko) * 2018-10-30 2019-12-30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8666B2 (ja) * 2013-01-21 2016-12-07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Lc形光コネクタ相互接続用アダプタ
US9423573B2 (en) * 2014-12-23 2016-08-23 Emit Technology Co., Ltd. Optical fiber socket
CN107329213A (zh) * 2017-08-29 2017-11-07 清远市亿源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遮光的光纤适配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263A (ja) 2000-08-08 2002-02-20 Toshiba Corp 光半導体装置
JP2003322766A (ja) 2002-05-02 2003-11-14 Smk Corp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JP2004354672A (ja) 2003-05-29 2004-12-16 Jst Mfg Co Ltd 光リセプタクル
KR20050024262A (ko) * 2003-09-03 2005-03-1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7103A (ja) 1989-11-02 1991-06-24 Sony Corp サーボ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2250845A (ja) * 2001-02-23 2002-09-06 Hosiden Corp シャッタ付き光コネクタ
US6595696B1 (en) * 2001-03-14 2003-07-22 Amphenol Corporation Internal shutter for optical adapters
JP4024493B2 (ja) * 2001-06-13 2007-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3895233B2 (ja) * 2002-08-15 2007-03-22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用ソケット
JP4028354B2 (ja) * 2002-10-01 2007-12-26 株式会社フジクラ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JP4216229B2 (ja) * 2004-07-06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伝送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46138B2 (ja) * 2004-11-02 2009-04-02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JP2007065366A (ja) * 2005-08-31 2007-03-15 Sharp Corp 光伝送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CN201083849Y (zh) * 2007-08-03 2008-07-0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263A (ja) 2000-08-08 2002-02-20 Toshiba Corp 光半導体装置
JP2003322766A (ja) 2002-05-02 2003-11-14 Smk Corp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JP2004354672A (ja) 2003-05-29 2004-12-16 Jst Mfg Co Ltd 光リセプタクル
KR20050024262A (ko) * 2003-09-03 2005-03-1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165B1 (ko) * 2013-11-15 2015-04-17 레이트론(주)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KR101891591B1 (ko) 2017-03-03 2018-08-27 레이트론(주)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60827B1 (ko) * 2018-10-30 2019-12-30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6193B2 (en) 2015-01-06
US20130121646A1 (en) 2013-05-16
WO2012015137A1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79B1 (ko)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US7637975B2 (en) Filter bag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KR200468119Y1 (ko) 슬라이드 입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JP4110206B1 (ja) 基板ケース及び基板取付け装置
CN107435214B (zh) 洗衣机
KR200409250Y1 (ko) 회전식 광어댑터 판넬이 구비된 광케이블 분배반
JP2015115511A (ja) コネクタパネル
KR101513165B1 (ko)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JP4683115B2 (ja) スロープ付き浴室下枠装置
JP5247631B2 (ja) 電子機器
JP2008166035A (ja) 映像表示装置のコネクタ機構
KR101286598B1 (ko) 세탁기의 펌프커버 개폐구조
KR200417970Y1 (ko) 고정이 용이한 경첩
JP2021029724A (ja) 洗濯機
KR101073905B1 (ko) 건조기의 도어구조
KR20070108735A (ko) 파워코드 결합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5117693B2 (ja) 遊技機用ヒンジ装置
KR102227818B1 (ko) 차량용 파워아웃렛의 캡 조립구조
JP5720417B2 (ja) 蓋の支持装置
KR100635094B1 (ko) 컨넥터 하우징
KR200248085Y1 (ko) 진공청소기용 종이봉투의 입구개폐구조
KR200351990Y1 (ko) 전면개폐식 액자 프레임
CN202533694U (zh) 投影机结构
CN114846209A (zh) 电气设施的外壳
KR200410318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