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970Y1 - 고정이 용이한 경첩 - Google Patents

고정이 용이한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970Y1
KR200417970Y1 KR2020060004643U KR20060004643U KR200417970Y1 KR 200417970 Y1 KR200417970 Y1 KR 200417970Y1 KR 2020060004643 U KR2020060004643 U KR 2020060004643U KR 20060004643 U KR20060004643 U KR 20060004643U KR 200417970 Y1 KR200417970 Y1 KR 200417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hinge
plat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김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2020060004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9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이 용이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 자석을 포함하는 스토퍼를 장착시킨 경첩을 문틀에 부착하여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어하고, 도어가 일정한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갑작스레 닫히지 않고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만 닫히는 것으로,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부착판과 고정부착판이 절첩이 가능하도록 내측단에 요철형의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에 중앙에 결합공을 구비하고 일측이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되어 단차면을 형성하고 양측 끝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연결핀을 관통하여 결합시키고, 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착판과 고정부착판의 뒷면에 자석판을 부착하고, 상기 스토퍼는 밑면에 삽입공을 구비하여 걸림턱에 일측 단면이 노출되도록 자석을 압입 고정시키며, 상기 자석판과 자석은 도어의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에 관한것이다.
경첩, 도어용 경첩, 자석, 자성체

Description

고정이 용이한 경첩 {hinge for fixing}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전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의 경첩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스토퍼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도 7은 스토퍼a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도 8은 스토퍼b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도 9는 양방향 스토퍼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도 10은 양방향 스토퍼를 구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양방향 스토퍼를 구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예시도.
도 12는 양방향 스토퍼를 구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도어 프레임
3 : 벽면 4 : 나사
10 : 와셔 110, 210 : 나사공
20 : 베어링 30 : 자석판
50 : 자석 60 : 중공핀
70 : 중실핀 71 : 침공
100 : 회전 부착판 200 : 고정 부착판
300 : 스토퍼 301 : 결합공
302 : 단차면 303 : 걸림턱
304 : 삽입공 600 : 양방향 스토퍼
본 고안은 고정이 용이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 자석을 삽입한 스토퍼가 장착된 경첩을 문틀에 부착하여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어하고, 도어가 일정한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갑작스레 닫히지 않고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서, 고정부착판과 회전부착판이 구비되고 그 사이를 핀으로 연결하여 도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첩은 보통 180°내지 360°회전하기 때문에 도어가 최대한으 로 개방될 경우 도어가 개방되는 측 벽면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고, 특히 도어에 순간적인 외력이 작용하거나 여닫히는 힘이 지나치게 강하게 작용하면서 도어가 순간적으로 개방될 경우에는 도어가 벽면과 충돌하게 되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었으며, 바람이나 외부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 도어가 급격히 닫혀 도어의 충돌시 발생 되는 충돌음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많은 불편함을 겪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어의 순간적인 열림 작동시에도 도어가 벽체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방지판이나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 기능이 부가된 경첩을 제공한바 있으나, 상기의 스토퍼의 경우에는 충돌음을 낮추거나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는 있지만 도어의 개방 상태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이 없어 도어가 외부적인 압력에 의해 급격히 닫히므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다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가 급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재 또는 신문 등으로 만든 임시적 고정 수단을 도어의 하부와 바닥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없고 고정 수단의 이탈에 따라 도어가 불시에 닫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말굽 형태의 고정장치를 도어의 하단에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지만 도어의 개방 상태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장치는 도어의 문의 아래에 위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내리고 사용한 후 다시 일정한 힘을 주어 올려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고 도어에 부착되는 스토퍼나 지지대, 클로져 등과 같은 도어 개방 고정장치의 추가적인 구성에 따라 시공 비용이 증가 되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였고 실내 구성에 있어서 미적인 요소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어하고, 도어가 일정한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갑작스레 닫히지 않고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만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부착판과 고정부착판을 절첩이 가능하도록 내측단에 요철형의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에 중앙에 결합공을 구비하고 일측이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되어 단차면을 형성하고 양측 끝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연결핀을 관통하여 결합시키고, 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착판과 고정부착판의 뒷면에 자석판을 부착하고, 상기 스토퍼는 밑면에 삽입공을 구비하여 걸림턱에 일측 단면이 노출되도록 자석을 압입 고정시키며, 상기 자석판과 자석은 도어의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전면 분 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후면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a-a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의 경첩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스토퍼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 이고, 도 7은 스토퍼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이고, 도 8은 스토퍼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이며, 도 9는 양방향 스토퍼의 평면도, 사시도,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양방향 스토퍼를 구비한 경첩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1은 양방향 스토퍼를 구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양방향 스토퍼를 구비한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작동사태 단면도이다.
도어(1)와 도어프레임(2)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을 절첩이 가능하도록 내측단에 요철형의 연결공(101a,101b,201a,201b)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101a,101b,201a,201b)에 중앙에 결합공(301)을 구비하고 일측이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되어 단차면(302)을 형성하고 양측 끝단에 걸림턱(303)을 형성하여 도어(1)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300)와 연결핀을 관통하여 결합시키고, 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의 뒷면에 자석판(30)을 부착하고, 상기 스토퍼(300)는 밑면에 삽입공(304)을 구비하여 걸림턱(303)에 일측 단면이 노출되도록 자석(50)을 압입 고정시키며, 상기 자석판(30)과 자석(50)은 도어(1)의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300)는 밑면에 축의 방향으로 삽입공(304)을 구비하여 자 석(50)을 걸림턱(303)에 노출시키지 않고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300)는 단차면(302)이 형성된 타측에 또 다른 단차면(302)이 형성되어 양단에 상기 걸림턱(303)과 각도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걸림턱(303)이 추가로 구비되어 스토퍼(300)의 회전만으로 경첩의 개방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은 자력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뒷면에 자석판(30)을 부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의 후면에 자석판(30)을 부착 시키고, 연결공(101a,101b,201a,201b)과 나사공(110,2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은 연결핀(60)을 관통시켜 결합되고, 그 중앙에 자석(50)을 삽입한 스토퍼(300)를 장착시켜 도어(1)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고, 도어(1)의 개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회전부착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 형상의 베이스 판의 일단에 연결공(101a,101b)을 구비하여 연결핀(6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나사공(110)은 드릴가공이나 펀칭가공의 공법으로 회전부착판(100)의 이면에 일정한 크기로 4개 내지 6개 정도로 고르게 구비시키고, 상기의 연결공(101a,101b)은 상기의 회전부착판(100)의 일단을 요철형태로 컷팅하여 돌출 부분을 원 형태로 휘어지도록 하여 중앙에 파이프형태의 연결공(101a,101b)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공(101a,101b)과 나사공(110)이 구비된 회전부착판(100)은 연결공(101a,101b) 부분이 매끄러운 회전부착판(100)의 후면에 연결공(101a,101b)이 구비된 일단의 중심에 자석판(30) 형태의 홈을 가공하여 자석판(30)을 삽입하고, 회전부착판(100)과 자석판(30)의 테두리 부분을 점용접(spot welding)(31)하여 부착 시킨다. 자석판(30)은 회전부착판(100) 보다 얇고 가공하기 쉬운 원판의 형태이며, 회전부착판(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도어(1)의 개방시 자력으로 경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착판(200)은 상기의 회전부착판(100)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 형상의 베이스 판의 일단에 연결공(201a,201b)을 구비하여 연결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나사공(210)은 드릴가공이나 펀칭가공의 공법으로 고정부착판(200)의 이면에 일정한 크기로 4개 내지 6개 정도로 고르게 구비시키고, 상기의 연결공(201a,201b)은 상기의 고정부착판(200)의 일단을 상기 회전부착판(100)의 요철과 대응하는 요철 형태로 컷팅하여 돌출 부분의 중앙을 요철형태로 재가공하여 두개의 돌출된 부분을 원 형태로 휘어지도록 하고 일측에 파이프 형태의 연결공(201a,201b)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공(201a,201b)과 나사공(210)이 구비된 고정부착판(200)은 연결공 (201a,201b)부분이 매끄러운 고정부착판(200)의 후면에 연결공(201a,201b)이 구비된 일단의 중심에 자석판(30) 형태의 홈을 가공하여 자석판(30)을 삽입하고, 고정부착판(200)과 자석판(30)의 테두리 부분을 점용접(spot welding)(31)하여 부착시 킨다. 자석판(30)은 고정부착판(200) 보다 얇고 가공하기 쉬운 원판의 형태이며, 고정부착판(20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도어(1)의 개방시 자력으로 경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300)는 원주의 형상으로 중앙에 결합공(301)을 구비하고 일측이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되어 단차면(302)을 형성하고 양측 끝단에 걸림턱(303)을 형성하고, 밑면에 삽입공(304)을 구비하여 걸림턱(303)에 일측 단면(51)이 노출되도록 자석(50)을 압입 고정시키며, 상기 자석판(30)과 자석(50)은 도어(1)의 최대 개방 상태에서 대응하여 접착하도록 한다. 상기의 자석(50)은 스토퍼(300)의 밑면에 형성된 삽입공(304)과 동일한 형상으로 스토퍼(300)의 밑면에 형성된 삽입공(304)의 형상은 일면을 평면으로 가공한 형태로 자석(50)이 걸림턱(303)에 노출되도록 하고, 빠져나오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절반 이상의 형태를 유지하여 스토퍼(300)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공(304)에 압입 고정 시킨다. 또한 상기의 자석(50)은 스토퍼(300)에 고정되어 도어(1)가 최대 개방되었을 때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의 뒷면에 부착된 자석판(30)과 만나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1)가 고정되도록 한다.
연결핀은 중실핀(60)과 중공핀(70)으로 구성이 되고, 중실핀(60)은 회전 고정판(100)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공(101a)을 통해 끼워지고, 중공핀(70)은 회전부착판(100)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공(101b)을 통하여 끼워기며 핀의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경첩의 길이와 같고 압입되어 고정되며 중공핀(70)에 형성된 침공(71)은 스토퍼(300)를 교체시킬 때에 경첩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 공(71)에 핀을 넣어 압력을 가하면 중공핀(70)의 상단에 위치한 중실핀(60)이 이탈되어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과 스토퍼(300)는 모두 연결공(101a,101b,201a,201b,301)을 구비하여 중실핀(60)이 연결공을 관통하여 결합이 이루어 진다. 또한 회전부착판(100)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공(101a)과 고정부착판(200)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공(201a) 사이와 회전부착판(100)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공(101b)과 고정부착판(200)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공(201b) 사이에는 상하로 와셔(10)를 끼운 베어링(20)을 연결하여 경첩의 작동을 부드럽게 하고, 고정부착판(200)의 연결공(201a,201b) 사이에는 스토퍼(300)를 연결하여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결합이 완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스토퍼(300)는 여러 가지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가 있어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스토퍼(400)는 걸림턱(403)에서 소정의 거리를 둔 밑면에 자석(50)모양의 삽입공(404)을 구비하여 자석(50)을 압입 고정시키며, 또 다른 스토퍼(500)는 걸림턱(503)에 삽입공(504)을 구비하여 걸림턱(503)에 일측 단면(51)이 노출되도록 자석(50)을 압입 고정시킨다.
양방향 스토퍼(600)는 중앙에 결합공(601)을 구비하고 일측이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되어 단차면(602)을 양방향으로 형성하고 양측 끝단에 걸림턱(603)을 형성하고, 밑면에 삽입공(604)을 구비하여 걸림턱(603)에 일측이 노출되지 않도록 자석(50)을 압입 고정시키며, 상기의 자석(50)은 양방향 스토퍼(600)의 밑면에 형성된 삽입공(604)과 동일한 형상으로 양방향 스토퍼(600)의 밑면에 형성된 삽입공(604) 의 형상은 원주의 형태로 자석(50)이 걸림턱(603)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양방향 스토퍼(600)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공(604)에 압입고정 시킨다.
양방향 스토퍼(600)의 경우 양방향으로 절개된 각도(β1 ≠β2)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고 양방향 스토퍼(600)를 교체하거나 도어의 개방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가 용이한 연결핀(60)을 사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핀(60)은 중실핀(60)과 중공핀(70)으로 구성이 되고, 중실핀(60)은 회전고정판(100)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공(101a)을 통해 끼워지고, 중공핀(70)은 회전부착판(100)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공(101b)을 통하여 끼워지며 핀이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경첩의 길이와 같고 압입되어 고정되며 중공핀(70)에 형성된 침공(71)은 스토퍼(300)를 교체시키거나 양방향 스토퍼(600)의 방향을 변화 시킬때에 경첩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공(71)에 핀(40)을 넣어 압력을 가하면 중공핀(70)의 상단에 위치한 중실핀(60)이 이탈되어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과 스토퍼는 각각 연결공(401, 501, 601)을 구비하여 연결핀(60)이 연결공(401,501,601)을 관통하여 결합이 이루어 진다. 또한 회전부착판(100)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공(101a)과 고정부착판(200)의 상단에 위치한 연결공(201a) 사이와 회전부착판(100)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공(101b)과 고정부착판(200)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공(201b) 사이에는 상하로 와셔(10)를 끼운 베어링(20)을 연결하여 경첩의 작동을 부드럽게 하고, 고정부착판 (200)의 연결공(201a,201b) 사이에는 스토퍼(300,400,500,600)를 연결하여 고정이 용이한 경첩의 결합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의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의 후면에 부착된 자석(30)은 부착시키지 않고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의 소재를 자성체로 구성하여 스토퍼(300,400,500,600)와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자석(50)으로 구성된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은 스토퍼(300, 400, 500, 600)에 자석(50)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인력이 작용하여 도어(1)가 최대 개방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은 자석판(30)을 부착시키지 않는 것 외에 상기에서 설명한 회전부착판(100)과 고정부착판(200)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이 용이한 경첩에 의하면,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고 도어의 개방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자석이 삽입된 스토퍼를 장착시킨 고정이 용이한 경첩을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순간적인 열림 작동시에도 도어가 벽체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충격 방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도어를 개방 상태에 서 고정시켜 바람이나 외부압력에 의하여 갑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토퍼 하나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미관이 향상되고 시공에 따른 자재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양방향 스토퍼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도어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부착판과 고정부착판이 절첩이 가능하도록 내측단에 요철형의 연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에 중앙에 결합공을 구비하고 일측이 일정한 각도만큼 절개되어 단차면을 형성하고 양측 끝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연결핀을 관통하여 결합시키고, 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착판과 고정부착판의 뒷면에 자석판을 부착하고, 상기 스토퍼는 밑면에 삽입공을 구비하여 걸림턱에 일측 단면이 노출되도록 자석을 압입 고정시키며, 상기 자석판과 자석은 도어의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단차면이 형성된 타측에 또다른 단차면이 형성되어 양단에 상기 걸림턱과 각도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이 추가로 구비되어 스토퍼의 회전만으로 경첩의 개방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이 용이한 경첩.
  4. 삭제
KR2020060004643U 2006-02-20 2006-02-20 고정이 용이한 경첩 KR200417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43U KR200417970Y1 (ko) 2006-02-20 2006-02-20 고정이 용이한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43U KR200417970Y1 (ko) 2006-02-20 2006-02-20 고정이 용이한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970Y1 true KR200417970Y1 (ko) 2006-06-07

Family

ID=4176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43U KR200417970Y1 (ko) 2006-02-20 2006-02-20 고정이 용이한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9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039A (ko) * 2018-03-13 2019-09-23 서원상협(주) 설치 및 개폐작동이 개선된 도어의 안전장치
KR20200074400A (ko) * 2018-12-17 2020-06-25 이재광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039A (ko) * 2018-03-13 2019-09-23 서원상협(주) 설치 및 개폐작동이 개선된 도어의 안전장치
KR102087709B1 (ko) * 2018-03-13 2020-04-24 서원상협(주) 설치 및 개폐작동이 개선된 도어의 안전장치
KR20200074400A (ko) * 2018-12-17 2020-06-25 이재광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KR102181664B1 (ko) * 2018-12-17 2020-11-23 이재광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28947A (ja) ヒンジ装置
WO2007126210A1 (en) Hinge with the magnet force
US20080250604A1 (en) Elastic device of a hinge
KR200417970Y1 (ko) 고정이 용이한 경첩
US6216316B1 (en) Hinge
US7530144B2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a rotatable hinge
JP2022509872A (ja) 安全磁石ヒンジ
JP2004239058A (ja) ドアヒンジ、取外し可能ドアチェ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車両ドアヒンジに配置する方法
US6721995B2 (en) Hinge
JP2010163833A (ja) ドアのエッジ装置
JP2007514080A (ja) 薄い金属製の壁体又は金属中空部材から少なくとも一部の範囲に作られるドア板用ヒンジハウジング
JP2003097133A (ja) 蝶番構造
KR100467523B1 (ko) 도어의 위치결정용 힌지
KR200337136Y1 (ko) 경첩
KR10181724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브래킷
KR102331895B1 (ko) 가구용 경첩구조
KR102318267B1 (ko) 피봇식과 플래그식 조합형 방화문용 힌지
KR200394958Y1 (ko) 경첩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JP4620514B2 (ja) メーターパネル支持装置
TWI384349B (zh) 滑蓋結構及應用該滑蓋結構之攜帶式電子裝置
JP2001073624A (ja) 締付操作受容型扉用蝶番
KR200338234Y1 (ko) 경첩
JP2021113481A (ja) ヒンジ構成部品
KR200250548Y1 (ko) 건설장비 커버의 탈부착이 용이한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