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591B1 -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591B1
KR101891591B1 KR1020170027723A KR20170027723A KR101891591B1 KR 101891591 B1 KR101891591 B1 KR 101891591B1 KR 1020170027723 A KR1020170027723 A KR 1020170027723A KR 20170027723 A KR20170027723 A KR 20170027723A KR 101891591 B1 KR101891591 B1 KR 10189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tical cable
connection module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영
정철민
Original Assignee
레이트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트론(주) filed Critical 레이트론(주)
Priority to KR102017002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삽입구로 삽입될 때, 삽입 유무를 육안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에 광소자가 내장되며, 타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케이블 삽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삽입구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케이블 삽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셔터의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 상기 몸체의 일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타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 커버; 및 상기 탄성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커버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삽입구가 개방될 때, 상기 셔터와 상기 탄성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커버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접촉 단자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OPTICAL CABLE CONNECTING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광케이블 삽입구에 삽입될 때, 광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에는 광신호를 이용하기 위한 광케이블 연결 모듈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광소자를 내장하는 것이면서 전방에 마련된 케이블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상에 설치되는 셔터와,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면서 전방의 선단이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서 셔터는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로 광케이블이 삽입될 때, 몸체 내측으로 회전하여 케이블 삽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로부터 광케이블이 분리될 때 셔터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의 탄성에 의해 몸체 외측으로 회전하며 케이블 삽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광케이블이 몸체의 케이블 삽입구로부터 삽입될 때, 광케이블이 제대로 삽입되어 광통신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육안상으로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KR10-1066879 B1(등록일 : 2011.09.16.)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의한 과제는 광케이블이 연결 모듈의 광케이블 삽입구에 삽입될 때, 광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일측에 광소자가 내장되며, 타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케이블 삽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삽입구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케이블 삽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셔터의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 상기 몸체의 일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타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 커버; 및 상기 탄성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커버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삽입구가 개방될 때, 상기 셔터와 상기 탄성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커버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촉 단자부가 끝단이 상기 제2 커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접촉 단자부가 접촉되었을 경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접촉 단자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케이블이 연결 모듈의 광케이블 삽입구에 삽입될 때, 광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 4b 및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이 포함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1000)은 몸체(100), 셔터(200), 탄성편(300), 제1 커버(400), 제2 커버(500) 및 접촉 단자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일측에 광소자(120)가 내장되며, 타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110)가 형성된다.
셔터(200)는 상기 케이블 삽입구(110)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삽입구(11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 삽입구(110)는 양측면 상단에 삽입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200)는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10)이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셔터(200)는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하면서 케이블 삽입구(110)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10)의 직경은 삽입홈(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셔터(200)가 회전축(210)의 직경이 삽입홈(120)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10)이 삽입홈(120) 상에서 회전할 때 전후로의 유동 없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탄성편(300)은 상기 몸체(100)의 내상부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전방의 선단이 상기 셔터(20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편(300)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의 선단이 몸체(100)의 내상부에 삽입되어 탄성편(30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전방의 선단이 상기 셔터(200) 배면에 밀접하게 셔터(2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편(300)은 케이블이 케이블 삽입구(11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케이블 삽입구(110)가 폐쇄되도록 상기 셔터(200)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케이블 삽입구(110)를 폐쇄시킨다.
또한, 몸체(100)는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1000)은 제1 커버(400)와 제2 커버(500)로 이루어진다.
제1 커버(400)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제2 커버(500)는 상기 제1 커버(400)와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몸체(100)의 타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커버(400) 및 제2 커버(500)는 몸체(100)의 상부 평면 및 측면을 감싸게 구비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광케이블이 삽입되기 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광케이블이 삽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에 광케이블이 삽입된 후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3,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촉 단자부(600)는 일측이 상기 제1 커버(400)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커버(500)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 단자부(600)는 상기 탄성편(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접촉 단자부(600)는 제2 커버와 탄성편(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 단자부(600)는 상기 셔터(200)와 탄성편(3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커버(500)와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접촉 단자부(600)는 광케이블(10)이 케이블 삽입구(110)에 삽입되면, 셔터(200)가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 삽입구(11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300)은 끝단이 상기 셔터(200)가 회전함으로 인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 단자부(600)도 상기 탄성편(300)의 상승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 단자부(600)의 타측은 셔터(200) 및 탄성편(30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2 커버(500)와 접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1000)은 제1 및 제2 커버(400, 500)가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은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소자와 연결된다. 광케이블(10)이 광케이블 삽입구(110)에 삽입되면, 셔터(200)가 회전하여 개방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300) 및 접촉 단자부(600)가 상기 셔터(200)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접촉 단자부(600)는 제2 커버(500)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 단자부(600)와 제2 커버(500)가 접촉되면, 광케이블 연결 모듈(1000)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소자에 광케이블이 연결 모듈에 삽입되어 연결되었다는 표시가 나타난다. 즉,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광케이블(10)이 광케이블 삽입부(110)에 삽입될 때, 접촉 단자부(600)와 제2 커버(500)가 접촉되어, 상기 광케이블(10)이 삽입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육안상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연결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몸체(100)에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LED 와 같은 발광소자이며, 접촉 단자부(600)와 제2 커버(500)가 접촉되면 발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삽입구에 잘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과 제어부(800) 및 표시부(9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광케이블 연결 모듈(1000), 제어부(800), 표시부(9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같은 일반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800)는 상기 제1 커버(400) 및 제2 커버(5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800)는 제2 커버(500)와 접촉 단자부(600)가 접촉될 때, 신호를 감지하고 표시부(900)로 감지된 신호를 전송한다.
표시부(900)는 상기 제어부(800)에서 감지된 신호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900)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소자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광케이블이 광케이블 삽입구로 삽입되면, 접촉 단자부(600)와 제2 커버(500)가 접촉되고, 제어부(800)가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900)에서 광케이블 삽입되었다는 표시를 한다.
10 : 광케이블
100 : 몸체
110 : 케이블 삽입구
120 : 광소자
130 : 배면판
200 : 셔터
210 : 회전축
300 : 탄성편
400 : 제1 커버
500 : 제2 커버
600 : 접촉 단자부
700 : 발광소자
800 : 제어부
900 : 표시부
1000 : 광케이블 연결 모듈

Claims (5)

  1. 일측에 광소자가 내장되며, 타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케이블 삽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
    상기 몸체의 내상부에 결합되어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삽입구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케이블 삽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셔터의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편;
    상기 몸체의 일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몸체의 타측 외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제2 커버; 및
    상기 탄성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2 커버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삽입구가 개방될 때, 상기 셔터와 상기 탄성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커버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접촉 단자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 단자부는
    끝단이 상기 제2 커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접촉 단자부가 접촉되었을 경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4. 제1항의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접촉 단자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70027723A 2017-03-03 2017-03-03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189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23A KR101891591B1 (ko) 2017-03-03 2017-03-03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23A KR101891591B1 (ko) 2017-03-03 2017-03-03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591B1 true KR101891591B1 (ko) 2018-08-27

Family

ID=6345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723A KR101891591B1 (ko) 2017-03-03 2017-03-03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5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79B1 (ko) 2010-07-27 2011-09-26 레이트론(주)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KR101513165B1 (ko) * 2013-11-15 2015-04-17 레이트론(주)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KR20160048088A (ko) * 2013-08-29 2016-05-03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79B1 (ko) 2010-07-27 2011-09-26 레이트론(주)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KR20160048088A (ko) * 2013-08-29 2016-05-03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KR101513165B1 (ko) * 2013-11-15 2015-04-17 레이트론(주)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7559B2 (ja) 電子機器
CN102017325B (zh) 连接器
WO2004045263A3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module
CN106051411A (zh) 用于显示装置的壁安装装置
CN103091796A (zh) 光纤收发模块的自检显示结构
ES2906067T3 (es) Mecanismo de detección de conexión de enchufe de conector óptico
KR101891591B1 (ko)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2009095385A (ja) 遊技機
US2008013021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onent
JP5628770B2 (ja) 遊技機
CN106817446B (zh) 电子设备
US11121491B2 (en) Receptacle connector for detecting connection states
KR102094904B1 (ko) 안전 콘센트 구조체
US8180413B2 (en) Hinge structure and folding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06174620A (ja) スタンド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98576A (ja) 弾性リブを有するインジケータ回路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4197198A (ja) 遊技機用光ファイバコネクタ
ES2565686T3 (es) Aparato eléctrico, en particular un aparato de terminal para un sistema de intercomunicación doméstico
US7234959B2 (en) Display device with a jack
KR200477075Y1 (ko) 전면 커버를 구비한 전자기기용 보호 케이스
ES2641146T5 (es) Dispositivo detector de estructura modular y equipo industrial que tiene el mismo
KR100846740B1 (ko) 광커넥터 조립장치
KR102650845B1 (ko) 가스 안전밸브용 케이싱 어셈블리
CN217786383U (zh) 便携式测温设备、测温模组和便携式测温系统
TW200507374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