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308B1 -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 그 생산방법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 그 생산방법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308B1
KR101066308B1 KR1020057019043A KR20057019043A KR101066308B1 KR 101066308 B1 KR101066308 B1 KR 101066308B1 KR 1020057019043 A KR1020057019043 A KR 1020057019043A KR 20057019043 A KR20057019043 A KR 20057019043A KR 101066308 B1 KR101066308 B1 KR 101066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unit
elements
floating structure
attached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722A (ko
Inventor
사우리 엘로란타
야르모 박커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 핀랜드 케빈즈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 핀랜드 케빈즈 오이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 핀랜드 케빈즈 오이
Publication of KR2005011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Sewag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loor Finish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구조물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유구조물은 부유갑판구조물 또는 그에 대응하는 지지구조물(2)이 구비된 본체부(100)와, 주된 경계면(4)과, 예를 들어 위생설비용 출구덕트와 입구덕트, 수도배관 및/또는 전기설비등과 같이 룸유니트(3)의 경계면(4)의 외부에 위치되는 실내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룸유니트(3)의 경계면(4)들은 벽감(壁龕)의 형태로 된 서비스구역(10)이 룸유니트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부유구조물의 준비단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서비스구역(10)에는, 적어도 당해 룸유니트(3)에 관련되며 부유구조물의 주거시스템(5)의 일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및 기타 매체반송수단과 같은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상기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전제작시에 서비스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 그 생산방법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 및 그 형성방법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Prefabricated Room Units,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 Prefabricated Room Units and For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해양선박과 같은 부유(浮遊) 구조물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에 있어서는, 부유구조물의 본체부가 형성되고, 그 본체부에는 갑판구조물 또는 그에 대응하는 지지 구조물이 구비되며,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벽과 천정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된 경계면(4)과, 그 룸유니트(3)의 실내설비의 적어도 일부 및, 예를 들어 위생설비용 출구덕트와 입구덕트, 수도배관 및/또는 전기설비등과 같이 룸유니트(3)의 경계면(4)의 외부에 위치되는 실내설비에 관련된 수단등을 구비함으로써 룸유니트(3)들이 사전에 제작되고, 그에 의하여 룸유니트의 경계면들은 벽감(壁龕; recess)의 형태로 된 서비스 구역(service niche)이 룸유니트의 외부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부유구조물의 생산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의 생산 및 부유구조물내에서의 이들의 반송 및 설치는 공지되어 있다. 룸유니트를 후속적으로 설치하기 위하 여는, 배관 및 파이프접속물등에 의하여 부유구조물 시스템에 룸유니트들을 접속하는 것 및, 상호간에 접속에 있어서 시간소모적이며 비용증가적인 다수의 부가적인 작업단계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단계들은 룸유니트들이 설치되고 서비스 구역이 룸유니트의 외부에 형성된 후에, 부유구조물의 내부에서 수행된다.
특히 선박 또는 석유굴착장치와 같은 해양선박에 있어서는, 이러한 후속적인 작업단계들은 한정된 공간내에서의 화재위험을 가지는 용접 및 기타 작업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술한 단점에 부가하여 부유구조물의 생산에는 상당한 위험을 안고 있는 것이다. 부유구조물에 있어서의 작업조건은 이러한 이유로 어렵고 위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이 제거될 수 있으며, 사전제작단계가 가능한한 완전하고 효율적인 비용으로 가능한 방법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되며, 그의 특징은 청구항 1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부유구조물내로 반송 및 설치되는 룸유니트의 사전제작이 그 룸유니트의 바로 주위에 위치되는 장치들 및 구축물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장치들 및 구축물들이 적어도 부유구조물의 주거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그 룸유니트 및 다른 룸유니트에 대하여 사용하게 되는 부유구조물을 생산하는 것이다. 이는, 실제적으로는 룸유니트를 부유구조물로 반송하고 설치하기 전에, 룸유니트의 서비스구역이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미리 준비되고, 따라서 서비스구역에는, 하나의 룸유니트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배관과 기타 매체반송요소 및 이들과 관련된 접속구조물 및/또는 운용 및 제어수단과 관련된 부유구조물의 시스템과 관련하여 구성요소들이 마련되며, 그에 의하여 적어도 상기 구성요소들의 일부가 룸유니트의 외부에서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서비스구역의 측에서 경계면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유구조물의 시스템에 관련된 부품을 가지는 룸유니트가 부유구조물내에 반송 및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실제적으로는 부유구조물의 구축공정의 상당부분이 부유구조물 이외의 다른 장소에서, 룸유니트의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도록 반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구성의 장점은, 첫째, 룸유니트가 부유구조물내에 설치될 때, 룸유니트들 사이의 서비스구역과 같은 한정된 공간내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대신에, 서비스구역내의 구성요소들의 배치가 개방된 공간(사전제작과 관련하여)내에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해결방법은 부유구조물로 다량의 배관 및 기타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반송하고 이들을 룸유니트와 관련된 제 자리로 좁은 통로를 따라서 이동해야 하는 단점을 없애주는 것이다.
이는 또한, 서비스구역내에서 구성요소들이 가능한한 기능적으로, 예를 들면 필요한 서비스, 수선 및 조정작업과, 사용에 의하여 요구되는 일반적인 접근성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의 배치가 일정하게, 즉 표준화될 수 있으며, 이는 부유구조물의 설계를 합리적으로 하도록 도와준다. 필요한 구성부분의 수효도 보다 정확하게 예측될 수 있으며, 이는 구성요소의 적절한 시간에서 확보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부유구조물 자체내에서의 장착작업과 부유구조물의 장착 및 구축의 실행계획이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룸유니트에 접속되는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부유구조물의 중수도 배관의 일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용 배관, 냉각수용 배관 및/또는 소방용 배관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부가하여, 공조배관 및 공조장치등이 서비스구역내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룸유니트들은 갑판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유구조물내에 층으로서 배치되며, 그에 의하여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갑판구조물의 관통부착구에 구성요소들을 부착하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구성요소와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의 사이에 탄성적 결합수단(flexible coupling means)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사전에 배치된 갑판구조물의 관통부착구는, 따라서 룸유니트와 함께 부유구조물로 반송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탄성적 결합수단에 의하여 주어진 간극을 이용하여 룸유니트의 층 사이의 갑판구조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구조물내에서 수행되는 마무리작업은 주로 층들 또는 갑판구조물 사이의 접속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3에 따른 사전제작된 룸유니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7에 따른 부유구조물과, 청구항 19에 따른 사전제작된 룸유니트와도 관련하며, 이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항 8-12, 20-24에서 기술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모식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만의 목적으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다수개의 룸유니트를 가지는 부유구조물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룸유니트와 관련하여 만들어진 배치를 나타낸다;
도 4는 2개의 룸유니트와 관련된 서비스구역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2개의 룸유니트와 관련된 서비스구역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도 6은 단일 룸유니트와 관련된 서비스구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유구조물은 참조부호 (1)로 나타내었다. 본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유구조물은 갑판구조물 또는 대응하는 지지구조물(2)을 구비하며, 그 위에는 다수개의 사전제작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된 룸유니트(3)가 배치된다. 룸유니트(3)들은 부유구조물(1)의 본체부(100)의 하부(101) 및 상부(103)의 양쪽에 배치된다. 도면에 있어서, 점선은 부유구조물의 시스템(5)들에 관련된 구성요소 및 룸유니트(3)의 장착에 관련된 수단들이 룸유니트(3)의 경계면(4)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그의 구성을 이하에서 상술한다.
부유구조물은, 예를 들면 선박이나 석유굴착선 또는 기타 대응하는 구성과 같은 해양선박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거론되는 실시예에 관한 주요 특징들은 부유구조물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이하의 기술내용에 있어서, 부유구조물은 편의상 선박(1)으로 언급되며, 그에 따라 룸유니트는 선실(3)로서 언급되고 경계면은 벽(4)으 로서 언급된다. 도 1에 있어서는, 본체부(100)의 하부(101)에서 선박의 소위 노천갑판(102)의 아래쪽, 또는 선박의 선체부의 상부(103)에서 선박(1)의 노천갑판(102)의 위쪽 및 선박(1)의 선체부에 선실(3)들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선실구조물의 벽구조들이, 동시에 선박의 외벽 또는 그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여객선에 있어서는 선실에 의하여 내부의 산책갑판과 함께, 선실구조물의 벽구조는 선박의 내부측 또는 그의 일부를 또한 형성할 수도 있게 된다.
벽감(壁龕)의 형태로 된 서비스구역(10)은 선실(3)의 외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만약 선실의 기본 형상이 사각형이라면, 사각형의 한 모서리가 선실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벽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벽감의 형상은 선실의 설비의 근거하에 또는 기타 기능적인 이유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구역의 예는 도 4, 5 및 6에 나타내었다.
도 2에 있어서, 선실(3)은 2개의 중첩된 갑판구조물(2)상에 배치된다. 배관(6)의 일부는 선실(3)의 벽(4)에 고정(도시않됨)되고, 이들은 예를 들면 설치용 간격을 제공하는 탄성튜브 또는 호스와 같은 제 1 탄성결합수단(7)의 수단에 의하여 선박의 시스템(5) 및 상호간에 결합된다. 이는 당해 사전제작된 선실(3)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구성요소의 예이며, 그에 의하여 이들은 선박상의 선실에 반송되기 전에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선실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선박의 중수도 배관의 일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용 배관, 냉각수용 배관 및/또는 소방용 배관등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제 1 배관부(61)들은, 예를 들면 아암에 의하여 벽(4)에 고정된 파이프 클램프인 고정수단(9)에 의하여 각 선실(3)의 벽(4)에 부착된다. 이러한 고정은 고정스트랩의 수단에 의하여 벽에 직접적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실의 내부설비에 연결된 중수도 및 하수도배관인 제 1 배관부(61)는, 한개 이상의 선실과 관련된 구성요소이다. 제 1 배관부(61)들은 선실(3)에 접속될 수도 있으나, 예를 들면 탄성적인 결합수단 또는 종래의 파이프부(8)의 수단에 의하여 선실내에 배치된 입구 및 출구덕트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배관부(61)들은 제 2 탄성결합수단(71)의 수단에 의하여 선박의 시스템(5)에 결합된다. 도 3에서 중첩된 선실(3)에 부착된 제 1 배관부(61)들은 상호간에 2개의 상이한 방식에 의하여 접속된다. 구성에 있어서, 좌측상에서는, 제 3 탄성결합수단(72)의 수단에 의하여 결합이 달성되고, 오른쪽에서는 상기 제 3 탄성결합수단(72)과 파이프 커플링(63)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된다.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이 갑판구조물(2)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관통부착구는 도 5와 관련하여 기술한다.
탄성결합수단들은 종래의 배관부 또는 배관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공통서비스구역(10)은 2개의 선실(3)들의 사이에 형성된다. 선실의 설비와 관련된 제 1 수단(11)(도 4)은 한쪽 선실(3)(도면에서 좌측)의 외부벽(4)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제 1 수단은 출구덕트, 입구덕트 또는 수도파이프이며, 배전반과 같은 제 2 수단(12)은 다른쪽 선실(3)(도면에서 우측)의 벽의 외부에 설치된다. 선박의 시스템(5)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제 1 배관부(61) 및 제 2 배관부(62)와 같은 서비스구역(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들은 고정수단(9)에 의하여 좌측 선실(3)의 벽(4)에 부착된다.
도 5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설치용의 간극을 부여하는 탄성적인 튜브 또는 호스와 같은 탄성결합수단(14)에 의하여 갑판구조물(2)내에 배치된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에 부착된다.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는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미리 제 1 배관부(61)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사전제작된 선실조립체와 함께 선박으로 반송될 수 있다.
도 6은 선실에 대한 선택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선실(3)은 하나씩 배치되며, 그에 의하여 할당된 서비스구역(10)이 각 선실(3)에 대하여 형성된다. 서비스구역(10)은 선박의 시스템(5)에 접속된 제 1 배관부(61) 및 제 2 배관부(62)뿐 아니라 선실(3)의 설비와 접속된 배전반(12)과 접속된다. 부가적으로, 공조수단(15)이 서비스구역에 배치된다.
공지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공조수단이 대개 선실(3)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에 의하여 선실의 가용면적을 감소하게 되고 선실사용자의 안락감을 감소시킨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다양한 수단들과, 구성요소들, 결합구조들과 사용 및 제어수단들은 서비스구역내에 기능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전반(12)은 배관부(61),(62)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수단(15)은 배전반(12)에 대향하는 벽상의 동일한 서비스구역내에 설치된다. 공조수단은 선택적으로 배관부와 배전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가능한 배치의 해결방법이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그에 의하여 각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서비스, 수선 및 사용상태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배치가 선택될 수 있다.
당연히, 이에 대하여 영향을 주는 다른 고려사항은, 서비스구역의 배치문제이다. 예를 들어, 도 4는 상호간에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2개의 선실을 나타내며, 그에 의하여 선실들에 대하여 공통의, 보다 넓은 서비스 구역이 형성된다. 도 6에서는 유사하게 직렬로 배치된 선실들을 나타내며, 그에 의하여 각 선설에 대하여 더 작은 서비스구역이 형성된다. 서비스구역의 형상도 마찬가지로 변화된다.
선실의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잘 설계된 서비스구역은 임시창고용의 공간과 같은 기타의 공간들도 포함할 수 있다.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선실의 서비스구역에 부착되는 수단 및 구성요소들의 수평방향 규격은 서비스구역의 폭으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수직방향 규격은 바람직하게는 서비스구역의 높이, 즉, 선실이나 적어도 갑판구조물 또는 기타 대응하는 지지구조물사이의 높이로 한정된다.
선실들은, 예를 들면 상호간의 위에 올려진 2개의 선실과 같이 무리를 지어 선박으로 반송될 수 있어서, 선실들의 사이에는 어떠한 실제적인 갑판구조물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에서의 상기 규격은 2개의 선실의 높이에 대응하여 한정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선박의 갑판구조물 사이의 높이는 예를 들어 2700mm이며, 그에 의하여 사전제작된 약 2200mm의 배관이 선실과 함께 반송될 수 있다. 이는 선박상 에서 행해지는 마무리작업에 있어서 심각한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하의 내용을 포함한다.
선박, 또는 실제적으로 그의 선체부는,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부분별 또는 전체적으로 건조된다.
선실은 공장주변에서, 종종 적어도 벽과 천정구조로 조립되며, 그에 의하여, 어떠한 문과 창문 및 발코니구조가 필요에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벽들은 서비스구역이 선실내에 벽감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그 후에, 선실의 내부가 원하는 대로 설비되고, 그에 의하여 필요한 외부의 접속물들이 서비스구역의 벽을 통하여 인입된다. 그 후에, 적어도 당해 선실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나, 선박의 거주시스템에 일차적으로 관련된 기타 구성요소가 당해 선실(상술한 바와 같은)과 관련된 모든 수단들이 서비스구역내에 배치된다. 이들은 미래의 사용에 적합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필요한 접근성이 확보되고, 서비스구역내의 서비스 및 수선작업용으로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남게 된다.
상기 수단 및 구성요소들은 이들이 선실의 경계 또는 서비스구역의 외부까지 연장되지는 않도록 배치된다. 배관과 함께 사용되는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는 그 후에 선박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배관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어서, 선실과 함께 반송된다.
이 단계에서, 사전제작된 선실 조립체는 선박으로 반송될 수 있다. 선박상에서의 유일한 남은 작업은 선박의 거주시스템의 부분과 관련된 수단 및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것 뿐이다. 예를 들어, 배관과 함께 탄성적인 호스 및 슬라이딩 커 플링을 사용함으로써, 용접이나 기타 대응하는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적은 양의 도구로 용이하게 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박상에서 수행되는 마무리 단계가 감소되고 사전에 제작된 선실을 마무리하는 것과 관련된 접속이 미리 배치된 서비스구역에서 용이하게 이행된다.
상술한 기재내용 및 그에 관련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명확히함을 의도한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부분들은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바뀔수 있다.

Claims (24)

  1. 부유구조물(1)의 본체부(100)가 형성되고,
    그 본체부(100)에는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2)이 구비되는, 선박과 같은 부유구조물의 생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서는, 벽과 천정구조물을 포함하는 주된 경계면(4)과, 룸유니트(3)의 실내설비의 적어도 일부, 그리고 룸유니트(3)의 경계면(4)의 외부에 위치되는, 위생설비용 출구덕트와 입구덕트, 수도배관 또는 전기설비와 같이 실내설비에 관련된 수단(11,12)을 구비함으로써, 룸유니트(3)들을 사전제작하고, 이에 따라 벽감(壁龕) 형태의 서비스 구역(10)이 상기 룸유니트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룸유니트(3)의 경계면(4)을 배치하는 부유구조물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룸유니트(3)의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서비스 구역(10)에는, 파이프 및 매체반송수단과 같은 요소(6, 15, 61, 62)를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룸유니트(3)에 사용하며 부유구조물(1)의 주거시스템(5)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소(6,15,61,62)들의 적어도 일부를 사전제작시에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에 부착하며,
    사전제작된 룸유니트(3)는 부유구조물상에 반송 및 설치하고,
    상기 수단(11,12)들 및 요소(6,15,61,62)들의 적어도 일부를 부유구조물(1)의 주거시스템(5)의 미리 설치된 부분들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의 생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부유구조물(1)의 주거시스템(5)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수도(中水道) 배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용 배관, 냉각수 배관 또는 소방용 배관(6,61,62)의 일부를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공조배관의 일부를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공조수단(15)을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들을 요소(61,62)에 부착하며, 탄성적인 결합수단(14)들을 요소(61,62)와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수단(11,12) 및 요소(6,15,61,62)들의 수평방향 규격은 서비스 구역(10)의 폭으로 한정되고, 이들의 수직방향 규격은 룸유니트(3)의 높이 또는 적어도 상기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들 사이의 높이로 한정되도록 수단(11,12) 및 요소(6,15,61,62)들을 서비스 구역(11)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방법.
  7.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2)이 구비된 본체부(100)와,
    벽 및 천정구조물과 같은 주된 경계면(4)과,
    룸유니트(3)의 실내설비의 적어도 일부 및, 룸유니트(3)의 경계면(4)의 외부에 위치되는, 위생설비용 출구덕트와 입구덕트, 수도배관 또는 전기설비와 같이 실내설비에 관련된 수단(11, 12)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벽감(壁龕)의 형태로 된 서비스 구역(10)이 룸유니트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룸유니트(3)의 경계면(4)들이 배치되는, 사전에 제작된 룸유니트(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양선박과 같은 부유구조물에 있어서,
    룸유니트(3)의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서비스 구역(10)에는, 하나 이상의 룸유니트(3)에 사용되며 부유구조물의 주거시스템(5)의 일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및 매체반송수단과 같은 요소(6,15,61,62)가 구비되고,
    상기 요소(6,15,61,62)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전제작시에 서비스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중수도 배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용 배관, 냉각수 배관 또는 소방용 배관(6,61,62)의 일부가, 사전제작시에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
  9. 제 7 항에 있어서, 공조배관의 일부가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공조수단(15)이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들이 요소(61,62)에 부착되며, 탄성적인 결합수단(14)들이 요소(61,62)와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
  12. 제 7 항에 있어서, 수단(11,12) 및 요소(6,15,61,62)들의 수평방향 규격은 서비스 구역(10)의 폭으로 한정되고, 이들의 수직방향 규격은 룸유니트(3)의 높이 또는 적어도 상기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들 사이의 높이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
  13.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2)을 가지는 해양선박과 같은 부유구조물(1)내에 설치되도록 의도된, 사전에 제작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설이 구비된 룸유니트(3)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서는, 룸유니트(3), 벽과 천정구조물을 포함하는 주된 경계면(4)과, 룸유니트(3)의 실내설비의 적어도 일부와, 경계면(4)의 외부에 위치되는, 위생설비용 출구덕트와 입구덕트, 수도배관 또는 전기설비와 같이 룸유니트(3)의 실내설비에 관련된 수단(11,12)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벽감(壁龕) 형태의 서비스 구역(10)이 상기 룸유니트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룸유니트(3)의 경계면(4)이 배치되는 룸유니트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룸유니트(3)의 사전제작과 관련하여, 서비스 구역(10)에는, 파이프 및 매체반송수단과 같은 요소(6, 15, 61, 62)가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룸유니트(3)에 사용되며 부유구조물(1)의 주거시스템(5)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소(6,15,61,62)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전제작시에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유니트의 형성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부유구조물(1)의 주거시스템(5)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수도(中水道) 배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용 배관, 냉각수 배관 또는 소방용 배관(6,61,62)의 일부를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공조배관의 일부를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공조수단(15)을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들을 요소(61,62)에 부착하며, 탄성적인 결합수단(14)들을 요소(61,62)와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수단(11,12) 및 요소(6,15,61,62)들의 수평방향 규격은 서비스 구역(10)의 폭으로 한정되고, 이들의 수직방향 규격은 룸유니트(3)의 높이 또는 적어도 상기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들 사이의 높이로 한정되도록 수단(11,12) 및 요소(6,15,61,62)들을 서비스 구역(11)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방법.
  19.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2)을 가지는 해양선박과 같은 부유구조물(2)내에 설치되도록 의도된, 사전에 제작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설이 구비된 룸유니트로서,
    룸유니트(3)는,
    상기 룸유니트의 벽 및 천정구조물과 같은 주된 경계면(4)과,
    룸유니트(3)의 실내설비의 적어도 일부 및,
    경계면(4)의 외부에 위치되는, 위생설비용 출구덕트와 입구덕트, 수도배관 또는 전기설비와 같이 룸유니트(3)의 실내설비에 관련된 수단(11,12)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벽감(壁龕)의 형태로 된 서비스 구역(10)이 룸유니트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룸유니트(3)의 경계면들이 배치되는 룸유니트(3)에 있어서,
    서비스 구역(10)에는, 하나 이상의 룸유니트(3)에 사용되며 부유구조물의 주거시스템(5)의 일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및 매체반송수단과 같은 요소(6,15,61,62)가 구비되고,
    상기 요소(6,15,61,62)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전제작시에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유니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중수도 배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용 배관, 냉각수 배관 또는 소방용 배관(6,61,62)의 일부가, 사전제작시에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유니트.
  21. 제 19 항에 있어서, 공조배관의 일부가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유니트.
  22. 제 19 항에 있어서, 공조수단(15)이 서비스 구역(10)의 측면상에 룸유니트(3)의 외부 경계면(4)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유니트.
  23. 제 19 항에 있어서,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들이 요소(61,62)에 부착되며, 탄성적인 결합수단(14)들이 요소(61,62)와 갑판구조물 관통부착구(13)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유니트.
  24. 제 19 항에 있어서, 수단(11,12) 및 요소(6,15,61,62)들의 수평방향 규격은 서비스 구역(10)의 폭으로 한정되고, 이들의 수직방향 규격은 룸유니트(3)의 높이 또는 적어도 상기 갑판구조물 또는 지지구조물들 사이의 높이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유니트.
KR1020057019043A 2003-04-07 2004-03-01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 그 생산방법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 및 그 형성방법 KR101066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0521A FI116616B (fi) 2003-04-07 2003-04-07 Menetelmä kelluvan rakenteen ja siihen tarkoitetun esivalmistetun tilayksikön valmistamiseksi sekä kelluva rakenne ja esivalmistettu tilayksikkö
FI20030521 2003-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22A KR20050118722A (ko) 2005-12-19
KR101066308B1 true KR101066308B1 (ko) 2011-09-20

Family

ID=856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043A KR101066308B1 (ko) 2003-04-07 2004-03-01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 그 생산방법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 및 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613528B1 (ko)
JP (1) JP4679506B2 (ko)
KR (1) KR101066308B1 (ko)
CN (1) CN100448741C (ko)
AT (1) ATE495094T1 (ko)
DE (1) DE602004031004D1 (ko)
DK (1) DK1613528T3 (ko)
ES (1) ES2359565T3 (ko)
FI (1) FI116616B (ko)
PL (1) PL1613528T3 (ko)
WO (1) WO2004089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0354A (zh) * 2011-12-29 2012-07-11 广新海事重工股份有限公司 船舶驾驶台电气安装工艺
CN103017123A (zh) * 2012-12-31 2013-04-03 重庆四联光电科技有限公司 捕鱼船的大功率led集鱼灯冷却系统及冷却方法
PL3126215T3 (pl) * 2014-04-01 2018-07-31 Piikkio Works Oy Konstrukcja pływając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765A (ko) * 1987-05-27 1988-12-21 아르투 수오말레이넨, 카알-핸리크 폰 헤르찐 선실 유니트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
JPH02310190A (ja) * 1989-05-23 1990-12-2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室ユニットの据付け方法
KR20000029018A (ko) * 1998-10-14 2000-05-25 미쉘 조세 미리 제조된 선박용 선실 및 선박 내에 이러한 선실을설치하는 방법
JP2002019692A (ja) 2000-07-11 2002-01-23 Nkk Corp 浮体構造物の洋上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16514U1 (de) * 1977-05-25 1977-09-08 Bremer Vulkan Schiffbau Und Maschinenfabrik, 2820 Bremen Schiff mit einer anzahl von kammern
SE456331B (sv) * 1985-04-26 1988-09-26 Acci Handelsbolag Rumsenhet, i synnerhet kabin eller hytt pa fartyg
FI75127C (fi) * 1985-11-28 1989-08-28 Waertsilae Oy Ab Rumsenhet foer sjoeanordning.
JPS62236972A (ja) * 1986-04-08 1987-10-17 日本鋼管株式会社 舶用浴室ユニット構造
DE4119422C1 (ko) * 1991-06-13 1993-01-07 Lloyd Werft Bremerhaven Gmbh, 2850 Bremerhaven, De
EP0731020A1 (en) * 1995-03-08 1996-09-11 A.T.I.S.A. Aero Termica Italiana S.p.A. Prefabricated cubicle for sanitary facilities, in particular in the cabins of ships, or the like
DE19828505A1 (de) * 1998-06-26 2000-01-13 G & M Montage Ges Fuer Schiffs Raumzelle für Schiffe und schwimmende Anla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I116128B (fi) * 2000-07-03 2005-09-30 Aker Finnyards Oy Poistovesikanavien kokoojajärjestely, järjestely vesipisteiden poistovesikanavien liittämiseksi kokoojakanavaan sekä menetelmä vesipisteillä varustetun hyttielementtijärjestelyn aikaansaamiseks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765A (ko) * 1987-05-27 1988-12-21 아르투 수오말레이넨, 카알-핸리크 폰 헤르찐 선실 유니트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
JPH02310190A (ja) * 1989-05-23 1990-12-2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室ユニットの据付け方法
KR20000029018A (ko) * 1998-10-14 2000-05-25 미쉘 조세 미리 제조된 선박용 선실 및 선박 내에 이러한 선실을설치하는 방법
JP2002019692A (ja) 2000-07-11 2002-01-23 Nkk Corp 浮体構造物の洋上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59565T3 (es) 2011-05-24
PL1613528T3 (pl) 2011-07-29
FI116616B (fi) 2006-01-13
EP1613528B1 (en) 2011-01-12
DK1613528T3 (da) 2011-03-14
FI20030521A0 (fi) 2003-04-07
FI20030521A (fi) 2004-10-08
WO2004089738A1 (en) 2004-10-21
KR20050118722A (ko) 2005-12-19
EP1613528A1 (en) 2006-01-11
JP2006521961A (ja) 2006-09-28
CN1774364A (zh) 2006-05-17
JP4679506B2 (ja) 2011-04-27
CN100448741C (zh) 2009-01-07
DE602004031004D1 (de) 2011-02-24
ATE495094T1 (de) 201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6636A (en) Modular ship's cab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4980340B2 (ja) 浮動構造体を製作する方法と構築システム
KR101066308B1 (ko)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물, 그 생산방법과, 사전에 제작되는 룸유니트 및 그 형성방법
EP0731020A1 (en) Prefabricated cubicle for sanitary facilities, in particular in the cabins of ships, or the like
JPH0350062B2 (ko)
WO2017090357A1 (ja) 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海洋構造物、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設計方法、及び、海洋構造物の設計方法
FI82739C (fi) Kanalkonstruktion
EP0605373B1 (en) Method for the assembly of fixtures and equipment in a ship galley or like space and a fixture and equipment system
EP1558490B1 (en) Method of installing and connecting prefabricated room units to a ship or other watercraft
JP7055942B2 (ja) 船舶および洋上浮体構造物の居住区構造
JP2934414B2 (ja) 船舶用居室の組立工法
JPH07248074A (ja) 建物内配管構造
EP3126215B1 (en) Floating structure
CN115476984A (zh) 一种集装箱船二甲板通道布置结构及其安装方法
JPH09317975A (ja) ガスメータ接続用継手
JPH08177156A (ja) 天井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