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896A - 플로팅 구조 - Google Patents
플로팅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0896A KR20160140896A KR1020167030615A KR20167030615A KR20160140896A KR 20160140896 A KR20160140896 A KR 20160140896A KR 1020167030615 A KR1020167030615 A KR 1020167030615A KR 20167030615 A KR20167030615 A KR 20167030615A KR 20160140896 A KR20160140896 A KR 201601408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facility
- space
- deck
- floor
- external ser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14—Closet or like flushing arrangements; Washing or bathing facilities peculiar to sh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갑판층(21)과 적어도 하나의 공간유닛(3)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갑판구조(2)를 포함하는 플로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간유닛은 바닥구조(61)를 가지는 젖은 공간(6)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구조(61)는 배출파이프(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간유닛(4)이 바닥(51)을 가지는 외부 서비스시설(5)을 구비한다. 상기 갑판구조(2)가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적어도 표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인 리세스(22)를 구비한다. 적어도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적어도 바닥(51)은 상기 갑판층(21) 아래의 소정 높이에 위치한다. 젖은 공간에 관계된 누설을 모니터링하거나 수집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에 의하여 적어도 제공되는 낮춰진 표면영역에, 누설 탐지기(10) 또는 하수 파이프(11)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갑판층(deck level)과 적어도 하나의 공간유닛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갑판구조를 포함하는 플로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간유닛은 소정높이의 바닥구조를 가지는 젖은 공간(wet space)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구조는 배출파이프(8)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공간유닛은 바닥을 가지는 외부 서비스시설(external service facility)을 구비하고, 상기 갑판구조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의 적어도 표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인 리세스(recess)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의 적어도 바닥이 상기 갑판층 아래의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플로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8의 전제부에 따른 플로팅 구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로팅 구조의 제조, 그 플로팅 구조 상에 공간유닛을 건조하는 것, 및 공간유닛을 미리 조립하여 제조하고 이를 플로팅 구조 상에 이송 및 설치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공간유닛들은 바닥을 구비하거나 또는 바닥이 없는 공간유닛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플로팅 구조의 갑판 구조의 갑판층이 공간유닛 바닥을 구성하며, 필요하다면 이 바닥은 덮여질 수 있다.
공간유닛의 경계 외측에는 내부 시설(interior fixture)과 연결된 구성요소들을 구비한 서비스시설을 위한 공간과 상기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 시설물(wet space fixture)이 설치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플로팅 구조의 중수도 배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 배관, 냉각수 배관 또는 소화수 배관의 일부를 포함한다. 젖은 공간과의 연결부는 예컨대 입구 및 출구 피팅(fitting) 그리고 위생시설과 연결된 수관(水管)들이다.
통상적으로, 공간유닛들은 갑판구조 상에서 지지되어 층구조로 플로팅 구조 상에 배치되며,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서비스시설에 위치하는 갑판구조 관통부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요소들과 상기 갑판구조 관통부 사이는 종종 플렉서블 조인트 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서비스시설은 통상 갑판층과 같은 높이의 바닥을 가진다. 상기 갑판구조 관통부들은 상기 층 사이에서 연장되는 배관시스템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파이프, 파이프 연결부, 갑판구조 관통부로부터의 누설에 의하여, 물이 상기 갑판구조의 갑판층을 따라 흘러나오게 되고, 즉 실질적으로는 상기 갑판층의 바닥과 같은 높이의 상기 공간유닛과 복도와 같은 그 공간유닛의 주위 영역를 따라 흘러나오는 상황을 초래한다. 상기 갑판층 또는 공간유닛의 바닥은 대개 다양한 형태의 바닥재, 합판, 카펫 등으로 덮여져 있어, 상기 누설이 탐지되기 전에 이미 넓은 영역으로 흘러버리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공간유닛에서의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는, 젖은 공간의 여러 지점으로부터의 오수를 중력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갑판구조와 같은 높이의) 상기 서비스시설 바닥으로 그리고 서비스시설 바닥에 있는 갑판구조 관통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개 높여져 있다. 그 배출파이프는 상기 젖은 공간 내에서 소정 높이로 상기 바닥구조의 바닥면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물 배출파이프는 충분한 구배(기울기:gradient)를 필요로 한다. 또한, 젖은 공간의 높여진 바닥구조는 공간유닛 내에서의 이동을 어느 정도 방해하곤 한다.
젖은 공간의 높여진 바닥구조가 미치는 또 다른 영향은, 산업 관련 규정 및 표준을 지키기 위한 충분한 천장높이를 상기 공간유닛과 젖은 공간에 제공하기 위하여 공간유닛의 높이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플로팅 구조 내의 갑판 사이 거리(inter deck distance)도 공간유닛용 갑판구조와 그 젖은 공간들 사이의 수직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을 두기 위하여 충분하게 커져야만 한다. 갑판 사이 거리가 증가되면, 플로팅 구조에 관한 총 높이 제한으로 인하여 갑판구조의 수가 제한된다. 이러한 전형적인 예로서 예컨대 가능한 많은 수의 선실(공간유닛), 즉 상기 선실을 지지하기 위한 가능한 많은 수의 갑판 구조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된 크루즈선을 들 수 있다. 다른 플로팅 구조와 마찬가지로 크루즈선의 높이도 예컨대 플로팅 구조의 안정성과 관련한 제한을 가지고 있다. 크루즈선에 올려진 선실의 수는 크루즈 사업의 경제성에 차이를 만든다. 상기 공간유닛은 또한 예컨대 욕실 또는 선실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공간 또는 다른 수용공간일 수 있다.
미국 특허공보 제4,622,911호는 갑판층 아래에 외부배관 박스를 구비한 욕실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은 욕실 또는 그 결합부로부터의 누설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플로팅 구조의 관점에서 그리고 공간유닛의 사용자의 관점에서도 실용적인 공간유닛 배치를 구비한 플로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플로팅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사상은 실제의 갑판구조의 높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젖은 공간들로부터 누설을 관리하거나 갑판 사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이는 상기 공간유닛 또는 그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와 연결된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을 갑판구조의 갑판층보다 낮은 높이로 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을 갑판구조의 갑판층 아래로 연장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 가능한 누설을, 누설지점이 생길 수 있는 서비스시설의 경계로 한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젖은 공간 그 자체를 낮게 하고, 모든 누설 지점, 심지어 보다 드문 누설지점이라도 모니터링 및 제어될 수 있으며 그 누설은 선박구조 아래쪽으로 유도된다. 이는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에 적어도 형성된 낮아진 표면 영역에 누설 모니터 또는 하수 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실현되며, 상기 누설 모니터에 의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에 적어도 형성되는 리세스의 낮아진 표면 영역에서 발생하는 누설이 모니터되고, 또한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에 의하여 적어도 형성되는 리세스의 낮아진 표면영역에서 발생하는 누설이 상기 하수 파이프 쪽으로 향하게 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낮아진 표면영역은 젖은 공간의 낮추어진 바닥구조와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데, 이는 갑판층 아래로 낮추어진 외부 서비스시설 바닥이 상기 젖은 공간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충분한 구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 전부가 갑판층 아래로 소정 높이 연장되는 경우에, 모든 가능한 누설수가 상기 젖은 공간과 서비스시설의 경계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의 바닥면이 갑판층과 같은 높이가 되면, 갑판 사이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공간유닛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젖은 공간의 단차 높이도 낮춰지거나 필요하다면 완전히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갑판구조는 외부 서비스시설의 깊이 또는 젖은 공간의 깊이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세스는 따라서 외부 서비스시설의 깊이와 같은 폭을 가지는 연속적인 리세스, 또는 갑판구조에 걸쳐 예컨대 선박의 가로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젖은 공간의 깊이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연속적인 리세스일 수 있다. 상기 낮춰진 표면영역은 이 경우 연속적인 리세스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는 벽과 바닥을 가지는 물받이통(trough) 형태이므로, 누설물은 상기 리세스의 경계에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하나의 리세스는 외부 서비스시설 바닥의 표면영역, 또는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와 외부 서비스시설 바닥의 통합된 표면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의 사이즈는 여러 개의 인접한 공간유닛의 외부 서비스시설들 또는 여러 인접한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과 서비스시설에 상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갑판구조에 형성되는 리세스는 따라서 벽과 바닥을 가지는 물받이통을 형성하며, 이에 의하여 그 바닥은 낮은 표면영역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누설이 발생하면 상기 리세스 영역에 들어갈 수 있고, 이 영역은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 외부 서비스시설과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의 통합 영역, 또는 이들의 복수의 영역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리세스는 이른바 연속 리세스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 또는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의 폭을 가지는 갑판구조를 따르는 물받이통을 형성한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하기 장점들이 별개로 또는 함께 달성될 수 있다.:
(ⅰ)누설이 제어될 수 있어 상기 리세스 외부로 퍼지지 않는다;
(ⅱ)최적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위치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 위치한 누설 탐지기에 의하여 누설이 모니터될 수 있다;
(ⅲ)최적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위치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 위치한 하수 파이프로 누설을 향하게 할 수 있다;
(ⅳ)서비스시설들 또는 젖은 공간들의 누설이, 설령 이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한 경우라 하더라도 함께 제어될 수 있다;
(ⅴ)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갑판 사이 거리를 작게 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젖은 공간의 자유높이(free height)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원하다면 이들을 개별적으로 취하거나 조합하여 취할 수 있다.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과 연결된 외부 서비스시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갑판구조 관통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예컨대 두 개의 공간유닛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서로 대향 및 이웃하는 상기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들, 젖은 공간들에 연결된 외부 서비스시설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공통된 갑판구조 관통부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실제적으로 갑판구조 관통부와 이에 연결된 하수 배관시스템의 수를 감소시킨다.
상기 공간유닛은 예컨대, 선실, 수용공간, 공용 공간, 또는 욕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용한 실시예들은 청구항 2~7에 의하여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청구항 8~13으로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효과를 별개로 또는 함께 달성할 수 있다.:
(ⅰ)누설이 제어될 수 있어 상기 리세스 외부로 퍼지지 않는다;
(ⅱ)최적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위치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 위치한 누설 탐지기에 의하여 누설이 모니터될 수 있다;
(ⅲ)최적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위치의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 위치한 하수 파이프로 누설을 향하게 할 수 있다;
(ⅳ)서비스시설들 또는 젖은 공간들의 누설이, 설령 이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한 경우라 하더라도 함께 제어될 수 있다;
(ⅴ)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갑판 사이 거리를 작게 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젖은 공간의 자유높이(free height)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원하다면 이들을 개별적으로 취하거나 조합하여 취할 수 있다.
도 1은 플로팅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갑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의 또 다른 변형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또는 상호보완적인 실시예이고,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의 상세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이다.
도 2는 갑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의 또 다른 변형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또는 상호보완적인 실시예이고,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의 상세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이다.
도 1에서, 플로팅 구조는 참조부호 1로 표시된다. 상기 플로팅 구조는 예컨대 배 또는 드릴링 플랫폼 또는 다른 구조물과 같은 선박일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대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따라서 통상의 플로팅 구조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플로팅 구조(1)(예컨대 크루즈선)는 선체(100)를 포함하고, 또한 갑판구조(2)를 갖추며, 상기 갑판구조(2)는 갑판층(2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여러 개의 공간유닛들을 수용하고 있다. 상기 공간유닛들은 현지에서 건조되거나 사전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공간유닛(3)의 경계(벽들) 외측에 설치된 외부 서비스시설(external service facility:5)에는 배관시스템(9)이 수용되고, 상기 시설의 일부는 상기 공간유닛(3)의 내부 비품에 연관된 것이다. 상기 배관시스템(9)은 외부 서비스시설과 층으로 배치된 갑판 구조들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배관시스템(9)은 갑판 구조물 관통부(7)(도 2)에 의하여 상기 갑판 구조를 통과한다. 상기 서비스시설(5)는 공간유닛(3)의 젖은 공간(6)(도 2)의 벽(4) 외측에 통상 배치된다. 일반적인 배관시스템(9)은 예컨대 플로팅 구조의 중수도 배관, 하수도 배관, 상수도 배관, 응축 또는 배수 배관, 냉각수 배관 또는 소화수 배관을 포함한다. 이들 배관시스템과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과의 연결부 및 배관시스템과 갑판 구조 관통부의 연결부는 누설이 발생하기 쉽다. 게다가, 상기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은 그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 도 3a,4a,5a))를 통하여 직접 또는 상기 갑판층(21) 상의 서비스시설(5)의 바닥(51: 도 3a,4a,5a)으로 흐르는 누수를 경험할 수 있다. 본원 구성은 종래 기술에 대한 이러한 전형적인 문제점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공간유닛은 욕실, 실제적인 선실과 연결되지 않은 공용의 공간과 같은 다른 공간 또는 다른 수용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대개 서비스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플로팅 구조의 갑판층(21)을 포함하는 갑판구조(2)의 일례를 도시한다. 상기 갑판구조상에는 젖은 공간(6)을 따라 복수의 공간유닛(3)이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간유닛의 배치는 인접하는 공간유닛(3)의 젖은 공간(6)이 서로 마주보거나 옆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젖은 공간(6)의 벽(4) 외측에 통상 배치되는 외부 서비스시설(5), 즉 상기 젖은 공간(6) 외측에 위치하는 서비스시설들(5) 또한 서로 마주보거나 옆으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도 2는 또한 갑판구조 관통부(7)가 각 서비스시설(5)의 바닥(51:도 3a,4a,5a)과 연결되어 배치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 3a-5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공간유닛은 욕실, 실제적인 선실과 연결되지 않은 공용의 공간과 같은 다른 공간 또는 다른 수용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대개 서비스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두 개의 이웃하는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6), 특히 그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가 인접하게 또는 대향하도록 위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양 젖은 공간(6)은 외부 서비스시설(5)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시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서비스시설(5)의 바닥은 부호 51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갑판구조(2)에는 리세스(recess:22)가 형성되며, 이 리세스는 양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통합된 표면영역에 해당하고, 따라서 인접하는 서비스시설의 바닥들은 상기 갑판구조(2)의 갑판층(21) 아래로 특정 높이만큼 연장된다. 즉, 인접하는 서비스시설의 바닥들은 갑판구조(2)의 갑판층(21)에 대하여 낮게 위치한다. 낮춰진 바닥영역(A)은 따라서 인접한 서비스시설(5)들의 양쪽 바닥을 형성한다.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는 상기 갑판구조(2)의 갑판층(2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바닥구조(61)는 대개 약 150mm의 높이 h1을 가진다. 상기 갑판구조(2)는 대개 약 300~500mm의 높이 h2를 가진다.
상기 서비스시설(5)은 상기 갑판구조(2)의 갑판층(21) 아래로 소정 높이에 바닥(51)을 가지며, 즉 상기 바닥(51)은 갑판층(21) 아래로 예컨대 약 60mm의 소정 깊이 s1으로 낮춰진다. 물 배출파이프는 젖은 공간의 (소정 높이로) 높여진 바닥구조(61)의 바닥 표면 아래에 장착된다. 상기 물 배출 파이프는 물의 유출을 강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울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상기 서비스시설(5)의 바닥의 낮춰진 위치는 서비스 시설 바닥에 위치한 갑판구조 관통부(7) 쪽으로의 충분한 경사를 제공하며, 따라서 젖은 공간으로부터의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따라서, 상기 갑판구조(2)에 위치하는 리세스는 벽과 바닥을 구비한 물받이통(trough)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비스시설 바닥의 통합된 표면영역에 부합한다. 따라서 상기 낮춰진 표면영역(A)은 상기 물받이통 내에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누설물은 상기 물받이통 내에 포함되고 수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두 세트의 갑판 구조 관통부(7)를 채용하고 있다. 여러 배관 시스템(9)이 상기 갑판 조립체 관통부(7)를 통과하며 이에 의하여 물 배출 파이프(8)는 상기 바닥구조(61)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통상의 닫혀진 배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용의 하수파이프(하수도 배관, 중수도 배관 등)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통상의 닫혀진 배관장치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와 하수 파이프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시설과 갑판구조 관통부에서의 누설 위치는 갑판층보다 낮은 높이, 즉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에서 발생하며, 발생되는 누설물은 상기 서비스시설의 경계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누설물은 건조되거나 서비스시설에 제공된 하수도로 향해질 수 있다. 상기 서비스시설 영역은 또한 누설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누설 탐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도 8~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시설의 바닥이 갑판층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는 보다 급한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갑판 사이 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갑판층 아래의 서비스시설 바닥을 낮추면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 또한 낮출 수 있으므로, 서비스시설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충분한 경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바닥구조 낮춤은 갑판 사이 거리를 더 작게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를 약 30mm만큼 작게 낮추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젖은 공간의 높이 그 자체가 상기 갑판 사이 거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 갑판 사이 거리의 높이는 공간유닛의 높이와 그 공간유닛을 갑판구조에 설치할 때의 공간유닛에 의하여 요구되는 관련된 이송높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a 및 4b는 두 개의 이웃하는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6), 특히 그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가 인접하게 또는 대향하도록 위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양 젖은 공간(6)은 외부 서비스시설(5)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시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서비스시설(5)의 바닥은 부호 51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갑판구조(2)에는 리세스(22)가 형성되며, 이 리세스는 양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통합된 표면영역에 해당하고, 따라서 인접하는 서비스시설의 바닥들은 상기 갑판구조(2)의 갑판층(21) 아래로 특정 높이만큼 연장된다. 즉, 인접하는 양 서비스시설의 바닥들은 갑판구조(2)의 갑판층(21)에 대하여 낮게 위치한다. 낮춰진 바닥영역(A)은 따라서 인접한 서비스시설(5)들의 양쪽 바닥을 형성한다.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는 상기 갑판구조(2)의 갑판층(2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바닥구조(61)는 대개 약 150mm의 높이 h1을 가진다. 상기 갑판구조(2)는 대개 약 300~500mm의 높이 h2를 가진다. 상기 서비스시설(5)은 상기 갑판구조(2)의 갑판층(21) 아래로 소정 높이에 바닥(51)을 가지며, 즉 상기 바닥(51)은 갑판층(21) 아래로 예컨대 약 60mm의 소정 깊이 s1으로 낮춰진다. 물 배출파이프는 (소정 높이로) 높여진 바닥구조(61)의 바닥 표면 아래에 장착된다. 상기 물 배출 파이프는 물의 유출을 강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울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상기 서비스시설(5)의 바닥의 낮춰진 위치는 서비스 시설 바닥에 위치한 공통의 갑판구조 관통부(7) 쪽으로의 충분한 경사를 제공하며, 따라서 젖은 공간으로부터의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갑판구조(2)에 위치하는 리세스는 벽과 바닥을 구비한 물받이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비스시설 바닥의 통합된 표면영역에 상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낮춰진 표면영역(A)은 상기 물받이통 내에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누설물은 상기 물받이통 내에 들어가고 수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공통된 갑판 구조 관통부(7)를 채용하고 있다. 여러 배관 시스템(9)이 상기 갑판 구조 관통부(7)를 통과하며 이에 의하여 물 배출 파이프(8)는 상기 바닥구조(61)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통상의 닫혀진 배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용의 하수파이프(하수도 배관, 중수도 배관 등)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통상의 닫혀진 배관장치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와 하수 파이프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시설(5)의 바닥(51) 위치를 낮추면 인접하게 위치한 양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6)으로부터 물을 확실하게 공통의 갑판구조 관통부(7)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통의 갑판구조 관통부(7)는, 각각의 젖은 공간에 대하여 지정된 갑판구조 관통부를 구비한 구성(도 3a 및 3b의 실시예)보다 각 젖은 공간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시설(5) 바닥(51)의 낮은 위치로 인하여 각 젖은 공간으로부터 갑판구조 관통부 쪽으로 연장되는 배출 파이프(8)에 대하여 충분한 기울기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실제적으로, 본 실시예는 선박상의 갑판구조 관통부의 요구되는 수가 각 젖은 공간마다 지정된 갑판구조 관통부를 가지는 예에 비하여 적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중요한 이점은 플로팅 구조 내의 배관시스템(9)(도 1)의 수를 결정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예컨대 수천개의 선실과 복수의 갑판을 가지는 크루즈선에 있어서, 배관시스템의 수를 감소시키면 그 설치작업 및 이와 연관된 유지보수작업 감소와, 이에 따른 무게 감소, 그리고 잠재적인 누설위치의 감소 등 큰 차이가 생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시설과 갑판구조 관통부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누설위치들은 대개 갑판층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서비스시설의 경계 내로 누설물이 들어오게 할 수 있다.
누설물은 건조되거나 서비스시설에 제공된 하수도로 향해질 수 있다. 상기 서비스시설 영역은 또한 누설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누설 탐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도 8~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갑판층 아래의 서비스시설 바닥을 낮추면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 또한 낮출 수 있으므로, 서비스시설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충분한 경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바닥구조 낮춤은 갑판 사이 거리를 더 작게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를 약 30mm만큼 작게 낮추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젖은 공간의 높이 그 자체가 상기 갑판 사이 거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 갑판 사이 거리의 높이는 공간유닛의 높이와 그 공간유닛을 갑판구조에 설치할 때의 공간유닛에 의하여 요구되는 관련된 이송높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두 개의 이웃하는 공간유닛의 젖은 공간(6), 특히 그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가 인접하게 또는 대향하도록 위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양 젖은 공간(6)은 외부 서비스시설(5)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시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서비스시설(5)의 바닥은 부호 51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갑판구조(2)에는 리세스(22)가 형성되며, 이 리세스는 양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통합된 표면영역 뿐만 아니라 양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의 양쪽의 통합된 표면영역에 해당하고, 따라서 인접하는 젖은 공간들의 바닥구조와 인접하는 서비스시설의 바닥들은 상기 갑판구조(2)의 갑판층(21) 아래로 특정 높이만큼 연장된다. 즉, 인접하는 양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와 인접하는 양 서비스시설(5)의 바닥들은 갑판구조(2)의 갑판층(21)에 대하여 낮게 위치한다. 이는 상기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와 상기 서비스시설의 바닥이 상기 갑판층(21) 아래로 소정깊이 s2로 낮춰진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갑판 조립체 내에 존재하는 리세스(22)는 바닥과 벽을 가지는 물받이통으로 형성되며, 양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와 양 서비스시설의 바닥에 의하여 형성된 통합된 바닥에 상응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누설물은 상기 물받이통 내에 들어가고 수집될 수 있다. 낮춰진 표면영역(A)은 따라서 상기 물받이통 내의 인접하는 서비스시설(5)의 양 바닥으로 형성된다.
누설물은 건조되거나 서비스시설에 제공된 하수도로 향해질 수 있다. 상기 서비스시설은 또한 누설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누설 탐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도 8~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는 상기 갑판층(21)과 같은 바닥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의 하단과 상기 서비스시설(5) 하단은 갑판층 아래에서 동일한 소정 높이를 가진다. 이에 의하여 공간유닛(3)의 모든 잠재적인 누설위치, 더욱 상세하게는 젖은 공간(6)의 누설위치는 갑판층(21)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가능한 누설물이 상기 낮춰진 표면영역(A)을 형성하는 낮춰진 영역 내에 완전히 들어가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두 세트의 갑판 구조 관통부(7)를 채용하고 있다. 여러 배관 시스템(9)이 상기 갑판 조립체 관통부(7)를 통과하며 이에 의하여 물 배출 파이프(8)는 상기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통상의 닫혀진 배관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용의 하수파이프(하수도 배관, 중수도 배관 등)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도 3a 및 3b에 개시된 것과 일치한다. 통상의 닫혀진 배관장치에 연결되는 배출 파이프와 하수 파이프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내용에 있어서, 도 4a 및 4b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하였던 단지 하나의 조인트 갑판구조 관통부를 채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는 유사한 방식으로 그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었던 것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바닥구조(61)는 대개 약 150mm의 높이 h1을 가지고, 상기 갑판구조(2)는 대개 약 300~500mm의 높이 h2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와 상기 서비스시설(5)의 바닥(51) 모두 갑판 구조(2)에 형성된 리세스(22) 내로 낮춰진다 하더라도, 이는 갑판구조에 요구되는 특성들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와 서비스시설의 바닥이 낮춰지는 상술한 깊이 s2는 약 150mm이며, 이에 의하여 바닥구조(1)의 높이 h1에 부합하게 된다.
또한, 이에 의하여 젖은 공간의 상기 바닥구조와 공간유닛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단차도 낮춰지거나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적으로, 갑판 사이 거리를 유일하게 제한하는 것은, 공간유닛의 높이와 그 공간유닛을 갑판구조에 설치할 때의 공간유닛에 의하여 요구되는 관련된 이송높이이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갑판구조(2)에 형성된 리세스(22)는 서비스시설의 바닥(51)의 표면영역과, 또는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통합된 표면영역과 동일하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공간유닛 2개가 짝을 지어 서로 옆에 배치되고, 물론 상기 리세스는 두 개의 인접한 서비스시설의 바닥의 표면영역과 같거나, 또는 두 개의 인접한 젖은 공간의 바닥구조의 표면영역과 상기 젖은 공간과 연결되며 젖은 공간 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인접한 서비스시설의 바닥의 통합된 표면영역과 동일하다.
상기 리세스는 갑판구조상의 공간유닛의 각 특별한 배치에 따라, 대략 갑판구조의 길이와 깊이에 걸쳐, 즉 선박의 갑판구조의 길이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이하의 도 6 및 7과 관련하여 서술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개시하며, 여기서 상기 갑판구조(2)에는 상술한 벽과 바닥을 가지는 연속적인 리세스(221)가 형성되고, 이 리세스는 갑판구조(2)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른바 통합된 누설 물받이통을 형성한다. 두 개의 인접한 공간유닛(3)의 상기 젖은 공간(6)과 서비스시설(5)은 상기 공간유닛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은 부호 s3로 표시되는 일정 깊이를 가진다. 따라서, 낮춰진 표면영역(A)이 상기 물받이통 내에 형성된다.
상기 갑판구조(2)에 형성된 연속 리세스(221)는 서비스시설(5)의 깊이 s3에 상응하는 폭 L1을 가진다. 만약, 예컨대 상기 공간유닛이 이른바 바닥이 없는 공간유닛이라면, 상기 연속 리세스(221)는 상기 젖은 공간을 따라 개방되어 있을 것이다. 이 개방위치는 예를 들어 한 장의 판으로 이루어진 브리지 부재(bridge member:23)로 덮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갑판구조(2)에서 배제된 갑판층(21)의 부분이 대체되고, 이 부분으로 공간유닛(3)의 바닥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브리지 부재(23)가 존재한다. 브리지 부재의 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도 7의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브리지 부재는 2개이다). 이 배치는 예컨대 도3a~4b의 실시예와 관련하여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a~4b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누설물은 건조되거나, 낮춰진 표면영역(A)을 형성하는 서비스시설 또는 연속 리세스(221)의 어느 바람직한 위치에 제공된 하수도로 향해질 수 있다. 상기 낮춰진 표면영역(A)을 형성하는 서비스시설 또는 연속 리세스(221)는 또한 누설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누설 탐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도 8~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개시하며, 여기서 상기 갑판구조(2)에는 상술한 벽과 바닥을 가지는 연속적인 리세스(222)가 형성되고, 이 리세스는 갑판구조(2)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른바 통합된 누설 물받이통을 형성한다. 두 개의 인접한 공간유닛(3)의 상기 젖은 공간(6)과 서비스시설(5)은 상기 공간유닛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젖은 공간(6)은 부호 s4로 표시되는 일정 깊이를 가진다. 서비스시설의 깊이 s3는 상기 젖은 공간의 깊이 s4보다 작다. 따라서, 낮춰진 표면영역(A)이 상기 물받이통 내에 형성된다.
상기 갑판구조(2)에 형성된 연속 리세스(222)는 젖은 공간(6)의 깊이 s4에 상응하는 폭 L2을 가진다. 만약, 예컨대 상기 공간유닛이 이른바 바닥이 없는 공간유닛이라면, 상기 연속 리세스(222)는 상기 젖은 공간을 따라 개방되어 있을 것이다. 이 개방위치는 예를 들어 한 장의 판으로 이루어진 브리지 부재(bridge member:23)로 덮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갑판구조(2)에서 배제된 갑판층(21)의 부분이 대체되고, 이 부분으로 공간유닛(3)의 바닥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브리지 부재(23)가 존재한다. 브리지 부재의 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도 6의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브리지 부재는 1개이다). 이 배치는 예컨대 도5a~5b의 실시예와 관련하여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a~5b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누설물은 건조되거나, 낮춰진 표면영역(A)을 형성하는 서비스시설 또는 연속 리세스(222)의 어느 바람직한 위치에 제공된 하수도로 향해질 수 있다. 상기 서비스시설 또는 연속 리세스(222)의 바람직한 위치에는 또한 누설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누설 탐지기를 구비할 수 있다(도 8~1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 및 7의 실시예에서는 두 세트의 갑판구조 관통부(7)를 포함하고 있다. 명백하게 도 4a 및 4b와 관련하여 상술된 공통의 갑판구조 관통부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10을 참조하여, 도 3a~7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서비스시설로 누설되는 것의 모니터링 및 하수도로 누설물을 향하게 하는 것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갑판구조 관통부(7)에 의하여 통과되는 배관시스템(9)(도 1)으로부터, 또는 이들 배관시스템과 공간유닛(3)의 젖은 공간(6)의 결합부로부터, 또는 젖은 공간(6)의 그 밖의 장소로부터 발생되는 누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영역으로 향하고 이 영역에 수집되는데, 이는 상기 바닥이 갑판층(21)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누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낮은 표면영역(A)을 형성하는 상기 서비스시설의 바닥(51)은 누설 탐지기(10)을 구비한다. 누설일 발생할 때 경보를 내릴 수 있도록 상기 누설 탐지기(10)는, 감시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떤 데미지를 일으키기 전에 상기 누설에 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5a 및 5b와 관련되어 개시된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비교하여 유일한 차이점은 서비스시설의 바닥 뿐 아니라 젖은 공간의 바닥 구조도 갑판층(21)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도 10은 모니터링 또는 누설을 제어하기 위한 상호보완적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고, 이는 도 3a-5b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에도 직접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무엇보다도 도 8 및 9와 관련하여 상술한 선택적인 누설 탐지기(10)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유용하다. 누설, 즉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 영역으로부터의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수 파이프(11) 형태의 하수도가 제공되며, 이 파이프는 한 갑판구조(2)에서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에 연결된다. 낮은 표면영역(A)을 형성하는 바닥(51)은 개구(52)를 구비하고, 이 개구는 하수 파이프(11)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하수 파이프(11)는 다음의 하부 갑판구조(2)로 하향 연장되어 다음의 하부 갑판구조(2)에서의 서비스시설(5)의 바닥(51) 높이 바로 위에서 끝난다. 이러한 배치는 갑판구조의 층들에 걸쳐 여러 갑판구조(2) 사이에서 반복될 수 있다.
갑판구조 관통부(7)에 의하여 통과되는 배관시스템(9)(도 1)으로부터, 또는 이들 배관시스템과 공간유닛(3)의 젖은 공간(6)의 결합부로부터, 또는 젖은 공간(6)의 그 밖의 장소로부터 발생되는 누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영역으로 향하고 이 영역에 수집되는데, 이는 상기 바닥이 갑판층(21)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누설은 서비스시설(5)의 바닥(5) 높이에 있는 개구를 통하여 하수 파이프(11)로 흘러들어가고 이어서 다음의 하부 갑판층까지 가고, 마지막에는 하강하여 누설이 수집되고 처리될 수 있는 선박 구조에 이른다. 따라서, 상기 갑판구조(2)의 층들을 따라, 일련의 하수 파이프(11)가 리세스 내에 수집된 누설물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서술된 것 이상으로, 도 1~5b와 관련하여 설명한 모든 사항들이 상기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과 관련하여 서술된 것과 같이 하수 파이프(11) 배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형예는 다음과 같은 하수 파이프(12)를 제공한다. 외부 서비스시설의 바닥(51)에는 리세스로부터 누설을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52)가 형성되고, 이 개구는 갑판구조의 층들을 관통하여 지나서 연속적인 하수 배관을 형성하는 하수 파이프(12) 주위 트랩(trap:13)으로 연장되며, 이는 도 10에 서술된 갑판 배치에 의하여 별개로 되는 갑판과는 상이하다. 누설 또는 물이 서비스시설(5)의 바닥(51) 영역으로부터 낮은 표면영역(A)을 형성하는 그 서비스시설(5) 바닥(51)에 있는 개구(52)로 흐르고, 이어서 갑판구조(2)를 관통하는 하수 파이프(12)와 유통 연결된 트랩(13)으로 흐르고, 각 갑판구조에 배치된 트랩(13)에서도 물이 흐르게 된다. 물은 트랩(13)으로 흘러들어가서 상기 하수 파이프(12)를 통하여 아래로 흐른다. 상기 트랩의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것일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트랩(13)의 이점은 하수 파이프(12)로부터 주위, 보다 정확히는 먼저 서비스시설(5)로 또한 선박 영역들로 퍼지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12는 도 6에서 설명하였던 실시예와 대략 상응하는 제5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속 물받이통(221)이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하였던 누설 탐지기(10)와 하수 파이프(11)를 모두 구비하고 있거나, 또는 도 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 11과 관련된 하수 파이프(12)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누설 모니터와 하수 파이프들은 따라서 낮은 표면영역(A)에 배치된다. 그러한 통합된 배치는 물론 상술한 어떤 실시예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배출파이프(8)가 통상의 닫혀진 배관 배치를 통하여 어떻게 배관시스템(9) 즉 상술한 지정된 하수 파이프에 연결 배치되는 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12와 관련하여, 상기 공간유닛은 주로 선실로서 기술되었다. 상기 공간유닛은 예컨대 욕실 또는 실제의 선실 또는 다른 수용공간과 연결되지 않은 공용의 공간과 같은 다른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간에서도 대개 서비스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욕실 그 자체가 젖은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누설 탐지기(10)와 하수 파이프 11 또는 12의 배치는 도 6 및 7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도 상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및 도면들은 주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광간유닛의 수, 젖은 공간과 서비스시설의 수와 위치, 갑판구조에배치되는 리세스(들)의 크기와 형태, 갑판구조 관통부의 수와 위치 등 본 발명에 따른 세부 구성은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3)
- 갑판층(21)과 적어도 하나의 공간유닛(3)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갑판구조(2)를 포함하는 플로팅 구조로서, 상기 공간유닛은 소정 높이의 바닥구조(61)를 포함하는 젖은 공간(6)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구조(61)는 배출파이프(8)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공간유닛(4)이 바닥(51)을 가지는 외부 서비스시설(5)을 구비하며, 상기 갑판구조(2)가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적어도 표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인 리세스(recess:22;221;222)를 구비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적어도 바닥(51)이 상기 갑판층(21) 아래의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플로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에 의하여 적어도 제공되는 낮춰진 표면영역(A)에, 상기 리세스에서 발생하는 누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누설 탐지기(10) 또는 상기 리세스에서 발생하는 누설을 수용하기 위한 하수 파이프(1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적어도 바닥(51)에 의하여 제공되는 낮춰진 표면영역(A)에 상기 하수 파이프(11;12)에 대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2;221;222)는 벽과 바닥을 가지는 물받이통(trough)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구조(2)에 제공되는 상기 리세스(22;221;222)는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의 표면영역과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표면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가지고,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와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은 상기 갑판층(21)보다 소정 높이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구조(2)에 배치되는 리세스(22;221;222)는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깊이(s3) 또는 젖은 공간(6)의 깊이(s4)와 동일한 폭(L1;L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유닛(3)은 갑판구조(2) 상에서 서로 대향 또는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공간유닛(3)의 젖은 공간(6) 및 외부 서비스시설(5)은 서로 대향 또는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공간유닛의 외부 서비스시설(5)은 적어도 하나의 갑판구조 관통부(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닛(3)은 예컨대, 선실, 수용공간, 공용 공간 또는 욕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적어도 하나의 갑판구조(2)를 구비한 플로팅 구조(1)의 건조방법으로서,
젖은 공간(6)과 외부 서비스시설(5)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유닛(3)이 상기 갑판구조(2) 상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갑판구조(2)는 갑판층(21)을 구비하며, 상기 젖은 공간(6)은 배출파이프(8)를 가지는 바닥구조(61)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은 바닥(51)을 가지며, 공간유닛(3)을 상기 갑판구조(2)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적어도 표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22;221;222)가 상기 갑판 구조(2)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적어도 바닥(51)이 상기 갑판층(21) 아래의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플로팅 구조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에 의하여 적어도 제공되는 낮춰진 표면영역(A)에서 발생하는 누설이 누설 탐지기(10)에 의하여 모니터링되거나, 상기 누설이 하수 파이프(11;12)로 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에 의하여 적어도 제공되는 낮춰진 표면영역(A)에 상기 하수 파이프(11;12)에 대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의 건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2;221;222)는 벽과 바닥을 가지는 물받이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의 건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구조(2)에 제공되는 상기 리세스(22;221;222)는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의 표면영역과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의 표면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가지고, 젖은 공간(6)의 바닥구조(61)와 외부 서비스시설(5)의 바닥(51)은 상기 갑판층(21)보다 소정 높이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의 건조방법. - 제 8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2;221;222)는 상기 외부 서비스시설(5)의 깊이(s3) 또는 젖은 공간(6)의 깊이(s4)와 동일한 폭(L1;L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의 건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유닛(3)이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공간유닛(3)의 젖은 공간(6) 및 이에 결합되는 외부 서비스시설(5)이 서로 대향 또는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공간유닛의 외부 서비스시설(5)은 적어도 하나의 갑판구조 관통부(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의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145318 | 2014-04-01 | ||
FI20145318 | 2014-04-01 | ||
PCT/FI2015/050224 WO2015150633A1 (en) | 2014-04-01 | 2015-03-30 | Float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0896A true KR20160140896A (ko) | 2016-12-07 |
Family
ID=5318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0615A KR20160140896A (ko) | 2014-04-01 | 2015-03-30 | 플로팅 구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EP (1) | EP3126215B1 (ko) |
JP (1) | JP2017509540A (ko) |
KR (1) | KR20160140896A (ko) |
CN (1) | CN106458291B (ko) |
ES (1) | ES2665346T3 (ko) |
HR (1) | HRP20180472T1 (ko) |
NO (1) | NO3126215T3 (ko) |
PL (1) | PL3126215T3 (ko) |
WO (1) | WO2015150633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62984C (fi) * | 1980-10-24 | 1987-02-17 | Waertsilae Oy Ab | System foer hyttelement i fartyg. |
US4622911A (en) * | 1983-03-24 | 1986-11-18 | Hopeman Brothers, Inc. | Plumbing installation |
JPS62236972A (ja) * | 1986-04-08 | 1987-10-17 | 日本鋼管株式会社 | 舶用浴室ユニット構造 |
EP0731020A1 (en) * | 1995-03-08 | 1996-09-11 | A.T.I.S.A. Aero Termica Italiana S.p.A. | Prefabricated cubicle for sanitary facilities, in particular in the cabins of ships, or the like |
JPH09195537A (ja) * | 1996-01-12 | 1997-07-29 | Fujita Corp | 居住施設における居室とバスユニットの配置構造 |
US6016636A (en) * | 1998-06-04 | 2000-01-25 | Hopeman Brothers Marine Interiors Llc | Modular ship's cab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
FI116128B (fi) * | 2000-07-03 | 2005-09-30 | Aker Finnyards Oy | Poistovesikanavien kokoojajärjestely, järjestely vesipisteiden poistovesikanavien liittämiseksi kokoojakanavaan sekä menetelmä vesipisteillä varustetun hyttielementtijärjestelyn aikaansaamiseksi |
US6957990B2 (en) * | 2002-08-21 | 2005-10-25 | Lowe Jerry W | Electric houseboat |
FI116616B (fi) * | 2003-04-07 | 2006-01-13 | Piikkio Works Oy | Menetelmä kelluvan rakenteen ja siihen tarkoitetun esivalmistetun tilayksikön valmistamiseksi sekä kelluva rakenne ja esivalmistettu tilayksikkö |
JP2008174154A (ja) * | 2007-01-19 | 2008-07-31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排水用貯留タンクを備えた船舶 |
FI9286U1 (fi) * | 2011-03-14 | 2011-07-07 | Stx Finland Cabins Oy | Esivalmistettu lattiaton itsekantava tilaelementti |
-
2015
- 2015-03-30 WO PCT/FI2015/050224 patent/WO201515063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30 JP JP2016560547A patent/JP2017509540A/ja active Pending
- 2015-03-30 EP EP15722730.7A patent/EP3126215B1/en active Active
- 2015-03-30 PL PL15722730T patent/PL3126215T3/pl unknown
- 2015-03-30 NO NO15722730A patent/NO3126215T3/no unknown
- 2015-03-30 CN CN201580018218.2A patent/CN106458291B/zh active Active
- 2015-03-30 KR KR1020167030615A patent/KR2016014089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3-30 ES ES15722730.7T patent/ES2665346T3/es active Active
-
2018
- 2018-03-19 HR HRP20180472TT patent/HRP20180472T1/hr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RP20180472T1 (hr) | 2018-05-04 |
PL3126215T3 (pl) | 2018-07-31 |
CN106458291A (zh) | 2017-02-22 |
WO2015150633A1 (en) | 2015-10-08 |
EP3126215A1 (en) | 2017-02-08 |
JP2017509540A (ja) | 2017-04-06 |
ES2665346T3 (es) | 2018-04-25 |
EP3126215B1 (en) | 2018-01-10 |
NO3126215T3 (ko) | 2018-06-09 |
CN106458291B (zh) | 2018-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284825A1 (en) | Pool gutter with deck grate adapter | |
JP6768436B2 (ja) | 排水チャンバー | |
KR20160140896A (ko) | 플로팅 구조 | |
JP2008002258A (ja) | 排水システム | |
CN111021487A (zh) | 一种卫生间不降板同层排水系统 | |
KR20130047958A (ko) | 해양구조물의 장비 스키드용 드레인구조 | |
JP4429374B2 (ja) | 排水管構造 | |
JP6412732B2 (ja) | 汚水排出システム | |
EP2531663A1 (en) | Balcony construction | |
US8607373B2 (en) | Pool fluid control system | |
KR101714504B1 (ko) | 해양구조물의 컬럼을 이용한 배수장치 | |
JP7344691B2 (ja) | 排水構造 | |
JP6198446B2 (ja) |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 |
JP7274962B2 (ja) | 排水構造 | |
JP2008280731A (ja) | 無勾配排水システム、配管メンテナンス方法 | |
AU2018206431A1 (en) | Plumbing fixture | |
KR101205380B1 (ko) | 배수 시스템 | |
JP5085977B2 (ja) | 配管メンテナンス方法 | |
JP2007063944A (ja) | ポンプ装置 | |
JP2021017725A (ja) | 排水構造 | |
JP3517397B2 (ja) | 住戸の水抜き構造 | |
JP6071096B1 (ja) | 防災水洗トイレシステム | |
JP6795328B2 (ja) | 悪臭防止型排水設備 | |
KR20160116928A (ko) | 욕실 바닥 구조물 | |
JPH047257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