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006B1 -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006B1
KR101064006B1 KR1020090018067A KR20090018067A KR101064006B1 KR 101064006 B1 KR101064006 B1 KR 101064006B1 KR 1020090018067 A KR1020090018067 A KR 1020090018067A KR 20090018067 A KR20090018067 A KR 20090018067A KR 101064006 B1 KR101064006 B1 KR 10106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ayer
electrode
laye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523A (ko
Inventor
강정모
김두현
김재욱
최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006B1/ko
Priority to EP10155256.0A priority patent/EP2226856B1/en
Priority to US12/716,922 priority patent/US9705037B2/en
Priority to TW099106095A priority patent/TWI479687B/zh
Priority to JP2010046412A priority patent/JP2010206207A/ja
Priority to CN201010128466.1A priority patent/CN101834247B/zh
Publication of KR2010009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4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01L33/385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the electrode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onto a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01L33/38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the electrode extending partially in or entirely through the semiconductor body

Abstract

실시예는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 상에 단차를 가진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발광소자, 전류 밀집현상

Description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
실시예는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질화물 반도체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폭넓은 밴드갭 에너지에 의해 광소자 및 고출력 전자소자 개발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청색, 녹색, UV 발광다이오드(Light Emiting Diode : LED)는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발광다이오드는 디스플레이용 광원, 실내외 조명 및 자동차 헤드램프등의 광원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고출력의 응용을 위해서는 LED의 광출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LED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수직단면도이다.
현재 수직형 LED의 구조는 도 1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전극과 +전극을 위치시켜 각각의 전극을 통하여 전자와 정공을 주입시킨 후 내부의 활성층(Active layer)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발광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LED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도 2와 같이 n전극과 p전극으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LED 내부에서 균일하게 공급되어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공급 또는 재결합 현상이 발생되고 다른 부분에서는 전류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는 전류밀집 현상(C)이 발생하게 된다.
전류의 부분적인 밀집현상은 소자에 큰 스트레스를 줄 뿐 아니라 발광 균일도를 나쁘게 한다. 이러한 전류의 밀집현상은 전류의 공급량을 늘릴수록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즉, 일정량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면 광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감소하기 시작하여 인가되는 전류와 광출력의 관계가 더 이상 선형적이지 않게 되는 문제와 더 많은 전류가 인가되면 인가될수록 더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부분적으로 다른 부분보다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면 전반적으로 LED의 성능과 수명을 열화 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들은 1×1mm2 이상의 대면적이나 고출력 LED의 경우 300mA 이상의 고전류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더 심해진다.
실시예는 수직형 발광소자의 전류 밀집현상 개선하고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 상에 단차를 가진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및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단차를 가진 도전성 기판;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수직형 발광소자에서 제1 도전형 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구조, 또는 도전성 기판에 단차를 도입함으로써 전류 밀집현상을 완화시키고 상부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서 단차 도입에 따른 상부 광출효율 향상에 대한 개념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0), 활성층(120)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120) 상에 단차(Step:S)를 가진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수직형 발광소자에서 제1 도전형 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구조, 또는 도전성 기판에 단차를 도입함으로써 전류 밀집현상을 완화시키고 상부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전류의 밀집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중앙부의 n-전극 패드에서 주입된 전자가 활성층(active layer)을 통과하기 위한 경로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즉 전류는 상대적으로 경로가 짧고 저항 성분도 작은 n-전극 패드에서 p-전극까지 수직방향의 경로로 흐르기 때문에 n-전극 패드 아래에 전류가 밀집되는 반면 n-전극 패드에서 외곽 방향일수록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의 전류 흐름이 동시에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전류의 흐름경로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며 수평방향의 추가적인 저항 성분이 발생하게 되어 전류의 퍼짐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수평방향에 비해 수직방향의 길이가 상당히 짧기 때문에 전류의 대부분은 실제로 수직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LED의 외곽부분은 전류의 흐름이 작고 중심부분은 전류의 흐름이 커서 전류의 밀집 현상이 발생한다.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예를 들어, n형 GaN층에 계단형의 단차 구조를 도입하여 중앙부로 흐르는 전류는 길이를 가장 길게 하고 중앙에서 외곽방향일 수록 길이를 짧게 하여 실제 n-전극 패드에서 p-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유효길이를 가능한 균일하게 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전류에 의한 효과를 상쇄시켜 전체적인 LED에서 전류 밀집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패드(165)가 형성된 영역의 상기 제1 전극(160)과 상기 활성층(120)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패드(165)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상기 제1 전극(160)과 상기 활성층(120)간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실시예에서 n형 GaN층에 형성된 계단형의 단차는 부분적이고 반복적인 식각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단차의 깊이 또한 제어가 가능하다.
발광소자의 실제 가로세로 치수에 의해 전류의 유효 경로 길이가 달라지므로 실제 n형 GaN층에 형성된 계단형의 단차는 발광소자의 가로 세로 치수에 의해 최적화 될 수 있다.
즉 사이즈가 대면적화되고 구동전류가 증가할수록 단차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전류의 유효 경로를 비슷하게 맞추어 줌으로써 발광소자의 사이즈나 구동전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상부로 추출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는 n형 GaN층에 계단형의 단차는 단차가 없는 구조에 비해 발광면적이 단차부분만큼 증가하여 실제 상부 면적이 증가 함으로써 상부측으로 더 많은 빛을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단차가 없는 경우 전반사 각에 해당되어 발광소자 내부로 유입되는 광의 일부는 실시예에서 단차를 형성시킴으로써 입사각이 바뀌기 때문에 전반사 되지 않고 외부로 추출됨으로써 단차가 없는 경우보다 단차를 도입하는 경우 전반사하는 광을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광추출에 일정부분 기여하게 되어 이 두가지 효과만큼 상부로의 광추출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인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계단형의 단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전극(160)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되고 형성 될 수 있으나 실시예의 하나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제1 전극(160)은 제1 패드(165)를 둘러 쌓고 있는 사각형의 예를 들었으나 원형이나 빗살 무늬 등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실시예에서 제안한 효과를 극대로 얻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제1 전극의 일부분이 단차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60)은 상기 단차가 형성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 상면에 복수의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같이 제1 기판을 준비한다. 상기 제1 기판(100)은 사파이어(Al2O3) 단결정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기판(100)에 대해 습식세척을 실시하여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기판(100)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은 화학증착방법(CVD) 혹은 분자선 에피택시 (MBE) 혹은 스퍼터링 혹은 수산화물 증기상 에피택시(HVPE)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N형 GaN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은 챔버에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실리콘(Si)와 같은 n 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실란 가스(SiH4)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 상에 활성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활성층(12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0)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이 서로 만나서 활성층(발광층) 물질 고유의 에너지 밴드에 의해서 결정되는 에너지를 갖는 빛을 방출하는 층이다. 활성층(120)은 에너지 밴드가 서로 다른 질화물 반도체 박막층을 교대로 한 번 혹은 여러 번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양자우물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층(120)은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트리메틸 인듐 가스(TMIn)가 주입되어 InGaN/GaN 구조를 갖는 다중 양자우물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기 활성층(120) 상에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0)은 챔버에 트리메틸 갈륨 가스(TMGa), 암모니아 가스(NH3), 질소 가스(N2), 및 마그네슘(Mg)과 같은 p 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비세틸 사이클로 펜타디에닐 마그네슘(EtCp2Mg){Mg(C2H5C5H4)2}가 주입되어 P형 GaN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0) 상에 제2 전극(1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30)은 오믹층, 반사층, 접착층, 제2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140)은 오믹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공주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단일 금속 혹은 금속합금등을 다중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믹층은 ITO, IZO(In-ZnO), GZO(Ga-ZnO), AZO(Al-ZnO), AGZO(Al-Ga ZnO), IGZO(In-Ga ZnO), IrOx, RuOx, RuOx/ITO, Ni/IrOx/Au, 및 Ni/IrOx/Au/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140)은 활성층(12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는 Al, Ag, 혹은 Al이나 Ag를 포함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이나 은 등은 본질적으로 활성층에서 발생된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140)은 접착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반사층이 접착층의 기능을 하거나, 니켈(Ni), 금(Au) 등을 이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전극(140)은 제2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이 약 50㎛이상으로 충분히 두꺼운 경우에는 제2 기판(200)을 형성하는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200)은 효율적으로 정공을 주입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금속합금, 혹은 전도성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판(200)은 구리(Cu), 구리합금(Cu Alloy) 또는 SiGe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20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전기화학적인 금속증착방법이나 공융금속을 이용한 본딩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과 같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기판(100)을 제거한다. 상기 제1 기판(100)을 제거하는 방법은 고출력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1 기판(100)을 분리하거나 화학적 식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00)은 물리적으로 갈아냄으로써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은 제1 기판(100) 제거시 발생되는 표면 결함층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결함층은 습식 혹은 건식 식각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에 단차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에 제1 패턴(3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패턴(310)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에 제1 단차(S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광막 패턴(310)을 이후의 제1 패드(165)가 형성될 영역에 형성하고, 제1 감광막 패턴(310)을 식각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을 일부 식각하여 제1 단차(S1)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와 같이 상기 제1 패턴(310)을 제거하고, 상기 제1 패턴(310) 보다 폭이 넓은 제2 패턴(320)을 형성하여 제2 단차(S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310)을 애슁 등에 방법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제1 패턴(310)보다 폭이 넓은 제2 패턴(320)을 감광막 등으로 형성한 후 상기 제2 패턴(320)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을 식각하여 제2 단차(S2)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상기 단차(S)가 형성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 상에 제1 전극(160)을 형성한다.
실시예는 상기 단차가 형성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 상에 다양한 형태의 제1 전극(16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계단형의 단차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전극(160)이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되고 형성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60)은 제1 패드(165)를 둘러 쌓고 있는 사각형의 예를 들었으나 원형이나 빗살 무늬 등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실시예에서 제안한 효과를 극대로 얻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제1 전극의 일부분이 단차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전극(160) 상에 제1 패드(165)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수직형 발광소자에서 제1 도전형 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구조에 단차를 도입함으로써 전류 밀집현상을 완화시키고 상부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1 내지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공정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기술적인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도전성 기판(100a)에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 기판(100a)에 단차(S)가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 제1 실시예와 차별되는 점을 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1과 같이 도전성 기판(100a)이 준비된다. 상기 도전성 기판(100a) 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기판(100a)으로는 갈륨질화물(예, GaN), 갈륨산화물(예, Ga2O3), 산화아연(ZnO), 실리콘 카바이드(SiC) 혹은 금속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진 단결정 기판일 수 있다.
이후,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도전성 기판(100a) 상에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0), 활성층(120), 제2 도전형 반도체층(1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전성 기판(100a)의 하측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기판(100a)의 하부층을 얇게 만드는 폴리싱(polishing) 처리를 실시한다. 폴리싱을 실시하여 얇아지는 도전성 기판(100a)의 두께는 제조하고자 하는 소자의 응용 제품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400~500㎛로 형성된 도전성 기판(100a)을 폴리싱하여 약 70~100㎛의 두께를 남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전성 기판(100a) 위에 박막성장장비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질화물 반도체 박막을 형성하게 되면 도전성 기판(100a)의 하부면이 높은 박막성장 온도와 반응성 가스들에 의해서 표면 결정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도전성 기판(100a)의 하부층을 폴리싱하는 것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와 같이 상기 도전성 기판(100a)에 단차(S)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차(S)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실시예의 내용을 채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차가 형성된 도전성 기판(100a) 상에 제1 전극(160)을 형성하고, 제1 전극(160) 상에 제1 패드(165)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 의하면, 수직형 발광소자에서 제1 도전형 또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구조, 또는 도전성 기판에 단차를 도입함으로써 전류 밀집현상을 완화시키고 상부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LED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평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에서 단차 도입에 따른 상부 광출효율 향상에 대한 개념도.
도 6 내지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의 공정단면도.
도 11 내지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공정 단면도.

Claims (4)

  1.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단차를 가진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단차가 형성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면에 복수의 계단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드가 형성된 영역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활성층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활성층간의 거리보다 먼 발광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1개 이상인 발광소자.
  3. 제2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단차를 가진 도전성 기판; 및
    상기 도전성 기판 상에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단차가 형성된 도전성 기판 상면에 복수의 계단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드가 형성된 영역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활성층 간의 수직 거리가 상기 제1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활성층간의 거리보다 먼 발광소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1개 이상인 발광소자.
KR1020090018067A 2009-03-03 2009-03-03 발광소자 KR10106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67A KR101064006B1 (ko) 2009-03-03 2009-03-03 발광소자
EP10155256.0A EP2226856B1 (en) 2009-03-03 2010-03-02 Light emitting device
US12/716,922 US9705037B2 (en) 2009-03-03 2010-03-03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W099106095A TWI479687B (zh) 2009-03-03 2010-03-03 發光裝置、發光裝置封裝及其照明系統
JP2010046412A JP2010206207A (ja) 2009-03-03 2010-03-03 発光素子、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これを備える照明システム
CN201010128466.1A CN101834247B (zh) 2009-03-03 2010-03-03 发光器件、发光器件封装和包括发光器件封装的照明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067A KR101064006B1 (ko) 2009-03-03 2009-03-03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523A KR20100099523A (ko) 2010-09-13
KR101064006B1 true KR101064006B1 (ko) 2011-09-08

Family

ID=421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067A KR101064006B1 (ko) 2009-03-03 2009-03-03 발광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05037B2 (ko)
EP (1) EP2226856B1 (ko)
JP (1) JP2010206207A (ko)
KR (1) KR101064006B1 (ko)
CN (1) CN101834247B (ko)
TW (1) TWI4796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39B1 (ko) * 2010-04-19 2011-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반도체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101735672B1 (ko) 2010-10-29 2017-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CN102157654B (zh) * 2011-03-30 2013-09-25 重庆大学 基于双面凹孔衬底及组分渐变缓冲层的倒装led芯片
TW201242084A (en) * 2011-04-15 2012-10-16 Lextar Electronics Corp Chip structure for enhanc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nd process using the same
JP5736930B2 (ja) * 2011-04-19 2015-06-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JP2015177030A (ja) * 2014-03-14 2015-10-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15177031A (ja) * 2014-03-14 2015-10-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発光装置
DE102014223003B4 (de) * 2014-11-11 2018-12-2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mit Streustrahlung
CN105742453A (zh) * 2014-12-08 2016-07-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Led芯片及其制备方法
US10811562B2 (en) * 2015-02-03 2020-10-20 Sony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CN104600164B (zh) * 2015-02-06 2017-05-24 扬州乾照光电有限公司 一种高效电流注入发光二极管及其生产方法
CN105304782B (zh) * 2015-10-10 2017-12-26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蓝绿发光二极管芯片
CN105374908B (zh) * 2015-10-10 2017-09-05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蓝绿发光二极管芯片制作工艺
CN105355744B (zh) * 2015-12-11 2017-10-31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倒装蓝绿发光二极管芯片
JP6912962B2 (ja) * 2017-07-26 2021-08-04 旭化成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紫外線発光モジュール
TWI630729B (zh) * 2017-08-28 2018-07-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CN107546307B (zh) * 2017-09-13 2019-04-19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CN116230743B (zh) * 2022-04-09 2024-02-23 重庆理工大学 一种氧化镓pn异质结二极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857A (ja) * 2005-08-03 2007-02-15 Nichia Chem Ind Ltd 半導体発光素子と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装置
JP2008288572A (ja) * 2008-04-07 2008-11-27 Nichia Corp 窒化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872A (ja) 1981-09-03 1983-03-09 Nec Corp 半導体発光素子
JPS62139365A (ja) 1985-12-12 1987-06-23 Fumio Inaba 多段型半導体発光素子
US5309001A (en) * 1991-11-25 1994-05-0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diode having a surface electrode of a tree-like form
ATE550461T1 (de) * 1997-04-11 2012-04-15 Nichia Corp Wachstumsmethode für einen nitrid-halbleiter
JP3822976B2 (ja) * 1998-03-06 2006-09-20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29648B1 (en) * 1998-04-06 2001-05-08 Unic View Ltd. Compact projector
US6225648B1 (en) 1999-07-09 2001-05-01 Epistar Corporation High-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
DE10056292A1 (de) * 2000-11-14 2002-09-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umineszenzdiode
US6898227B2 (en) 2001-12-14 2005-05-24 Adc Telecommunications, Inc. Semiconductor laser with a tapered ridge
TW576864B (en) * 2001-12-28 2004-02-21 Toshiba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evice
JP4151282B2 (ja) * 2002-03-01 2008-09-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発光素子
JP4258191B2 (ja) * 2002-09-13 2009-04-3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5347492A (ja) * 2004-06-02 2005-12-15 Sanken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CA2621462C (en) * 2004-09-17 2013-01-08 0783963 Bc Ltd. Hydrocarbon processing devices and systems for engines and combustion equipment
JP4580929B2 (ja) * 2004-10-14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装置、編集装置、およびデジタルビデオ記録システム
JP2006253298A (ja) * 2005-03-09 2006-09-21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JP2006324324A (ja) * 2005-05-17 2006-11-30 Sumitomo Electric Ind Ltd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窒化物半導体基板
US7606276B2 (en) * 2005-05-19 2009-10-20 Panasonic Corporatio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7112633A (ja) 2005-10-17 2007-05-10 Toshiba Corp 窒化物半導体ウェーハ及び窒化物半導体素子
JP2007123517A (ja) * 2005-10-27 2007-05-17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JP5032017B2 (ja) * 2005-10-28 2012-09-2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発光装置
KR100786797B1 (ko) 2006-02-07 2007-12-18 한국광기술원 실리콘 기판 3족 질화물계 적층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및 그 제작방법
KR101221067B1 (ko) * 2006-02-09 201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지 도파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KR100896576B1 (ko) * 2006-02-24 2009-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232969B2 (ja) * 2006-03-23 2013-07-10 豊田合成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732191B1 (ko) * 2006-04-21 2007-06-27 한국과학기술원 다층 반사기 구조의 고효율 발광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160063A (ja) * 2006-10-20 2008-07-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窒化物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素子
JP4835377B2 (ja) * 2006-10-20 2011-12-14 日立電線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WO2008047923A1 (fr) * 2006-10-20 2008-04-2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Dispositif de diode émettrice de lumière à semi-conducteur à base de nitrure
US7692203B2 (en) * 2006-10-20 2010-04-06 Hitachi Cable,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867529B1 (ko) * 2006-11-14 2008-11-10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형 발광 소자
KR101272706B1 (ko) 2006-12-28 2013-06-10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양극 알루미늄산화층을 이용하여 패턴된 반도체층을 갖는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8053789B2 (en) 2006-12-28 2011-11-08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101241958A (zh) * 2007-02-08 2008-08-1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装置及其制造方法
CN101241959A (zh) * 2007-02-08 2008-08-1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80089880A (ko) 2007-04-03 2008-10-08 김종철 휠 밸런스 웨이트
CN101355118A (zh) 2007-07-25 2009-01-28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光学复合膜作电极的GaN功率型LED的制备方法
KR101423721B1 (ko) * 2007-10-09 2014-07-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나노 패턴들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방법
JP2010067890A (ja) * 2008-09-12 2010-03-25 Hitachi Cable Ltd 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857A (ja) * 2005-08-03 2007-02-15 Nichia Chem Ind Ltd 半導体発光素子と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装置
JP2008288572A (ja) * 2008-04-07 2008-11-27 Nichia Corp 窒化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06207A (ja) 2010-09-16
TWI479687B (zh) 2015-04-01
EP2226856A1 (en) 2010-09-08
CN101834247B (zh) 2015-11-25
EP2226856B1 (en) 2016-05-04
US20100224899A1 (en) 2010-09-09
CN101834247A (zh) 2010-09-15
US9705037B2 (en) 2017-07-11
KR20100099523A (ko) 2010-09-13
TW201037870A (en) 201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006B1 (ko) 발광소자
KR101007130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4053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7139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4731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0615A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JP5816243B2 (ja) 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100986440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75345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JP2004071655A (ja) 発光素子
KR101039880B1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1154750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677753B2 (ja)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14047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9701A (ko) 발광소자,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00122998A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3962A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956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KR102200000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EP2221886B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20160145413A (ko) 적색 발광소자, 적색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102181429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KR20110092728A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299735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KR102181398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