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635B1 -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635B1
KR101063635B1 KR1020057006437A KR20057006437A KR101063635B1 KR 101063635 B1 KR101063635 B1 KR 101063635B1 KR 1020057006437 A KR1020057006437 A KR 1020057006437A KR 20057006437 A KR20057006437 A KR 20057006437A KR 101063635 B1 KR101063635 B1 KR 10106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pter
information
tit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230A (ko
Inventor
켄이치로 아리도메
오사무 다테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3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기록 매체의 파이널라이징 처리에 있어서 그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각 챕터에 관한 정보를 톱 메뉴에 반영시킨다.
타이틀 검색부(310)는, 기록 매체로서의 광디스크로부터 그 광디스크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한다. 챕터 검색부(320)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한다. 대표 화상 선택부(340)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에 있어서의 대표 화상을 선택한다. 메뉴 생성부(350)는, 챕터 검색부(320)에 의해 얻어진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생성한다.
정보 기록, 기록 매체

Description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 매체의 파이널라이징 처리(finalization process)에 있어서 그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각 챕터에 관한 정보를 톱 메뉴에 반영시키는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가 주목받고 있다. 광디스크의 하나의 규격으로서 채용되고 있는 DVD-Video 규격에서는, 예를 들면 편면 1층의 12㎝ 디스크에서 약 4.7G바이트, 편면 1층의 8㎝ 디스크에서 약 1.5G바이트의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이 DVD-Video 규격은, 영화 등의 컨텐츠 상품의 미디어로서 채용되고 있다. 이 DVD-Video 규격에 준거한 디스크는, DVD-Video 재생 장치(이른바, DVD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광디스크의 이용 범위를 확대하여, 유저측에서 기록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광디스크도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동일 영역에 관해 한번만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DVD-R 규격이나, 반복 재기록 가능한 DVD-RW 규격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DVD-R이나 DVD-RW에서는, 잔존 용량이 있는 한 추가기록 또는 재기록에 의해 그 기록 내용이 갱신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갱신 가능한 상태인 채로는, DVD-Video 규격에 준거하지 않고, 상술한 DVD-Video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에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DVD-R이나 DVD-RW에 있어서의 기록 형식이 DVD-Video 규격에 준거하도록, 소정의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파이널라이징 처리라고 부른다. 이 파이널라이징 처리가 완료된 디스크에는 그 이후 데이터를 추기할 수는 없게 되지만, DVD-RW의 경우는 언파이널라이징 처리를 시행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되돌릴 수 있다.
그런데, DVD-Video 규격에서는, 하나의 디스크당 최대 99의 타이틀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각 타이틀은 최대 99의 챕터(PTT : Part of TiTle)를 포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DVD-R이나 DVD-RW에 대해 캠코더(camcorder : camera and recorder)에 의해 기록을 행하는 경우, 기록 시작부터 기록 종료까지의 1회의 기록 단위가 챕터로서 기록되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킬 때까지 동일한 타이틀로서 기록된다. 타이틀을 닫는 소정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가 이젝트(배출)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챕터에 달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셀에 달한 경우, 동화 기록으로부터 정지화 기록으로 이행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이 캠코더에 의해 기록된 디스크가 파이널라이징 처리되면, 톱 메뉴에는 타이틀마다 메뉴가 제시된다. 만약, 챕터마다 메뉴를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톱 메뉴에서 소망하는 타이틀을 선택한 다음 그 타이틀의 챕터 메뉴로 이행하여야 한다(예를 들면, 특개2001-326910호 공보(도 4) 참조).
또한, 광디스크상의 각 정보에 관한 논리 구조에 관해서는, 특개평10-50035 호 공보(도 7)나 특개2003-91975호 공보(도 9)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캠코더에 의해 기록된 디스크가 파이널라이징 처리되면, 톱 메뉴에 타이틀마다 메뉴가 제시되고, 챕터마다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각 타이틀의 챕터 메뉴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캠코더에 있어서의 타이틀의 구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절반은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고, 반드시 기록 내용과 연동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챕터마다 메뉴를 참조하기 위해 톱 메뉴와 챕터를 왕래한 것은 오히려 번거로운 것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파이널라이징 처리에 있어서 그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각 챕터에 관한 정보를 톱 메뉴에 반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타이틀 검색 수단과, 상기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타이틀에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챕터 검색 수단과,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메뉴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판독된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가 생성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뉴 생성 수단이, 상기 각 챕터의 촬영 시각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톱 메뉴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톱 메뉴에서 촬영 시각을 용이하게 파악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챕터에서의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메뉴 생성 수단이, 상기 대표 화상과 대응하는 상기 표시 영역을 관련시켜 상기 톱 메뉴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톱 메뉴에 각 챕터의 대표 화상을 포함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3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이, 상기 각 챕터의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이로써, 각 챕터의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톱 메뉴에 포함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4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이, 상기 각 챕터의 선두의 VOBU에서의 I픽쳐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이로써, 각 챕터의 선두의 VOBU에서의 I픽쳐를 톱 메뉴에 포함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4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이, 상기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속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속성을 갖지 않는 후속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이로써,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속성을 갖는 경우에는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시키지 않는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6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이, 상기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손떨림 보정 한계를 초과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손떨림 보정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후속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이로써,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손떨림 보정 한계를 초과한 것인 경우에는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시키지 않는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6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이, 상기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이펙트 촬영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펙트 촬영에 의하지 않는 후속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이로써, 최초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이펙트 촬영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시키지 않는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種別)을 상기 각 타이틀마다 검출하는 장치 종별 검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챕터 검색 수단이, 상기 장치 종별이 소정의 종별인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에 관한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장치 종별이 상기 소정의 종별이 아닌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관해서는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다. 이로써, 장치 종별이 소정의 종별인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를 톱 메뉴에 포함시키고, 소정의 종별이 아닌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관해서는 선두 챕터만을 톱 메뉴에 포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는, 제 9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챕터 검색 수단이,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에 관한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가 아닌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관해서는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다. 이로써,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를 톱 메뉴에 포함시키고, 캠코더가 아닌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관해서는 선두 챕터만을 톱 메뉴에 포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방법은,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타이틀에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판독된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한 톱 메뉴가 생성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방법은,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타이틀에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챕터에서의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순서와,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상기 대표 화상과 관련시켜 제시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한 톱 메뉴에 각 챕터의 대표 화상을 포함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방법은,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타이틀에서의 선두 챕터에 관해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상기 각 타이틀마다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장치 종별이 소정의 종별인 경우에는 상기 선두 챕터에 계속된 각 챕터에 관해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장치 종별이 소정의 종별인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를 톱 메뉴에 포함시키고, 소정의 종별이 아닌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관해서는 선두 챕터만을 톱 메뉴에 포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4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타이틀에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판독된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한 톱 메뉴가 생성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5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타이틀에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챕터에서의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순서와,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상기 대표 화상과 관련시켜 제시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한 톱 메뉴에 각 챕터의 대표 화상을 포함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6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각 타이틀에서의 선두 챕터에 관해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상기 각 타이틀마다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장치 종별이 소정의 종별인 경우에는 상기 선두 챕터에 계속된 각 챕터에 관해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와,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장치 종별이 소정의 종별인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를 톱 메뉴에 포함시키고, 소정의 종별이 아닌 경우에는 그 타이틀에 관해서는 선두 챕터만을 톱 메뉴에 포함시킨다.
도 1은 DVD-Video 규격에 의한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에 있어서의 타이틀과 챕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비디오 오브젝트 세트(VOBS)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VOBU)과 부호화 화상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프로그램 체인(PGC)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PGCI)와 비디오 오브젝트 세트(VOBS)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비디오 매니저 정보(VMGI)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 정보(ARI_PCK)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기록 장치로서의 휴대 기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INC 방식(Incremental recording)에 의한 기록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ROW 방식(Restricted OverWrite mode)에 의한 기록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기록필 실 데이터 정보를 일시적으로 관리 하는 TMP_VMGI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작성되는 톱 메뉴의 한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작성되는 톱 메뉴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를 실현하는 기능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챕터 대표 화상 선택(스텝 S924)의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를 실현하는 기능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의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DVD-Video 규격에 의한 디스크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크는 원반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내주측에 리드 인 영역(711)이 마련되고, 외주측에 리드 아웃 영역(715)이 마련된다. 그리고,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 여 순번대로, 파일 시스템 영역(712)과, 관리 정보 영역(713)과, 데이터 기록 영역(714)이 마련된다. 파일 시스템 영역(712)은, 파일 시스템의 관리 영역이고, ISO9660 및 UDF(Universal Disk Format)의 규격에 준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관리 정보 영역(713)은,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 전체의 관리 정보를 보존하는 영역이다. 데이터 기록 영역(714)은, 각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내용 및 그 제어 정보를 보존하는 영역이다. 또한, 이들 영역은, 2048바이트의 논리 섹터로 구분된다.
관리 정보 영역(713)에는, VMG(Video ManaGer)(730)가 보존된다. 이 VMG(730)는, VMGI(VMG Information)(731)와, VMGM_VOBS(Video OBject Set for VMG Menu)(732)와, VMGI_BUP(VMGI for Back UP)(734)를 구비하고 있다. VMGI(7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의 타이틀마다 관리 정보나 톱 메뉴의 제어 정보 등을 보존한다. VMGM_VOBS(732)는, 톱 메뉴의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한, VMGI_BUP(734)는 VMGI(731)의 백업용 카피이다.
데이터 기록 영역(714)에는, VTS(Video Titles Set)(740)가 적어도 하나 보존된다. 각 VTS(740)는, 각각 VTSI(VTS Information)(741)와, VTSM_VOBS(Video OBject Set for VTS Menu)(742)와, VTSTT_VOBS(Video Object Set for Titles in a VTS)(743)와, VTSI_BUP(VTSI for Back UP)(744)를 구비하고 있다. VTSI(7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포함되는 타이틀의 챕터마다 관리 정보나 제어 정보 및 챕터 메뉴의 제어 정보 등을 보존한다. VTSM_VOBS(742)는, 챕터 메뉴의 데이터를 보존한다. VTSTT_VOBS(743)는, 그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포함되는 타이틀의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한, VTSI_BUP(744)는, VTSI(741)의 백업용 카피이다.
도 2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에 있어서의 타이틀과 챕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컨텐츠의 실(實) 데이터는 VTSTT_VOBS(743)에 기록된다. 각 VTS(740)에는, 최대 99타이틀까지 격납할 수 있다. 다만, 디스크 전체로서도 최대 99 타이틀까지 밖에 격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최대 타이틀 수는 다른 VTS의 사용 상황에 영향을 받게 된다.
VTS(740)에 있어서의 각 타이틀은, 적어도 하나의 챕터로 구분된다. 각 타이틀의 최대 챕터 수는 99이다. 캠코더에 있어서는 기록 시작부터 기록 종료까지의 1회의 기록 단위가 챕터로서 기록되고, 예를 들면, 디스크가 이젝트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챕터에 달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셀에 달한 경우, 동화 기록으로부터 정지화 기록으로 이행한 경우 등의 사상(事象)이 생길 때까지 동일 타이틀 내에 챕터가 생성되어 간다. 따라서, 캠코더에서 반복하여 기록을 행하고 있을 때에 타이틀 내의 챕터 수가 99에 달하면, 그 타이틀이 닫히고, 다음의 챕터는 새로운 타이틀 내에 생성된다.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챕터의 시작 위치를 보존하는 것은 VTSI(741)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VTSI(741)는 타이틀마다 관리 정보(TTU)로서 각 챕터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PTT_SRP)를 보존하고 있다.
도 3은, 비디오 오브젝트 세트(VOBS)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VMGM_VOBS(732), VTSM_VOBS(742) 및 VTSTT_VOBS(743)는, 각각의 데이터를 비디 오 오브젝트 세트(VOBS)로서의 보존한 것이고, 공통의 형식을 갖는다. 이 VOBS(760)는, 1개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VOB)(761)의 집합이다. 이 VOB(761)에는 VOB_ID 번호가 붙여지고,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이 VOB(761)는, 1개 이상의 셀(Cell)(762)에 의해 구성된다. 이 셀(762)은 리얼타임 재생 단위이고, VOB(761)와 마찬가지로 셀 ID 번호가 붙여진다.
셀(762)은, 1개 이상의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VOBU)(763)을 포함한다. 이 VOBU(763)는 내비게이션 팩(NV_PCK)(764)을 선두로 하는 팩 열(列)이다. 팩이란, 2048바이트의 고정 데이터이고, 선두의 NV_PCK(764) 외에, 영상 데이터를 보존하는 영상 팩(V_PCK)(765),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는 음성 팩(A_PCK)(766), 서브 픽쳐 데이터를 보존하는 서브 픽쳐 팩(SP_PCK)(767), 추가 기록 정보를 보존하는 추가 기록 정보 팩(ARI_PCK)(768) 등을 필요에 따라 구비한다.
NV_PCK(764)는, 팩 헤더(771)에 계속해서, 재생 제어 정보(PCI : Presentation Control Information)(772) 및 데이터 검색 정보(DSI : Data Search Information)(773)를 보존한다. PCI(772)는 재생 표시에 관한 제어 정보이고, 논 심레스 재생(non-seamless reproduction)을 위한 앵글 정보나, 서브 픽쳐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위한 정보 등을 보존한다. DSI(773)는 디스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어 정보이고, 심레스 재생(seamless reproduction)을 위한 앵글 정보나, 재생시간(0.5초×n)을 단위로 한 VOBU의 검색 정보 등을 보존한다.
도 4는, 비디오 오브젝트 유닛(VOBU)과 부호화 화상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VOBS(760) 내의 화상 데이터는, MPEG-2(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2)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다. 이 MPEG-2 부호화 방식에서는, GOP(Group Of Pictures)라고 불리는 15장의 화상에 의해 0.5초 정도의 동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에서는, 1장의 I픽쳐와, 4장의 P픽쳐와, 10장의 B픽쳐에 의해 합계 15장의 화상(511)에 의해 GOP(510)를 구성한 양상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I픽쳐는, 프레임 내 부호화 화상이고, 다른 P픽쳐나 B픽쳐와는 독립하여 부호화된 완결 화상이다. 한편, P픽쳐는,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I픽쳐 또는 P픽쳐와의 차분(差分)을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또한, B픽쳐는 시간적으로 전후 양방향의 I픽쳐 또는 P픽쳐와의 차분을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따라서, GOP에 있어서 독립하여 복호화할 수 있는 것은 I픽쳐뿐이다.
GOP 내의 15장의 화상은, 디스크상에서는 도 4의 (b)와 같이 일부의 순서가 교체되어 기록된다. 이것은, 상술한 부호화 방식의 특징에 의거한 것이고, 복호할 때에 시간적으로 후속의 화상을 기다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B픽쳐(B5)를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I픽쳐(I3)와 P픽쳐(P6)를 참조할 필요가 있지만, 도 4의 (b)와 같은 교체를 행함에 의해, B픽쳐(B5)를 복호화하는 시점에서 필요한 화상 데이터(I3 및 P6)가 정돈되어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화상(521)의 순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PTS(Presentation Time Stamp)(522) 및 DTS(Decoding Time Stamp)(523)라는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다. PTS(522)는 재생 출력의 시각 관리 정보이고, 그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단위 화상을 언제 재생 출력하는지를 나타낸다. 한편, DTS(523)는 복호의 시각 관리 정보이고, 그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단위 화상을 언제 복호하는지를 나타낸다.
부호화된 각 화상은, 도 4의 (c)와 같이 각각 하나 이상의 팩에 넣어진다. 예를 들면, I픽쳐(I3)는 V_PCK_I3(532)으로서 보존되고, B픽쳐(B1)는 V_PCK_B1(533)로서 보존된다. 그리고, NV_PCK(531)나 ARI_PCK(539) 등과 함께 VOBU를 구성한다.
도 5는, 프로그램 체인(PGC)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체인 정보(PGCI)와 비디오 오브젝트 세트(VOBS)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그램 체인(PGC)(600)은, 재생 단위인 셀(762)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PGCI)(610)와, 그 셀(762)을 보존하는 비디오 오브젝트 세트(VOBS)(620)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VOBS(620)를 구성하는 VOB나 셀에는 각각 ID 번호가 붙어 있지만, 이것은 반드시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PGCI(610)에 있어서의 셀 번호이다. 예를 들면, 도 5의 예에서는, PGCI(610)에 있어서의 셀 번호(CN)의 순서에 따라, VOBS(620)에 있어서의 셀이, VOB#1·Cell#1, VOB#1·Cell#2, VOB#2·Cell#1, VOB#3·Cell#1, VOB#3·Cell#2, VOB#4·Cell#1, VOB#4·Cell#2, VOB#4·Cell#3, VOB#5·Cell#1의 순으로 재생된다.
PGC(600)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셀 번호를 갖는 셀을 정리한 것을 하나의 프로그램(PG)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에는 프로그램 번호가 붙여진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프로그램 번호를 갖는 프로그램을 정리한 것을 챕터(PTT)로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예에서는, PG#1부터 #3이 PTT#1로서 정의되고, PG#4 및 #5가 PTT#2로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VOB#1·Cell#1, VOB#1·Cell#2, VOB#2·Cell#1, VOB#3·Cell#1, VOB#3·Cell#2가 1번째의 챕터가 되고, VOB#4·Cell#1, VOB#4·Cell#2, VOB#4·Cell#3, VOB#5·Cell#1이 2번째의 챕터가 된다.
도 6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VTSI(741)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 관리 테이블(VTSI_MAT : VTSI MAnagement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PTT 검색 포인터 테이블(VTS_PTT_SRPT : VTS PTT Search Pointer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PGCI 테이블(VTS_PGCIT : VTS PGCI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 PGCI 유닛 테이블(VTSM_PGCI_UT : VTS Menu PGCI Unit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시각 맵 테이블(VTS_TMAPT : VTS Time MAP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셀 어드레스 테이블(VTSM_C_ADT : VTS Menu Cell ADdress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VOBU 어드레스 맵(VTSM_VOBU_ADMAP : VTS Menu VOBU ADdress MAP), 비디오 타이틀 세트·셀 어드레스 테이블(VTS_C_ADT : VTS Cell ADdress Table) 및 비디오 타이틀 세트·VOBU 어드레스 맵(VTS_VOBU_ADMAP : VTS VOBU ADdress MAP)이라는 데이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VTS_PTT_SRPT는,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챕터의 포인터에의 액세스 정보이다. 도 2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PTT_SRP는 각 챕터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이고, 구체적으로는 각 챕터가 속하는 PGC의 PGC 번호 및 그 PGC에 있어서의 PG 번호에 의해 챕터를 특정한다. 이 PTT_SRP를 타이틀마다 보존하는 것이 TTU이고, 또한 TTU에의 포인터(TTU_SRP)를 보존하는 것이 VTS_PTT_SRPT이다. 따라서, 이 VTS_PTT_SRPT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함에 의해 소망하는 챕터의 PTT_SRP를 판독할 수 있고, 도 2와 같이 VTSTT_VOBS에 있어서의 챕터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VTSI에 있어서의 VTS_PGCIT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프로그램 체인을 재생 제어하기 위한 PGCI에의 액세스 정보이다. 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PGCI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마련할 수 있다. 이 VTS_PGCI에의 포인터(VTS_PGCI_SRP)가 VTS_PGCIT에 보존된다.
여기서, PGCI는, PGC 전반(全般) 정보(PGC_GI : PGC General Information), PGC 커맨드 테이블(PGC_CMDT : PGC CoMmanD Table), PGC 프로그램 맵(PGC_PGMAP : PGC ProGram Map), 셀 재생 정보 테이블(C_PBIT : Cell PlayBack Information Table) 및 셀 위치 정보 테이블(C_POSIT : Cell POSition Information Table)이라는 데이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PGC_CMDT는, 셀의 재생 전후 또는 재생중에 실행하여야 할 커맨드를 보존한다. PGC_PGMAP는, 각 프로그램의 시작 셀 번호를 보존한다. C_PBIT는, 각 셀의 카테고리나 각 셀 내의 선두 VOBU의 시작 어드레스 등을 보존한다. C_POSIT는, 각 셀의 VOB_ID 번호 및 셀 ID 번호를 보존한다. 따라서, PGC 번호와 PG 번호를 이미 알고 있다면 PGC_PGMAP로부터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시작 셀의 셀 번호를 취득할 수 있고, 또한 C_POSIT에 의해 셀 번호로부터 VOB_ID 번호 및 셀 ID 번호를 취득할 수 있다. 이로써, 도 5와 같이 VOBS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다. 즉, PTT_SRP의 PGC 번호 및 PG 번호로부터 VTSTT_VOBS에 있어서의 VOB_ID 번호 및 셀 ID 번호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비디오 매니저 정보(VMGI)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VMGI(731)는 비디오 매니저 정보 관리 테이블(VMGI_MAT : VMGI MAnagement Table), 타이틀 검색 포인터 테이블(TT_SRPT : TiTle Search Pointer Table), 비디오 매니저 메뉴 PGC 정보 유닛 테이블(VMGM_PGCI_UT : VMG Menu PGCI Unit Table), 페어렌털 관리 정보 테이블(PTL_MAIT : ParenTaL MAnagement Information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속성 테이블(VTS_ATRT : VTS AtTRibuTe Table), 텍스트 데이터 매니저(TXTDT_MG : TeXT DaTa ManaGer), 비디오 매니저 메뉴·셀 어드레스 테이블(VMGM_C_ADT : VMG Menu Cell ADdress Table) 및 비디오 매니저 메뉴·VOBU 어드레스 맵(VMGM_VOBU_ADMAP : VMG Menu VOBU ADdress MAP)이라는 데이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VMGM_PGCI_UT는, 톱 메뉴의 프로그램 체인을 재생 제어하기 위한 PGCI에의 액세스 정보이다. 톱 메뉴의 PGCI(VMGM_PGCI)는, 각 언어마다 하나 이상 마련할 수 있다. 이 VMGM_PGCI에의 포인터(VMGM_PGCI_SRP)는, 언어마다 VMGM_LU에 보존된다. 그리고, 이 언어마다 VMGM_LU에 대한 포인터가 VMGM_PGCI_UT에 보존된다. 따라서 이 VMGM_PGCI_UT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함에 의해 소망하는 VMGM_PGCI를 판독할 수 있고, 또한 도 5에 설명한 구조에 의해 톱 메뉴의 내용인 VMGM_VOBS(732)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추가 기록 정보(ARI_PCK)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ARI_PCK(768)에 포함되는 정보는, 추가 기록 정보 식별자,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록시간 정보, 카메라 정보의 4종류로 대별된다.
추가 기록 식별자는, 패킷 내 데이터가 추가 기록 정보인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식별자이고, 추가 기록 정보 데이터 식별자(ARI_DAT_ID)와, 그 버전 번호(ARI_DAT_VER)가 기록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에는, 제품의 제조원인 벤더명(VND_NAME), 제품명인 프로덕트명(PRD_NAME),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L_ID), 개발자 정보 데이터(MNFI_DATA), 장치 종별(PRD_TYP)이 포함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는 기록시의 기록 방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개발자용 데이터는, 개발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에어리어이고, 예를 들면 개발시의 디버그용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장치 종별은 기록시의 장치의 종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예를 들면, 휴대형의 캠코더에 의해 기록되었는지, 또는, 그 밖의 거치형(据置型)의 덱(레코더)에 의해 기록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이 장치 종별은, 벤더명 및 프로덕트로부터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그 경우에는 벤더명 및 프로덕트명을 키로 하여 장치 종별을 취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해진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경유에 의해 적절히 갱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시간 정보에는, 해당 추가 기록 정보가 포함되는 VOBU에 관한 추가 기록 정보 데이터(ARI_DATA)의 기록시의 타임 존(VOBU_LCL_TM_ZONE)과, ARI_DATA의 기록시간(VOBU_REC_TM)이 기록된다. VOBU_REC_TM은, 예를 들면, I픽쳐의 프레임의 촬영 시간으로서, 년, 월, 일, 시, 분, 초로 기술된다. VOBU_LCL_TM_ZONE은, VOBU_REC_TM에 대한 타임 존이 기록된다. 여기서, 타임 존이란, 유저가 기기에 설정한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로부터의 오프셋 시간이다. 즉, 기록 장치를 사용하는 나라의 시각(로컬 타임)에 대응한 시차(時差)이다. VOBU_REC_TM으로서, 유니버설 타임(전세계에서 시각을 기록할 때에 사용되는 공식의 시각)을 이용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VOBU_LCL_TM_ZONE는 제로로 설정된다.
카메라 정보에는, 촬영시의 설정 조건 등의 정보로서, F 넘버(F_NUM), 노출 시간(EXP_TM), 노출 프로그램(EXP_PRG), 노광 보정치(EXP_BIS_VAL), AGC 게인 값(AGC), 렌즈 최소 F값(MAX_APE_VAL), 플래시(FLS), 렌즈 초점 거리(FCL_LEN), 화이트밸런스(WHT_BAL), 촬영 씬 타입(SCN_CAP_TYP), 포커스 모드(FCS_MOD), 피사체 거리(FCS_POS), 손떨림 보정(IMG_STB), 손떨림 보정 한계(STB_LIM), 디지털 줌 배율(DIG_ZOM), 이펙트 촬영(EFFECT)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EXP_PRG에는, 촬영시에 카메라가 사용한 노출 프로그램의 클래스로서, 예를 들면, 지정없음, 매뉴얼, 노멀 프로그램, 프리세트의 어느 하나가 기록된다. 또한, 이 확장 정보로서, 촬영시에 카메라가 사용한 노출 프로그램의 클래스가 프리세트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게인 우선, 셔터 우선, 노출 우선의 어느 하나가 또한 기록된다.
AGC에는, 신호 처리계에서의 AGC 게인의 값이 기록된다. 또한, FLS에는 플래시 발광, 비발광, 충혈된 눈 방지 발광, 강제 발광 등의 촬영시의 스트로보의 상태가 기록된다.
WHT_BAL에는, 촬영시에 설정된 화이트밸런스의 조정 모드가 기록된다. 화이트밸런스의 조정 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자동」, 「홀드(HOLD)」, 「매뉴얼」, 「촛불」, 「백열등」, 「낮은 색온도의 형광등」, 「높은 색온도의 형광등」, 「 일광」, 「흐린 날씨」, 「지정없음」 등이 설정 가능하다.
SCN_CAP_TYP에는, 설정된 촬영시의 피사체 종별이 기록된다. 예를 들면, 「표준」, 「풍경화」, 「인물사진」, 「야경」, 「지정없음」 등이 설정 가능하다.
FCS_MOD에는, 「자동 포커스」, 「매뉴얼 포커스」, 「지정없음」 등의, 촬영시에 설정된 포커스 모드가 기록된다.
IMG_STB에는, 「손떨림 보정 온」 또는 「손떨림 보정 오프」, 「지정없음」 등,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작용하고 있었는지의 여부가 기록된다. 또한, STB_LIM에는, 카메라의 손떨림이 한계치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손떨림 보정을 할 수 없었던 경우에, 그 취지가 기록된다.
DIG_ZOM에는, 촬영시에 사용된 디지털 줌 배율이 기록된다. 또한, EFFECT에는, 이펙트 촬영이 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이펙트 촬영에 있어서의 이펙트의 종류가 기록된다.
이들 추가 기록 정보는, 다음과 같이 영상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영상 기록 장치로서의 휴대 기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휴대 기기(100)는 카메라부(10)와, 기록 재생 처리부(20)와,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부(10)는, 광학 블록(11)과, 카메라 제어부(12)와, 신호 변환기(13)와, 촬상 신호 처리부(14)와, 음성 입력부(15)와, 음성 신호 처리부(16)를 구비한다. 광학 블록(11)은, 내부에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렌즈군, 조리개 조정 기구, 포커스 조정 기구, 줌 기구, 셔터 기구, 플래시 기구 및 손떨림 보정 기구 등을 구 비한다. 카메라 제어부(12)는 제어부(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서, 광학 블록(11)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광학 블록(11)에 공급하여 줌 제어, 셔터 제어 및 노출 제어 등의 제어를 행한다.
신호 변환기(13)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그 결상면에, 광학 블록(11)을 통한 상이 결상된다. 이 신호 변환기(13)는, 셔터 조작에 따라 제어부(3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받아들임 타이밍 신호를 받아서, 결상면에 결상되어 있는 피사체상을 촬상 신호로 변환하고, 촬상 신호 처리부(14)에 공급한다.
촬상 신호 처리부(14)는,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촬상 신호에 대한 감마 보정이나 AGC(Auto Gain Control) 등의 처리를 행함과 함께, 촬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도 행한다. 음성 입력부(15)는, 촬영시의 피사체 주변의 음성을 수집한다. 이 음성 입력부(15)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16)에 공급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16)는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음성 신호에 관한 보정이나 AGC 등의 처리를 행함과 함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도 행한다.
기록 재생 처리부(20)는, 부호화/복호 회로(21)와, 디스크 인터페이스(23)와, 출력 처리부(24)와, 버퍼 메모리(25)를 구비한다.
부호화/복호 회로(21)는, 카메라부(10)로부터의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나 추가 기록 정보를 부호화하고 다중화하여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부호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부호화/복호 회로(21)는, 압축 데이터로부터 화상 신호 및 음성 신 호나 추가 기록 정보를 분리하여 복호하는 복호 기능을 갖는다. 또한, 부호화/복호 회로(21)는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촬상 신호 처리부(14)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해, 자동 화이트밸런스 제어, 노출 보정 제어, 디지털 줌 배율에 따른 확대 제어 등을 또한 행한다.
디스크 인터페이스(23)는, 부호화/복호 회로(21)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받아서 디스크(49)에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 인터페이스(23)는 디스크(49)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부호화/복호 회로(21)에 공급한다. 출력 처리부(24)는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부호화/복호 회로(21)로부터의 압축 데이터를 제어부(30)나 출력 단자(27 내지 29)에 공급한다. 버퍼 메모리(25)는, 예를 들면 SD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부호화/복호 회로(21)에 있어서의 부호화 또는 복호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제어부(30)는, 처리 장치(31)와, ROM(Read Only Memory)(33)과, RAM(Random Access Memory)(34)과, 조작 입력부(41)를 접속하기 위한 조작 입력 인터페이스(35)와, 표시부(42)를 접속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36)와, 메모리 카드(43)를 장전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7)와, 손떨림 보정을 위해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검출기(38)와, 촬영 시각을 기록하기 위한 시계 회로(39)가 시스템 버스(32)를 통하여 접속됨에 의해 구성된다.
처리 장치(31)는 제어부(30) 전체의 처리를 맡는 것이고, 작업 영역으로서 RAM(34)을 사용한다. ROM(33)에는 카메라부(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의 기록 제어 및 재생 제어 등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 록되어 있다.
조작 입력 인터페이스(35)에 접속되는 조작 입력부(41)에는,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 등의 다른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 키, 줌 조정 키, 노출 조정을 위한 키, 셔터 키, 동화 촬영용 키, 표시부(42)에 있어서의 표시 조정 키 등의 복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입력 인터페이스(35)는 조작 입력부(41)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처리 장치(31)에 전한다. 처리 장치(31)는 조작 입력부(41)에서 어느 키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른 제어 처리를 행한다.
표시 제어부(36)에 접속되는 표시부(42)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의해 구성되고, 처리 장치(31)의 제어하에, 카메라부(10)로부터의 화상 신호나, 디스크(49)로부터 판독된 화상 신호를 표시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7)는, 부호화/복호 회로(21)로부터의 압축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43)에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7)는 메모리 카드(43)로부터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부호화/복호 회로(21)에 공급한다. 시계 회로(39)는 년, 월, 일, 시간, 분, 초 등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각속도 검출기(38)는 휴대 기기(100)에 대해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스코프이다. 이 각속도 검출기(38)로부터의 각속도 정보[ω=(θ/초)]는, 소정 간격마다 처리 장치(31)에 보고된다. 그리고, 기록 시작부터의 적분치[θ]가 소정의 값(예를 들면 5°)을 초과하면, 손떨림 보정의 한계를 초과한 것으로 하여, 추가 기록 정보의 STB_LIM에 플래그가 세트된다. 또한, 이 ω는,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우로 어긋난 경우를 +ω, 좌로 어긋난 경우를 -ω로 하고 있고, 정부(正負) 양방향의 각각에 한계치를 갖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디스크의 파이널라이징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DVD-R이나 DVD-RW에 대해 기록을 행한 후, 그 내용을 DVD-Video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널라이징 처리가 필요하다. 이 파이널라이징 처리는 미디어에 대한 기록 방식에 의해 그 내용이 달라진다.
DVD-R 미디어에 대한 비디오 포맷의 기록을 위해서는 INC 방식(Incremental recording)이 사용된다. 이 INC 방식은, 시퀀셜적인 기록 방법으로서, 한번 기록한 것은 재기록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DVD-RW 미디어에 대한 비디오 포맷의 기록을 위해서는, INC 방식에 더하여 ROW 방식(Restricted OverWrite mode)이 사용된다. 이 ROW 방식은 재기록이 가능하지만, 미기록 영역에의 기록은 INC 방식과 마찬가지로 시퀀셜적인 기록 방식만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INC 방식 및 ROW 방식의 기록 영역 정보는, 리드 인 영역(711)(도 1)의 더욱 내측의 기록 관리 영역(RMA : Recording Management Area)이라고 불리는 영역에서 관리되고 있다.
도 10은, INC 방식에 의한 기록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INC 방식의 경우, 한번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리어는 최대 3개까지로 정의되어 있고, 그 에어리어를 Rzone라고 부른다. 이 Rzone의 관리도 상술한 RMA로 행하여지고 있다.
우선,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시스템용의 영역(RZone#1)과 VTSI용의 영역(RZone#2)이 예약된다. 이 RZone#2에 계속된(도시 생략) 영역은 불가시(不可視)한 RZone이고, 데이터를 유효하게 추기할 수 있는 영역이다.
도 10의 (b)에서는, 실 데이터 VTSTT_VOBS가 기록된다. 그리고, VTSI의 정보가 생성되고, 그 정보는 VTSTT_VOBS의 다음에 VTSI_BUP로서 기록된다.
도 10의 (c)에서는, RZone#2에, VTSI와 기록필 실 데이터 정보를 일시적으로 관리하는 임시 VMGI(TMP_VMGI : TeMPorary Video ManaGer Information)가 기록된다. 이 시점에서 제 1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1)가 완성된다.
도 10의 (d)에서는, VTS#1에 계속해서 다음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를 위한 영역(RZone#3)이 예약된다.
도 10의 (e)에서는, 다음의 실 데이터 VTSTT_VOBS가 기록된다. 그리고, VTSI의 정보가 생성되고, 그 정보는 VTSTT_VOBS의 다음에 VTSI_BUP로서 기록된다.
도 10의 (f)에서는, RZone#3에 VTSI와 TMP_VMGI가 기록된다. 이 시점에서 제 2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2)가 완성된다. TMP_VMGI에는 이 시점에서 VTS#1 및 VTS#2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기록의 도중 단계에서는 TMP_VMGI는 복수 부분에 기록되지만, 최외주에 있는 것이 최신의 TMP_VMGI이고, 이후의 처리도 그 최신의 TMP_VMGI에 따라 진행된다.
도 10의 (g)에서는, 같은 순서로 그 이후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가 기록되어 간다.
도 10의 (h)에서는, 파이널라이징 처리로서, 최신의 TMP_VMGI에 있어서의 각 타이틀의 관리 정보로부터 파일 시스템 및 VMG가 작성되고, RZone#1에 기록된다. 그리고, 또한, 리드 인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이 기록된다.
도 11은, ROW 방식에 의한 기록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ROW 방식에서 는, 데이터 영역 전체가 하나의 RZone로서 다루어진다.
우선,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시스템과 VMG용의 영역 및 VTSI용의 영역을 예약하여 두기 위해, 고정 데이터 등에 의한 패딩(padding)이 기록된다. 이로써, 다음에 추기하여야 할 어드레스 NWA(Next Writable Address)의 위치가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도 11의 (b)에서는, 실 데이터 VTSTT_VOBS가 기록된다. 그리고, VTSI의 정보가 생성되고, 그 정보는 VTSTT_VOBS의 다음에 VTSI_BUP로서 기록된다. 또한, 이에 계속해서, 패딩에 의해 다음의 VTSI용의 영역이 예약되고, NWA의 위치가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도 11의 (c)에서는, VTSTT_VOBS의 앞에 VTSI가 기록된다. 또한, TMP_VMGI가 파일 시스템용 영역과 VMG용 영역 사이에 기록된다. 이 시점에서 제 1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1)가 완성된다(도 11의 (d)).
도 11의 (e)에서는, 다음의 실 데이터 VTSTT_VOBS가 기록된다. 그리고, VTSI의 정보가 생성되고, 그 정보는 VTSTT_VOBS의 다음에 VTSI_BUP로서 기록된다. 또한, 이에 계속해서, 패딩에 의해 다음의 VTSI용의 영역이 예약되고, NWA의 위치가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도 11의 (f)에서는, VTSTT_VOBS 앞에 VTSI를 기록한다. 또한, 파일 시스템용 영역과 VMG용 영역 사이에 TMP_VMGI가 재기록된다. 이 시점에서 제 2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2)가 완성된다.
도 11의 (g)에서는, 같은 순서로 그 이후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가 기록되어 간다.
도 11의 (h)에서는, 파이널라이징 처리로서, TMP_VMGI에 있어서의 각 타이틀의 관리 정보로부터 파일 시스템 및 VMG가 작성되고, 패딩에 의해 예약(도 11의 (a))된 영역에 기록된다. 그리고, 또한, 리드 인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이 기록된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서 기록필 실 데이터 정보를 일시적으로 관리하는 TMP_VMGI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TMP_VMGI(790)는, 임시 VMGI 관리 테이블(TMP_VMGI_MAT : TMP_VMGI MAnagement Table), 비디오 타이틀 세트 VOBS 정보 테이블(VTS_VOBS_INFT : VTS_VOBS Information Table) 및 타이틀 정보 테이블(TT_INFT : TiTle Information Table)이라는 데이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VTS_VOBS_INFT는, 디스크상에 존재하는 각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것이고, 비디오 타이틀 세트마다 VTS_VOBS_INF로서 구분해 그 정보를 보존한다. 각 VTS_VOBS_INF는, 그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각 데이터 구조의 시작 어드레스(VTSI_SA, VTSI_BUP_SA, VTSTT_VOBS_SA, VTSM_VOBS_SA,)나 사이즈,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속성 등을 보존한다. 따라서,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실 데이터에 관해, 비디오 타이틀 세트로서의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이 VTS_VOBS_INFT의 내용을 판독하게 된다.
TT_INFT는, 디스크상에 존재하는 각 타이틀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것이고, 타이틀마다 TT_INF로서 구분하여 그 정보를 보존한다. 각 TT_INF는, 그 타이틀이 속하는 VTS 번호(VTSN), 그 VTS 내의 타이틀 번호(VTS_TTN), 챕터 수(PTT_Ns), 타 이틀의 대표 화상의 장소(REP_PICTI), 타이틀명(TITLE_NAME) 등을 보존한다. 따라서,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실 데이터에 대해, 타이틀로서의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이 TT_INFT의 내용을 판독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작성되는 톱 메뉴의 구체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작성되는 톱 메뉴의 한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톱 메뉴에서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각 챕터의 대표 화상이 섬네일(811)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섬네일(811)의 하부에는 그 챕터의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12)가 표시되어 있다. 이 톱 메뉴에서는, 통상의 챕터 메뉴와는 달리, 다른 타이틀에 속한 챕터가 공평하게 나열되어 있다.
이 도 13의 예에서는 1장의 메뉴에 6개의 챕터가 표시되어 있고, 그 이외의 챕터를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메뉴 페이지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메뉴 페이지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이전 페이지 버튼(818) 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819)이다.
이 톱 메뉴의 각각의 페이지는, 화상 데이터로서 VMGM_VOBS(732)에 기록되어 있다. 섬네일(811)의 화상 자체도 메뉴 페이지의 일부로서 붙어 넣어져 있다. 한편, 유저가 리모트 콘트롤 등에서의 조작 키에 의해 화면상의 섬네일을 선택할 때의 선택테두리(815)는, 서브 픽쳐로서 정의되고, NV_PCK(764)의 PCI(772)(도 3)에서의 하이라이트 정보(HLI : HighLight Information)에 의해 하이라이트 표시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유저는, 조작 키의 메뉴·키에 의해 메뉴 화면을 호출하고, 4방향 키로 하이라이트 표시를 이동한다. 4방향 키 한가운데의 결정 키에 의해, 선택한 챕터의 재생 시작이나 페이지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톱 메뉴의 예에서는, 섬네일(811)의 하부에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12)를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섬네일(811)의 상부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12) 대신에, 또는, 이들과 수반하여, 각 챕터의 촬영 시각을 ARI_PCK(768)의 VOBU_REC_TIME로부터 취득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선택테두리(815)가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는 때에만, 그 챕터의 촬영 시각을 앞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작성되는 톱 메뉴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톱 메뉴에서는, 도 13의 섬네일(811)에 대신하여,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각 챕터의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2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22)의 표시의 하부에는, 그 챕터의 촬영 시각(823)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22)나 촬영 시각(823)의 주위에 선택 테두리(825)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전 페이지 버튼(828) 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829)에 관해서는 도 13의 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도 14의 예와 같이 톱 메뉴에 섬네일을 표시하지 않도록 함에 의해, 파이널라이징 처리에 있어서 각 챕터의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DVD-Video 규격에 준거한 디스크를 단시간에 작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도 14의 톱 메뉴의 예에서는,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22)의 하 부에 촬영 시각(823)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타이틀 번호 및 챕터 번호(822)의 상부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선택 테두리(825)가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는 때에만, 그 챕터의 촬영 시각을 앞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를 실현하는 기능 구성 및 그 동작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를 실현하는 기능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기능 구성은, 타이틀 검색부(310)와, 챕터 검색부(320)와, 대표 화상 선택부(340)와, 메뉴 생성부(350)를 포함하고 있다.
타이틀 검색부(310)는, 기록 매체로서의 광디스크로부터 그 광디스크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한다. 이 타이틀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TMP_VMGI(790)(도 12)를 참조할 수 있다. 이 TMP_VMGI(790)의 TT_INFT에는, 타이틀마다 그 타이틀이 격납되어 있는 VTS 번호(VTSN) 및 그 VTS에서의 타이틀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TMP_VMGI(790)의 VTS_VOBS_INFT에는, VTS 번호에 대응하여 그 VTS의 디스크 내의 격납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정보를 참조함에 의해 타이틀의 격납 위치를 취득할 수 있다.
챕터 검색부(320)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한다. 이 챕터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VTSI(741)(도 6)를 참조할 수 있다. 이 VTSI(741)의 VTSI_PTT_SRPT에는, 챕터마다 그 챕터가 속하는 PGC 번호 및 그 시작 PG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VTSI(741)의 VTSI_PGCIT의 PGC_PGMAP에는, PG 번호에 대응하는 셀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VTSI(741)의 VTSI_PGCIT의 C_POSIT에는, 셀 번호에 대응하는 VOB_ID 번호 및 셀 ID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정보를 참조함에 의해, 챕터의 시작 셀의 격납 위치를 취득할 수 있다.
대표 화상 선택부(340)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에 있어서의 대표 화상을 선택한다. 이 대표 화상은, 예를 들면, VTSTT_VOBS(743)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챕터 검색부(320)에 의해 각 챕터의 시작 셀의 격납 위치가 판명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시작 셀의 선두 VOBU로부터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 의해 설명한 대로, 각 VOBU에 있어서 I픽쳐는 다른 P픽쳐나 B픽쳐와는 독립하여 부호화되어 있고, 단독 화상으로서 취출하는 용도에 적합하고 있다. 따라서, 원칙으로서, 시작 셀의 선두 VOBU에 있어서의 I픽쳐를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화상의 상황에 따라서는, 시작 셀의 선두 VOBU로부터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다소의 손떨림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손떨림 보정 기능에 의해 보정되기 때문에 화상의 흐트러짐이 적지만, 이 손떨림 보정의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상이 흐트러져서 대표 화상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어떤 종류의 이펙트 촬영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챕터의 선두 화상이 모두 같아지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각 챕터가 무대의 막이나 문의 화상으로부터 시작되고, 그 무대의 막이나 문이 열리면 실제의 컨텐츠가 나타난다고하는 이펙트 촬영이 채용되어 있으면, 챕터의 선두 화상은 모두 같아지 고, 대표 화상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이펙트 촬영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챕터의 선두로부터 소정 기간 경과 후의 VOBU로부터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타이틀의 대표 화상은, TMP_VMGI(790)(도 12)의 TT_INFT의 REP_PICTI에서 격납 위치가 특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타이틀의 선두 챕터에 관해서는 이 각 타이틀의 대표 화상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메뉴 생성부(350)는, 챕터 검색부(320)에 의해 얻어진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생성한다. 이 톱 메뉴로서는, 도 13과 같이 대표 화상 선택부(340)에 의해 선택된 대표 화상을 부착하여도 좋고, 또한, 도 14와 같이 문자에 의한 표시만이라도 좋다. 메뉴 생성부(350)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한 톱 메뉴를 화상 데이터로서 VMGM_VOBS(732)에 기록한다.
그리고, VMG의 다른 정보가 기록되고, 리드 인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 등이 기록됨에 의해, 파이널라이징 처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이널라이징 처리가 완료된 기록 매체는, DVD-Video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기록 매체로서의 광디스크로부터 그 광디스크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가 판독된다(스텝 S911, S912). 즉, 예를 들면 TMP_VMGI(790)의 TT_INFT에서 최초의 타이틀의 VTS 번호 및 그 VTS 내의 타이틀 번호가 취득된다(스텝 S911). 그리고, 그 얻어진 VTS 번호로부터 TMP_VMGI(790)의 VTS_VOBS_INFT를 참조함에 의해 디스크상의 VTSI의 위치가 취득된다(스텝 S912).
계속해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가 판독된다(스텝 S921 내지 S923). 즉, VTS 내의 타이틀 번호 및 최초의 챕터 번호로부터, VTSI(741)의 VTSI_PTT_SRPT를 참조함에 의해 그 챕터가 속하는 PGC의 PGC 번호와 시작 PG 번호가 취득된다(스텝 S921). 다음에, 그 PGC 번호에 의해 나타나는 VTSI(741)의 VTSI_PGCIT의 PGC_PGMAP에서 시작 PG 번호에 대응하는 시작 셀 번호가 취득된다(스텝 S922). 그리고, 이 시작 셀 번호에 나타나는 셀의 VOB_ID 번호와 셀 ID 번호가 VTSI(741)의 VTSI_PGCIT의 C_POSIT로부터 취득된다(스텝 S923).
또한, 스텝 S923에 의해 취득된 VOB_ID 번호 및 셀 ID 번호에 의거하여 그 챕터의 대표 화상이 선택된다(스텝 S924). 이 챕터 대표 화상의 선택에 관해서는 도 17에 의해 후술한다.
그리고, 스텝 S923까지에 의해 취득된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가 생성된다(스텝 S925). 이때, 스텝 S924에서 선택된 챕터의 대표 화상을 톱 메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까지의 처리로 타이틀 내의 모든 챕터에 관한 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그 타이틀 내의 다음 챕터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스텝 S928), 스텝 S911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스텝 S927). 타이틀 내의 모든 챕터에 관한 처리가 완료되어 있으면(스텝 S927), 여기까지의 처리로 모든 타이틀에 관한 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지의 판단이 이루어진다(스텝 S917). 모든 타이틀에 관한 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의 타이틀을 처리 대상으로 하여(스텝 S918) 스텝 S911부터의 처리가 반복되고, 모든 타이틀에 관한 처리가 완료되어 있으면 톱 메뉴 작성의 처리가 종료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챕터 대표 화상 선택(스텝 S924)의 처리 순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시작 셀의 선두 VOBU를 현(現) VOBU로서 주목하고(스텝 S941), 시작 셀의 선두 VOBU에 있어서의 ARI_PCK(768)(도 8)의 이펙트 촬영(EFFECT)에 의해 소정의 이펙트 촬영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이 판명된 경우에는(스텝 S942), 그 VOBU에서의 화상은 선택 대상에서 제외되고, 선두 VOBU로부터 소정 기간 경과한 후의 VOBU에 있어서의 화상(예를 들면, I픽쳐)이 챕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된다(스텝 S943). 또한, 경과 시간에 의거하여 VOBU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VTSI(741)(도 6)의 VTSI_TMAPT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이펙트 촬영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이고, 현 VOBU에 있어서의 ARI_PCK(768)(도 8)의 손떨림 보정 한계(STB_LIM)가 한계를 초과한 취지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스텝 S944), 그 VOBU에 있어서의 화상은 선택 대상에서 제외되고, 다음의 VOBU를 현 VOBU로 하여 재차 손떨림 보정 한계가 조사된다(스텝 S945). 스텝 S944에 있어서, STB_LIM이 한계를 초과한 취지를 나타내고 있지 않으면, 그 때의 현 VOBU에서 화상이 챕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된다(스텝 S94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파이널라이징 처리할 때에, 챕터 검색부(320)에 의해 취득된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메뉴 생성부(350)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든 타이틀의 모든 챕터를 톱 메뉴에 표시하고 있다. 디스크상의 모든 타이틀이 캠코더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챕터를 표시하여도 하등 불편함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캠코더 이외의 거치형의 덱(레코더)에 의해 기록된 타이틀은, 소정 경과 시간마다 챕터로 분할되게 되어 있고, 기록 내용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챕터 분할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레코더에 의해 기록된 타이틀에 관해 모든 챕터를 톱 메뉴에 표시하여 버리면,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메뉴 표시로 되고, 또한, 표시되는 챕터의 수가 예상외로 많아져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로서, 이하와 같이 각 타이틀을 기록한 장치의 종별을 판단하여 챕터의 톱 메뉴에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도록 한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를 실현하는 기능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기능 구성은, 도 15의 예에 더하여, 장치 종별 검출부(33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장치 종별 검출부(330)는 각 타이틀을 디스크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검출한다. 이 장치 종별을 검출하기 위해, ARI_PCK(768)(도 8)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각 타이틀의 VTSTT_VOBS(743)에 있어서의 ARI_PCK(768)의 장치 종별(PRD_TYP)을 참조함에 의해, 그 타이틀이 캠코더에 의해 기록된 것인지, 레코더에 의해 기록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장치 종별 검출부(330)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챕터 검색부(320)는 각 타이틀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에 관한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여야 하는지, 또는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로써, 메뉴 생성부(350)에 의해 생성된 톱 메뉴에 표시된 챕터가 제한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파이널라이징 처리의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순서에서는, 도 16의 예에 대해 장치 종별을 판단하는 스텝(스텝 S916)이 추가되어 있다. 즉,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선두 챕터에 관한 처리가 종료될 때에, ARI_PCK(768)의 PRD_TYP로부터 장치 종별이 판단되고, 그 타이틀을 기록한 장치가 캠코더라면 타이틀 내의 모든 챕터를 표시하기 위해 다음의 챕터의 처리를 행하고(스텝 S927), 그 타이틀을 기록한 장치가 레코더라면 타이틀 내의 선두 챕터만을 표시하기 위해 다음의 타이틀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S91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타이틀을 기록한 장치 종별을 장치 종별 검출부(330)에 의해 판단함에 의해, 캠코더라면 타이틀 내의 모든 챕터를 톱 메뉴에 표시시키고, 레코더라면 타이틀 내의 선두 챕터만을 톱 메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판단은 타이틀마다 행하여지기 때문에, 동일한 디스크에 다른 장치 종별에 의해 기록된 타이틀이 혼재하고 있어도 각각 장치 종별에 따른 표시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구현화하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발명 특정 사항과 각각 대응 관계를 갖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을 시행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틀 검색 수단은 예를 들면 타이틀 검색부(310) 에 대응한다. 또한, 챕터 검색 수단은 예를 들면 챕터 검색부(320)에 대응한다. 또한, 메뉴 생성 수단은 예를 들면 메뉴 생성부(350)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3에 있어서,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은 예를 들면 대표 화상 선택부(340)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4에 있어서, 완결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I픽쳐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6에 있어서, 소정의 속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손떨림 보정 한계를 초과한 것이나 소정의 이펙트 촬영에 의한 것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9에 있어서, 장치 종별 검출 수단은 예를 들면 장치 종별 검출부(330)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11 또는 14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1 및 S912에 대응한다. 또한,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1 내지 S923에 대응한다. 또한,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5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12 또는 15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1 및 S912에 대응한다. 또한,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각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1 내지 S923에 대응 한다. 또한,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각 챕터에 있어서의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4에 대응한다. 또한,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대표 화상과 관련시켜 제시하는 톱 메뉴를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5에 대응한다.
또한, 청구항 13 또는 16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그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각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1 및 S912에 대응한다. 또한, 타이틀 정보에 의거하여 각 타이틀에 있어서의 선두 챕터에 관해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1 내지 S923에 대응한다. 또한,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각 타이틀마다 검출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6에 대응한다. 또한, 장치 종별이 소정의 종별인 경우에는 선두 챕터에 계속된 각 챕터에 관해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6에 대응한다. 또한,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챕터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25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 순서는, 이들 일련의 순서를 갖는 방법으로서 파악하여도 좋고, 또한, 이들 일련의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내지 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파악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의 파이널라이징 처리에 있어서 그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각 챕터에 관한 정보를 톱 메뉴에 반영시킨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예를 들면 DVD-R이나 DVD-RW에 기록된 내용을 DVD-Video 재생 장치에서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해 행하여지는 파이널라이징 처리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타이틀 검색 수단과,
    상기 타이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틀에 있어서의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챕터 검색 수단과,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판별하는 장치 종별 판별 수단과,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톱 메뉴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챕터 검색 수단은,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모든 챕터에 관한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장 치 종별이 캠코더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정보 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상기 각 타이틀마다 상기 장치 종별을 판별하고,
    상기 챕터 검색 수단은, 상기 타이틀마다의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모든 챕터에 관한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타이틀마다의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톱 메뉴 생성 수단은, 상기 챕터 검색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장치 종별의 판별 결과에 따라 판독된 상기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톱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 메뉴 생성 수단은, 상기 각 챕터의 촬영 시각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톱 메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 메뉴 생성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의 파이널라이징 처리에서, 상기 톱 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다중화하고 기록된 추가 기록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 챕터에서의 대표 화상을 선택하는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톱 메뉴 생성 수단은, 상기 대표 화상과 대응하는 상기 선택 영역을 관련시켜 상기 톱 메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은, 상기 각 챕터의 처음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 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은, 상기 각 챕터의 선두의 VOBU에 있어서의 I 픽처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은, 상기 처음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속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속성을 갖지 않는 후속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은, 상기 처음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손떨림 보정 한계를 초과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손떨림 보정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후속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화상 선택 수단은, 상기 처음의 완결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음향 효과 촬영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음향 효과 촬영에 의하지 않는 후속의 완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대표 화상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3. 피사체를 촬상하고 동화상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타이틀 검색 수단과,
    상기 타이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틀에 있어서의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챕터 검색 수단과,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판별하는 장치 종별 판별 수단과,
    상기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상기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톱 메뉴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챕터 검색 수단은,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모든 챕터에 관한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장 치 종별이 캠코더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틀에 있어서의 선두 챕터에 관하여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에 대응하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만, 상기 선두 챕터에 계속된 각 챕터에 관하여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된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방법.
  15.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에 관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장치 종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하여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모든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된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방법.
  16. 기록 매체의 파이널라이징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에 관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장치 종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검출하여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모든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포함된 선두 챕터에 대해서만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된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널라이징 처리 방법.
  17.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타이틀에 관한 타이틀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이틀에 있어서의 선두 챕터에 관한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틀에 대응하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 장치 종별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 종별이 캠코더인 경우에만, 상기 선두 챕터에 계속된 각 챕터에 관하여 상기 챕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된 챕터 정보에 근거하여 각 챕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톱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7006437A 2003-08-29 2004-07-13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KR10106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6867A JP3873952B2 (ja) 2003-08-29 2003-08-29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JP-P-2003-00306867 2003-08-29
PCT/JP2004/010269 WO2005022908A1 (ja) 2003-08-29 2004-07-13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30A KR20060037230A (ko) 2006-05-03
KR101063635B1 true KR101063635B1 (ko) 2011-09-07

Family

ID=3426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437A KR101063635B1 (ko) 2003-08-29 2004-07-13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96862B2 (ko)
EP (1) EP1659789A4 (ko)
JP (1) JP3873952B2 (ko)
KR (1) KR101063635B1 (ko)
CN (1) CN100508582C (ko)
CA (1) CA2503161C (ko)
TW (1) TWI343046B (ko)
WO (1) WO2005022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1661B2 (ja) 2005-04-25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4534971B2 (ja) 2005-11-2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動画記録装置、動画記録方法、動画伝送方法、動画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動画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857140B2 (ja) * 2006-05-09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4770581B2 (ja) 2006-05-17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データ処理装置、ストリーム生成装置、撮像装置、および動画像データ処理方法
JP4229144B2 (ja) 2006-06-23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93209B2 (ja) * 2006-08-02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撮像装置、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281778B2 (ja) 2006-10-13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記録方法
JP2009049726A (ja) 2007-08-21 2009-03-05 Sony Corp 情報変換装置、情報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02423B2 (ja) * 2008-10-03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140A (ja) 2001-11-08 2003-05-23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5797B2 (ja) 1996-04-11 1999-03-31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
JP3356691B2 (ja) * 1998-07-07 2002-12-16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媒体とそ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4288751B2 (ja) * 1999-05-25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データ処理装置
JP2001326910A (ja) * 2000-05-17 2001-11-22 Toshiba Corp プレビュー表示システム
JP2003091975A (ja) 2001-09-17 2003-03-28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装置
KR20040073511A (ko) * 2001-12-25 2004-08-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JP3787529B2 (ja) * 2002-02-12 2006-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4564703B2 (ja) 2002-02-13 2010-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及びビデオカメラの情報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140A (ja) 2001-11-08 2003-05-23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3046B (en) 2011-06-01
TW200518047A (en) 2005-06-01
JP3873952B2 (ja) 2007-01-31
WO2005022908A1 (ja) 2005-03-10
JP2005079823A (ja) 2005-03-24
KR20060037230A (ko) 2006-05-03
CN100508582C (zh) 2009-07-01
CN1701608A (zh) 2005-11-23
US7796862B2 (en) 2010-09-14
CA2503161C (en) 2012-07-03
EP1659789A4 (en) 2009-01-28
EP1659789A1 (en) 2006-05-24
US20060140587A1 (en) 2006-06-29
CA2503161A1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182B2 (en) Optical disc for storing moving pictures with text inform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disc
US6259858B1 (en) Optical disc for storing moving pictures with text inform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disc
JP3668213B2 (ja) Hdコンテンツとsdコンテンツとを記録する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506832B2 (ja) 画像処理装置、インデックス生成装置、撮像装置、インデックス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263102A1 (en) Image-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mage-Information Display Device
EP1786204B1 (en) File structure for optimised search and delete commands in a DVD camcorder.
KR101063635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USRE45271E1 (en) Digital versatile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ell-by-cell edi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085058A (ko)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제어 방법
KR101119682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PL200639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zapisywania zakodowanego strumienia bitowego
JP3663017B2 (ja) 再生装置と再生方法
US20060159417A1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information playback method
JP3875379B2 (ja) サブピクチャー再生制御装置及び方法
US8151195B2 (en) Title editing for slow or fast motion on recordable DVD discs
JP4005989B2 (ja) Dvd記録再生方法
JP2008067106A (ja) 動画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