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824B1 -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824B1
KR101058824B1 KR1020057009271A KR20057009271A KR101058824B1 KR 101058824 B1 KR101058824 B1 KR 101058824B1 KR 1020057009271 A KR1020057009271 A KR 1020057009271A KR 20057009271 A KR20057009271 A KR 20057009271A KR 101058824 B1 KR101058824 B1 KR 10105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necting element
coupling section
wiper arm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129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핑크
볼프강 스콜
게르하르트 슈레머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3950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588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1032399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23997A1/d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8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3Snap-fit, e.g. elastic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2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3Connectors having a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8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ex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12)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는 닦을 자동차의 앞 유리와 면하는 와이퍼 스트립(16)과,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형의 긴 지지 요소(18, 20)와, 이 지지 요소(18, 20)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요소(22)와, 그리고 와이퍼 아암(14)의 커플링 섹션(26)에 연결하기 위해 슬라이드 요소(2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커넥팅 요소(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커플링 섹션(26)은 설형(舌形)의 삽입 섹션(28)을 구비하며, 커넥팅 요소(24)는 삽입 섹션(28)용 시트(30)를 구비하고, 커플링 섹션(26)과 커넥팅 요소(24)는 영구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고정 섹션(42, 56)을 구비한다. 와이퍼 아암(14)의 종축과 커넥팅 요소(24)의 종축이 약 10° 내지 100° 범위의 각도(α)를 이루는 예비 조립 상태(도 5 참조)에 도달하도록, 상기 삽입 섹션(28)은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64)로 시트(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하도록, 와이퍼 아암(14)과 커넥팅 섹션(24)은 상기 고정 섹션(40, 42, 56)이 영구적인 상호 연결을 허용할 때까지 삽입 섹션(28)과 시트(30) 간의 접촉 영역을 중심으로 서로의 위에서 선회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DETACHABLY LINKING A WIPER BLADE WITH A DRIVEN WIPER ARM}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는 닦을 자동차의 앞 유리와 면하는 와이퍼 스트립(wiper strip)과,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형의 긴 지지 요소와, 이 지지 요소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요소(slide element)와, 그리고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 섹션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 요소를 포함하며, 이 커넥팅 요소는 선회 가능하게 슬라이드 요소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컨대, WO 02/40328A1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장치, 즉 편평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커플링 섹션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는 제작하기 어려운 많은 복잡한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넥팅 요소에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 섹션을 연결하는 작업은 비교적 복잡하고,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팅 요소를 커플링 섹션에 연결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커플링 섹션을 커넥팅 섹션에 영구적인 고정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보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이퍼 블레이드를 간단한 방식으로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커플링 섹션이 설형(舌形)의 삽입 섹션을 구비하고, 커넥팅 요소가 삽입 섹션을 위한 시트(seat)를 구비하며, 커플링 섹션과 커넥팅 요소가 영구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고정 섹션을 구비하고, 와이퍼 아암의 종축과 커넥팅 요소의 종축이 약 10° 내지 100° 범위의 각도(α)를 이루는 예비 조립 상태에 도달하도록, 상기 삽입 섹션이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시트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또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하도록, 상기 고정 섹션들이 영구적인 상호 연결을 허용할 때까지 와이퍼 아암과 커넥팅 섹션이 삽입 섹션과 시트 간의 접촉 영역을 중심으로 서로 선회될 수 있는 전술한 형태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시키기 위해 간단하게 실행되는 단지 두 가지의 단계만을 필요로 한다는 장점을 지니는데, 여기서 첫번째 단계는 커넥팅 요소 상에 마련된 시트 내로 삽입 섹션을 직선 형태로 삽입하는 단계이며, 두번째 단계는 커플링 섹션 혹은 와이퍼 아암과 커넥팅 요소를 서로 선회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장치는 매우 편평하고 매우 좁게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바람 소리를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에 의해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단지 약간만 방해한다. 더욱이, 힘의 도입은 닦을 자동차 앞 유리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축에 걸쳐 양호하게 발생하며, 그 결과 틸팅 모멘트(tilting moment)의 발생이 억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조립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삽입 방향은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선회 평면 내에 놓인다. 이로 인해 두 가지의 운동이 하나의 평면에서 일어나고, 그 결과 조립 작업이 간단해지는 장점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링 섹션은 단면이 U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배면(back)과 2개의 레그(leg)를 포함하는 특징을 지니며, 여기서 삽입 섹션은 후크형으로 구성되어 커플링 섹션의 배면 상에 독립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단면이 U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커플링 섹션은 최종 조립 상태에서 커넥팅 요소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장점을 지닌다. 그 결과, 커넥팅 요소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힘은 커플링 섹션의 레그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섹션은 와이퍼 아암의 연장 방향으로 측면에서 볼 때, 닦을 자동차의 앞 유리의 방향으로 상기 배면을 넘어 돌출하지 못하도록 그 섹션이 자유단에서 원호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최종 조립 상태에서 삽입 섹션이 파괴적인 방식으로 커플링 섹션의 배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게 해준다. 커넥팅 요소를 적절하게 구성하기만 한다면, 삽입 섹션은 최종 조립 상태에서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
삽입 섹션과 협동하면서 삽입 개구에 인접한 커넥팅 요소의 영역을 삽입 섹션과 상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최종 조립 상태에서 삽입 섹션이 커넥팅 요소의 상보적으로 구성된 영역에 대하여 확실하게 지탱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삽입 섹션과 협동하는 커넥팅 요소의 영역과, 삽입 섹션의 영역이 원호형으로, 특히 종단면이 원의 한 세그먼트와 같은 형으로 구성될 때에 달성된다. 이것은 커플링 섹션과 커넥팅 요소가 최종 조립 상태에서 서로 선회할 때, 상기 삽입 섹션이 그 표면의 상당 부분에 의해 삽입 섹션과 협동하는 커넥팅 요소의 영역에 대하여 지탱되는 것을 보장해준다. 이는 예비 조립 상태로부터 최종 조립 상태로 상기 장치를 조립할 때, 신뢰성 있는 안내를 보장해준다. 큰 표면에 의한 지탱에 의해 응력 피크(stress peak)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커넥팅 요소의 단면을 U형으로 구성하고, 커넥팅 요소가 하나의 배면과 2개의 레그를 포함할 때에 달성된다. 커넥팅 요소의 단면을 U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닦을 앞 유리의 반대측을 향하는 와이퍼 스트립의 스포일러 섹션(spoiler section)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커넥팅 요소의 2개의 레그들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커넥팅 요소는 유리하게는 레그에서 슬라이드에 결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삽입 개구는 배면에 마련된 컷아웃(cutout)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평면도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상에서 삽입 개구를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삽입 섹션을 삽입 개구로 삽입하는 작업이 간단해지게 된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최종 조립 상태에서, 커플링 섹션이 커넥팅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와이퍼 아암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U형의 커플링 섹션의 레그들의 내측면은 U형의 커넥팅 요소의 레그들의 외측면에 대하여 지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팅 요소의 배면의 외측면은 커플링 섹션의 배면의 내측면에 대하여 지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고정 섹션을 로킹 섹션(locking section)으로서 구성할 때에 달성된다. 커플링 섹션과 커넥팅 요소가 서로의 위에서 선회할 때, 로킹 섹션은 최종 조립 상태에서 서로 로킹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커넥팅 요소는, 종방향으로 삽입 개구의 반대측을 향하는 측, 즉 레그 상에 각각 로킹 설형부(locking tongue)를 구비하며, 이 로킹 설형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요성 있고, 커플링 섹션의 레그 상에 마련된 로킹 에지와 협동한다.
확실한 로킹을 보장하기 위해, 로킹 설형부의 로킹 에지와 레그의 로킹 에지가 최종 조립 상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축에 대해 예각, 특히 약 30° 내지 8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로킹 연결을 분리하고, 이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킹 설형부의 자유단 상에 작동 섹션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섹션은 로킹 설형부를 서로를 향해 압박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 로킹 설형부의 로킹 에지는 커플링 섹션의 레그 상의 로킹 에지와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더욱 용이한 로킹을 허용하기 위해, 커플링 섹션의 배면과 면하고 또 최종 조립 상태로 선회될 때에 커플링 섹션의 레그와 만나는 로킹 설형부의 측면을 경사지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자동차의 앞 유리와 면하고 최종 조립 상태로 선회될 때 로킹 섹션의 면하는 측면과 만나게 되는 커플링 섹션의 레그의 측면을 경사지게 하면 보다 쉬운 로킹에 기여한다.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 로킹 설형부의 경사진 측면은 결과적으로 로킹 설형부들이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커플링 섹션의 레그의 경사진 측면과 협동하게 된다. 최종 조립 상태에서, 로킹 설형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커플링 섹션의 로킹 에지 뒤로 스냅식으로 끼워진다.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 상의 둘레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플링 섹션은 적절한 코딩(coding)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부정확한 와이퍼 아암 상에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정확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코딩은, 예컨대 커플링 섹션 상의 적절한 베젤(bezel)에 의해 그리고 베젤과 협동하는 커넥팅 요소 상의 적절한 웹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커넥팅 요소의 레그를 횡방향으로 약간 탄성적으로 가요성 있는 이중벽의 레그로 구성할 때에 달성된다. 이러한 이중벽 레그는 슬라이드 요소에 대해 보다 양호한 마찰 거동을 지니며, 이 슬라이드 요소에 대하여 상기 레그들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커넥팅 요소는 레그 사이에, 커넥팅 요소의 선회 가능한 배치를 위해 슬라이드 요소 상의 구멍 내에 장착되어 있는 힌지 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요소는 베어링 볼트 혹은 그 대안으로 슬라이드 요소로부터 그 단부가 돌출된 2개의 힌지 핀을 구비하며, 이 힌지 핀 상에서 커넥팅 요소는 그 레그 내의 베어링 구멍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 구멍은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베어링 볼트 혹은 베어링 핀은 회전 운동에 대하여 슬라이드 요소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커넥팅 요소는 회전 혹은 선회 가능하게 슬라이딩 요소 상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할 때, 전체 베어링 장치가 교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팅 요소의 레그에 마련된 베어링 구멍은 이 베어링 구멍에 대하여 방사 방향으로 뻗고 에지를 향하는 각 슬롯의 경우에 상측으로 개방된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개별 부품의 조립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경우에서 슬롯이 베어링 구멍으로부터 커넥팅 요소의 배면 반대측에 놓인 레그의 에지로 뻗는 경우, 베어링 볼트 혹은 베어링 핀이 베어링 구멍을 바람직하지 못하게 미끄러져 나오게 될 위험성이 작아진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은 각각 베어링 구멍으로부터 레그의 에지를 향해 연장되며, 슬롯의 가장 좁은 지점은 베어링 볼트 혹은 그 대안으로서의 베어링 핀의 직경보다 작다. 이 실시예는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해지도록 해준다. 베어링 볼트 혹은 베어링 핀은 로킹 연결 방식으로 슬롯을 통해 방사방향으로 압박될 수 있어 상기 좁은 지점에 잘 맞춰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베어링 볼트 혹은 베어링 핀은 또한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어 좁은 지점에 잘 맞춰진다. 이것 때문에, 커넥팅 요소는 슬롯의 좁은 지점이 베어링 볼트 혹은 베어링 핀에 의해 잘 맞춰지게 하는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슬라이드 요소 및/또는 베어링 볼트 혹은 베어링 핀은 금속 혹은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팅 요소의 레그는 자동차의 앞 유리와 면하는 쪽에 스터드(stud)형 융기 영역을 구비한다. 이러한 융기 영역은 와이퍼 고무 혹은 지지 요소 중 어느 하나 상에서 지지부 역할을 하며, 그 결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커플링 섹션과 커넥팅 요소는 최종 조립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 때문에, 커플링 섹션에 의해 덮여 있는 커넥팅 요소의 섹션은 최종 조립 상태에서 볼 수 있는 커넥팅 섹션 보다 깊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깊이 차이는 커플링 섹션의 벽 두께가 된다.
특히, 높은 이동 속도 혹은 기류 속도에서 와이퍼 아암/와이퍼 블레이드 조합체의 공기 역학적인 거동을 향상시켜 이에 따라 닦을 자동차 앞 유리로부터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들어올리는 기지의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해 또 다른 유리한 세부적인 변형이 제공된다.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 섹션이,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함으로써, U형의 커플링 섹션 아래에서 상승하는 동적 압력은 실질적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와이퍼 아암 상의 양력(lifting force)은 감소된다.
커플링 섹션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류 개구가 커플링 섹션의 레그에, 특히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레그(lee-side leg)에 설치되는 경우도 또한 유리하다. 최대의 효과는 개개의 가능성들을 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포일러형 공기 안내 수단이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 섹션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입 공기는 와이퍼 블레이드 혹은 와이퍼 아암이 자동차 앞 유리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효과를 상쇄시키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안내 수단이 커플링 섹션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스포일러는, 특히 이러한 위치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상기 공기 안내 수단이 커플링 섹션의 배면으로부터 절단된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스포일러와 같은 방식으로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포일러의 효과와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개구의 효과의 조합에서 장점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압박력은 직접적으로 증가되는 동시에 커플링 섹션 내측의 동적 압력은 줄어든다. 더욱이,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공기 안내 수단은 특히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팅 요소와 원피스(one piece)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적어도 하나의 스포일러형 공기 안내 수단이 커넥팅 요소의 배면 상에 마련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안내 수단은 커플링 섹션의 배면에 있는, 양호하게 대응하는 개구를 통해 돌출한다. 커넥팅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특별히 선호하는 유체 특성에 관해서 스포일러형 공기 안내 수단의 형상을 매우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입부에서 언급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의해 또한 달성되는데, 이 방법은 와이퍼 아암의 종축과 커넥팅 요소의 종축이 약 10° 내지 100° 범위의 각도(α)를 이루는 예비 조립 상태에 도달하도록, 삽입 섹션이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시트 내로 삽입되고,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하도록, 상기 고정 섹션이 영구적인 상호 연결을 허용할 때까지 와이퍼 아암과 커넥팅 섹션이 삽입 섹션과 시트 간의 접촉 영역을 중심으로 서로의 위에서 선회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세부 내용과 장점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 및 예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와이퍼 아암의 도시를 생략한 도 1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부분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플링 섹션을 아래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예비 조립 상태에 있는 도 1의 장치를 부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최종 조립 상태에 있는 도 5의 장치를 부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와이퍼 아암의 도시를 생략한 도 9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와이퍼 아암의 도시를 생략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부분적으로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12)를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는 닦을 자동차의 앞 유리에 면하는 와이퍼 스트립(16)을 구비하며, 2개의 스트립형의 긴 지지 요소(18, 20)와, 이 지지 요소(18, 20)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요소(22)와, 그리고 선회 가능하게 슬라이드 요소(22) 상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팅 요소(24)를 포함한다. 이 커넥팅 요소(24)는 와이퍼 아암(14) 상의 커플링 섹션(26)으로의 연결부 역할을 한다.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섹션(26)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최종 조립 상태에서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시트(30) 내에 맞물리는 설형의 삽입 섹션(28)을 구비한다. 커플링 섹션(26)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U형으로 되어 있는 상기 커넥팅 요소(24)는 하나의 배면(32)과 2개의 레그(34)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30)는 커넥팅 요소(24)의 배면(32) 내에 마련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볼트(38)용 베어링 구멍(36)은 커넥팅 요소(24)의 레그(34) 상에 마련되어 있다. 베어링 구멍(36)과 베어링 볼트(38)로 인해, 슬라이드 요소(22)에 대한 커넥팅 요소(24)의 선회 구조가 얻어진다. 충분한 경도를 지니면서 소정의 가요성을 얻기 위해 레그(34)는 이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요소(24)는 종방향으로 삽입 개구의 반대측을 향하는 측, 즉 레그 상에 각각 로킹 설형부(40)를 구비하며, 이 로킹 설형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요성이 있다. 상기 로킹 설형부(40)는 각각 로킹 에지(42)와 작동 섹션(44)을 포함한다. 최종 조립 상태에서 커플링 섹션(26)에 의해 덮여 있는 커넥팅 요소(24)의 영역은 2개의 작동 섹션(44)과 커플링 섹션의 축방향 연장부 내에 놓여 있는 헤드 섹션(46)에 의해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팅 요소(24)의 다른 영역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최종 조립 상태에서, 커플링 섹션(26)과 커넥팅 요소(24)는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형성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 섹션(28)과 협동하고 삽입 개구(30)와 인접한 영역(48)은 삽입 섹션(28)과 상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섹션(28)은 와이퍼 아암(14)의 연장 방향으로 측면에서 볼 때 닦을 자동차의 앞 유리의 방향으로 원호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영역(48)도 이와 마찬가지로 원호형, 특히 원의 한 세그먼트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섹션은 단면이 U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면(50)과, 이 배면에 연결된 레그(52, 54)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 섹션(28)은 이 경우에 배면(50)의 연장부에 독립적인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레그(52, 54) 상에는 와이퍼 아암(14)의 종축(58)에 대해 약 70°의 각도(β)를 이루는 로킹 에지(56)가 마련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로킹 설형부(40)의 로킹 에지(42)는 대응하는 각도(β)를 이룬다. 도 6에 도시된 최종 조립 상태에서, 로킹 설형부(40)의 로킹 에지(42)는 커플링 섹션(26)의 레그(52, 54)의 로킹 에지(56)에 대하여 지지된다.
도 2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과 면하는 로킹 설형부(40)의 측면(60)이 약간 기울어져 있다. 이와 대응하는 방식으로, 최종 조립 위치로 선회될 때, 자동차의 앞 유리와 면하고 커플링 섹션(26)의 측면(60)과 협동하는 커플링 섹션(26)의 레그의 측면(62)도 또한 약간 기울어지게 된다.
커넥팅 요소(24)와 커플링 섹션(26)을 조립하는 데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삽입 섹션(28)이 화살표(64)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시트 내로 삽입되어 예비 조립 상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예비 조립 상태에 있어서, 와이퍼 아암(14)의 종축과, 커넥팅 요소(24)의 종축 혹은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종축은 약 10 내지 100°의 범위의 각도(α)를 이룬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α)의 값은 약 40°이다. 와이퍼 아암(14)과 커플링 섹션(26)은 삽입 섹션(28)이 시트(30)의 영역(48)에 대하여 지지되는 접촉 영역(66)을 중심으로 서로 선회되어,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한다. 삽입 섹션(28)과 상기 영역(48)의 상보적인 구조로 인하여, 선회 작동은 한정된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 커플링 섹션(26)의 경사진 측면(62)과 이에 해당하는 로킹 설형부(40)의 경사진 측면(60)은 로킹 설형부(40)가 서로 면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선회되는 방식으로 서로 만난다. 최종 조립 상태에 도달하자마자, 로킹 설형부(40)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커플링 섹션(26)의 레그(52, 54)의 로킹 에지(56) 뒤로 스냅식으로 끼워진다. 그 결과, 커플링 섹션(26)은 최종 조립 상태에서 커넥팅 요소(24) 상에서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최종 조립 상태에서, 커플링 섹션(26)은 그 표면의 상당 부분이 커넥팅 요소(24)의 영역(48)에 대하여 지지된다. 더욱이, 커넥팅 요소(24)의 헤드 영역(46)과 면하는 커플링 섹션(26)의 단부면(68)은 그것에 대응하는 커넥팅 요소의 베어링 에지(70)에 대하여 지지된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축과 직교하지는 않지만 종축과 예각(β)을 이루는 로킹 에지(42, 56)로 인해, 조립된 상태에서 커플링 섹션(26)은 헤드 섹션(46)의 방향으로 작동한다. 그 결과, 축방향으로 유극이 없는 연결을 얻게 된다. 더욱이, 비스듬하게 배치된 로킹 에지(42, 56)로 인해, 커플링 섹션(26)은 와이퍼 블레이드(12)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그 결과 와이퍼 블레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여유가 없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삽입 섹션(28)은 약간의 예비 응력으로 커넥팅 요소(24)의 접촉 영역(48)에 대하여 지지된다.
작동 섹션(44)이 서로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연결이 해제된다. 그 결과, 로킹 설형부(40)의 로킹 에지(42)는 커플링 섹션(26)의 로킹 에지(56)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이탈된다. 작동 섹션은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섹션(44)은 한 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파지함으로써 서로 압박될 수 있다. 그 다음, 커플링 섹션(26)은 도 5에 도시된 예비 조립 상태에 거의 도달할 때까지 커넥팅 요소(24)의 반대측으로 선회된다. 그 다음, 삽입 섹션(28)은 화살표(64)의 반대 방향으로 시트(30)로부터 밖으로 이동한다.
도 5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팅 요소의 레그(34)에는 자동차의 앞 유리와 면하는 쪽에 스터드형 융기 영역(72)이 마련된다. 이러한 융기 영역은 슬라이드 요소(22) 상에서 지지부 역할을 한다. 융기 영역(22)은 슬라이드 요소(22)에 대해 커넥팅 요소(24)의 선회 범위를 제한한다. 그 결과, 와이퍼 아암(14)과 와이퍼 블레이드(12)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삽입 섹션(28)의 굴곡된 영역에는 원통형 구멍(74)의 형태로 재료를 제거한 컷아웃이 마련되어 있다.
와이퍼 스트립(16)의 반대측을 향하는 쪽에 자리하는 스포일러형 돌출부(76)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부정확하게 와이퍼 아암 상에 장착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팅 요소(24)와 커플링 섹션(26) 상에 코딩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코딩은, 예컨대 도 4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섹션(26)의 레그(54) 상에 경사진 코너(7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진 코너(78)는 커넥팅 요소(24) 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부착물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 부착물은 도면에서 도시 생략된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와이퍼 블레이드 중 단지 하나, 즉 우측 혹은 좌측 와이퍼 블레이드 각각은 커넥팅 요소 상의 해당하는 부착물을 구비하기 때문에, 우측 혹은 좌측 와이퍼 아암에 대해 우측 혹은 좌측 와이퍼 블레이드가 명확하게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실 시예와 관련한 전술한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7에서는 도 1에서 사용한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와이퍼 아암(14)에 속하는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에 개구(80)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개구(80)는 커플링 섹션의 U형 부분 아래로 흐르는 공기가 개구(80)를 통해 흐름으로써 비교적 짧은 경로로 U형 부분 아래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커플링 섹션(26) 아래의 동적 압력은 개구(80)가 없는 실시예에 비해 줄어들고, 이는 공기가 통과하여 흐름에 따라 와이퍼 아암(14)의 양력에서 상대적인 감소로 이어진다.
하나의 개구(80) 대신에, 커플링 섹션(26)에 다수의 개구(80)도 또한 마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80)는 또한 2개의 레그(52, 54) 중 하나 혹은 양쪽 레그(52, 54)에 마련될 수 있다.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개구(80)의 크기, 형상 및 위치는 장치(10)의 개개의 부품 및 장치(10) 전체의 기하학적 조건에 따르는 방식으로 가능한 한 많은 효과와 관련하여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80)의 형상 및 크기는 커플링 섹션(26)의 구조에 적합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의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스포일러형 공기 안내 수단(82)이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 상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공기 안내 수단 (82)을 만들기 위해, 커플링 섹션(26)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거의 직사각형의 섹션은 그것의 2개의 좁은 측부과 종방향의 하나의 측부를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으로부터 들어내거나 펀칭 처리하여 배면(50)의 평면에서 벗어나게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 경우 공기 안내 수단(82)은 둥글고, 날개 모양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 안내 수단(82)은 유입 공기와 면하는 그 종방향의 측면 상에서 배면(50)에 연결되어 있다. 바깥으로 굴곡시키는 작업에 의해, 내면(50)의 개구(80)는 공기 안내 수단(82) 뒤에도 동시에 형성되며, 공기 스트림은 이 개구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개구(80)는 이 사시도에서 공기 안내 수단(82)에 의해 숨겨져 있기 때문에, "80"에 포함되는 참조선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 안내 수단(82) 및 개구(80)는 커플링 섹션의 제조 과정 동안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펀칭 및 굴곡 처리 방식으로 펀칭 처리 및 벤딩된 강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동역학적 장점은 한편으로 공기 안내 수단에 의해 생성되어 와이퍼 아암(14) 상에 작용하는 압축력의 감소와, 다른 한편으로는 U형의 커플링 섹션(26) 아래에서의 동적 압력의 감소에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징은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에 개구가 형성되고, 커넥팅 요소(24)의 배면 상에 설치된 스포일러형 공기 안내 수단(84)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커플링 섹션(26)의 상부를 통과한다는 것이다. 공기가 공기 안내 수단(84)을 가로질러 흐를 때, 와이퍼 아암(14)의 압축력은 증가하고 양력은 감소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섹션(26)의 개구의 형상 및 크기와, 공기 안내 수단(84)의 기부 영역은 서로 조절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공기 안내 수단(84)은 받침대(86)를 매개로 커넥팅 요소(24)의 배면(32)에 연결되어 있다. 이 받침대(86)의 높이가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의 벽 두께와 일치하여, 배면(50)의 상부측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어떠한 여유나 견부(肩部)없이 공기 안내 수단(84)과 인접한다. 그 결과, 공기 역학은 향상되고 기류 소음은 줄어든다.
도 9 및 도 10의 개략도와는 달리,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에 있는 개구는 또한 공기 안내 수단(84)의 기부 영역 혹은 받침대(86)보다 큰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의 단지 일부가 공기 안내 수단(84)에 의해 채워진다. 따라서 채워지지 않은 개구의 부분은 기류 개구로서 작용하며, 그 결과 커플링 섹션(26)의 U형 부분 아래의 동적 압력은 감소된다. 이 실시예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시가 생략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서 커플링 섹션(26)의 U형 부분 아래의 동적 압력을 줄이기 위해 배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52, 54)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지막 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징과 상당히 일치하고, 따라서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겠다. 동일한 부분 및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 였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요소(22)는 서로에 대해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 와이퍼 블레이드(12)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요소(22)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베어링 핀(88)을 구비한다. 도 11은 사시도이기 때문에 단지 하나만 도시되어 있는 베어링 핀(88)은 슬라이드 요소(22)와 원피스(one piece)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요소(22)는 전체적으로 다이캐스트로 주조된 금속 부품 혹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정렬되어 있는 베어링 구멍(90)은 커넥팅 요소(24)의 2개의 레그(34) 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팅 요소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U형이며, 베어링 구멍(90)은 도 11이 사시도이기 때문에 역시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이 베어링 구멍(90)은 커넥팅 요소(24)에 대한 슬라이드 요소(22)의 선회 운동이 가능한 한 유극이 없는 방식으로 일어나도록 베어링 핀(88)에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본적인 하나의 차이점은 베어링 구멍(90)이 레그(34)의 하측 에지, 즉 커넥팅 요소(24)의 배면(32)의 반대쪽 에지를 향해 베어링 구멍(90)으로부터 진행하는 슬롯(92) 상측에서 방사 방향으로 각각 개방되어 있는 점이다. 상기 슬롯(92)은 베어링 구멍(90)의 가장자리로부터 레그(34)의 에지를 향해 연장된다. 슬롯(92)의 좁은 지점은 이 경우 해당하는 베어링 핀(88)의 직경보다 더 좁다. 슬라이드 요소(22)와 커넥팅 요소(24)의 조립 혹은 분해시, 베어링 핀(88)은 로킹 연결 방식으로 베어링 구멍(90) 내로, 또는 슬롯(92)을 통해 베어링 구멍(90) 밖으로 방사 방향으로 압축되어 좁은 지점에 적응된다. 그 결과, 이러한 공정이 상당히 간단해지며, 더욱이 베어링 구멍(90) 내에 베어링 핀(88)을 충분하게 신뢰성 있게 안착 혹은 유지할 수 있다.
통상, 이러한 슬라이드 요소(22)와 커넥팅 요소(24)가 마련되어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12)를 와이퍼 아암(14) 혹은 와이퍼 아암(14)의 커플링 섹션(26)에 연결하는 것과, 그 반대 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또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2)로부터 분리된 커넥팅 요소(24)를 먼저 와이퍼 아암(14)의 커플링 섹션에 고정한 다음, 베어링 핀(88)을 슬롯(92)을 통해 베어링 구멍(90) 속으로 밀어넣어서 와이퍼 블레이드(12)에 연결된 슬라이드 요소(22)를 커넥팅 요소(24) 상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계의 순서를 역으로 함으로써 분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는 특히 자동차 전방의 앞 유리용 와이퍼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반면,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장치는 특히 자동차 후방의 뒷유리용 와이퍼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특징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서로가 임의의 소망하는 방식으로 조합된 것이 본 발명에 필수적일 수 있다.

Claims (31)

  1. 와이퍼 블레이드(12)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10)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2)는 닦을 자동차의 앞 유리에 면하는 와이퍼 스트립(16)과,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형의 긴 지지 요소(18, 20)와, 이 지지 요소(18, 20)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요소(22), 그리고 와이퍼 아암의 커플링 섹션(26)에 연결되는 커넥팅 요소(24)를 포함하며, 이 커넥팅 요소는 선회 가능하게 슬라이드 요소(22) 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섹션(26)은 설형(舌形)의 삽입 섹션(28)을 구비하며, 커넥팅 요소(24)는 삽입 섹션(28)용 시트(30)를 구비하고, 커플링 섹션(26)과 커넥팅 요소(24)는 영구적인 상호 연결을 위한 고정 섹션(42, 56)을 구비하며, 와이퍼 아암(14)의 종축과 커넥팅 요소(24)의 종축이 10° 내지 100° 범위의 각도(α)를 이루는 예비 조립 상태(도 5 참조)에 도달하도록, 상기 삽입 섹션(28)은 직선 형태(64)로 시트(3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최종 조립 상태(도 6 참조)에 도달하도록, 와이퍼 아암(14)과 커넥팅 섹션(24)은 고정 섹션(40, 42, 56)이 영구적인 상호 연결을 허용할 때까지 삽입 섹션(28)과 시트(30) 간의 접촉 영역을 중심으로 서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조립 상태(도 5 참조)에 도달하기 위한 삽입 방향(64)은 최종 조립 상태(도 6 참조)에 도달하기 위한 선회 평면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섹션(26)은 단면이 U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배면(50)과 2개의 레그(52, 54)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섹션(28)은 후크형으로 구성되고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섹션(28)은 자유단이, 와이퍼 아암(14)의 연장 방향과 측면에서 볼 때, 닦을 자동차의 앞 유리의 방향으로 상기 배면(50)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원호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삽입 섹션(28)과 협동하고 삽입 개구(30)와 인접한 커넥팅 요소(24)의 영역(48)은 삽입 섹션(28)과 상보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삽입 섹션(28)과 협동하는 커넥팅 요소(24)의 영역(48)과, 삽입 섹션(28)의 영역은 종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는 단면이 U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배면(32)과 2개의 레그(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구(30)는 배면(32)에 마련된 컷아웃(cutout)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종 조립 상태(도 6 참조)에서, 커플링 섹션(26)은 커넥팅 요소(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섹션은 로킹 섹션(40, 42, 56)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는 종방향으로 삽입 개구(30)의 반대측을 향하는 측에서 레그(34) 상에 각각 로킹 설형부(40)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설형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요성 있고, 커플링 섹션(26)의 레그(52, 54) 상에 마련된 로킹 에지(42, 56)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로킹 설형부(40)의 로킹 에지(42)와 레그(34)의 로킹 에지(56)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축에 대해 예각(β)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설형부(40)의 자유단 상에는 로킹 연결을 해제하는 작동 섹션(44)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에 면하는 로킹 설형부(40)의 측면(60)은 로킹이 용이하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앞 유리와 면하는 커플링 섹션(26)의 레그(52, 54)의 측면은 로킹이 용이하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와 커플링 섹션(26)은 코딩(coding)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의 레그(34)는 이중벽 레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는 레그(34) 사이에 힌지 핀(38)을 구비하며, 이 힌지 핀은 커넥팅 요소(24)가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슬라이드 요소(22) 상의 구멍(36)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요소(22)는 베어링 볼트 또는 단부가 슬라이드 요소(22)로부터 돌출된 다른 2개의 힌지 핀(88)을 구비하며, 커넥팅 요소(24)는 이 커넥팅 요소의 레그(34) 내의 베어링 구멍(90)에 의해 이 힌지 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 구멍은 힌지 핀의 단부와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의 레그(34)에 마련된 베어링 구멍(90)은 베어링 구멍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뻗는 각각의 슬롯(92) 위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92)은 베어링 구멍(90)으로부터 커넥팅 요소(24)의 배면(32)의 반대측에 위치한 레그(34)의 에지까지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92)은 각각 베어링 구멍(90)으로부터 레그(34)의 에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슬롯(92)의 가장 좁은 지점은 베어링 볼트 또는 다른 베어링 핀(88)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의 레그(34)는 자동차의 앞 유리에 면하는 측에 스터드형(stud-like) 융기 영역(7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섹션(26)과 커넥팅 요소(24)는 최종 조립 상태(도 6 참조)에서 폐쇄형의 연속적인 평탄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4)의 커플링 섹션(26)은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8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4)의 커플링 섹션(26) 상에 적어도 하나의 스포일러형(spoiler-like) 공기 안내 수단(8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안내 수단(82)은 커플링 섹션(26)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수단(82)은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으로부터 자유롭게 절단되고 스포일러 방식으로 상방으로 굴곡된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요소(24)와 원피스(one piece)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일러형 공기 안내 수단(84)은 커넥팅 요소(24)의 배면(32)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안내 수단(84)은 커플링 섹션(26)의 배면(50)에 있는 개구를 통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퍼 아암(14)의 종축과 커넥팅 요소(24)의 종축이 10° 내지 100° 범위의 각도(α)를 이루는 예비 조립 상태(도 5 참조)에 도달하도록, 삽입 섹션(28)을 직선 형태(64)로 시트(30) 내로 삽입하고, 최종 조립 상태(도 6 참조)에 도달하도록, 상기 고정 섹션(40, 42, 56)들이 영구적인 상호 연결 상태에 이를 때까지 와이퍼 아암(14)과 커넥팅 섹션(24)을 삽입 섹션(28)과 시트(30) 간의 접촉 영역을 중심으로 서로 선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09271A 2002-11-26 2003-11-21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01058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4978.8 2002-11-26
DE10254978 2002-11-26
DE10323997.9 2003-05-27
DE10323997A DE10323997A1 (de) 2002-11-26 2003-05-27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antreibbaren Wischarm
PCT/EP2003/013062 WO2004048163A1 (de) 2002-11-26 2003-11-21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antreibbaren wisch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129A KR20050085129A (ko) 2005-08-29
KR101058824B1 true KR101058824B1 (ko) 2011-08-23

Family

ID=3239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271A KR101058824B1 (ko) 2002-11-26 2003-11-21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0) US7891044B2 (ko)
EP (1) EP1565359B1 (ko)
JP (1) JP4547333B2 (ko)
KR (1) KR101058824B1 (ko)
AT (1) ATE386666T1 (ko)
AU (1) AU2003288140A1 (ko)
BR (1) BR0316668B1 (ko)
DE (1) DE50309219D1 (ko)
MX (1) MXPA05005581A (ko)
WO (1) WO2004048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24B1 (ko) 2002-11-26 2011-08-23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DE10323997A1 (de) * 2002-11-26 2004-06-03 Valeo Wischersysteme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antreibbaren Wischarm
CA2514372A1 (en) * 2004-07-30 2006-01-30 M Management-Tex, Ltd. Windshield wiper structure
CA2541641C (en) 2005-04-04 2014-02-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7774892B2 (en) * 2005-04-04 2010-08-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CZ302305B6 (cs) * 2005-08-25 2011-02-16 Škoda Auto a. s. Sterac vozidla
FR2890925B1 (fr) * 2005-09-21 2009-12-25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de montage et d'articulation d'un balai d'essuyage sur l'extremite d'un bras d'entrainement
FR2896746B1 (fr) * 2006-02-02 2010-01-15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destine a relier un balai d'essuie- glace a un bras d'essuie-glace
ES2337172T3 (es) * 2006-04-21 2010-04-21 Federal-Mogul S.A. Un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EP1849666B1 (en) * 2006-04-28 2011-02-23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80028564A1 (en) * 2006-08-04 2008-02-07 Shu-Lan Ku Wiper blade support structure
US20090151110A1 (en) * 2006-08-04 2009-06-18 Shu-Lan Ku Adaptor Assemblies for Connecting Wiper Blades to Wiper Arms
US8122560B2 (en) * 2006-08-04 2012-02-28 Dongguan Hongyi Wiper Co., Ltd. Windshield wiper bridge base assembly
US7434291B2 (en) * 2007-03-15 2008-10-14 Fu Gang Co., Ltd. Connector for windscreen wiper
KR100824034B1 (ko) 2007-03-16 2008-04-21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핀치탭 타입 아암 결속용커넥터
US11040704B2 (en) * 2007-04-05 2021-06-22 Trico Belgium Windscreen wiper device
ES2529690T3 (es) * 2007-10-01 2015-02-24 Federal-Mogul S.A.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KR100909945B1 (ko) 2007-10-29 2009-07-30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슬라이드 타입 아암 결속용 커넥터간 결합구조
JP5015726B2 (ja) * 2007-11-08 2012-08-29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
DE102007058091A1 (de) * 2007-12-03 2009-06-0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DE102008000626A1 (de) * 2008-03-12 2009-09-1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EP2113432B2 (de) 2008-05-02 2021-03-24 Eletromecanica Dyna S/A Scheibenwisch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8286298B2 (en) 2008-07-11 2012-10-16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US20100205763A1 (en) * 2009-02-18 2010-08-19 Chin Pech Co., Ltd. Universal Adaptors for Connecting Wiper Blades to Wiper Arms
DE102009002764A1 (de) * 2009-04-30 2010-11-04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mit einem Wischarm fest verbundenen Verbindungselement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ES2701435T3 (es) 2009-08-27 2019-02-22 Trico Products Corp Conjunto de limpiaparabrisas
WO2011040743A2 (ko) 2009-09-29 2011-04-07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KR100959035B1 (ko) * 2010-02-11 2010-05-20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US8397341B2 (en) 2010-05-13 2013-03-19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8261403B2 (en) 2010-05-13 2012-09-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FR2962092B1 (fr) * 2010-06-30 2013-06-28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d'essuie-glace a contacts electriques
US9073520B2 (en) 2010-07-28 2015-07-07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S. Connecting device for windscreen wipers
US8495787B2 (en) 2010-08-03 2013-07-30 Rally Manufacturing, Inc. Windshield wiper
TWM404153U (en) 2010-09-07 2011-05-21 Zhi-Ming Yang Joining structure applicable for windshield wiper
KR101130977B1 (ko) 2010-09-10 2012-03-29 김인규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DE102011001687A1 (de) * 2011-03-31 2012-10-04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sowie Wischarm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DE102011077483A1 (de) * 2011-06-14 2012-12-2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US9381893B2 (en) 2011-07-29 2016-07-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174610B2 (en) * 2011-09-15 2015-11-03 Asmo Co., Ltd. Wiper blade and wiper for vehicle
CN104144828B (zh) 2011-12-14 2016-06-15 费德罗-莫格尔公司 雨刷装置
EP2797788B1 (en) 2011-12-29 2019-09-18 Federal-Mogul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CA2865292C (en) 2012-02-24 2018-03-1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FR2997358B1 (fr) * 2012-10-26 2014-11-21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ssuyage d'un pare-bris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US9221429B2 (en) 2012-11-15 2015-12-29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D702618S1 (en) 2012-11-15 2014-04-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blade coupler
US9533655B2 (en) 2012-12-04 2017-01-0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260084B2 (en) 2013-01-03 2016-02-1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555775B2 (en)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11748B2 (en) 2013-03-15 2016-12-06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9227599B2 (en) 2013-05-02 2016-01-05 Trico Products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for wiper blade and wiper arm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845079B2 (en) * 2013-11-06 2017-12-19 Federal-Mogul Motorparts Rear windscreen wiper device
US9493140B2 (en) 2013-12-02 2016-11-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upler assembly for wiper assembly
US20150151718A1 (en) * 2013-12-02 2015-06-04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9434355B2 (en) 2014-04-01 2016-09-0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539987B2 (en) * 2014-04-01 2017-01-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663071B2 (en) 2014-05-29 2017-05-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EP3368383B1 (en) 2015-10-26 2021-08-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3046584B1 (fr) * 2016-01-13 2018-01-26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relier un balai d'essuie-glace a un bras d'entrainement
US10766462B2 (en) 2016-05-19 2020-09-0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US10513246B2 (en) 2016-05-19 2019-12-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FR3055861B1 (fr) * 2016-09-14 2019-07-12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la connexion d'un balai d'essuyage a un bras d'entrainement d'un systeme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60496B1 (fr) 2016-12-15 2019-12-13 Valeo Systemes D'essuyage Organe pour un systeme de connexion d'un balai a un bras d'essuie-glace
CA3070567A1 (en) 2017-07-28 2019-01-3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EP3658425A4 (en) 2017-07-28 2021-04-21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CONNECTOR ASSEMBLY
FR3091226B1 (fr) 2018-12-28 2021-04-02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balai d’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FR3095626B1 (fr) * 2019-04-30 2021-06-11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balai d’essuie-glace à connexion mécanique et magnétique
US11235736B2 (en) 2020-05-19 2022-02-01 Scan Top Enterprise Co., Ltd. Rocker-type assembly device for wip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2054A1 (de) * 1999-10-28 2001-05-03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WO2002040328A1 (de) * 2000-11-18 2002-05-2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WO2003080409A1 (de) * 2002-03-21 2003-10-02 Valeo Systemes D'essuyage Wischvorrichtung mit flachwischblatt und wischarm
WO2003084789A1 (de) * 2002-04-04 2003-10-16 Robert Bosch Gmbh Wischhebel mit einem wischerarm und einem an diesem angelenkten wischblatt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77904B (ko)
DE77904C (de) h. HÖFER, Hagen i. W Ofen zum Frischen von Roheisen
US895907A (en) * 1907-11-18 1908-08-11 Brown Binnian Company Jar-closure.
US1852779A (en) 1929-02-07 1932-04-05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cleaner and wiper carrying arm therefor
US2031297A (en) 1931-06-05 1936-02-18 John W Anderson Windshield wiper
US2147113A (en) 1933-11-15 1939-02-14 Anderson Co Windshield wiper
US2153224A (en) 1934-12-31 1939-04-04 Zaiger Max Windshield wiper
US2153225A (en) 1935-04-24 1939-04-04 Zaiger Max Clip for windshield wipers
US2172928A (en) 1935-12-21 1939-09-12 Productive Inventions Inc Windshield wiper
US2127142A (en) 1936-03-03 1938-08-16 Raymond A Rodrick Windshield wiping device
US2073157A (en) 1936-04-20 1937-03-09 Rex Hide Inc Wiper blade fastener
US2095396A (en) 1936-08-13 1937-10-12 Jubilee Mfg Co Mounting for windshield wiper blades
US2260905A (en) 1938-08-02 1941-10-28 Trico Products Corp Wiper blade mounting
US2206343A (en) 1939-04-03 1940-07-02 Zaiger Max Wiper blade attachment
US2276556A (en) 1939-12-29 1942-03-17 Zaiger Max Windshield wiper
US2234791A (en) 1940-07-23 1941-03-11 Zaiger Max Clip for windshield wipers
US2353208A (en) 1942-07-04 1944-07-11 Stewart Warner Corp Windshield wiper
US2508056A (en) 1945-08-03 1950-05-16 Zaiger Louis Windshield wiper
GB616577A (en) 1945-09-10 1949-01-24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windshield wiper
US2618806A (en) 1946-03-19 1952-11-25 Trico Products Corp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s
GB626016A (en) 1946-06-15 1949-07-07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windshield cleaner
GB615500A (en) 1946-07-30 1949-01-06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GB641730A (en) 1946-09-04 1950-08-16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windshield wiper
GB675757A (en) 1947-05-12 1952-07-16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windshield cleaner
GB645983A (en) 1947-09-19 1950-11-15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windshield wiper blade mounting
US2632909A (en) * 1947-10-01 1953-03-31 Productive Inventions Inc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s and arms
US2632907A (en) 1948-09-21 1953-03-31 Productive Inventions Inc Connector for wiper blades and arms
GB653420A (en) 1948-10-13 1951-05-16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GB685307A (en) 1948-12-22 1952-12-31 William Edward O She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US2632195A (en) 1949-03-26 1953-03-24 Max Zaiger Attachment for windshield wiper arms
GB683854A (en) 1949-12-23 1952-12-03 Trico Produc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windshield wiper
US2642613A (en) 1950-03-23 1953-06-23 Productive Inventions Inc Windshield wiper and arm connection
US2632908A (en) * 1950-06-09 1953-03-31 Productive Inventions Inc Adapter for connecting windshield wiper blades to actuating arms
US2761168A (en) 1952-07-03 1956-09-04 Productive Inventions Inc Windshield wiper blade connector
US2761169A (en) 1952-12-05 1956-09-04 Productive Inventions Inc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US2798244A (en) 1954-08-20 1957-07-09 Max Zaiger Arm and blade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s
US2965914A (en) 1955-10-18 1960-12-27 John W Anderson Connector for a wiper assembly
US2956299A (en) 1957-06-07 1960-10-18 Gen Motors Corp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FR1238655A (fr) 1958-10-15 1960-08-12 Rau Swf Autozubehoer Dispositif de fixation du balai d'essuie-glace de véhicules automobiles
DE1089649B (de) 1959-07-09 1960-09-22 Rau Swf Autozubehoer Wischblatthalterung fuer die Scheibenwischer von Kraftfahrzeugen
FR1308353A (fr) 1961-12-20 1962-11-03 Perfectionnement aux essuie-glaces
US3147508A (en) 1963-10-14 1964-09-08 Tridon Mfg Ltd Attachment clip for automobile windshield wipers
US3254358A (en) 1963-11-12 1966-06-07 Ralph H Wise Windshield wiper connector
GB1126593A (en) 1964-12-24 1968-09-05 Anadd Holdings Ltd Improvements in windscreen wipers
US3576044A (en) * 1968-02-05 1971-04-27 Sev Marchal Means for attaching the arm of a windshield wiper to the blade support thereof
US3626544A (en) * 1970-09-16 1971-12-14 Roberk Co The Clip for windshield wiper blade refill
JPS513552Y2 (ko) * 1971-10-04 1976-02-02
US3757377A (en) 1971-10-26 1973-09-11 Tridon Ltd Windshield wiper clip assemblies
US3837033A (en) * 1972-05-04 1974-09-24 Monroe Belgium Nv Windshield wiper construction
IT958865B (it) * 1972-05-13 1973-10-30 Arman D Sas Perfezionamento relativo ai suppor ti metallici articolati per lame tergenti delle spazzole tergivetro a bordo d autoveicoli
US3772730A (en) 1972-05-26 1973-11-20 Anderson Co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US3900916A (en) 1974-09-23 1975-08-26 Anderson Co Double latch connector
DE2520661C3 (de) 1975-05-09 1980-03-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S3961394A (en) * 1975-05-28 1976-06-08 Tridon Limited Connecting clip
US4120069A (en) * 1977-04-20 1978-10-17 Parker-Hannifin Corporation Adapter for coupling windshield wiper blade holder with hooked wiper arm
IT7953746V0 (it) * 1979-11-15 1979-11-15 Bosso Fister Sas Spazzola tergicristallo
US4293974A (en) 1980-05-19 1981-10-13 Trico Products Corporation Arm to blade connector
FR2486002B1 (fr) * 1980-07-07 1985-06-21 Marchal Equip Auto Essuie-glace comportant un bras a embout rappor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429431A (en) 1981-11-12 1984-02-0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arm to blade connector
US4445249A (en) * 1982-03-30 1984-05-01 The Anderson Company Of Indiana Rock-to-lock connection arm-to-blade
JPS5913715U (ja) * 1982-07-19 1984-01-27 日本ワイパブレ−ド株式会社 バヨネツトクリツプ
DE3416505A1 (de) 1984-05-04 1985-11-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GB8604781D0 (en) 1986-02-26 1986-04-03 Trico Folberth Ltd Pivot joint
DE3709915A1 (de) 1987-03-26 1988-10-13 Daimler Benz Ag Scheibenwischer fuer kraftwagen
GB8719690D0 (en) 1987-08-20 1987-09-30 Trico Folberth Ltd Pivot joint
FR2630070B1 (fr) 1988-04-19 1991-07-26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onnexion perfectionne d'un etrier principal sur un etrier secondaire
JPH035261A (ja) 1989-06-01 1991-01-11 Nippon Cable Syst Inc ワイパーおよびワイパー駆動機構
DE4415081A1 (de) 1994-04-29 1995-11-02 Teves Gmbh Alfred Wischarm,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FR2720990B1 (fr) 1994-06-08 1996-07-19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KR19980063590A (ko) * 1996-12-18 1998-10-07 김덕수 자동차용 윈드 쉴드 와이퍼
FR2767103B1 (fr) * 1997-08-08 1999-09-03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articulation du balai d'essuie-glace sur le bras d'essuie-glace
DE19736368B4 (de) * 1997-08-21 2007-10-0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3218211B2 (ja) * 1997-12-22 2001-10-15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アーム
DE19757872A1 (de) 1997-12-24 1999-07-01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m Kraftfahrzeug geführten pendelnd angetriebenen Wischerarm
FR2779110B1 (fr) * 1998-05-28 2000-07-07 Journee Paul Sa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verrou securise
FR2782043B1 (fr) * 1998-08-07 2000-09-15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articulation et de verrouillage d'un balai d'essuie-glace sur un bras d'essuie-glace
DE19907629A1 (de) 1999-02-23 2000-08-2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Wischerarm
DE19914413B4 (de) 1999-03-30 2013-07-25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US6594854B1 (en) * 1999-04-06 2003-07-22 Asmo Co., Ltd. Wiper device having wiper blade easi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wiper arm
DE19924662B4 (de) 1999-05-28 2007-06-28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CN1182992C (zh) * 1999-06-26 2005-01-05 罗伯特·博施有限公司 玻璃雨刷器
DE19941459A1 (de) 1999-08-31 2001-05-31 Bosch Gmbh Robert Verbindungsstück zum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erarm
WO2002034596A1 (de) 2000-10-28 2002-05-0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AU2002220506A1 (en) 2000-10-28 2002-05-06 Robert Bosch G.M.B.H Jointless wiper blad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DE10057253A1 (de) 2000-11-18 2002-05-23 Bosch Gmbh Robert Top-Lock-Verbindung Gelenkfreies WBA
DE10130903A1 (de) 2000-11-18 2002-05-2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DE10065124A1 (de) 2000-12-28 2002-07-0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erarm
FR2844492B1 (fr) * 2002-09-12 2005-06-10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de fixation d'un balai d'essuie glace sur un bras
EP1403156B1 (en) * 2002-09-24 2008-12-17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058824B1 (ko) 2002-11-26 2011-08-23 발레오 비셔시스테메 게엠베하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2054A1 (de) * 1999-10-28 2001-05-03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WO2002040328A1 (de) * 2000-11-18 2002-05-2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angetriebenen wischerarm
WO2003080409A1 (de) * 2002-03-21 2003-10-02 Valeo Systemes D'essuyage Wischvorrichtung mit flachwischblatt und wischarm
WO2003084789A1 (de) * 2002-04-04 2003-10-16 Robert Bosch Gmbh Wischhebel mit einem wischerarm und einem an diesem angelenkten wischbla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52446A1 (en) 2019-05-23
AU2003288140A1 (en) 2004-06-18
KR20050085129A (ko) 2005-08-29
US20060117515A1 (en) 2006-06-08
US20160052492A1 (en) 2016-02-25
US20200148173A1 (en) 2020-05-14
US9499132B2 (en) 2016-11-22
JP2006507991A (ja) 2006-03-09
US20110056042A1 (en) 2011-03-10
US20100218330A1 (en) 2010-09-02
US7937798B2 (en) 2011-05-10
MXPA05005581A (es) 2005-11-23
US7891044B2 (en) 2011-02-22
WO2004048163A1 (de) 2004-06-10
DE50309219D1 (de) 2008-04-03
US9969361B2 (en) 2018-05-15
US11110898B2 (en) 2021-09-07
US20170334405A1 (en) 2017-11-23
JP4547333B2 (ja) 2010-09-22
US20170036649A1 (en) 2017-02-09
US20120260450A1 (en) 2012-10-18
BR0316668B1 (pt) 2013-03-19
EP1565359B1 (de) 2008-02-20
BR0316668A (pt) 2005-10-11
US9162650B2 (en) 2015-10-20
US10259429B2 (en) 2019-04-16
US8220106B2 (en) 2012-07-17
EP1565359A1 (de) 2005-08-24
US20180222449A1 (en) 2018-08-09
US9751503B2 (en) 2017-09-05
US10569745B2 (en) 2020-02-25
ATE386666T1 (de) 200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824B1 (ko)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
JP5235937B2 (ja) ワイパブレードの組立品およびワイパの組立品
JP4809420B2 (ja) ワイパブレード
US9849861B2 (en) Wiper blade
KR101447584B1 (ko)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관절형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JP5335133B2 (ja)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US8448290B2 (en) Device for the jointed connection of a wiper blade
CA2809292A1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JP2003512250A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装置
JP2010519108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を枢着結合するための結合部材
JP5352055B2 (ja) ワイパブラシをワイパアームに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
CN106347310A (zh) 用于将风挡擦拭器刮片连接到驱动臂的适配器
JP2013538736A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GB2402609A (en) Wiper blade clip for different wiper arms
JP2010507523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EP2599673B1 (en) Wip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