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167B1 -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167B1
KR101053167B1 KR1020040023725A KR20040023725A KR101053167B1 KR 101053167 B1 KR101053167 B1 KR 101053167B1 KR 1020040023725 A KR1020040023725 A KR 1020040023725A KR 20040023725 A KR20040023725 A KR 20040023725A KR 101053167 B1 KR101053167 B1 KR 10105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main body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913A (ko
Inventor
사쿠타준
다케우치료스케
마쓰자와다케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4008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부 본체(112)는, 그 단부에 있어서, 표시부(123)의 표시 화면과 대략 수직인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부 본체(111)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부 본체(111)는, 그 내측의 주면에, 각종 키를 가지는 주(主)조작부를 가진다. 닫힌 상태에서도 표시부(123)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하부 본체(111)의 외측면에 셔터 버튼(25)이 설치된다. 상부 본체(112)가 닫혀진 상태에서 셔터 버튼(25)이 길게 눌러졌을 때 촬상 모드로 이행하고, 표시부(123)의 표시 화면을 파인더로서 이용하여 셔터 버튼(25)의 조작에 따른 촬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체가 열렸을 때는 촬상 동작이 제지된다. 이들 구성에 의해, 전용의 파인더나 서브 표시부를 설치할 필요없이, 통신시에 사용되는 표시부를 촬상시의 파인더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카메라로서의 사용시에 일반적인 카메라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카메라, 파인더, 표시부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회전 슬라이드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절첩한 상태(닫힌 상태)의 제1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통신 단말기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제2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휴대 통신 단말기의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부 본체를 슬라이드 회전시켜 개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를 거쳐, 상부 본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통신 단말기의 셔터 버튼의 위치를, 하부 본체로부터 상부 본체 측으로 이동시킨 구성을 갖는 다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외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촬상에 관한 제1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촬상에 관한 제2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이하, 간단하게 휴대 통신 단말기라고도 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카메라 기능(촬상 기능)을 구비하고,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부 본체가 슬라이드 회전하는 절첩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와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로서 촬상 기능을 구비한 것이, 일본국 특개평 10(1998)-336498호 공보 등에 알려져 있다. 이 휴대 통신 단말기는 전화 이용시에 이용되는 LCD(액정 표시부)를 촬상시에도 파인더로서 이용하고, 촬상시에 피사체의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LCD에 찍어, 찍힌 상태를 확인한 후, 촬상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LCD는 절첩형의 상부 본체의 내측의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촬상시에 LCD를 파인더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부 본체를 연 상태로 촬상을 행한다.
또,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도, 표시 화면 사이즈를 크게 하고, 또한 수납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유로 절첩형의 기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상부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도 전파 상태나 일시, 착신 정보 등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상부 본체의 외표면에 서브 표시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절첩형의 휴대 전화기로서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것에서는, 역시 상부 본체를 연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카메 라 모드로 이행하고, 메인 표시부를 파인더로서 이용하면서 촬상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절첩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개폐 동작은 모두, 조개를 개폐하는 동작과 유사한 것이며, 상부 본체의 하단의 옆(하부 본체의 상부의 옆)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는 것이다. 이 구조상, 통신시에 이용되는 메인 표시부와 텐키나 통화키 및 종료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는, 각각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의 주면 상에 배치되어, 본체의 폐쇄시에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대향하는 형태로 내측에 은폐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구조상의 이유에서, 메인 표시부를 촬상시의 파인더로서 이용할 때는, 상부 본체를 개방한 상태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카메라의 형태나 취급과는 상이하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위화감을 주는 동시에 그 조작성도 뒤떨어진다.
또, 종래의 절첩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 촬상을 행할 때, 그 전제로서, 먼저 본체를 열고, 다음에 카메라 모드키를 눌러 카메라 모드로 이행하고, 그 후, 셔터 버튼에 손가락을 옮겨 촬상 동작에 들어간다는 수고가 필요하고, 신속한 촬상을 행한다는 점에서도 조작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일본국 특개평 10(1998)-336498호 공보에 기재된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는 상부 본체를 닫은 상태에서의 촬상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LCD를 촬상시의 파인더로서 이용할 수 없어, 별도로 전용의 파인더를 설치하고, 이것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로 전용의 파인더를 설치하는 것은 장치의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전용의 파인더나 서브 표시부를 설치할 필요없이, 통신시에 이용되는 표시부를 촬상시의 파인더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카메라로서의 사용시에 일반적인 카메라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취급할 수 있는 조작성이 양호한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개를 개폐하는 것과 같은 형태가 아니라, 본원 출원인이 먼저 일본국 특원 2002-063635호에서 제안한 것 바와 같은 형태(회전 슬라이드형 또는 잭나이프형)의 절첩식 개폐를 행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는, 촬상 기능을 가지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로서, 주면에 각종 키를 가지는 조작부를 배치한 하부 본체와, 주면에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단부에 상기 표시 화면과 대략 수직인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된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조작부의 배면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향한 촬상부와,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한쪽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촬상을 지시하는 촬상 버튼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파인더로서 이용하여 상기 촬상부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는 촬상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그 결합부에서 표시 화면과 대략 수직인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회전 절첩형의 경우, 본체가 열려 있든 닫혀있든, 표시부의 표시 화면은 항상 외측에 노출되어 있고, 본 체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표시 화면 전체를 눈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의 표시 정보의 인식을 위해 별도의 서브 표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닫힌 상태인 채 촬상시의 파인더로서 표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버튼의 소정 조작에 따라 촬상 모드로 이행하고, 이 촬상 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파인더로서 이용하여 상기 촬상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행한다. 본 발명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는 촬상시에 본체를 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촬상 모드로의 이행에,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촬상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히 촬상 모드로의 이행이 가능하고, 또한, 그대로의 몸의 자세로 촬상 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본체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촬상 모드로의 이행 지시를 받았을 경우,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촬상 모드로의 이행 또는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 동작을 제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촬상 모드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린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 동작을 제지한다. 이들 제지 동작은, 본체를 닫은 일반적인 카메라 형태에서의 촬상 동작을 보증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회전 절첩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 촬상 기능을 조합시킴으로써, 통신시에 이용되는 표시부를 촬상시의 파인더로서도 이용할 수 있 어, 카메라로서의 사용시에 일반적인 카메라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그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로써, 전용의 파인더나 서브 표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부 본체가 닫혀진 상태에서 촬상 버튼의 조작에 의해 촬상 모드로 이행하면, 본체를 닫은 채 신속히 촬상 모드로 들어가, 즉시 촬상 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 사이,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촬상 모드로의 이행을 위해 본체를 열어 촬상 버튼 이외의 다른 키의 조작을 행하거나, 본체를 바꾸어 잡는 수고가 불필요해 진다.
또, 열린 상태에서의 촬상 동작을 제지하도록 하면, 불필요한 화상 처리를 행하지 않고, 또한 오조작을 방지하고, 카메라로서의 일반적인 이용 형태 및 조작성을 보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 슬라이드 절첩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를 절첩한 상태(닫힌 상태)의 제1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에 다른 방향에서 본 제2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한 휴대 통신 단말기(130)는, 제1 본체인 하부 본체(111)와 제2 본체인 상부 본체(상부 덮개(112))를 구비한다. 상부 본체(112)는, 그 내측의 주면에, 예를 들면 LCD와 같은 평면 표시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23)를 가진다. 상부 본체(112)는, 그 단부에서, 표시부(123)의 표시 화면과 대략 수직인 축을 회전축으 로 하여 하부 본체(111)에 대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부 본체(111)는, 그 내측의 주면에, 각종 키를 가지는 제1 조작부인 주조작부(도 1, 도 2에서는 가려져 보이지 않음)를 가진다. 양 본체가 절첩되어 중첩된 상태라도, 이 접혀진 것은 조개형의 절첩이 아니라 회전 슬라이드형이므로, 상부 본체(112)의 표시부(123)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상부 본체(112)의 표시부(123)가 배치된 것과 같은 주면 상에는, 부조작부(제2 조작부)로서의 죠그 다이얼(121) 및 조작 버튼(122a, 122b)이 설치되어 있다. 죠그 다이얼(121)은 푸시 버튼 스위치를 겸한 회전 다이얼 조작 수단이다. 또한, 동 주면 상의 표시부(123)의 근방에는 이어 리시버(124)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본체(111)의 외측면에는, 촬상을 지시하는 촬상 버튼으로서의 셔터 버튼(25)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상태의 휴대 통신 단말기(130)에 있어서, 죠그 다이얼(121)은 사용자의 오른손 측 앞으로 향한 가로로 긴 상태로(표시부(123)의 화면도 앞으로 향함), 셔터 버튼(25)은, 적어도 오른손으로 장치의 우측 부분을 파지했을 때, 대략,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의 선단 복부 아래에 해당되는 부근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본체(111)의 외측 주면에는, 전지 커버(340)가 배치되고, 그 옆에, 촬상부의 렌즈(31), 미러(32) 및 스피커(33)가 배치되어 있다. 미러(32)는, 사용자가 렌즈(31)를 자신을 향해 촬상할 때의 파인더 대신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단, 렌즈(31), 미러(32) 및 스피커(33)의 위치 관계나 사이즈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같은,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의, 표시부(123)를 이용한 파인더 화면, 및 셔터 버튼(25), 렌즈(31)의 배치 관계에 따라,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130)는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를 가지고, 또한, 사용자는 같은 취급 방법으로 촬상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낸 휴대 통신 단말기(130)가 닫힌 상태로부터, 하부 본체(111)에 대하여 상부 본체(112)를 슬라이드 회전시켜 개방하는 도중의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상부 본체(112)를 하부 본체(1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지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어느 쪽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상태를 거쳐, 상부 본체(112)를 개방한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열었을 때 같은 회전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키지 못하고, 열었을 때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시 절첩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이것은,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부 내를 관통하고 있고, 그 뒤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케이블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도 4의 상태로부터, 열었을 때 같은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본체(111)의 내측의 주표면에는 각종 키로 이루어지는 주조작부(116)가 배치되고, 마이크(114)도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 4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주표면의 주위의 복수 개소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118)는, 양 본체가 중첩되었을 때 상부 본체(112)가 잘못하여 주조작부(116)의 키를 가압하지 않게 하 기 위한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돌기(118)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돌기(118) 대신에 주조작부(116)의 키를 잘못 누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상부 본체(112)를 연 상태는, 음성 통화시, 전자 메일의 작성, 송신, 주소록이나 메모장의 편집 등, 주로, 주조작부(116)를 이용할 때의 이용 형태이다.
이와 같은 회전 슬라이드 절첩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130)는 종래의 조개를 여닫는 식의 절첩형과 같이 접었을 때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조개를 여닫는 식의 절첩형과 다른 것은, 중첩된 상태에서도 표시부(123)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카메라 기능에 관해서 전용의 파인더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서브 표시부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그 결과, 절첩 상태로 표시부(123)에 의해 전자 메일의 착신 내용의 확인을 행하는 등, 표시부(123)의 이용 가치가 향상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통신 단말기(130)의 셔터 버튼(25)의 위치를, 하부 본체(111)로부터 상부 본체(112) 측으로 이동시킨 구성을 가지는 다른 휴대 통신 단말기(131)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휴대 통신 단말기(131)의 내부 구성은 휴대 통신 단말기(130)와 같다.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촬상 기능을 이용하는 한은, 조작성에 있어서 양자에게 변화는 없다.
단, 셔터 버튼(25)을, 본체가 열린 상태에서 촬상 기능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본체(111)에 설치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셔터 버튼(25)으 로서의 전기적 스위치의 배선의 길이의 관점으로부터도, 전지가 있는 하부 본체(111)에 셔터 버튼(25)을 설치하는 쪽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6에, 본 실시예의 휴대 통신 단말기(13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통신 단말기(130)의 전체의 동작은 CPU(220)에 의해 제어된다. CPU(220)는, 제어 라인(200)을 통하여, 통신 회로(203), 표시 제어부(209), 조작부(206), ROM(207), RAM(208), 절첩 검지부(218), 촬상부(219), 촬상 버튼(231)(도 1의 (25)에 대응) 및 음성 처리부(215)와 접속되고, 이들 각 부를 제어한다.
통신 회로(203)는, 휴대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부위이며, 안테나(202)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지국과 접속된다. 표시 제어부(209)는 표시부(210)(도 1의 표시부(123)에 대응)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부위이다. 조작부(206)(도 1의 주조작부(116)에 대응)는, 사용자의 입력 지시를 받아들이는 부위이다. ROM(207)은, CPU(220)에 의해 실행되는 고정적인 프로그램 및 이에 부수 된 고정적인 데이터(폰트 데이터 등)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RAM(208)은 CPU(220)의 이용에 제공되는 데이터의 일시 보존 영역이나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메모리이다. 절첩 검지부(218)는 하부 본체에 대한 상부 본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기존의 수단이다. 촬상부(219)는, 촬상 처리를 행하는 부위이며, 상기 렌즈(31) 외에, CCD 등의 촬상 소자 및 그 제어 회로를 가진다. 음성 처리부(215)는, 마이크(232)(도 1의 (114)에 대응), 이어 리시버(233)(도 1의 (120)에 대응), 및 스피커(234)(도 2의 (33)에 대응)에 접속되고, 음성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부위 이다.
데이터 라인(201)는, CPU(220), 통신 회로(203), 표시 제어부(209), ROM(207), RAM(208), 음성 처리부(215), 촬상부(219)와 접속되고, 이들 임의의 부위 사이의 데이터의 전송로를 제공한다.
통상, 충전 가능한 전지(45)는 하부 본체(111) 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전지(45)에 접속되어 장치 각 부에 소정의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2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촬상에 관한 제1 동작예의 플로 차트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CPU(220)에 의해 ROM(207) 등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촬상 모드(카메라 모드)로의 이행의 지시로서, 셔터 버튼(25)의 소정 조작(예를 들면, 소정 시간 이상 연속된 누름, 즉 길게 누름)을 채용한다. 셔터 버튼(25)은 본체의 절첩 상태(닫힌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비촬상 모드시에는 셔터 버튼(25)의 누름에 의해 잘못된 촬상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죠그 다이얼(121) 등의 제2 조작부도 본체가 절첩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죠그 다이얼에 의한 메뉴 조작, 또는 조작 버튼(122a, 122b)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간편함 및 조작의 용이성으로부터는, 촬상 모드로의 이행의 지시에는 셔터 버튼(25)의 이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셔터 버튼(25)의 길게 누름 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촬상 모드로의 이행의 지시가 있었을 때, CPU는 본체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12). 닫힌 상태이면, 촬상 모드로 들어간다(S15). 이 때, 표시부(123)를 촬상용의 파인더로서 이용 개시한다. 이로써, 렌즈를 통해 얻어진 촬상 대상의 피사체의 상이 대략 리얼 타임으로 표시부(123)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닫힌 상태가 아니면(즉 열린 상태이면), 예를 들면 「상부 덮개를 닫아 주세요」와 같은, 상부 본체의 폐쇄를 촉구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 화면 상에 표시 출력한다(S13). 이에 대신하여, 또는 병행하여, 소정 경고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스피커 및/ 또는 이어 리시버로부터 발하도록 해도 된다. 경고 메시지 출력 후, 상부 본체가 닫혀지는 것을 기다리고(S14), 촬상 모드로 들어간다(S15).
촬상 모드로 들어간 후, 셔터 버튼이 눌러지면(S16), 촬상 동작을 실행한다(S17). 촬상 모드 종료의 지시가 있으면(S18, No), 최초의 스텝 S11으로 돌아온다.
여기서의 촬상 모드 종료의 지시란, 본체가 절첩 상태인 채, 사용자가 제2 조작부의 예를 들면 죠그 다이얼의 조작에 따라 행하는 것이다. 촬상 모드 종료의 지시가 있기 전에, 상부 본체가 개방되면(S19, Yes), 촬상을 제지한다(S20). 이 촬상의 제지란, 적어도, 셔터 버튼의 누름의 무효화이다. 이에 더하여, 표시부의 파인더로서의 모니터 기능을 오프로 해도 된다. 이 후, 상기 스텝 S13과 마찬가지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21).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의 열린 상태에서의 촬상을 제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회전 슬라이드형이므로 본체가 열린 상태에서의 촬상을 허가하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 표시부와 촬상부와의 상호의 상하 관계가 역으로 되기 때문에, 본체가 개폐될 때마다 표시부의 파인더 표시 화상을 상하 역전시킨다는 여분의 처리가 필요한 것.
(2) 열린 상태에서의 촬상은 종래의 카메라의 사용 형태와 달리, 조작성이 열화되는 것.
(3) 통상, 휴대 전화기의 종료키(조작부(206)의 1키)는 임의의 사용자 조작을 종료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고, 열린 상태에서는 조작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잘못하여 종료키를 눌러 촬상 모드가 예기치 않은 시점에서 중단될 우려가 있는 것.
(4) 닫힌 상태에서 표시부를 파인더로서 이용하면서 촬상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열린 상태에서의 촬상이 필요한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것.
스텝 S21 후, 촬상 모드 종료의 지시가 있으면, 최초의 스텝 S11로 돌아온다. 이 촬상 모드 종료의 지시는, 주조작부에 설치된 키(예를 들면 종료키)의 누름에 의한다. 이 대신에, 제2 조작부의 조작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상 모드 종료의 지시가 없이, 상부 본체(112)가 재차 닫혀진 경우, 스텝 S15로 돌아와, 촬상 모드로 복귀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통신 단말기의 촬상에 관한 제2 동작예의 플로 차트를 나타낸다. 이 동작예는, 도 7에 나타낸 제1 동작예와 유사하고, 스텝 S31~S39는 도 7의 스텝 S11~S19와 같다. 차이는 제2 동작예에서는 제1 동작예인 스텝 S20~S23을 생략한 것이다. 이 차이점은, 제2 동작예에서는 촬상 모드로 들어간 후, 본체를 열면, 촬상 모드가 종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동작예에서는, 촬상 모드로 돌아오는 데는 본체를 닫아 재차 셔터 버튼의 길게 누름을 행할 필요가 있다.
제1 동작예와 제2 동작예를 비교하면, 제1 동작예에서는 본체를 열어 촬상 모드를 중단한 후, 본체를 닫는 것만으로 즉시 촬상 모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2 동작예에서는, 촬상 모드로부터 이탈하고 싶을 때, 제1 또는 제2 조작부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 본체를 여는 것만으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 도 8의 동작예에서는, 촬상 모드로의 이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 촬상 모드로 들어가는 것 자체를 제지하도록 했지만, 일단 촬상 모드로 들어가 표시부의 파인더로서의 모니터 기능을 온으로 하고, 셔터 버튼을 누를 때 열린 상태가 확인된 경우에 촬상 동작을 제지하도록 한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촬상은, 정지화 뿐만이 아니게 동영상을 대상으로 해도 된다. 셔터 버튼의 위치는 도시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회전 절첩형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 촬상 기능을 조합시킴으로써, 통신시에 사용되는 표시부를 촬상시의 파인더로서도 이용할 수 있어, 카메라로서의 사용시에 일반적인 카메라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그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로써, 전용의 파인더나 서브 표 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부 본체가 닫혀진 상태에서 촬상 버튼의 조작에 의해 촬상 모드로 이행하면, 본체를 닫은 채 신속히 촬상 모드로 들어가, 즉시 촬상 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 사이,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촬상 모드로의 이행을 위해 본체를 열어 촬상 버튼 이외의 다른 키의 조작을 행하거나, 본체를 바꾸어 잡는 수고가 불필요해 진다.
또, 열린 상태에서의 촬상 동작을 제지하도록 하면, 불필요한 화상 처리를 행하지 않고, 또한 오조작을 방지하고, 카메라로서의 일반적인 이용 형태 및 조작성을 보증할 수 있다.

Claims (14)

  1. 촬상 기능을 가지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로서,
    주면(主面)에 각종 키를 가지는 조작부를 배치한 하부 본체와,
    주면에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부를 배치하고, 단부에 상기 표시 화면과 수직인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된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조작부의 배면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향한 촬상부와,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한쪽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촬상을 지시하는 촬상 버튼과,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파인더로서 이용하여 상기 촬상부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는 촬상 제어 수단과,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본체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촬상 모드로의 이행 지시를 받은 경우,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촬상 모드로의 이행 또는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 동작을 제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버튼의 소정 조작에 따라 촬상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촬상 모드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파인더로서 이용하여 상기 촬상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행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촬상 모드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린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 동작을 제지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변화되었을 때, 상기 촬상 동작의 제지를 해제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상기 상부 본체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변화되었을 때, 상기 촬상 동작의 제지를 해제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동작을 제지할 때, 상기 상부 본체의 폐쇄를 촉구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동작을 제지할 때, 상기 상부 본체의 폐쇄를 촉구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게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촬상 모드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촬상 모드로부터 이탈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의 상기 주면에 배치된 제2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촬상 제어 수단은, 촬상 모드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촬상 모드로부터 이탈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부는, 회전 다이얼 조작 수단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버튼은,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된,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040023725A 2003-04-07 2004-04-07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KR101053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3319 2003-04-07
JP2003103319A JP4010975B2 (ja) 2003-04-07 2003-04-07 携帯通信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913A KR20040087913A (ko) 2004-10-15
KR101053167B1 true KR101053167B1 (ko) 2011-08-02

Family

ID=3286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725A KR101053167B1 (ko) 2003-04-07 2004-04-07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2636B2 (ko)
EP (1) EP1467537A1 (ko)
JP (1) JP4010975B2 (ko)
KR (1) KR101053167B1 (ko)
CN (1) CN1004634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5718B2 (en) * 2003-09-03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KR100640342B1 (ko) 2003-09-23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JP4552699B2 (ja) * 2004-04-05 2010-09-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撮影装置、動画撮影制御方法、及び、動画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4120942B2 (ja) * 2004-07-22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681373B1 (ko) 2004-11-15 2007-02-15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100672513B1 (ko) * 2004-11-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US7832055B2 (en) * 2004-12-30 2010-11-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US7333840B2 (en) * 2005-04-25 2008-02-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3332B1 (ko) * 2005-06-0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KR100735289B1 (ko) * 2005-06-07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784542B1 (ko) * 2005-10-20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73273A (ko) * 2006-01-04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폴더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및방법
US7860538B2 (en) * 2006-02-28 2010-1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7996050B2 (en) *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243021B2 (en) * 2006-03-31 2012-08-14 Intel Corporation Slide and rotate display configurations fo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KR101102811B1 (ko) * 2006-06-05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797417B1 (ko) * 2006-07-11 2008-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스텀 화이트밸런스 조정장치 및 방법
JP4757754B2 (ja) * 2006-09-22 2011-08-2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表示制御方法、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22092B1 (ko) * 2006-11-28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KR100836139B1 (ko) * 2006-12-28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블 바디의 회전 방향 감지 장치를 갖는 스위블 타입휴대용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스위블 바디의 회전 방향감지 방법
JP4175429B1 (ja) * 2007-09-04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および、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1483030B1 (ko) * 2009-04-30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0278941A (ja) * 2009-06-01 2010-12-09 Panasonic Corp 通信システム
TW201104330A (en) * 2009-07-24 2011-02-01 Asia Optical Co Inc Photograph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lens set and the display
US8672427B2 (en) * 2010-01-25 2014-03-18 Pepsico, Inc. Video display for product merchandisers
JP5700204B2 (ja) * 2011-01-26 2015-04-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頭部装着型撮像装置
CN103533223A (zh) * 2013-10-21 2014-01-22 明基电通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4758A1 (en) 2001-09-28 2003-04-03 Nec Corporation Foldabl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7003318B2 (en) * 2002-09-20 2006-02-21 Hitachi, Ltd. Mobile phone with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0145A (en) * 1987-09-22 1989-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lephone set
US6009336A (en) *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JP3459744B2 (ja) * 1997-03-11 2003-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テレビ電話装置
JP4199837B2 (ja) * 1997-05-29 2008-12-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複合機器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JP2002135380A (ja) *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2002171189A (ja) * 2000-11-30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3929696B2 (ja) * 2000-12-05 2007-06-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
JP3778807B2 (ja) * 2001-03-30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574084B2 (ja) * 2001-04-03 2004-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3787760B2 (ja) * 2001-07-31 2006-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2003069869A (ja) * 2001-08-27 2003-03-0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機能を有する携帯型情報端末機器
JP3901011B2 (ja) * 2002-05-20 2007-04-0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およびストロボモジュール
JP3910112B2 (ja) * 2002-06-21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3872390B2 (ja) * 2002-07-24 2007-01-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EP1608151B1 (en) * 2003-01-21 2011-12-07 Panasonic Corporation Camera-equipped portable device
JP4402355B2 (ja) * 2003-01-21 2010-01-20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4019189B2 (ja) * 2003-02-04 2007-12-1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2004247218A (ja) * 2003-02-14 2004-09-02 Canon Inc 電子機器
JP3869812B2 (ja) * 2003-03-04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撮像装置
JP3869813B2 (ja) * 2003-03-04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4758A1 (en) 2001-09-28 2003-04-03 Nec Corporation Foldabl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7003318B2 (en) * 2002-09-20 2006-02-21 Hitachi, Ltd. Mobile phone with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12389A (ja) 2004-11-04
JP4010975B2 (ja) 2007-11-21
CN100463463C (zh) 2009-02-18
US20040198460A1 (en) 2004-10-07
EP1467537A1 (en) 2004-10-13
US7502636B2 (en) 2009-03-10
CN1571430A (zh) 2005-01-26
KR20040087913A (ko)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167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장치
JP3910112B2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US7203529B2 (en) Bar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4715208B2 (ja) 携帯電話機
JP2003244301A (ja) 携帯情報端末
KR19990023694A (ko) 정보통신단말장치
JP2005286430A (ja) 携帯機器
KR20040073604A (ko) 휴대 전화기
JP3751197B2 (ja) 移動体電話機
JP3897463B2 (ja) 通信装置
JP2005323241A (ja) 携帯電話機
JP2005277775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4281908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1045349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480546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5286431A (ja) 携帯機器
JP2005136514A (ja) カメラ付携帯情報端末およびカメラ切換方法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JP4111978B2 (ja) 携帯電話機
JP4188984B2 (ja) 携帯電話機
JP2005012528A (ja) 画像表示部切替機能つき折畳型携帯電話機
JP4229956B2 (ja) 携帯電話機
JP2003143447A (ja) 情報端末
JP2004173299A (ja) 携帯電話機
KR20060037908A (ko) 입력부 기능 전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