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00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007B1
KR101049007B1 KR1020040081979A KR20040081979A KR101049007B1 KR 101049007 B1 KR101049007 B1 KR 101049007B1 KR 1020040081979 A KR1020040081979 A KR 1020040081979A KR 20040081979 A KR20040081979 A KR 20040081979A KR 101049007 B1 KR101049007 B1 KR 10104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housing
contact
plu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766A (ko
Inventor
가지모또준야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간이한 구성으로 한 커넥터에 의한 끼워 맞춤에 의해 생기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와, 이 플러그에 끼워 맞추어지는 리셉터클을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하우징에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마련한다. 또한,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에는 끼워 맞춤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홈이 있고, 리셉터클 하우징에 마련된 볼록부가 끼워 맞춤 가능한 홈을 갖는 벽부를 설치한다. 볼록부의 폭은 홈의 폭보다 좁고, 리셉터클은 플러그 하우징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플러그,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하우징, 볼록부, 리셉터클 하우징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전체 사시도.
도3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평면도.
도3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정면도.
도3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측면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플러그 하우징의 전체 사시도.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단면 개략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전체 사시도.
도7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평면도.
도7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측면도이다.
도8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9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의 끼워 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의 끼워 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의 끼워 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제2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 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제2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 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제2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 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2 : 리셉터클
5 : 커넥터
10 : 플러그 하우징
11 : 벽부
12 : 홈
20 : 플러그 콘택트
60 : 리셉터클 하우징
70 : 리셉터클 콘택트
110 : 보호벽
120 : 테이퍼면
121 : 바닥판
122 : 구획판
123 : 접속판
201 : 플러그 다리부
202 : 연결부
203 : 접촉부
본 발명은 전기 회로가 조립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여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예로서, 기판에 실장되는 한 쌍의 커넥터 중 하나의 콘택트 다리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이 다리부에 의해 상대측 콘택트와의 끼워 맞춤시에 생기는 어긋남을 흡수시키도록 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0-260527호 공보 참조). 이 커넥터에 따르면, 콘택트의 다리부가 금속선과 같은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부분이 하우징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므로 변형 가능하고 끼워 맞춤시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기 위해 외부에 노출된 콘택트의 다리부는 매우 얇은 선형의 금속 부재로 구성되는 한편, 이 부분이 기판에 고정되어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뜨게 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콘택트의 다리부에 걸리는 부하가 크고, 이 다리부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한 커넥터에 있어서는 외부에 노출된 다리부를 갖는 커넥터가 고정되는 기판에 스페이서를 고정함으로써 다리부의 변형의 정도를 규제한다. 그러나, 이 스페이서는 커넥터 본체와 분리된 부재로서 구성되므로 부품 개수가 많아지는 것 외에, 커넥터 고정을 위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해 고밀도 실장에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대해 커넥터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끼워 맞춤시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간이한 구성으로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발명을 제공한다.
(1)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및 이들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들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에 상기 리셉터클을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가 접속되는 커넥터이며,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에 대한 상기 리셉터클의 끼워 맞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볼록부가 끼워 맞춤 가능한 홈을 갖는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볼록부 폭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벽부의 홈 폭보다도 좁은 커넥터.
(2) 상기 홈은 상기 벽부의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벽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깊이가 깊어지는 (1)에 기재된 커넥터.
(3)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이 제1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콘택트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제1 플러그 하우징을 연결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4) 상기 플러그 콘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끼우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두 갈래의 협지부를 구비하는 (3)에 커넥터.
(5)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및 이들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들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에 상기 리셉터클을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가 접속되는 커넥터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이 제1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콘택트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제1 플러그 하우징을 연결하는 커넥터.
(1)의 발명에서는, 리셉터클이 플러그에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될 때, 플러그 하우징에 마련된 벽부의 홈을 따라서 리셉터클 하우징의 볼록부가 삽입되는 부분이 정해져 리셉터클을 끼워 넣는다. 이로 인해,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끼워 맞춤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측에 마련된 볼록부의 횡폭은 플러그 하우징의 벽부 홈 폭보다 짧고, 볼록부와 벽부의 홈과는 소정의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끼워 맞추어진다. 이로 인해, 리셉터클은 이 간극만큼만 요동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에 생기는 어긋남을 흡수한다. 그리고, 이 홈과 볼록부는 각각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개수의 증가를 방지하여 고밀도 실장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2)의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플러그 하우징에 마련된 홈이 벽부의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홈의 깊이가 깊어지도록 절결된 테이퍼형을 이룬다. 이 테이퍼형 부분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볼록부가 벽부의 홈에 삽입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한 쌍의 벽부에 의해 규제된 리셉터클 하우징이 삽입되는 부분을 더욱 정교하고 치밀하게 규제할 수 있다.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 플러그 하우징 내측에 제2 플러그 하우징이 설치되고, 이 제2 플러그 하우징에 리셉터클 하우징의 볼록부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벽부가 설치되므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끼워 맞춤이 용이하다. 또한,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제2 플러그 하우징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이격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제2 플러그 하우징이 이 간극에서 요동하여 어긋남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홈과 볼록부 사이의 간극에서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데다가,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제2 플러그 하우징 사이의 간극에서도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고, 이 커넥터는 2단계로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4)에 기재된 발명은, 플러그 콘택트가 리셉터클 콘택트와 접촉하는 판형의 접촉부를 갖는 한편, 리셉터클 콘택트가 이 판형의 접촉부를 사이에 끼우는 두 갈래의 협지부를 가지므로,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기 위해 요동하여 플러그 콘택트와 리셉터클 콘택트의 접촉이 떨어져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와 협지부는 모두 금속과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므로, 벽부와 볼록부, 또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요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이러한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5)에 기재된 발명은,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제2 플러그 하우징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이격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플러그 하우징이 제1 플러그 하우징의 간극에서 요동하여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커넥터(5)가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를 도시하 는 사시도이다. 커넥터(5)는 플러그(1)와, 플러그(1)와 끼워 맞추어지는 리셉터클(2)을 갖는다. 플러그(1)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20)와, 이들 플러그 콘택트(20)를 보유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1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한 쌍의 긴 변 및 한 쌍의 짧은 변으로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형을 이룬다.
한편, 리셉터클(2)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0)와, 이들 리셉터클 콘택트(70)를 보유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60)을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6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플러그 하우징(10) 내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대략 직육면체형을 이룬다.
플러그(1)는 플러그 콘택트(20)의 일부가 기판(k1)에 납땜됨으로써 기판(k1)에 고정된다. 또한, 리셉터클(2)은 리셉터클 콘택트(70)의 일부가 기판(k2)에 납땜됨으로써 기판(k2)에 고정되어 있다. 플러그(1)가 고정된 기판(k1)과 리셉터클(2)이 고정된 기판(k2)은 대향 배치되고, 기판(k2)과 기판(k1)이 대향하는 방향(도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리셉터클(2)이 플러그(1)에 끼워 넣어져 리셉터클 콘택트(70)와 플러그 콘택트(20)가 접속된다.
다음에, 플러그(1)에 대해 도2 및 도3a 내지 도3c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도1의 플러그(1)를 리셉터클(2)과의 끼워 맞춤면을 위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3a는 끼워 맞춤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도2의 플러그(1)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3b는 도3a의 플러그(1)의 정면도 및 도3c는 도3a의 플러그(1)의 측면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1)의 플러그 하우징(10)은 제1 플러그 하우징(10a)과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을 구비한다. 제1 플러그 하우징(10a)은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지로 된 긴 부재(100)와, 한 쌍의 대향 배치되는 수지 부재이며, 긴 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짧은 부재(101)로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형을 이루고, 네 구석은 사각 구멍(112)을 마련한 사각 기둥(111)으로 되어 있다. 긴 부재(100) 상에는 복수의 보호벽(110)이 길이 방향에 따라서 빗살 형상으로 나란히 세워 설치되고, 보호벽(110) 사이에 플러그 콘택트(20)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긴 부재(100)에도 플러그 콘택트(20)의 일부가 매설되어 있다.
상기한 제1 플러그 하우징(10a)의 긴 부재(100)와 짧은 부재(101)로 둘러싸인 부분의 내측에는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이 구비되어 있다. 도4는 끼워 맞춤면을 위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을 본 경우의 전체 사시도이다.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은 수지로 된 직사각형 평판형의 바닥판(121)을 갖고, 바닥판(12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11)가 배치된다. 바닥판(121) 상에는 플러그 콘택트(20)가 길이 방향에 따라서 나열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바닥판(121) 상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20) 사이에는 구획판(122)이 배치되고, 구획판(122)의 한 쪽 단부는 접속판(123)에 접속되어 있다.
벽부(11)에는 리셉터클(2)과의 끼워 맞춤 방향(도4의 상하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홈(12)이 마련되어 있다. 홈(12)은 리셉터클(2)과의 끼워 맞춤 방향에 따라서 벽부(11)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 신장하고, 선단부 부분은 선단부를 향 해 깊이가 깊어지도록 도려낸 테이퍼면(120)으로 되어 있다. 이 홈(12)에 의해 리셉터클(2)의 플러그(1)에의 끼워 넣음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5를 이용하여 플러그 콘택트(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도3a의 플러그(1)를 Y-Y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개략도이다. 플러그 콘택트(20)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플러그 다리부(201), 연결부(202) 및 접촉부(203)를 갖는다. 플러그 다리부(201)는 제1 플러그 하우징(10a)의 긴 부재(100) 상에 일부가 매설되어 보유 지지되고, 접촉부(203)는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의 바닥판(121) 상에 일부가 매설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연결부(202)는 접촉부(203)와 플러그 다리부(201)에 접속되고, 접촉부(203), 연결부(202) 및 플러그 다리부(201)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동시에, 제1 플러그 하우징(10a)과,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을 연결하고 있다.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인접하는 플러그 콘택트(20)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의 짧은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의 방향(도3a에 있어서의 앞 또는 뒤의 방향)으로 플러그 다리부(201) 및 연결부(202)가 연신되도록 제2 플러그 하우징(10b) 상에 나열된다.
접촉부(203)는 리셉터클 콘택트(70)와 접촉하는 판형부(203a)와, 판다리부(203c) 및 연결부(202)와 연결되는 L형 다리부(203b)를 갖는다. 판 다리부(203c)와 L형 다리부(203b)는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의 바닥판(121)에 일부가 매설됨으로써 접촉부(203)가 제2 플러그 하우징(10b)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플러그 다리부(201)는 도5의 상하 방향으로 나타내는 끼워 맞춤 방향에 따라 서 신장하는 외측 분기 다리(201a)와 내측 분기 다리(201b)를 갖고, 외측 분기 다리(201a)와 내측 분기 다리(201b)는 기단부(201c)에서 접속되어 대략 U자형을 이룬다. 또한, 외측 분기 다리(201a)의 선단부에는 플러그 고정부(201d)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고정부(201d)는 기판(k1)에 납땜되어 플러그(1)가 기판(k1)에 고정된다. 또한, 플러그 다리부(201)의 대략 U자형 바닥변부를 이루는 기단부(201c)는 연결부(202)와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202)는 도5의 상하 방향으로 나타내는 끼워 맞춤 방향에 따라서 신장하는 외측 분기(202a)와 내측 분기(202b)를 갖는다. 내측 분기(202b)는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접촉부(203)를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중간 평탄부(202d)와 접속되고, 중간 평탄부(202d)를 거쳐서 접촉부(203)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측 분기(202a)는 플러그 다리부(201)와 접속되어 있다. 외측 분기(202a)와 내측 분기(202b)는 일정한 간격을 마련하여 대략 U자형이 되도록 연결 평탄부(202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측 분기(202a)와 내측 분기(202b)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고, 제1 플러그 하우징(10a)과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은 이격된 상태에서 접속된다.
또한, 연결부(202)는 탄성을 갖는 가는 금속 부재로 구성되고, 대략 U자형을 이루므로,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은 내측 분기(202b)와 외측 분기(202a) 사이에 마련된 간격의 길이로 끼워 맞춤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제1 플러그 하우징(10a)과 제2 플러그 하우징(10b) 사이의 공간은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 연결부(202)는 상술한 대략 U자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플러그 하우징(10a)과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을 이격된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서는 대략 U자형의 것 외에, 예를 들어 금속선이 산과 골을 교대로 반복하여 갖도록 구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도1의 리셉터클(2)에 대해 도6, 도7a 및 도7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은 도1의 리셉터클(2)을 플러그(1)와의 끼워 맞춤면을 위로 하여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7a는 끼워 맞춤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도6의 리셉터클(2)을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7b는 도7a의 리셉터클(2)의 측면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60)은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벽(601)과, 평면벽(601)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볼록벽(602)과, 끼워 맞춤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평면벽(601)과 볼록벽(602)으로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개구부의 한 쪽을 덮는 바닥면벽(603)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60)의 횡폭(d4)은 도1의 플러그 벽부(11)의 횡폭(d3)보다 좁게 되어 있고, 리셉터클(2)은 플러그(1)의 플러그 하우징(10) 내에 수납되게 되어 있다.
평면벽(601), 볼록벽(602) 및 바닥면벽(603)은 모두 수지로 된 대략 직사각형이면서 또한 평판형이다. 볼록벽(602)은 끼워 맞춤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62)의 횡폭(d2)은 도2의 플러그의 벽부(11)에 마련된 홈(12)의 횡폭(d1)보다 좁아져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60)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0)가 길이 방향에 따라서 나열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60)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인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70)끼리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에 따라서 직렬로 나란히 연속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소형의 리셉터클 하우징(60)에 대부분의 리셉터클 콘택트(70)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8은 도7a의 리셉터클(2)의 Z-Z선에서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8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4개의 리셉터클 콘택트(70)와 파선으로 나타내는 3개의 리셉터클 콘택트(70)를 나타내고 있다. 실선으로 나타낸 리셉터클 콘택트(70)는 도7a의 Z-Z선의 전방에 나열되고, 파선으로 나타낸 리셉터클 콘택트(70)는 Z-Z선의 후방에 나열되어 있는 것이다.
리셉터클 콘택트(70)는 가는 금속 부재로 형성되고, 한 쌍의 갈고리(701), 베이스부(702), 리셉터클 다리부(71)를 갖는다. 갈고리(701)는 선단부가 팽창된 갈고리부(703)를 갖고 한 쌍의 갈고리(701)의 기단부끼리는 베이스부(702)에 접속되어 협지부(705)를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부(702)에는 갈고리(701)가 접속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704)가 접속되어 리셉터클 콘택트(70) 전체가 음차형을 이룬다. 또한, 돌출부(704)에는 리셉터클 다리부(71)가 접속되어 있다.
리셉터클 다리부(71)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2)의 짧은 방향의 부재측으로 연장되어 리셉터클 하우징(60)으로부터 돌출된다.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70)의 리셉터클 다리부(71)는 리셉터클(2)의 짧은 방향에서 역방향이 되도록 연신되고, 도7a에 있어서는 전방 또는 안쪽 방향으로 교대로 연신된다. 이 리셉터클 다리부(71)는 기판(k2)에 납땜되고, 이에 의해 리셉 터클(2)이 기판(k2)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1, 도9a 내지 도9c, 도10a 내지 도10c 및 도11을 이용하여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의 끼워 맞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k1)에 고정된 플러그(1)와, 기판(k2)에 고정된 리셉터클(2)은 리셉터클 하우징(60)의 외측에 마련된 볼록부(62)가 플러그 하우징(10)의 벽부(11) 홈(12)에 끼워 넣는 위치에 배치되고, 끼워 맞춤 방향(도1의 상하 방향)으로 압박됨으로써, 볼록부(62)가 홈(12)에 따라서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2)은 플러그(1)의 내측을 수직 하강하고, 리셉터클(2)과 플러그(1)는 왜곡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또,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의 끼워 맞춤은 플러그(1) 또는 리셉터클(2)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방을 끼워 맞춤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플러그 하우징(10)에 끼워 넣어진 리셉터클 하우징(60)은 플러그 하우징(10)의 홈(12)에 있어서 끼워 맞춤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이며 홈(12)의 횡폭 방향(도1에 있어서는 전후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도9a 내지 도9c는 도1의 플러그(1)의 제2 플러그 하우징(10b)과 리셉터클 하우징(60)이 간극(e1)을 갖고, 요동하는 상태를 도1의 상부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즉, 리셉터클 하우징(60)에 마련된 볼록부(62)의 횡폭(d2)은 벽부(11)의 홈(12)의 횡폭(d1)보다 좁으므로, 리셉터클 하우징(60)의 볼록부(62)와 벽부(11)의 홈(12) 사이에는 양자의 횡폭(d1과 d3)과의 차 폭만큼의 간극(e1)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리셉터클 하우징(60)은 플러그 하우징(10)에 끼워 맞추어진 상 태에서, 예를 들어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의 후방으로 기운 상태,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62)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간극을 가진 상태, 또는 도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기운 상태의 임의의 상태가 되도록 요동할 수 있다.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이 이와 같이 요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의 끼워 맞춤이 용이해지는 것 외에, 플러그(1)와 리셉터클(2) 사이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2)의 선단부 부분에는 테이퍼면(120)이 설치되고, 한 쌍의 벽부(11) 사이의 길이는 선단부가 가장 길어진다. 이로 인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2)이 플러그(1)를 향해 끼워 맞추어질 때, 리셉터클 하우징(60)에 마련된 볼록부(62)를 홈(12)에 끼워 넣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의 제1 플러그 하우징(10a)과 제2플러그 하우징(10b)은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플러그 하우징(10a)과 제2 플러그 하우징(10b) 사이의 간극에 있어서 플러그(1)와 리셉터클(2)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도10a 내지 도10c는 도1의 플러그(1)의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이 제1 플러그 하우징(10a) 사이에서 요동하는 상태를 도1의 상부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플러그 하우징(10b)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02)의 외측 분기(202a)와 내측 분기(202b) 사이가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10b와 같이 외측 분기(202a)와 내측 분기(202b) 간격의 길이의 간극(e2)을 제2 플러그 하우징(10b) 길이 방향 양측부에 갖는다. 한편, 외측 분기(202a)와 내측 분기(202b) 사 이가 좁혀져 양자가 접촉하는 상태가 되면, 도10a 또는 도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e2)이 길이 방향의 측부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생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간극(e1)에 의해 위치 어긋남이 흡수되는 것 외에, 간극(e2)에 의해서도 위치 어긋남이 흡수되고, 플러그(1)는 2단계로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11을 이용하여 도1의 플러그 콘택트(20)와 리셉터클 콘택트(7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11은 플러그 콘택트(20)와 리셉터클 콘택트(70)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플러그 콘택트(20)의 접촉부(203)의 판형부(203a)는 리셉터클 콘택트(70)의 협지부(705) 사이에 끼워지고, 플러그 콘택트(20)와 리셉터클 콘택트(70)가 접속된다. 플러그 콘택트(20)와 리셉터클 콘택트(70)는 모두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플러그 콘택트(20)와 리셉터클 콘택트(70)는 접촉한 상태에서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두 개의 방향(도11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한, 리셉터클 콘택트(70)는 2개의 갈고리(701)로 플러그 콘택트(20)의 판형부(203a)를 협지하기 위해 리셉터클 콘택트(70)와 플러그 콘택트(20)의 접촉이 보다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갈고리(701)의 선단부에 설치된 갈고리부(703)도 플러그 콘택트(20)와 리셉터클 콘택트(70)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한다. 즉, 리셉터클 콘택트(70)와 플러그 콘택트(20)가 끼워 맞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리셉터클 콘택트(70) 및 플러그 콘택트(20)가 배열되는 방향과도 교차하는 방향(도 11 전후 방향)으로 리셉터클 콘택트(70)와 플러그 콘택트(20)의 한 쪽 또는 양방이 요동해도 플러그 콘택트(20)와 리셉터클 콘택트(70)의 접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회로가 조립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한 쌍의 기판이 움직일 때에 이들 기판에 고정된 한 쌍의 커넥터 사이에 생기는 어긋남을 흡수하여 이들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및 이들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들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에 상기 리셉터클을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가 접속되는 커넥터이며,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에 대한 상기 리셉터클의 끼워 맞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볼록부가 끼워 맞춤 가능한 홈을 갖는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콘택트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복수 나열되고, 각각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복수 나열되고,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웃하는 리셉터클 콘택트끼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짧은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플러그 콘택트의 상기 판형의 접촉부를 끼우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두 갈래의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끼워 맞춤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며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볼록부의 횡폭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홈의 횡폭보다도 좁고, 양자의 차폭분만큼 간극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는 이 간극분만큼 요동 가능하게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벽부의 선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벽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깊이가 깊어지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이 제1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콘택트는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제1 플러그 하우징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연결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하우징은 길이 방향에 따라서 나열된 복수의 보호벽을 구비하고, 이 보호벽 사이에 상기 플러그 콘택트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5.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및 이들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및 이들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에 상기 리셉터클을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가 접속되는 커넥터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제1 플러그 하우징과, 이 제1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플러그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콘택트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제1 플러그 하우징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연결하는 커넥터.
KR1020040081979A 2003-10-15 2004-10-14 커넥터 KR101049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5704A JP2005122995A (ja) 2003-10-15 2003-10-15 コネクタ
JPJP-P-2003-00355704 2003-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766A KR20050036766A (ko) 2005-04-20
KR101049007B1 true KR101049007B1 (ko) 2011-07-12

Family

ID=3437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979A KR101049007B1 (ko) 2003-10-15 2004-10-14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40904B2 (ko)
EP (1) EP1524733A1 (ko)
JP (1) JP2005122995A (ko)
KR (1) KR101049007B1 (ko)
CN (1) CN100454667C (ko)
TW (1) TWI338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7903B1 (en) * 2008-11-28 2010-03-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5465918B2 (ja) * 2009-05-13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ノイズ対策構造
US8266890B2 (en) * 2009-06-10 2012-09-18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Preventing soot underestimation in diesel particulate filters by determining the restriction sensitivity of soot
US20110025045A1 (en) * 2009-07-29 2011-02-03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Fitting with audible misassembly indicator
JP5594053B2 (ja) * 2010-10-22 2014-09-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5642611B2 (ja) * 2011-04-04 2014-12-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JP6771989B2 (ja) * 2016-08-09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79254B2 (ja) * 2017-05-10 2018-08-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0096914B1 (en) * 2017-11-16 2018-10-09 Greenconn Corp. Floating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JP7164863B2 (ja) * 2018-08-27 2022-11-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0855028B1 (en) * 2019-07-29 2020-12-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lug connector
TWI775406B (zh) * 2021-04-22 2022-08-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多邊形連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3079A1 (en) * 2000-05-19 2002-01-31 Kazuharu Yoshimatsu Conne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164B2 (ja) * 1991-06-19 2000-03-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2567484Y2 (ja) * 1992-11-09 1998-04-02 デュポン アジアパシ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コネクタ装置
JP3258745B2 (ja) * 1993-01-29 2002-02-18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取付具
JPH07135045A (ja) 1993-11-08 1995-05-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ラグ
JP3204360B2 (ja) 1995-02-17 2001-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防水性検査方法及び防水性検査装置
JPH08250176A (ja) 1995-03-13 1996-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9259976A (ja) * 1996-03-21 1997-10-03 Fujitsu I Network Syst Ltd コネクタ端子の嵌合構造
JP3423560B2 (ja) 1996-05-29 2003-07-07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21510B2 (ja) 1996-07-18 2003-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N2305793Y (zh) * 1996-07-29 1999-01-27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
CN2313311Y (zh) * 1996-12-30 1999-04-07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3685908B2 (ja) * 1997-05-30 2005-08-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2000100501A (ja) * 1998-09-25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00188148A (ja) 1998-12-22 2000-07-04 Reppu Engineering:Kk コネクタ
JP3541929B2 (ja) 1999-01-05 2004-07-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69139B2 (ja) 1999-01-13 2007-01-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00260527A (ja) 1999-03-05 2000-09-22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コネクタとその嵌合方法
JP3396193B2 (ja) 1999-11-10 2003-04-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3425690B2 (ja) * 1999-12-21 2003-07-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435890B2 (en) * 2000-04-06 2002-08-20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Movable structure for connectors
JP3674767B2 (ja) 2000-07-03 2005-07-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98079B2 (ja) 2000-09-06 2010-01-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2151190A (ja) * 2000-11-14 2002-05-24 Yazaki Corp 基板用コネクタ
JP2003187915A (ja) 2001-12-18 2003-07-04 Nec Gumma Ltd コネクタの不正接続防止構造及び不正取外防止構造
JP2004063388A (ja) * 2002-07-31 2004-02-26 Tyco Electronics Amp Kk 可動コンタクト整列部材付きコネクタ
TW555189U (en) * 2002-09-25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3079A1 (en) * 2000-05-19 2002-01-31 Kazuharu Yoshimatsu Connector device
US6773283B2 (en) * 2000-05-19 2004-08-10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witchable conne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40904B2 (en) 2006-05-09
KR20050036766A (ko) 2005-04-20
TW200524219A (en) 2005-07-16
EP1524733A1 (en) 2005-04-20
JP2005122995A (ja) 2005-05-12
CN1607698A (zh) 2005-04-20
US20050148215A1 (en) 2005-07-07
CN100454667C (zh) 2009-01-21
TWI338416B (en) 201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857B1 (ko)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0267161B1 (ko) 전기통신케이블용 콘넥터구조
US9178326B2 (en) Connector
KR101495399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KR101049007B1 (ko) 커넥터
US20070141866A1 (en) Connector
US5997315A (en) Connector and IC card connector
CN109155491B (zh) 高速电连接器
KR100259892B1 (ko) 단자미부정렬장치를구비한직각전기커넥터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EP099619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53753B1 (ko) 커넥터
US81007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butting ribs against PCB
KR101452626B1 (ko)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KR100754255B1 (ko)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62569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P0342873B1 (en) Surface mount connector
KR102516102B1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JPH09213432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KR940004436Y1 (ko) 다극코넥터
US7413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 planes
JP2005142144A (ja) Fpc用コネクタ
JP504448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320065B1 (ko) 가동형전기컨넥터
JP2002313463A (ja) ターミナルガイド及び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