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328B1 - 7 알파-치환 11 알파-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위한 미생물학적 방법 - Google Patents

7 알파-치환 11 알파-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위한 미생물학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328B1
KR101041328B1 KR1020057001140A KR20057001140A KR101041328B1 KR 101041328 B1 KR101041328 B1 KR 101041328B1 KR 1020057001140 A KR1020057001140 A KR 1020057001140A KR 20057001140 A KR20057001140 A KR 20057001140A KR 101041328 B1 KR101041328 B1 KR 10104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ubstituted
aspergillus
delete delet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507A (ko
Inventor
루드비히 조른
롤프 볼만
노르베르트 갈루스
헤르만 퀸저
한스-페터 문
라인하르트 누베마이어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3372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33723A1/d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쉐링 파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26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5/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and substituted in position 21 by only one singly bound oxygen atom, i.e. only one oxygen bound to position 21 by a single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androst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androstane
    • C07J1/0051Estran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one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7/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9/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more than two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coprosta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12P33/06Hydroxylating
    • C12P33/08Hydroxylating at 11 position
    • C12P33/10Hydroxylating at 11 position at 11 alpha-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12P33/12Acting on D ring
    • C12P33/16Acting at 17 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Endocri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화학식 8, 10, 12의 화합물의 생산을 위한 전구체의 생산을 위한 신규 합성 경로에 대해 기재한다. 이 합성에서, 화학식 4B의 화합물을 미생물학적 반응으로 생산한다. R7, R10, R11, R13, R17 및 R17' 라디칼 및 U-V-W-X-Y-Z 기의 의미는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26
(8,10,12)
Figure 112005003504292-pct00027
(4B)
안드로겐, 스테로이드, 미생물학적 합성 방법,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

Description

7 알파-치환 11 알파-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 위한 미생물학적 방법{MICROBIOLOGICA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7 ALPHA-SUBSTITUTED 11 ALPHA-HYDROXYSTEROIDS}
본 발명은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 위한 미생물학적 방법, 그로부터 생산될 수 있는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 그 화합물을 위한 생산 방법 및 이들의 용도 및 이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제약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른 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 즉 7α-치환 에스트라-1,3,5(10)-트리엔에 관한 것이다.
남성 폐경기의 치료 및 남성 성 기관의 발달 및 남성 출산 조절을 위해서 안드로겐, 특히 테스토스테론이 사용된다. 또한, 이 호르몬은 근육 성장을 촉진하는 부분적 동화 활성 성분도 갖는다.
남성 폐경기는 내인성 안드로겐 생산의 연령-관련 감소가 특징이어서, 이의 치료를 위해 호르몬 대체가 수행된다(HRT: 호르몬 대체 요법).
정자생성의 감소 이외에, 남성 출산 조절을 위한 LH-RH 투여는 LH의 방출을 초래하고 테스토스테론 수치 및 성욕의 감소를 일으키며, 이는 테스토스테론 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보상된다(D.E. Cummings et al., "Prostate-Sparing Effects of the Potent Androgen 7α-Methyl-19-Nortestosterone: A Potential Alternative to Testosterone for Androgen Replacement and Male Contraceptio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 83, No. 12, pages 4212-4219 (1998)).
안드로겐 및 게스타겐성 활성 성분의 투여를 이용하는 복합 요법을 남성 생식력의 조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WO 01/60376 A 및 거기에 인용된 문헌 참조).
테스토스테론 치료의 경우, 부작용, 특히 세포의 수 및 기질의 선의 증가에 기인한 전립선 비대(BPH: 양성 전립선 비대증)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α-리덕타제에 의해 매개되는 테스토스테론의 대사에서, BPH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는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이 생산된다(Cummings et al., ibid.; WO 99/13883 A1). 그러므로, BPH를 치료하기 위하여 5α-리덕타제의 억제가 임상적으로 사용된다(피나스테라이드).
인체 내에서 안드로겐 스테로이드 테스토스테론의 신속한 대사는 바람직하지 않은 DHT를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테스토스테론의 원하는 효과 수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고용량의 경구 투여가 필요하게 한다. 따라서 근육내 주사 또는 대형 패치와 같은 투여를 위한 대체 형태가 필요하다.
상기 언급된 분야에서 테스토스테론을 대체하기 위하여, 7α-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MeNT)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안드로겐 수용체에 대한 높은 결합 친화성을 가지므로 한편으로는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높은 생물학적 유효성을 갖는다. 반 면, 7α-메틸기에 의한 입체 장해로 인하여 5α-리덕타제에 의한 대사에 저항하는 것으로 추측된다(Cummings et al., ibid., WO 99/13883 A1, WO 99/13812 A1, US-A-5,342,834).
테스토스테론의 대사 중, 이 화합물 중 적은 일부는 특히 뇌, 간 및 지방 조직에서 스테로이드 시스템의 고리 A의 방향족화에 의해서도 반응되어 에스트라디올을 형성한다. 테스토스테론 및 그 대사체의 총 작용에 대하여, 에스트라디올은 성-특이적 행동 및 고나도트로핀 조절을 실질적으로 담당한다. 그러므로, 성인 남성에 대한 테스토스테론의 작용과 같은 작용이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Cummings et al., ibid.).
그러나, 테스토스테론의 약동학적 성질이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구 투여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은 신속하게 다시 배설되므로, 생산된 제약 약제의 유효성 및 작용 지속 시간이 불만족스럽다. 따라서 다른 테스토스테론 유도체가 합성되었다. 이러한 유도체는 US-A-5,952,319호에 기재되어 있고, 특히 19-노르테스토스테론의 7α-,11β-디메틸 유도체, 즉 7α,11β-디메틸-17β-히드록시에스트르-4-엔-3-온, 7α,11β-디메틸-17β-헵타노일옥시에스트르-4-엔-3-온, 7α,11β-디메틸-17β-[[(2-시클로펜틸에틸)-카르보닐]-옥시]-에스트르-4-엔-3-온, 7α,11β-디메틸-17β-(페닐아세틸옥시)-에스트르-4-엔-3-온, 및 7α,11β-디메틸-17β-[[(트랜스-4-[n-부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옥시]-에스트르-4-엔-3-온이다.
상기 7α,11β-디메틸 유도체는 향상된 약동학적 성질을 비롯한 MeNT와 같은 상기 이점을 갖고, 즉, 이들의 효능 및 작용 시간이 테스토스테론에 비해 향상된 다. 그러나, 이 유도체는 고비용의 합성 방법을 통해서만 생산될 수 있다.
미생물학적 방법으로의 스테로이드의 합성은 EP 0 900 283 B1에 기재되어 있다. 거기에는 에스트르-4-엔-3,17-디온 및 칸레논이 아스퍼질러스 니그리칸스(Aspergillus nigricans), 리조푸스 아리주스(Rhizopus arrhizus) 및 페스텔로티아(Pestelotia)의 종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미생물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11α-히드록시 유사체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기재의 도입부에서, 문헌[Shibahara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2 (1970), 172-179]이 인용되었는데, 그 문헌에서는 스테로이드에서 미생물학적 11α-히드록실화 반응이 예측불가능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기초한 문제점은 5α-리덕타제로의 사용한 환원에 민감하지 않으며 향상된 약동학적 성질을 갖고 생산이 특히 용이한 테스토스테론의 유도체를 찾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매우 중요한 측면은 결과적으로 초기 생성물이 생산되기 용이한, 초기 생성물에의 접근성이 더 양호한 방법을 찾는데 있다.
본 발명이 기초한 문제점은 청구항 제1, 3 및 6항에 따른 7α-치환 스테로이드의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 제11항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 제23, 24 및 25항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생산 방법, 제26항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용도, 제27항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를 함유하는 제약 제제, 및 제21항에 따른 7α-치환 11β-할로에스트라-1,3,5(10)-트리엔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된 대상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정의
하기 정의는 명세서, 청구범위의 전체 부분 및 첨부된 도 I에 관련된다.
모든 기, 라디칼 또는 다른 구조 단위는 각 경우 명시된 의미의 영역 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변할 수 있다.
모든 알킬, 알킬렌, 알케닐, 알케닐렌, 알키닐, 및 알키닐렌 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페닐기는 하기 화학 구조 중 하나에 의해 기재될 수 있다: -CH=C-CH3, -CH2-C=CH2, 또는 -C(CH3)=CH2 . 따라서,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네오-펜틸, n-헥실, 1-메틸-n-펜틸, 2-메틸-n-펜틸, 3-메틸-n-펜틸, 4-메틸-n-펜틸, 1-에틸-n-부틸, 2-에틸-n-부틸 등이 C1-내지 C18-알킬에 속한다.
알리시클릭 알킬은 시클로알킬 고리를 통해 또는 알킬기 중 하나를 통해 직접 결합된 시클로알킬 또는 하나의 알킬기 또는 수개의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알리시클릭 알케닐은 시클로알케닐 고리를 통해 또는 알케닐기 또는 임의로 알킬기 중 하나를 통해 직접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이 알리시클릭 알케닐에 함유된 시클로알케닐 또는 하나 이상의 알케닐기로 또는 하나 이상의 알키닐기 및 알킬기로 또는 하나 이상의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또는 시클로알킬이다.
한편, 아릴은 페닐 뿐만 아니라 1-나프틸 또는 2-나프틸일 수 있다. 원칙적 으로, 아릴은 또한 헤테로아릴, 특히 2-, 3- 및 4-피리디닐, 2- 및 3-푸릴-, 2- 및 3-티에닐, 2- 및 3-피롤릴, 2-, 4- 및 5-이미다졸릴, 피리다지닐, 2-, 4- 및 5-피리미디닐 및 3- 및 4-피리다지닐을 포함한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 염은 무기 또는 유기산,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및 메탄설폰산과 상응하는 화합물의 염이다. 에스테르는 특히 숙신산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기호 R 상의 위첨자 숫자, 예를 들면 R13은 스테로이드 고리 골격 상의 이들의 위치를 나타내고, 여기서 스테로이드 고리 골격에서 C 원자는 IUPAC 명명법에 따라 번호가 붙여진다. 기호 C 상의 위첨자 숫자, 예를 들면 C10은 스테로이드 고리 골격 상의 각 탄소 원자의 위치를 나타낸다.
신규 미생물학적 공정은 하기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1
상기 식에서,
R7은 P-Q 기이고, 여기서
P는 C1- 내지 C4-알킬렌을 나타내고, Q는 수소, C1- 내지 C4-알킬- 또는 C1- 내지 C4-플루오로알킬(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소화된 알킬)을 나타내고, P-Q 기는 스테로이드 골격에 P를 통해 결합되고,
R10은 H, CH3 또는 CF3를 의미하고,
R13은 메틸 또는 에틸이다.
이 물질의 생산을 위한 첫번째 변형 방법에서, 화학식 3A의 적절한 7α-치환 스테로이드를 아스퍼질러스 종(Aspergillus sp.), 비우베리아 종(Beauveria sp.), 글로메렐라 종(Glomerella sp.), 노모니아 종(Gnomonia sp.), 하플로스포렐라 종(Haplosporella sp.) 및 리조푸스 종(Rhizopus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미생물을 사용하여 1 공정 단계로 히드록실화 및 산화시킨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2
상기 식에서 R7, R10 및 R13은 화학식 4B의 화합물에 대해 명시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피셰리(Aspergillus fischeri),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Aspergillus malignus),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비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글로메렐라 싱굴라타(Glomerella cingulata), 노모니아 싱굴라타(Gnomonia cingulata), 하플로스포렐라 헤스퍼레디카(Haplosporella hesperedica) 및 리조푸스 스톨로니퍼(Rhizopus stolonifer)이고, 특히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CBS), 아스퍼질러스 피셰리(ATCC 1020),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 (IMI 16061), 아스퍼질러스 니거(ATCC 9142), 비우베리아 바시아나(ATCC 7159), 글로메렐라 싱굴라타(CBS 15226, CBS 23849, CBS 98069, ATCC 56596, ATCC 64682, IFO 6425), 노모니아 싱굴라타(CBS 15226), 하플로스포렐라 헤스퍼레디카(CBS 20837) 및 리조푸스 스톨로니퍼(ATCC 15441)가 사용된다.
별법으로, 이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은 히드록실화 반응 및 산화 반응이 순차적 반응 단계로 일어나는 두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반응의 경로는 반응 기간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반응 시간 후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히드록실화되었지만 아직 산화되지 않은 종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공정 단계가 별도로 또는 혼합된 배양물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화합물은 아스퍼질러스 종, 비우베리아 종, 지베렐라 종(Gibberella sp.), 글로메렐라 종, 노모니아 종, 메타리지움 종(Metarrhizium sp.), 니그로스포라 종(Nigrospora sp.), 리조푸스 종 및 버티실리움 종 (Verticillium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제1 미생물을 사용하는 제1 미생물학적 공정 단계에서 화학식 3A의 11-위치에서 히드록실화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11α-위치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7α-치환된 스테로이드가 형성된다. 이 화합물은 화학식 C를 갖는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3
상기 식에서 R7, R10 및 R13은 화학식 4B의 화합물에 대해 상기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Aspergillus malignus), 아스퍼질러스 멜레우스(Aspergillus melleus),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크라세우스(Aspergillus ochraceus), 비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지베렐라 푸지쿠로이(Gibberella fujikuroi), 지베렐라 제애(Gibberella zeae), 글로메렐라 싱굴라타(Glomerella cingulata), 글로메렐라 푸사로이데스(Glomerella fusaroides), 노모니아 싱굴라타(Gnomonia cingulata),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Metarrhizium anisopliae),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Nigrospora sphaerica), 리조푸스 오리재(Rhizopus oryzae), 리조푸스 스톨로니퍼(Rhizopus stolonifer) 및 버티실리움 달리애(Verticillium dahliae)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IMI 16061), 아스퍼질러스 멜레우스(CBS), 아스퍼질러스 니거(ATCC 11394), 아스퍼질러스 오크라세우스(NRRL 405, CBS 13252, ATCC 46504), 비우베리아 바시아나(ATCC 7159, IFO 5838, ATCC 13144, IFO 4848, CBS 11025, CBS 12736), 지베렐라 푸지쿠로이(ATCC 14842), 지베렐라 제애 (CBS 4474), 글로메렐라 싱굴라타(ATCC 10534, CBS 23849, CBS 23749, ATCC 16646, ATCC 16052, IFO 6459, IFO 6425, IFO 6470, CBS 98069, IFO 7478, IFO 5257, ATCC 64682, ATCC 15470), 글로메렐라 푸사로이데스(ATCC 9552), 노모니아 싱굴라타(CBS 15226),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IFO 5940),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ATCC 12772), 리조푸스 오리재(ATCC 4858, ATCC 34102, ATCC 34102), 리조푸스 스톨로니퍼(ATCC 6227b, ATCC 15441) 및 버티실리움 달리애(ATCC 11405)가 히드록실화에 사용된다.
그 후 중간 생성물 C를 바실러스 종(Bacillus sp.), 마이코박테리움 종(Mycobacterium sp.), 노카르디아 종(Nocardia sp.) 및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제2 미생물을 사용하는 제2 미생물 공정 단계에서 산화시켜서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를 형성한다. 특히 바실러스 락티모르부스(Bacillus lactimorbus),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마이코박테리움 네오아우룸(Mycobacterium neoaurum), 마이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Mycobacterium smegmatis), 노카르디아 코랄리나(Nocardia corallina), 노카르디아 글로베룰라(Nocardia globerula), 노카르디아 미니마(Nocardia minima), 노카르디아 레스트릭투스(Nocardia restrictus), 노카르디아 루브로퍼틴크타(Nocardia rubropertincta), 노카르디아 살모니컬러(Nocardia salmonicolor) 및 슈도모나스 테스토스테로니(Pseudomonas testosteroni)를 사용하고, 특히 바실러스 락티모르부스(ATCC 245),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ATCC 7055), 마이코박테리움 네오아우룸(ATCC 9626, NRRL B-3683, NRRL B-3805), 마이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ATCC 14468), 노카르디아 코랄리나(ATCC 31338), 노카르디아 글로베룰라(ATCC 9356), 노카르디아 미니마(ATCC 19150), 노카르디아 레스트릭투스(NCIB 10027), 노카르디아 루브로퍼틴크타(ATCC 14352), 노카르디아 살모니컬러(ATCC 19149) 및 슈도모나스 테스토스테로니(ATCC 11996)가 사용된다.
다른 변형 방법에서, 미생물학적 반응으로 화학식 D의 7α-치환 스테로이드로부터 화학식 4B의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4
상기 식에서, R7, R10 및 R13은 화학식 4B의 화합물에 대해 명시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 반응은 아스퍼질러스 종, 비우베리아 종, 쿠르불라리아 종(Curvularia sp.), 지베렐라 종, 글로메렐라 종, 노모니아 종, 하플로스포렐라 종, 헬리코스틸룸 종(Helicostylum sp.), 니그로스포라 종, 리조푸스 종 및 신세팔라스트룸 종(Syncephalastrum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미생물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여기서 스테로이드 골격이 11α-위치에서 히드록실화되어 화학식 4B의 7α- 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가 생성된다. 아스퍼질러스 알리아세우스(Aspergillus alliaceus),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피셰리(Aspergillus fischeri),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Aspergillus malignus), 아스퍼질러스 멜레우스(Aspergillus melleus), 아스퍼질러스 니두알란스(Aspergillus nidualans),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크라세우스(Aspergillus ochraceus), 아스퍼질러스 바리에컬러(Aspergillus variecolor), 비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쿠르불라리아 루나타(Curvularia lunata), 지베렐라 제애(Gibberella zeae), 글로메렐라 싱굴라타(Glomerella cingulata), 글로메렐라 푸사로이데스(Glomerella fusaroides), 노모니아 싱굴라타(Gnomonia cingulata), 하플로스포렐라 헤스퍼레디카(Haplosporella hesperedica), 헬리코스틸룸 피리포르매(Helicostylum piriformae),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Nigrospora sphaerica), 리조푸스 오리재(Rhizopus oryzae) 및 신세팔라스트룸 라세모숨(Syncephalastrum racemosum)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스퍼질러스 알리아세우스(ATCC 10060),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CBS), 아스퍼질러스 피셰리(ATCC 1020),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IMI 16061), 아스퍼질러스 멜레우스(CBS), 아스퍼질러스 니두알란스(ATCC 11267), 아스퍼질러스 니거(ATCC 9142, ATCC 11394), 아스퍼질러스 오크라세우스(NRRL 405, ATCC 13252, ATCC 46504), 아스퍼질러스 바리에컬러(ATCC 10067), 비우베리아 바시아나(IFO 5838, ATCC 13144, IFO 4848, CBS 11025, CBS 12736, ATCC 7159), 쿠르불라리아 루나타(IX3), 지베렐라 제애(CBS 4474), 글로메렐라 싱굴라타(ATCC 10534, CBS 23849, CBS 23749, ATCC 16646, IFO 6459, IFO 6425, IFO, 6470, ATCC 15093, ATCC 10529, IFO 5257, ATCC 56596, ATCC 64682), 글로메렐라 푸사로이데스(ATCC 9552), 노모니아 싱굴라타(CBS 15226), 하플로스포렐라 헤스퍼레디카(CBS 20837), 헬리코스틸룸 피리포르매(ATCC 8992),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ATCC 12772), 리조푸스 오리재(ATCC 4858) 및 신세팔라스트룸 라세모숨(IFO 4827)이 사용된다.
서로 독립적으로 R7이 CH3이고(이거나) R10이 H이고(이거나) R13 이 CH3인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가 생산되는 방법이 특히 적합하다.
방법은 보통의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먼저 멸균된 영양 용액을 균주를 위해 생산하고, 이 영양 용액을 균주의 배양 용액으로 접종시켜서 균주를 배양한다. 이 방식으로 생산된 예비배양액을 적절한 영약 용액으로 임의로 코팅된 발효기에 넣는다. 바람직하게는 균주의 배양을 위한 성장기 후, 출발 물질(이 경우 화학식 3A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D의 화합물)을 발효기에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물질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식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를 단리한다.
이렇게 얻어진 화학식 4B의 화합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화합물을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생산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특히, 화학식 8, 10,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 및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 염, 에스테르 및 아미드가 이로운 활성 성분을 생산한다.
[화학식 8, 10, 12]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5
상기 식에서,
U-V-W-X-Y-Z는 C1-C2-C3-C4=C5-C10, C1-C2-C3-C4-C5=C10, 또는 C1 -C2-C3-C4-C5-C10 고리 구조 중 하나(이 경우, 옥소기(=O)가 W(=C3)에 결합됨) 또는 C1=C2-C 3=C4-C5=C6 고리 구조(이 경우, OR3 라디칼이 W(=C3)에 결합됨)를 의미하고,
R3는 H, C1- 내지 C4-알킬, C1- 내지 C4-알카노일 또는 OR3 라디칼의 O-원자와 함께 시클릭 C3- 내지 C7-에테르를 의미하고,
R7은 P-Q 기를 의미하고, 여기서
P는 C1- 내지 C4-알킬렌을 나타내고, Q는 수소, C1- 내지 C4-알킬- 또는 C1- 내지 C4-플루오로알킬(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소화된 알킬)을 나타내고, P-Q 기는 스테로이드 골격에 P를 통해 결합되고,
R10은 α- 또는 β-위치일 수 있고 H, CH3 또는 CF3를 나타내고, X-Y-Z가 C4- C5=C10이 아닐 때만 존재하고,
R11은 할로겐이고,
R13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R17은 H, C1- 내지 C18-알킬, 알리시클릭 C1- 내지 C18 -알킬, C1- 내지 C18-알케닐, 알리시클릭 C1- 내지 C18-알케닐, C1- 내지 C18-알키닐, C1- 내지 C18-알킬아릴, C1- 내지 C8-알킬렌니트릴 또는 P-Q기를 의미하고(P-Q 기는 상기 의미를 가짐),
R17'는 H, C1- 내지 C18-알킬, 알리시클릭 C1- 내지 C18 -알킬, C1- 내지 C18-알케닐, 알리시클릭 C1- 내지 C18-알케닐, C1- 내지 C18-알키닐 또는 C1- 내지 C18-알킬아릴이고, 여기서 R17'는 17β-옥시기에 케토기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여기서 R17'는 하나 이상의 NR18R19기 또는 하나 이상의 SOxR20기(여기서 x는 0, 1 또는 2임)로 추가로 치환될 수도 있고, R18, R19 및 R20은 각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R17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로부터 추가적 공정 단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 화합물들은 상기한 부작용이 없이 강한 안드로겐 활성을 갖는 가치있는 활성 성분이다. 이 화합물들은 제약 약제, 특히 효과적인 피임제 및 호르몬 대체 요법(HRT)를 위한 활성 성분의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R17'가 NR18R19기로 치환된다면, 이는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시클로헥실아미노, 디시클로헥실아미노, 페닐아미노, 디페닐아미노, 벤질아미노 또는 디벤질아미노기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화학식 8, 10,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U-V-W-X-Y-Z가 C1-C2-C3-C4=C5-C10, C1-C2-C3-C4-C5=C10 또는 C1=C 2-C3=C4-C5=C10 고리 구조를 의미하는 화합물이다.
첫번째 경우, (U-V-W-X-Y-Z가 C1-C2-C3-C4=C5-C 10인 경우), 이들은 화학식 10의 스테로이드이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6
두번째 경우(U-V-W-X-Y-Z가 C1-C2-C3-C4-C5=C10 인 경우), 이들은 화학식 12의 스테로이드이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7
화학식 10 및 12의 화합물은 안드로겐성 화합물이다.
세번째 경우(U-V-W-X-Y-Z가 C1=C2-C3=C4-C5=C6 인 경우), 이들은 화학식 8의 스테로이드이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8
이 화합물들은 에스트로겐(에스트로겐 수용체-친화성 화합물)이다.
세 가지 경우 모두, 라디칼 R3, R7, R10, R11, R13, R17 및 R17'는 화학식 8, 10, 12에서 상응하는 라디칼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서로 독립적으로, R1은 바람직하게는 H이고(이거나) R7은 CH3이고(이거나) R11은 불소이고(이거나) R13은 CH3이고(이거나) R17은 H, CH3 , C1- 내지 C18-알키닐, 특히 에티닐, CH2CN 또는 CF3이고(이거나), R17'는 H이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적합한 화학식 8, 10,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화학식 10)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5(10)-엔-3-온(화학식 12)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3,17β-디올(화학식 8)이다.
이 화합물의 생산을 위하여, 하기 생산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U-V-W-X-Y-Z가 C1-C2-C3-C4=C5-C10 고리 구조인 화학식 10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생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으로 얻어진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를 출발 물질로 사용한다.
첫번째 합성 단계에서, 이렇게 얻어진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를 할로탈히드록실화제를 사용하는 친핵성 치환에 의해 상응하는 7α-치환 11β-할로 겐 스테로이드(5)로 전환시킨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09
할로탈히드록실화제로서, 이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화합물, 예를 들면 불화수소산, 염산, 브롬화수소산 또는 요오드화수소산, 티오닐 클로라이드 또는 티오닐 브로마이드, 오염화인, 옥시염화인, N-클로로숙신이미드, 트리페닐포스핀/사염화탄소, HF/피리딘 또는 디에틸아미노설퍼 트리플루오라이드 또는 바람직하게는 노나플릴 플루오라이드/1,5-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데센이 적합하다.
그 후 화합물 10을 고리 골격의 C17 상의 선택적 알킬화에 의해 5로부터 생성시킨다(이에 관하여 도 1 참조). 선택적 알킬화를 위하여, 통상의 알킬화 시약, 예를 들면 그리냐르 화합물 및 유기금속 화합물, 특히 알킬리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트르-4-엔-3,17-디온으로부터 상응하는 17α-에티닐-17β-히드록시-에스트르-4-엔-3-온의 생산을 위하여 알킬화제로서 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U-V-W-X-Y-Z가 C1-C2-C3-C4-C5=C10 고리 구조인 화학식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생산을 위하여,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이성질체화하여, Δ4-이중결합을 Δ5(10)-이중결합으로 이성질체화한다. 3-케토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3번 위치에 시클릭 에테르를 형성한다. 그 후, Δ4-이중결합을 Δ5(10)-이중결합으로 이성질체화함으로써 화학식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를 형성하고, 보호기를 다시 절단한다.
U-V-W-X-Y-Z가 C1=C2-C3=C4-C5=C10인 화학식 8의 추가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생산을 위해 하기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식 5의 상응하는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를 미생물학적 히드록실화 및 산화에 의해 얻은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로부터 친핵성 치환 반응으로 할로탈히드록실화에 의해 형성시킨다.
그로부터, 화학식 6의 7α-치환 에스트라-1,3,5(10)-트리엔을 예를 들면 구리(II) 염으로 산화하여 형성시킨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10
상기 식에서 R3, R7, R11 및 R13은 상기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R3이 H이면, 이 화합물은 직접 합성될 수 있다. R3에 대해 다른 라디칼이면, 1,3,5(10)-트리엔 고리를 산화에 의해 형성시킨 후, 상응하는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를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시켜야 한다.
화학식 6의 7α-치환 11β-할로에스트라-1,3,5(10)-트리엔 및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 염, 에스테르 및 아민도 또한 신규하고, 따라서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8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합성에 중간 생성물로서 청구된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6의 7α-치환 11β-할로에스트라-1,3,5(10)-트리엔은 11β-플루오로-3-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17-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8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화학식 10의 화합물의 합성에 대해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학식 6의 7α-치환 11β-할로에스트라-1,3,5(10)-트리엔으로부터 고리 골격의 C17에서의 선택적 알킬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9의 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또한 화학식 3A 또는 D의 7α-치환 스테로이드로부터 미생물학적 히드록실화 및 산화에 의해 얻어지는 화학식 4B의 물질로부터 생산될 수도 있고, 상기 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도 안드로겐 작용을 갖는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11
상기 식에서, R7, R11 및 R13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이다. 화학식 9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 염, 에스테르 및 아미드도 안드로겐 작용을 갖는다.
화학식 9의 화합물의 생산을 위하여, 에스트르-4-엔-3,17-디온(5)을 예를 들면 수소화붕소를 사용하여 17β-히드록시-에스트르-4-엔-3-온(9)로 환원시킨다.
또한, 화학식 9의 화합물은 상응하는 7α-치환 11β-할로에스트라-5(10)-엔으로 전환될 수 있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12
상기 식에서 R7, R10, R11 및 R13은 화학식 8, 10, 12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하여, Δ4-이중결합을 Δ5(10)-이중결합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이성질체화한다. 3-케토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3-위치에 시클릭 에테르를 형성시킨다. 그 후, Δ4-이중결합을 Δ5(10)-이중결합으로 이성질체화 하여 상기 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를 형성하고, 그 후 보호기를 다시 절단한다.
마지막으로, 상응하는 7α-치환 11β-할로에스트라-5(10)-엔은 Δ4-이중결합을 Δ5(10)-이중결합으로 이성질체화함으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로부터 전환될 수 있다:
Figure 112005003504292-pct00013
상기 식에서 R7, R10, R11 및 R13은 화학식 8, 10, 12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하여, Δ4-이중결합을 Δ5(10)-이중결합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이성질체화한다. 3-케토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3-위치에 시클릭 에테르를 형성시킨다. 그 후, Δ4-이중결합을 Δ5(10)-이중결합으로 이성질체화 하여 상기 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를 형성시키고, 보호기를 다시 절단한다.
상기 모든 화합물은 또한 상응하는 히드록실기가 3- 또는 17β-위치에 존재한다면 추가로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9)는 상응하는 17β-에테르 또는 17β-에스테르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11β-플루오로-17β-(4-설파모일벤족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이다. C17에서의 옥시-산소 원자 상의 치환체로서, 기본적으로 R17'에 대해 언급한 것과 동일한 라디칼이 적합하다.
특히, 화학식 8, 10,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가 제약 약제의 생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화학식 8, 10, 12의 화합물 및 1 종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제약 제제 및 제약 제제의 생산을 위한 상기 화학식 8, 10, 12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0,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예를 들어 전립선의 자극과 같은 상기한 부작용이 없이(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일으키지 않음) 강한 안드로겐 작용을 가진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합성하기에 용이하다. 화학식 10 또는 12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남성 HRT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H, 체내에서 생산되는 테스토스테론 및 FSH(여포 자극 호르몬)의 혈중 수치를 감소시키도록 충분히 용량 조절을 한다면 다른 활성 성분의 추가 투여 없이도 적절히 효과적인 남성 피임제로서도 적합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가 LH 및 FSH의 방출을 억제하는데 의존한다. LH는 레이디그 세포를 자극하여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게 한다. LH의 혈중 수치가 낮게 유지되면, 내인성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도 떨어진다. 테스토스테론은 정자생성에 필요하고, FSH는 생식 세포를 자극한다. 따라서 충분히 높은 FSH 및 LH의 혈중 수치는 효과적인 정자생성에 필요하고, 충분히 높은 LH 혈중 수치는 정자생성에 필요한 테스토스테론 방출을 일으킨다.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만으로 치료하여 불임화를 위한 추가적 활성 성분 없이 효과적인 남성 피임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 목적을 위해 적 합한 제약 약제의 투여는 현저히 단순화될 수 있고, 사용 비용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또한 게스타겐과 함께 조합하여 남성 생식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5α-리덕타제 및 스테로이드-11-히드록실라제[CYP11B (P450c11), G. Zhang, W. L. Miller,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 81, pages 3254-3256 (1996)]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예를 들면 전립선의 자극을 선택적으로 피하게 하고, 이 화합물들은 개선된 약동학적 성질을 갖는다. 11-히드록실라제의 억제는 안드로겐성 화합물의 불활성화를 감소시키고 인체로부터의 배설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공지의 화합물에 비하여 이 화합물들의 유효성 및 작용 지속 시간이 특히 경구 투여 후 향상된다.
상기 이유 때문에, 이 화합물들은 5α-환원에 대한 감소된 경향과 함께 동시에 얻어진 에스트로겐성 스테로이드를 형성하는 방향족화 능력을 갖고 혈청 지질 및 중추신경계에 대한 유리한 영향을 가지며 특히 남성 출산 조절에 있어서의 용도 및 안드로겐 대체 요법에 적합하다.
안드로겐 작용 및 상기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의 관찰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0 및 12의 화합물에 대한 정낭 시험으로 결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8의 화합물의 유효성은 자궁 성장 시험으로 에스트로겐 활성에 대해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0 또는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 또는 이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제제는 가임 남성 환자 및 기본적으로 수컷 포유류의 치료에 매우 적합하다. 남성 피임을 위한 적용의 결과 남성 환자가 단지 일시적으로만 불임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 또는 제약 제제의 적용이 끝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와서 남성 환자가 더이상 불임 상태가 아니게 되고, 정자 생성이 다시 원래 정도로 일어난다. 일시 불임 상태를 원하는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활성 성분 또는 제제의 투여는 연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이 때 투여의 형태에 의존하여 투여는 매일, 더 짧은 간격으로 또는 더 긴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어야 한다. 활성 성분 또는 제제의 1회 또는 반복 투여가 끝난 후, 남성 환자의 가임 상태는 즉시 회복되기 보다는 천천히 회복될 뿐이고, 이 때 이 목적을 위해 필요한 기간은 여러 인자, 예를 들면 용량, 환자의 체질 및 다른 제약 약제의 병행 투여에 의존한다.
투여의 목적이 피임이라면,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용량은 LH 및 FSH의 혈중 수치가 각 경우 2.5 I.E./ml(I.E.: 국제 단위) 이하, 특히 1.0 I.E./ml 이하이고, 테스토스테론의 혈중 수치가 10 nmol/l 이하, 특히 3 nmol/l 이하가 되도록 높게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가 피임의 목적을 달성함 없이 HRT에 사용된다면, 용량은 더 낮게 유지된다. 이 경우, LH 및 FSH의 혈중 수치가 각각 2.5 I.E./ml 보다 크고, 테스토스테론의 혈중 수치가 10 nmol/l 보다 크게 될 수 있는 효과 수치를 달성하도록 시도된다.
LH, FSH 및 테스토스테론의 혈중 수치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0 또는 12의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용량은 많은 인자에 의존하므로 투여-특이적 방법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먼저, 용량은 요법의 유형에 자연적으로 의존한다. 화합물이 남성 피임을 위하여 사용된다면, HRT를 위한 용도의 경우보다 상당히 높은 용량이 주어져야 한다. 또한 용량은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의 유형 및 그의 생체이용률에 의존한다. 투여의 유형도 투여량에 대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용량은 또한 치료될 환자의 체질 및 다른 인자, 예를 들면 다른 제약 약제가 병행되어 제공되는지의 상태에 의존한다.
화합물은 경구 및 비경구로, 예를 들면, i.p.(복강내), i.v.(정맥내), i.m. (근육내) 또는 경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은 조직에 이식될 수도 있다. 투여될 화합물의 양은 효과량이 투여된다면 넓은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치료될 상태 및 투약 유형에 기초하여, 투여된 화합물의 양은 넓은 범위 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사람에 있어서, 1일 용량은 0.1 내지 100 mg의 범위이다. 사람에 있어서 바람직한 1일 용량은 0.1 내지 10 mg이다. 투여의 기간은 달성하려는 목적에 의존한다.
캡슐, 환약, 정제, 코팅 정제, 크림, 연고, 로션, 액제, 예를 들면 시럽, 겔, 주사액, 예를 들면 i.p., i.v., i.m. 또는 경피 주사 등이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각 투약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그 유형에 따라 점차적으로 또는 짧은 시간 내에 전체량을 방출시킨다.
경구 투여를 위해서, 캡슐, 환약, 정제, 코팅 정제 및 액제 또는 다른 공지 의 경구 투약 형태가 제약 제제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제약 제제는 활성 성분을 짧은 시간 내에 방출하여 체내로 전달하거나 활성 성분이 체내로 지연되고 느리게 공급되도록 데포(depot) 작용을 갖는 방식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 이외에, 투약 단위는 하나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면 제약 약제의 레올로지를 조정하기 위한 물질,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입자, 과립, 희석제, 결합제, 예를 들면 전분, 당, 소르비톨 및 젤라틴, 또한 충전제, 예를 들면 규산 및 탈크, 윤활제, 염료, 향료 및 기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경구 투여를 위한 것이며 활성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 이외에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도 있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오일 및(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친지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수-혼화성 용매. 이와 관련하여, WO-A-97/21440호를 참조하라.
스테로이드의 더 양호한 생체이용률을 얻기 위하여, 화합물은 시클로덱스트린 클라트레이트(clathrate)로서 제제화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화합물을 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또는 그의 유도체와 반응시킨다.
국소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크림, 연고, 로션 및 액체가 사용된다면,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체내에 충분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투약을 위한 이 형태에서 보조제, 예를 들면 제약 약제의 레올로지를 조정하 기 위한 물질, 계면활성제, 보존제, 가용화제, 희석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로이드의 피부를 통한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물질, 염료, 향료 및 피부 보호제, 예를 들면 콘디셔너 및 보습제가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로이드와 함께, 다른 활성 성분들이 제약 약제에 함유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하여, 활성 성분은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에 용해 또는 현탁될 수 있다. 희석제로서, 가용화제, 계면활성제, 현탁제 또는 유화제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오일이 매우 빈번하게 사용된다. 사용되는 오일의 예는 올리브유, 땅콩유, 면실유, 대두유, 피마자유 및 참기름이다. 주사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용해 또는 유화되는 어떠한 액체 담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액체는 또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물질, 계면활성제, 보존제, 가용화제, 희석제 및 용액을 등장성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다른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가 많다. 7α,17α-치환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와 함께 다른 활성 성분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활성 성분의 지연 방출이 가능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는 데포(depot) 주사 또는 이식 제제의 형태로, 예를 들면 피하로 투여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공지의 기술, 예를 들면 용해되거나 멤브레인과 작용하는 데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식제는 예를 들면 생분해가능한 중합체 또는 합성 실리콘,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와 같은 불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1β-할로겐 스테로이드는 경피 투여를 위해 예를 들면 패치에 도입될 수도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A. 미생물학적 합성:
11α-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 (화합물 4B):
실시예 1:
Figure 112005003504292-pct00014
30 분 동안 121℃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되고, 3 중량%의 글루코스, 1 중량%의 옥수수 침출액(corn steep liquor), 0.2 중량%의 NaNO3, 0.1 중량%의 KH2PO4 , 0.2 중량%의 K2HPO4, 0.05 중량%의 KCl, 0.05 중량%의 MgSO4·7H2 O 및 0.002 중량%의 FeSO4·7H2O(pH 6.0)로 이루어진 1000 ml의 영양 용액을 함유한 2 리터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노모니아 싱굴라타(Gnomonia cingulata)(CBS 15226) 균주의 사면 막대 배양으로 접종시키고 72 시간 동안 28℃의 회전 진탕기에서 165 rpm으로 진탕하였다. 이 예비 배양으로, 예비배양에 대해 기재한 것과 동일한 최종 조성의 19 리터의 멸균 배지로 덮인 20 리터 배양기를 접종시켰다. 또한, 멸균 전, 1.0 ml의 실리콘유 및 1.0 ml의 신퍼로닉(synperonic, 옥소알콜 에톡실레이트)를 거품 감소를 위해 첨가하였다. 0.7 바의 과압, 28℃의 온도, 20 ℓ/분의 통기 및 250 rpm의 교반 속도에서의 12 시간 동안의 성장기 후, 40 ml DMF 중의 4.0 g의 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교반을 계속하고 통기시켰다. 135 시간 후, 배양 브로스를 수거하고 12 시간 동안 10 리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추출하고 5 시간 동안 5 리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실리콘유를 헥산으로 씻어냈다.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구배로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후, 1.64 g(39%)의 11α-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을 단리하였다.
실시예 2
Figure 112005003504292-pct00015
30 분 동안 121℃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되고, 3 중량%의 글루코스, 1 중량%의 옥수수 침출액, 0.2 중량%의 NaNO3, 0.1 중량%의 KH2PO4, 0.2 중량%의 K2HPO4, 0.05 중량%의 KCl, 0.05 중량%의 MgSO4·7H2O 및 0.002 중량%의 FeSO4·7H 2O(pH 6.0)로 이루어진 1000 ml의 영양 용액을 함유한 2 리터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글로메렐라 싱굴라타(Glomerella cingulata)(IFO 6425) 균주의 사면 막대 배양으로 접종시키고 72 시간 동안 28℃의 회전 진탕기에서 165 rpm으로 진탕하였다. 이 예비 배양으로 20 리터 발효기를 접종시켰고, 상기 발효기는 예비배양에 대해 기재한 것과 동일한 최종 조성의 19 리터의 멸균 배지로 코팅되었다. 또한, 멸균 전, 1.0 ml의 실리콘유 및 1.0 ml의 신퍼로닉을 거품 감소를 위해 첨가하였다. 0.7 바의 과압, 28℃의 온도, 10 ℓ/분의 통기 및 350 rpm의 교반 속도에서의 12 시간 동안의 성장기 후, 30 ml DMF 중의 2.0 g의 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교반을 계속하고 통기시켰다. 19 시간 후, 배양 브로스를 수거하고 16 시간 동안 20 리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추출하고 23 시간 동안 20 리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다량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실리콘유를 여과했다. 이를 증발시켜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구배로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후, 1.55 g(73%)의 11α,17β-디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을 단리하였다. 아세톤/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재결정화한 후, 융점이 163℃이고 [α]D = -16°(CHCl3, c = 0.501)인 827 mg(39%)의 백색 결정을 단리하였다.
30 분 동안 121℃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하고, 0.5 중량%의 글루코스, 0.5 중량%의 박토-효모 추출액(bacto-yeast extract), 0.1 중량%의 펩톤, 및 0.2 중량%의 옥수수 침출액(pH 7.5)으로 구성된 500 ml의 영양 용액을 함유한 2 리터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ATCC 7055)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4 개의 크리오스피어(cyrosphere)로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28℃ 회전 진탕기에서 165 rpm으로 진탕하였다. 이 예비 배양으로, 예비배양에 대해 기재한 것과 동일한 조성의 500 ml의 멸균 배지를 함유한 4 개의 2 리터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각각의 이 배양 브로스 10%로 접종하였다. 28℃의 온도에서 4 시간 동안의 165 rpm의 회전 진탕기에서의 성장기 후, 2.5 ml의 DMF 중의 11α,17β-디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의 50 mg의 용액을 각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48 시간 동안 진탕을 계속하였다. 합한 배양 브로스를 2 리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이 경우, 630 mg의 오일성-결정성 잔류물을 얻었다. 아세톤/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재결정화한 후, 융점이 189℃이고 [α]D = +40.4°(CHCl3, c=0.529)인 103 mg(49.2%)의 황색 결정을 단리하였다(상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없이 직접 결정화).
실시예 3
Figure 112005003504292-pct00016
30 분 동안 121℃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하고, 3 중량%의 글루코스, 1 중량%의 옥수수 침출액, 0.2 중량%의 NaNO3, 0.1 중량%의 KH2PO4, 0.2 중량%의 K2HPO4, 0.05 중량%의 KCl, 0.05 중량%의 MgSO4·7H2O 및 0.002 중량%의 FeSO4·7H 2O(pH 6.0)로 구성된 500 ml의 영양 용액을 함유한 2 리터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아스퍼질러스 오크라세우스(Aspergillus ochraceus) 균주의 절반 사면 막대 배양으로 접종시키고 72 시간 동안 28℃의 회전 진탕기에서 165 rpm으로 진탕하였다. 이 예비 배 양으로 10 리터 배양기를 접종시켰고, 상기 배양기는 예비배양에 대해 기재한 것과 동일한 최종 조성의 9.5 리터의 멸균 배지로 코팅되었다. 또한, 멸균 전, 0.5 ml의 실리콘유 및 0.5 ml의 신퍼로닉을 거품 감소를 위해 첨가하였다. 0.7 바의 과압, 28℃의 온도, 5 ℓ/분의 통기 및 350 rpm의 교반 속도에서의 6 시간 동안의 성장기 후, 15 ml DMF 중의 1.0 g의 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교반을 계속하고, 통기시켰다. 22 시간 후, 배양 브로스를 수거하고 4 시간 동안 7 리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건조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다량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실리콘유를 여과했다. 이를 증발시켜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구배로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후, 0.78 g(74%)의 11α-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을 단리하였다. 아세톤/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재결정화한 후, 융점이 200℃이고 [α]D = +52°(CHCl3, c = 0.5905)인 311 mg(29.6%)의 백색 결정을 단리하였다.
B. 화학적 생산 방법
실시예 4: 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의 생산:
a) 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
11.5 ml의 퍼플루오로부탄-1-설폰산 플루오라이드를 250 ml의 톨루엔 및 18.2 ml의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데크-7-엔 중의 13.08 g의 11α-히드록시 -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학적 합성에 의해 생산됨[파트 A])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1 시간 후, 2 M 염산으로 이를 중화시키고, 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4 회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8.7 g의 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을 얻었다. 융점: 101.4℃, [α]D: +135.8°(CHCl3).
b) 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
148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8.7 g의 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의 용액을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M 리튬 알루미늄 트리-tert-부톡시히드리드 29.5 ml와 한 방울씩 혼합하고, 0℃에서 5.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묽은 황산을 0℃에서 첨가하고, 반응 용액을 얼음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중성으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융점이 143-144℃인 5.8 g의 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을 얻었다. [α]D = +89.9°(CHCl3).
실시예 5: 11β-플루오로-17β-(4-설파모일벤족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의 생산:
7.5 ml의 피리딘 중의 500 mg의 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 트르-4-엔-3-온의 용액을 실온에서 750 mg의 4-설파모일벤조산, 800 mg의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및 125 mg의 p-톨루엔설폰산과 혼합하고 8.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중탄산나트륨 용액에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4 회 추출하고, 중성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아세톤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융점이 232℃인 302 mg의 11β-플루오로-17β-(4-설파모일벤족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을 얻었다. [α]D = +100.5°(CHCl3).
실시예 6: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의 생산:
a) 11β-플루오로-3-메톡시-7α-메틸에스트라-3,5-디엔-17-온:
20 ml의 2,2-디메톡시프로판 중의 2 g의 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의 용액을 80℃에서 6.5 시간 동안 200 mg의 피리디늄 토실레이트와 함께 교반하였다. 그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였다. 2 g의 조 11β-플루오로-3-메톡시-7α-메틸에스트라-3,5-디엔-17-온을 얻었다.
b)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
6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9.17 g의 염화세륨(III)의 용액을 0℃에서 74.2 ml의 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0.5 M)과 한 방 울씩 혼합하고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40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0.2 g의 조 11β-플루오로-3-메톡시-7α-메틸에스트라-3,5-디엔-17-온의 용액을 적가하고, 0℃에서 3.5 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마무리를 위해,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고, 물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반농축 염산,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고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융점이 218-220℃인 1.15 g의 순수한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을 얻었다. [α]D = +19.2°(CHCl3).
실시예 7: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5(10)-엔-3-온의 생산
a) 3,3-에탄디일디옥시-17α-에티닐-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5(10)-엔-17β-올:
7 ml의 디클로로메탄 및 4.7 ml의 에틸렌글리콜 중의 700 mg의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4-엔-3-온의 용액을 2.3 ml의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 및 30 mg의 p-톨루엔설폰산 수화물과 함께 6.5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중탄산나트륨 용액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중성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고,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205 mg의 3,3-에탄디일디옥시-17α-에티닐-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5(10)-엔-17β-올을 얻었다.
b)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5(10)-엔-3-온:
27 ml의 메탄올 및 3.6 ml의 물 중의 205 mg의 3,3-에탄디일디옥시-17α-에티닐-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5(10)-엔-17β-올의 용액을 361 mg의 옥살산과 함께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중탄산나트륨 용액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중성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융점이 112-114℃인 95 mg의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17β-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르-5(10)-엔-3-온을 얻었다.
실시예 8: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3,17β-디올의 생산:
a) 11β-플루오로-3-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17-온:
16.5 ml의 아세토니트릴 중의 500 mg의 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르-4-엔-3,17-디온의 용액을 400 mg의 브롬화구리(II)와 함께 25℃에서 6.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건조하고, 헥산/아세톤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융점이 185-186℃인 280 mg의 순수한 11β-플루오로-3-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 -17-온을 얻었다.
b)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3,17β-디올:
7.5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2.03 g의 염화세륨(III)의 현탁액을 0℃에서 16.5 ml의 에티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0.5 M)과 한 방울씩 혼합하고, 0℃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2.8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280 mg의 11β-플루오로-3-히드록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17-온의 용액을 적가하고, 0℃에서 3.5 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마무리를 위해,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고, 물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4 회 추출하고, 중성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서 농축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융점이 115-117℃인 220 mg의 17α-에티닐-11β-플루오로-7α-메틸에스트라-1,3,5(10)-트리엔-3,17β-디올을 얻었다.

Claims (27)

  1. 화학식 3A의 7α-치환 스테로이드를 아스퍼질러스 종(Aspergillus sp.), 비우베리아 종(Beauveria sp.), 글로메렐라 종(Glomerella sp.), 노모니아 종(Gnomonia sp.), 하플로스포렐라 종(Haplosporella sp.) 및 리조푸스 종(Rhizopus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미생물을 사용하여 히드록실화 및 산화시키는,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
    <화학식 4B>
    Figure 112005003511290-pct00017
    상기 식에서,
    R7은 P-Q 기이고, 여기서
    P는 C1- 내지 C4-알킬렌을 나타내고, Q는 수소, C1- 내지 C4-알킬- 또는 C1- 내지 C4-플루오로알킬을 나타내고, P-Q 기는 스테로이드 골격에 P를 통해 결합되고,
    R10은 α- 또는 β-위치일 수 있고, H, CH3 또는 CF3를 의미하고,
    R13은 메틸 또는 에틸이다.
    <화학식 3A>
    Figure 112005003511290-pct00018
    상기 식에서, R7, R10 및 R13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2. 제1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피셰리(Aspergillus fischeri),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Aspergillus malignus),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비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글로메렐라 싱굴라타(Glomerella cingulata), 노모니아 싱굴라타(Gnomonia cingulata), 하플로스포렐라 헤스퍼레디카(Haplosporella hesperedica) 및 리조푸스 스톨로니퍼(Rhizopus stolonifer)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3. 화학식 3A의 7α-치환 스테로이드의 11α번 위치를 아스퍼질러스 종(Aspergillus sp.), 비우베리아 종(Beauveria sp.), 지베렐라 종(Gibberella sp.), 글로메렐라 종(Glomerella sp.), 노모니아 종(Gnomonia sp.), 메타리지움 종(Metarrhizium sp.), 니그로스포라 종(Nigrospora sp.), 리조푸스 종(Rhizopus sp.) 및 버티실리움 종(Verticillium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제1 미생물을 사용하는 제1 미생물학적 공정 단계에서 히드록실화시켜서 화학식 C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를 형성시키고, 생산된 화학식 C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를 바실러스 종(Bacillus sp.), 마이코박테리움 종(Mycobacterium sp.), 노카르디아 종(Nocardia sp.) 및 슈도모나스 종(Pseudomonas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제2 미생물을 사용하는 제2 미생물학적 공정 단계에서 산화시켜서 화학식 4B의 7α-치환 스테로이드를 형성시키는,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
    <화학식 4B>
    Figure 112008052559918-pct00019
    상기 식에서,
    R7은 P-Q 기이고, 여기서
    P는 C1- 내지 C4-알킬렌을 나타내고 Q는 수소, C1- 내지 C4-알킬- 또는 C1- 내지 C4-플루오로알킬을 나타내고, P-Q 기는 스테로이드 골격에 P를 통해 결합되고,
    R10은 α- 또는 β-위치일 수 있고, H, CH3 또는 CF3를 의미하고,
    R13은 메틸 또는 에틸이다.
    <화학식 3A>
    Figure 112008052559918-pct00020
    상기 식에서, R7, R10 및 R13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화학식 C>
    Figure 112008052559918-pct00021
    상기 식에서, R7, R10 및 R13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미생물이 아스퍼질러스 말리그너스(Aspergillus malignus), 아스퍼질러스 멜레우스(Aspergillus melleus),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크라세우스(Aspergillus ochraceus), 비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지베렐라 푸지쿠로이(Gibberella fujikuroi), 지베렐라 제애(Gibberella zeae), 글로메렐라 싱굴라타(Glomerella cingulata), 글로메렐라 푸사로이데스(Glomerella fusaroides), 노모니아 싱굴라타(Gnomonia cingulata),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애(Metarrhizium anisopliae),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Nigrospora sphaerica), 리조푸스 오리재(Rhizopus oryzae), 리조푸스 스톨로니퍼(Rhizopus stolonifer) 및 버티실리움 달리애(Verticillium dahliae)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미생물이 바실러스 락티모르부스(Bacillus lactimorbus),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마이코박테리움 네오아우룸(Mycobacterium neoaurum), 마이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Mycobacterium smegmatis), 노카르디아 코랄리나(Nocardia corallina), 노카르디아 글로베룰라(Nocardia globerula), 노카르디아 미니마(Nocardia minima), 노카르디아 레스트릭투스(Nocardia restrictus), 노카르디아 루브로퍼틴크타(Nocardia rubropertincta), 노카르디아 살모니컬러(Nocardia salmonicolor) 및 슈도모나스 테스토스테로니(Pseudomonas testosteroni)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6. 화학식 D의 7α-치환 스테로이드를 비우베리아 종(Beauveria sp.), 쿠르불라리아 종(Curvularia sp.), 지베렐라 종(Gibberella sp.), 글로메렐라 종(Glomerella sp.), 노모니아 종(Gnomonia sp.), 하플로스포렐라 종(Haplosporella sp.), 헬리코스틸룸 종(Helicostylum sp.), 니그로스포라 종(Nigrospora sp.) 및 신세팔라스트룸 종(Syncephalastrum sp.)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미생물을 사용하여 히드록실화시키는, 화학식 4B의 7α-치환 11α-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
    <화학식 4B>
    Figure 112005003511290-pct00022
    상기 식에서,
    R7은 P-Q 기이고, 여기서
    P는 C1- 내지 C4-알킬렌을 나타내고 Q는 수소, C1- 내지 C4-알킬- 또는 C1- 내지 C4-플루오로알킬을 나타내고, P-Q 기는 스테로이드 골격에 P를 통해 결합되고,
    R10은 H, CH3 또는 CF3를 의미하고,
    R13은 메틸 또는 에틸이다.
    <화학식 D>
    Figure 112005003511290-pct00023
    상기 식에서, R7, R10 및 R13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7. 제6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비우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쿠르불라리아 루나타(Curvularia lunata), 지베렐라 제애(Gibberella zeae), 글로메렐라 싱굴라타(Glomerella cingulata), 글로메렐라 푸사로이데스(Glomerella fusaroides), 노모니아 싱굴라타(Gnomonia cingulata), 하플로스포렐라 헤스퍼레디카(Haplosporella hesperedica), 헬리코스틸룸 피리포르매(Helicostylum piriformae),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Nigrospora sphaerica) 및 신세팔라스트룸 라세모숨(Syncephalastrum racemosum)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이 CH3인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0이 H인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3이 CH3인 미생물학적 생산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57001140A 2002-07-24 2003-07-24 7 알파-치환 11 알파-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위한 미생물학적 방법 KR101041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3723.3 2002-07-24
DE10233723A DE10233723A1 (de) 2002-07-24 2002-07-24 Mikrobiologisch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7α-substituierten 11α-Hydroxysteroiden, daraus herstellbare 7α,17α-substituierte 11β-Halogensteroide, deren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sowie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 sowie daraus herstellbare 7α-substituierte Estra-1,3,5(10)-triene
US40295302P 2002-08-14 2002-08-14
US60/402,953 2002-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507A KR20050026507A (ko) 2005-03-15
KR101041328B1 true KR101041328B1 (ko) 2011-06-14

Family

ID=3118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140A KR101041328B1 (ko) 2002-07-24 2003-07-24 7 알파-치환 11 알파-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위한 미생물학적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1523568A2 (ko)
JP (1) JP4417838B2 (ko)
KR (1) KR101041328B1 (ko)
CN (1) CN100339486C (ko)
BR (1) BR0313210A (ko)
CA (1) CA2492079C (ko)
CO (1) CO5690563A2 (ko)
CR (1) CR7672A (ko)
EA (2) EA008147B1 (ko)
EC (1) ECSP055630A (ko)
HK (1) HK1081999A1 (ko)
HR (1) HRP20050172A2 (ko)
IL (1) IL166358A0 (ko)
MX (1) MXPA05001024A (ko)
NO (1) NO20050980L (ko)
NZ (2) NZ537871A (ko)
PH (1) PH12005500143B1 (ko)
PL (1) PL373808A1 (ko)
RS (1) RS51855B (ko)
WO (1) WO20040116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40B1 (ko) * 2005-10-27 2010-09-16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제조법
CN103834712B (zh) * 2012-11-26 2016-03-30 复旦大学 去氧孕烯中间体纳米脂质体生物转化的优化方法
CN103214543B (zh) * 2012-12-25 2015-09-02 中国人民解放军海军医学研究所 新山楂酸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抗肿瘤药物中的应用
CN104862323B (zh) * 2015-06-02 2018-01-16 中国农业科学院生物技术研究所 修饰苯二酚类化合物的羟化酶基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1830A1 (en) * 1995-12-12 1997-06-19 Akzo Nobel N.V. MICROBIAL 11α-HYDROXYLATION OF STEROIDS
WO1999013812A1 (en) * 1997-09-17 1999-03-25 The Population Council, Inc.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ment
WO2002059139A1 (en) 2001-01-24 2002-08-01 Schering Aktiengesellschaft Androgenic 7-substituted 11-halogen steroi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96261A (ko) 1949-06-11
US2658023A (en) * 1953-04-21 1953-11-03 Pfizer & Co C Oxygenation of steroids
US2985563A (en) * 1958-11-13 1961-05-23 Schering Corp 11alpha-hydroxylation of steroids by glomerella
US3004047A (en) * 1959-03-13 1961-10-10 Olin Mathieson 6alpha-halo-11alpha-hydroxy steroids of the pregnane series and esters thereof
US3341557A (en) * 1961-06-05 1967-09-12 Upjohn Co 7-methyltestosterones
US3203869A (en) * 1962-10-11 1965-08-31 Syntex Corp 11alpha-hydroxylation of 6-substituted-11-desoxy steroids with microorganisms of thegenus fusarium, liseola section
US5342834A (en) 1989-04-07 1994-08-30 The Population Council, Inc. Method for androgen supplementation
EP1167380A3 (en) * 1995-12-11 2004-12-08 G.D. Searle &amp; Co. 11.alpha.-hydroxy-steroid-4,6-dien-3-one compound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GB9525194D0 (en) 1995-12-12 1996-02-07 Zeneca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6767902B2 (en) 1997-09-17 2004-07-27 The Population Council, Inc. Androgen as a male contraceptive and non-contraceptive androgen replacement
US5952319A (en) 1997-11-26 1999-09-14 Research Triangle Institute Androgenic steroid compounds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3522795A (ja) 2000-02-15 2003-07-29 シェーリング アクテ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ノルエチステロンからなる男性用避妊製剤
CN1671394A (zh) * 2002-07-25 2005-09-21 舍林股份公司 包含雄激素性11β-卤素甾体和孕激素的组合物以及基于该组合物的雄性避孕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1830A1 (en) * 1995-12-12 1997-06-19 Akzo Nobel N.V. MICROBIAL 11α-HYDROXYLATION OF STEROIDS
WO1999013812A1 (en) * 1997-09-17 1999-03-25 The Population Council, Inc.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ment
WO2002059139A1 (en) 2001-01-24 2002-08-01 Schering Aktiengesellschaft Androgenic 7-substituted 11-halogen steroi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1970) Vol.1, pp.221-2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CSP055630A (es) 2005-04-18
PH12005500143B1 (en) 2011-03-25
CN1671858A (zh) 2005-09-21
NZ537871A (en) 2006-10-27
WO2004011663A2 (de) 2004-02-05
JP4417838B2 (ja) 2010-02-17
EA200500224A1 (ru) 2005-08-25
BR0313210A (pt) 2005-06-28
PL373808A1 (en) 2005-09-19
AU2003281677A1 (en) 2004-02-16
HRP20050172A2 (en) 2005-04-30
MXPA05001024A (es) 2005-05-16
MX260952B (ko) 2008-10-01
EA010572B1 (ru) 2008-10-30
CA2492079A1 (en) 2004-02-05
NZ549529A (en) 2008-04-30
EP1523568A2 (de) 2005-04-20
RS51855B (sr) 2012-02-29
RS20050045A (en) 2007-06-04
IL166358A0 (en) 2006-01-16
KR20050026507A (ko) 2005-03-15
EA008147B1 (ru) 2007-04-27
JP2006503813A (ja) 2006-02-02
NO20050980L (no) 2005-02-23
WO2004011663A3 (de) 2004-07-15
CN100339486C (zh) 2007-09-26
HK1081999A1 (en) 2006-05-26
CA2492079C (en) 2012-01-10
CO5690563A2 (es) 2006-10-31
EA200601030A1 (ru) 2006-10-27
WO2004011663A9 (de) 2004-05-06
CR7672A (es)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8456A1 (en) Microbiologic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7-substitued 11-hydroxy steroids, 7,17-substituted 11-halogen steroids, and uses thereof
KR101041328B1 (ko) 7 알파-치환 11 알파-히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생산을위한 미생물학적 방법
JP4339591B2 (ja) アンドロゲン性7−置換11−ハロゲン化ステロイド
JP2750621B2 (ja) 3β,17β―ヒドロキシ―置換ステロイド及び関連するステロイド化合物類
EP1226155B1 (de) 18-nor-steroide als selektiv wirksame estrogene
AU2002238516A1 (en) Androgenic 7-substituted 11-halogen steriods
CS200519B2 (cs) Způsob výroby androstanových derivát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