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317B1 -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 Google Patents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317B1
KR101036317B1 KR20080130456A KR20080130456A KR101036317B1 KR 101036317 B1 KR101036317 B1 KR 101036317B1 KR 20080130456 A KR20080130456 A KR 20080130456A KR 20080130456 A KR20080130456 A KR 20080130456A KR 101036317 B1 KR101036317 B1 KR 10103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anese
ferro
agent
delineation
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3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660A (ko
Inventor
강수창
박정호
원민희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08013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3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21C7/0645Agents used for 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200/00Recycling of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로 망간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탈린용 첨가제인 BaCO3에 저가의 매용제를 혼합하여 탈린율을 향상시키고, 고온에서도 우수한 탈린율을 유지할 수 있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페로 망간용 탈린제는 페로 망간의 탈린용 플럭스에 있어서, BaCO3에 Al2O3, NaF 및 빙정석(Na3AlF4)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용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로 망간의 탈린 공정에서 발생되는 소다회 및 이산화탄소를 재활용 및 회수할 수 있는 방법 및 제가용 탈린제를 제공한다.
페로 망간, 탈린제, 빙정석, 이산화 탄소, 회수, 소다회

Description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Dephosphorous flux for FeMn, Recycling method of byproduct from dephosphorizing for FeMn, Recalling method of byproduct from dephosphorizing for FeMn and Dephosphorous flux for steel making}
본 발명은 페로 망간용 탈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로 망간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탈린용 첨가제인 BaCO3에 저가의 매용제를 혼합하여 탈린율을 향상시키고, 고온에서도 우수한 탈린율을 유지할 수 있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페로 망간의 탈린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소다회 및 이산화탄소를 재활용 및 회수할 수 있는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에 관한 것이다.
제강용 합금철로 사용되는 페로 망간은 탄소함량에 따라서 고탄([C]<7.5%이하, KS규격 KSD3712 기준), 중탄([C]<2.0%이하, KS규격 KSD3712 기준) 및 저탄([C]<1.0%이하, KS규격 KSD3712 기준)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공정은 망간 광석과 환원제인 코크스 및 슬래그 형성제를 전기로에 장입하여 코크스의 탄소를 이용하여 산화물 형태인 망간 광석을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코크스를 이용하여 전기로에서 제조된 페로 망간은 환원제인 코크스로 인해서 제품 중에 탄소가 포화되어 있는 고탄 페로 망간의 형태로 얻어진다.
그래서, 전술된 방법과 달리 중탄 또는 저탄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SiMn을 이용하여 Mn광석을 전기로에서 용융환원시킴에 따라 저탄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나, 용융 고탄 페로 망간에 산소를 취입하여 탈탄을 함에 따라 저탄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로 망간의 인(P)함량은 현재 KS 및 JIS규격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0.4%이하로 대부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제철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페로 망간에서도 인(P)함량이 0.1 ~ 0.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탄소와 더불어 인은 제강 공정에서 그 함량에 따라 강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탄소의 경우에는 생산되는 강종의 탄소 함량에 따라서 고탄 페로 망간 또는 중/저탄 페로 망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인(P)의 경우에서는 고탄, 중탄, 저탄 페로 망간 공히 동등 수준의 인 함유량을 가지고 있어서, 합금철의 종류를 변경하여도 페로 망간 중의 인(P)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 이 없었다.
일반적으로 인(P)은 강 중의 불순물로 존재하며, 고온 취성 유발과 같이 철강 제품의 품질을 해치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용강 중의 인(P)의 함량을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페로 망간 합금철을 사용하는 경우 합금철에 의한 용강 중의 인(P) 농도의 증가를 고려해야하며, 이로 인하여 페로 망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인(P)이 낮은 저린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저린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인(P)의 함량이 낮은 고품위 망간 광석만을 선광하여 조업하는 방법, 고탄 페로 망간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나 인(P)이 낮은 광석을 비탄소계 환원제(Si,Al,Ca 등)로 환원시키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지만, 고품위 망강 광석의 가격 상승 및 대량 생산 부적합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전기로에서 생산되는 고탄 페로 망간에 직접 탈린 처리를 하여 저린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페로 망간에 바로 탈린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은 크게 환원탈린과 산화탈린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환원 탈린은 페로 망간 중의 인(P)을 인화물(Ca3P2, Mg3P2 등) 등의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이고, 산화 탈린은 페로 망간 중의 인(P)을 인산화물(Ba3(PO4)2 등) 등의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환원 탈린의 경우 주로 Ca 또는 Mg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원 탈린의 경우 탈린 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Ca의 경우 탄화물의 형성 때문에 고탄 페로 망간에서는 탈린이 불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g은 높은 증기압 때문에 가압 정련을 하지 않으면 탈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탈린 생성물인 Ca3P2, Mg3P2은 수분과 반응하여 독성 가스인 포스핀를 생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산화 탈린의 경우 BaCO3, BaO, BaF2, BaCl2, CaO, CaF2, Na2CO3, Li2CO3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Ca계 등은 탈린 효율이 낮으며 Na와 Li계는 증기압이 높아 복린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BaCO3나 BaO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중에 BaO는 인(P)을 산화시킬 수 있는 산소 공급원이 없어서 산화제를 같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BaCO3 또는 BaO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성되는 슬래그가 고상으로 생성되어 탈린 효율이 저하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매용제로 BaCl2 또는 BaF2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BaCl2를 사용하는 경우 부식성이 강한 Cl기에 설비 오염 및 Cl기의 기화에 의해서 페로 망간 상부의 슬래그 등이 비산되어 날아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고, BaF2은 현재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이 곤란한 화학물질로써 그 가격이 페로 망간의 가격보다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BaF2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서는 플럭스에 첨가되는 매용제의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경제적인 탈린 플럭스의 생산 프로세스를 구축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BaCO3를 주성분으로 하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에 있어서, 고가의 BaF2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탈린율을 얻을 수 있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를 제공한다.
또한, 고온에서도 우수한 탈린율을 얻을 수 있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를 제공한다.
그리고, 페로 망간의 탈린 공정에서 발생되는 소다회 및 이산화탄소를 재활용 및 회수할 수 있는 방법, 그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로 망간용 탈린제는 BaCO3에 Al2O3, NaF 및 빙정석(Na3AlF4)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용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l2O3 또는 빙정석(Na3AlF4)는 5 ~ 10wt%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aF는 5 ~ 20wt%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로 망간의 용융 온도는 13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상기 페로 망간의 용융 온도가 1400℃ 이상인 경우, 상기 매용제로는 NaF 또는 빙정 석(Na3AlF4)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은 BaCO3에 NaF 또는 빙정석(Na3AlF4)를 혼합한 탈린제로 페로 망간을 탈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제강용 탈린제로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스트는 상기 페로 망간 및 상기 탈린제의 반응시 발생되는 Na 가스가 산소에 노출되어 Na2O가 생성되고, 상기 Na2O가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CO2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a2O의 생성은 상기 Na 가스가 대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강용 탈린제는 상기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Na2CO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은 BaCO3에 NaF 또는 빙정석(Na3AlF4)를 혼합한 탈린제로 페로 망간을 탈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Na 가스를 산소에 노출시켜 Na2O 가스를 생성한 다음, 상기 Na2O를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CO2와 반응시켜 CO2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사용되던 BaF2를 대신하여 저가의 매용제를 사용하여도 탈린 효율을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탈린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도 종래의 매용제 대비 우수한 탈린 효율을 보이고, 페로 망간의 탈린 중에 발생하는 CO2를 포집함으로써 CO2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 때 생성되는 더스트(소다회, Na2CO3)를 제강용 플럭스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로 망간용 탈린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페로 망간의 제조시 산화탈린 반응은 망간 중의 인(P)이 산소와 반응하여 인산화물(P2O5)을 형성한 후에 고 염기성 물질에 의해서 포집되어 안정상으로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고염기성 산화물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고염기성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인산화물과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액상상태로 존재하여야하기 때문에 슬래그의 융점을 낮추는 매용제를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페로 망간 탈린제는 BaCO3를 주성분으로 하는 탈린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용제인 BaF2 대신에 Al2O3, NaF 또는 빙장석(Na3AlF4) 를 BaCO3에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매용제인 Al2O3, NaF 또는 빙장석(Na3AlF4)는 탈린을 위하여 투입된 BaCO3 입자의 표면을 액상화 시킴으로써 BaCO3 입자를 향한 인산화물의 확산속도를 증가시켜 탈린 반응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BaCO3과 매용제의 혼합량은 매용제가 Al2O3 또는 Na3AlF4인 경우에는, BaCO3 90 ~ 95 wt%와 Al2O3 또는 Na3AlF4 5 ~ 10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용제가 NaF인 경우에는, BaCO3 80 ~ 95 wt%와 NaF 5 ~ 20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용제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의 매용제를 사용하여 고탄 페로 망간과 반응시켜 탈린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탄소 도가니에 고탄 페로 망간 20g에 BaCO3와 매용제를 아래 무게 함량 비율로 혼합한 후에 그 총합을 6g이 되도록 도가니에 투입한 다음, 1350℃에서 5시간 평형 반응을 시킨 후에 페로 망간 중에 인(P)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전후의 인(P)의 농도 변화에 따른 탈린율을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으로 탈린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8087539385-pat00001
구분 매용제 탈린율
종류 함량(wt.%)
비교예1 - 0 52.3
비교예2 BaF2 10 65.2
비교예3 BaF2 20 70.7
비교예4 BaF2 30 73.6
비교예5 CaF2 10 69
비교예6 CaF2 20 67.1
비교예7 BaCl2 10 32.1
비교예8 BaCl2 20 43.1
비교예9 BaCl2 30 34
비교예10 SiO2 15 -5
비교예11 SiO2 30 -2.8
실시예1 Al2O3 5 65.1
실시예2 Al2O3 10 54.6
실시예3 NaF 5 67.4
실시예4 NaF 10 70.2
실시예5 NaF 15 66.6
실시예6 NaF 20 61.8
비교예12 NaF 30 40.1
비교예13 NaF 40 24.6
실시예7 Na3AlF4 5 64.7
실시예8 Na3AlF4 10 68.7
비교예14 Na3AlF4 15 40.9
비교예15 Na3AlF4 20 27.3
표 1에서 알수 있듯이, 매용제 없이 BaCO3만을 사용한 비교예1의 경우 탈린율은 약 52.3%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래에 알려진 매용제인 BaF2, CaF2를 10 ~ 30wt%를 첨가한 비교예 2 내지 6의 경우 탈린율이 65.2 ~ 73.6%로 대폭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BaCl2을 혼합한 비교예 7 내지 9의 경우에서는 탈린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BaCl2을 사용하는 경우 상부의 슬래그가 모두 비산되서 소모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에 따른 영향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고염기성 슬래그에 산성 슬래그를 첨가함에 따른 매용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산성 슬래그인 SiO2 및 Al2O3를 매용제로 사용하여 탈린율을 알아보았다.
SiO2를 첨가한 비교예 10 및 11의 경우에서는 탈린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Al2O3를 첨가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에는 탈린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Al2O3를 5wt% 첨가한 실시예 1의 경우에서는 10wt%의 BaF2를 첨가한 비교예 2의 경우와 유사한 탈린율을 보이고, Al2O3를 10wt% 첨가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매용제를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1과 유사한 탈린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l2O3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탈린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Al2O3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탈린 반응에 의해서 생성된 슬래그에서 염기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매용제로 Al2O3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5 ~ 10wt%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F)는 슬래그 중의 산소 결합을 분해시켜 슬래그의 유동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제강 슬래그정련에서 공지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불화물 중에 NaF을 매용제로 사용하여 탈린율을 알아보았다.
표 1의 실시예 3 내지 6과, 비교예 12 및 1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BaF2(비교예 2 내지 3)에 비해서 적은 양을 첨가하여도 탈린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적정 NaF의 혼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NaF 혼합량을 변화시키면서 탈린능을 조사하였다. 표 1의 실시예 3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NaF의 함량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서는 BaF2에 비해 탈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실시예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NaF의 함량이 20wt%까지는 탈린율이 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비교예 12 및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NaF를 30%이상으로 높인 경우에서는 오히려 탈린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일반적은 Na가 증기압이 낮은 금속으로 알려져 있어서 NaF첨가량이 증가하면 Na가 기화되면서 슬래그 및 용탕을 비산시키며 이 때에 용탕의 비산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탈린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용제로 NaF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5 ~ 20wt%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NaF와 Al2O3를 BaCO3에 매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탈린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NaF와 Al2O3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물질인 빙정석(Na3AlF4)를 사용하여 탈린율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빙정석(Na3AlF4)을 5wt% 및 10wt%를 혼합한 실시예 7 및 8의 경우에 탈린율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빙정석(Na3AlF4)의 혼합량이 15wt%이상인 비교예 14 및 15의 경우에는 탈린율이 50%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이유는 전술된 NaF와 Al2O3의 함량이 증가되면서 발생하는 현상과 동일한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매용제로 빙정석(Na3AlF4)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5 ~ 10wt%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를 통해서 BaCO3를 탈린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에 매용제로 사용되는 BaF2 대신에 Al2O3를 5 ~ 10wt%이하로 혼합하거나, NaF를 5 ~ 20wt%로 혼합하거나, 빙정석을 5 ~ 10wt% 정도 투입하는 경우 매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은 탈린율을 가진 페로 망간용 탈린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BaCO3에 첨가되는 Al2O3, Na3AlF4 및 빙정석의 함량이 5 wt% 보다 적으면 매용제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워 탈린율의 증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Al2O3, Na3AlF4 및 빙정석 함량의 하한값은 5 wt%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로 망간용 탈린제의 온도 의존성에 대한 것을 알아 보았다.
도 1은 온도에 따른 탈린제의 탈린 효율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로 망간에서 온도가 높아질수록 탈린율이 급속히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강공정에서의 탈린 반응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탈린 반응은 발열반응으로 온도가 낮을수록 탈린율이 높다. 하지만, 실제 공정에서는 용탕의 유동성의 확보를 위해서 탈린 반응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는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페로 망간의 용융 온도, 즉 탈린이 진행되는 온도를 1350℃와, 1350℃ 대비 50℃를 상승시켜 1400℃에서의 탈린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매용제 탈린율 탈린율 변화
종류 함량 1350℃ 1400℃
비교예1 - 0 52.3 43.0 82%
비교예2 BaF2 10 65.2 46.1 71%
비교예3 BaF2 20 70.7 53.3 75%
비교예5 CaF2 10 69.0 43.1 62%
비교예6 CaF2 20 67.1 43.3 65%
실시예1 Al2O3 5 65.1 40.3 62%
실시예2 Al2O3 10 54.6 23.1 42%
실시예3 NaF 5 67.4 60.1 89%
실시예4 NaF 10 70.2 62.2 89%
실시예5 NaF 15 66.6 55.9 84%
실시예6 NaF 20 61.8 50.8 82%
비교예12 NaF 30 40.1 24.9 62%
비교예13 NaF 40 24.6 5.2 21%
실시예7 Na3AlF4 5 64.7 43.3 67%
실시예8 Na3AlF4 10 68.7 44.0 64%
비교예14 Na3AlF4 15 40.9 18.7 46%
비교예15 Na3AlF4 20 27.3 6.8 25%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BaF2를 매용제로 사용하는 경우(비교예 2 및 3)에는 온도가 1350℃에서 1400℃로 증가할 때 탈린율이 71 ~ 75%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CaF2를 매용제로 사용하는 경우(비교예 5 및 6)에는 탈린율이 62 ~ 65%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NaF2를 매용제로 사용하는 경우(실시예 3 내지 6)에는 82 ~ 89%수준으로 다른 매용제에 비해서 온도에 따른 탈린율의 감소가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빙정석(Na3AlF4)을 매용제로 사용하는 경우(실시예 7 및 8)에는 64 ~ 67%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린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서도 매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1)의 탈린율인 43%와 대비해서 탈린율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Al2O3를 매용제로 사용하는 경우(실시예 1 및 2)의 경우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탈린율의 감소량이 많았으며, 이는 매용제로서의 효과가 적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400℃ 이상의 고온용 탈린 플럭스로는 NaF2 및 빙정석(Na3AlF4)을 함유한 탈린제를 사용하는 것이 실조업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NaF2가 혼합된 탈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린제를 사용하여 페로 망간을 탈린하는 공정을 설명하고, 더불어 탈린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부산물인 Na2CO3(소다회)의 재활용 및 CO2 가스의 회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페로 망간 탈린제로 사용되는 첨가제들은 대부분 BaCO3와 같이 탄산화물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탄산화물을 투입하는 경우 첨가제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하소 반응이 일어나고, 이 반응에서 얻어지는 CO2를 이용하여 페로 망간 중에 존재하는 인(P)을 산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하소 반응에서 발생되는 CO2는 전량 반응에 사용되지 않고, 일부는 대기로 방출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CO2량은 탈린용 첨가제의 원단위에 따라 변화하지만 원단위가 100kg-flux/ton-Mn인 경우 페론 망간 1톤을 탈린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첨가제에서 발생되는 CO2량은 22.3kg이며, 이 중에 인(P)의 산화에 사용되는 량은 약 15%(0.2% P의 경우)이므로 약 18.7kg의 CO2가 방출되게 된다. 즉, 페로 망간 1톤을 탈린하기 위해서는 약 19kg의 CO2를 방출하게 된다.
NaF를 매용제로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Na의 경우 증기압이 높아 증발하게 되고, 이렇게 증발된 Na 가스는 대기 중의 산소와 만나 바로 산화되어 Na2O가 생성된다. 이때 Na 가스는 별도의 산소 취입없이 대기 중의 산소만으로도 충분한 산화가 이루어지지만, 별도로 산소를 취입하여 Na 가스의 산화 반응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Na2O는 주위의 CO2와 만나면 열역학적으로 Na2CO3를 생성하게 된다. 즉, 페로 망간용 탈린제의 매용제로 본 발명에서 제시한 20wt%의 NaF를 첨가하는 경우, 이론적으로는 9.45kg의 CO2를 흡수하게 되고, 이는 방출되는 CO2 양의 약 50%수준이며, 부산물로 Na2CO3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본 발명의 BaCO3와 NaF가 혼합된 탈린제를 이용하여 탈린 반응을 시키는 동시에, 탈린 방응에서 발생되는 더스트(dust)를 채집하며 이를 XRD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린제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더스트의 XRD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탈린 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는 Na2CO3가 주성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Na2CO3(소다회)는 제강 공정에서 탈린용 플럭스로 사용되므로 더스트를 채집하여 이를 제강용 탈린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한 페로 망간용 탈린제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탈린제에 대비 탈린효율이 높으면서 탈린 과정에서 발생되는 CO2를 흡수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더스트를 제강용 탈린용 첨가제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온도에 따른 탈린제의 탈린 효율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린제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더스트의 XRD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0)

  1. 페로 망간용 탈린제에 있어서,
    BaCO3에 Al2O3 및 빙정석(Na3AlF4)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매용제가 혼합되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l2O3 또는 빙정석(Na3AlF4)는 5 ~ 10wt%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로 망간의 용융 온도는 13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페로 망간의 용융 온도가 1400℃ 이상인 경우,
    상기 매용제로는 빙정석(Na3AlF4)이 혼합되는 페로 망간용 탈린제.
  6. BaCO3에 빙정석(Na3AlF4)를 혼합한 탈린제로 페로 망간을 탈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제강용 탈린제로 재활용하는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는
    상기 페로 망간 및 상기 탈린제의 반응시 발생되는 Na 가스가 산소에 노출되어 Na2O가 생성되고, 상기 Na2O가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CO2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Na2O의 생성은 상기 Na 가스가 대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9. 청구항 6 또는 7에 의해 제조되는 Na2C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용 탈린제.
  10. BaCO3에 빙정석(Na3AlF4)을 혼합한 탈린제로 페로 망간을 탈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Na 가스를 산소에 노출시켜 Na2O를 생성한 다음, 상기 Na2O를 탈린단계에서 발생되는 CO2와 반응시켜 CO2를 회수하는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KR20080130456A 2008-12-19 2008-12-19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KR101036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0456A KR101036317B1 (ko) 2008-12-19 2008-12-19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0456A KR101036317B1 (ko) 2008-12-19 2008-12-19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60A KR20100071660A (ko) 2010-06-29
KR101036317B1 true KR101036317B1 (ko) 2011-05-23

Family

ID=4236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0456A KR101036317B1 (ko) 2008-12-19 2008-12-19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3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42B1 (ko) 2011-09-09 201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부산물 회수 방법
KR20160072663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US9683271B2 (en) 2012-10-10 2017-06-20 Posco Impeller and method of melt-po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67392A (ko)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포스코 탈린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0914A2 (ko) 2016-12-12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탈린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370B1 (ko) * 2010-12-22 2013-04-30 주식회사 포스코 페로망간 처리방법
KR101253258B1 (ko) * 2011-08-25 2013-04-15 주식회사 포스코 부산물 회수 방법
KR101253980B1 (ko) * 2011-08-25 2013-04-11 주식회사 포스코 부산물 회수 방법
KR101366297B1 (ko) * 2011-12-02 2014-02-21 주식회사 포스코 부산물 처리 방법
KR101460197B1 (ko) * 2012-10-12 2014-11-10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581B1 (ko) * 2012-10-12 2014-06-03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0810A (ja) * 1985-08-02 1987-02-09 Nippon Steel Corp 高マンガン合金の脱りん方法
JPH01222014A (ja) * 1988-02-29 1989-09-05 Nkk Corp クロム含有溶鉄の脱燐方法
KR20010027720A (ko) * 1999-09-15 2001-04-06 고학봉 철강정련공정에서의 더스트 재활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0810A (ja) * 1985-08-02 1987-02-09 Nippon Steel Corp 高マンガン合金の脱りん方法
JPH01222014A (ja) * 1988-02-29 1989-09-05 Nkk Corp クロム含有溶鉄の脱燐方法
JPH0649895B2 (ja) * 1988-02-29 1994-06-29 日本鋼管株式会社 クロム含有溶鉄の脱燐方法
KR20010027720A (ko) * 1999-09-15 2001-04-06 고학봉 철강정련공정에서의 더스트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42B1 (ko) 2011-09-09 201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부산물 회수 방법
US9683271B2 (en) 2012-10-10 2017-06-20 Posco Impeller and method of melt-pool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72663A (ko)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포스코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7392A (ko)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포스코 탈린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0914A2 (ko) 2016-12-12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탈린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US11225695B2 (en) 2016-12-12 2022-01-18 Posco Dephosphorizing flux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60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317B1 (ko)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CN103627837B (zh) 从炼钢炉渣中回收铁和磷的方法
JP5560947B2 (ja) 製鋼スラグからの鉄及び燐の回収方法並びに高炉スラグ微粉末または高炉スラグセメント及び燐酸資源原料
JP5569174B2 (ja) 製鋼スラグからの鉄及び燐の回収方法並びに高炉スラグ微粉末または高炉スラグセメント及び燐酸資源原料
JP5525939B2 (ja) 石灰系フラ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8223095A (ja) 高燐スラグの製造方法
JP6984731B2 (ja) 溶銑の脱りん方法
KR101375071B1 (ko) 브리켓 및 그 제조 방법
US5916827A (en) Composite briquette for electric furnace charge
KR101366304B1 (ko) 용선 탈황제
KR101592073B1 (ko) 제강 레이들 무형석 정련조업용 형석 대체제
CN104060017A (zh) 一种半钢转炉炼钢的方法
KR20170106597A (ko) 용선 탈황제
KR101381856B1 (ko) 페로망간의 탈린용 플럭스
KR101777208B1 (ko) 유가 금속 회수방법
KR20130075278A (ko) 페로망간의 탈린 방법
US307479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diumto low-carbon ferromanganese
JPH073345A (ja) 製鋼スラグからの有価成分の回収方法
JP5660166B2 (ja) 製鋼スラグからの鉄及び燐の回収方法
KR101300740B1 (ko)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JP2011084777A (ja) 電気炉を用いて行う製鋼精錬方法
JP6011556B2 (ja) 燐酸質肥料原料の製造方法
KR101460197B1 (ko)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JPS5855207B2 (ja) 溶銑の吹込脱燐用組成物
KR100270120B1 (ko) 고로주상 백필터 더스트를 이용한 용선용 탈린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