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942B1 - 부산물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부산물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942B1
KR101280942B1 KR20110091613A KR20110091613A KR101280942B1 KR 101280942 B1 KR101280942 B1 KR 101280942B1 KR 20110091613 A KR20110091613 A KR 20110091613A KR 20110091613 A KR20110091613 A KR 20110091613A KR 101280942 B1 KR101280942 B1 KR 101280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baco
slag
product recovery
recovery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9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227A (ko
Inventor
한웅희
백준정
강수창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1009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200/00Recycling of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은 슬래그를 용매에 침지시켜 상기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을 용출시키는 과정, Ba이 용출된 용액과 잔류물을 분리하는 과정, 용액에 산화 탄소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을 생성하는 과정 및 BaCO3을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탈린 공정 후 발생되는 슬래그에 함유된 Ba(바륨)을 BaCO3(탄화바륨) 형태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Ba(바륨)의 용출에 의한 환경 오염의 유발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어, 슬래그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된 BaCO3(탄화바륨)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재활용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산물 회수 방법{Recycling method of byproduct}
본 발명은 부산물 회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로 망간의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바륨)을 BaCO3(탄화바륨)으로 회수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공정은 망간 광석과 환원제인 코크스 및 슬래그 형성제(Flux)를 전기로에 장입하고, 코크스의 탄소를 이용하여 산화물 형태인 망간 광석을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코크스를 이용하여 전기로에서 제조된 페로 망간은 환원제인 코크스로 인해서 제품 중에 탄소가 포화되어 있는 고탄 페로 망간의 형태로 얻어진다. 또한, 페로 망간에서 인(P)의 함량은 0.4%이하로 대부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제철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페로 망간에서도 인(P)함량이 0.1 ~ 0.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인(P)은 강 중의 불순물로 존재하며 고온 취성 유발 등과 같이 철강 제품의 품질을 해치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용강 중의 인(P)의 함량을 낮추는 공정이 실시된다. 즉, 페로 망간 중의 인(P)을 인화물(Ca3P2, Mg3P2 등) 등의 형태로 제거하는 환원 탈린 공정 또는 페로 망간 중의 인(P)을 인산화물(Ba3(PO4)2 등) 등의 형태로 제거하는 산화 탈린 공정 등으로 인(P)의 함량을 낮춘다. 산화 탈린 공정의 경우 탈린제로서, BaCO3, BaO, BaF2, BaCl2, CaO, CaF2, Na2CO3, Li2CO3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Ca계 탈린제는 탈린 효율이 낮으며 Na와 Li계 탈린제는 증기압이 높아 복린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주로 BaCO3나 BaO 등과 같은 Ba계 탈린제가 페로 망간의 탈린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BaCO3나 BaO 등과 같은 Ba계 탈린제를 이용하여 페로 망간을 탈린 처리하게 되면, 탈린 처리 후 발생되는 슬래그 중에는 Ba가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Ba은 수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슬래그를 매립 처분하는 경우에Ba이 빗물이나 지하수 등에 용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페로 망간의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슬래그 처리 방법이 개발이 요구된다.
KR 1036317 B1 KR 0750373 B1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탈린 공정으로 발생된 슬래그로부터 BaCO3(탄화바륨)을 회수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산물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페로 망간의 탈린 슬래그로부터 Ba(바륨)을 BaCO3(탄화바륨) 형태로 회수할 수 있는 부산물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은 슬래그를 용매에 침지시켜 상기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을 용출시키는 과정, 상기 Ba이 용출된 용액과 잔류물을 분리하는 과정, 상기 용액에 산화 탄소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BaCO3을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슬래그는 Ba을 포함하는 탈린제를 이용하여 페로 망간을 탈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로 CO2 및 Na2C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용액에 CO2를 투입한 후, Na2CO3를 투입한다.
상기 용액에 CO2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액의 pH가 8 내지 10 일 때 상기 CO2의 투입을 종료하여 상기 용액을 중화시킨다.
상기 첨가제로 Na2CO3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BaCO3를 회수하고 남은 잔류 용액을 중화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잔류 용액을 중화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잔류 용액에 CO2를 투입하고, 상기 잔류 용액의 pH(페하지수)가 8 내지 10일 때 상기 CO2의 투입을 종료한다.
상기 Na2CO3는 상기 용액 중의 Ba2+의 몰수 대 Na2+의 몰수의 비(nBa2+/Na2+)가 1 이하가 되도록 투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에 의해, 탈린 공정 후 발생되는 슬래그에 함유된 Ba(바륨)을 BaCO3(탄화바륨) 형태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Ba(바륨)의 용출에 의한 환경 오염의 유발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어, 슬래그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된 BaCO3(탄화바륨)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재활용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 회수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에 의해 회수된 결과물의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에 의해 회수된 결과물의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슬래그에 함유된 Ba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기에서는 페로 망간을 BaO, BaCO3 등의 Ba계 물질을 탈린제로 사용하여 탈린한 후 생성되는 슬래그로부터 Ba를 BaCO3 형태로 회수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 회수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산물 회수 과정은 슬래그로부터 수용성 Ba을 용출시키는 과정(S100), Ba이 용출된 용액과 잔류물을 분리하는 과정(S200), Ba이 용출된 용액에 산화 탄소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를 생성하는 과정(S400), BaCO3 침전물과 잔류 용액을 분리하는 과정(S500) 및 BaCO3를 회수하는 과정(S700)을 포함한다. 이때, 슬래그를 용출시키기에 침지시키기에 앞서 슬래그를 파쇄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으며, Ba이 용출된 용매와 잔류물이 분리되면 상기 잔류물은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S300)된다. 또한, 침전물과 분리된 잔류 용액은 BaCO3 생성을 위해 사용된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추가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잔류 용액 처리(S600)라 명명한다.
여기서, 슬래그로부터 수용성 Ba을 용출시키기 위해서는 페로 망간의 탈린 슬래그를 용매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슬래그에 포함된 수용성 Ba을 용매에 용출시킨다(S100). 실시예에서는 용매로 물을 사용하며, 상기 용매의 양은 최소 0.02ℓ/g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래그가 충분하게 침지될 수 있는 정도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용매에 슬래그를 침지시킴으로써 수용성 Ba을 용출시키는 과정은 시간 내지 168시간(1주일)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용매에 침지된 슬래그를 교반 시킬 수 있다. 슬래그가 용매 즉 물 내에 침지되면, Ba의 용출과 함께 OH-가 발생되어, pH(페하지수)가 9 내지 13의 강 알칼리성이 된다. 이후, 필터링 공정을 통해 Ba이 용출된 잔류물과 용액을 분리(S200)하고, 분리된 잔류물은 매립 처리하거나 노반재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Ba이 용출된 용액에 산화 탄소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를 생성하는 과정(S400)에서 상기 첨가제로 CO2 가스 및 고상의 Na2CO3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CO2 투입 후, 고상의 Na2CO3를 투입하거나, CO2 투입 과정 없이 바로 Na2CO3를 투입할 수 있다. 용액 내에 CO2를 투입시키면, 상기 용액 내의 Ba 이온(Ba2+)과 CO3 2-가 결합되어 BaCO3가 생성되고, 생성된 BaCO3는 침전된다. 이때, 투입되는 CO2에 의해 수소 이온(H+)이 발생되어 용액의 pH가 감소하며, 상기 용액의 pH가 약 6 내지 8이 되도록 한다. 이때 투입된 CO2가 투입되는 시간 및 H+에 의해 pH가 저하되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용액의 pH가 8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일 때, CO2 투입을 종료한다. 이에, CO2의 투입이 종료되고 BaCO3의 생성이 종료되었을 때 용액의 pH가 6 내지 8로 중화될 수 있다. 또한, 용액 내에 Na2CO3를 투입시키면, Ba 이온(Ba2+)과 CO3 2-가 결합되어 BaCO3가 생성되고, 생성된 BaCO3는 침전된다. 이때, 고체 상태의 Na2CO3가 용액에 투입됨에 따라 CO3 2-가 상기 용액 내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어, CO2를 투입할 때에 비해 반응 시간이 빠르고 많은 양의 BaCO3가 생성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Na2CO3는 Ba2+의 몰수 대 Na2+의 몰수의 비(nBa 2+/Na2)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99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CO2 Na2CO3 모두를 투입하거나, Na2CO3 만을 투입함으로써 생성된 BaCO3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은 물질로서 용액 내에서 침전된다. BaCO3의 침전에 의해 용액 중의 Ba2+의 농도는 5㎎/ℓ이하로 저감된다.
그리고 침전물과 잔류 용액을 분리하는 과정(S500)에서 필터를 이용하여 용액을 여과시킴으로써, BaCO3와 잔류 용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BaCO3는 회수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용액 중에 함유된 대부분의 Ba 즉, Ba2+ 이온을 BaCO3 형태로 회수할 수 있으며, 그 회수율은 99% 이상에 이른다. 또한, 슬래그로부터는 3 내지 70%의 Ba을 회수할 수 있다. 회수된 BaCO3는 자동차용 도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첨가제로 Na2CO3를 이용할 경우, CO2를 투입할 때와 같이 용액의 pH가 저하되지 않고 9 내지 13의 pH를 유지한다. 이에, 첨가제로 Na2CO3를 이용하여 BaCO3를 생성하고, 침전물과 잔류 용액을 분리한 후 상기 잔류 용액을 중화시키는 산도 처리(S300)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잔류 용액의 중화를 위해서 CO2 가스를 투입하면, 잔류 용액의 pH가 6 내지 8로 중화 되는데, 이를 위해 잔류 용액의 pH가 8 내지 10일 때,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일때 CO2 투입을 종료한다. 중화 처리된 잔류 용액은 고로 슬래그 처리수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잔류 용액에 CO2 가스를 투입하면, 상기 용액 내의 Na2+ 이온과 CO3 2- 이온이 결합하여 Na2CO3가 생성되며, 생성된 Na2CO3를 회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BaCO3를 주성분으로 하는 탈린제를 이용하여 페로 망간의 탈린 처리를 완료한 후, 생성된 슬래그를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슬래그를 파쇄하는데, 2mm 이하 또는 0.5mm 이하가 되도록 파쇄한다.
이후, 슬래그를 용매 예컨데 물에 침지시켜,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을 용출시킨다(S100). 슬래그를 용매에 침지시키는 시간은 1시간 내지 168시간(1주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출된 용액의 pH는 9 내지 13이다. 이어서, Ba이 용출된 용액과 잔류물을 분리한다(S200). 이때, 잔류물은 매립 처리하거나 노반재 등으로 재활용 처리할 수도 있다(S300).
Ba이 용출된 용액과 잔류물이 분리되면, 상기 Ba이 용출된 용액(이하 용액)에 산화 탄소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를 생성한다(S400). 이를 위해 먼저 Ba이 용출된 용액(이하 용액)에 산화 탄소를 함유하는 제 1 첨가제 예컨데 CO2를 투입한다(S410). 용액에 CO2가 투입되면, 용액 중의 Ba2+ 이온과 CO3 2-이 반응하여 BaCO3가 생성되며, 생성된 상기 BaCO3가 침전된다. 이때, Ba2+ 이온과 CO3 2-이 반응 시간은 최소 5분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O2를 용액내에 투입하면 H+에 의해 상기 용액의 pH가 감소하는데, 실시예에서는 용액의 pH가 8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일때 CO2의 투입을 종료한다. 이에, CO2의 투입 및 Ba2+와 CO3 2- 간의 반응이 종료된 후, 용액의 pH는 6 내지 8로 중화된다. 예를 들어, 용액의 pH가 8을 초과하거나 6 미만인 경우, 이후 잔류 용액의 별도의 중화처리를 하지 않으면, 상기 잔류 용액은 고로 슬래그 처리수로 재활용될 수 없다. 또한, 용액의 pH가 6 미만인 경우, 상기 용액 내에서 Ba의 이온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는 용액의 pH가 8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일때 CO2의 투입을 종료하여, 반응이 종료된 용액 및 이후 잔류 용액의 pH가 6 내지 8로 중화 되도록 한다.
이어서, 용액 내의 잔류 Ba을 BaCO3로 형대로 만들기 위해, 상기 용액 내에 제 2 첨가제인 Na2CO3를 투입한다(S420). 용액에 Na2CO3가 투입되면, 용액 중의 Ba2+ 이온과 CO3 2-이 반응하여 BaCO3가 생성되며, 생성된 상기 BaCO3가 침전된다. 이때, Na2CO3 첨가에 따른 Ba2+ 이온과 CO3 2-이 반응 시간은 최소 1분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a2CO3는 Ba2+의 몰수 대 Na2+의 몰수의 비(nBa 2+/Na2)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99 이하가 되도록 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침전물과 잔류 용액을 분리한다(S500). 즉, 필터를 이용하여 용액을 여과시킴으로써 침전물인 BaCO3와 잔류 용액을 분리한다. 그 후, 분리된 침전물, 즉 BaCO3을 회수한다(S700). 그리고 분리된 잔류 용액의 pH는 CO2의 투입에 의해 6 내지 8로 중화처리 되었으므로, 별도의 중화처리 없이 고로 슬래그 처리수로 재활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에 의해 회수된 결과물의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로 표시된 부분은 BaSO4의 피크(peak)로서, 회수된 결과물의 성분이 BaCO3(탄산바륨)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회수된 BaCO3은 자동차용 도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산물 회수 방법은 제 1 실시예와 슬래그로부터 수용성의 Ba를 용출하는 과정(S100), Ba이 용출된 용액과 잔류물을 분리하는 과정(S200), 침전물과 잔류 용액을 분리하는 과정(S500) 및 BaCO3를 회수하는 과정(S700)이 동일하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용액에 산화 탄소 함유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를 생성하는 과정(S400)이 제 2 실시예와 상이하고, 잔류 용액 처리 과정이 (S600)이 추가로 수행된다.
즉, 용액에 산화 탄소 함유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를 생성하는 과정(S400)에 있어서, CO2의 투입하는 과정 없이 바로 Na2CO3를 투입한다(S420). 이때, Na2CO3는 Ba2+의 몰수 대 Na2+의 몰수의 비(nBa2+/Na2+)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99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Na2CO3 첨가에 따른 Ba2+ 이온과 CO3 2-이 반응 시간은 최소 1분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에 Na2CO3가 투입되면, 용액 중의 Ba2+ 이온과 CO3 2-이 반응하여 BaCO3가 생성되며, 생성된 상기 BaCO3가 침전된다.
이후, 반응이 완료되면, 침전물과 잔류 용액을 분리하고(S500), 분리된 침전물, 즉 BaCO3을 회수한다(S700).
그리고 분리된 잔류 용액을 처리하여 중화시킨다(S600). 이를 위해 먼저 침전물과 분리된 잔류 용액에 CO2를 투입한다(S610). 이때, 잔류 용액의 pH가 8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일 때, CO2 투입을 종료한다. 이에, 잔류 용액의 pH가 6 내지 8로 중화된다. 또한, 잔류 용액 내의 Na2+ 이온과 CO3 2- 이온이 반응하여, Na2CO3가 생성되며, 생성된 Na2CO3 회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에 의해 회수된 결과물의 XR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로 표시된 부분은 BaSO4의 피크(peak)로서, 회수된 결과물의 성분이 BaCO3(탄산바륨)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회수된 BaCO3은 자동차용 도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탈린 처리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를 준비하는 과정;
    슬래그를 용매에 침지시켜 상기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을 용출시키는 과정;
    상기 Ba이 용출된 용액과 잔류물을 분리하는 과정;
    상기 용액에 산화 탄소를 함유하는 첨가제를 투입하여 BaCO3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BaCO3을 회수함으로써, 상기 슬래그에 함유된 Ba를 회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는 Ba을 포함하는 탈린제를 이용하여 페로 망간을 탈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 회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로 CO2 및 Na2C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CO2를 투입한 후, Na2CO3를 투입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액에 CO2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액의 pH가 8 내지 10 일 때 상기 CO2의 투입을 종료하여 상기 용액을 중화시키는 부산물 회수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로 Na2CO3 하나를 사용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aCO3를 회수하고 남은 잔류 용액을 중화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잔류 용액을 중화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잔류 용액에 CO2를 투입하고,
    상기 잔류 용액의 pH(페하지수)가 8 내지 10일 때 상기 CO2의 투입을 종료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Na2CO3는 상기 용액 중의 Ba2+의 몰수 대 Na2+의 몰수의 비(nBa2+/Na2+)가 1 이하가 되도록 투입하는 부산물 회수 방법.
KR20110091613A 2011-09-09 2011-09-09 부산물 회수 방법 KR101280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1613A KR101280942B1 (ko) 2011-09-09 2011-09-09 부산물 회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1613A KR101280942B1 (ko) 2011-09-09 2011-09-09 부산물 회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227A KR20130028227A (ko) 2013-03-19
KR101280942B1 true KR101280942B1 (ko) 2013-07-02

Family

ID=4817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91613A KR101280942B1 (ko) 2011-09-09 2011-09-09 부산물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1589A (zh) * 2018-05-15 2018-12-04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对碳酸钙样品Ba元素进行回收的方法
EP3553190A4 (en) * 2016-12-12 2020-01-22 Posco DEPHOSPHORATION FLOW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11A (ja) * 1993-07-12 1995-01-27 Sakai Chem Ind Co Ltd 微細炭酸バリウ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24536B1 (ko) 1995-10-26 2004-06-30 솔베이 바리움 스트론티움 게엠베하 미세한알칼리토류금속의탄산염
KR101036317B1 (ko) 2008-12-19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11A (ja) * 1993-07-12 1995-01-27 Sakai Chem Ind Co Ltd 微細炭酸バリウ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24536B1 (ko) 1995-10-26 2004-06-30 솔베이 바리움 스트론티움 게엠베하 미세한알칼리토류금속의탄산염
KR101036317B1 (ko) 2008-12-19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페로 망간용 탈린제,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재활용 방법, 페로 망간의 탈린 부산물 회수 방법 및 제강용 탈린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190A4 (en) * 2016-12-12 2020-01-22 Posco DEPHOSPHORATION FLOW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225695B2 (en) 2016-12-12 2022-01-18 Posco Dephosphorizing flux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8931589A (zh) * 2018-05-15 2018-12-04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对碳酸钙样品Ba元素进行回收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227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4919B (zh) 从炼钢炉渣中回收铁和磷的方法
US20200318209A1 (en) Method for eluting calcium from steelmaking slag, and method for collecting calcium from steelmaking slag
KR101815160B1 (ko) 인 및 칼슘의 회수 방법 및 상기 회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혼합물
KR102526438B1 (ko) 철 및 강철 슬래그로부터 제품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12808A (ko) 제강 슬래그로부터 칼슘을 용출시키는 방법, 및 제강 슬래그로부터 칼슘을 회수하는 방법
KR101253980B1 (ko) 부산물 회수 방법
CN114127319A (zh) 使用碳热还原工艺和火法-湿法冶金工艺中的至少一种从铁渣或钢渣中回收目标金属的方法
KR101280942B1 (ko) 부산물 회수 방법
Sheng et al. Potential reuse of slag from the Kambara reactor desulfurization process of iron in an acidic mine drainage treatment
JP5793842B2 (ja) 燐の分離方法
KR20160124160A (ko) 철(Fe)을 포함하는 물질의 아연(Zn) 및 납(Pb)의 양을 줄이기 위한 프로세스
KR101229900B1 (ko) 슬래그 안정화 방법
KR101311956B1 (ko) 부산물 회수 방법
US9890055B2 (en) Method for producing hematite for ironmaking
JP2013147382A (ja) 燐の分離方法
KR101253258B1 (ko) 부산물 회수 방법
JP2019002060A (ja) 製鋼スラグからの燐の分離回収方法
KR101760599B1 (ko) 제철 슬래그를 이용한 복합비료 제조방법
JP2012233650A (ja) 製鋼スラグの燐分離方法および製鋼スラグの燐分離装置
KR101300740B1 (ko)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Kurecki et al. Recycling Perspectives of Electric Arc Furnace Slag in the United States: A Review
JP2008272576A (ja) 土壌浄化剤、及び、土壌浄化剤の製造方法
KR102092824B1 (ko)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탄산염의 회수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8486365A (zh) 一种从低含铟锌冶炼物料中富集铟的方法
Rodriguez Rodriguez et al. Combined Hydro–Solvo–Bioleaching Approach toward the Valorization of a Sulfidic Copper Mine Ta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