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663B1 - 정전 척 - Google Patents

정전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663B1
KR101032663B1 KR1020070028573A KR20070028573A KR101032663B1 KR 101032663 B1 KR101032663 B1 KR 101032663B1 KR 1020070028573 A KR1020070028573 A KR 1020070028573A KR 20070028573 A KR20070028573 A KR 20070028573A KR 101032663 B1 KR101032663 B1 KR 10103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chuck
insulating member
terminal
insulating
temperature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891A (ko
Inventor
이쿠히사 모리오카
야스후미 아이하라
히데요시 츠루타
Original Assignee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9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의 균열성(均熱性)과 절연 부재의 절연성을 모두 양호한 특성으로 얻을 수 있는 정전 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전 척(1)은 웨이퍼(W)를 유지하는 유지면 근방에 전극(12)이 매설된 세라믹스 기재(11)를 포함하고 있다. 이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측에는 전극(2)과 접속하는 단자(13)와, 웨이퍼(W)의 온도 조절 부재(14)와, 이 단자(13) 및 온도 조절 부재(14)의 절연 부재(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절연 부재(15)는 세라믹스 기재(11)와 접하는 단부에 플랜지부(15a)를 갖고 있으며, 고열전도성 세라믹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전 척{ELECTROSTATIC CHU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척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정전 척의 세라믹스 기재 중앙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정전 척의 세라믹스 기재 중앙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라믹스 기재
12 : 전극
13 : 단자
14 : 온도 조절 부재
15 : 절연 부재
16 : 접착제
본 발명은 정전 척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는, 기판으로서의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에 성막, 가열, 에칭 및 세정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들 처리시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를 유지하기 위해 정전 척이 이용되고 있다. 이 정전 척은 정전 척의 유지면에 세팅된 반도체 웨이퍼와의 사이에 정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정전력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를 유지하는 것이다. 정전 척은 진공 흡인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를 유지하는 장치나 기계적으로 반도체 웨이퍼를 파지하는 장치에 비하여 사용 가능한 분위기의 제한이 적고, 또한 파티클이나 웨이퍼 오염의 우려가 적다.
일반적으로 정전 척은 기판을 유지하는 유지면 근방에 정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이 매설된 세라믹스 기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세라믹스 기재의 전극은, 유지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형성된 도통 홀로부터 삽입된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 단자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세라믹스 기재의 유지면에 정전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정전 척은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정전 척에 유지된 반도체 기판에 각종 처리를 행할 때에는 이 반도체 기판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정전 척의 이면에 접하도록 히터 또는 냉각 재킷 등의 온도 조절 부재가 마련되고, 이 온도 조절 부재에 의해 정전 척을 매개로 하여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일정한 온도로 조정하고 있다. 이 온도 조절 부재에는 전술한 단자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온도 조절 부재는 정전 척에 대하여 양호하게 열을 전달하기 위해 금속 부품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정전 척의 이면에 부착되며, 전력이 공급되는 단자는 온도 조절 부재와는 전기 절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자가 설치된 온도 조절 부재의 관통 구멍 및 그 근방에는 이 단자를 덮도록 절연 부 재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836986호 명세서
단자와 온도 조절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 부재에 요구되는 특성 중 하나는 단자와 온도 조절 부재와의 절연 특성이다. 세라믹스 기재의 유지면에 원하는 정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단자에는 예컨대 존슨-라벡 타입의 정전 척에서는 500 V 정도, 쿨롱 타입의 정전 척에서는 3000 V 정도의 전압이 공급된다. 절연 부재는, 이러한 전압이 공급되는 단자를 온도 조절 부재와 충분히 절연시킬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최근, 보다 확실하고 안정된 절연을 위해, 절연 부재에 의한 절연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 높은 절연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절연 부재 자체의 절연 내압(耐壓)이 높을 필요가 있고, 이 절연 부재의 단부면이 세라믹스 기재의 이면과 접촉하고 있는 영역에서 연면(沿面)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전자의 절연 부재 자체의 절연 내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절연 부재에 절연 내압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거나, 절연 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후자의 연면 방전의 발생 방지를 위해서는 연면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절연 부재를 두껍게 하거나 연면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온도 조절 부재에 형성된 단자 및 절연 부재용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을 크게 하는 경우, 이 관통 구멍에 대향하는 부 분의 세라믹스 기재는 온도 조절 부재와는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만 다른 부분보다도 가열 온도가 국소적으로 달라진다. 그 때문에, 정전 척에 유지된 웨이퍼의 균열성(均熱性)이 악화되고, 결과적으로 예컨대 에칭 처리에 있어서의 에칭율이나 에칭 형상의 악화를 초래하며, 처리를 행한 웨이퍼의 디바이스 불량이 발생한다.
한편, 전술한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을 작게 하면, 전술한 웨이퍼의 균열성 악화는 없지만, 단자와 온도 조절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부재의 두께 또는 연면 거리가 불충분해지고, 절연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웨이퍼의 균열성과 절연 부재의 절연성을 모두 양호한 특성으로 양립시키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는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유리하게 해결한 것으로서, 웨이퍼의 균열성과 절연 부재의 절연성을 모두 양호한 특성으로 얻을 수 있는 정전 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정전 척은, 기판을 유지하는 유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그리고 근접하게 매설된 전극을 갖는 세라믹스 기재와, 이 세라믹스 기재의 유지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형성된 도통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전극과 접속하는 단자와, 이 세라믹스 기재의 이면과 접하는 온도 조절 부재와, 이 단자의 주위에 마련되며 이 단자와 온도 조절 부재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이 절연 부재는 상기 세라믹스 기재와 접하는 단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정전 척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척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정전 척은, 기판으로서의 웨이퍼(W)를 정전력에 의해 유지하는 원반 형상의 세라믹스 기재(11)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이 세라믹스 기재(11)의 중앙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세라믹스 기재(11)의 표면은 이 웨이퍼(W)를 유지하는 유지면이 된다. 이 유지면(11a)에 정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극(12)이, 세라믹스 기재(11)의 내부에 이 유지면(11a)과 거의 평행하게, 또한 근접하게 매설되어 있다.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11b)에는, 전극(12) 근방까지 이르는 도통 홀(11c)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통 홀(11c)에 단자(13)가 삽입 관통되어, 전극(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단자(13)를 통해 전극(12)에 전력이 공급되면, 이 전극과 유지면(11a) 사이의 영역의 세라믹스 기재(11)가 유전체층이 되고, 유지면(11a)에 정전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세라믹스 기재(11)는 존슨-라벡 타입의 정전 척의 구성이어도 좋고, 또한 쿨롱 타입의 정전 척의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세라믹스 기재(11)의 내부에는 웨이퍼(W)를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를 매설하여도 좋다.
웨이퍼(W)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이 웨이퍼(W)의 전면(全面)을 소정의 균일한 온도로 조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 부재(14)가,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11b)의 거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온도 조절 부재(14)는, 예컨대 발열체를 내장한 가열 히터이거나, 예컨대 냉매 유로가 형성된 냉각 재킷이다. 또한, 온도 조절 부재(14)는 가열 히터와 냉각 재킷의 조합이어도 좋다.
이 온도 조절 부재(14)의 중앙부에는, 전술한 단자(13)가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4a)의 내부 및 그 근방에는 단자(13)와 온도 조절 부재(14)를 절연하기 위한 대략 원통 형상의 절연 부재(15)가 이 단자(13)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연 부재(15)는 세라믹스 기재(11)와 대향하는 쪽의 단부에 플랜지부(15a)를 갖고 있다. 이 플랜지부(15a)의 단부면과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 사이에 접착제(16)가 도포되어, 이 접착제(16)에 의해 절연 부재(15)는 세라믹스 기재(11)에 고착되어 있다. 이 절연 부재(15)는, 예컨대 질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정전 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15)가 세라믹스 기재(11)와 대향하는 쪽의 단부에 플랜지부(15a)를 갖고 있다. 이 플랜지부(15a)의 반경방향 길이(L1)가 절연 부재(15)의 연면 거리에 상당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정전 척은 플랜지부(15a)를 갖지 않는 종래의 정전 척에 비하여 연면 거리가 길며, 따라서 절연성이 높은 정전 척이 된다.
또한, 플랜지부(15a)의 두께(t1)는 0.5 ㎜ 이상 2 ㎜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께의 범위 내라면, 플랜지부(15a)에 가해지는 응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온도 조절 부재(14)로부터 세라믹스 기재(11)로의 열 이동에 대하여 장벽이 되지 않는다. 즉, 단자(13) 근방의 세라믹스 기재(11)의 표면에 대하여 온도 조절 부재(14)의 가열 또는 냉각을 신속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 상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절연 부재(15)의 내전압 특성은, 정전 척의 치수, 형상에 따라 다르지만, 5 k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5 kV/㎜ 이상이라면 쿨롱 타입의 정전 척에 본 발명의 정전 척을 적용하여도 여유가 있는 안정된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15a)를 갖지 않는 종래의 정전 척에서는, 5 kV/㎜ 이상의 내전압 특성을 균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며, 이러한 점에서 5 kV/㎜ 이상의 내전압 특성을 균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확보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척의 이점이 있다.
또한, 절연 부재(15)의 플랜지부(15a)의 반경방향 길이(L1)는 세라믹스 기재(11)의 재질이나 절연 부재(15)의 재질이나 접착제(16)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3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플랜지부(15a)의 길이(L1)가 너무 길면, 웨이퍼의 균열성이 악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15a)의 길이(L1)는 절연 부재(15)의 재질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15)는 고열전도성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부재(15)가 고열전도성 세라믹스로 이루어짐으로써, 세라믹스 기재(11)에 대향하는 단부면의 면적이 플랜지부(15a)에 의해 커졌다고 해도, 연면 거리를 유지하면서 온도 조절 장치에 형성하는 구멍을 작게 함으로써 균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절연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열전도성 세라믹스로서는, 예컨대 질화알루 미늄(AlN), 알루미나(Al2O3), 질화규소(SiN), 고저항 탄화규소(SiC)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스가 적합하게 적용된다.
특히, 절연 부재(15)에 질화알루미늄을 이용한 경우는, 질화알루미늄이 고열전도성이기 때문에, 세라믹스 기재(11) 표면의 균열성을 보다 균일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절연 부재(15)를 세라믹스 기재(11)에 고착시키는 접착제(16)는 고절연성 접착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16)가 고절연성의 접착제임으로써, 절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16)가 고절연성의 접착제인 것에 의해, 소정의 절연성을 유지하면서 연면 거리(L1)를 짧게 하여 웨이퍼 균열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고절연성 접착제는, 구체적으로는 접착제(16)의 절연 내압이 10 k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구비하는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시아노아크릴레이트수지계 접착제, 에폭시수지계 접착제, 실리콘수지계 접착제 등이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부재(14)의 관통 구멍(14a)의 구멍 직경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절연 부재(15)의 플랜지부(15a) 이외의 부분에 대면하는 부분의 구멍 직경은 종래와 같이 예컨대 5 ㎜ 이하로 함으로써 웨이퍼 균열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인 종래 정전 척의 세라믹스 기재(11)의 중앙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부재와 동종의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3에 도시된 정전 척은, 절연 부재(25)가 세라믹스 기재(11)에 대향하는 단부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지 않은 원통 형상인 예이다. 이러한 절연 부재(25)를 구비하는 정전 척은 절연에 충분한 연면 거리(L0)를 갖는 경우에는, 온도 조절 부재(14)의 관통 구멍(14a)의 구멍 직경(Do)이 커져 균열성이 악화된다. 또한, 관통 구멍(14a)의 구멍 직경(D0)을 작게 하여 웨이퍼의 균열성을 확보하고자 하면, 절연 부재(25)의 두께, 즉 연면 거리(L0)를 작게 해야 하기 때문에 절연성이 악화된다.
[실시예 1]
세라믹스 기재(11)로서 알루미나를 이용하고, 온도 조절 부재로서 Al제의 원반중에 냉매 유로를 마련한 냉각반을 이용하여 정전 척을 제작하였다. 표 1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 재질,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절연 부재를 제작하고, 이들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정전 척을 조립하여, 플라즈마로부터의 열 입력을 모의 실험하는 램프 히터(lamp heater)를 구비한 진공 챔버 내에 설치하고, 절연성 및 웨이퍼 균열성을 조사하였다. 절연성에 대해서는, 단자에 3 kV의 전압을 공급했을 때에, 절연 파괴나 연면 방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웨이퍼 균열성에 대해서는, 램프 히터에 의해 70℃로 가열했을 때 300 ㎜ 웨이퍼 상의 온도를, 단자 근방의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에서 각각 측정하여 온도차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병기한다. 또한, 절연 부재를 세라믹스 기재에 고착시키는 접착제로는, 절연 내압 50 kV/㎜이고 열전도율 0.2 W/m·K인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7023111212-pat00001
세라믹스의 표면에 있어서의 연면 방전 시험을 실시한 결과, 3 kV 이상의 전압에 대하여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자와 온도 조절 부재와의 거리가 3 ㎜ 이상 필요하였다. 그래서, 실시예 1 내지 8에서는, 플랜지부의 반경방향 길이, 즉, 표 1의 연면 거리(L1)를 3 ㎜로 한 결과, 절연 파괴도 연면 방전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8은 온도 조절 부재의 관통 구멍의 구멍 직경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 부재(15)의 플랜지부 이외의 부분에 대면하는 부분의 구멍 직경을 6 ㎜로 하여, 우수한 웨이퍼 균열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8 중에서도, 절연 부재의 재질이 AlN인 실시예 1 내지 4는 웨이퍼 균열성의 지표인 온도차가 2.0℃ 이하로서, 디바이스의 수율이 더욱 양호하였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은 재질이 알루미나이고 플랜지부를 갖지 않는 절연 부재의 예로서, 단자와 온도 조절 부재와의 거리(L0)는 3 ㎜로 하였기 때문에, 절연 파괴 및 연면 방전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이 3 ㎜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온도 조절 부재에는 Φ 10 ㎜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웨이퍼 온도를 측정한 결과, 단자부가 6.1℃의 핫 스폿이 되어, 디바이스의 에칭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한, 절연 부재의 재질을 열전도율 0.2 W/m·K의 수지로 한 비교예는, 열전도율이 나쁘기 때문에 7℃의 핫 스폿이 단자부에 발생하여 디바이스 불량이었다.
또한, 비교예 6에서와 같이, 플랜지의 두께를 3 ㎜로 한 경우에도, 단자부가 6℃의 핫 스폿이 되어 디바이스의 에칭 불량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2]
다음에, 절연 부재를 세라믹스 기재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에 표 2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 절연성 및 웨이퍼 균열성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서, 절연 부재는 AlN제(열전도율 170 W/m·K)이고, 플랜지부의 두께가 0.5 ㎜이다. 또한,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절연 부재의 플랜지부가 길이, 즉 연면 거리(L1)를 2 ㎜로 하고 있다. 그 조사 결과를 표 2에 병기한다.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3 비교예6 비교예7
접착제 에폭시#1 에폭시#2 실리콘#1 시아노아크릴레이트#1 없음 실리콘#2
열전도율 [W/m-K] 0.2 0.5 0.2 0.1 0.2 0.2
절연내압 [kV/mm] 50 10 25 140 5 5
3kV에서의 절연파괴 없음 없음 없음 없음 - -
3kV에서의 연면방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NG NG
웨이퍼 균열성 [℃] 0.8 0.5 0.9 1.2 - -
AlN : 170 W/m-K
플랜지 두께 : 0.5 mm
연면 거리 : 2 mm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절연성의 접착제를 사용하면, 연면 거리를 작게 하여도 연면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절연 파괴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연면 거리를 2 ㎜로 한 경우에도 충분한 절연성은 확보하면서, 균열성의 지표가 되는 온도차를 0.5℃로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절연성의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잘 얻을 수 있게 되어, 정전 척의 균열성을 보다 좋게 하는 동시에, 절연성도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장기적인 신뢰성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척을, 도시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정전 척은 이들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전 척에서, 절연 부재(15)는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도록 부착되어 있지만, 이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절연 부재(15)가 온도 조절 부재(14)의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세라믹스 기재(11)에 고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라 절연성이 높고, 웨이퍼 균열성이 우수한 정전 척이 된다.
본 발명의 정전 척에 따르면, 단자-온도 조절 부재 사이의 높은 절연성과 웨이퍼의 고균열성을 양립시킬 수 있게 되어, 정전 척의 신뢰성 향상, 웨이퍼 에칭 등의 프로세스 처리시의 면내 균일성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기판(W)을 유지하는 유지면(11a)에 평행하게 매설된 전극(12)을 갖는 세라믹스 기재(11)와,
    이 세라믹스 기재(11)의 유지면(11a)과는 반대측의 이면(11b)에 형성된 도통 홀(11c)에 삽입되며 상기 전극(12)과 접속하는 단자(13)와,
    이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11b)과 접하는 금속제의 온도 조절 부재(14)와,
    이 단자(13)의 주위에 마련되며 이 단자(13)와 온도 조절 부재(14)를 절연하는 절연 부재(15)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15)는 상기 세라믹스 기재(11)와 접하는 단부에 플랜지부(15a)를 가지되,
    상기 플랜지부(15a)는, 상기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세라믹스 기재(11) 및 상기 온도 조절 부재(14) 양쪽과 접촉하며,
    상기 절연 부재(15)는 열전도율이 100 W/m·K 이상인 고열전도성 세라믹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 부재(15)의 플랜지부(15a)의 두께는 0.5 ㎜ 이상 2 ㎜ 이하이며,
    상기 단자(13)는 상기 온도 조절 부재(14)를 관통하여 상기 세라믹스 기재(11)의 이면(11b)에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절연 부재(15)가 상기 단자(13)의 주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절연 부재(15)의 플랜지부(15a)의 반경이 상기 온도 조절 부재(14)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절연 부재(15)의 나머지 부분의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15)의 내전압 특성이 5 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척.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15)는 상기 세라믹스 기재(11)에 고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16)의 절연 내압(耐壓)이 10 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척.
KR1020070028573A 2006-03-24 2007-03-23 정전 척 KR101032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4219 2006-03-24
JP2006084219A JP2007258615A (ja) 2006-03-24 2006-03-24 静電チャ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891A KR20070096891A (ko) 2007-10-02
KR101032663B1 true KR101032663B1 (ko) 2011-05-06

Family

ID=3853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573A KR101032663B1 (ko) 2006-03-24 2007-03-23 정전 척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76967B2 (ko)
JP (1) JP2007258615A (ko)
KR (1) KR101032663B1 (ko)
CN (1) CN1010430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0353B (zh) * 2008-01-08 2014-08-21 Ngk Insulators Ltd A bonding structure and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109408B1 (ko) * 2009-07-28 2012-02-29 (주)위지트 전극봉, 정전척 및 기판처리장치
US8859424B2 (en) * 2009-08-14 2014-10-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wafer carri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5416570B2 (ja) * 2009-12-15 2014-02-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加熱冷却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装置
CN102856241B (zh) * 2011-06-27 2015-07-08 北京北方微电子基地设备工艺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静电卡盘及等离子体加工设备
CN104752119B (zh) * 2013-12-25 2017-08-25 中微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等离子体处理腔室及其静电夹盘的制造方法
CN104752118B (zh) * 2013-12-25 2017-02-15 中微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等离子体处理腔室及其静电夹盘的制造方法
CN109860073B (zh) * 2017-11-30 2020-10-16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热装置及加热方法
JP7026778B2 (ja) * 2018-03-23 2022-02-28 日本碍子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
WO2020241474A1 (ja) * 2019-05-31 2020-12-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KR102632768B1 (ko) * 2019-06-28 2024-02-01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웨이퍼 배치대
KR102219255B1 (ko) * 2020-08-26 2021-02-23 고광노 개량된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정전척
JP2023031603A (ja) 2021-08-25 2023-03-09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基板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175A (ja) * 1994-03-31 1995-10-20 Ngk Insulators Ltd 保持装置
JP2000100916A (ja) * 1998-09-18 2000-04-07 Tomoegawa Paper Co Ltd 静電チャック装置
KR100260587B1 (ko) * 1993-06-01 2000-08-01 히가시 데쓰로 정전척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047067A (ja) * 2000-07-31 2002-02-12 Kyocera Corp 電極内蔵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831U (ko) * 1989-03-15 1990-09-28
JPH0478133A (ja) * 1990-07-20 1992-03-12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US5255153A (en) * 1990-07-20 1993-10-19 Tokyo Electron Limited Electrostatic chuck and plasma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JP2836986B2 (ja) 1991-03-26 1998-12-14 日本碍子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74234A (ja) * 1993-06-28 1995-03-17 Tokyo Electron Ltd 静電チャックの電極構造、この組み立て方法、この組み立て治具及び処理装置
US6133557A (en) * 1995-01-31 2000-10-17 Kyocera Corporation Wafer holding member
US6259592B1 (en) * 1998-11-19 2001-07-10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for retaining a workpiece upon a workpiece sup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1338970A (ja) * 2000-05-26 2001-12-07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静電吸着装置
JP2002057258A (ja) * 2000-06-01 2002-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伝導基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パワーモジュール
JP2002313781A (ja) * 2001-04-11 2002-10-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基板処理装置
JP3993408B2 (ja) * 2001-10-05 2007-10-17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静電チャック装置、その組立方法および静電チャック装置用部材
FR2834122B1 (fr) * 2001-12-20 2004-04-02 Thales Sa Procede de fabrication d'electrodes et tube electronique a vide utilisant ce procede
JP4349952B2 (ja) 2004-03-24 2009-10-21 京セラ株式会社 ウェハ支持部材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587B1 (ko) * 1993-06-01 2000-08-01 히가시 데쓰로 정전척 및 그의 제조방법
JPH07273175A (ja) * 1994-03-31 1995-10-20 Ngk Insulators Ltd 保持装置
JP2000100916A (ja) * 1998-09-18 2000-04-07 Tomoegawa Paper Co Ltd 静電チャック装置
JP2002047067A (ja) * 2000-07-31 2002-02-12 Kyocera Corp 電極内蔵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3175A1 (en) 2007-09-27
CN101043017A (zh) 2007-09-26
JP2007258615A (ja) 2007-10-04
KR20070096891A (ko) 2007-10-02
US7576967B2 (en)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663B1 (ko) 정전 척
KR101693187B1 (ko) 정전척
KR102471635B1 (ko) 극도의 균일성의 가열식 기판 지지 조립체
JP5117146B2 (ja) 加熱装置
JP4082924B2 (ja) 静電吸着ホルダー及び基板処理装置
CN110767596A (zh) 静电吸盘
TW201633448A (zh) 靜電吸盤及晶圓處理裝置
KR20060125531A (ko) 기판 처리 장치
JP5557164B2 (ja) 静電チャック
US20050120960A1 (en) Substrate holder for plasma processing
JP2008305968A (ja) ウェハ保持体の電極接続構造
JP4943085B2 (ja) 静電チャック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KR100933432B1 (ko) 연결 부재, 이를 갖는 접지 구조물, 히터 및 기판 가공장치
KR20100030168A (ko) 열 응력 감소를 위한 버퍼층을 포함하는 정전 척
JP2003086519A (ja) 被処理物保持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処理装置
JP4355159B2 (ja) 静電吸着ホルダー及び基板処理装置
US10847401B2 (en) Wafer holding apparatus and baseplate structure
JP2020004809A (ja) 保持装置
KR20220103046A (ko) 기판 고정 장치
TW202410281A (zh) 具有故障保護的高溫基板支撐組件
TW202412055A (zh) 具有故障保護的高溫基板支撐組件
CN116936442A (zh) 静电卡盘设备
CN117859200A (zh) 用于减轻边缘电弧放电的可更换静电卡盘外环
JP2022076653A (ja) 保持装置
JP2021197529A (ja) 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16

Effective date: 2011040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