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555B1 -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555B1
KR101030555B1 KR1020080102528A KR20080102528A KR101030555B1 KR 101030555 B1 KR101030555 B1 KR 101030555B1 KR 1020080102528 A KR1020080102528 A KR 1020080102528A KR 20080102528 A KR20080102528 A KR 20080102528A KR 101030555 B1 KR101030555 B1 KR 10103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mber
outlet
opening
outlet opening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800A (ko
Inventor
히로카즈 무라세
도시카즈 츠미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7Toner discharging opening covered by arcuate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5Generally cylindrical container shape having two e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용기의 개폐 부재가 외력(外力)을 받아서, 잘못하여 유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유출구 개폐 부재(42)에 지지되고 또한 유출구(34a)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이동 규제용 돌출부(43)와, 유출구 개폐 부재(42)가 폐색(閉塞)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이동 규제용 돌출부(43)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폐색 위치로 이동한 유출구 개폐 부재(42)가 외방(外方)으로부터 가압되어 밀폐 부재(41)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이동 규제용 돌출부(43)의 선단 위치에 대해서 유출구 개폐 부재(4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유출구 개폐 부재(42)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이동 규제용 돌출부(43)의 선단 위치에 대해서 유출구 개폐 부재(4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를 구비한 수용 용기(Ky)이다.
수용 용기 본체,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 상 유지체,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용 용기, 소위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기술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기재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로서의 일본국 특허공개 2000-187378호 공보에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밀봉 부재(16)의 표면 또는 이면에, 실리콘 오일로 코팅한 PET 등의 가요성(可撓性) 필름(18)을 부착한 것을, 셔터(17)에 지지하여, 토너 카트리지(1)의 토너 배출구(11a)를 밀폐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기재의 기술에서는, 토너 카트리지(1)가 삽입, 발출(拔出)되는 삽입 발출 방향과, 셔터(17)가 이동하는 개폐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0-187378호 공보(「0053」∼「0066」, 「0077」, 도 4, 도 10)
본 발명은, 수용 용기의 개폐 부재가 외력(外力)을 받아서, 잘못하여 유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저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용 용기는,
내부에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 내부의 화상 형성 재료를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를 폐색(閉塞)하는 폐색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출구 개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재료의 유출 방향을 따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밀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지지된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방(外方)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중복되어 보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외력(外力)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중복되어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수용 용기는,
내부에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 내부의 화상 형성 재료를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출구 개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재료의 유출 방향을 따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밀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지지된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 개폐 이동 규제부로서,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폐 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상기 피이동 규제부가 중복되어 보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폐 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상기 피이동 규제부가 중복되어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수용 용기는,
내부에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 내부의 화상 형성 재료를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출구 개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의 근방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재료의 유출 방향을 따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밀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지지된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피이동 규제부와 끼워맞추어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유출구에 대해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 위치측에 배치된 상기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출구에 대해서 상기 개방 위치측에 배치된 상기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에 대해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 측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접촉하는 개폐 부재 접촉부와,
상기 개폐 부재 접촉부가 배치된 한쪽 측방에 대해서, 다른 쪽 측방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치우쳐서 배치된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화상 형성 재료가 내부에 수용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수용 용기의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력을 받아서, 잘못하여 유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폐 이동 규제부가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유출구의 개방 위치와는 반대측 또는, 유출구의 측방에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수용 용기의 삽입 동작에 따라 배출구 개폐 부재가 외방으로부터 가압되었을 때에 피이동 규제부와 개폐 이동 규제부에 의해 확실히 유출구 개폐 부재가 잘못해서 개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피이동 규제부가 개폐 부재 접촉부가 배치된 한쪽 측방에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피이동 규제부와 개폐 이동 규제부에 의해 확실하게 유출구 개폐 부재가 잘못해서 개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수용 용기의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력을 받아서, 잘못하여 유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저감한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뒤에서 앞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앞에서 뒤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 1로서의 복사기(U)는, 상단부 에 배치된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와,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를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를 갖는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의 상부에는,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지 트레이(TR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의 하부에는, 매체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를 수용하는 복수의 급지(給紙) 트레이(TR1∼TR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상부 전면(前面)에는, 전면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프론트 커버(Ua)가 지지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2에서,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1)는, 복사하려고 하는 복수의 원 고(Gi)가 겹쳐서 수용되는 원고 급지부(TG1)와, 원고 급지부(TG1)로부터 급지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 상단의 투명한 원고 판독면(PG) 위의 원고 판독 위치를 통과하여 반송되는 원고(Gi)가 배출되는 원고 배지부(排紙部; TG2)를 갖고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는, 이용자가 화상 형성 동작 개시 등의 작동 지령 신호를 입력 조작하는 조작부(UI)와, 노광 광학계(A)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자동 원고 반송 장치(U2)에서 원고 판독면(PG) 위를 반송되는 원고 또는 수동으로 원고 판독면(PG) 위에 놓인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상기 노광 광학계(A)를 통하여, 고체 촬상 소자(CCD)에 의해 적(R), 녹(G), 청(B)의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화상 정보 변환부(IPS)는, 고체 촬상 소자(CCD)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RGB의 전기 신호를 블랙(K),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화상 정보로 변환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화상 정보를 소정 시기에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서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또한, 원고 화상이 단색 화상, 소위, 모노크롬의 경우에는, 블랙(K)만의 화상 정보가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에 입력된다.
상기 잠상 형성 장치 구동 회로(DL)는, 도시하지 않은 각 색 Y, M, C, K의 각 구동 회로를 가지며,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른 신호를 소정 시기에, 각 색마다 배치된 잠상 형성 장치(LHy, LHm, LHc, LHk)에 출력한다.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U)의 중력 방향 중앙부에 배치된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는 각각, Y, M, C, 및 K의 각 색의 가시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잠상 형성 장치(LHy∼LHk)의 각 잠상 기입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Y, M, C, K 의 잠상 기입광(Ly, Lm, Lc, Lk)은, 각각, 회전하는 상 유지체(PRy, PRm, PRc, PRk)에 입사(入射)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잠상 형성 장치(LHy∼LHk)는, 소위, LED 어레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Y의 가시상 형성 장치(Uy)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PRy), 대전기(帶電器; CRy), 잠상 형성 장치(LHy), 현상 장치(Gy), 전사기(T1y), 상 유지체 청소기(CLy)를 갖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상 유지체(PRy), 대전기(CRy), 상 유지체 청소기(CLy)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2)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착탈 가능한 상 유지체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m, Uc, Uk)는 모두 상기 Y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서, 상기 각 상 유지체(PRy, PRm, PRc, PRk)는 각각의 대전기(CRy, CRm, CRc, CRk)에 의해 대전된 후, 화상 기입 위치(Q1y, Q1m, Q1c, Q1k)에서, 상기 잠상 기입광(Ly, Lm, Lc, Lk)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 잠상(靜電 潛像)이 형성된다. 상기 상 유지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정전 잠상은, 현상 영역(Q2y. Q2m, Q2c, Q2k)에서, 현상 장치(Gy, Gm, Gc, Gk)의 화상 형성 재료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러(ROy, ROm, ROc, ROk)에 유지된 화상 형성 재료에 의해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그 현상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B)에 접촉하 는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 반송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중간 전사 벨트(B)의 이면측에 배치된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소정 시기에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상 형성 재료는, 현상제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떤 재료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상 형성 재료는, 분체(粉體)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와 같은 액체 재료라도 좋다.
상기 각 상 유지체(PRy∼PRk) 위의 토너상은 상기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에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의 상 유지체(PRy, PRm, PRc, PRk) 표면의 잔류물, 부착물은, 상 유지체 청소기(CLy, CLm, CLc, CLk)에 의해 청소된다. 청소된 상기 상 유지체(PRy, PRm, PRc, PRk) 표면은, 대전기(CRy. CRm, CRc, CRk)에 의해 재차 대전된다.
상기 상 유지체(PRy∼PRk)의 상방에는, 상하 이동 가능 또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중간 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벨트 모듈(BM)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와, 중간 전사체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 롤러(Rd), 중간 전사체 캐링(carrying) 부재의 일례로서의 텐션 롤러(Rt), 사행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워킹(walking) 롤러(Rw), 종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이들러 롤러(Rf) 및 2차 전사 영역 대향 부재의 일례로서의 백업 롤러(T2a)와, 상기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는, 상기 각 롤러(Rd, Rt, Rw, Rf, T2a)에 의해 구성되는 중간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지지 롤러(Rd, Rt, Rw, Rf, T2a)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백업 롤러(T2a)에 접하는 중간 전사 벨트(B)의 표면에 대향해서 2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러(T2b)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롤러(T2a, T2b)에 의해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기(T2b) 및 중간 전사 벨트(B)의 대향하는 영역에는 2차 전사 영역(Q4)이 형성된다. 상기 1차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1차 전사기(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B) 위에 순차적으로 겹쳐서 전사된 단색 또는 다색의 토너상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된다.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y∼Uk)의 하방에는, 가이드 부재의 일례로서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GR)이 4단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GR)에는, 급지 트레이(TR1∼TR4)가 전후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급지 트레이(TR1∼TR4)에 수용된 시트(S)는, 매체 꺼냄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러(Rp)에 의해 꺼내지고, 매체 핸들링(handling) 부재의 일례로서의 핸들링 롤러(Rs)에 의해 1매씩 분리된다. 그리고, 시트(S)는, 매체 반송로의 일례인 시트 반송로(SH)를 따라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복수의 반송 롤러(Ra)에 의해 반송되고, 2차 전사 영역(Q4)의 시트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전사 영역 반송 시기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r)에 이송된다. 상기 시트 반송로(SH), 시트 반송 롤러(Ra),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r) 등에 의해 시트 반송 장치(SH+Ra+Rr)가 구성되 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r)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에 형성된 토너상이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되는데 시기를 맞추어, 상기 시트(S)를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한다. 시트(S)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할 때, 상기 백업 롤러(T2a)는 접지(接地)되고, 2차 전사기(T2b)에는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위의 토너상은, 상기 2차 전사기(T2)에 의해 시트(S)에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청소된다.
상기 토너상이 2차 전사된 시트(S)는, 정착 장치(F)의 가열용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러(Fh) 및 가압용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러(Fp)의 압접(壓接) 영역인 정착 영역(Q5)에 반송되어, 상기 정착 영역을 통과할 때에 가열 정착된다. 가열 정착된 시트(S)는, 매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러(Rh)로부터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지 트레이(TRh)에 배출된다. 또한, 상기 가열 롤러(Fh) 표면에는, 시트(S)의 상기 가열 롤러로부터의 이형성(離型性)을 좋게 하기 위한 이형제가 이형제 도포 장치(Fa)에 의해 도포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의 상방에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화상 형성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Ky, Km, Kc, Kk)가 배치되어 있다. 각 토너 카트리지(Ky, Km, Kc, Kk)에 수용된 화상 형성 재 료는, 상기 현상 장치(Gy, Gm, Gc, Gk)의 화상 형성 재료의 소비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화상 형성 재료 보급로로부터 상기 각 현상 장치(Gy, Gm, Gc, Gk)에 보급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재료로서, 자성의 캐리어와, 외첨제가 부여된 토너를 포함하는 2성분 화상 형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U)는 상측 프레임(UF)과 하측 프레임(LF)을 갖고 있고, 상측 프레임(UF)에는, 상기 가시상 형성 장치(Uy∼Uk) 및 가시상 형성 장치(Uy∼Uk)보다도 상방에 배치된 부재, 즉, 벨트 모듈(BM) 등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프레임(LF)에는, 상기 급지 트레이(TR1∼TR4)를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GR) 및 상기 각 트레이(TR1∼TR3)로부터 급지를 행하는 상기 급지 부재, 즉, 픽업 롤러(Rp), 핸들링 롤러(Rs), 시트 반송 롤러(Ra) 등이 지지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구조의 설명)
도 4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론트 커버가 개방되어, 황색의 토너 카트리지가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 도 4에서, 상기 복사기(U)의 프론트 커버(Ua)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조인트(U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커버(Ua)는, 화상 형성 동작의 실행시나 대기시에 유지되는 도 1에 나타낸 통상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Ky∼Kk)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의 교환 등의 보수 작업이 행해지는 도 4에 나타낸 보수 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Ua)의 내측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전 면 부재의 일례로서의 프론트 패널(U4)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 패널(U4)에는, 보급 용기 장착부의 일례로서, 원통 형상의 각 색의 토너 카트리지(Ky∼Kk)가 넣거나 빼기 되어 착탈되는 원통 구멍 형상의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 1m, 1c, 1k)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U4)에는, 가시상 형성 장치용 장착부의 일례로서, 가시상 형성 장치(UY∼UK)가 넣거나 빼기 되어 착탈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부(2y. 2m, 2c, 2k)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실시예 1의 유출구 안내부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다.
또한, Y, M, C, K의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1k)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 황색 Y의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밖의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m, 1c, 1k)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는, 좌측 하부에 형성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의 유출구 안내부(11)와, 상기 유출구 안내부(11)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段差) 형상의 용기 안내부(12)를 갖는다.
도 5에서, 상기 유출구 안내부(11)는, 토너 카트리지 착탈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안내로(16)를 갖는다. 상기 주 안내로(1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벽(底壁; 16a), 우측벽(16b), 좌측벽(16c)을 갖는다. 상기 주 안내로(16)의 후단부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형성되어 토너 카트리지(Ky∼Kk)로부터의 화상 형성 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7a)가 형성된 유입구부(17)가 형성되 어 있다. 상기 유입구부(17)는, 주 안내로(16)의 저면(底面; 16a)보다도 일단(一段) 높게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부(17)의 외표면에는 본체측 밀폐 부재의 일례로서,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본체측 밀봉 부재(HS)가 지지되어 있다.
도 5에서, 상기 유입구부(17)의 전단면(前端面; 17b) 전측의 우측부에는, 개폐 부재 유지 부재의 일례로서, 전방에 돌출하는 셔터 유지 부재(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유지 부재(18)는, 유지 부재 암(arm)부의 일례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암부(18a)를 갖고 있고, 상기 암부(18a)의 상단면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부(17)의 단차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부(18a)의 우방에는, 주 안내로(16)의 우측벽(16b)의 사이에 탄성 변형 허용 간격(16d)이 형성되어 있어, 암부(18a)는,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암부(18a)의 전단에는, 좌측에 돌출하는 유지 클로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 클로부(18b) 전측에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좌측으로 경사지는 장착시 탄성 변형 안내면(18b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 클로부(18b)의 후방에는, 암부(18a)로부터 상방에 돌출하는 유지 해제용 피접촉부(18c)가 형성되어 있고, 유지 해제용 피접촉부(18c)에는, 직각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는 해제용 접촉면(18c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부(17)의 전단면의 전측 좌측부에는, 장착시 개폐 부재용 안내부의 일례로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안내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안내부(19)는, 상기 유입구부(17)의 높이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에는, 전방 으로 갈수록 좌방으로 경사지는 장착시 셔터 안내면(1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안내로(16)의 앞부분에는, 제거시 개폐 부재용 안내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안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안내부(21)는, 유입구부(17) 및 좌측 안내부(19)의 높이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우방으로 경사지는 제거시 셔터 안내면(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안내부(19) 및 우측 안내부(21)는, 장착시 셔터 안내면(19a)의 전단과 제거시 셔터 안내면(21a)의 후단과의 사이가, 후술하는 셔터의 전후 방향의 길이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
도 6은 본 발명의 수용 용기의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를 유출구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유출구 부분의 분해 설명도이다.
또한, 각 색의 토너 카트리지(Ky∼Kk)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황색 Y의 토너 카트리지(Ky)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밖의 토너 카트리지(Km, Kc, Kk)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도 6, 도 7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Ky)는, 수용 용기 본체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본체(31)를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31)의 전단부에는, 용기 전단 부재(32)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용기 전단 부재(32)에는, 토너 카트리지(Ky)를 교환할 때에 이용자가 파지(把持)하기 위한 파지부(32a)가 형성되어 있 다.
도 4, 도 6, 도 7에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31)의 후단부에는, 용기 후단 부재(3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용기 후단 부재(33)의 후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종래 공지의 피구동 커플링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 장착시에,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의 후단에 배치된 구동 커플링에 맞물려서 구동이 전달되어, 카트리지 본체(31)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종래 공지의 화상 형성 재료 반송 부재를 회전시켜서 화상 형성 재료를 축방향 후방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커플링이나 피구동 커플링, 화상 형성 재료 반송 부재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4-252184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5-13445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5-18151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어, 공지이기 때문에,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유출구 부분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실시예 1의 셔터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유출구 형성부와 셔터의 길이 관계의 설명도로서, 도 10의 (a)는 유출구 형성부의 설명도, 도 10의 (b)는 셔터의 설명도이다.
도 4, 도 6∼도 10에서, 상기 용기 후단 부재(33)에는,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유출구 형성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유출구 형성부(34)는, 중력 방향 하방에 대해서, 좌하(左下) 방향으로 경사진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 형성부(34)에는, 화상 형성 장치(U1)의 유 입구(17a)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화상 형성 재료 반송 부재로 반송된 화상 형성 재료를 상기 유입구(17a)에 유입시키는 유출구(34a)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유출구(34a)는 원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34a)의 전방에는, 개폐 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 직경 방향 내측에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된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는, 원구멍 형상의 유출구(34a)와 동심원 형상의 호상(弧狀) 후단면(後端面; 34b1)과, 호상 후단면(34b1)과 간격을 벌려서 배치되고 또한 유출구 형성부(34)의 전단면에 평행한 직선 형상의 직선 형상 전단면(34b2)을 갖는다.
도 8에서, 유출구 형성부(34)의 직경 방향 외단(外端)에는, 개폐 부재 지지부의 일례로서, 유출구 형성부(34)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내뻗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셔터 지지부(36, 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셔터 지지부(36)의 후단부에는, 착탈 방향 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 절결(切缺) 형상의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셔터 지지부(37)의 후단부에는, 착탈 수직 방향 이동 안내부의 일례로서, 외방, 즉 좌방으로 돌출하는 셔터 안내용 돌기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안내용 돌기부(37a)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방으로 경사지는 폐쇄시 안내면(37a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도 8에서, 상기 용기 후단 부재(33)에는, 유출구 형성부(34)의 우측 전부(前部)에는, 해제용 접촉부의 일례로서, 우방으로 연장되는 해제용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해제용 돌기(38)는, 상기 해제시 피접촉부(18)의 해제용 접촉면(18c1)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 형성부(34)의 우방에는, 용기 피안내부의 일례로서, 용기 후단 부재(33) 외주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피가이드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가이드부(39)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상기 용기 안내부(12)에 안내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Ky)의 착탈시에 전후 방향으로 안내된다.
도 8에서, 상기 유출구 형성부(34)의 외표면에는, 밀폐 부재의 일례로서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밀봉 부재(41)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밀봉 부재(41)는, 상기 유출구(34a)의 주위에 배치되는 동시에,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를 막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6∼도 9에서, 상기 유출구 형성부(34)에는,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42)가 지지되어 있다. 도 9에서, 상기 셔터(42)는, 판형상의 셔터 본체(42a)와, 셔터 본체(42a)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유출구 형성부(34)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 측벽(42b, 42c) 및 전단벽(42d)을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셔터 본체(42a)의 두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유입구부(17)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본체(42a)의 전측의 좌측부에는, 피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 상기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에 대응해서 유출구 형성부(34)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 형상의 이동 규제용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양 측벽(42b, 42c)의 선단에는, 내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좌우 2쌍의 피지지부(46, 4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지지부(46, 47)가 셔터 지지부(36, 37)에 지지됨으로써, 셔터(42)가 전후 방향, 즉, 카트리지 착탈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셔터 본체(42a)와 피지지부(46, 47)의 내면끼리의 간격은, 셔터 지지부(36, 37) 및 밀봉 부재(41)의 두께보다도 조금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 부재(41)가 눌린 상태가 되어, 밀봉 부재(41)가 탄성 변형되고, 밀봉 부재(41)와 셔터 본체(42a)가 밀착, 밀폐 상태가 되며, 유출구(34a)는 밀폐되어 토너의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셔터(42)와 밀봉 부재(41) 사이의 마찰력이 높아져, 셔터(42)가 잘못해서 개폐될 때의 저항이 되는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토너 카트리지(Ky)가 장착될 때에 이용자에게 장착감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셔터(42)의 우측벽(42b)의 후단부에는, 착탈 방향 이동 피규제부의 일례로서,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내측으로 돌출하는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실시예 1의 유출구 형성부(34) 및 셔터(42)는, 셔터(42)의 좌우 양 측벽(42b, 42c)의 내측면끼리의 측벽 간격(L1)은, 셔터 지지부(36, 37)의 지지부간 폭(L2)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또한, 셔터 안내용 돌기부(37a)의 외단과 우측 셔터 지지부(36)의 외단의 유출구 형성부측 최대폭(L3)과 대략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의 내단과 셔터(42)의 좌측벽(42c)의 클로 내벽 간격(L4)은, 지지부간 폭(L2)보다도 크게 또한 최대폭(L3)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셔터(42)의 좌우 양 측벽(42b. 42c)의 후단과 전단벽(42d) 내면과의 셔터 장착 방향 길이(L5)는, 유출구 형성 부재(37)의 장착 방향 길이(L6)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은 셔터의 유출구 형성부(34)에 대한 위치 관계의 설명도로서, 도 11의 (a)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c)는 셔터가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따라서,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42)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셔터(42)의 양 측벽(42b, 42c)의 내측면이, 셔터 안내용 돌기부(37a)의 외단과 우측 셔터 지지부(36)의 외측 에지(edge)에 의해, 카트리지 착탈 방향에 수직인 셔터 폭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도 11의 (a)에 나타낸 폐색 위치로부터, 셔터(42)가 카트리지 착탈 방향, 즉, 셔터 이동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도 11의 (b)에 나타낸 이동 규제 위치로 이동하면,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가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에 걸려서 셔터 이동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토너 카트리지(Ky)의 취급을 잘못해서, 셔터(42)를, 예를 들면 책상 등에 접촉시켜서, 셔터(42)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작용해도, 셔터 이동 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에 의해 셔터(42)의 이동이 규제되고, 셔터 폭 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폐색 위치에서 이동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 측벽 간격(L1)>지지부간 폭(L2)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42)는 카트리지 착탈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외력은 1축 방향의 힘인 것이 많기 때문에, 셔터(42)를 셔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셔터 폭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거의 없어, 셔터(42)가 잘못해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저감되고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이동 규제 위치로부터 셔터 폭방향으로 셔터(42)가 이동하면, 도 11의 (c)에 나타낸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지지부간 폭(L2)<클로 내벽 간격(L4)<최대폭(L3)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가,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에 걸리지 않아, 셔터(42)는 셔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2는 실시예 1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12의 (a)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도 6의 XII-XII선 단면도이며, 도 12의 (b)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도 6의 XII-XII선 단면도이다.
도 10, 도 11에서, 상기 이동 규제용 돌기(43) 및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크기는,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의 카트리지 착탈 방향을 따른 길이 오목부 길이(L7)에 대해서, 셔터(42)가 오목부 길이(L7) 이동해도, 이동 규제용 돌기(43)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내측에 접촉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 셔터(42)가 폐색 위치에서, 셔터(42)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규제용 돌기(43)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에 끼워져 있지 않은 상태, 즉, 이동 규제용 돌기(43)의 선단 위치에 대해서 셔터(4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셔터(42)가 토너의 유출 방향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을 받은 경우에, 밀봉 부재(41)가 탄성 변형되면, 도 12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2의 (b)에 나타낸 상태가 되어, 이동 규제용 돌기(43)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에 끼워진 상태, 즉, 이동 규제용 돌기(43)의 선단 위치에 대해서 셔터(4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끼워맞춤에 의해, 셔터(42)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13의 (a)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13의 (b)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에서, 셔터(42)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셔터(42)가 토너의 유출 방향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을 받은 경우에, 밀봉 부재(41)가 탄성 변형되면, 도 13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3의 (b)에 나타낸 상태가 되어, 이 상태에서도 이동 규제용 돌기(43)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셔터(42)의 이동이 규제된다.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의 설명)
(장착 동작)
도 14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장착이 개시된 후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4∼도 19의 설명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토너 카트리 지 장착부(1y)의 유출구 안내부(11)와, 토너 카트리지(1y)의 유출 구멍 형성부(34) 및 셔터(42)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토너 카트리지(1y)의 유출 구멍 형성부(34)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셔터(42)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4, 도 14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Ky)가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에 삽입되면, 셔터(42)가 폐색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Ky)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인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4, 도 5, 도 14에서, 이 때, 토너 카트리지(Ky)의 피가이드부(39)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상기 용기 안내부(12)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이동하지만, 이 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42)의 좌측벽(42c)이, 주 안내로(16)의 좌측벽(16c)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도 14에서, 상기 우측 안내부(21)는 높이가, 셔터(42)의 셔터 본체(42a)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해제용 돌기(38)는 우측 안내부(21)에 간섭하지 않고, 상방을 통과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주 안내로(16)에서, 안내부(19, 21)에 의해 안내되는 것은, 셔터(42)만으로 되어 있다.
도 15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 삽입되어 셔터가 장착시 셔터 안내면에 접촉해서 안내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4, 도 15에서,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삽입되면, 셔터(42)의 좌측벽(42c)의 전단이, 장착시 셔터 안내면(19a)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삽입되면, 셔터(42)가 장착시 셔터 안내면(19a) 을 따라 안내되어, 유출구 형성 부재(34)에 대해서, 셔터 이동 방향 및 셔터 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5,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42)는,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다.
도 16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5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 삽입되어 셔터가 셔터 유지 부재에 접촉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5, 도 16에서, 도 15에 나타낸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삽입되면, 셔터(42)의 좌측벽(42c)이 좌측 안내부(19)를 따라서 안내되고, 셔터(42)의 우측벽(42b)이, 셔터 유지 부재(18)의 장착시 탄성 변형 안내부(18b1)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밀려 들어가면, 셔터 유지 부재(18)의 암부(18a)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42)가 후방으로 진입 가능해진다.
도 17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더 삽입되어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6, 도 17에서,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삽입되면, 셔터 본체(42a)의 후단이, 유입구부(17)의 전단면(17b)에 접촉하여 셔터(42)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더 토너 카트리지(Ky)가 후방으로 삽입됨으로써 셔터(42)의 이동이 정지하고, 유출구 형성부(34)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17에 나타낸 셔터(42)는 개방 위치로 상대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유출구(34a)가 개방되어, 유입구(17a)와 통한 상태가 되어, 토너 카트리지(Ky)의 장착 공정이 종료된다.
또한, 도 16, 도 17에서, 셔터 유지 부재(18)는, 탄성 변형된 상태로부터 탄성 복원되어, 유지 클로부(18b)가 셔터(42)의 전단면에 걸린다. 따라서, 셔터(42)는, 카트리지 착탈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카트리지 제거 공정의 설명)
도 18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거 방향으로 이동해서 해제시 접촉부와 해제시 피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7, 도 18에서, 토너 카트리지(Ky) 내부의 화상 형성 재료가 빈 것과 같은 이유로 토너 카트리지(Ky)가 제거되는 경우, 도 1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Ky)는 제거 방향인 전방으로 발출(拔出)이 개시된다. 이 때, 셔터(42)가 유지 클로부(18b)에 의해 록(lock)되어 있으므로, 셔터(42)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유출구 형성부(34)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셔터(42)는 개방 위치로부터 개방 개시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도 18에서, 상기 셔터(42)가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하는데 맞추어, 해제용 돌기(38)가, 상방에 돌출하는 해제시 피접촉부(18)의 해제용 접촉면(18c1)에 접촉한다. 상기 해제용 돌기(38)와 해제용 접촉면(18c1)이 접촉한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전방으로 발출되면, 해제시 피접촉부(18)의 암부(18a)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유지 클로부(18b)에 의한 셔터(42)의 유지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Ky)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셔터(42)도 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도 19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8에 나타 낸 상태로부터 제거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셔터가 우측 안내부에 접촉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8, 도 19에서, 도 1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발출되면, 셔터(42)의 우측벽(42c)의 전단이 우측 안내부(21)의 제거시 셔터 안내면(21a)에 접촉한다. 상기 셔터(42)의 전단이 제거시 셔터 안내면(21a)에 접촉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Ky)가 전방으로 발출되면, 셔터(42)가 경사진 제거시 셔터 안내면(21a)에 안내되는 동시에, 셔터(42)의 좌측벽(42c)의 전단이 폐쇄시 안내면(37a1)에 안내되어, 셔터(42)가 유출 구멍 형성 부재(34)에 대해서 상대 이동한다. 이에 따라, 셔터(42)는 개방 개시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상대 이동한다. 그리고, 또한 토너 카트리지(Ky)가 더 발출됨으로써, 도 14에 나타낸 상태를 거쳐서, 토너 카트리지(Ky)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외부로 발출된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Ky)를 취급할 때에, 취급을 잘못해서 셔터(42)가 책상 등에 접촉한 경우에, 셔터(42)를 셔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받는다. 이 경우에는,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가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에 걸려서, 셔터(42)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42)를 토너 유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향 성분과 셔터를 셔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 성분을 갖는 외력을 받은 경우, 이동 규제용 돌기(43) 및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 의 위치가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에 대해서 토너 유출 방향을 따라 어긋나서, 걸리지 않게 되어 유출구(34a)가 개방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지만, 실시예 1에서는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끼워맞추어져, 셔터(42)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의 셔터(42)에서는,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 및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에 의한 이동 규제와, 이동 규제용 돌기(43) 및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에 의한 이동 규제의 2중의 이동 규제에 의해, 셔터(42)가 잘못해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Ky)를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에 장착할 때에, 셔터(42)가 배치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Ky)의 후단을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의 에지에 접촉시켜 버려, 셔터(42)가 토너 유출 방향 및 셔터 이동 방향의 양 방향 성분을 갖는 외력을 받아도, 셔터(42)가 어긋나서, 유출구(34a)가 잘못해서 개방되어 내부의 토너가 누출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셔터(42)가 개방 개시 위치나 이동 규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이동 규제용 돌기(43) 및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에 의해 이동 규제되어, 셔터의 이동에 기인한 토너의 누출이 저감되고 있다.
도 20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며, 도 20의 (a)는 셔터 장착부의 에지에 셔터가 접촉하여 외력이 작용한 상태의 설명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요부 확대도, 도 20의 (c)는 토너 카트리지의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0의 (a), 도 20의 (b)에서, 셔터(42)가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의 에지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Ky)는, 셔터(42)를 지점(支點)으로서 지레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Ky)를 경사시키도록 이용자가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 셔터(42)를 지점으로서, 토너 카트리지(Ky)의 파지부(32a)측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흔들림이 작지만, 파지부(32a)측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비교적 크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1y)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32a)가 하측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이 상태에서는, 셔터(42)가 에지 등에 가압되어 이동하기 어려운 상태이고, 도 20의 (b)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 구멍 형성부(34)가 셔터(4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경사져서, 셔터(42)의 전측으로 가압되어 밀봉 부재(41)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경사진다. 이것에 대응하여,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이동 규제용 돌기(43) 및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셔터 이동 방향을 따라, 유출구(34a)의 개방 위치측, 즉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 규제용 돌기(43) 및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유출구(34a)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측이 가압되도록 경사지면, 후측이 전측에 비해서 들뜬 상태가 되기 쉬워,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끼워진 상태로 되기 어려운 것에 비해서, 전측에 배치된 실시예 1에서는, 셔터(42)의 전측이 가압되도록 경사져도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확실히 끼워지기 쉬워, 셔터(42)의 오(誤)개방이 규제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20의 (c)에서, 실시예 1에서는, 유출구 형성부(34)의 우측에 해제용 돌기(38)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42)가 셔터 장착부(1y) 등에 접촉한 상태로 셔터(42)를 지점으로서, 토너 카트리지(Ky)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도 20의 (c)에서 시계 회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셔터(42)가 에지 등에 가압된 상태로, 유출 구멍 형성부(34)측이 셔터(4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경사지도록 밀봉 부재(41)가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는, 셔터(42)의 우측벽(42b)이 해제용 돌기(38)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경사가 규제되어,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는 것이 억제되어, 셔터(42)의 오개방도 저감되고 있다.
반대로, 도 20의 (c)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셔터(42)의 좌측에는 해제용 돌기(38)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도 20의 (c)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의 외력의 경우에 비하여 경사가 커진다. 이에 대해서, 실시예 1에서는,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가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끼워맞춤이 해제되지 않아, 셔터(42)의 오개방이 규제된다. 즉, 어느 쪽 방향의 회전의 외력이 작용해도,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끼워맞춤이 해제되기 어려워, 셔터(42)의 오개방이 저감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1은 실시예 2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21의 (a)는 실시예 1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1의 (b)는 실시예 1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1의 (c)는 실시예 1의 도 13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1의 (d)는 실시예 1의 도 13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에서,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밀폐 부재의 일례인 밀봉 부재(41)가, 개구 형성부(34)가 아니고, 셔터(42)의 셔터 본체(42a)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21의 (a), 도 2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42)의 이동에 따라 밀봉 부재(41)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동 규제용 돌기(43)와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끼워맞춤에 의해, 셔터(42)의 이동이 규제되어, 셔터(42)의 오개방이 저감되고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설명을 행하지만, 이 실시예 3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3은,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는 실시예 3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22의 (a)는 실시예 1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2의 (b)는 실시예 1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에서, 실시예 3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실시예 1의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 및 이동 규제용 돌기(43) 대신에, 유출구 형성부(34)로부터 셔터(42)측에 돌출하는 개폐 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이동 규제용 돌기(34b')와, 셔터(42)에 형성된 피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피이동 규제 구멍(43')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3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3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동 규제용 돌기(34b')와 피이동 규제 구멍(43')의 끼워맞춤에 의해, 셔터(42)의 이동이 규제되어, 셔터(42)의 오개방이 저감되고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을 행하지만, 이 실시예 4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4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3은 실시예 4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23의 (a)는 실시예 1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3의 (b)는 실시예 1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3에서,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유출구 형성부(34)의 하면에는, 셔터 이동 방향을 따른 전단부에, 셔터(42)측에 돌출하는 돌출벽(34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출 구멍 형성부(34)의 하면에는, 돌출벽(34c)의 높이보다도 높은 밀봉 부재(41")가 고정 지지되어 있고, 밀봉 부재(41")의 전단과, 돌출벽(34c) 사이에, 개폐 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개폐 이동 규제 공간(34b")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4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4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개폐 이동 규제 공간(34b")과 이동 규제용 돌기(43)의 끼워맞춤에 의해, 셔터(42)의 이동이 규제되어, 셔터(42)의 오개방이 저감되고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7)을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프린터 또는 이들 전부 또는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4색분의 상 유지체(PRy∼PRk) 및 현상 장치(Gy∼Gk), 잠상 형성 장치(LHy∼LHk)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색의 화상 형성 장치나, 상 유지체 및 잠상 형성 장치가 1개이고 4개의 현상 장치가 회전해서 순차적으로 상 유지체에 대향하는 회전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해제용 돌기(38)를 우측에 배치했지만, 좌측에 배치하거나, 좌우 양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동 규제용 돌기(43)의 위치를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하거나, 중앙부에 배치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좌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 형성부(34)를 갖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1y∼1k)에서는, 해제용 돌기(38)가 좌측에 배치되면, 셔터(42)를 책상 등에 놓은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작용한 상태가 되어, 셔터(42)가 해제용 돌기(38)에 간섭하지 않고 밀봉 부재(41)를 탄성 변형시키는 방향으로 경사진 힘을 받는다. 이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한 마찰력이 높아져, 셔터(42)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되어, 셔터(42)가 잘못해서 개방되어 버리는 것이 저감된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이동 규제용 돌기(43)의 위치를 전측에 배치했지만, 후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유출구 형성부(34)나 셔터(42)가 토너 카트리지의 후측, 즉, 카트리지 장착 방향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카트리지 장착 방향 후측이나 중앙부에 유출구 형성부(34)가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셔터 이동 규제용 클로부(48) 및 셔터 이동 규제용 오목부(36a)에 의해 셔터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거나, 다른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로 교환하거나, 또한 다른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를 추가해도 좋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이동 규제용 돌기(43)나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34b)의 형상은, 실시예에 예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42)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변경해도 좋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41)는, 분체 재료인 화상 형성 재료를 사용한 수용 용기에 적용되어 있지만, 잉크젯용의 잉크를 사용한 수용 용기에 적용되어도 좋다. 밀봉 부재(41)가 잉크젯용의 잉크를 사용한 수용 용기에 적용되는 경우, 밀봉 부재(42)가 셔터 본체(42a)를 폐색할 때에 생기는 폐색력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론트 커버가 개방되어, 황색의 토너 카트리지가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의 유출구 안내부의 요부 사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용 용기의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를 유출구측에서 본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유출구 부분의 분해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유출구 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실시예 1의 셔터의 사시 설명도.
도 10은 유출구 형성부와 셔터의 길이 관계의 설명도로서, 도 1O의 (a)는 유출구 형성부의 설명도, 도 1O의 (b)는 셔터의 설명도.
도 11은 셔터의 유출구 형성부(34)에 대한 위치 관계의 설명도로서, 도 11의 (a)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c)는 셔터가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1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12의 (a)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도 6의 XII-XII선 단면도이며, 도 12의 (b)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도 6의 XII-XII선 단면도.
도 13은 실시예 1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13의 (a)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13의 (b)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 착탈 동작의 설명도로서, 장착이 개시된 후의 상태의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 삽입되어 셔터가 장착시 셔터 안내면에 접촉해서 안내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5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 삽입되어 셔터가 셔터 유지 부재에 접촉한 상태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6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 삽입되어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8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7에 나타낸 상태에서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제시 접촉부와 해제시 피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의 설명도.
도 19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8에 나타낸 상태에서 제거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셔터가 우측 안내부에 접촉한 상태의 설명 도.
도 20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며, 도 20의 (a)는 셔터 장착부의 에지에 셔터가 접촉하여 외력이 작용한 상태의 설명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요부 확대도, 도 20의 (c)는 토너 카트리지의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은 실시예 2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21의 (a)는 실시예 1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1의 (b)는 실시예 1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1의 (c)는 실시예 1의 도 13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1의 (d)는 실시예 1의 도 13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이동 규제 위치 또는 개방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2는 실시예 3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22의 (a)는 실시예 1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2의 (b)는 실시예 1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3은 실시예 4의 셔터의 요부 단면 설명도로서, 도 23의 (a)는 실시예 1의 도 12의 (a)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3의 (b)는 실시예 1의 도 12의 (b)에 대응하는 셔터가 폐색 위치에서 외방으로부터 가압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수용 용기 본체
34a : 유출구
34b, 34b', 34b" : 개폐 이동 규제 오목부
38 : 개폐 부재 접촉부
41, 41" : 밀폐 부재
42 : 유출구 개폐 부재
43, 43' : 이동 규제용 돌출부
Gy, Gm, Gc, Gk : 현상 장치
Ky, Km, Kc, Kk : 수용 용기
PRy, PRm, PRc, PRk : 상 유지체
U : 화상 형성 장치

Claims (6)

  1. 내부에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 내부의 화상 형성 재료를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를 폐색(閉塞)하는 폐색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출구 개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재료의 유출 방향을 따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밀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지지된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방(外方)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중복되어 보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외력(外力)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피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중복되어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2. 내부에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 내부의 화상 형성 재료를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출구 개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재료의 유출 방향을 따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밀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지지된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 개폐 이동 규제부로서,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폐 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상기 피이동 규제부가 중복되어 보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폐 이동 규제부의 선단 위치와 상기 피이동 규제부가 중복되어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3. 내부에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 내부의 화상 형성 재료를 유출시키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유출구 개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의 근방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재료의 유출 방향을 따른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밀폐 부재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지지된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이동 규제부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가 외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피이동 규제부와 끼워맞추어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유출구에 대해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 위치측에 배치된 상기 피이동 규제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출구에 대해서 상기 개방 위치측에 배치된 상기 개폐 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에 대해서,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한쪽 측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밀폐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더 탄성 변형된 경우에 상기 유출구 개폐 부재에 접촉하는 개폐 부재 접촉부와,
    상기 개폐 부재 접촉부가 배치된 한쪽 측방에 대해서, 다른 쪽 측방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치우쳐서 배치된 상기 피이동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화상 형성 재료가 내부에 수용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102528A 2008-03-24 2008-10-20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30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076782 2008-03-24
JP2008076782A JP4525782B2 (ja) 2008-03-24 2008-03-24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00A KR20090101800A (ko) 2009-09-29
KR101030555B1 true KR101030555B1 (ko) 2011-04-21

Family

ID=4108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528A KR101030555B1 (ko) 2008-03-24 2008-10-20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0811B2 (ko)
JP (1) JP4525782B2 (ko)
KR (1) KR101030555B1 (ko)
CN (1) CN101546156B (ko)
AU (1) AU2008216961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24348A1 (en) * 2014-11-05 2016-05-05 Yusuke Yamad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30029B2 (ja) * 2007-11-18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532542B2 (en) * 2009-07-23 2013-09-10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JP5381553B2 (ja) * 2009-09-25 2014-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482138B2 (ja) * 2009-11-19 2014-04-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15668B2 (ja) * 2009-11-19 2014-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
CN102073244B (zh) * 2009-11-19 2014-05-28 富士施乐株式会社 调色剂盒及图像形成装置
US8417159B2 (en) * 2009-11-19 2013-04-09 Fuji Xerox Co.,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10644B2 (ja) * 2010-03-03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A2896439C (en) 2010-03-10 2019-03-05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JP5024431B2 (ja) * 2010-07-23 2012-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91391B2 (ja) * 2010-10-25 2015-04-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093460A (ja) * 2010-10-25 2012-05-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633309B2 (ja) * 2010-11-02 2014-12-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59716B2 (ja) * 2010-11-10 2015-0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85414B2 (ja) * 2010-11-25 2014-09-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JP5786375B2 (ja) * 2011-03-04 2015-09-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JP5879863B2 (ja) * 2011-09-22 2016-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97000A (ja) * 2011-10-27 2013-05-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供給装置
JP5110219B1 (ja) 2012-02-21 2012-1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58725B2 (en) 2012-02-21 2015-02-17 Fuji Xerox Co., Ltd. Powder container having shield for shut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the same
JP6274882B2 (ja) * 2014-01-27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45015B2 (ja) 2015-03-06 2020-0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の収容容器
JP6634762B2 (ja) * 2015-09-28 2020-01-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MX2020013088A (es) 2018-08-30 2021-03-0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Valvulas para suministro de particulas de impresion.
JP7375376B2 (ja) 2019-08-28 2023-11-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915A (ja) 1996-11-13 1998-05-29 Mita Ind Co Ltd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0162861A (ja) 1998-09-22 2000-06-16 Canon Inc トナ―補給容器及びトナ―補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777B2 (ja) 1987-10-15 1995-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粉体現像剤収納容器
US4937628A (en) 1989-04-07 1990-06-26 Xerox Corporatio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JP3492222B2 (ja) 1998-12-24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3427299B2 (ja) * 2000-11-30 2003-07-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100694128B1 (ko) * 2005-06-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347331B2 (ja) * 2005-11-08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530029B2 (ja) * 2007-11-18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915A (ja) 1996-11-13 1998-05-29 Mita Ind Co Ltd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0162861A (ja) 1998-09-22 2000-06-16 Canon Inc トナ―補給容器及びトナ―補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6156A (zh) 2009-09-30
JP4525782B2 (ja) 2010-08-18
CN101546156B (zh) 2011-12-28
US7920811B2 (en) 2011-04-05
AU2008216961B2 (en) 2010-11-04
KR20090101800A (ko) 2009-09-29
AU2008216961A1 (en) 2009-10-08
JP2009229938A (ja) 2009-10-08
US20090238608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55B1 (ko)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4432455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68309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US8644738B2 (en) Develop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02872B2 (ja)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897677B2 (en) Develop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63719B2 (ja) 画像形成装置
US9684263B2 (en) Developer supplier,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included in the developer supplier
US9829828B2 (en) Developer supplier with biasing member that biases a main unit shutter and causes a developer container to rotate,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eveloper container included in the developer supplier
US20070217826A1 (en) Toner container and ton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JP2007212766A (ja) トナー補給装置、トナー補給ボックス、及び中継ボックス
US8275287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52361A (ja) 画像形成装置
US20160313670A1 (en) Developer supplier,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included in the developer supplier
JP447661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09416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818236B2 (en) Develop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79360B2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EP2299332A2 (en) Developer deliver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665041B2 (en) Developer supplier,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included in the developer supplier
US87507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supply device
KR100826001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 용기
JP201309266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供給装置
JP20161888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61638A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