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303B1 -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303B1
KR101025303B1 KR1020080070325A KR20080070325A KR101025303B1 KR 101025303 B1 KR101025303 B1 KR 101025303B1 KR 1020080070325 A KR1020080070325 A KR 1020080070325A KR 20080070325 A KR20080070325 A KR 20080070325A KR 101025303 B1 KR101025303 B1 KR 10102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oating layer
screen
polymer resin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425A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티 filed Critical (주)디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7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3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42Acryl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막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섬유재질의 모재; 상기 모재에 발포 폼 코팅층으로 형성되어 접착력을 부여하는 고분자 수지층;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접착되며, 블랙 안료가 조성되어 빛 차폐율을 높여주는 암막 중간층; 상기 암막 중간층에 접착되며, 카본 블랙을 사용하여 고분자 수지층에 색상을 부여하는 안료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 우레탄,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고분자 수지, 폼 안정제, 발포제, 경화제 등으로 조성시켜 셀을 형성시킨 후 직물 표면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서, 매우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통기성, 단열성 등의 장점을 가지며 컬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암막, 스크린, 폼 코팅, 안료

Description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Blackout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빛의 투과를 99% 이상 차단할 수 있는 암막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의 어느 일면에 폼 코팅층을 형성시켜 대부분의 빛을 차단하는 우수한 암막 효과를 갖고 컬링현상이 없도록 한 암막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유입되는 빛의 양을 낮추기 위하여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튼이나 블라인드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빛의 유입량이 너무 많을 경우와, 프레젠테이션 등을 수행할 때 프로젝션의 선명도를 높이고자 빛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빛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암막(blackout) 재료로 금속, 목재,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금속이나 목재는 유연성이 없이 너무 견고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커튼이나 블라인드는 불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의 직물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커튼이나 블라인드는 사용 재질의 특성이나 색상에 따라 빛의 투과 정도가 좌우된다. 커튼의 경우에는 빛을 적정량 투과시키거나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색상을 달리하는 복수의 커튼을 사용하게 되므로 미감이 좋지 못하고 불편하다.
스크린원단은 면, T/C(POLYESTER/COTTON) 및 합성섬유사로 평직된 것으로 이를 커튼의 일종인 블라인드나 롤스크린 및 버티컬 등으로 주로 사용하게 된다. 가공하지 않은 스크린원단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아무런 무늬나 색상이 없고 쉽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블라인드나 롤스크린 및 버터컬 등으로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을 거친 스크린원단을 사용하게 된다. 스크린원단의 후가공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표현하기 위한 염색이 있으며, 스크린원단이 평평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바람, 일광, 온도변화와 같은 외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빳빳한 질감 유지를 위한 코팅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공된 스크린원단 자체는 빛의 차단 효과가 크지 못해 암막 스크린으로서의 사용이 제한되어 왔고, 두꺼운 코팅층을 형성시키면 유연성이 나빠져 측면 컬링현상(curling)이 발생하고 표면에 바늘구멍(pin hole)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다양하고 수려한 색깔을 표현하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섬유에 폼을 이용한 다층의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빛의 차단율을 높이고, 스크린의 적절한 내구성 및 유연성을 유지하여 컬링현상을 방지하며, 수려한 색감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장식에도 공헌할 수 있는 암막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섬유재질의 모재; 상기 모재에 발포 폼 코팅층으로 형성되어 접착력을 부여하는 고분자 수지층;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접착되며, 블랙 안료가 조성되어 빛 차폐율을 높여주는 암막 중간층; 상기 암막 중간층에 접착되며, 고분자 수지층에 색상을 부여하는 안료 코팅층을 포함하는 암막 스크린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 우레탄 또는 EVA 등의 고분자 수지, 폼 안정제, 발포제, 경화제 등으로 조성시켜 셀을 형성시킨 후 직물 표면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서, 매우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통기성, 단열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암막 스크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암막 스크린은 스크린의 기본 구성을 이루는 모재(1), 모재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는 고분자 수지층(2), 암막 효과를 높이기 위한 암막 중간층(3), 외관의 디자인 구성을 위한 안료 코팅층(4)을 포함한다.
모재(1)는 통상의 섬유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은 암막 스크린의 내구성을 위해서 경사 140∼160데니아, 밀도 96∼98T/inch, 위사 150∼450데니아 및 밀도 44∼48T/inch의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고분자 수지층(2)은 모재의 일측 표면에 도포되어 섬유에 대한 접착력을 부여한다.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Epoxy 수지계, PP(polypropylen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E(polyphenylenether), PI(polyimide), PVC(polyvinyl chloride), 멜라민(Melamine) 수지계, 아크릴아미드(acryl amide) 수지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계 등이 있으나, 인체 유해성이 낮은 아크릴아미드 수지계 및 폴리우레탄 수지계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의 편리성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유리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고분자 수지층 이외에 수성 폴리우레탄 또는 EVA를 이용한 폼 코팅층을 형성하여 모재에 접착할 수도 있다. 폼 코팅층은 기계적, 화학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기포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폼 코팅은 매우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통기성, 단열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암막 스크린과는 다르게 모재의 어느 한 면에만 코팅을 적용하여 스크린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폼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수지의 고분자 반응 중 기포를 형성해 주는 발포제, 형성된 기포를 안정화시키고 기포의 크기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폼 안정제 및 형성된 기포를 경화시켜 그 형상을 유지시키는 경화제 등으로 조성시켜 셀을 형성한 후 모재의 표면에 접착된다.
경화제는 통상의 것을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3가 이상의 알콜유도체, 3가 이상의 아민유도체, 에틸아세테이트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틸아세테이트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경화제는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 당 1∼3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가 1중량부 미만이면 고분자 수지의 경화가 미흡할 우려가 있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리 반응기의 영향으로 물성 및 외관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고 점도상승으로 코팅작업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폼 코팅층을 이용함으로써 암막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가볍고 신축성이 뛰어나 컬링현상을 방지하는데 탁월하며, 단열효과가 뛰어나 암막 스크린에 요구되는 열차단 효과에 탁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폼 코팅층은 스크린 전체 구성에 대해 35∼45중량부로 구성되며, 수지분의 구성에 있어 폼의 발생을 억제하는 소포제, 억포제, 기타 계면활성제는 사용되지 않는다.
암막 중간층(3)은 빛의 차단율을 높여준다. 암막 중간층은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폼코팅 중간층으로 블랙 안료를 조성시켜 암막효과를 발생시킨다. 아크릴, 우레탄수지 또는 EVA를 이용한 암막 중간층은 고분자 수지의 가소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암막 스크린의 컬링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안료 코팅층(4)은 통상의 컬러 안료를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안전한 유기 및 무기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빛 차단 효과를 위해서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컬러 안료는 고분자 수지층에 색을 부여하여 빛 차폐율을 높이고, 안료의 물성에 따라 고분자 수지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 당 컬러 안료는 5∼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안료가 5중량부 미만이면 색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아 빛 차폐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물성의 악화 및 물리적 성질의 악화와 점도 상승에 의한 코팅작업 곤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컬러 안료는 산화티탄을 함유한 통상의 컬러 안료를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안전한 유기 및 무기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에 함유된 산화티탄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표면 칼라조색을 안정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암막 스크린에는 충진제, 난연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충진제는 통상 고분자 수지에 사용되는 충진제를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산화티탄(TiO2), 탄산칼슘(CaCO3), 실리카(SiO2)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제는 원료의 부형효과로 또는 부형제 효과로 원가절감의 효과를 주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며 빛 차폐효과가 나타나므로, 그 질량비가 낮으면 원가상승의 우려, 내구성 부족, 빛 차폐율 및 기타 물리적 성질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필요 이상으로 초과하면 물리적 성질의 저하, 촉감의 악화를 가져오고 코팅액의 점도상승으로 코팅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난연제는 통상의 난연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TBBA(Tetrabromerbiphenol A), DBDPO(Decabromodiphenyl oxide), 삼산화안티몬(Sb2O3), 모노암모늄포스페이트(Amonium phosphate),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Amonium polyphosphate), 클로로파라핀(Choloroparffin),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인산구아니딘(Guanindine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는 전체 구성에 대해서 25∼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가 25중량부 미만이면 방염효과가 낮아질 수 있고, 35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물성의 악화(deterioration) 및 경도 저하를 포함한 물리화학적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암막 스크린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섬유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 각 구성물의 공급단계, 아크릴, 수성 폴리우레탄 또는 EVA를 발포시키는 발포단계, 오버롤 또는 나이프코팅 방식에 의해 발포된 폼 코팅층을 섬유의 일면에 코팅하는 폼 코팅단계, 산화티탄이 함유된 컬러 안료를 폼 코팅층에 도포하는 안료 코팅층 형성단계, 건조장치를 통과시켜 상기 폼 코팅층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폼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재에 다층의 폼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빛의 투과를 99%이상 차단할 수 있으며, 스크린이 주름지거나 가장자리가 말리는 컬링현상이 방지되어 평활도가 유지될 수 있고, 모재에 다층으로 폼 코팅함으로써 수려한 색깔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실내 장식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암막 스크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막 스크린의 제조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모재 2 ; 고분자 수지층
3 ; 암막 중간층 4 ; 안료 코팅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아크릴, 수성 폴리우레탄 또는 EVA를 발포시키는 발포단계,
    오버롤 또는 나이프코팅 방식에 의해 발포된 폼 코팅층을 섬유의 일면에 코팅하는 폼 코팅단계,
    산화티탄이 함유된 컬러 안료를 폼 코팅층에 도포하는 안료 코팅층 형성단계,
    건조장치를 통과시켜 상기 폼 코팅층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폼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막 스크린의 제조방법.
KR1020080070325A 2008-07-18 2008-07-18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KR10102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325A KR101025303B1 (ko) 2008-07-18 2008-07-18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325A KR101025303B1 (ko) 2008-07-18 2008-07-18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25A KR20100009425A (ko) 2010-01-27
KR101025303B1 true KR101025303B1 (ko) 2011-03-29

Family

ID=4181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325A KR101025303B1 (ko) 2008-07-18 2008-07-18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554A (zh) * 2011-09-16 2012-04-11 东台市富安合成材料有限公司 基于水性聚氨酯的发泡合成革制造技术
WO2021241861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윈플러스 차광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광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095B1 (ko) 2018-08-06 2020-04-09 주식회사 나경 터치감이 우수한 롤스크린용 암막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7791B1 (ko) * 2018-10-09 2019-07-09 대한민국 암막 코팅 조성물
KR102187568B1 (ko) 2019-04-29 2020-12-07 주식회사 나경 롤 스크린용 암막 블라인드 직물의 제조방법
KR102233132B1 (ko) 2019-09-06 2021-03-29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롤 블라인드용 암막 직물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450A (ja) * 1993-07-29 1995-02-10 Achilles Corp 遮光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9451A (ja) * 1993-07-29 1995-02-10 Achilles Corp 遮光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24049A (ja) * 1993-11-04 1995-05-16 Achilles Corp 遮光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36846A (ja) * 1995-06-14 1996-12-24 Shinsei Kogyo Kk 保護ベルト付ダブルコンベ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450A (ja) * 1993-07-29 1995-02-10 Achilles Corp 遮光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9451A (ja) * 1993-07-29 1995-02-10 Achilles Corp 遮光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24049A (ja) * 1993-11-04 1995-05-16 Achilles Corp 遮光カーテ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36846A (ja) * 1995-06-14 1996-12-24 Shinsei Kogyo Kk 保護ベルト付ダブルコンベ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554A (zh) * 2011-09-16 2012-04-11 东台市富安合成材料有限公司 基于水性聚氨酯的发泡合成革制造技术
WO2021241861A1 (ko) * 2020-05-27 2021-12-02 주식회사 윈플러스 차광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광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25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303B1 (ko) 암막 스크린 제조방법
KR101513780B1 (ko) 보푸라기 방지용 원사 및 이를 이용한 우븐 바닥장식재
US4320163A (en) Three-dimensional ceiling board facing
JP5810155B2 (ja) 織物表面を有するpla床材
CN213092772U (zh) 遮光型广告喷绘布的涂层结构
WO2009152686A1 (zh) 百叶窗叶片及其制作方法
JP5062615B2 (ja) 遮熱性に優れた天然繊維調メッシュシート
JP6257902B2 (ja) 立体プリント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5001B1 (ko) 유/무기 복합코팅층을 갖는 코팅사를 이용한 투시성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선스크린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01311B1 (ko)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85478B1 (ko) 발포pvc코팅사, 발포pvc직물시트 및 이들을 포함하는 바닥재
JP2014040033A (ja) 不燃性膜材料
KR100736437B1 (ko) 섬유상에 다층의 고분자수지층으로 코팅된 세미 암막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CN203873518U (zh) 窗帘布
KR100753603B1 (ko) 섬유상에 다층의 고분자수지층으로 코팅된 암막 스크린 및그 제조 방법
US4433022A (en) Three-dimensional ceiling board facing
KR101876882B1 (ko) 블라인드용 암막직물의 제조방법
KR20180096972A (ko) 준불연 벽지
KR20090031479A (ko) 직물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9095B1 (ko) 터치감이 우수한 롤스크린용 암막직물의 제조방법
JP5711818B2 (ja) カーペット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2789732B1 (en) Resin-coated flame-retardant glass fiber bundle and resin-coated flame-retardant fiber woven fabric
JP3895298B2 (ja) 縦型ブラインド用ルーバ
KR101358598B1 (ko) 직물층 하측에 전사인쇄층을 구비한 직물장척 바닥장식재
KR101174593B1 (ko) 인쇄층을 형성한 어닝 직물 생산방법 및 그 어닝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