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503B1 -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503B1
KR101023503B1 KR1020097022487A KR20097022487A KR101023503B1 KR 101023503 B1 KR101023503 B1 KR 101023503B1 KR 1020097022487 A KR1020097022487 A KR 1020097022487A KR 20097022487 A KR20097022487 A KR 20097022487A KR 101023503 B1 KR101023503 B1 KR 10102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nent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741A (ko
Inventor
아키히로 아오키
고사부로 와카마츠
시게오 시노하라
오사무 다카스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유의 IGF―1의 분비 촉진 작용을 증강하는 것이 가능한, (A) 정유; (B)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살결의 각질층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경표피 수분 상실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외용 조성물, 정유, 퓨린 염기, IGF―1

Description

외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XTERNAL USE}
본 발명은 정유와 퓨린 염기 및/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가령(加齡), 일광(자외선) 폭로, 식습관, 스트레스 등의 영향을 받아서 여러 가지 노화 현상이 초래된다. 피부의 노화 현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검버섯, 주근깨, 기미 등의 색소 침착을 비롯하여 그을음, 건조, 주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것은 특히 여성에 있어서 건강상, 미용상의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정유는 식물에 포함되는 휘발성의 방향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로서 알려져 있다. 정유에는 향료로서의 사용 외에, 항균 및 항진균 작용, 치주병 예방 효과(특허 문헌 1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유를 피부에 적용했을 때의 효과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지금까지 피부의 노화를 개선하는 수단으로서, 아데닌 등을 함유하는 O/W형조성물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3 참조). 퓨린 염기는 세포 내 ATP레벨을 상 승시킴으로써 피부의 턴오버를 촉진하고, 검버섯, 기미 등의 색소 침착을 막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살결의 노화 방지에는 유연성, 탄력성, 보수력(保水力) 등이 관련된다. 이들은 노화, 스트레스 등에 덧붙여서 여러 가지 외적 요인에 의해 저하된다. 한편 유연성, 탄력성, 보수력의 유지 또는 향상에 기여하는 방어 요인으로서, IGF―1(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퓨린 염기에 있어서는, IGF―1의 분비 촉진 작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오늘날과 같이, 외용 조성물에 요구되는 생리 작용이 다양화ㆍ고도화되는 중에 있어서는, 더한층 피부에 대하여 다면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외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외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생기 있는 살결을 실현하는 것도 기대되고 있다. 피부는 표면에 있는 표피와, 심층에 있는 진피 및 피하 조직으로 이루어지고, 표피의 가장 외측에는 각질층이 존재한다. 표피 세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각질층은 외부 환경과 몸안을 분리하는 장벽이며, 이 각질층의 질이야말로 살결의 생기를 결정짓는 매우 큰 요인으로 되어 있다. 각질층에는 세포 간 지질, 천연 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등이 존재하여 피부 내부로부터의 수분 증산을 막을 뿐만 아니라, 각질층 자체가 적절한 수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피부 표면의 부드러움이나 매끄러움을 유지하고 있다. 이 중요한 각질층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질층의 수분 유지능을 나타내는 “각질층 수분량”이나 각질층 표면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량인 “경표피 수분 상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이 이용된다.
피부는 가령에 동반하여 표피의 위축, 각질층의 비후 및 각질층 아래에 존재하는 과립층의 소실 등의 특징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가령 피부에서는 젊은 피부에 비하여 각질층 수분량이 낮고, TEWL도 저하 경향에 있다. 이와 같은 가령 피부에서는 외기의 건조와 함께 피부 표면을 까칠까칠하게 하여 가는 균열이나 가려움을 동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스킨 크림에서는 각질층 표면을 보호함으로써 피부 증산량을 억제해서 일시적인 각질층 수분량의 증가는 기대할 수 있지만, 사용을 중지하면 그 효과는 즉시 상실되어 버렸다. 이것은 내측으로부터 각질층으로의 수분의 공급량, 즉 수분의 투과량이 낮은 것에 그 원인이 있다. 그 때문에 생기 있고, 건전한 살결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질층 기능을 정상화시킴으로써 각질층 수분량을 높이는 것과 함께, TEWL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여 TEWL과 각질층 수분량의 양쪽을 보호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3―25503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2―23483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2006―182746호 공보
본 발명은 IGF―1의 분비 촉진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는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피부의 각질층 수분량을 증가시키면서 경표피 수분 상실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외용 조성물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대회향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테레빈유, 생강유, 시나몬유, 또는 유제놀로부터 선택되는 정유에 IGF―1 분비 작용이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또한 그 지견을 토대로 정유와 퓨린 염기 및/ 또는 그 염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IGF―1 분비 촉진 작용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대회향, 구주소나무, 라반딘으로부터 얻어지는 정유와 조합한 경우에 현저한 IFG―1분비 촉진 작용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조성물은 피부의 각질층 수분량을 증가시키면서 경표피 수분 상실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한 결과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외용 조성물, 외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피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항 1. 이하의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A) 정유;
(B)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항 2. (A)성분이 대회향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정유인 항 1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3. (A)성분이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정유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4. (A)성분이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유인 항 1에서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5. (A)성분이 대회향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유인 항 1에서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6. (B)성분이 아데노신의 인산에스테르 또는 그 염인 항 1에서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7. (B)성분이 아데노신5’―1인산 또는 그 염인 항 1에서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8. (A)성분의 배합 비율이 0.00001∼40중량%인 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9. (B)성분의 배합 비율이 0.01∼20중량%인 항 1에서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10. (B)성분 1중량부에 대한 (A)성분의 배합 비율이 0.0000005∼1000중량부인 항 1에서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11. 피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 촉진용인 항 1에서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12. 피부에 있어서의 각질층 수분량 증가용인 항 1에서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13. 피부에 있어서의 경표피 수분 상실량(TEWL) 조절용인 항 1에서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14. 화장료 또는 의약부외품의 형태인 항 1에서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항 15. 하기 (A)성분 및 (B)성분
(A) 정유;
(B)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F―1 분비 촉진용 외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항 16. 피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하기 (A)성분 및 (B)성분의 사용:
(A) 정유;
(B)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항 17. 하기 (A)성분 및 (B)성분
(A) 정유;
(B)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 촉진 방법.
항 18. 하기 (A)성분 및 (B)성분
(A) 정유;
(B)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건피증의 예방/치료 방법.
항 19. 캡사이신류와,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항 20. 캡사이신류가, 캡사이신((6E)―N―[(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메틸]―8―메틸논―6―엔아미드)((6E)―N―[(4―Hydroxy―3―methoxyphenyl)methyl]―8―methylnon―6―enamide), 노닐산바닐릴아미드(N―Vanillylnonanamide) 및 디히드로캡시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19에 기재된 외용 조성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정유와 퓨린 염기 및/또는 그 염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정유가 갖는 IGF―1산생 촉진 작용을 상승적으로 증강하고, 피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를 현저히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색소 침착의 경감(멜라닌량 저하), 피부 명도 증가(그을음 방지), 턴오버 촉진 등의 효과와, 피부의 수분 유지, 유연성 증가 등의 효과를 겸비하고, 피부의 노화 방지 효과를 유효하고, 또한 다면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각질층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살결의 유연성 및 탄력성을 높이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경표피 수분 상실량(TEWL)을 적절히 유지하는 작용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령 피부의 경우, 가령에 의해 경표피 수분 상실량이 저하되면 살결이 건조하고, 가려움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노인성 건피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따르면, 각질층 수분량을 높이는 것과 함께, 저하된 TEWL을 높이고, 피부의 수분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살결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생기 있는 살결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을 노인성 건피증의 예방/치료용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표피 수분 상실량이 높은 것에도 불구하고 각질층 수분량이 저하되면 가려움, 습진, 여드름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따르면, 피부의 건조를 억제하는 것과 함께, 경표피 수분 상실량(TEWL)을 적절히 유지함으로써 가려움, 습진, 여드름 등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 에 따르면, 각질층 수분량과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밸런스를 적절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고, 피부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며, 나아가서는 생기 있는 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조절이란, 살결의 TEWL이 저하된 상태를 개선하고, 적당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유지하는 것으로 건강한 피부 상태로 이끄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는 피부 IGF―1량에 대한 정유(대회향유) 및 AMP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1b는 피부 IGF―1량에 대한 정유(구주소나무유) 및 AMP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1c는 피부 IGF―1량에 대한 정유(라반딘유) 및 AMP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피부 IGF―1량에 대한 증가 작용에 대한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및 AMP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시험예 4에 있어서의 각질층 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3b는 시험예 4에 있어서의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3c는 시험예 4에 있어서의 살결의 유연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3d는 시험예 4에 있어서의 피부의 탄력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3e는 시험예 4에 있어서의 피부의 매끄러움의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는 시험예 5에 있어서의 각질층 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4b는 시험예 5에 있어서의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도 4c는 시험예 5에 있어서의 시험액의 도포 유무에 의한 8주 후의 발뒤꿈치의 확대 사진이다.
도 5a는 시험예 6에 있어서의 각질층 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시험예 6에 있어서의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면 중, #은 P<0.05를 나타낸다).
1. 외용 조성물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하기 정유(이하 (A)성분으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및 퓨린 염기 및/또는 그 염(이하 (B)성분으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A) 정유
본 발명에 있어서 (A)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정유(에센셜ㆍ오일)란, 식물의 꽃, 잎, 과실, 뿌리, 나무 껍질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휘발성, 친유성(親油性)의 방향 물질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가리키고,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잎, 과실, 뿌리, 나무 껍질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휘발성, 친유성의 방향 물질을 함유하는 추출액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A)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정유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 타내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 식물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정유를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대회향(Illicium verum)유, 회향(Foeniculum vulgare)유, 아니스(Pimpinella anisum)유, 서양측백나무(Thuja occidentalis Linn.)유, 아틀라스시더우드(Cedrus atlantica Manetti)유, 라반딘(Labandula Hybrida)유, 라임(Citrus aurantifolia)유,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유,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유, 로즈메리(Rosmarinus officinalis L.)유, 생강(Zingiber officinale)유, 시나몬(Cinnamomum zeylanicum)유, 정향(Syzygium aromaticum)유, 테레빈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정유 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회향유, 회향유, 아니스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회향유, 회향유, 아니스유, 구주소나무유, 라반딘유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라반딘유이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는, 상기 정유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해도 좋다. 정유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그 조합의 형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2종 이상의 정유를 혼합해서 이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효과 및 향기성의 점에서 예를 들면 대회향유, 회향유, 아니스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회향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A)성분으로서, 이와 같은 정유의 혼합물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유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더한층 현저히 나타난다.
본 발명의 정유를 채취할 때에 사용되는 각종 식물 원료의 부위는 원하는 정유가 채취될 수 있는 부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부위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종 식물의 꽃, 줄기, 잎, 나뭇가지, 과실, 뿌리 등의 식물 부위 및 식물의 지상부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식물의 줄기, 잎, 나뭇가지, 과실, 뿌리 등의 식물 부위 및 식물의 지상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물의 각 부위를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회향유, 회향유 및 아니스유이면 과실(또는 건조 과실)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양측백나무유이면 지엽(枝葉)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틀라스시더우드유이면 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반딘유이면 풀포기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임유이면 과실ㆍ과피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하유이면 풀포기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주소나무유이면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즈메리유이면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레빈유이면 소나무과(Pinaceae)의 수목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정유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채취할 수 있고, 채취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증기 증류법, 유지 흡착법, 용제 추출법, 압 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정유 채취 방법은 사용되는 식물 원료의 종류나 추출 부위, 얻어지는 정유의 성질에 기초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간편하게는, 상품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각종 정유를 상업적으로 입수해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고시로 제약 주식회사, 시세이도 제약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코도 본점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A)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A)성분의 총량이 0.0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01∼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25중량%를 들 수 있다.
(B) 퓨린 염기 및 그 염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B)성분으로서는, 퓨린 염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퓨린 염기란, 퓨린 또는 퓨린핵을 골격으로 하는 각종 유도체(이하 퓨린 염기라 한다)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퓨린 염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아데닌, 구아닌, 히포크산틴, 크산틴, 아데노신, 구아노신, 이노신, 아데노신의 인산에스테르[아데노신2’―1인산, 아데노신3’―1인산, 아데노신5’―1인산(AMP), 사이클릭아데노신3’, 5’―1인산(cAMP), 아데노신5’―2인산(ADP), 아데노신5’―3인산(ATP)], 구아노신의 인산에스테르(구아노신3’―1인산, 구아노신5’―1인산, 구아노신5’―2인산, 구아노신5’―3인산), 아데닐로숙신산, 크산틴산, 이노신산,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FAD), 니코틴아미드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NAD)를 예시 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1인산(아데노신2’―1인산, 아데노신3’―1인산, AMP, cAMP)을 들 수 있다. 특히 AMP는 상기 (A)성분과 병용하는 것으로 IGF―1 분비 촉진 작용이 더한층 현저히 나타나서 각질층 수분량을 높이고, 또한 경표피 상실 수분량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것에서 본 발명의 (B)성분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하는 퓨린 염기의 염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퓨린 염기의 염의 일례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바륨염 등의 알칼리토류금속염; 아르기닌, 리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 암모늄, 트리시클로헥실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과의 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 아미노히드록시메틸프로판디올 등의 지방족 2가 알코올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B)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1인산 1나트륨, 아데노신 1인산 2나트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는 상기 (B)성분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해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해도 좋다.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그 조합의 형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한 (B)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B)성분의 총량이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 1∼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1∼10중량%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B)성분이 퓨린 염기의 염인 때에는 상기 배합 비율은 퓨린 염기의 중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상기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면 좋고, 그들의 조합의 형태에 대하여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 중의 가장 적합한 (A)성분: 정유와, (B)성분: 퓨린 염기 및/또는 그 염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A)성분: 대회향유, 회향유, 아니스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나무 껍질)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잎)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의 혼합물과 (B)성분: 아데노신인산에스테르 또는 그 염의 조합; (A)성분: 대회향유, 회향유, 아니스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부터 얻어지는 정유와 (B)성분: AMP 또는 그 염의 조합; (A)성분: 대회향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와 (B)성분: AMP 또는 그 염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A)성분과 (B)성분의 조합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가 더한층 현저히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 중의 (A)성분 및 (B)성분의 배합비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A)성분 및 (B)성분의 배합 비율, 해당 조성물의 형태, 기대되는 효과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배합되는 (B)성분 1중량부에 대하여 (A)성분의 총량이 0.0000005∼1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005 ∼1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01∼1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100중량부가 되는 범위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B)성분이 퓨린 염기의 염인 때에는 상기 배합 비율은 퓨린 염기의 중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C)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통상 약산성∼중성의 범위 내의 pH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지만,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 및 색소 침착 개선 효과의 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pH 5∼7,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5∼7이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의 pH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해당 피부 외용제에 pH조정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합되는 pH 조정제로서는, 약알칼리성∼알칼리성으로서, 약학적 또는 향장(香粧)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수산화나트륨, L―아르기닌,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서 통상 외용제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 또는 첨가제, 예를 들면 계면 활성제, 가용화(可溶化) 성분, 유지류, 다가 알코올, 증점제, 방부제, 살균제, 보습제, 착색제, 분산제, 산화 방지제, 금속 봉쇄제, 피부 수렴제, 미백제, 안료, 방취제 및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피부에 외용 형태로 적용되는 조성물로서 조제되는 한,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외용 조성 물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각 임의 성분이 배합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용매나 통상 사용되는 외용제의 기제 또는 담체를 배합함으로써 페이스트상, 무스상, 젤상, 액상, 유액상, 현탁액상, 크림상, 연고상, 시트상, 스틱상, 에어졸상, 스프레이상, 리니멘트제 등의 각종 원하는 형태의 외용제로서 조제할 수 있다. 이들은 당업계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의 용도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피부 외용 의약품; 피부 외용 의약부외품; 파운데이션, 볼연지, 립(lip), 마스카라,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백분, 햇빛에 타는 것의 방지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나 유액, 크림, 로션, 오일 및 팩 등의 기초 화장료 등의 화장료; 세안료, 클렌징, 보디 세정료 등의 세정료; 청식(淸拭)제; 청정제; 목욕 용제 등의 각종 외용제로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인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사용된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을 적용하는 양 및 횟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효 성분의 종류ㆍ농도, 사용자의 연령, 성별, 증상의 정도, 적용 형태, 기대되는 정도 등에 따라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의 빈도로 적당량을 전신의 피부(특히 색소 침착(검버섯) 부위; 주름이 걱정되는 부위; 피부의 건조가 걱정되는 부위(예를 들면 팔꿈치, 무릎, 발뒤꿈치 등); 가려움, 습진, 여드름이 걱정되는 부위 등)에 적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적용 부분은 한정되지 않고, 전신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이하에 기재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 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 촉진 작용을 갖고 있다. IGF―1(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은 인슐린과 배열이 고도로 유사한 폴리펩티드이다. IGF-1은 인슐린 유사 효과(혈당 강하 작용)에 추가하여 세포 성장 작용을 갖고, 세포 DNA합성을 조절한다. 따라서 피부에 있어서의 IGF-1의 분비가 촉진됨으로써 피부 세포의 성장이 촉진되고, 피부 상피층의 질환, 증상이 개선되어 피부의 건전한 상태의 유지가 도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IGF-1 분비 촉진용 외용 조성물 또는 IGF-1 산생 촉진용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IGF-1 분비 촉진의 기능에 기초하여 살결의 수분 유지, 유연성 증가, 색소 침착의 경감(멜라닌량 저하), 기미의 개선, 피부 명도 증가(그을음 방지), 턴오버 촉진 작용을 한층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보습용 조성물,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또는 미백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각질층의 수분량을 증가시켜서 각질층을 유연하게 하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피부에 있어서의 각질층 수분량 증가용의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각질층 수분량의 증가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SKICON-200(아이ㆍ비ㆍ에스 주식회사제) 등의 측정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기에 따르면, 전기 전도도(μS)를 지표로 하여 각질층 수분량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경표피 수분 상실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작용도 갖는 것이다. 경표피 수분 상실량이란, 피부 내부로부터 체외로의 수분의 이행량을 나타내고, 이것을 적당히 유지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억제하는 것과 함께, 가려움, 습진, 여드름 등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따르면, 각질층 수분량을 높이는 작용에 추가하여 경표피 상실 수분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작용을 갖는 것에서, 피부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생기 있는 살결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경표피 수분 상실량(TEWL)이 저하되어 있는 피부에 적용하면 TEWL을 증가시켜서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TEWL이 적당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유지하는 것으로 건강한 피부 상태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을 경표피 수분 상실량 증가용의 외용 조성물 또는 경표피 수분 상실량 조절용의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경표피 수분 상실량은 종래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DermaLab(Cortex Technology사제) 등의 측정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높은 각질층 수분량을 유지하면서 적당한 경표피 수분 상실량을 구비하게 하기 위한 외용 조성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이와 같은 기능에 기초하여 각질층의 기능 향상에 유용하고, 각질층을 건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은 각질층 수분량 및 경표피 수분 상실량이 저하된 가령 피부의 증상(구체적으로는, 피부 표면의 까칠까칠한 느낌, 가는 균열, 가려움 등)의 개선에 유용하며, 특히 수분 유지능이나 장벽 기능이 저하된 각질층에 기인하는 질환(예를 들면 노인성 건피증)의 예방/치료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성분 및 (B)성분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GF― 1 분비 촉진에 의한 피부의 수분 유지 기능의 개선 효과에 기초하여 노인성 건피증의 예방/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방법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적용량은 증상의 정도나 범위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B)성분으로서 1∼5000㎎/일이며, 1일에 2∼3회로 나누어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A)성분 및 (B)성분과,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IGF―1 분비 촉진 작용을 갖는 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성분의 구체예, 배합량 등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2. 다른 형태의 조성물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캡사이신류와 퓨린 염기 및/또는 그 염((B)성분)을 병용함으로써 IGF―1의 분비가 촉진되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B)성분과 캡사이신류를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도 제공한다. 다만 여기에서 기재하는 캡사이신류란, 정유의 특징인 향기나 휘발성을 갖지 않는 것에서, 정유에는 포함되지 않고, 구별되는 것이다.
캡사이신류는 고추의 매운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캡사이시노이드(바니릴아민에 지방산이 산 아미드 결합한 화합물의 총칭), 캡시노이드(바니릴알콜에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화합물의 총칭)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사이시노이드로서는, 캡사이신((6E)―N―[(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메틸]―8―메틸논―6―엔아미드)((6E)―N―[(4―Hydroxy―3―methoxyphenyl)methyl]―8―methylnon―6 ―enamide), 합성 캡사이시노이드인 노닐산바닐릴아미드(N―Vanillylnonanamide) 등을 들 수 있다. 캡시노이드로서는, 디히드로캡시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사이신, 합성 캡사이시노이드가 바람직하다. 캡사이신은 고추를 원료로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추출하여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보다 간편하게는, 도쿄 가세이 공업 주식회사 등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한 캡사이신류의 배합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0.00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001∼0.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001∼0.005중량%를 들 수 있다.
(B)성분으로서는, 상기의 퓨린 염기 및/또는 그 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B)성분과 캡사이신류의 배합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B)성분 1중량부에 대하여 캡사이신류가 0.00000005∼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00005∼0. 1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0001∼0. 1중량부가 되는 범위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B)성분이 퓨린 염기의 염인 때에는 상기 배합 비율은 퓨린 염기의 중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또한 (B)성분과 캡사이신류를 포함하는 경우의 외용 조성물에 대해서도 해당 조성물의 형태, 적용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1. 외용 조성물”의 란에 기재되는 바와 같다.
캡사이신류는 IGF-1 분비 촉진제로서 이미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은 캡사이신류 및 퓨린 염기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캡사이신류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 보다도 높은 IGF-1 분비 촉진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캡사이신류와 퓨린 염기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캡사이신류의 사용 농도의 저감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시험예 등을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있어서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한, %는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3, 비교예 1∼5
피부에 있어서의 IGF-1 분비량에 미치는 정유의 작용이 AMP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정유와 AMP를 함유하는 하기 조성물(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을 상법에 의해 조제했다. 각 조성물의 pH는 pH 6.5∼7.0이 되도록 NaOH로 조정했다.
무수에탄올 PEN
4630
AMP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잎유 라반딘유 인산 완충 용액
(pH 7.0)
NaOH
실시예 1 20% 대회향유+10% AMP 20 1 10 20 잔부 적량
실시예 2 20% 구주소나무잎유+10% AMP 20 1 10 20 잔부 적량
실시예 3 20% 라반딘유+10% AMP 20 1 10 20 잔부 적량
비교예 1 기제 20 1 잔부 적량
비교예 2 10% AMP 20 1 10 잔부 적량
비교예 3 20% 대회향유 20 1 20 잔부 적량
비교예 4 20% 구주소나무잎유 20 1 20 잔부 적량
비교예 5 20% 라반딘유 20 1 20 잔부 적량
PEN4630;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AMP; 아데노신5’-1인산
대회향유; 대회향 과실 유래 정유(주식회사 에이코도 본점제)
구주소나무잎유; 구주소나무잎 유래 정유(주식회사 에이코도 본점제)
라반딘유; 라반딘 풀포기 유래 정유(주식회사 에이코도 본점제)
인산 완충 용액; 인산 완충제 분말(1/15mol/1, pH 7.0; 와코 쥰야쿠 공업 주식회사제)을 사용
시험예 1: 정유와 AMP 의 조합에 의한 IGF ―1 분비 촉진 효과(1)
[시험 1―1]
무모 마우스(Hos: HR―1, 닛폰 에스엘시(주), 암컷, 6∼8주령)의 등부 피부(3㎝×5㎝)에 피검액을 400㎕도포했다. 도포 30분 후에 피부를 채취, 동결 파쇄한 후, 피부 중 IGF―1농도를 측정했다. IGF―1 농도의 측정에는 Quantikine(등록 상표) Mouse IGF―1 Immunoassay(R&D Systems, Inc.)를 사용했다.
시험군은 하기 표 2와 같이 하고, 피검액에는 표 1에 나타내는 조성물을 이용했다. 결과를 도 1a에 나타낸다(평균값±표준 오차).
시험군 시험예 수(마리)
무투여 6
비교예 2(10% AMP) 6
비교예 3(20% 대회향유) 6
실시예 1(20% 대회향유+10% AMP) 6
[시험 1―2]
시험 1―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분비된 IGF―1 농도를 측정했다. 시험군은 하기 표 3과 같이 하고, 피검액에는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조성물을 이용했다. 결과를 도 1b에 나타낸다(평균값±표준 오차).
시험군 시험예 수(마리)
비교예 1(기제) 6
비교예 2(10% AMP) 6
비교예 4(20% 구주소나무잎유) 6
실시예 2(20% 구주소나무잎유+10% AMP) 6
[시험 1―3]
시험 1―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분비된 IGF―1 농도를 측정했다. 시험군은 하기 표 4와 같이 하고, 피검액에는 표 1에 나타내는 조성물을 이용했다. 결과를 도 1c에 나타낸다(평균값±표준오차).
시험군 시험예 수(마리)
비교예 1(기제) 6
비교예 2(10% AMP) 6
비교예 5(20% 라반딘유) 6
실시예 3(20% 라반딘유+10% AMP) 6
도 1a(대회향유+AMP)의 결과로부터 대회향유 자체도 피부에서의 IGF―1 분비 촉진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이 나타내어졌지만, 단독으로는 IGF―1 분비 촉진 작용이 없는 AMP와 병용함으로써 그 효과가 유의하게 증강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P=0.0002, 1―Way ANOVA).
도 1b(구주소나무유+AMP)의 결과로부터 AMP 단독 및 구주소나무잎유 단독으로는 IGF―1 분비의 촉진은 보이지 않았지만, AMP와 구주소나무유를 병용함으로써 IGF―1 분비가 현저히 촉진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P=0.0175, 1―Way ANOVA).
도 1c(라반딘유+AMP)의 결과로부터 라반딘유와 AMP를 병용함으로써 IGF―1의 분비가 현저히 증강되는 경향이 나타내어졌다.
이상으로부터 AMP 단독으로는 충분한 IGF―1 분비 촉진 효과가 얻어지지 않지만, 실시예 1, 2 및 3, 특히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현저한 IGF―1의 분비 촉진 작용을 이루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대회향유는 주요한 성분으로서 아네톨(anethole)을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네톨은 회향유, 아니스유 등에도 함유되는 것에서, 회향유 및 아니스유와 AMP를 조합한 경우에도 대회향유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IGF―1의 분비 촉진 효과가 기대된다.
시험예 2: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AMP 의 조합에 의한 IGF ―1 분비 촉진 효과
상기 표 1에 나타내어지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정유 대신에 노닐산바닐릴아미드((도쿄 가세이 공업 주식회사제); 농도 0.001%)를 이용하고,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피검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참고예 1로 했다. 또한 참고예 1에 있어서 노닐산바닐릴아미드를 함유하지 않는 피검액(비교예 6), 참고예 1에 있어서 AMP를 함유하지 않는 피검액(비교예 7)을 각각 대조로서 이용했다.
무모 마우스(Hos: HR―1, 닛폰 에스엘시(주), 암컷, 6∼8주령)의 등부 피부(3㎝×5㎝)에 피검액을 400㎕도포했다. 도포 60분 후에 피부를 채취, 동결 파쇄한 후, 피부 중 IGF―1 농도를 측정했다. IGF―1 농도의 측정에는 Quantikine(등록 상표) Mouse IGF―1 Immunoassay(R&D Systems, Inc.)를 사용했다. 시험군은 하기 표 5와 같이 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IGF―1농도의 값은 평균값을 나타낸다(n=3).
시험군 시험예 수(마리)
비교예 1(기제) 3
비교예 6(1% AMP) 3
비교예 7(0.001% 노닐산바닐릴아미드) 3
참고예 1(0.001% 노닐산바닐릴아미드+1% AMP) 3
도 2로부터 노닐산바닐릴아미드와 AMP를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에도 IGF―1의 분비 촉진 효과가 확인되었다.
시험예 3: 정유와 AMP 의 조합에 의한 IGF ―1 분비 촉진 효과(2)
무모 마우스(Hos: HR―1, 닛폰 에스엘시(주), 암컷, 7주령)의 등부 피부(3㎝×5㎝)에 피검액을 300㎕ 도포했다. 도포 30분 후에 피부를 채취, 동결 파쇄한 후, 피부 중 IGF―1 농도를 측정했다. IGF―1 농도의 측정에는 Quantikine(등록 상표) Mouse IGF―1 Immunoassay(R&D Systems, Inc.)를 사용했다.
시험은 도포, 무도포의 2군 간 비교로 했다. 피검액에는 시험예 1에 있어서 IGF―1 분비 촉진 효과가 확인된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라반딘유 외에, 제제로서 바람직한 향기성을 갖도록 그 밖의 정유(아틀라스시더우드유, 서양측백나무유, 라임유, 박하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를 조합한 정유 혼합물 0.03%와 AMP를 1%, 또한 적당한 일반 기재를 추가한 밀크 제제를 이용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평균값±표준 오차).
IGF―1량(ng/g 조직)
무도포(n=6) 72.3 ± 2.3
피검액(n=6) 85.1± 2.9
표 6으로부터 정유 혼합물과 AMP를 조합한 제제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유의한 IFG―1의 분비 촉진 효과가 확인되었다(P<0.05).
또한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라반딘유와 상기의 정유의 합계 9종을 혼합한 경우, 향기성의 면에서 특히 우수해 있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시험예 4: 각질층 수분량 및 경표피 수분 상실량으로의 영향(1)
본 시험예는 건강한 남성 9명, 연령 30∼55세(평균 45세)을 피험자로 하여 실시되었다. 피험자의 좌우의 대퇴부 정면에 설치한 5×8㎝의 영역을 시험 부위로 했다. 좌우 한쪽의 시험 부위에 시험액을 도포하고, 다른 쪽의 시험 부위는 무도포로 했다. 도포량은 1회에 대하여 약 0.1g(사용한 용기의 2 방울분)을 1일 2회(오전ㆍ오후)로 하고, 도포 시간대는 오전 도포를 6:00에서 12:00까지의 사이, 오후 도포를 18:00에서 24:00까지의 입욕 후로 했다. 시험액으로서, 하기 표 7에 나타내어지는 조성의 스킨 밀크를 이용했다.
성분명 배합량(중량%)
1 아데노신 1인산 1.0
2 모노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2.0
3 모노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릴 0.5
4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0
5 유동 파라핀 4.0
6 아세트산 d1―α―토코페롤 0.1
7 농(濃)글리세린 3.0
8 디프로필렌글리콜 3.0
9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 0.4
10 정유 혼합물*1 0.05
11 방부제 적량
12 pH 조정제 적량
13 정제수 잔여
*1) 정유 혼합물; 대회향, 서양측백나무, 아틀라스시더우드, 라반딘, 라임, 박하, 구주소나무, 로즈메리 및 테레빈으로부터 얻어지는 정유의 혼합물
피험자는 측정 전에 지정된 비누(가오 화이트; 가오 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측정 부위(대퇴부)를 세정한 후, 측정 부위를 유성 펜으로 표시하고, 온도 20℃, 상대 습도 50% RH로 컨트롤한 방에서 베드 상에 위를 향한 상태로 20분간 안정되게 했다. 그 후 각질층 수분량, 경표피 수분 상실량을 측정했다. 이 때 무도포 부분을 대조로 했다. 측정은 도포 개시 전, 도포 4주 후 및 8주 후에 실시했다. 결과를 도 3a 및 3b에 나타낸다.
각질층 수분량의 측정,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측정 및 데이터 해석은 하기의 방법에 따랐다.
<각질층 수분량>
SKICON―200(아이ㆍ비ㆍ에스 주식회사)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μS)를 측정해서 각질층 수분량의 지표로 했다. 측정은 7회 실시하고, 중앙의 5개 데이터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경표피 수분 상실량(TEWL)>
DermaLab(Cortex Technology)을 이용하여 경표피 수분 상실량(g/hㆍ㎡)을 측정한다. 측정은 5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데이터 해석>
유의차 검정으로서, 무도포군에 대한 도포군의 차이에 대하여 각 측정일(도포 4주 후, 도포 8주후)에서의 비교로서 대응이 있는 t검정을 이용했다. 도면 중, #은 P<0.05에서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3a에 나타내어지는 결과로부터 시험액의 도포 4주일 및 8주일에 있어서, 각질층 수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도 3b로부터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의 도포 8주 후에 있어서 무도포에 비하여 유의한 TEWL의 상승이 나타내어졌다.
즉 시험액을 도포한 경우에는 높은 각질층 수분량을 유지하면서 경표피 수분 상실량도 동시에 높은 값으로 유지할 수 있고, 피부가 건전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본 시험예 4에 있어서, 그 효과를 일반적인 피부 효능의 지표인 유연성과 탄력성의 면에서 평가한 결과를 도 3c, 도 3d에 나타낸다.
유연성, 탄력성의 측정 및 데이터 해석은 하기의 방법에 따랐다.
<유연성ㆍ탄력성>
유연성 및 탄력성은 Cutometer MPA580(CK electronic GmbH)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은 기기에 부속된 설명서에 기재되는 표준적인 방법으로 실시했다. 측정은 5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했다.
<데이터 해석>
유의차 검정으로서, 무도포군에 대한 도포군의 차이에 대하여 각 측정일(도포 4주 후, 도포 8주 후)에서의 비교로서 대응이 있는 t검정을 이용했다. 도면 중, #은 P<0.05에서 유의차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도 3c에 나타내어지는 결과로부터 시험액의 도포에 의해 살결의 유연성의 저하가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도 3d로부터 살결의 탄력성의 상승이 인정되었다.
또한 시험액의 도포에 의한 피부 표면의 감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도포 전후에 있어서의 피부 검체 샘플의 화상 촬영을 실시했다.
<피부 표면 감촉의 평가>
피부 표면 감촉의 평가는 피부 검체 샘플을 제작하여 실시했다. 피부 검체 샘플은 반사용 레플리카 해석 시스템 ASA―03R(아사히 바이오메드)을 이용하고, 부속된 설명서에 기재되는 방법으로 피부 표면 형태의 레플리카를 작성하고, 화상 촬영하여 평가했다.
도 3e에 나타내어지는 결과로부터 시험액의 8주일 도포에 의해 명백하게 피부 감촉이 고와져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4의 결과로부터 상기 9종류의 정유의 혼합물과 AMP를 조합하여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수분량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유연성이나 탄력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감촉이 고와져서 생기 있고 건전한 살결이 얻어졌다.
시험예 5: 각질층 수분량 및 경표피 수분 상실량으로의 영향(2)
이들의 효과가 전신에서 나타내어지는 것을 확인할 목적으로 하기 시험을 실시했다. 본 시험예는 건강한 남성 7명, 연령 39∼57세(평균 49.0세)를 피험자로 하여 실시되었다. 피험자의 좌우 한쪽의 발뒤꿈치부에 4×4㎝의 영역을 설치하고, 이것을 시험 부위로 했다. 좌우 한쪽의 시험 부위에 시험액(AMP 0.5%와 정유 혼합물 0.03%를 포함하는 크림 제제)을 도포하고, 다른 쪽의 시험 부위는 무도포로 했다. 도포량은 1회에 대하여 약 0.2g을 1일 2회(오전ㆍ오후)로 하고, 도포 시간대는 오전 도포를 6:00에서 12:00까지의 사이, 오후 도포를 18:00에서 24:00까지의 입욕 후로 했다.
그 후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험자의 각질층 수분량,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측정 및 사진 촬영을 실시했다. 측정은 도포 개시 전, 도포 4주 후 및 8주 후에 실시했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로부터 시험액 도포에 의해 무도포와 비교하여 명백한 각질층 수분량의 증가와 TEWL의 유의한 상승이 인정되었다.
또한 시험액 도포에 의한 피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목적으로 시험 개시로부터 8주일 후의 평가 부위를 촬영하고, 확대한 것을 화상화했다. 그 화상을 도 4c에 나타낸다.
도 4c의 결과로부터 시험액의 도포에 의해 피부 표면의 상태가 개선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다.
본 시험예로부터 일반적으로 체표 중에서도 특히 건조하기 쉽고, 균열 등을 발생시키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는 발뒤꿈치 부분에 있어서, 각질층 수분량의 증가 및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상승이 확인되어 피부 표면 형상체의 명백한 개선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6: 각질층 수분량 및 경표피 수분 상실량으로의 영향(3)
본 시험예는 건강한 남성 5명, 연령 47∼57세(평균 53. 2세)를 피험자로 하여 실시되었다. 피험자의 좌우의 전완 내측부에 4×4㎝의 영역을 각각 2군데씩(팔꿈치측과 손목측) 설치하고, 이것을 시험 부위로 했다. 좌우 한쪽의 팔꿈치측 도포 부위에 시험액(상기 시험예 3에서 이용한 스킨 밀크)을 도포, 다른 쪽의 팔꿈치측 도포부에 아데노신 1인산 및 정유를 함유하지 않는 시판의 일반적인 스킨 밀크(일반 제제)를 도포했다. 도포 횟수는 1일 2회(오전ㆍ오후)로 하고, 도포 시간대는 오전 도포를 6:00에서 12:00까지의 사이, 오후 도포를 18:00에서 24:00까지의 입욕 후로 했다. 도포량은 1회에 대하여 약 0.05g(사용한 용기의 1방울분)으로 했다.
피험자는 측정 전에 지정된 비누(가오 화이트; 가오 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측정 부위(전완 내측부)를 세정한 후, 측정 부위를 유성 펜으로 표시하고, 온도 20℃, 상대 습도 50% RH로 컨트롤한 방에서 베드 상에 위를 향한 상태로 20분간 안정되게 했다. 그 후 각질층 수분량, 경표피 수분 상실량(TEWL)을 측정했다. 측정은 도포 개시 전 및 도포 4주에 실시했다.
각질층 수분량의 측정,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측정 및 데이터 해석은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에 따랐다. 결과를 도 5a 및 5b에 나타낸다.
도 5a 및 5b로부터 각질층 수분량의 변화에 관해서는, 시험액과 일반 제제 중 어느 하나를 도포한 경우에도 각질층 수분량이 증가했다. 한편 시험액 도포에서는 4주 후, 일반 제제 도포에 비하여 유의한 TEWL의 상승이 보였다.
즉 시험액을 도포한 경우에는 높은 각질층 수분량과 경표 수분 상실량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고, 피부를 생기 있고, 건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스킨 밀크를 도포한 경우에는 각질층 수분량을 높게 유지하는 데 머물러서 경표피 수분 상실량을 향상시킬 수는 없었다.
또한 시험액(스킨 로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하고, 일반 제제(스킨 로션)와 비교한 바, 어느 쪽의 경우에도 각질층 수분량이 상승하고 있었지만, TEWL에 대해서는 시험액(스킨 로션)을 이용한 경우에 상승하는 경향이 보였다. 시험액으로서 이용한 스킨 로션의 조성은 이하와 같다.
성분명 배합량(중량%)
1 아데노신 1인산 1.0
2 1, 3―부틸렌글리콜 2.0
3 농글리세린 2.0
4 모노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 0.) 1.0
5 에탄올 5.0
6 정유 혼합물*1 0.05
7 방부제 적량
8 pH 조정제 적량
9 정제수 잔여
*1 정유 혼합물로서는, 표 7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처방예>
이하에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의 처방예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션, 유액 및 미용액은 각 처방예에 나타내어지는 조성에 기초하여 상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처방예의 합계량을 100중량%로서 기재한다.
로션
성분명 배합량(중량%)
1 아데노신5’―1인산2나트륨 2.0
2 1, 3―부틸렌글리콜 2.0
3 농글리세린 2.0
4 모노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5 에탄올 5.0
6 대회향유 0.02
7 방부제 적량
8 pH 조정제 적량
9 정제수 잔여
유액
성분명 배합량(중량%)
1 아데노신―3’, 5’―환상 인산 0.5
2 모노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 2.0
3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1.0
4 스테아린산 3.0
5 베헤닐알콜 2.0
6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5.0
7 스쿠알렌 2.0
8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
9 아세트산 d1―α―토코페롤 0.1
10 농글리세린 2.0
11 1, 3―부틸렌글리콜 3.0
12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공중합체 0.1
13 정유 혼합물*1 0.1
14 방부제 적량
15 pH 조정제 적량
16 정제수 잔여
*1 정유 혼합물로서는, 표 7과 같은 것을 사용했다.
미용액
성분명 배합량(중량%)
1 아데노신 3인산 2나트륨 1.0
2 디프로필렌글리콜 3.0
3 농글리세린 2.0
4 히알루론산나트륨 0.1
5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공중합체 0.5
6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0.2
7 에탄올 3.0
8 라반딘유 0.05
9 방부제 적량
10 pH 조정제 적량
11 정제수 잔여

Claims (14)

  1. 이하의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고, 화장료인 피부 외용 조성물:
    (A)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정유;
    (B) 아데노신 1인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2. 제1항에 있어서,
    (A)성분이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유인
    피부 외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성분이 대회향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유인
    피부 외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성분이 아데노신5’―1인산 또는 그 염인
    피부 외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성분의 배합 비율이 0.01∼20중량%인
    피부 외용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성분 1중량부에 대한 (A)성분의 배합 비율이 0.0000005∼1000중량부인
    피부 외용 조성물.
  7. 하기 (A)성분 및 (B)성분
    (A)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정유;
    (B) 아데노신 1인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인 피부 외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이하의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고, 피부 노화 방지용, 보습용, 색소 침착 개선용, 또는 미백용의 용도로 사용되는 의약부외품 또는 의약품인 피부 외용 조성물:
    (A)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정유;
    (B) 아데노신 1인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9. 제8항에 있어서,
    (A)성분이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유인
    피부 외용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A)성분이 대회향유, 서양측백나무유, 아틀라스시더우드유, 라반딘유, 라임유, 박하유, 구주소나무유, 로즈메리유 및 테레빈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유인
    피부 외용 조성물.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B)성분이 아데노신5’-1인산 또는 그 염인
    피부 외용 조성물.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B)성분의 배합 비율이 0.01~20중량%인
    피부 외용 조성물.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B)성분 1중량부에 대한 (A)성분의 배합 비율이 0.0000005~1000중량부인
    피부 외용 조성물.
  14. 하기 (A)성분 및 (B)성분
    (A) 대회향유, 구주소나무유 및 라반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정유;
    (B) 아데노신 1인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보습용, 색소 침착 개선용, 또는 미백용의 용도로 사용되는 의약부외품 또는 의약품인 피부 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7022487A 2008-06-09 2009-04-22 외용 조성물 KR101023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0847 2008-06-09
JPJP-P-2008-150847 2008-06-09
JPJP-P-2008-222246 2008-08-29
JP2008222246 2008-08-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200A Division KR101746743B1 (ko) 2008-06-09 2009-04-22 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741A KR20100029741A (ko) 2010-03-17
KR101023503B1 true KR101023503B1 (ko) 2011-03-21

Family

ID=414166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487A KR101023503B1 (ko) 2008-06-09 2009-04-22 외용 조성물
KR1020177003652A KR101850405B1 (ko) 2008-06-09 2009-04-22 외용 조성물
KR1020097026200A KR101746743B1 (ko) 2008-06-09 2009-04-22 외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652A KR101850405B1 (ko) 2008-06-09 2009-04-22 외용 조성물
KR1020097026200A KR101746743B1 (ko) 2008-06-09 2009-04-22 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66983B2 (ko)
EP (2) EP2298275B1 (ko)
JP (2) JP4403467B1 (ko)
KR (3) KR101023503B1 (ko)
CN (2) CN101854911B (ko)
CA (1) CA2727272A1 (ko)
ES (2) ES2959848T3 (ko)
HK (1) HK1179514A1 (ko)
TW (2) TWI507212B (ko)
WO (1) WO20091509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75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하이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0426B1 (fr) * 2010-05-27 2013-02-15 Oreal Utilisation de la guanosine pour maintenir et/ou restaurer les proprietes biomecaniques de la peau
JP2012188399A (ja) * 2011-03-11 2012-10-04 Kao Corp 皮膚保湿剤
FR2974511B1 (fr) * 2011-04-28 2013-08-02 Rocher Yves Biolog Vegetal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huile essentielle de lavande et leur utilisation
KR102212633B1 (ko) * 2013-11-29 2021-02-08 (주)아모레퍼시픽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6531906B2 (ja) * 2015-07-08 2019-06-19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皮膚状態の評価方法
KR20180030850A (ko) * 2015-08-04 2018-03-2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지방 줄기 세포 유인제를 포함하는, 진피 공동화에 의한 피부의 처짐 또는 노화 개선제
MX2019013633A (es) * 2017-05-17 2020-01-21 Natura Cosméticos SA Composicion cosmetica de textura oleosa, uso y metodo para prevencion y/o tratamiento de las señales de envejecimiento externo y del estrés cutaneo.
US20200188291A1 (en) * 2017-05-17 2020-06-18 Natura Cosméticos S.A. Liposoluble anti-pollution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product, us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signs of extrinsic aging
CN108014034B (zh) * 2018-01-11 2020-11-20 广东博然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以天然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GB2577748A (en) * 2018-10-05 2020-04-08 This Works Products Ltd Fragrance compositions
CN115778867A (zh) * 2022-12-29 2023-03-14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一种复配保湿剂、带有该复配保湿剂的超分子脂质体保湿乳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22A (ko) * 2001-09-18 2003-03-26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피부 탄력 개선제로서 사이클릭아데노신-3',5'-일인산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5031A (ja) 1990-03-02 1991-11-13 Taiyo Koryo Kk 歯周病予防組成物
DE19815090A1 (de) * 1998-04-06 1999-10-14 Henkel Kgaa Kosmetische Mittel
DE19815086C2 (de) * 1998-04-06 2000-11-30 Cognis Deutschland Gmbh Sonnenschutzmittel
KR20010080324A (ko) * 1998-10-26 2001-08-22 조셉 에프. 엑스. 맥과이얼 아데노신 또는 아데노신 유사체를 사용한 피부 치료방법
JP2001288046A (ja) * 2000-03-31 2001-10-16 Shiseido Co Ltd 頭皮頭髪用組成物
DE20022691U1 (de) * 2000-07-29 2002-02-28 Dibropharm Gmbh Distrib & Co K Hautpflegemittel
JP3994257B2 (ja) 2000-11-22 2007-10-17 大塚製薬株式会社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BR0115582A (pt) * 2000-11-22 2004-01-06 Otsuka Pharma Co Ltd Composição de emulsão de o/a e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a mesma
CA2442809C (en) 2001-04-13 2011-02-01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romoter for saccharide uptake
JP2003081840A (ja) * 2001-07-04 2003-03-19 Rohto Pharmaceut Co Ltd 清涼化方法、清涼化剤および外用組成物
CN1429540A (zh) * 2001-12-31 2003-07-16 高希尔 含动物核酸irna活性成分的化妆品及其制造方法
AU2003220857B2 (en) * 2002-04-09 2009-01-29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for cell proliferation
JP4129574B2 (ja) * 2002-08-06 2008-08-06 大塚製薬株式会社 老化防止剤
JP2004238386A (ja) * 2002-12-11 2004-08-26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医薬品、医薬部外品および化粧品
CN1244349C (zh) * 2003-01-15 2006-03-08 邬纯忠 一种治秃生发外用制剂的制备方法
US20040161435A1 (en) 2003-02-14 2004-08-19 Gupta Shyam K. Skin Firming Anti-Aging Cosmetic Mask Compositions
ATE515252T1 (de) * 2003-03-03 2011-07-15 Takasago Perfumery Co Ltd Pseudokörpergeruchszusammensetzung
WO2004089357A2 (en) * 2003-04-02 2004-10-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nti-fungal formulation of triterpene and essential oil
JP2004323401A (ja) 2003-04-23 2004-11-18 Mikimot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TW200514575A (en) 2003-10-08 2005-05-01 Otsuka Pharma Co Ltd Promoting composition for collagen producing
US20070219158A1 (en) * 2004-03-25 2007-09-20 Hirobumi Aoki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Cosmetic Containing Inositol Derivative
JP2006151971A (ja) 2004-11-05 2006-06-15 Maruishi Pharmaceutical Co Ltd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分泌促進剤
KR20060040550A (ko) * 2004-11-05 2006-05-10 마루이시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 분비촉진제
JP4925579B2 (ja) 2004-12-28 2012-04-25 大塚製薬株式会社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からなる固形組成物
US9399030B2 (en) * 2005-02-01 2016-07-26 Ajinomoto Co., Inc. Topically applied circulation enhancing agent and skin and hair cosmetic and bath agent containing the same
JP2006225271A (ja) 2005-02-15 2006-08-31 Otsuka Pharmaceut Co Ltd シワの予防又は改善剤
US7776915B2 (en) * 2005-03-24 2010-08-17 Tracie Martyn International, Llc Topica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WO2007074602A1 (ja) * 2005-12-26 2007-07-05 Lion Corporation 頭皮毛髪化粧料
DE102006050984A1 (de) * 2006-10-26 2008-04-30 Henkel Kgaa Leistungsgesteigerte kosmetische Mittel mit Purin und/oder Purinderiva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22A (ko) * 2001-09-18 2003-03-26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피부 탄력 개선제로서 사이클릭아데노신-3',5'-일인산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75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하이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102097302B1 (ko) 2018-04-30 2020-04-06 주식회사 하이솔 식물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성장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85708B (zh) 2015-03-18
ES2671040T3 (es) 2018-06-04
EP2298275B1 (en) 2018-04-11
EP3335693B1 (en) 2023-09-13
TWI507212B (zh) 2015-11-11
JP4403467B1 (ja) 2010-01-27
WO2009150902A1 (ja) 2009-12-17
EP2298275A1 (en) 2011-03-23
KR101850405B1 (ko) 2018-04-19
KR20170019477A (ko) 2017-02-21
EP2298275A4 (en) 2013-12-18
TW201417837A (zh) 2014-05-16
ES2959848T3 (es) 2024-02-28
CA2727272A1 (en) 2009-12-17
US10966983B2 (en) 2021-04-06
CN101854911B (zh) 2012-11-28
US20110081429A1 (en) 2011-04-07
HK1179514A1 (en) 2013-10-04
TW200950815A (en) 2009-12-16
CN102885708A (zh) 2013-01-23
CN101854911A (zh) 2010-10-06
EP3335693A1 (en) 2018-06-20
KR101746743B1 (ko) 2017-06-13
JPWO2009150902A1 (ja) 2011-11-10
JP2010077130A (ja) 2010-04-08
JP5946234B2 (ja) 2016-07-05
TWI424855B (zh) 2014-02-01
KR20100029741A (ko) 2010-03-17
KR20110005628A (ko)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503B1 (ko) 외용 조성물
JP2014028814A (ja) Ageの脱糖化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JP2011529872A (ja) コラーゲンの産生促進用組成物
KR20080031156A (ko) 헤어 토닉
JP2012020950A (ja) エンドセリン作用抑制剤及び美白剤
JP2021187787A (ja) 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剤、エクソソーム取り込み促進剤、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用美容組成物、及び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方法
WO2016197144A1 (en) Cordyceps containing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
RU2299726C2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противоинфекционная губная помада
JPS6233111A (ja) 養毛組成物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1A (ko) ligustroflavone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338514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старения кожи
US20210177727A1 (en) Extracts of plants containing polygodi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extracts and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uses thereof
EP3970691A1 (fr) Compositions cosmétiques amincissantes contenant un ou plusieurs limonoïdes
JP2002037715A (ja) 育毛剤
KR20050037107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275044A (ja) 皮膚化粧料
KR20200080498A (ko) 린데네놀과 숙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180108252A (ko)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237630A (ja) エンドセリン作用抑制剤
JP2001213751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