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252A -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252A
KR20180108252A KR1020170037771A KR20170037771A KR20180108252A KR 20180108252 A KR20180108252 A KR 20180108252A KR 1020170037771 A KR1020170037771 A KR 1020170037771A KR 20170037771 A KR20170037771 A KR 20170037771A KR 20180108252 A KR20180108252 A KR 2018010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김도형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3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8252A/ko
Publication of KR2018010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줄기세포 증식 또는 활성 촉진 또는 피부침착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ntaining myricitrin}
본 발명은 미리시트린(Myricitrin)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개선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재생은 손상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며 조직회복의 과정으로, 주화성(chemotaxis), 세포의 분화 및 복제(differentiation and replication), 기질 단백질(matrix protein)의 합성, 혈관의 신생 및 창상의 재구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Steed, D.L. et al., Clin. Plast. Surg., 25:397(1998)).
피부재생과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줄기세포는 모낭(hair follicle)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세포의 일부는 모발과 표피의 재생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표피의 기저층(the basal cell layer of epidermis)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줄기세포는 표피와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여 피부재생과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uchis. Cell Stem Cell. 4(6):499, 2009).
최근, 이러한 줄기세포를 피부재생에 이용하기 위하여, 피부세포나 다양한 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수거된 배양액이나 배양액의 분리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Sauirkaya 외 3인, Turk J Vet Anim Sci 8:779, 2004), 실제로도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하거나 배양액 유래 성분을 활용한 안티에이징(anti-aging)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중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줄기세포 배지에는 화장품 원료로 허용되지 않는 염화콜린(Choline chloride), 히포크산틴 나트륨염(Hypoxanthine-sodium salt), 티미딘(Thymidine), 푸트레신 중염산염(Putrescine dihydrochloride), 질산 제2철(Ferric nitrate), L-글루타민(L-glutamin)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화장품의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 줄기세포 배양액의 유효 성분들을 조합한 줄기세포 활성화 제품의 경우, 실제 배양액과 유사성이 부재하여 그로 인한 불충분 효과와, 여러 성분들을 사용하게 되면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여전히 피부 줄기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으면서도 단일소재로 제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피부는 피부 상층부터 표피, 진피, 피하 지방 층의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이중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세분되며, 기저층의 표피 세포는 피부 상부로 올라오면서 분화되어, 최종적으로 각질층에 도달하게 된다. 각질층에 도달한 표피 세포는 핵이 소실되고, 케라틴(keratin)이라고 하는 불수용성 단백질로 채워지면서 죽은 세포로 전환된다. 각질층은 분화된 표피 세포(각질세포)와 이들 사이를 채워주는 피부 지질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체내 물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 기능을 한다. 각질 세포는 데스모좀(desmosome)이라 하는 단백질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각질층 상부로 올라갈수록 데스모좀은 분해되어 각질 세포간 응집력이 약화되어, 결국 피부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간다. 정상 피부의 경우 각질층은 15 내지 20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완전히 분리되는 턴오버(Turn-over) 기간은 정상적인 피부인 경우 대략 4주일이 걸린다. 그러나 노화피부, 건조피부, 여드름 피부 등은 각질층의 분리가 정상보다 늦어져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가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쌓여 각질층이 두꺼워지며 거칠고 탄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극받아 과생성된 멜라닌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피부는 칙칙해진다.
내, 외적 요인에 의해 거칠어진 각질층은 각질 박리해주면 각질층 밑에 있는 세포의 활성 및 재생이 증가되어 피부가 투명하고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 각질 박리하는데 레티노산(Retinoic acid)과 알파 하이드록시산(alpha hydroxy acids, AHA)이 탁월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각질박리 효과는 뛰어나나 실제적으로 상기의 미용효과를 얻으려면 알파히드록시산을 고농도(1.0~10%)로 함유하거나 강산성(pH 3.5 이하)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고농도 혹은 강산성의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한 화장료를 사용하는 경우, 홍반, 가려움, 따가움, 피부이상 또는 화상 등의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태양광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하여 결국 광독성과 광과민성 등의 피부자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미리시트린(Myricitrin)은 분자식 C21H20O12, 분자량 464.38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miricitrin, myricetrin, myricitrine, myricitroside, cannabiscitrin 또는 myricetin-3-rhamnoside으로 명명되며, 소엽은매화나무(Myrtus communis)의 잎에서 분리 될 수 있다. 또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니푸록사지드(nifuroxazide), 아플라톡신 B1(aflatoxine B1) 및 과산화수소에 대한 억제 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줄기세포 증식 또는 활성 촉진, 줄기세포성 유지 및 피부침착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여,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Myricitrin)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Myricitrin)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Myricitrin)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Myricitrin)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Myricitr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미리시트린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미리시트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리시트린"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분자식 C21H20O12, 분자량 464.38을 가지며, 미리시트린(Myricitrin)은 분자식 C21H20O12, 분자량 464.38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miricitrin, myricetrin, myricitrine, myricitroside, cannabiscitrin 또는 myricetin-3-rhamnoside으로 명명되는 화합물로, 소엽은매화나무(Myrtus communis)의 잎에 함유된다.
본 발명은 미리시트린의 획득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은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 상기 미리시트린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재생"이라 함은 손상에 대한 조직의 반응 및 조직회복의 과정으로, 주화성(chemotaxis), 세포의 분화 및 복제(differentiation and replication), 기질 단백질(matrix protein)의 합성, 혈관의 신생 및 창상의 재구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결 개선"이라 함은 피부와 피부 사이의 간격이 늘어지고 골이 깊어져 거칠어졌거나, 미세한 주름, 기미, 주근깨 등으로 어두워지거나 붉어진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피부톤이 밝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줄기세포 증식 또는 활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재생시키거나 피부결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또한, 각질 박리를 촉진하여 피부를 재생하거나 피부결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줄기세포"라 함은 태생기 전능세포(pluripotent cell)를 지칭하는 것으로, 어떤 조직으로든 발달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피부줄기세포(epidermal stem cell)"는 용어 그대로 피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로 어른에게도 존재하며, 주로 모낭이나 모낭의 내피세포, 분비선으로 분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줄기세포는 인간 피부줄기세포(Human epidermal stem cel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질박리"라 함은 척추동물의 표피 부분을 이루는 케라틴(keratin) 성분인 각질을 벗겨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파리신 비가 함유된 영양크림을 피부 침착 부위에 도포한 후 상기 침착된 부위의 피부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각질박리 용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미리시트린을 처리한 배지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의 경우 대조군 대비 증식이 촉진되고, 줄기세포성(stemness)이 유지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줄기세포 증식 촉진 또는 피부재생 용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및 표 2).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줄기세포 증식 촉진 또는 피부재생용, 각질박리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 화합물", "피부재생", "피부결 개선"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식물,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줄기세포 증식 촉진 또는 피부재생용, 각질박리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미리시트린 화합물", "피부재생", "피부결 개선"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글리세린,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성 오일,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리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약외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재생 및 피부결 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피부재생 및 각질박리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재생 및 피부결 개선 효과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재생 성분; 당업계에 공지된 각질박리 성분으로서 레티노산(Retinoic acid)과 알파 하이드록시산(alpha hydroxy acids, AHA);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줄기세포 증식 또는 활성 촉진 및 줄기세포성 유지, 피부침착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 미리시트린 물질 정보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물질명 : 미리시트린(Myricitrin)
CAS No. : 17912-87-7
분자식 : C21H20O12
분자량 : 464.38
구입처 : CHENGDU MUST BIO-TECHNOLOGY CO., LTD
실험예 1: 미리시트린을 처리한 배지조건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의 증식 촉진 및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에 따른 피부줄기세포 증식 촉진 또는 피부재생 효과
1-1: 무혈청 배지조건에서 피부줄기세포 배양
셀앤테크(Cellntec) 社에서 구입한 인간 피부줄기세포(Human epidermal stem cell)를 48-웰 플레이트(6×103 cells/well)에서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유사한 BPE(Bovine pituitary extract)가 첨가된 CNT-57 배지(Cellntec사)를 이용하여, 24 시간 동안 5% CO2 및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배양액을 흡입관으로 제거한 다음, PBS 용액(GibcoBRL 社)을 이용하여 배지 성분을 제거하고, BPE가 포함되지 않은 CNT-57 배지에 미리시트린 10 ㎍/mL을 처리하여 5% CO2 및 37℃ 조건에서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2: CCK -8 평가법을 통한 피부줄기세포 증식 촉진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를 하기와 같이 CCK-8(Cell counting kit-8)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CCK-8 평가는 세포 내 전자전달계 내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가 테트라졸리움 염(Tetrazolium Salt)을 분해하여 생성하는 포르마잔(Formazan)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밀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분석방법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포에 CCK-8 용액(배지부피의 1/10을 처리)을 37℃에서 2 시간 동안 처리한 후, 파장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미리시트린의 피부줄기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를 하기의 증식율을 이용하여 측정된 흡광도 값으로부터 대조군인 CNT-57 배지 대비 증식율(%)을 구하여 계산한 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증식율(%)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
첨가시료 농도 대조군 대비 세포 증식율(%)
미리시트린
(Myricitrin)
10 ㎍/mL 129.68%
대조군 - 100%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미리시트린을 처리한 배지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의 경우, 미리시트린이 처리되지 않은 배지인 대조군 CNT-57 배지 대비 세포 증식율이 약 130%로 우수한 세포 증식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3: 피부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 확인을 위해 p63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p63은 세포 내 전사인자로서 피부줄기세포의 유지 마커로 잘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세포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다음, Taqman 염색액으로 실시간-PCR을 수행하여 p63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RNA 농도는 S16 리보솜 RNA로 표준화하였으며, 실험 결과에서 나타나는 p63 증가 배수의 수치는 대조군인 CNT-57 배지 대비 배수를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줄기세포성(stemness) 유지 효과(반복수 = 3)
첨가시료 농도 p63 증가 배수(배)
미리시트린
(Myricetrin)
10 ㎍/mL 1.84
대조군 - 1.0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미리시트린을 처리한 배지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의 경우, p63의 증가 배수가 대조군인 CNT-57 배지보다 약 84%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오랜 시간 동안 줄기세포성 효과를 유지하여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 효과가 지속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2: 피부침착 개선 효과에 따른 각질박리 효과
건강한 20대에서 5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미리시트린이 함유된 영양크림을 이용하여 각질 박리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20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20명의 시험 부위에 DHA(Dihydroxyacetone, Sigma Aldrich, USA) 1.5% 용액을 8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여 침착시킨 후, 상기 미리시트린이 함유된 영양크림을 매일 2회 시험 부위에 도포하였다. 그런 다음, 도포 4일 후, 도포 8일 후, 도포 12일 후에 색도계(Chromameter CR-4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침착 부위의 피부 밝기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또한 DSLR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측정값은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회의 평균값을 구하여 평가하였으며, 침착 부위의 피부 밝기 개선이 높을수록 각질 박리 개선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도포 4일 후 도포 8일 후 도포 12일 후
개선율(%) 1.35 3.97 11.03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피부가 침착된 부위의 피부 밝기 개선율이 도포한 이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밝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도포 12일이 지난 이후에는 도포 4일 후보다 현저히 피부 침착 정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 용도, 특히, 각질박리 촉진에 의한 피부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결 개선 용도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은 피부줄기세포 증식 또는 활성 촉진에 의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재생 또는 피부결 개선이 각질박리 촉진에 의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줄기세포 증식 또는 활성 촉진 또는 피부침착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결 개선용인 것인, 식품 조성물.
  1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재생용 또는 피부결 개선용인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70037771A 2017-03-24 2017-03-24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771A KR20180108252A (ko) 2017-03-24 2017-03-24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771A KR20180108252A (ko) 2017-03-24 2017-03-24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52A true KR20180108252A (ko) 2018-10-04

Family

ID=6386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771A KR20180108252A (ko) 2017-03-24 2017-03-24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82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7984A2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8052B1 (ko)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097913B1 (en) Cosmetic use of a hydroxy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7918B1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1A (ko) ligustroflavone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242310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e−カドヘ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1016612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8252A (ko) 미리시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5A (ko) 파리신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EP4344696A1 (en) Functional composition for alopecia comprising centipeda minima-derived extract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201800088A (zh) 促進脂肪細胞分化之組成物及篩選促進脂肪細胞分化物質之方法
KR20200036730A (ko) 피부 턴오버 촉진 및 멜라닌 배출 촉진용 조성물
KR20170099674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99669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35658A (ko) 크립토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6737A (ko)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000044978A (ko)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