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553B1 - 내시경용 처치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553B1
KR101022553B1 KR1020080030531A KR20080030531A KR101022553B1 KR 101022553 B1 KR101022553 B1 KR 101022553B1 KR 1020080030531 A KR1020080030531 A KR 1020080030531A KR 20080030531 A KR20080030531 A KR 20080030531A KR 101022553 B1 KR101022553 B1 KR 10102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treatment
tip
pivot axis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990A (ko
Inventor
유우따 무야리
나오히사 야하기
Original Assignee
나오히사 야하기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오히사 야하기,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오히사 야하기
Publication of KR2008009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45Curv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61B2018/00494Stomach, intestines or bow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2Needle curv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처치부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시술의 번잡함을 해소하는 것이다.
내시경용 처치구(1)는 내시경이 장착되는 선단 부재(3)를 갖고, 선단 부재(3)에는 접속 부재(4)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속 부재(4)는 선단 부재(3)의 캡(12)에 지지된 부분이 제2 선회축(15)으로 되고, 처치부(5)의 지지 부재(21)를 관통하고 있는 부분이 제1 선회축(23)으로 되어 있다. 제1 선회축(23)은 처치부(5)가 구비하는 한 쌍의 겸자 부재(22)의 회전축으로도 되어 있다. 겸자 부재(22)를 사용할 때에는, 전방측의 조작으로 코일 시스(6)를 전진시킨다. 접속 부재(4)가 제2 선회축(15)을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하고, 처치부(5)가 캡(12)을 넘어 전방으로 이동한다.
Figure R1020080030531
내시경용 처치구, 겸자 부재, 코일 시스, 캡, 처치부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ENDOSCOPE TREATMENT TOOL}
본 발명은,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는 내시경용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화관 병변의 일반적 치료법으로서, 내시경적으로 병변부를 절제하는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EMR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이 행해지고 있다. 특히, 내시경적 점막 하층 박리술(이하, ESD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이라 함)은 병변부 주위의 점막을 절개한 후, 점막 하층을 박리하여 병변부를 절제하는 방법으로, 병변부를 일괄 절제할 수 있는 확실한 내시경 치료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ESD를 행할 때에는, 주사침으로 병변부 주위의 정상 점막에 생리 식염수 등을 주입하여 병변부를 부풀어 오르게 하고, 그 상태에서 고주파 나이프나 올가미(snare) 등의 고주파 절개 도구를 이용하여 병변부와 정상 점막 사이를 절제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때, 병변부를 충분한 위치까지 들어올려, 병변부와 정상 조직과의 경계의 절제 부분을 충분히 확보하거나, 병변부가 편평한 형상인 경우에 절제 부분을 만들어내기 위해, 내시경의 선단에 장착한 투명 캡을 점막 아래로 들어가게 하여 점막을 들어올리면서, 고주파 절개 도구에 의해 점막 하층의 절개를 진행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6137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기술에 따르면, 투명 캡의 선단 직경이 내시경의 선단 직경에 비해 크기 때문에, 가는 절개창(切開創)에 기어 들어가게 하여 절개창을 개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절개창의 내부에 선단 캡을 기어 들어가게 해도, 내시경을 조작하여 절개나 박리를 행할 때에 점막이 선단 캡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다시 절개창의 내부에 선단 캡을 기어 들어가게 하는 조작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처치부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시술의 번잡함을 해소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내시경의 선단에 장착되는 통 형상의 선단 부재와, 생체 조직에 대해 처치를 행하는 처치부와, 상기 내시경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단에 상기 처치부가 고정된 삽입부와, 상기 처치부와 상기 선단 부재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처치부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축과,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선단 부재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선회축은, 상기 제1 선회축을 상기 제2 선회축보다 기단측이며 또한 상기 선단 부재의 측방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선회축보다 선단측의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접속 부재를 선회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로 하였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에서는, 제1 선회축을 제2 선회축보다 기단측, 즉 시술자의 전방측에 배치하면, 처치부가 선단 부재의 측면에 근접하는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선단 부재를 내시경에 장착하고, 체내에 삽입한다. 처치부를 사용할 때에는, 제2 선회축을 회전시켜 접속 부재를 선단측을 향해 선회시킨다. 제1 선회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처치부가 제2 선회축을 넘어 선단측이며 또한 조직을 처치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내시경에 착탈 가능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는, 캡을 내시경에 장착하면 내시경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캡을 제거하면, 내시경을 단일 부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내시경에 대해 상기 삽입부를 진퇴시켰을 때에 선회하고, 상기 삽입부를 상기 내시경에 대해 전진시켰을 때, 상기 제1 선회축이 상기 제2 선회축보다 전방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선회축보다 선단측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는, 삽입부를 진퇴시킴으로써 접속 부재를 제2 선회축 주위로 선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방측의 조작으로 처치부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 기 접속 부재가 선회하여 상기 선단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동일면 상에 상기 제1 선회축 및 상기 제2 선회축이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부와 상기 내시경의 거리가 최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는, 처치부를 내시경을 따라 진퇴시킨 경우에 비해, 내시경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처치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선회하여 상기 제1 선회축이 상기 선단 부재의 선단면측까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처치부는 상기 내시경의 선단면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는, 접속 부재의 선회에 의해 처치부를 선단 부재보다도 선단측으로 돌출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시술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선회하여 상기 제1 선회축이 상기 선단 부재의 선단면측까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처치부는 선단 부재의 중심선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는, 처치부를 선단 부재의 중심선을 넘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초기 위치에 대해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있는 조직에 대해 처치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처치부는 지지 부재에 한 쌍의 겸자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시킨 구성을 갖고, 각각의 상기 겸자 부재는 상기 제1 선회축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는, 제1 선회축이 겸자 부재를 지지하는 축을 겸하므로, 지지용 축과 선회용 축을 따로따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처치부를 소형화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내시경용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회축은 상기 선단 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 각각에 하나씩 동축으로 삽입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선단 부재의 외형을 따라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내시경용 처치구는, 제2 선회축이 동축상에 한 쌍 설치되어 있어, 내시경에 장착하였을 때에 내시경의 관찰 장치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접속 부재가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외형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어 체내로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부재를 선회시켜 처치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점막 하층을 절개할 때 등에 이상적인 내시경 화상을 확보하고, 처치부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시술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용 처치구(1)는 내시경의 선단에 장착되는 선단 부재(3)와, 선단 부재(3)에 접속 부재(4)를 통해 연결된 처치부(5)와, 처치부(5)가 고정되는 장척(長尺)의 코일 시스(6)와, 코일 시스(6)가 진퇴 가능하게 통과되는 외장 튜브(7)와, 시술자의 전방측인 기단측에 배치되어 처치부(5)의 조작 등을 하는 조작부(8)를 갖는다.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부재(3)는 내시경(2)의 선단에 장착되는 후드(11)와, 후드(11)에 일체로 설치된 통 형상의 캡(12)으로 이루어진다. 후드(11)는 원통의 기단측으로부터 슬릿(13)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연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어 내시경(2)에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캡(12)은 원통형을 갖고 있고, 그 내경은 내시경(2)의 외경보다 크다. 캡(12)은, 경질이며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캡(12)의 선단 개구(12A)는 내시경(2)의 선단면보다 먼 측에 배치되고, 또한 내시경(2)의 선단면에 대략 평행인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4)는 경질인 선재를 정형(整形)하여 형성되어 있고, 선재의 양단부가 캡(12)의 일직경 상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14) 각각에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구멍(14)은, 후드(11)의 슬릿(13)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해, 선단 부재(3)의 둘레상에서 각각 대략 90°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축선은 선단 부재(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한다. 접속 부재(4)의 양단부는 한 쌍의 구멍(14) 각각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하나씩 삽입되고, 캡(12)에서 절첩됨으로써 빠짐 방지되어 있다. 접속 부재(4)에 있어서, 구멍(14) 에 삽입된 부분은 후술하는 동작을 행할 때의 제2 선회축(15)으로 된다. 제2 선회축(15)은, 구멍(14)의 축선과 평행하게 하나씩 삽입되어 있고, 각 제2 선회축(15)은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선회축(15)은 선단 부재(3)의 전체를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내시경(2)의 시야나 작업용 채널에 관통된 처치구의 동작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접속 부재(4)는 한 쌍의 구멍(14) 각각으로부터 인출된 후, 선단 부재(3)의 외형을 따르도록 구부러지면서 처치부(5)를 향해 연장되어, 처치부(5)를 구성하는 지지 부재(21)를 관통하고 있다. 지지 부재(21)의 근방 부분(16)은, 지지 부재(21)를 사이에 끼우도록 굴곡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4)는 캡(12)으로부터 지지 부재(21)측의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선단 부재(3)의 외형을 따르도록 만곡시키고 있지만, 도중에서 각각 1군데 이상 굴곡시켜도 좋다.
처치부(5)는 지지 부재(21)에 한 쌍의 겸자 부재(22)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겸자 부재(22)는, 선단측에 조직을 파지하는 부분이 설치되고, 여기로부터 지지 부재(21)의 슬릿(21A) 내로 인입되고, 기단측 부분이 도시하지 않은 조작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다. 조직을 파지하는 부분으로부터 조작 와이어의 연결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는, 접속 부재(4)의 선재가 관통되어 있고, 접속 부재(4)를 회전축으로 하여 지지 부재(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접속 부재(4)에 의해 지지 부재(21)에 관통되어 있는 부분은, 제1 선회축(23)으로 된다. 제1 선회축(23)은 제2 선회축(15)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선단 부재(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제2 선회축(15) 각각으로부터 90°어긋난 위치에 있다. 따 라서, 제1 선회축(23) 및 처치부(5)의 중심과 선단 부재(3)의 축선을 통과하는 가상선과, 제2 선회축(15)의 축선이며 선단 부재(3)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은 직교한다. 조작 와이어는 코일 시스(6) 내를 통과하여 조작부(8)에 연결되어 있다.
코일 시스(6)는 소선(素線)을 조밀하게 감아 가요성을 갖게 하고 있으며, 선단에 처치부(5)의 지지 부재(21)가 고정되고, 전방측의 기단에 조작부(8)가 고정되어 있다. 코일 시스(6)의 길이는 외장 튜브(7)보다 길고, 코일 시스(6)의 선단측 및 기단측 각각이 외장 튜브(7)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외장 튜브(7)는 가요성을 갖고 있고 선단부가 후드(11)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외장 튜브(7)의 접착 위치는 슬릿(13)의 대략 반대측이고, 접속 부재(4)를 지지하는 한 쌍의 구멍(14) 각각의 형성 위치로부터 선단 부재(3)의 둘레상에서 90° 어긋난 위치이다.
조작부(8)는 외장 튜브(7)와 코일 시스(6)의 걸림 이탈을 절환하는 제1 로크 기구(31)와, 코일 시스(6)가 고정되는 조작 본체(32)와, 조작 본체(32)에 대해 진퇴 가능한 슬라이더(33)와, 슬라이더(33)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로크 기구(34)를 갖는다.
제1 로크 기구(31)는 외장 튜브(7)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35)와, 베이스 부재(35)에 걸림 이탈 가능한 결합 부재(36)로 이루어진다. 결합 부재(36)에는 코일 시스(6)가 고정되어 있다. 결합 부재(36)를 베이스 부재(35)에 결합시키면, 외장 튜브(7)에 대해 코일 시스(6)가 고정되어, 상대적인 회전 및 진퇴가 불가능해진다. 결합 부재(36)를 베이스 부재(35)로부터 이탈시키면, 외장 튜브(7)에 대해 코일 시 스(6)를 진퇴할 수 있게 된다.
조작 본체(32)는 선단측의 내부에 코일 시스(6)가 고정되어 있고, 기단측에는 손가락 걸이용 링(37)이 설치되어 있다. 링(37)보다 선단측에는, 슬릿(38)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슬릿(38)에는 슬라이더(33)가 길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33)에 코일 시스(6)로부터 인출된 조작 와이어가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33)의 가동 범위에서, 슬라이더(33)보다 선단측의 위치에는 제2 로크 기구(34)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로크 기구(34)는 슬릿(38)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슬릿(38)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외주에 슬라이드 부재를 조여 이동을 억제하는 조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용 처치구(1)의 작용에 대해, 이것을 이용하여 ESD 시술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우선, 선단에 내시경용 처치구(1)의 후드(11)를 내시경(2)의 선단부에 장착한다. 이때,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치부(5)가 내시경(2)의 작업용 채널(41)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관찰 장치(42)가 처치부(5)측에 배치된다.
후드(11)를 통해 외장 튜브(7)가 내시경(2)에 대해 고정되고, 외장 튜브(7) 및 코일 시스(6)가 대략 내시경(2)을 따라 배열되게 된다. 조작부(8)측에서 제1 로크 기구(31)를 떼어내고 외장 튜브(7)에 대해 코일 시스(6)를 인출하면, 제2 선 회축(15)보다 제1 선회축(23)이 전방측의 위치이며, 또한 선단 부재(3)의 측면에 배치된다. 접속 부재(4)는 선단 부재(3)의 외형을 따라 정형되어 있으므로, 내시경용 처치구(1)의 전체의 외형이 커지는 일은 없다.
선단 부재(3)를 장착하면, 내시경용 처치구(1) 및 내시경(2)을 환자의 자연 개구인 입으로부터 목적 부위인 병변부 근방까지 삽입한다. 병변부는 내시경(2)의 선단에 설치된 관찰 장치(42)에 의해 취득한 화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6에 내시경 화상의 일예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12)이 주연부에만 나타내어지고, 병변부(X)에 면하는 중심 부분에는 캡(12)은 씌워지지 않는다. 캡(12)은 관찰 장치(42)에 대해 투명한 부재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캡(12)을 통과해도 체내의 상(像)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처치부(5)는 시야 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다.
내시경 화상에 의한 관찰을 행하여, 병변부(X)에 대해 내시경(2)의 작업용 채널(41)이 가까운 위치로, 내시경용 처치구(1)의 처치부(5)가 테두리 위치로 되도록 내시경(2)의 방향을 조정하면, 작업용 채널(41)에 도시하지 않은 주사침을 통과시킨다. 주사침을 병변부(X)의 전방측으로부터 점막 하층에 찔러 넣고, 점막 하층에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병변부(X)를 융기시킨다.
계속해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나이프를 경내시경적으로 도입하여 병변부(X) 주위의 점막(M) 일부에 구멍을 개방하는 초기 절개를 행한다. 또한,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으로 확인하면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 고주파 나이프(44)를 이동시키고, 초기 절개 구멍을 소정의 크기로 넓힌다. 이와 같이 하여, 병변부(X) 근방의 점막(M)에 형성된 절개구(Cu)로부터 병변부(X)의 점막 하층을 절개 박리해 간다.
이때, 제1 로크 기구(31)의 베이스 부재(35)를 잡고 코일 시스(6)를 전진시키면, 제2 선회축(15)을 지지점으로 하여 접속 부재(4)가 선회한다. 제1 선회축(23)은 제2 선회축(15)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이동한다. 그 결과, 접속 부재(4)의 제1 선회축(23)에 의해 연결된 처치부(5)가, 제1 선회축(23)의 궤적을 따라 인출된다. 즉, 코일 시스(6)의 직선적인 이동이, 접속 부재(4)에 의해 처치부(5)의 원호를 따른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 처치부(5)는 초기 상태인 수납 위치로부터, 선단 부재(3)로부터 멀어지면서 전진한다. 선단 부재(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하나의 면내에서 제1 선회축(23)과 제2 선회축(15)이 나열되는 위치에서 처치부(5)가 가장 선단 부재(3)로부터 멀어진다. 그 후, 제1 선회축(23)이 제2 선회축(15)보다 선단측으로 이동하면, 선단 부재(3)의 중심축을 넘어 절개구(Cu)를 향하면서 전진한다.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 화상으로 처치부(5)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겸자 부재(22)가 절개구(Cu)에 도달하면 코일 시스(6)의 전진을 정지시킨다. 이 위치에서 제1 로크 기구(31)의 결합 부재(36)를 비틀어 베이스 부재(35)에 결합시키면, 외장 튜브(7)에 코일 시스(6)가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더(33)를 진퇴시켜 한 쌍의 겸자 부재(22)를 개폐시켜 절개구(Cu)의 병변부(X)측의 조직을 포착시킨다. 슬라이더(33)에 제2 로크 기구(34)를 부딪치게 한 상태에서 제2 로크 기구(34)의 외주 부분을 회전시켜 조작 본체(32)에 대해 고정시킨다. 슬라이더(33)의 복귀가 방지되므로, 슬라이더(33)로부터 손을 떼어도 한 쌍의 겸자 부재(22)가 개방되지 않게 되어 조직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로크 기구(31)의 결합을 해제하고, 코일 시스(6)를 외장 튜브(7)에 대해 후퇴시킨다.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4)가 제2 선회축(15) 주위로 회전하여, 처치부(5)가 병변부(X)로부터 멀어진 방향이면서, 또한 전방측으로 복귀된다. 절개구(Cu) 주연의 조직이 들어 올려져 점막(M)을 벗겨 올린다. 정면의 시야가 확보되므로, 점막 하층을 고주파 나이프(44)에 의해 절개 박리해 간다. 소정의 거리로 절개한 후에는, 상술한 조작을 반복하여 행하여 한 쌍의 겸자 부재(22)로 점막(M)의 절개구(Cu)를 파지하면서 절개를 진행한다.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부재(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동일면 내에서 제1 선회축(23)이 제2 선회축(15)에 나란히 되는 위치까지 코일 시스(6)를 복귀시키면, 내시경(2) 및 선단 부재(3)보다 멀어진 위치까지 조직을 들어올릴 수 있다. 병변부(X) 주위의 조직을 모두 절제하면, 이 병변부(X)를 도시하지 않은 겸자 부재 등에 의해 파지하여, 경내시경적으로 취출하여 처치를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속 부재(4)에 의해 처치부(5)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절개를 진행해 가도 점막(M)을 파지하면서, 시술이 용이한 위치 또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개를 진행해도 처치부(5)에 의한 바꿔 잡음이 불필요해져, 시술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절개를 진행할 때, 점막 하층(S)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어, 절개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지지 부재(21) 및 코일 시스(6)가 선단 부재(3)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점막(M)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제2 선회축(15)을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하는 접속 부재(4)에 처치부(5)를 연결시켰으므로, 선단 부재(3)를 따라 수납 위치로부터 조직을 파지하는 위치까지 처치부(5)를 넓은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처치부(5)의 이동은, 코일 시스(6)의 진퇴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단하다. 수납 위치에서는, 내시경(2)을 포함하는 전체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체내로의 삽입시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조직을 파지하는 위치는, 선단 부재(3) 및 내시경(2) 각각의 중심축을 넘어 조직을 향해 돌출한 위치로 할 수 있으므로, 조직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처치부(5)가 선단 부재(3)로부터 가장 멀어진 위치에서는, 조직을 내시경(2) 및 선단 부재(3)의 직경 이상의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 시술이 용이해진다. 이 높이까지 조직을 들어올리면, 넓은 범위를 절개하는 것이 가능해져, 바꿔 잡음의 번잡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선회축(23)을 한 쌍의 겸자 부재(22)의 회전축으로 하였으므로 처치부(5)를 소형화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선회축(23)으로 되는 부분의 사이에 끼워지는 선재를 굴곡시키고 있으므로, 축선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후드(11)에 외장 튜브(7)를 고정하였으므로, 내시경(2)으로부터 외장 튜브(7) 및 코일 시스(6)가 떨어지기 어려워져, 체내로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조작부(8)에 제1 로크 기구(31)를 설치하였으므로, 외장 튜브(7)에 코일 시 스(6)를 고정할 수 있어, 처치부(5)의 위치를 유지하기 쉽다. 슬라이더(33)를 고정하는 제2 로크 기구(34)를 설치하였으므로, 한 쌍의 겸자 부재(22)로 조직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이들로부터, 조작의 번잡함이 해소된다.
조작부로 슬라이더를 고정하는 제2 로크 기구의 변형예를 도11 내지 도14에 도시한다.
도11에 도시하는 제2 로크 기구(61)는, 슬라이더(33)에 나사 삽입된 나사(62)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3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은, 조작 본체(32)를 향해 개구되어 있고, 나사(62)를 조이면 슬라이더(33)를 조작 본체(32)에 고정할 수 있다. 나사(62)를 풀면, 슬라이더(33)를 조작 본체(32)에 대해 진퇴할 수 있다.
도12 및 도13에 도시하는 제2 로크 기구(71)는, 래칫 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제2 로크 기구(71)는 조작 본체(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래칫 기어(72)와, 슬라이더(33)에 핀(73)으로 지지된 레버(74)에 설치된 래칫 갈고리(75)로 이루어진다. 레버(74)는 코일 스프링(76)에 의해 래칫 갈고리(75)가 래칫 기어(72)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76)에 연결된 쪽의 레버 단부(74A)는, 슬라이더(33)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더(33)를 진퇴시킬 때에는, 레버 단부(74A)를 눌러 넣도록 슬라이더(33)를 잡는다. 한 쌍의 레버(74)가 핀(73) 주위로 회전하여 래칫 갈고리(75)와 래칫 기어(72)의 결합이 해제된다. 손을 떼면 코일 스프링(76)이 복원되어 레버 단부(74A)가 돌출되고, 래칫 갈고리(75)가 래칫 기어(72)에 걸려 슬라이더(33)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속 부재(4)의 선재의 한쪽 단부만으로 제2 선회축(15)을 형성해도 좋다. 처치부(5)가 선단 부재(3)에 대해 편측 지지된다.
처치부(5)는, 제1 선회축(23)과 상이한 위치에 핀을 설치하여, 이 핀에 한 쌍의 겸자 부재(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좋다.
외장 튜브(7)는 후드(11)에 고정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밴드 등에 의해 외장 튜브(7)를 내시경(2)에 고정한다.
내시경용 처치구(1)는 고주파 전류를 인가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더(33)에 고주파 전원과 조작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설치된다. 코일 시스(6)는 절연성 튜브에 의해 피복된다. 처치부(5)로 조직에 구멍을 내어 절개를 하게 하거나, 출혈이 있을 때에 지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내시경용 처치구(1)의 용도는, 점막에 생긴 병변부의 절제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시술에 이용해도 좋다. 처치부(5)는 개폐 가능한 한 쌍의 겸자 부재를 구비하는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올가미 등의 다른 구성이라도 좋다.
도1은 내시경용 처치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도1의 A 화살표도.
도3은 내시경에 장착된 선단 부재와 처치부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3의 B 화살표도.
도5는 선단 부재 및 처치부의 사시도.
도6은 내시경 화상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고주파 나이프로 시술을 행할 때의 내시경 화상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접속 부재를 선회시켜 처치부를 조직을 향해 이동시켰을 때의 내시경 화상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처치부에 의해 조직을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0은 조직을 최대한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1은 제2 로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제2 로크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도12에 도시하는 제2 로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레버를 눌러 래칫 갈고리와 래칫 기어의 결합을 해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용 처치구, 2 : 내시경, 3 : 선단 부재, 4 : 접속 부재, 5 : 처치부, 6 : 코일 시스, 7 : 외장 튜브, 8 : 조작부, 12A : 선단 개구, 15 : 제2 선회 축, 21 : 지지 부재, 22 : 겸자 부재, 23 : 제2 선회축

Claims (8)

  1. 내시경의 선단에 장착되는 통 형상의 선단 부재와,
    생체 조직에 대해 처치를 행하는 처치부와,
    상기 내시경의 축선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단에 상기 처치부가 고정된 삽입부와,
    상기 처치부와 상기 선단 부재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처치부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축과,
    상기 접속 부재와 상기 선단 부재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선회축은, 상기 제1 선회축을 상기 제2 선회축보다 기단측이며 또한 상기 선단 부재의 측방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선회축보다 선단측의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접속 부재를 선회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내시경에 착탈 가능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내시경에 대해 상기 삽입부를 진퇴시켰을 때에 선회하고, 상기 삽입부를 상기 내시경에 대해 전진시켰을 때, 상기 제 1 선회축이 상기 제2 선회축보다 전방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선회축보다 선단측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선회하여 상기 선단 부재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동일면 상에 상기 제1 선회축 및 상기 제2 선회축이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부와 상기 내시경의 거리가 최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선회하여 상기 제1 선회축이 상기 선단 부재의 선단면측까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처치부는 상기 내시경의 선단면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가 선회하여 상기 제1 선회축이 상기 선단 부재의 선단면측까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처치부는 선단 부재의 중심선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부는 지지 부재에 한 쌍의 겸자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시킨 구성을 갖고, 각각의 상기 겸자 부재는 상기 제1 선회축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회축은 상기 선단 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 각각에 하나씩 동축으로 삽입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선단 부재의 외형을 따라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KR1020080030531A 2007-04-06 2008-04-02 내시경용 처치구 KR101022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00306 2007-04-06
JP2007100306A JP4980777B2 (ja) 2007-04-06 2007-04-06 内視鏡用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90A KR20080090990A (ko) 2008-10-09
KR101022553B1 true KR101022553B1 (ko) 2011-03-16

Family

ID=3963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531A KR101022553B1 (ko) 2007-04-06 2008-04-02 내시경용 처치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6544B2 (ko)
EP (1) EP1977708B1 (ko)
JP (1) JP4980777B2 (ko)
KR (1) KR101022553B1 (ko)
CN (1) CN1012788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8369B2 (ja) * 2008-07-18 2013-04-1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CN102427770B (zh) * 2009-05-21 2014-05-07 住友电木株式会社 高频治疗工具
JP5543733B2 (ja) * 2009-06-30 2014-07-09 大輔 菊池 内視鏡用処置具挿通具
AU2010331922B2 (en) * 2009-12-18 2014-03-0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dvanc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955940B1 (en) 2010-04-23 2018-05-01 Avent, Inc. Echogenic nerve block catheter and echogenic catheter tip
JP5465087B2 (ja) * 2010-05-26 2014-04-09 正克 中村 内視鏡用フード装着補助具
EP2979657B1 (en) * 2013-03-28 2018-07-04 Olympus Corporation Medical instrument and medical system
WO2014199759A1 (ja) 2013-06-11 2014-12-1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US10034661B2 (en) * 2013-08-23 2018-07-31 Covidien Lp Specimen retrieval device
CN104720870B (zh) * 2013-12-19 2017-02-08 桐庐万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微创手术多功能切除器
JP6165083B2 (ja) * 2014-03-04 2017-07-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機器用キャップ
US20160338681A1 (en) * 2015-05-21 2016-11-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section cap with mechanical tissue manipulator
AU2016297077B2 (en) * 2015-07-21 2020-10-22 GI Scientific, LLC Endoscope accessory with angularly adjustable exit portal
CN105011971B (zh) * 2015-07-29 2018-03-09 上海家宝医学保健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式宫腔组织吸引器
EP3721785B1 (en) * 2015-10-23 2022-02-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hood
WO2018006044A1 (en) * 2016-07-01 2018-01-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edical tools
WO2018220767A1 (ja) * 2017-05-31 2018-12-06 学校法人慶應義塾 インナーチューブ
DE112018006922T5 (de) * 2018-02-23 2020-10-01 Olympus Corporation Endoskop-behandlungswerkzeug und endoskopsystem
JP6923755B2 (ja) * 2018-05-30 2021-08-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粘膜拳上器具
WO2019234785A1 (ja) * 2018-06-04 2019-1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処置方法
CN109350187A (zh) * 2018-08-21 2019-02-19 哈尔滨医科大学 Esd剥离套切器
CN112672704B (zh) 2018-09-13 2024-04-26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用处置器具
WO2020079824A1 (ja) * 2018-10-19 2020-04-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CN109567725A (zh) * 2019-01-23 2019-04-05 张伟 可调节方向的内镜副钳子管道
JP2022542050A (ja) * 2019-07-24 2022-09-29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締結装置
JP7323634B2 (ja) * 2019-11-18 2023-08-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キャップ、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7492862B2 (ja) 2020-05-22 2024-05-3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切開器具
WO2022190234A1 (ja) * 2021-03-10 2022-09-1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接続部材およびトラクションデバイス
KR20240036408A (ko) * 2022-09-13 2024-03-20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내시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521A (ko) * 2003-12-10 2006-09-25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KR100685337B1 (ko) 2002-11-29 2007-02-26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의 가요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624A (en) * 1977-01-20 1981-01-20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with flexible tip control
JPS56158630A (en) * 1980-05-09 1981-12-07 Olympus Optical Co Endoscope with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NL174819B (nl) 1982-01-15 1984-03-16 Curver Verpakkingen Houder met in diverse standen te fixeren draagbeugel.
US4763662A (en) * 1985-06-07 1988-08-16 Olympus Optical Co., Ltd. Ultrasonic biopsy endoscope with extensible guide sheath
US8574243B2 (en) * 1999-06-25 2013-11-05 Usgi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securing gastrointestinal tissue folds
US6527753B2 (en) 2000-02-29 2003-03-04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ic treatment system
JP3830393B2 (ja) * 2002-01-21 2006-10-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と内視鏡システム
US6824509B2 (en) * 2001-07-23 2004-11-30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JP3938710B2 (ja) * 2002-04-26 2007-06-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US7060024B2 (en) * 2002-03-15 2006-06-13 Ethicon Endo-Surgery, Inc. Apparatus for guiding an instrument used with an endoscope
JP4094445B2 (ja) * 2003-01-31 2008-06-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粘膜切除具
JP3923022B2 (ja) 2003-02-28 2007-05-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TW200507792A (en) * 2003-05-23 2005-03-01 Yukinobu Takimoto Treatment instrument for EMR, and EMR device
EP1699366A4 (en) * 2003-12-12 2011-01-26 Usgi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D FIXING GASTROINTESTINAL TISSUE PLIERS
US8512229B2 (en) * 2004-04-14 2013-08-20 Usgi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endoluminal access
US7566300B2 (en) * 2004-04-15 2009-07-28 Wilson-Cook Medical, Inc. Endoscopi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of articulating an external accessory channel
JP4813082B2 (ja) * 2005-04-15 2011-11-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337B1 (ko) 2002-11-29 2007-02-26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의 가요관
KR20060101521A (ko) * 2003-12-10 2006-09-25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90A (ko) 2008-10-09
US20080249354A1 (en) 2008-10-09
EP1977708B1 (en) 2011-12-21
CN101278859B (zh) 2011-03-30
JP4980777B2 (ja) 2012-07-18
CN101278859A (zh) 2008-10-08
US8226544B2 (en) 2012-07-24
EP1977708A1 (en) 2008-10-08
JP2008253597A (ja)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553B1 (ko) 내시경용 처치구
US9649015B2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JP4847354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767761B2 (ja) 高周波処置具
JP5425149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7313314A (ja) 内視鏡的粘膜切除術用の管腔スタビライザ
US20140276810A1 (en) Devices for tissue resection
US9872727B2 (en) Energy treatment device
JP6084338B2 (ja) 内視鏡的粘膜下層剥離術用デバイス及び内視鏡システム
WO2019172318A1 (ja) 処置具、内視鏡装置、内視鏡システム及び処置方法
JP2023126438A (ja) 組織を引き込む為の装置および方法
JP4616210B2 (ja) 高周波処置具
JP5178369B2 (ja) 内視鏡用処置具
WO2019202699A1 (ja) 医療機器
US9642645B2 (en) Tissue cutting devices and methods
JP3143693U (ja) 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用フード
CN212661878U (zh) 一种改进型圈套器
CN113116467A (zh) 一种改进型圈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