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466B1 - 횡편기의 싱커 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싱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466B1
KR101019466B1 KR1020067001372A KR20067001372A KR101019466B1 KR 101019466 B1 KR101019466 B1 KR 101019466B1 KR 1020067001372 A KR1020067001372 A KR 1020067001372A KR 20067001372 A KR20067001372 A KR 20067001372A KR 101019466 B1 KR101019466 B1 KR 10101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needle bed
stopper
knitted fabric
bed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920A (ko
Inventor
미노루 소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3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이동 싱커8은 니들 플레이트5의 오목부5a를 지점으로 회전 변위하여, 선단부8c를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선 스프링10은 선단부8c가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하도록 이동 싱커8을 가압한다. 기대4의 바닥부의 니들베드 갭2 쪽의 위치에는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의 접촉부분8e가 접촉하고, 선 스프링10에 의한 가압으로 이동싱커8이 회전 변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의 최대 압입량은, 접촉부분8e가 스토퍼20에 접촉하여 제한된다. 스토퍼20은 위치조정기구21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2에 대한 진퇴량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의 싱커 장치{SINKER UNIT OF WEF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성 중에 스프링 탄성으로 편성포를 가압하는 횡편기(橫編機)의 싱커 장치(sinker 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횡편기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은, 편침(編針)이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 등의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출해서 편사(編絲)의 공급을 받으면 후퇴하여 먼저 편성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stitch loop)를 녹 오버(knock over) 시키고 새로운 스티치 루프를 형성하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편침의 양측에는 싱커가 배치되어 후퇴하는 편침이 끌어 들이는 편사를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싱커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 측 부근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 변위(回轉 變位)하고, 캐리지(carriage)에 설치되는 캠 기구(cam 機構)에 의하여 선단(先端)이 니들베드 갭 내로 진출(進出)하거나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하도록 변위되는 이동 싱커도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에 캐리지에 는 2개로 나눈 가압 캠이 설치된다. 이동 싱커의 선단은, 일방(一方)의 가압 캠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 변위하여 캐리지의 이동에 연동해서 니들베드 갭 측에 대하여 진퇴(進退)한다. 이에 따라 편성포를 가압하거나,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하여 좁은 니들베드 갭에서 다른 부분과의 기계적인 간섭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이동 싱커에서는 스프링 가압도 이루어진다. 편사로부터의 반력(反力)이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보다 클 때에는, 이동 싱커의 선단이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할 여지가 있고, 편사에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싱커의 스프링 가압은 편성된 편성포를 밀어 내리는 기능도 구비한다. 따라서 캐리지로 싱커를 진퇴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싱커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해 있는 상태가 된다. 니들베드 갭에서 전후의 니들베드가 대치(對峙)하도록 한 횡편기에서는, 전후의 니들베드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니들베드 갭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비켜 놓는 래킹 조작(racking 操作)이 가능하다. 래킹 조작할 때에 싱커가 니들베드 갭에 진출해 있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으면, 싱커의 선단 등이,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지지되어 있는 편성포에 걸려서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싱커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켜서 정지시키는 기구가 설치된다.
특공평5-8365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는 싱커는 편성된 스티치 루프를 밀어 내리도록 니들베드 갭으로 진 출해서 압입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특공평5-83657호 공보의 싱커 장치에서는, 싱커에 의한 편성포의 압입량은 항상 일정하고, 싱커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킬 필요가 있는 타이밍에 캐리지에 탑재(搭載)된 캠이 싱커가 후퇴동작 하게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이동 싱커는, 캐리지의 작용으로 이동 싱커가 편성포를 압입하지 않는 정지 위치로 후퇴할 수 있다.
그러나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의 질이나 편성포의 스티치의 질, 편성 조직 등이 다르게 되면 알맞은 싱커에 의한 편성포의 압입량도 다르게 될 것이다. 일본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의 싱커에서는 최대 압입량은 일정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의 이동 싱커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해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여도, 니들베드 갭에 진출할 때의 압입량은 일정하며 최대 압입량을 조정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에 의한 가압으로 선단이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압입되는 싱커에 대하여, 최대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배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선단(先端) 측에 편침과 함께 설치되는 복수의 싱커(sinker)를 구비하고, 각 싱커는, 스티치 루프(stitch loop)를 가압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선단부를, 니들베드의 일방의 표면의 선단 측 부근을 지점(支點)으로서 회전 변위시켜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進退) 시킬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한 가압으로 각 싱커의 선단부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출(進出)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에 있어서, 각 싱커의 선단부는,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부분보다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접촉부분을 구비하고, 니들베드의 타방의 표면에 설치되고,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출하고 있는 싱커의 선단부의 접촉부분에 접촉하는 스토퍼와, 스토퍼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 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니들베드의 상기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있어서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조정기구는, 상기 띠 모양의 스토퍼를 안내해서 상기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퇴시키는 캠(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조정 기구는, 상기 띠 모양의 스토퍼를 링크(link)의 한 변으로 하여 상기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조정기구는, 상기 스토퍼가 진퇴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원(驅動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下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싱커 장치1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싱커 장치1로서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 측으로 진출시키고 이동 싱커8에 의한 최대 압입량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대응하여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한 평면도이다.
도4는, 도2에 대응하여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로 진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간략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토퍼20의 변위를 링크 기구로 하는 구성을 간략화해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6은, 도1의 니들베드 갭2로부터 스토퍼20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얀 피더44로부터 편사50을 공급하여 편성포51을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7은, 도1의 니들베드 갭2에 스토퍼20을 진출시킨 상태에서, 얀 피더 44로부터 편사50을 공급하여 편성포51을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횡편기의 싱커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이 횡편기는, 니들베드 갭2에서 전후의 니들베드가 역V자 모양으로 대향하고 있는 V베드 횡편기이다. 도1 및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일방(一方)은 예를 들면 앞측의 니들베드3을 나타내고, 타방(他方)의 니들베드는 생략한다.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니들베드3은 니들베드 갭 측이 높고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되도록 경사져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일방의 니들베드3을 수평한 자세로 나타낸다. 일방의 니들베드3에 관한 구성은 타방의 니들베드에 관해서도 기본적으로 같다.
편성포의 편성영역인 니들베드 갭2에 배치되는 기대4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neddle plate)5가 각각 니들베드2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니들 플레이트5는 니들베드 갭2 측의 단부(端部)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5 사이에는 니들베드 갭2 측에서 폭이 확대되도록 니들 홈6이 형성된다. 각 니들 홈6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편침이나 싱커7이 수용된다. 싱커7은 이동 싱커8과 싱커 잭(sinker jack)9를 포함한다. 니들 홈6의 폭이 확대되는 단부에는 이동 싱커8이 수용된다. 이와 같이 니들베드3이 형성되어 있다. V베드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3 위를 니들베드 갭2를 따라 즉 지면과 수직하게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편침을 선택적으로 진퇴시켜서 이동 싱커8과의 상호 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한다.
이동 싱커8은, 편성포의 편성영역인 니들베드 갭2에 배치되는 니들베드3의 선단측에, 편침과 함께 설치된다. 이동 싱커8에는 선 스프링(線 spring)10이 수용되고, 회전 변위의 지점이 되는 피벗 지지부(pivot 支持部)8a와, 선 스프링10에 의한 스프링 가압에 저항하는 구동(驅動)을 싱커 잭9로부터 받는 수동부(受動部)8b와, 니들베드 갭2 내로 진출하는 선단부(先端部)8c가 형성된다.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에는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부분이 되는 폴(pawl)8d가 형성된다. 이동 싱커8은, 니들베드3의 한 쪽 표면의 선단 측 부근의 니들 플레이트5에 형성되는 오목부5a를 지점으로 회전 변위하여, 선단부8c를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선 스프링10은 선단부8c가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하도록 이동 싱커8을 가압한다. 선단부8c는 폴8d와 최선단(最先端)의 접촉부분8e를 구비한다. 회전 변위의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있어서, 폴8d가 니들베드 갭2 쪽으로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접촉부분8e는 폴8d보다 니들베드 갭2에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된다.
싱커 잭9는 단부9a에서 이동 싱커8의 수동부8b와 결합한다. 또 싱커 잭9는, 단부9a에 대하여 니들베드 갭2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 부(基部)9b 측에, 니들베드3의 기대(基臺)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butt)9c를 구비한다. 또한 싱커 잭9는 단부9a와 기부9b의 중간에 진퇴 변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9d를 구비한다.
싱커 잭9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9d에는 밴드11이 삽입된다. 밴드11은 각 니들 플레이트5를 니들베드 갭2를 따르는 방향, 즉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서로 고정시킨다. 밴드11은 싱커 잭9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9d에 삽입되어서, 싱커 잭9가 니들 홈6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貫通部材)로서도 기능한다. 피아노 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wire)12는 니들베드3의 기대4와 니들 플레이트5의 고정을 위하여도 사용된다. 또한 같은 와이어13이 니들 플레이트5를 관통하여, 싱커 잭9의 니들베드 갭2에 대한 슬라이딩 변위가 니들 홈6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밴드11과 함께 제한하고 있다. 와이어13은 이동 싱커8을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시켜서 정지 위치에서 지지하는 결합기구14로서도 기능한다.
기대4의 바닥부에 있어서 니들베드 갭2쪽의 위치에는,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의 접촉부분8e가 접촉하고, 선 스프링10에 의한 가압으로 이동 싱커8이 회전 변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2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의 최대 압입량은 접촉부분8e가 스토퍼20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된다. 스토퍼20은 니들베드3의 타방의 표면인 바닥부 측에 설치되고, 회전 변위하여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해 있는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의 접촉부분8e에 접촉한다. 스토퍼20은 위치조정기구21에 의해 니들베드 갭2에 대한 진퇴가 가능하다.
도2는 위치조정기구21에 의해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 측으로 가장 많이 진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이동 싱커8의 수동부8b와 싱커 잭9의 단부9a는 사이에 갭(gap)을 두고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선 스프링10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이동 싱커8의 접촉부분8e를 스토퍼20으로 압입하면, 이동 싱커8은 갭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폴8d가 니들베드 갭2 내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 변위 된다. 스토퍼20의 위치를 니들베드 갭2 측으로 진출시켜 두면, 편성시 캐리지가 통과함으로써 니들베드 갭2로부터 일시적으로 이동 싱커8이 후퇴한 후에, 선 스프링10에 의한 가압으로 폴8d가 편성포를 밀어 내리도록 이동 싱커8이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하는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선단부8c의 접촉부분8e가 스토퍼20에 접촉하고 최대 압입량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위치조정기구21은 스토퍼20이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20이 편성포의 편성영역인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하는 정도를 크게 하면, 스프링 가압되는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의 접촉부분8e를 이동 싱커8이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되돌려서, 최대 압입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20이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면, 스프링 가압되는 이동 싱커8의 선단부8c의 접촉부분8e를 이동 싱커8이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압입하여, 최대 압입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도1 및 도2에서, 위치조정기구21에는 구동원(驅動源)이 되는 모터(motor)22와,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스토퍼20의 진퇴 방향의 직선 변위로 변환하는 캠(cam)23이 설치된다. 캠23에 근접하여 근접센서(近接sensor)24가 배치되어,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20이 니들베드 갭2로부터 가장 후퇴하고 있는 상태를 검출한다.
도3 및 도4는 스토퍼20의 진퇴에 관련된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화해서 나타낸다. 도3은, 스토퍼20이 니들베드 갭2로부터 가장 후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4는 스토퍼20이 니들베드 갭2에 가장 진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스토퍼20은, 니들베드3의 니들베드 갭2에 있어서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띠 모양으로 형성되고 니들베드3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니들베드3의 폭방향의 일방 측 예를 들면 정면에서 봐서 우측에,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위치조정기구21이 배치된다. 니들베드3의 바닥부 도중에는, 스토퍼20을 지지하고 니들베드 갭2에 대한 진퇴 변위를 안내하는 안내부재(案內部材)로서의 롤러(roller)27이 설치된다. 스토퍼20이 니들베드3의 니들베드 갭2에 있어서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띠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띠 모양의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진퇴시키면, 니들베드3에 설치되는 복수의 싱커에 대하여 동시에 최대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다. 위치조정기구21은 띠 모양의 스토퍼20을 안내해서 니들베드 갭2로 진퇴시키는 캠23을 구비한다. 띠 모양의 스토퍼20을 진퇴시키는 캠23은, 니들베드3으로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하는 범위보다 폭 방향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캠23에는 나선 모양의 캠 홈23a와 지름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23b가 설치된다. 스토퍼20에는, 모터22 및 캠23에 관련하여 캠 홈23a에 결합하는 팔로워(follower)20a와, 모터22의 회전축22a가 삽입되는 경사진 장공(長孔)20b가 형성된다. 니들베드3의 기대4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롤러27은 스토퍼20에 형성되는 장공20c에 결합한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팔로워20a가 캠 홈23a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 부근에 있을 때에는, 띠 모양의 스토퍼20은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밀리고, 스토퍼20의 장공20b 내에서는 모터22의 회전축22a가 장공20b의 우단(右端)에 접촉한다. 스토퍼20의 장공20c 내에서는 롤러27이 장공20c의 우단에 접촉한다. 장공20b, 20c는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왼쪽 아래로 경사지게 되므로, 스토퍼20은 니들베드 갭2로부터 가장 많이 후퇴한 위치가 된다. 캠23의 돌기23b는 근접센서24에 근접한 위치가 되므로 위치의 검출이 이루어진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팔로워20a가 캠 홈23a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 부근에 있을 때에는, 띠 모양의 스토퍼20은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밀리고, 스토퍼20의 장공20b 내에서는 모터22의 회전축22a가 장공20b의 좌단(左端)에 접촉한다. 스토퍼20의 장공20c 내에서는 롤러27이 장공20c의 좌단에 접촉한다. 장공20b, 20c는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오른쪽 위 로 경사지게 되므로, 스토퍼20은 니들베드 갭2로 가장 많이 진출한 위치가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싱커 장치의 위치조정기구31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위치조정기구31에서는, 띠 모양의 스토퍼20을 평행사변형 링크(link)의 한 변으로 하여 편성포의 편성영역인 니들베드 갭2로 진퇴시킨다. 평행사변형 링크에서 스토퍼20과 대향하는 변으로서는, 니들베드3의 기대4를 이용한다. 기대4에 대하여 일단(一端)이 각각 회전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링크 부재32, 33을 이용하고, 링크 부재32, 33의 타단(他端)을 스토퍼20의 양단(兩端)에 접속한다. 구동기구(驅動機構)34에서 예를 들면 링크 부재32의 경사각도θ을 변화시키면,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띠 모양의 스토퍼20을 링크의 한 변으로 하여 니들베드 갭2로 진퇴시키므로, 스토퍼20의 진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구동기구34는 니들베드3의 폭 방향의 일방에만 이용하면 좋다.
또, 스토퍼20을 진퇴시키는 위치조정기구는, 래크(rack)와 피니언(pinion)을 사용하는 구성, 실린더를 사용하는 구성, 볼 나사를 사용하는 구성 등 그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위치조정기구는 스토퍼20을 진퇴 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22 등을 구동원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구동원으로 위치조정기구를 구동하여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의 위치 등과 무관하게 싱커의 최대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다. 다만 구동원을 대신하여 수동으로 스토퍼20의 위치 를 조정하여도 좋다. 동일한 조건으로 편성포를 양산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한번 최적위치로 조정한 후에 재조정할 필요성이 적기 때문이다.
도6 및 도7은, 도1 및 도2에 대응하여 스토퍼20의 위치를 조정하고, 니들베드 갭2에 얀 피더(yarn feeder)44로부터 편사50을 공급하여 스티치 루프51을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6에서는,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로부터 가장 멀리 후퇴시켜서, 이동 싱커8의 폴8d는 스티치 루프51을 최대의 압입량으로 밀어 내린다. 도7에서는, 스토퍼20을 니들베드 갭2로 가장 많이 진출시켜서, 이동 싱커8의 폴8d는 스티치 루프51을 최소의 압입량으로 밀어 내린다. 스토퍼20의 위치는 도6과 도7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편사50이나 편성포의 조직 등에 따라 알맞은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에서는, 스토퍼20은 니들베드3의 폭 전체에 걸쳐 이동 싱커8의 최대 압입량을 제한하고 있지만, 스토퍼20의 길이를 짧게 하면 부분적으로 제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길이가 짧은 스토퍼를 복수 개 마련하고 이동 싱커8을 구분하여 최대 압입량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싱커8을 싱커 잭9로 원격(遠隔)으로 작동시키고 있지만, 일본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싱커를 캐리지의 캠 기구에 의한 가압으로 작동시키는 것 같은 구성이어도, 니들베드의 바닥부 측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이동 싱커의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싱커가 후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지시키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이동 싱커가 진출된 상태에서 최대 압입량을 제한하는 본 발명을 병용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조정기구는 스토퍼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출하는 정도를 크게 하면, 스프링 가압되는 싱커의 선단부의 접촉부분을 싱커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되돌려서 최대 압입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스토퍼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면, 스프링 가압되는 싱커의 선단부의 접촉부분을 싱커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압입하여 최대 압입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가 니들베드의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있어서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띠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띠 모양의 스토 퍼를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시키면, 니들베드에 설치된 복수의 싱커에 대하여 동시에 최대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캠에 의한 안내로 띠 모양의 스토퍼를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띠 모양의 스토퍼를 진퇴시키는 캠은 니들베드에서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하는 범위보다 폭 방향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니들베드에 설치되는 싱커에 대하여 동시에 최대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띠 모양의 스토퍼를 링크의 한 변으로 하여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퇴시키므로, 스토퍼의 진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원으로 위치조정기구를 구동하여 스토퍼를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의 위치 등과 무관하게 싱커의 최대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다.

Claims (5)

  1.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배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선단(先端) 측에 편침과 함께 설치되는 복수의 싱커(sinker)를 구비하고, 각 싱커는, 스티치 루프(stitch loop)를 가압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선단부를, 니들베드의 일방의 표면의 선단 측 부근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 변위시켜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進退) 시킬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한 가압으로 각 싱커의 선단부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출(進出)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에 있어서,
    각 싱커의 선단부는,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부분보다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접촉부분을 구비하고,
    니들베드의 타방의 표면에 설치되고,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출하고 있는 싱커의 선단부의 접촉부분에 접촉하는 스토퍼와,
    스토퍼가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니들베드의 상기 편성포의 편성영역에 있어서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기구는, 상기 띠 모양의 스토퍼를 안내해서 상기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퇴시키는 캠(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 기구는, 상기 띠 모양의 스토퍼를 링크(link)의 한 변으로 하여 상기 편성포의 편성영역으로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기구는, 상기 스토퍼가 진퇴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원(驅動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싱커 장치.
KR1020067001372A 2003-07-30 2004-07-28 횡편기의 싱커 장치 KR101019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3039A JP4015972B2 (ja) 2003-07-30 2003-07-30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JP-P-2003-00283039 2003-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920A KR20060039920A (ko) 2006-05-09
KR101019466B1 true KR101019466B1 (ko) 2011-03-07

Family

ID=3411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372A KR101019466B1 (ko) 2003-07-30 2004-07-28 횡편기의 싱커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74748B2 (ko)
EP (1) EP1652981B1 (ko)
JP (1) JP4015972B2 (ko)
KR (1) KR101019466B1 (ko)
CN (1) CN100434583C (ko)
DE (1) DE602004020480D1 (ko)
WO (1) WO2005012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6038B2 (ja) * 2004-03-31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
JP5414670B2 (ja) * 2008-06-13 2014-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US8468855B2 (en) * 2011-09-16 2013-06-2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JP6234244B2 (ja) * 2013-03-08 2017-11-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657A (ja) * 1991-09-20 1993-04-02 Sony Corp 映像デイスプレイ装置
JPH0931806A (ja) *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H1025647A (ja) 1996-07-12 1998-01-27 Tsudakoma Corp 可動シンカの動作量設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647A (en) * 1987-07-21 1989-01-27 Nec Corp Console changeover device
JPH03206161A (ja) * 1989-12-28 1991-09-09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KR0123800B1 (ko) 1989-12-28 1997-11-27 마사히로 시마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카장치
JPH03234847A (ja) * 1990-02-09 1991-10-18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可動シンカー
JP2618312B2 (ja) * 1992-07-09 1997-06-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2700204B2 (ja) * 1992-12-15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3498280B2 (ja) * 1996-05-15 2004-0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装置
JP3140990B2 (ja) 1997-08-11 2001-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ループ形成プレートを備えた横編機
TW522186B (en) * 1999-11-17 2003-03-01 Shima Seiki Mfg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AU2003235819A1 (en) * 2002-05-30 2003-12-19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DE102007018744A1 (de) * 2007-02-26 2008-08-28 Bomag Gmbh Sitzvorrichtung zur Anordnung in einer Fahrerkab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657A (ja) * 1991-09-20 1993-04-02 Sony Corp 映像デイスプレイ装置
JPH0931806A (ja) *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H1025647A (ja) 1996-07-12 1998-01-27 Tsudakoma Corp 可動シンカの動作量設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74748B2 (en) 2007-02-13
JP4015972B2 (ja) 2007-11-28
CN1829834A (zh) 2006-09-06
JP2005048334A (ja) 2005-02-24
DE602004020480D1 (de) 2009-05-20
US20060191297A1 (en) 2006-08-31
EP1652981B1 (en) 2009-04-08
KR20060039920A (ko) 2006-05-09
WO2005012612A1 (ja) 2005-02-10
CN100434583C (zh) 2008-11-19
EP1652981A1 (en) 2006-05-03
EP1652981A4 (en)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267B1 (ko) 횡편기의 싱커 장치
US7895862B2 (en) Knitting machine with latch needles and without sinkers
US5557948A (en) Yar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KR101019466B1 (ko) 횡편기의 싱커 장치
EP1340847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KR101129481B1 (ko) 횡편기의 가동 싱커 장치 및 싱커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US5305620A (en) Flat knitting machine
KR100627534B1 (ko) 편직기를 위한 장치
KR101024209B1 (ko)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0469828B1 (ko) 횡편기의실안내장치
WO2010122750A1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EP0955402B1 (en) A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 mechanism and a transferring method thereby
KR20190138649A (ko) 환편기용 싱커 캠
JP3155434B2 (ja) 可動シンカーの駆動装置
JP4348290B2 (ja)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EP2372003A1 (en) Cam device for transfer receiving needle
JP2014201861A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US20210017684A1 (en) Sewing machine
JPH0559646A (ja) 横編地の編成方法及び多段ベツド横編機
JP2676179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KR100768345B1 (ko) 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JP2024519163A (ja) 編み物を製造するためのシンカー、編み装置、および編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