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897B1 - 금속 용융물을 연속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용융물을 연속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897B1
KR101018897B1 KR1020047013462A KR20047013462A KR101018897B1 KR 101018897 B1 KR101018897 B1 KR 101018897B1 KR 1020047013462 A KR1020047013462 A KR 1020047013462A KR 20047013462 A KR20047013462 A KR 20047013462A KR 101018897 B1 KR101018897 B1 KR 101018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screen
casting roll
ro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075A (ko
Inventor
게랄트 호엔비힐러
미하엘 차헤디
칼 클리마
토마스 슈테파네크
구이도 슈테프너
빌헬름 만카우
베르너 쉬머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룹 니로스타 게엠베하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711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188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룹 니로스타 게엠베하,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룹 니로스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9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97Accessories therefor for casting in a protected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13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heating or insulatin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용융물을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캐스팅 롤(2, 3) 및 상기 캐스팅 롤 뒤에 배치된 캐스트 스트립용 하우징(9)을 포함한다. 최소 조립 비용으로 캐스팅 롤의 교체를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캐스팅 롤(2, 3) 및 이웃하는 유닛들의 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기 위해, 상기 캐스팅 롤(2, 3)을 지지하는 프레임(25)과 함께 변위 가능한 구조적 유닛을 형성하는 캐스팅 롤 스크린(1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금속 용융물을 연속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 {DEVICE FOR CONTINUOUSLY CASTING MOLTEN METALS}
본 발명은 금속 용융물, 바람직하게는 용강을 캐스트 스트립으로 연속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을 2롤 캐스팅 기계에서 캐스팅 하는 경우에는, 캐스팅 프로세스 동안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었으며 내부에서 냉각된 각각 2개의 캐스팅 롤이 존재하며, 상기 2개의 캐스팅 롤은 자신들 사이에 형성된 캐스팅 갭의 종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캐스팅 갭의 측면 밀봉은, 캐스팅 롤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정된 측면 플레이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캐스팅 갭 내로는 각각, 캐스팅 갭 상부에 용융조가 형성될 정도로 많은 액체 용융물이 부어진다. 상기 용융조로부터 캐스팅 롤에 도달하는 용융물은 그곳에서 응고되어 캐스팅 롤로부터 캐스팅 갭 내부로 이송된다. 캐스팅 갭 내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캐스팅 롤 상에 형성된 브랜치 셸 및 계속해서 흐를 수 있는 용융물로부터 캐스트 스트립이 형성되며, 상기 캐스트 스트립은 이어서 아래로 캐스팅 갭으로부터 배출되어 계속적인 처리를 위해 제공된다.
캐스트 스트립이 캐스팅 갭을 떠날 때에는 높은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는 산소와의 접촉시 쇠찌끼가 형성되며, 상기 쇠찌끼의 형성은 스트립의 연속적인 계속 처리를 방해한다. 특히 쇠찌끼는 스트립의 캐스팅에 후속하여 실행되는 인라인-열간 캐스팅의 작업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쇠찌끼가 형성되는 주변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들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US-A-5,584,337호, EP-A 776 984호, EP-A 780 177호 및 EP-B 830 223호에는, 논의되고 있는 유형의 장치에서 캐스팅 갭 아래에 하우징을 배치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는 캐스팅 동작 동안 산소를 환원시키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가 유지된다. EP-A 780 177호에는 특히 상기 하우징을 직접 하우징에 접근시키고, 접촉되는 시일에 의해서 기밀 방식의 콘택을 만드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쇠찌끼 형성의 문제 외에 공지된 2롤 캐스팅 기계의 작동 중에는, 캐스트 스트립으로부터 송출된 복사열에 의해 상기 복사열 범위에 있는 2롤 캐스팅 기계의 부품들이 상당히 가열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가열은 한편으로는 캐스팅 롤을 지지하는 캐리어의 변형을 야기한다. 상기 변형은 특히, 관련 캐리어가 캐스팅 롤을 교체하기 위해 이송될 수 있는 프레임으로서 형성된 경우에 캐스트 스트립의 치수 정확성을 보장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2롤 캐스팅 기계 영역에서의 높은 온도는 캐스팅 동작을 관리하려고 캐스팅 보드 상에 있는 관리자에게 상당한 육체적 부담을 야기한다.
또한 캐스팅 갭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우 고온 스트립의 직접적인 복사열은 캐스팅 롤 표면의 신속한 냉각을 감소시키고, 오염물 입자에 의한 캐스팅 롤 표면의 오염도 야기되며, 상기 오염물 입자는 2개 캐스팅 롤 아래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고온 가스 매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포맷 교체와 연관된 캐스팅 롤의 교체시, 즉 주로 캐스팅될 스트립의 스트립 폭이 변동되고 그와 연관하여 캐스팅 롤의 치수(직경, 길이)가 변동되는 경우에는, 캐스트 스트립이 바로 다음에 배치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구조적인 상태들도 변동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부품들을 교체할 필요성도 생기고, 그에 따라 포맷 교체를 위한 시간적인 비용이 현저하게 상승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술된 단점들을 회피하며, 교체 과정 중에 최소 조립 비용으로 캐스팅 롤의 교체를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캐스트 스트립으로부터 배출되는 열에 의한 상기 캐스팅 롤 및 상기 캐스팅 롤을 지지하는 주변 구성의 부하가 감소된, 서문에 기술된 유형의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전술한 선행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금속 용융물, 바람직하게는 용강을 캐스트 스트립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서 해결되며, 상기 장치에는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캐스팅 동작 중에 반대 반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캐스팅 롤이 설치되며, 상기 2개의 캐스팅 롤은 자신들 사이에 형성된 캐스팅 갭의 종측면을 형성하고, 캐스팅 롤 지지부를 수용하는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캐스팅 롤에는 캐스팅 갭으로부터 배출되는 캐스트 스트립의 수송을 위한 수송 경로가 제공되고, 2개 캐스팅 롤 및 캐스팅 갭 아래에 배치된 캐스팅 롤-스크린이 제공되며, 상기 스크린은 캐스트 스트립을 위한 유입 개구를 포함하고, 작업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캐스팅 롤 지지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공된 캐스팅 롤-스크린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캐스팅 롤, 상기 캐스팅 롤의 지지 및 동작을 위해 필요한 부품 및 캐스팅 롤 이웃에 배치된 다른 모든 장치들을 캐스트 스트립에 의해 가열된 상승 가스로부터 매우 효과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은 캐스팅 롤 지지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캐스팅 롤(2, 3)을 수용하는 캐스팅 롤 지지부(2a, 3a)는 프레임(25) 상에 올려지고, 캐스팅 롤-스크린(10)을 지지 프레임(25)에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작업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콤팩트한 부품 그룹이 형성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캐스팅 롤(2, 3)을 수용하는 캐스팅 롤 지지부(2a, 3a)는 프레임(25)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캐스팅 롤-스크린(10)은 캐스팅 롤 지지부(2a, 3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도 콤팩트한 부품 그룹의 장점을 제공한다.
캐스팅 롤-스크린이 지지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은 롤 교체시에 캐스팅 롤 및 캐스팅 롤-스크린과 함께 완전한 유닛으로서 교체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프레임을 작업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송한 후에는, 롤 자체만 관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캐스팅 롤-스크린 및 예를 들어 캐스팅 롤-스크린의 벽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캐스팅 롤-스크린에 차가운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해서 제공된 장치들도 관리될 수 있다. 캐스팅 롤의 치수 변경시에는 캐스팅 롤-스크린의 치수가 간단한 방식으로 동시에 캐스팅 롤의 치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열 스크린의 보호 작용과 관련하여서 그리고 캐스팅 롤 오염의 감소와 관련하여서도 유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스팅 롤-스크린이 뾰족 지붕 형태로, 캐스팅 롤에 의해 한정되고 캐스팅 갭 아래에 존재하는 공간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캐스팅 갭으로부터 배출되는 캐스트 스트립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입 개구가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의 처음 영역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출 영역에 있는 캐스트 스트립의 형상에 매칭되는 캐스팅 롤-스크린의 뾰족 지붕 형태의 형상에 의해서는, 캐스팅 롤뿐만 아니라 상기 롤의 이웃에 배치된 부품들 및 장치들도 캐스트 스트립에 대해 대체로 완전하게 차폐될 수 있다. 유리한 형성예는, 유입 개구의 횡단면이 캐스트 스트립의 횡단면에 매칭된 경우이다. 공간적인 상황들이 롤, 캐스팅 롤-스크린 및 캐스트 스트립의 상기와 같이 좁은 배치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안적으로 캐스팅 롤에 대해 축 평행하게 연장되는 캐스팅 롤-스크린의 유입 개구의 에지를 캐스팅 롤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캐스팅 롤-스크린이 캐스팅 롤의 영역에서 냉각 구역의 단 하나의 측방 한계를 형성하는 반면, 상기 냉각 구역의 상부 한계는 캐스팅 롤 자체에 의해서 형성된다. 캐스팅 롤-스크린은 추가로 벽을 포함하는데, 상기 벽이 캐스팅 롤-정면 영역에서 상기 정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됨으로써, 적어도 상기 벽의 에지는 캐스팅 롤의 정면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캐스팅 롤-스크린의 에지와 캐스팅 롤 사이에 시일이 배치되고, 상기 시일이 바람직하게 캐스팅 롤 표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4 mm 미만으로 이격된 브러시 또는 가요성과 낮은 마모성을 갖는 비이드에 의해서 형성되면, 캐스팅 롤-스크린으로부터 2롤-캐스팅 기계의 보호될 부품들로 고온 가스가 배출되는 것이 거의 완전히 피해진다.
캐스트 스트립의 이송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이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되면, 캐스팅 롤-스크린이 상기 하우징 상에 올려져서 상기 하우징의 부품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하우징은 캐스팅 롤-스크린과 함께, 바람직하게 스트립을 이송 또는 열간 압연하기 위해 상기 이송 경로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이 위치된 곳까지 캐스트 스트립의 이송 경로를 둘러싼다. 이와 같은 형상은 특히, 쇠찌끼의 형성을 저지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불활성 분위기가 유지되는 경우에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스팅 롤-스크린에 하우징이 연결되면,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이 하우징과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간단하고도 규칙적인 관리 가능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은 장점은 특히, 캐스팅 롤-스크린이 이송 가능한 프레임과 결합된 경우에 적용된다. 상기 경우에는 캐스팅 롤-스크린과 하우징 사이에 시일이 존재해야 하며, 상기 시일은 2롤 캐스팅 기계의 영역에서 열부하를 견딘다. 이와 같은 특성은, 상기 시일이 모래로 채워진 그루우브의 형태로 형성되고, 캐스팅 롤-스크린이 하우징 위로 하강한 후에는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이 하부 에지와 함께 상기 그루우브 내부로 잠김으로써 성취된다.
캐스팅 롤 교체를 매우 신속하게 그리고 작동 작업 팀원들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캐스팅 롤 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에는 작업 위치 또는 작동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로 및 그 반대로 보내기 위해 주행로 상에 지지되는 이송 장치, 바람직하게는 주행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동작 시퀀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위해서, 캐스팅 롤 지지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주행 경로 또는 주행 장치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리프팅- 또는 선회 장치에 의해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캐스팅 롤-스크린이 하우징에 배치된 시일로부터 분리된다.
리프팅- 또는 선회 장치에 의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게 형성된 프레임이 작업 위치에서 중간 플레이트 상의 중심에 올려지고, 대기 위치로의 변위를 위해 중간 플레이트에 비해 상승된 위치로 이동되면, 신속하게 실행 가능하고 높은 세팅 정확성을 갖는 교체 장치의 배열 상태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프레임 및 중간 플레이트를 상호 위치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프레임이 중간 플레이트 위로 하강될 때에는, 가로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횡단 방향으로도 중심 맞춤을 확실하게 보증해주는 중심 맞춤(centering) 장치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2가지 방향 각각으로의 중심 맞춤을 위해서는, 상호 무관하게 작용하는 중심 맞춤 장치가 제공된다.
상승하는 고온 가스에 대한 차폐는, 캐스팅 동작 중의 온도가 캐스트 스트립에 의해 가열된 가스의 온도보다 낮도록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상기 냉각 구역을 한정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작용한다. 그럼으로써, 캐스팅 갭의 배출 영역에 가깝게 이웃하여서는, 목적한 바대로 온도의 하강이 야기되는 구역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에 의해서는 자연적이고 열에 의해 야기된 흐름(굴뚝 효과)이 중단되고, 상기 흐름 내에서는 이송 경로를 통해 캐스트 스트립을 이송할 때 상기 캐스트 스트립에 의해 가열된 가스가 스트립의 이송 장치를 향해 상승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장치에서는 냉각 구역이 배리어를 형성하고, 상기 배리어에 의해서는 스트립에 의해 가열된 고온 가스가 캐스팅 롤을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에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스트립 캐스팅 장치에서 가스의 가열에 의해 피할 수 없는 굴뚝 효과에 대해 효과적인 저지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캐스팅 롤-스크린은, 캐스팅 롤로 또는 캐스팅 롤의 영역에 예를 들어 존재하는 작업대로 흘러가는 고온 가스의 흐름을 중단시키는 물리적 장애물이다. 동시에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목적한 바대로 냉각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캐스팅 롤-스크린은 냉각 구역에 있는 가스의 냉각 동작과의 조합에 의해서, 캐스팅 롤의 영역에 투입된 사람의 위험을 결정적으로 감소시킨다.
캐스팅 롤-스크린에 의해 한정된 영역에 냉각 구역을 형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의 하나 이상의 벽이 냉각제-공급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냉각 구역의 형성은 또한, 캐스팅 롤-스크린의 하나 이상의 벽이 유체 냉각됨으로써도 구현된다. 이 목적을 위해, 냉각된 벽은 하나 이상의 냉각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채널을 통해 냉각 유체가 캐스팅 작동 동안 흐른다. 상기와 같은 액체 냉각에 의해서는, 캐스팅 롤-스크린에 작용하는 열이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방출된다. 그와 동시에 캐스팅 롤-스크린의 냉각은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에 충돌하는 가스를 집중적으로 냉각시키며, 상기 가스가 스크린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측으로 흐르는 고온 가스와 혼합됨으로써, 상기 가스도 또한 냉각되어 낮은 온도의 구역이 설정된다.
냉각 구역의 형성은 또한, 냉각 가스를 냉각 구역 내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지원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구역 내로 공급된 냉각 가스의 흐름이 실제로 캐스트 스트립에 의해 가열된 가스의 흐름 방향과 반대로 향하는 경우에는, 냉각 가스의 작용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냉각 가스 흐름의 이와 같은 방향 설정에 의해 저온 가스와 고온 가스의 집중적인 혼합이 야기됨으로써, 단 시간 내에 매우 효과적인 냉각 구역이 구성되고, 고온 가스가 캐스팅 롤-스크린 너머로 상승되는 것이 매우 확실하게 저지된다. 냉각 가스 흐름이 캐스트 스트립의 표면을 스쳐 지나감으로써, 냉각 가스 흐름의 작용은 더욱 상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캐스트 스트립에 의해 가열된 상승 가스뿐만 아니라 스트립 자체도 냉각되어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감소됨으로써, 추가 이송 경로를 진행할 때 스트립과 접촉되는 가스도 덜 가열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스트립 표면을 향한 가스 흐름은 열 배리어에 추가하여, 상기 유동 배리어에 의해서는 바로 스트립 표면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고온 가스의 상승을 유사하게 저지하는 유동 배리어도 형성한다.
이미 냉각 구역의 영역에서 성취된 스트립의 냉각에 의해서는, 스트립의 이송 중에 스트립 표면에서 형성되는 쇠찌끼의 양이 감소된다. 또한, 냉각 영역 내부로 불활성 냉각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쇠찌끼의 형성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킴으로써, 스트립 표면의 냉각이 성취될 뿐만 아니라, 주변 공기중 산소와 캐스트 스트립 표면의 접촉 및 그와 동시에 스트립 표면에서의 보다 큰 쇠찌끼 층의 형성도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다수의 응용예에 바람직하지 않은 스트립의 산화는,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키는 것의 대안 또는 보완적인 방법으로서, 냉각 구역 내부로 유입되는 환원 작용을 하는 저온 가스에 의해 저지된다.
캐스팅 롤-스크린의 형상과 무관하게, 유입 개구의 영역에 각각 노즐이 존재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캐스팅 동작 동안 유입 개구로부터의 가스의 배출을 저지하는 가스 흐름이 배출되면 유리하다. 이와 같은 가스 흐름의 배출은, 유입 개구의 에지가 캐스팅 갭을 떠나는 캐스트 스트립을 밀착하여 둘러쌀 때, 예를 들어 가스 흐름이 가스 분사 나이프의 방식에 따라 스트립을 향해 정렬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비해 캐스팅 롤에 대한 유입 개구의 밀봉이 이루어지면, 상응하는 방식으로 캐스팅 롤을 향해 가스가 분사될 수 있다. 공간적인 상황에 따라, 스트립 또는 캐스팅 롤의 폭에 걸쳐 분배되는 평탄 분사 노즐 또는 원형 분사 노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은 장치의 주변으로부터 캐스팅 롤-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냉각 구역 내부로의 가스, 특히 공기의 흡입을 저지하는 방식으로 분배된다.
캐스팅 롤-스크린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스팅 롤-스크린의 내부는 캐스트 스트립에 할당된 면 상에서의 자신의 열 차폐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내화성 재료로 채워진다.
2롤 캐스팅 장치의 부품들의 부하는, 캐스트 스트립에 의해 가열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가 존재함으로써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캐스트 스트립의 이송 경로의 하우징이 제공된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이 배출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개구에는 배출 장치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되고,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용강로부터 캐스트 스트립을 캐스팅 하기 위한 장치의 제 1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용강을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의 제 2 종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용강을 캐스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제 1 실시예에 따라 작업 위치에서 및 대기 위치에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캐스팅 롤-스크린의 뾰족 지붕 형상을 보여주는 도 3a 및 도 3b의 상세도이며,
도 5는 용강을 캐스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개략도이다.
용강을 캐스트 강 스트립(B)으로 캐스팅하기 위해 2롤 캐스팅 장치로서 형성된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캐스팅 롤(2, 3)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캐스팅 롤은 자신들 사이에 형성된 캐스팅 갭(4) 및 그 위에 배치된 용융조(5)의 종측면을 한정하고, 상기 용융조 내로는 도시되지 않은 중간 용기 또는 캐스팅 팬으로부터 용강이 공급된다. 캐스팅 롤(2, 3)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캐스팅 갭(4) 및 용융조(5)의 2개의 가로면은 각각 캐스팅 롤의 정면에 압착될 수 있는 측면 시일(6)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밀봉 시일은 단 하나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캐스팅 동안에는 캐스팅 롤(2, 3)이 냉각수 흐름에 의해서 연속으로 냉각된다.
캐스팅 갭(4)으로부터 배출된 캐스트 강 스트립(B)은 이송 경로(7)를 통해 열간 압연 스탠드(8) 또는 구동 롤 스탠드로 이송되고, 상기 스탠드 내에서는 소정의 최종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 스트립(W)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열간 압연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이송 경로(7)는 캐스팅 갭(4)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제로 수직으로 진행하는 제 1 섹션을 가지며, 상기 제 1 섹션은 그 다음에 아아크 형태로, 열간 압연 스탠드(8)로 가이드 되고 실제로 수평으로 진행하는 제 2 섹션으로 변환된다.
이송 경로(7)는 열간 압연 스탠드(8)까지 실제로 완전히 하우징(9)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이송 경로를 주변에 대해 차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열간 압연된 열간 압연 스트립(W)은 하우징의 외부에서 비로소 주변 공기와 직접 접촉된다. 캐스팅 롤(2, 3)에 할당된 캐스팅 롤-스크린(10)은 캐스팅 롤-스크린(10)에 비해 크기가 큰 하우징(9)의 상부 에지에 해체 가능하게 올려져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하우징(9)의 상부 에지에서는 모래로 채워진 그루우브(12)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우브 내에는 캐스팅 롤-스크린(10)의 하부 에지 영역이 배치된다. 상기 그루우브(12)는 자신의 내부에 있는 모래와 함께 시일(13)을 형성하고, 이 경우 그루우브(12) 내에 포함된 상기 모래에 의해서는 그루우브(12)의 영역에서 주변 공기가 하우징(9)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14)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캐스팅 롤-스크린(10) 뿐만 아니라 하우징(9)도 이송 경로(7) 상에 할당된 내부면이 내화성 재료로 이루어진 층(15)으로 코팅된다. 상기 층(15)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9)의 외벽의 열부하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내화성 층(15)은 단열부도 형성하며, 상기 단열부에 의해서는 하우징(9)으로부터 주변에 작용하는 복사열이 줄어든다.
캐스팅 롤-스크린(10)은, 캐스팅 롤(2, 3)에 각각 할당된 상기 스크린의 벽(10a, 10b)이 뾰족하게 캐스팅 갭(4)의 방향으로 상호 축소되어 진행하도록 형성되고, 캐스팅 롤(2, 3) 바로 아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방식으로, 뾰족 지붕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9)에 할당된 에지 영역에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은 높이가 낮은 프레임 섹션을 가지며, 상기 섹션에 의해 스크린이 그루우브(12) 내에 배치된다. 이 때 하우징(9) 및 캐스팅 롤-스크린(10)은 측면에서 캐스트 강 스트립(B)의 폭 너머까지 연장되며, 이 경우 하우징(9)은 캐스팅 롤(2, 3)의 폭을 초과하여 돌출하는 부분으로 종료된다.
캐스팅 롤(2, 3)의 폭 위로 돌출하는 부분 내에서는, 캐스팅 롤-스크린(10)의 벽(10a, 10b) 내부로 냉각 채널(16)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 채널을 통해 캐스팅 동작 중에 연속으로 냉각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벽(10a, 10b)은 적어도 캐스팅 롤(2, 3)과 동일하게 냉각된다(도 2).
캐스팅 롤(2, 3) 영역의 캐스팅 롤-스크린(10) 내에는 유입 개구(17)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캐스트 강 스트립(B)이 계속해서 하우징(9) 내부로 유입된다. 프레임 섹션 상에 형성된 상부 에지(18, 19)에는 각각 평탄 분사 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로부터 가스 분사 나이프의 방식에 따라 불활성 가스가 개별 캐스팅 롤(2 또는 3)을 향해 송풍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캐스팅 롤(2, 3)의 이동성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부 에지(18, 19)와 캐스팅 롤(12, 13) 사이에 존재하는 갭 또는 이들 사이의 짧은 거리에 대한 무접촉 밀봉이 생성됨으로써, 주변 공기가 하우징(9)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도 1).
하부 에지(18, 19)와 캐스팅 롤(2, 3) 사이에서 축방향과 평행하게 존재하는 갭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가스를 차단하는 것은 대안적으로 시일(42)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으며, 상기 시일은 캐스팅 롤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 또는 가요성 비이드에 의해서 형성된다(도 4).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팅 롤(2, 3)의 양 정면에서 캐스팅 롤-스크린(10)의 벽(10c, 10d)이 상기 정면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로 연장함으로써, 캐스팅 갭(4)의 출구 영역을 아래로, 캐스트 스트립의 좁은 영역과 평행하게 제한한다. 상기 벽(10c, 10d)의 에지는 캐스팅 롤-정면에 대한 약간의 간격 또는 갭을 커버하는 시일(42)을 지지하며, 이 경우 상기 시일(42)은 압착 가능한 측면 시일(6)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연장하는 벽(10c, 10d)과 압착 가능한 측면 시일(6)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캐스팅 롤-스크린(10)은 하우징(9)의 내부 공간(14)에 할당된 벽(10a, 10b)의 측면에 각각 노즐(22, 23)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캐스팅 동작 중에 각각 불활성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와 환원 가스로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가스 흐름(G)이 하우징(9)의 내부 공간(14)으로 송풍된다. 이 경우 상기 노 즐(22, 23)은, 상기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흐름(G)의 적어도 한 부분이 캐스트 강 스트립(B)의 표면을 스쳐 지나가도록 정렬된다.
그루우브(12) 아래에 간격을 두고 하우징(9)의 측벽에 개구가 하나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는 도시되지 않은 배출 장치로 가이드 되는 배출 파이프(24)가 연결된다.
캐스팅 롤-스크린(10)은, 캐스팅 롤 지지부(2a, 3a) 내에 지지된 캐스팅 롤(2, 3)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장치들을 구비하는 프레임(25)에 고정되며, 상기 장치들은 캐스팅 롤(2, 3)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캐스팅 롤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프레임(25)은 자신에 의해 지지되는 캐스팅 롤-스크린(10)의 캐스팅 롤(2, 3) 및 다른 장치들과 함께 도면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대기 위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대기 위치에서 관리 작업이 이루어진다.
프레임(25) 상에 지지된 캐스팅 롤(2, 3) 및 상기 프레임(25)과 해체 가능하게 결합된 캐스팅 롤-스크린(10)은 도 3a에서는 캐스팅 공정이 이루어지는 작업 위치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고, 도 3b에서는 관리 작업에서, 특히 캐스팅 롤 교체 및 캐스팅 롤-스크린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대기 위치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작업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캐스팅 롤(2, 3)과 캐스팅 롤-스크린(10)의 공통적인 변위를 실행하기 위해, 프레임(25)에는 레일과 결합된 에지(26a)를 갖는 주행 장치(26)가 설치되며, 이 경우 상기 에지(26a)는 바람직하게 레일을 지지하는 정지 상태의 주행 트랙(28) 상에 지지된다. 중간 플레이트(27)에는 주행 장치(26)용 주행 구동 장치(29)가 고정된다. 상기 주행 구동 장치(29)는 체인 휠로 형성되고 구동 모터(31)에 결합된 구동 휠(30) 및 체인 휠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 휠(31)과 구동 체인(33)을 통해 결합된 선회 휠(32)로 이루어진다. 구동 체인(33)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25)에 고정된 구동용 굴대(34)(mandrel)에 의해 프레임(25), 캐스팅 롤(2, 3) 및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작동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송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하게 구동 체인(33)에 결합되는 구동용 굴대(34)에 의해서는, 주행 구동 장치(29)의 중단 없이 중간 플레이트(27)에 대해 프레임(25)이 위로 상승될 수 있다. 캐스팅 롤-스크린(10)의 상부 에지가 모래로 채워진 시일(13)의 그루우브(12)로부터 위로 상승되도록 하기 위해, 주행 장치(26)에는 리프팅- 또는 선회 장치(35)가 할당되고, 상기 장치는 프레임(25)을 주행 장치(26) 또는 중간 플레이트(27)에 비해 위로 상승시키고, 그 때 비로소 작업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상기 리프팅- 또는 선회 장치는 왕복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왕복 실린더는 주행 장치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을 가이드부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시키거나(도시되지 않음), 또는 주행 장치(26)의 휠 쇼울더가 선회 레저(37) 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선회 레버의 한 단부는 프레임(25)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피스톤-실린더 유닛(36)에 의해서 작동되며, 그럼으로써 마찬가지로 프레임(25) 및 캐스팅 롤-스크린(10)의 상승이 구현된다.
프레임(25)을 작업 위치에 유격 없이 고정시키기 위해, 중간 플레이트(27) 상에서는 중심 맞춤 볼트(38)가 위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프레임(25)이 중간 플레이트(27) 상으로 하강할 때 프레임(25) 내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중심 맞춤 홈(39) 내에 삽입된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 상에는 중심 맞춤 휠(40)이 고정되어 있어서, 프레임(25)이 하강할 때 경사진 측면을 갖는 횡단 중심 맞춤 홈(41) 내부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중심 맞춤 장치들에 의해서는 프레임(25)이 상호 2가지 법선 방향으로 중간 플레이트 상에서 정확하게 중심이 맞춰진다. 프레임을 작업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변환하기 위해, 중간 플레이트(27) 상에 올려지는 프레임(25)이 수직 방향으로 상승 거리(h) 만큼 상승됨으로써, 프레임과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용하는 중심 맞춤 장치들은 결합되지 않는다. 대기 위치에서는 프레임(25)이 상승된 위치에 머무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 3b에서 중간 플레이트의 부분인 작업 플레이트 상에 내려진다.
도 5에는 캐스팅 롤(2, 3), 캐스팅 롤 지지부(2a, 3a), 프레임(25) 및 캐스팅 롤-스크린(10)으로 이루어진 부품 그룹의 추가 실시예가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품 그룹은 캐스팅 공정이 이루어지는 작업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관리 작업이 실행되는 대기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될 수 있다.
캐스팅 갭(4)을 형성하는 캐스팅 롤(2, 3)은 캐스팅 롤 지지부(2a, 3a)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25)에 현수되도록 배치되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캐스팅 갭(4)의 측면 밀봉을 위해 압착 가능한 측면 시일(6)이 제공된다. 캐스팅 갭(4)으로부터 배출된 강 스트립(B)은 자신의 이송 경로 상에서 하우징(9)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캐스팅 롤로부터 배출되는 강 스트립의 배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 상에는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올려지며, 상기 스크린은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설계된다. 캐스팅 롤-스크린(10)은 실제로 캐스팅 롤 지지부(2a, 3a)에 고정되며, 이 경우 상기 고정에 의해서는 캐스팅 롤의 상호 수평 간격 변동을 목적으로 2개 캐스팅 롤 중 하나의 캐스팅 롤의 위치 변동이 허용된다. 부품 그룹의 변위는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프레임에 고정된 주행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리프팅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으로서 형성된 리프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팅 롤 동작 동안에는 캐스트 강 스트립(B)이 캐스팅 갭(4)으로부터 연속으로 배출되고, 마찬가지로 연속으로 이송 경로(7)를 통해 열간 압연 스탠드(8)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하우징(9) 내에서는 불활성-가스 분위기가 지배적이며, 상기 분위기에 의해 캐스트 강 스트립(B)의 표면에서 쇠찌끼가 형성되는 것이 저지된다. 열간 압연된 캐스트 스트립과 접촉되고 하우징(9) 내에 포함된 가스는 가열되고, 자체 온도 상승으로 인해 상기 가스는 고온 가스 흐름(T)으로서 캐스팅 롤-하우징(9) 내에서의 이송 방향(F)과 반대로 상승된다.
노즐(22, 23)을 통해서는, 낮은 온도를 갖는 추가의 불활성 가스가 연속으로, 캐스트 강 스트립(B)의 이송 방향(F)으로 스크린(10)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 의해 측면이 한정된 냉각 구역(K) 내부로 송풍된다. 이 경우에는 송풍된 가스 흐름(G)이 캐스팅 갭(4)의 배출구에 직접 연결된 캐스트 강 스트립(B)의 표면을 스쳐 지나감으로써, 스트립 표면의 목적한 냉각이 이루어진다.
차가운 가스 흐름(G)의 송풍, 캐스트 강 스트립(B) 표면의 냉각 및 캐스팅 롤-스크린(10)의 벽(10a, 10b)의 연속으로 실행되는 냉각에 의해, 상기 냉각 구역(K) 내에서는 고온 가스 흐름(T)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계속 유지된다. 냉각 구역(K)에 도달되어 냉각 가스 흐름(G)과 혼합되는 고온 가스 흐름(T)이 상기 냉각 가스 흐름으로 인해 냉각됨으로써, 상기 고온 가스 흐름의 상승 동작이 중단된다. 냉각 구역(K) 앞에서 정체되는, 가스 흐름(G 및 T)으로부터 형성된 가스 용적은 배출 파이프(24)를 통해 배출된다.
스크린(10)에 의해 한정된 냉각 구역(K)을 캐스팅 롤(2, 3)에 매우 가깝게 형성함으로써, 고온 가스 흐름(T)이 프레임(25)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장치들을 가열시키거나 상기 장치(1)에서 근무하는 사람에게 위험 부담을 주는 것이 저지된다.
그와 동시에, 캐스팅 롤-스크린(10)의 벽(10a, 10b)의 연속 냉각에 의해서 캐스트 강 스트립(B)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크린에 적은 열부하가 가해짐으로써,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은 캐스팅 동작 중에도 자신의 형상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캐스팅 롤(2, 3)과 유입 개구(17) 쪽의 에지(18', 19') 사이에는 영구적인 밀폐가 보장된다.
마지막으로, 불활성 가스를 하우징(9) 내부로 송풍함으로써, 캐스트 강 스트립(B)의 표면에 큰 쇠찌끼가 형성되는 것이 저지된다.
그 결과, 캐스팅 롤의 신속한 조작 가능성이 보장되고 상기 캐스팅 롤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의 부하 및 상기 장치에서 작업하는 사람의 부담이 최소로 된 상태에서, 추가 처리에 특히 적합한 표면 상태를 갖는 캐스트 강 스트립(B) 이 형성될 수 있다.

Claims (32)

  1. Figure 112010006768585-pct00001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캐스팅 동작 중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캐스팅 롤(2, 3)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캐스팅 롤은 자신들 사이에 형성된 캐스팅 갭(4)의 종측면을 제한하고, 캐스팅 롤 지지부(2a, 3a)를 수용하는 프레임(25)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Figure 112010006768585-pct00002
    상기 캐스팅 갭(4)으로부터 배출되는 캐스트 스트립(B)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경로(F)를 가지며,
    Figure 112010006768585-pct00003
    상기 2개 캐스팅 롤(2, 3) 및 상기 캐스팅 갭(4) 아래에 배치된 캐스팅 롤-스크린(10)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캐스트 스트립(B)을 위한 유입 개구(17)를 갖는, 금속 용융물을 캐스트 스트립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캐스팅 롤 스크린(10)이 작업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캐스팅 롤 스크린이 캐스팅 롤 지지부를 수용하는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2, 3)을 수용하는 캐스팅 롤 지지부(2a, 3a)가 상기 프레임(25) 상에 올려지고,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상기 프레임(2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2, 3)을 수용하는 캐스팅 롤 지지부(2a, 3a)가 프레임(25)에 현수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상기 캐스팅 롤 지지부(2a, 3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상기 캐스팅 롤(2, 3)의 치수에 맞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상기 캐스팅 롤(2, 3)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캐스팅 갭(4) 아래에 존재하는 공간 내부에서는 뾰족 지붕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2, 3)에 대해 축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의 유입 개구(17)의 에지(18, 19)가 상기 캐스팅 롤(2, 3)에 대해 갭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2, 3)의 정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의 벽(10c, 10d)의 에지(18a, 19a)가 상기 캐스팅 롤(2, 3)의 정면에 대해 갭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 10a, 10b, 10c, 10d)의 에지(18, 19; 18', 19'; 18a, 19a)와 상기 캐스팅 롤(2, 3) 사이에 시일(42)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42)이 캐스팅 롤 표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4 mm미만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브러시 또는 가요성과 낮은 마모성을 갖는 비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개구(17)의 횡단면이 캐스트 스트립(B)의 횡단면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에 하우징(9)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캐스팅 갭(4)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캐스트 스트립(B)의 이송 경로(F)를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과 함께 둘러싸며, 상기 캐스팅 갭(4)의 배출 영역이 시작되는 부분 위에서 상기 캐스팅 롤 스크린(10)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은 스트립을 이송 또는 열간 압연하기 위해 상기 이송 경로 내에 배치되는 제 1 열간 압연장치(8)까지의 상기 캐스트 스트립(B)의 이송 경로(F)를 상기 하우징(9)과 함께,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상기 하우징(9)과 해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과 상기 하우징(9) 사이에 시일(13)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상기 하우징(9) 위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시일(13)이 폐쇄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13)이 모래로 채워진 그루우브(12)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그루우브 내부에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의 상부 에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 지지부(2a, 3a)를 수용하는 프레임(25)이 주행 트랙(28) 상에 지지되는 이송 장치에 의해 작업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 지지부(2a, 3a)를 수용하는 프레임(25)이 주행 트랙(28)에 대해, 리프팅 장치 또는 선회 장치(35)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장치 또는 선회 장치(35)에 의해 상승 가능하게 그리고 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프레임(25)이 작업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임(25)에 연결되는 상기 리프팅 장치 또는 선회 장치(35)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중간 플레이트(27) 상의 중심 맞춤 위치에 배치되고, 대기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27)에 비해 상승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이 냉각 구역(K)을 한정하고, 캐스팅 동작 중에 상기 냉각 구역의 온도는 캐스트 스트립(B)에 의해 가열된 가스의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벽(10a, 10b)이 냉각제-공급 장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벽(10a, 10b)이 냉각 채널(16)들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채널들을 통해 냉각 유체가 캐스팅 동작 동안에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3.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냉각 가스를 냉각 구역(K)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구역(K) 내부로 송풍되는 냉각 가스의 흐름이 캐스트 스트립(B)에 의해 가열된 가스의 흐름 방향과 반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된 냉각 가스가 캐스트 스트립(B)의 표면에 충돌하여 상기 스트립을 스쳐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가스가 불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가스가 환원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의 유입 개구(17) 영역에 평탄 분사 노즐과 원형 분사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이 배치되고, 캐스팅 동작 중에는 상기 유입 개구(17)로부터의 가스 배출을 저지하는 가스 흐름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 롤 스크린(10)이 캐스트 스트립(B)의 폭 방향으로 상기 캐스팅 롤(2, 3)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 스트립(B)에 할당된 상기 캐스팅 롤-스크린(10)의 표면(10a, 10b)이 내화성 재료로 채워지거나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 스트립(B)에 의해 가열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2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3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이 배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에는 상기 캐스트 스트립(B)에 의해 가열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장치(24)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 장치.
KR1020047013462A 2002-02-27 2003-02-26 금속 용융물을 연속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 KR101018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303/2002 2002-02-27
AT0030302A AT411025B (de) 2002-02-27 2002-02-27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vergiessen von metallschmelze
PCT/EP2003/001951 WO2003072281A1 (de) 2002-02-27 2003-02-26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vergiessen von metallschmel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75A KR20040093075A (ko) 2004-11-04
KR101018897B1 true KR101018897B1 (ko) 2011-03-02

Family

ID=367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462A KR101018897B1 (ko) 2002-02-27 2003-02-26 금속 용융물을 연속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48032B2 (ko)
EP (1) EP1478478B2 (ko)
KR (1) KR101018897B1 (ko)
CN (1) CN1305605C (ko)
AT (1) AT411025B (ko)
DE (1) DE50301855D1 (ko)
MX (1) MXPA04008168A (ko)
WO (1) WO2003072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1506A1 (it) 2002-07-10 2004-01-12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 temperatura del nastro in un impianto di colata continua di nastro metallico
AT412539B (de) * 2003-05-06 2005-04-25 Voest Alpine Ind Anlagen Zweiwalzengiesseinrichtung
WO2018119548A1 (zh) * 2016-12-26 2018-07-05 普锐特冶金技术日本有限公司 密封方法、密封装置以及具备该密封装置的连续铸造装置
DE102017209731A1 (de) * 2017-06-08 2018-12-13 Sms Group Gmbh Luftkühlung in Stranggießanlagen
CN112222365A (zh) * 2020-09-16 2021-01-15 东北大学 一种用于双辊薄带连铸机的冷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337A (en) 1994-03-25 1996-12-17 Nippon Stee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thin cast strip
KR100205191B1 (ko) 1994-04-04 1999-07-01 아사무라 다까시 쌍로울식 연속주조법 및 장치
KR100207836B1 (ko) 1995-05-08 1999-07-15 다나카 미노루 금속 코일 연속 제조 장치 및 금속 코일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467A (ja) 1981-12-04 1983-06-09 Kawasaki Steel Corp 金属薄帯製造用急冷ロ−ルの冷却装置
JPS63238953A (ja) 1987-03-27 1988-10-05 Nippon Steel Corp 双ロ−ルを用いた溶融金属の鋳造方法
JPH03291135A (ja) * 1990-04-05 1991-12-20 Nippon Steel Corp 双ロール鋳造法による表面性状の優れた低炭素鋼薄鋳片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FR2665652A1 (fr) 1990-08-13 1992-02-14 Usinor Sacilor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e bande en acier inoxydable semi-ferritique a partir de metal en fusion.
US5638893A (en) 1993-10-07 1997-06-17 Fata Hunter, Inc. Parting agent spray system
AUPN733095A0 (en) * 1995-12-22 1996-01-25 Bhp Steel (Jla) Pty Limited Twin roll continuous caster
AUPN872596A0 (en) 1996-03-19 1996-04-18 Bhp Steel (Jla) Pty Limited Strip casting
EP1473100B1 (en) 1997-09-18 2012-10-31 Castrip, LLC Strip casting apparatus
DE69813424T2 (de) 1997-09-18 2004-03-04 Castrip, Llc Bandgiessanlage
CN1112348C (zh) * 1999-09-10 2003-06-25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液体烷基化二苯胺的制备方法
CH691576A5 (de) * 1999-09-24 2001-08-31 Main Man Inspiration Ag Bandgiessmaschine zur Erzeugung eines Metallbandes.
CH691575A5 (de) * 1999-10-08 2001-08-31 Main Man Inspiration Ag Bandgiessmaschine zur Erzeugung eines Metallbandes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AUPQ436299A0 (en) 1999-12-01 1999-12-23 Bhp Steel (Jla) Pty Limited Casting steel strip
JP4542247B2 (ja) 2000-08-08 2010-09-08 キャストリップ・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ストリップ連続鋳造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RU2281184C2 (ru) 2000-09-19 2006-08-10 Мейн Менеджмент Инспирейшн Аг Ленточная разлив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лент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337A (en) 1994-03-25 1996-12-17 Nippon Stee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thin cast strip
KR100205191B1 (ko) 1994-04-04 1999-07-01 아사무라 다까시 쌍로울식 연속주조법 및 장치
KR100207836B1 (ko) 1995-05-08 1999-07-15 다나카 미노루 금속 코일 연속 제조 장치 및 금속 코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2281A1 (de) 2003-09-04
CN1638892A (zh) 2005-07-13
EP1478478B2 (de) 2010-10-27
MXPA04008168A (es) 2005-05-16
AT411025B (de) 2003-09-25
CN1305605C (zh) 2007-03-21
AU2003210359B2 (en) 2008-03-06
DE50301855D1 (de) 2006-01-12
ATA3032002A (de) 2003-02-15
US20050077024A1 (en) 2005-04-14
EP1478478B1 (de) 2005-12-07
KR20040093075A (ko) 2004-11-04
EP1478478A1 (de) 2004-11-24
US7048032B2 (en) 2006-05-23
AU2003210359A1 (en) 200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519B1 (ko) 금속스트립의 주조장치 및 주조방법
KR100754567B1 (ko) 스트립 연속 주조 장치 및 그 사용방법
ES2299421T3 (es) Precalentamiento, fusion, refinado y colada de carga continua.
JP3948750B2 (ja) 連続鋳造機の金属供給システム
JP3778679B2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ストリップ鋳造装置へ溶融金属を供給する金属供給ノズル
US7484549B2 (en) Continuous casting of reactionary metals using a glass covering
US6073680A (en) Strip casting
KR101018897B1 (ko) 금속 용융물을 연속으로 캐스팅하기 위한 장치
JPH09103855A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双ロール鋳造機の鋳造溜めに溶融金属を送給する耐火ノズル
JPH1085907A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耐火ノズル
JP4263796B2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装置、及び、双ロール鋳造装置の鋳造溜めへと溶融金属を供給する耐火ノズル
WO1993022087A1 (en) Vapor extraction in continuous strip casting
KR910700356A (ko) 야금공정들에게 그리고 야금용기로부터 주입용기에로의 용융금속 운반시에 연소개스의 발생의 방지를 위한 방법 그리고 야금로에서부터 주입 용기에로의 용융금속-운반을 위한 장치
AU732559B2 (en) Casting metal strip
AU731277B2 (en) Strip casting
KR100533126B1 (ko) 금속스트립주조방법및장치
JPH10211553A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双ロールストリップ鋳造装置の鋳造溜めへ溶融金属を供給する耐火ノズル
JPH10211555A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装置、鋳造溜めへと溶融金属を供給する耐火ノズル及び金属ストリップ連続鋳造方法
MXPA97010390A (en) Metal tape for fun
PL205707B1 (pl) Urządzenie do odlewania stopionego metalu, zwłaszcza stopionej stali, do postaci odlewanej taśmy
AU1361097A (en) Metal delivery system for continuous caster
NZ501130A (en) Method of starting-up casting with a twin roll c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