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572B1 - 차량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572B1
KR101013572B1 KR1020080011923A KR20080011923A KR101013572B1 KR 101013572 B1 KR101013572 B1 KR 101013572B1 KR 1020080011923 A KR1020080011923 A KR 1020080011923A KR 20080011923 A KR20080011923 A KR 20080011923A KR 101013572 B1 KR101013572 B1 KR 10101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fter
turntable
par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959A (ko
Inventor
문재성
Original Assignee
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성 filed Critical 문재성
Priority to KR102008001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5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형 주차 건물이나 주차 공간이 각 층별로 구비된 고층 건물에 사용되어 차량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차량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이 탑재되어 승하강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저면에는 탑재된 차량이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턴테이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11923
승강장치, 차량, 주차, 리프터, 방향전환

Description

차량 승강 장치 {Vehicle ascent and desc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형 주차 건물이나 주차 공간이 각 층별로 구비된 고층 건물에 사용되어 차량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차량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차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차문제는 나날이 심각해지는 실정이며, 특히 대도시와 같이 인구밀집지역의 경우 주차공간을 찾지 못한 차량들이 도로를 배회하며 많은 시간과 유류를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며, 주택가 골목이나 소방도로 상에 차량을 무분별하게 주차함으로써 긴급 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주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제한된 공간안에 최대한 많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의 주차건물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차건물들에 사용되는 차량승강장치는 운전자들이 작동에 대한 불편함이나 고장발생에 대한 두려움 등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들이 작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리프터 내부에서 방향 전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주차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는, 차량이 탑재되어 승하강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저면에는 탑재된 차량이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턴테이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는 차량이 탑재되는 탑재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탑재 플레이트는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1레일의 중심부에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는 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의 탑재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피니언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는 제2구동모터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의 입구부는 전면에 설치되고, 출구부는 양 측면에 두 개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는 상기 출구부와 연결 되도록 제2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에 의하면, 입출고시 방향 전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승강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운전자들이 작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리프터 내부에서 방향 전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여 주차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터의 입구부 및 출구부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다면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외에도 카트를 통해 운반되는 화물을 고층으로 이송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이 가능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의 입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를 이용한 주차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층형 주차 건물이나 주차 공간이 각 층별로 구비된 고층 건물에 사용되어 차량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차량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는 크게 차량이 탑재되어 승하강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리프터(400)는 저면에 회전가능한 턴테이블(430)이 설치되는데, 상기 턴테이블(430)은 차량 승강기의 전면에 설치된 입구부(460)를 통해 입고된 차량이 리프터(400) 내에서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430)의 하부에는 원형으로 제1레일(432)이 설치되고, 상기 제1레일(432)의 중심부에는 제1구동모터(434)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레일(432)의 상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430)을 회전시킴으로써 입고된 차량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430)의 상부에는 차량이 탑재되는 탑재 플레이트(44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탑재 플레이트(440)는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터(400) 내부에 입고된 차량이 각 층에 형성된 주차공간에 도착했을때 비어있는 실내 주차장(420)에 주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턴테이블(430)의 상부에는 랙기어(436)가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436)와 대응되는 위치의 탑재 플레이트(440)의 하면에는 피니언기어(446)가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446)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448)의 구동에 의해 탑재 플레이트(44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400)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부(460)를 통해 탑재 플레이트(440)의 상부로 입고된 차량은 턴테이블(430)의 회전에 의해 90도 회전하게 되고, 리프터(400)의 상승에 의해 주차하고자 하는 층에 도착하게 되면 주차정보 표시부(미도시)에 의해 표시된 주차정보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430)의 상부에 설치된 탑재 플레이트(440)가 좌 또는 우로 이동하여 비어 있는 실내 주차장(420)으로 바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프터(400)로부터 차량이 빠져나가는 출구부(470)는 리프터(400)의 좌,우 양 측면에 2개씩 형성되고, 각 층의 실내 주차장(420)가 리프터(400)의 양 측면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한 층에 총 4대 이상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건축법상 차량승강장치 한 대당 수용할 수 있는 차량이 30대로 제한되므로 고층 아파트의 경우 상기 리프터(400)를 병렬로 2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430)의 상부에는 각 층에 설치된 실내 주차장(420)와 연통되도록 제2레일(482)이 설치되고 상기 제2레일의 상부에는 리프터(400)에 입고되는 차량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파렛트(480)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이송파렛트(480)의 상부에 안치시키면 자동으로 원하는 실내 주차장(420)에 주차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승강장치를 이용하여 각 층에 위치한 실내 주차장(420)에 차량을 주차시키는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T"자형 입출고 모델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터(400)의 전면에 설치된 입구부(460)를 통해 리프터(400)의 내부로 입고된 차량이 해당 층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프터(4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출구부(470)를 통해 비어 있는 주차공간으로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이 리프터(400) 앞에 도착하면 차량을 인식하는 자동 인식 시스템(미도시)의 차량승강장치 제어부(미도시)는 차량을 감지하여 리프터(400)를 1층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리프터(400)의 전면에 위치한 입구부(460)가 열리게 되고 운전자는 차량을 리프터(400)의 내측에 설치된 탑재 플레이트(440) 상부로 이동시킨다. 차량이 입고되면 자동 인식 시스템에서 추출된 주차 가능 지역 정보를 토대로 하여 주차 정보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차량승강장치 제어부(16)에서는 차량이 소속된 층수 및 주차칸을 식별하게 되고 입구부(460)가 닫히게 된다.
그 후, 제1구동모터(434)의 작동에 의해 제1레일(432)이 회전하면서 턴테이블이 90도 회전하게 되어 차량의 전면이 차량 승강기의 양 측면에 설치된 출구부(470)를 향하게 되고 리프터(400)가 상승한다.
리프터(400)가 해당 층에 도착하게 되면 주차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차량이 탑재된 탑재 플레이트(440)가 제2구동모터(448)에 의해 작동되는 피니언 기어(446)의 구동에 의해 랙 기어(436)를 따라서 비어 있는 주차공간을 향해 좌 또는 우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해당 출구부(470)가 열리게 되어 운전자는 비어 있는 실내 주차장(420)으로 차량을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차가 완료되면, 출구부(470)가 다시 닫히게 되고, 리프터(400)는 다른 차량이 들어올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다음, 도 8은 리프터(400)를 이용하여 각 층에 위치한 실내 주차장(420)에 차량을 주차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주차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지만 리프터(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탑재 플레이트(440)가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즉, 상기 리프터(400)의 구성을 보다 간소화시킨 것으로, 이러한 리프터(400)는 리프터(400)가 승,하강하는 승강로와 실내 주차장(420)으로 연결되는 출구부(470)의 폭이 약 2.7M 이상일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400)의 내부로 입고된 차량이 턴테이블(430)에 의해 좌 또는 우측으로 45도 또는 135도 만큼 회전하여 상기 탑재 플레이트(440)가 좌,우로 슬라이딩 되지 않아도 차량을 운전하여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건축법에 의해 리프터(400) 한 대당 운영가능한 차량의 수가 30대로 제한되므로 2대의 차량이 주차가능한 실내 주차장(420)가 리프터(400)의 양 측에 설치된 고층 아파트(9층 이상)의 경우에는 리프터(400) 한 대만으로는 전체 차량을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400) 2대를 병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턴테이블(43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재 플레이트(440)를 이송파렛트(480)로 대체하고, 상기 이송파렛트(480)의 저면에는 제2레일(482)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상기 이송파렛트(480) 상부에 차량을 위치시키면 실내 주차장(420)에 주차시킬 때까지 어떠한 운전 조작도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430)의 상면과 각 층에 형성된 실내 주차장(420)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제2레일(482)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파렛트(480)가 상기 제2레일(48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주차를 하기 위한 전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파렛트(480)를 이송시키기 위한 세부 구성은 종래의 주차타워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세부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400)의 입구부(460)가 측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출구부(470)는 상기 입구부(460)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되고, 차량이 리프터(400)의 내부로 입고된 후에 회전할 필요가 없으므로 턴테이블(430)의 구성이 필요없고, 차량이 탑재되는 탑재 플레이트(440) 또는 이송파렛트(48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만 있으면 되므로 리프터(400)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터의 입구부 및 출구부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다면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외에도 카트를 통해 운반되는 화물을 고층으로 이송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형 주차 건물이나 주차 공간이 각 층별로 구비된 고층 건물에 사용되어 차량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차량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 중 리프터의 입구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승강장치를 이용한 주차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 리프터 420 : 실내 주차장
430 : 턴테이블 440 : 탑재 플레이트
460 : 입구부 470 : 출구부
480 : 이송 파렛트

Claims (8)

  1. 차량이 탑재되어 승하강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저면에는 탑재된 차량이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는 차량이 탑재되는 탑재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탑재 플레이트는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하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의 중심부에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는 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의 탑재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피니언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제2구동모터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입구부는 전면에 설치되고, 출구부는 양 측면에 두 개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는 상기 출구부와 연결 되도록 제2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승강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일의 상부에는 이송파렛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승강장치.
KR1020080011923A 2008-02-05 2008-02-05 차량 승강 장치 KR10101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23A KR101013572B1 (ko) 2008-02-05 2008-02-05 차량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23A KR101013572B1 (ko) 2008-02-05 2008-02-05 차량 승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59A KR20090085959A (ko) 2009-08-10
KR101013572B1 true KR101013572B1 (ko) 2011-02-14

Family

ID=4120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923A KR101013572B1 (ko) 2008-02-05 2008-02-05 차량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3119A (zh) * 2014-12-25 2015-04-22 梁晓军 一种横移停车驱动装置
CN106437228B (zh) * 2016-08-23 2019-10-08 上海交通大学 一种基于车架机械臂与回转车板的双层无障碍停车系统
KR102451891B1 (ko) 2017-10-24 2022-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CN108756358B (zh) * 2018-04-26 2020-05-19 温州如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停车用设备
CN108756396B (zh) * 2018-04-27 2021-03-26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立体车库的车位控制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KR102605242B1 (ko) * 2023-01-16 2023-11-23 황영학 자동 밸런싱 기능을 갖는 차량 리프트 및 차량 리프팅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220B1 (ko) * 1994-06-15 1998-04-08 이상영 파레트 교환방식 입체주차설비
KR19990073695A (ko) * 1998-03-02 1999-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장치
KR20000064175A (en) * 2000-06-10 2000-11-06 E Z Parking Co Ltd Hydraulic driving type parking equipment
JP2003328582A (ja) * 2002-05-16 2003-11-1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平面往復方式駐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220B1 (ko) * 1994-06-15 1998-04-08 이상영 파레트 교환방식 입체주차설비
KR19990073695A (ko) * 1998-03-02 1999-10-0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장치
KR20000064175A (en) * 2000-06-10 2000-11-06 E Z Parking Co Ltd Hydraulic driving type parking equipment
JP2003328582A (ja) * 2002-05-16 2003-11-1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平面往復方式駐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59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572B1 (ko) 차량 승강 장치
KR102447754B1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JP5351654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634223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の乗降デッキ装置、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
JP2008031635A (ja) 立体駐車装置
KR10084851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JP547614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72123A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及びエレベータ式自走縦重列立体駐車設備
JP5013783B2 (ja) 箱形循環式駐車装置
KR19980063701A (ko) 엔 캡, 2엔 랜딩, 및 3엔 덱크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시스템
KR102668556B1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JP4311518B2 (ja) バース付き機械式駐車装置及びその入出庫方法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759247B2 (ja) 昇降床を設けた駐車装置の乗込場
JP5025516B2 (ja) 立体駐車装置
JP2759248B2 (ja) 昇降床を設けた駐車装置の乗込場
JP3712149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4233988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030015323A (ko) 포크승강기식 주차설비
KR20220162112A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주차 시스템
JP4379850B2 (ja) 複数の入出庫口を有する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H10299279A (ja) 縦型立体駐車場
JPH07324513A (ja) 立体駐車場
JPH1061237A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H06321462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