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994B1 -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994B1
KR101004994B1 KR1020087003550A KR20087003550A KR101004994B1 KR 101004994 B1 KR101004994 B1 KR 101004994B1 KR 1020087003550 A KR1020087003550 A KR 1020087003550A KR 20087003550 A KR20087003550 A KR 20087003550A KR 101004994 B1 KR101004994 B1 KR 10100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t resin
heat resistant
conductor
printed wiring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628A (ko
Inventor
아츠시 모모타
이치로 데루누마
다케시 하세가와
야스오 다케무라
요시후미 하타케야마
히로시 하라다
마코토 가토
Original Assignee
교에이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에이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교에이 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8Composite multilayer circuits, i.e. comprising insul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 H05K3/4691Rigid-flexible multilayer circuits comprising rigid and flexible layers, e.g. having in the bending regions only flexibl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6Multilayers with layers of different ty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87Dielectric layers with regions of different dielectrics in the same layer, e.g. in a printed capacitor for locally chang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95Dielectric or adhesive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e.g. in a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95Metallic connector elements partly mounted in a hole of the PCB
    • H05K2201/10303Pin-in-hole mounted p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30Details of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5K2203/01 - H05K2203/17
    • H05K2203/308Sacrificial means, e.g. for temporarily filling a space for making a via or a cavity or for making rigid-flexible PC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 H05K3/4655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by using a laminate characterized by the insulating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8Assembling formed circuit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6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by forming conductive walled aperture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전장 부품의 실장이 용이하고(제조성·조립성이 높은 기판 회로의 실현),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 제조가 용이한 굴곡식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간극 부분(1A)을 사이에 두고 배열 설치되는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에, 상기 간극 부분(1A)의 상면과 함께 내열성 수지층(31)을 적층하고, 상기 코어재(1)의 이면에 간극 부분(1A)을 제외하고 내열성 수지층(32)을 적층함과 아울러, 상기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 고착하고, 해당 도체층(4)을 식각 처리하여 회로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한다.
간극 부분, 코어재, 내열성 수지층, 도체층(4),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적층판

Description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BENDING-TYPE RIGID PRINTED WIRING BOAR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부품 등의 실장이 용이하고,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한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 등의 제품 기능 향상 등의 요청에서 전장 부품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면 전기 부품 등의 실장이 용이하고 장착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킬 것이 요구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등의 배선 분기를 행함에 있어서 와이어 하니스와의 접속부, 퓨즈, 릴레이 등의 부품을 한 곳에 모아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기 접속 상자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접속 상자에서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배선재(이하, 내부 회로라고 함)로서 경질의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회로를 형성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베이스 기재(101)의 표면 및 이면에 동박이나 은박 등의 도체층(102)을 입힌 적층판(103)을 사용하고(도 15(a) 참조), 상기 적층판(103)을 구멍뚫기하여 이루어지는 기판 관통 구멍을 도금 처리함으로써 쓰루홀(104)(표면 및 이면의 도체층(102)끼리의 전기적 도통성을 도모하는 바이어 쓰루홀(104a)이나,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하기 위한 실장용 쓰루홀(104b))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적층판(103)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101)의 표면 및 이면에 회로(102a)를 형성하고(도 15(b) 참조), 또한 레지스트(절연재)(105)로 회로 표면을 피복하여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을 제조하였었다(도 15(c) 참조). 또한 적층 프레스함으로써 다층 배선판도 마찬가지로 제조하였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에 전기 부품을 실장하고,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내부 회로의 배선재(기판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부품과의 접속용 커넥터나 퓨즈, 릴레이 등의 전기 부품과의 접속부에는 미리 접속 단자(20)를 삽입하기 위한 실장용 쓰루홀(104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장용 쓰루홀(104b)에 접속 단자(20)를 압입한 후, 플로 납땜 또는 리플로 납땜의 공정을 거쳐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과 접속 단자(20)를 접속하였었다.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회로의 도통성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어 쓰루홀(104a)과, 접속 단자(20)가 압입되는 실장용 쓰루홀(104b)을 설치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에 접속 단자(20)를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실장용 쓰루홀(104b)은 기판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각각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를 구성하는 경 우, 접속 단자(20)의 배열 설치 위치가 표면과 이면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기판 회로를 설계할 필요가 있어, 기판 회로의 투영 면적이 커지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 및 이면에 각각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의 표면에 배열 설치한 접속 단자(20)를 땜납(21)에 의해 고정하는 공정과,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의 이면에 배열 설치한 접속 단자(20)를 땜납(21)에 의해 고정하는 공정에 의해 접속 단자(20)를 각각 납땜하여야 하였다. 즉 2회의 납땜의 공정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을 전선(107)으로 접속하고, 전선(107)으로 접속된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을 전선 부분에서 굴곡함으로써 양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를 취득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2004-192546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선(107)으로 접속된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을 전선 부분에서 굴곡시킴으로써 구성되는 기판 회로는, 전선(107)으로 접속된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의 표면에 각각 배열 설치된 접속 단자(20)를 납땜하여 고정한 후(도 17(a) 참조),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을 상기 전선 부분에서 굴곡시키고, 양면에 접속 단자가 배열 설치된 기판 회로를 취득하기 때문에(도 17(b) 참조), 접속 단자(20)를 고정하기 위한 땜납 공정이 1회이면 되고, 또한 기판 양면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접속 단자(2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의 회로끼리를 각각 접속하도록 전선(107)을 부착하여야 하며, 이 전선의 부착 공정에 시간이 걸림과 아울러, 각 기판의 회로끼리를 접속하는 전선(107)의 수가 많을수록 상기 전선(107)으로 접속된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을 전선 부분에서 굴곡시키기가 어려워 굴곡후에도 전선(107)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0)의 회로끼리를 접속하는 각 전선(107)의 길이를 완전히 일치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굴곡후의 형상을 균일하게 관리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판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의 표면에 임의의 회로를 형성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상기 베이스 기재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를 설치하고, 해당 굴곡부에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굴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대전류용 회로(예컨대 전기 접속 상자의 내부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예컨대 전자 회로)를 형성함으로써 기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은, 간극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배열 설치되는 경질의 코어재의 표면에, 상기 간극 부분의 상면과 함께 내열성 수지층을 적층하고, 상기 코어재의 이면에 간극 부분을 제외하고 내열성 수지층을 적층함과 아울러, 상기 내열성 수지층을 통하여 도체층을 적층 고착하고, 해당 도체층을 식각 처리하여 회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체층의 동일면 상에 층두께가 다른 도체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동일 기판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경질의 코어재에 실시한 간극 부분에 내열성 수지재를 매설하는 공정과, 그 표면 및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을 통하여 도체층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적층판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판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의 표면 및 이면에 회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경질의 코어재의 간극 부분의 이면에 있는 도체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간극 부분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를 그 이면의 내열성 수지층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를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를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굴곡부에서 굴곡 가능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취득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따르면, 경질의 베이스 기재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굴곡부에서 프린트 배선 기판을 굴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전기 부품을 실장하고,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내부 회로의 배선재(기판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표면에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한 후, 상기 굴곡부에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굴곡시키고, 양면에 접속 단자를 설치한 기판 회로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의 배열 설치 위치를 임의로 설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속 단자의 납땜 공정도 1회이면 된다. 또한 전선으로 접속한 2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전선 부분에서 굴곡시킨 기판 회로와 달리, 경질의 베이스 기재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에서 1장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굴곡함으로써 구성되기 때문에 대향하는 기판면의 회로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전선을 배선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경질의 코어재의 일부에 미리 간극 부분을 만들어 두고, 해당 간극 부분에 내열성 수지재를 매설함과 아울러, 그 표면 및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을 통하여 도체층을 적층한 적층판을 사용하고, 상기 적층판으로부터 간극 부분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를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를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특성이 다른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플렉시블부와 리지드부를 겸비한 다층 구조의 리지드 플렉스 기판과 달리 구조가 간단하여 염가에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도체층의 동일면 상에 층두께가 다른 도체 부분을 형성하고, 대전류용 회로(예컨대 전기 접속 상자의 내부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예컨대 전자 회로 등)를 형성함으로써 기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적층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간극 부분에 매설한 내열성 수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한쪽 면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다층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동일면 상에 층두께가 다른 도체 부분을 갖는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의 제1 설명도.
도 9는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의 제2 설명도.
도 10은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의 제3 설명도.
도 11은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의 제4 설명도.
도 12는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의 제5 설명도.
도 13은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4는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의 단면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부호의 설명>
1…경질의 코어재, 11…실드판화된 코어재,
1A…간극 부분, 2…내열성 수지재,
31, 32…내열성 수지층, 32A…노치,
4…도체층, 구리층, 4A…두꺼운 도체 부분,
4B…얇은 도체 부분, 14…회로,
14a…대전류용 회로, 14b1∼14b6…소전류용 회로,
5, 51∼54…경질의 베이스 기재, 6, 61∼64…적층판,
7…쓰루홀, 7a…바이어 쓰루홀,
7b…실장용 쓰루홀, 8…노출부,
9…레지스트, 91…절연 피막,
10…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10A…굴곡부,
20…접속 단자, 21…땜납,
30…굽힘 지그, 40…도체판,
41…구멍부, 42…절연 기재,
43…도체, 44…도체 적층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굴곡식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은, 경질 베이스 기재(5)의 표면 및 이면에 도체층(4)을 입힌 적층판(6)을 식각 처리하여 임의의 회로(14)를 형성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에 있어서, 상기 경질의 베이스 기재(5)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판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 1(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에 해당하는 곳을 제거한 경질의 코어재(1)를 사용하고, 해당 간극 부분(경질의 코어재가 제거된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다. 그리고,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가 매설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 및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고, 그 후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양면에 도체층(4)을 입힌 적층판(6)을 제조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리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코어재(1)를 사용하고, 층두께 0.4mm의 평판형의 경질의 코어재(1)의 중심 부분에 코어재의 일부를 홈 형태로 제거한 간극 부분(1A)을 설치함으로써 굴곡부에 해당하는 곳에 간극 부분(1A)을 형성하였다(도 1(a) 참조).
그리고, 상기 간극 부분(1A)에 층두께 0.4mm의 테프론(등록상표) 시트나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하고, 굴곡부에 해당하는 곳에 내열성 수지재(2)가 매설된 경질의 코어재(1)를 제조한다.(도 1(b) 참조).
경질의 코어재의 일부에 미리 간극 부분(1A)을 형성해 둠으로써 후공정에서 해당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경질의 베이스 기재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할 수 있다.
또한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함으로써 후공정에서(도체층(4)을 입혀 적층판(6)을 제조할 때) 가열 프레스시의 압력을 균일화할 수 있다.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후, 상기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과 이면에 층두께 0.1mm의 내열성 수지층(31, 32)(구리층(4)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에 해당)을 통하여 층두께 200μm∼600μm의 구리층(4)을 적층하고(도 1(c) 참조),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양면에 구리층(4)을 입힌 적층판(6)을 제조한다(도 1(d)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내열성 수지층(31, 32)으로서 층두께 0.1mm의 본딩 시트(31)와 층두께 0.1mm의 유리 에폭시 수지 시트(프리프레그)(32)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에 본딩 시트(31)를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함과 아울러, 경질의 코어재(1)의 이면에 유리 에폭시 수지 시트(프리프레그)(32)를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양면에 구리층(4)을 입힌 적층판(6)을 제조하였다.
또한, 경질의 코어재(1)의 양면에 본딩 시트를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한 적층판이나, 경질의 코어재(1)의 양면에 유리 에폭시 수지 시트(프리프레그)를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한 적층판을 제조할 수도 있다.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내열성 수지층(31, 32)(본딩 시트나 유리 에폭시 수지 시트(프리프레그))이 열경화되고, 경질의 코어재(1)에 상기 내열성 수지층(31, 32)이 접착(일체화)되고, 층두께 0.6mm의 경질의 베이스 기재(5)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구리층(4)이 접착되고,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양면에 구리층(4)을 입힌 적층판(6)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코어재(1)에 유리 에폭시 수지 시트(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가열 프레스하면, 경질의 코어재(1)와 유리 에폭시 수지 시트(프리프레그)가 일체화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코어재(1)에 형성한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해 둠으로써 가열 프레스시에 간극 부분(1A)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 프레스시에 압력이 균일화되어 해당 간극 부분(1A)에 파임을 발생시키지 않고 적층판(6)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코어재(1)의 중앙 부분에 코어재의 일부를 홈 형태로 제거한 간극 부분(1A)을 설치하고, 해당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함과 아울러 그 표면 및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31, 32)을 적층하였다.
또한 도 2(a)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코어재(1)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홈 형태의 간극 부분(1A)을 형성하고, 해당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시킨 것에 내열성 수지층(31, 32)을 적층하였으나, 경질의 코어재(1)를 복수 사용하고, 각 코어재를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함으로써 간극 부분(1A)을 갖는 코어재(1)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코어재(1)의 이면에 상기 간극 부분(1A)과 동일한 노치(32A)를 실시한 내열성 수지층(32')을 적층하고, 해당 내열성 수지(32')를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 4 참조)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경질의 코어재(1)의 양면에 상기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경질의 코어재(1)에 형성한 간극 부분(1A)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간극 부분(1A)에 있어서 파임을 발생시키지 않고 경질의 베이스 기재(5)에 구리층(4)을 입힌 적층판(6)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층판(6)에 회로(14)나 쓰루홀(7)(바이어 쓰 루홀(7a)이나 실장용 쓰루홀(7b))을 형성한 후, 해당 적층판(6)의 주연 부분을 절단함과 아울러(도 2(b) 참조),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함으로써 굴곡부(10A)가 기판 중앙을 횡단하도록 배치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취득하였다(도 2(c) 참조). 또한 주연 부분 절단전에 간극 부분(1A)으로부터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 3(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판(6)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표면 및 이면에 임의의 회로(14)를 형성함과 아울러, 쓰루홀(7)(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회로끼리의 도통성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어 쓰루홀(7a)이나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하기 위한 실장용 쓰루홀(7b))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후,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해당 내열성 수지재(2)의 이면에 적층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층(32)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일부에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양면에 구리층(4)을 입힌 적층판(6)의 필요한 곳을 구멍뚫고, 해당 구멍뚫은 곳(기판 관통 구멍)을 도금 처리함으로써 쓰루홀(7)(경질의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형성되는 구리층(4)끼리의 도통성을 확보하는 바이어 쓰루홀(7a)이나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하기 위한 실장용 쓰루홀(7b))을 형성함과 아울러(도 3(a) 참조), 상기 적층판(6)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상기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양면에 임의의 회로(14)를 형성하였다(도 3(b) 참조).
또한 적층판(6)을 식각 처리하고,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이면에 임의의 회로(14)를 형성함에 있어서,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해당하는 곳(내열성 수지재(2)의 이면)의 구리층(4)을 식각으로 제거해 둔다(노출부(8)).
그리고, 상기 노출부(8)에 있어서 내열성 수지층(32)을 컷팅하고,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와 함께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형성하였다(도 3(d) 참조).
즉 간극 부분(1A)에 매설한 내열성 수지재(2)를 이면의 내열성 수지층(32)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일부에 층두께 0.1mm의 내열성 수지층(31)(본딩 시트)의 1층으로만 이루어지는 박육부가 형성되고, 해당 박육부에 있어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굴곡시킬 수 있다(굴곡부(10A)).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에서는 1층의 내열성 수지층(3)(본딩 시트(31))으로만 이루어지는 박육부의 표면에는 층두께 200μm∼600μm의 구리층(4)을 식각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회로(14)가 형성되어 있고, 굴곡부(10A)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되는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끼리의 접속이 확보되어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가 매설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에 내열성 수지층(31)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과 아울러, 경질의 코어재(1)의 이면에 상기 간극 부분(1A)과 동일한 노치(32A)를 실시한 내열성 수지층(32')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1)의 양면에 도체층(4)을 입힌 적층판(61)을 제조하고, 이 적층판(61)으로부터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함으로써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리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0.4mm의 평판형의 경질의 코어재(1)의 중심 부분에 코어재의 일부를 홈 형태로 제거한 간극 부분(1A)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층두께 0.5mm의 테프론(등록상표) 시트나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하고, 간극 부분(1A)의 이면에 있어서 내열성 수지재(2)가 돌출한 높이 0.1mm의 볼록부를 형성하였다. 또한 경질의 코어재(1)의 이면에 적층되는 내열성 수지층(32')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노치(32A)를 형성하고,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 및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층두께 200∼600μm의 구리층(4)을 적층하였다(도 4(a) 참조).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에 내열성 수지층(31)을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하고, 이면에 노치(32A)를 실시한 내열성 수지(32')를 통하여 구리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내열성 수지층(31, 32')이 열경화되고, 경질의 코어재(1)에 상기 내열성 수지층(31, 32')이 접착(일체화)되어 층두께 0.6mm의 경질의 베이스 기재(5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구리층(4)이 접착되고, 경질의 베이스 기 재(51)의 양면에 구리층(4)을 입힌 적층판(61)을 취득할 수 있다.(도 4(b)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의 이면에는 내열성 수지층(32')이 개재되지 않고 구리층(4)이 적층되어 있다.
그 후, 적층판(61)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1)의 표면 및 이면에 임의의 회로(14)를 형성함과 아울러, 쓰루홀(7)(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회로끼리의 도통성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어 쓰루홀(7a)이나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하기 위한 실장용 쓰루홀(7b))을 형성한다.(도 4(c) 참조)
또한 적층판(61)을 식각 처리하고, 경질의 베이스 기재(51)의 이면에 임의의 회로(14)를 형성함에 있어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의 이면의 구리층(4)을 식각으로 제거해 둔다(노출부(8)).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1)의 일부에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형성한다.
이상, 경질의 베이스 기재(51)의 표면 및 이면에 회로(14)가 형성된 양면 배선 기판에 있어서, 경질의 베이스 기재(51)를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설치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설명하였으나,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은 양면 배선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한쪽 면)에 내열성 수지층(3)을 통하여 도체층(4)을 입힌 적층판(62)을 사용하여(도 5(a) 참조), 해당 적층판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 질의 코어재(1)와 내열성 수지층(3)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베이스 기재(52)의 표면에 회로(14)를 형성함과 아울러(도 5(b) 참조),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하고, 경질의 베이스 기재(52)의 일부에 1층의 내열성 수지층(3)로만 이루어지는 박육부를 설치함으로서 경질의 베이스 기재(52)를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갖는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한쪽 면 배선판)을 취득할 수 있다(도 5(c) 참조).
또한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판화한 코어재(11)를 사용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갖는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다층 배선판)을 취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에 회로(14)를 형성한 리지드 배선판의 표면에 내열성 수지층(31)을 통하여 경질의 코어재(1)를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하여 실드판화한 경질의 코어재(11)를 제조함과 아울러(도 6(a) 참조), 해당 실드판화한 경질의 코어재(11)의 일부를 제거하여 간극 부분(1A)을 형성하고(도 6(b) 참조), 상기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의 실드판화한 코어재(11)의 표면에 내열성 수지층(31)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고, 이면에 노치(32A)가 실시된 내열성 수지층(32')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3)의 양면에 도체층(4)을 입힌 적층판(63)을 제조한다(도 6(c) 참조). 그리고 상기 적층판(63)을 식각 처리하여 경질의 베이스 기재(53)의 표면 및 이면에 회로(14)를 형성함과 아울러, 간극 부분(1A)의 이면에 있는 도체층(4)을 식각으로 제거하고(도 6(d) 참조), 또한 상기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갖는 다층 배선판을 취득할 수 있다(도 6(e) 참조).
다음,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도체층(4)의 동일면 상에 층두께가 다른 도체 부분(4A, 4B)을 형성함으로써 동일 기판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두께 175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600μm의 두꺼운 도체 부분(4A)과, 두께 105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8∼70μm의 얇은 도체 부분(4B)으로 이루어지는 도체층(4)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175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600μm의 도체판(40)과, 상기 구멍부의 형상과 도체판의 두께에 맞추어 형성된 도체 적층재(44)(얇은 도체(43)가 입혀진 도체 적층재(44))를 사용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175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600μm의 도체판(40)을 준비하고, 이 도체판(40)에 구멍부(41)를 형성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재(42)에 얇은 도체(43)(두께 1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8∼70μm의 도체(43))를 입힌 도체 적층재(44)를 상기 도체판(40)의 두께와 구멍부(41)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한다.
그리고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도체(43)이 입혀진 도체 적층재(44)를 도체판(40)의 구멍부(41)에 매립한다(매설한다). 그리고 구멍부(41)에 도체 적층재(44)가 매립되어 있는 도체판(40)을 내열성 수지층(31 또는 32)을 통하여 코어재(1)에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 층(4)의 동일면 상에 층두께가 다른 도체 부분(4A와 4B)을 형성한다. 즉 도체층(4)의 동일면 상에 두께 175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600μm의 두꺼운 도체 부분(4A)과, 두께 105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8∼70μm의 얇은 도체 부분(4B)을 형성한다. 또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굴곡부(10A)에는 두께 175μm 이상의 두꺼운 도체 부분(4A)이 설치되도록 도체판(40)을 적층한다.
계속하여,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한 기술을 이용하여, 두께 175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600μm의 대전류용 회로(예컨대 전기 접속 상자의 내부 회로)(14a)와, 두께 105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8∼70μm의 소전류용 회로(예컨대 전자 회로 등)(14b)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200μm 이상의 도체판(40)과, 이 도체판과 동등한 두께를 갖는 도체 적층 모재(44')를 준비한다. 또한 도체 적층 모재(44')로서 절연 기재(42)의 표면 및 이면에 두께 18∼70μm의 얇은 도체(43a, 43b)를 입힌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판(40)을 부분적으로 도려내어 구멍부(41)를 형성함과 아울러,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체 적층 모재(44')로부터 상기 도체판(40)의 구멍부(41)의 형상에 맞추어 도체 적층재(44)를 잘라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2장의 도체판(40)에 각각 2개의 구멍부(41)를 형성함과 아울러, 1장의 도체 적층 모재(44')로부터 4개의 도체 적층재(44)를 상기 도체판(40) 의 구멍부(41)의 형상에 맞추어 각각 잘라내었다.
그리고 도 9(a)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및 이면에 얇은 도체(43a, 43b)가 입혀져 있는 도체 적층재(44)를 각각의 구멍부(41)에 매립하고(매설시키고), 도 9(b)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200μm 이상의 도체판(40)의 동일면 상에 두께 18∼70μm의 얇은 도체(43a, 43b)를 부분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도체판(40)과 도체 적층재(44)의 두께는 동등하기 때문에 도체판 표면과 얇은 도체(43a, 43b)는 동일한 높이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체 적층재(44)의 한쪽 면측의 얇은 도체(43b)를 식각 처리하여 소전류용 회로(14b2, 14b5)를 형성해 두고, 이 소전류용 회로(14b2, 14b5)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도체판(40)의 구멍부(41)에 도체 적층재(44)를 각각 매설하였다. 즉 경질의 코어재의 표면 및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도체 적층재(44)를 매설하여 이루어지는 도체판(40)을 각각 적층하였을 때, 내측에 배치되는 얇은 도체(43b)에 미리 소전류용 회로(14b2, 14b5)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더욱이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굴곡부에 해당하는 곳을 제거한 경질의 코어재로서 코어재의 표면 또는 이면에 얇은 도체(43c, 43d)를 입힌 것을 사용하였다(도 10(a) 참조). 그리고 얇은 도체(43c, 43d)가 입혀져 있는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경질의 코어재가 제거된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다. 또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 또 는 이면의 얇은 도체(43c, 43d)를 식각 처리함으로써 소전류용 회로(14b3, 14b4)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가 매설된 경질의 코어재(1')의 표면 및 이면에 구멍부(41)에 도체 적층재(44)가 매립된 도체판(40)을 내열성 수지층(31, 32)을 통하여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적층판(64)을 제조한다(도 11(a), (b) 참조).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부(41)에 도체 적층재(44)가 매립된 도체판(40)을 적층함으로써 제조한 적층판(64)의 표면 및 이면의 도체층(4)에는 두께 200μm 이상의 두꺼운 도체 부분(4A)과, 두께 18∼70μm의 얇은 도체 부분(4B)(얇은 도체(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얇은 도체 부분(4B)(얇은 도체(43a))을 식각 처리하여 두께 18∼70μm의 소전류용 회로(14b1, 14b6)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두꺼운 도체 부분(4A)을 식각 처리하여 두께 200μm 이상의 대전류용 회로(14a)를 형성하고, 동일면 상에 대전류 회로(14a)와 소전류용 회로(14b1, 14b6)를 형성하였다. 또한, 적층판(64)에 쓰루홀(7)(기판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회로끼리의 도통성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어 쓰루홀이나, 접속 단자를 배열 설치하기 위한 실장용 쓰루홀)을 형성하였다.
또한 도체층(4)의 두께 200μm 이상의 두꺼운 도체 부분(4A)을 식각 처리하여 임의의 회로(대전류용 회로)(14a)를 형성할 때,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 분(1A)에 해당하는 곳(내열성 수지재(2)의 이면)의 도체층(4)을 제거해 둔다(노출부(8)). 그리고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그 이면의 내열성 수지층(32)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굴곡부(10A)를 형성한다.
도 12는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a)는 단면도, 도 12(b)는 평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두께 200μm 이상의 대전류용 회로(14a)와, 두께 18∼70μm의 소전류용 회로(14b1, 14b6)가 회로 표면의 높이가 균일하게 동일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표면(최외층)에는 동일면 상에 대전류용 회로(14a)와 소전류용 회로(14b1, 14b6)가 형성되는데, 이들 회로의 전기적 도통성은 쓰루홀(7)과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소전류용 회로(14b3, 14b4))를 통하여 행해진다.
도체판(40)의 구멍부(41)에 매립된 도체 적층재(44)의 얇은 도체(43a, 43b)를 식각 처리하여 형성된 소전류용 회로(14b1, 14b2, 14b5, 14b6)와 도체판(40)을 식각 처리하여 형성된 대전류용 회로(14a)와의 전기적 도통성은,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전류용 회로(14b1, 14b2, 14b5, 14b6)의 형성 부분에 설치된 쓰루 홀(7)(바이어 쓰루홀)과, 대전류용 회로(14a)의 형성 부분에 설치된 쓰루홀(7)(바이어 쓰루홀)과, 코어재(1')의 표면 또는 이면의 소전류용 회로(14b3, 14b4)를 통하여 확보되어 있다.
또한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표면 및 이면에는 레지스트(절연재)(9)를 피복하여 회로 보호를 도모하고 있다.
다음 도 13을 참조하여,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질의 베이스 기재(5)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갖는 굴곡식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사용하고, 이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의 표면에 접속 단자(20)를 부착한 후, 상기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굴곡부(10A)에서 굴곡시킴으로써 양면에 접속 단자(20)가 배열 설치된 기판 회로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굴곡식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에서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표면 및 이면에 회로(1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된 회로끼리의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어 쓰루홀(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 중앙에는 경질의 베이스 기재(5)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10A)가 형성됨과 아울러, 해당 굴곡부(10A)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되는 기판(베이스 기재(5))에는 각각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하기 위한 실장용 쓰루홀(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질의 베이스 기재(5)를 부분적으로 박층화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부(10A)의 표면에는 회로(14)가 형성되어 있고, 굴곡부(10A)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되는 기판(베이스 기재(5))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끼리의 접속이 확보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은, 레지스트(절연재)(9)로 회로 표면이 피복되어 있다.
또한 굴곡부(10A)의 표면에 레지스트(9)를 피복한 기판을 상기 굴곡부(10A)에서 굴곡시키면, 굴곡시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굴곡부(10A)에 피복한 레지스트(9)에 크랙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13(a)에 도시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의 굴곡부(10A)의 표면에는 레지스트(9)를 피복하지 않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단자(20)를 실장용 쓰루홀(7b)에 압입하고,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의 표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후(도 13(b) 참조),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의 이면에 있어서 압입한 접속 단자(20)의 선단부(20A)를 땜납(21)하고,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에 접속 단자(20)를 고정한다(도 13(c) 참조).
그 후, 표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하거나 제트 프린트 배선판(10)의 굴곡부(10A)를 굽힌 지그(30)를 이용하여 굴곡시킴으로써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한 경질의 코어재(1)에 구리층(4)을 입힌 적층판(6)에 회로(14)와 바이어 쓰루홀(7a)과 실장용 쓰루홀(7b)을 형성하고, 상기 실장용 쓰루홀(7b)에 접속 단자(20)를 압입하여 납땜함으로써 표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후, 상기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하여 경질의 베이스 기재(5)를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형성하고, 그 후, 상기 굴곡부(10A)에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굴곡함으로써 양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기판 회로를 제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4(a)에 도시한 기판 회로는, 표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하거나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굴곡부(10A)에서 굴곡시킴으로써 제조한 것이기 때문에, 표면과 이면에 배열 설치되는 접속 단자(20)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가 높고, 또한 기판에 접속 단자(20)를 고정하기 위한 납땜 공정이 1회이면 된다. 더욱이, 굴곡부(10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기판(베이스 기재(5))에 형성된 회로끼리는 굴곡부(10A)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14)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도모되어 있다.
더욱이 도 14(b)에 도시한 기판 회로는, 표면에 접속 단자(20)를 배열 설치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굴곡한 후, 굴곡부(10A)의 표면에 절연 피막(91)을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굴곡시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레지스트(9)의 크랙 등을 회피하기 위하여, 굴곡부(10A)에 레지스트(9)를 피복하지 않은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굴곡한 후, 상기 굴곡부(10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14)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하여, 굴곡부(10A)의 표면에 절연 피막(91)을 설치하였다.

Claims (5)

  1. 경질의 코어재(1)에 실시한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하는 공정과,
    그 표면 및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31,32)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하여 적층판(6)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판(6)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의 표면 및 이면에 회로(14)를 형성함과 아울러,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상당하는 위치의 이면에 있는 도체층(4)을 제거하는 공정과,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그 이면의 내열성 수지층(32)과 함께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를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굴곡부(10A)에서 굴곡 가능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경질의 코어재(1)에 실시한 간극 부분(1A)에 내열성 수지재(2)를 매설함과 아울러, 간극 부분의 이면에 있어서 내열성 수지재(2)가 이면에 적층되는 내열성 수지층(32')의 두께 만큼 돌출된 볼록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 표면에 내열성 수지층(31)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함과 아울러, 그 이면에는 간극 부분(1A)을 제거한 내열성 수지층(32')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하여 적층판(6)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판(6)을 식각 처리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1)의 표면 및 이면에 회로(14)를 형성함과 아울러, 경질의 코어재(1)의 간극 부분(1A)에 상당하는 위치의 이면에 있는 도체층(4)을 제거하는 공정과,
    간극 부분(1A)에 매설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재(2)를 제거함으로써, 경질의 베이스 기재(51)를 부분적으로 박층화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10A)를 형성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굴곡부(10A)에서 굴곡 가능한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10)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코어재(1)의 표면 또는 이면에 내열성 수지층(31 또는 32)을 통하여 도체층(4)을 적층하고, 가열 프레스하여 적층판(6)을 제조함에 있어서,
    구멍부(41)를 갖는 도체판(40)과,
    상기 구멍부의 형상과 도체판의 두께에 맞추어 형성되며, 절연 기재(42)의 표면에 도체(43)를 입힌 도체 적층재(44)를 준비하고,
    상기 도체 적층재(44)를 구멍부(41)에 매설하여 이루어지는 도체판(40)을 내열성 수지층(31 또는 32)을 통하여 코어재(1)에 적층함으로써, 도체층(4)의 동일면 상에 층두께가 다른 도체 부분(4A, 4B)을 형성하고,
    동일 기판 상에 대전류용 회로와 소전류용 회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087003550A 2005-07-29 2006-07-28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4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1031 2005-07-29
JPJP-P-2005-00221031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628A KR20080035628A (ko) 2008-04-23
KR101004994B1 true KR101004994B1 (ko) 2011-01-04

Family

ID=3768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550A KR101004994B1 (ko) 2005-07-29 2006-07-28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91218B2 (ko)
EP (1) EP1915037B1 (ko)
JP (1) JP4756710B2 (ko)
KR (1) KR101004994B1 (ko)
CN (1) CN101297610B (ko)
CA (1) CA2616793C (ko)
HK (1) HK1125253A1 (ko)
WO (1) WO2007013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9008B (zh) * 2007-12-26 2012-08-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半导体装置和多层配线基板
FI122216B (fi) * 2009-01-05 2011-10-14 Imbera Electronics Oy Rigid-flex moduuli
JP5561683B2 (ja) * 2012-06-26 2014-07-30 株式会社フジクラ 部品内蔵基板
KR102099934B1 (ko) * 2012-11-30 2020-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JP5583815B1 (ja) * 2013-04-22 2014-09-03 株式会社フジクラ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14167A (ko) * 2013-07-29 2015-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유리 코어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JP6657181B2 (ja) * 2015-03-25 2020-03-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US9955596B2 (en) 2016-08-10 2018-04-24 Seagate Technology Llc PCBA cartridge sub-assembly
WO2018186654A1 (ko) 2017-04-05 2018-10-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41215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쇄회로기판
CN111148337A (zh) * 2018-11-02 2020-05-12 深南电路股份有限公司 电路板及其制作方法
CN209376018U (zh) 2018-11-14 2019-09-10 奥特斯(中国)有限公司 具有改进的弯曲性能的部件承载件
CN111432577B (zh) * 2020-03-03 2023-02-17 宁波华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软硬结合板的感光聚酰亚胺加法、减法线路工艺
FR3125380A1 (fr) * 2021-07-13 2023-01-20 Elvia Printed Circuit Boards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ircuit imprimé semi-flexible.
CN114501835B (zh) * 2021-12-31 2024-01-26 惠州市金百泽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埋磁芯pcb的磁芯埋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246A (ja) * 1984-12-05 1986-06-21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
JPH09199816A (ja) * 1996-01-16 1997-07-31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86448A (ja) 1997-12-25 1999-07-09 Kyocera Corp 積層セラミック回路基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5862A (en) 1981-05-27 1982-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Fuel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7195862U (ko) * 1981-06-04 1982-12-11
JPS62185396A (ja) * 1986-02-10 1987-08-1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ベ−ス混成集積微細回路基板の製法
US5103293A (en) * 1990-12-07 1992-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ircuit packages with tear resistant organic cores
DE4131935A1 (de) * 1991-09-25 1993-04-08 Degussa Starre, in teilbereichen biegbare gedruckte schaltun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117512C (zh) * 1994-12-01 2003-08-06 揖斐电株式会社 多层印刷电路板及其制造方法
US5903440A (en) * 1998-01-30 1999-05-11 Delco Electronics Corporaiton Method of forming assemblies of circuit boards in different planes
JP3592129B2 (ja) * 1999-04-15 2004-11-2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2026522A (ja) * 2000-07-07 2002-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4192546A (ja) 2002-12-13 2004-07-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検索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246615B2 (ja) * 2002-12-13 2009-04-02 株式会社メイコー 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1750747A1 (en) * 2004-05-07 2007-02-14 Astellas US LLC Soluble lfa-3 polypeptide for treating viral disord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246A (ja) * 1984-12-05 1986-06-21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
JPH09199816A (ja) * 1996-01-16 1997-07-31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86448A (ja) 1997-12-25 1999-07-09 Kyocera Corp 積層セラミック回路基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94544A1 (en) 2010-11-25
CA2616793A1 (en) 2007-02-01
EP1915037B1 (en) 2013-01-30
HK1125253A1 (en) 2009-07-31
JP4756710B2 (ja) 2011-08-24
KR20080035628A (ko) 2008-04-23
JPWO2007013595A1 (ja) 2009-02-12
EP1915037A4 (en) 2009-08-05
CN101297610B (zh) 2010-04-21
EP1915037A1 (en) 2008-04-23
WO2007013595A1 (ja) 2007-02-01
US8091218B2 (en) 2012-01-10
CA2616793C (en) 2013-10-01
CN101297610A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994B1 (ko) 굴곡식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US7286370B2 (en) Wired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of wired circuit board
KR20120032514A (ko) 적어도 2 개의 인쇄회로기판 영역들로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인쇄회로기판
RU2556274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ечатная плата, содержащая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950010719A (ko) 인쇄 회로 배선기판 및 인쇄 회로 배선기판의 제조방법
US20090314522A1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Additional Functional Elements,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JP5488604B2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回路基板
JPH04212494A (ja) 剛性/可撓性プリント回路構造体の製作方法とこの方法により製作された多層可撓性回路基板
US948017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circuit board consisting of at least two printed circuit board regions, and printed circuit board
TWI712346B (zh) 復合電路板及其製造方法
JP2019021863A (ja) 多層基板
KR100699240B1 (ko) 소자 내장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H1070363A (ja) 印刷配線板の製造方法
WO2013021477A1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0261152A (ja) プリント配線組立体
JP4899409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10203A (ja) 多数個取り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5362B2 (ja) 電子部品の実装構造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8054418A (ja) 電気接続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2514849B2 (ja) 多層フレツクス・リジツド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09315B2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100447735B1 (ko) 부품장착용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모듈의 제조방법
JP2004259904A (ja) 電子回路装置の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3033736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t least one embedded electronic component
JP5293672B2 (ja) リジッド−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