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04B1 -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804B1
KR101001804B1 KR1020087004683A KR20087004683A KR101001804B1 KR 101001804 B1 KR101001804 B1 KR 101001804B1 KR 1020087004683 A KR1020087004683 A KR 1020087004683A KR 20087004683 A KR20087004683 A KR 20087004683A KR 101001804 B1 KR101001804 B1 KR 10100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cable harness
harness
connection structure
co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182A (ko
Inventor
타다카즈 시바타
키요노리 요코이
카츠미 가루베
히로유키 셈바
토시츠구 시부사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92Flat or ribbon cables incorporated in a cable of non-fla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굽힘성에 관련되는 기계적 신뢰성과,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및 EMI특성에 관련되는 전기적 특성과의 쌍방을 양립할 수 있도록 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harness), 및 휴대단말기기를 제공한다.
동축케이블 접속구조(10)는, 상하로 적층해서 배치되어 슬라이드하는 2개의 기판(11, 12) 사이를 적어도 1개소에서 묶인 복수의 동축케이블(24)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로서, 동축케이블(24)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COAXIAL CABLE CONNECTION STRUCTURE, COAXIAL CABLE HARNESS USED THEREFO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적층되며 또한 적층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대향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2개의 기판을 가지며, 동축케이블을 이용해서 이들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harness), 및 상기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의 경우, 휴대전화를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적층된 2개의 케이스로 구성되고, 휴대전화의 사용상황에 따라서 이들 2개의 케이스를 슬라이드시켜서, 휴대전화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단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의 2개의 케이스에는,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회로나 소자가 배열된 기판이 형성되며, 또한 이들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케이스에 수납된 각 기판은, 각 케이스의 동작에 따라서 서로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이들 기판을 전기접속하는 배선부재에는, 굴곡 가능한 플렉서블 프린트기판(FPC)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그와 같은 플렉서블 프린트기판을 사용한 일례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 이, 하부쪽 기판(100)에 형성된 커넥터(101)와, 상부쪽 회로모듈(102)에 형성된 커넥터(103)가 플렉서블 프린트기판(104)(FP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저저항의 접지도체의 확보와 EMI대책을 고려해서, FPC의 한쪽 면쪽의 거의 전체면을 접지도체층으로 하는 전체면 접지구조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체면 접지의 FPC는, 기판의 슬라이드에 따른 굽힘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굴곡부분에서 균열이 생겨서 단선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전체면 접지의 FPC의 굽힘성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굴곡부에서는 접지부를 부분적으로 삭제해서, 또한, 굴곡부의 뒤쪽에 복수의 접지선을 신호선과 대치하지 않도록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2004-88020호 공보
상기와 같이, FPC에서는, 접지의 전기특성의 점에서는 전체면 접지가 양호한 것이지만, 그것에는 굽힘성의 문제가 있으며, 또 전체면 접지를 배제했을 경우에는, 아무래도 전기특성(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이나 EMI특성)이 악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과 같이 굴곡부의 이면에 접지선을 배치해서, 신호선과 접지선이 대치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방법에서는, 데이터의 고속전송, 고밀도화에 의해 신호선의 수가 증가하면 FPC의 폭이 확대된다. 그것에 따라서 2개의 기판 사이에 확보해야 하는 FPC의 슬라이딩을 위한 공간이 커진다. 이것은, 기기의 소형화에 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되며 또한 적층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대향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2개의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구조에 있어서, 굽힘성에 관련되는 기계적 신뢰성, 기기 내에 점유하는 슬라이딩을 위한 공간의 감소 및 임피던스 매칭 및 EMI특성에 관련되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하로 적층해서 배치되어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2개의 기판을 적어도 1개소에서 묶인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동축케이블 하네스에 의해 접속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로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가 상기 기판의 슬라이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기판의 폭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는, 전부가 동축케이블이 아니어도 되며, 외부도체를 가지지 않은 절연전선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신호선에 동축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 매칭 및 EMI특성에 관련되는 전기적 특성은 양호하다. 외부도체를 가지지 않은 절연전선은 급전선이나 접지선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선을 묶는 경우, 동축케이블과 구별할 필요는 없다.
양쪽 기판을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동축케이블 하네스는 U자 형상(이후 U자 형상은 J자 형상을 포함 함)으로 만곡된 부분이 이동해서 기판의 이동에 따라간다. 이때의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슬라이딩을 위해서 필요한 공간(슬라이딩공간)은, 그 높이가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두께이며, 그 폭이 U자의 폭이 된다.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그 단면이 타원인 편평한 형상으로 하면 그 두께는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하의 기판 틈새를 좁게 할 수 있다. 또, U자의 폭은, 기판의 폭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사이의 틈새를 좁게 해서 또한 충분한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슬라이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공통되는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말에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기판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적어도 일부의 단말이란, 동축케이블 하네스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 중의 일부(예를 들면, 40개 중의 20개)의 동축케이블의 단말을 의미한다. 나머지의 단말에는 다른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커넥터가 복수 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의 개수가 증가해도 1개의 커넥터에 접속하는 동축케이블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커넥터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커넥터의 폭은 확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판 위에 커넥터를 접속하는 개소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가, 상기 기판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접속을 커넥터에 한정하지 않고, 직접 기판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각각 상기 2개의 기판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쪽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일단부가 상부 기판의 오른쪽으로 접속되면, 타단부는 하부 기판의 왼쪽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의 굽힘 반경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네스는 원활하게 구부러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각 동축케이블이, AWG42보다도 가느다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동축케이블이 세경(細徑)이기 때문에 굽힘성이 우수하며, 양쪽 기판의 슬라이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묶었을 때에 얇게 할 수 있어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소정의 폭에 의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는 각 기판 위 또는 각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한쪽 기판 위에 직사각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적어도 한쪽 기판 위에 돌기를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해서 벽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혹은, 케이스에 도려내진 홈이나 케이스에 세워진 벽에 의해 둘러싸인 개소를 수용부로 해도 된다.
다발로 묶은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굽힘 직경에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폭을 보탠 만큼을 수용부의 폭으로 할 수 있다. 이 폭으로 되도록 홈을 도려내거나 또는 벽을 세움으로써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슬라이딩공간을 매우 작게 한정할 수 있다. 슬라이딩공간은 다른 부품 등을 배치할 수 없는 공간이다. 이 슬라이딩공간을 작게 함으로써, 기기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혹은, 슬라이딩공간이 작아진 만큼, 다른 부품을 배치해서 그것에 의해 고기능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가,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을 묶은 복수의 다발을 묶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을 묶을 때에, 복수의 동축케이블의 다발로 분류해서 묶음으로써, 각 다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적어도 일단부쪽에서, 상기 커넥터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직교하지 않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직선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묶인 개소에서 상기 커넥터까지의 각 동축케이블의 길이가 각각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기판 위에 커넥터가 배치되는 방향에 의해 조정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 또는 J자 형상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을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기판에 직접 장착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에 접지바(ground bar)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바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직교하지 않고, 상기 접지바와 상기 직선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묶인 개소에서 접지바까지의 각 동축케이블의 길이가 각각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접지바의 긴쪽방향은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에 있어서의 각 전선의 배열방향과 평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바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기판 위에 각 동축케이블이 배열되는 방향에 의해 조정된다. 예를 들면, 접지바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을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기판은,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가장 근접한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중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단부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U자 형상에 있어서의 직선부와 곡선부의 경계점으로부터 양쪽 3㎜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묶여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기판은,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가장 근접한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중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단부가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U자 형상에 있어서의 직선부와 곡선부의 경계점으로부터 양쪽 3㎜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묶여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는, 동축케이블 하네스는 J자 형상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된다는 것은, 그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동축케이블 하네스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졌을 때에, U자의 만곡 시작점의 양쪽으로 굽힘에 의한 힘이 집중된다. 이 개소를 묶지 않음으로써, 동축케이블이 이동하여 굽힘의 부하를 방출시켜서, 동축케이블의 도체가 끊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동축케이블 접속구조가 사용될 때에, 그 양쪽 단부가 가장 근접한 상태 혹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인 것이 대부분의 경우이므로, 그들의 상태에 있어서의 U자의 만곡 시작점 근방에서 각 동축케이블을 묶지 않은 구조로 함으로써, 대부분의 경우에 각 동축케이블에 부가되는 굽힘에 의한 힘을 방출시킬 수 있다. U자의 만곡 시작점으로부터 양쪽 3㎜의 범위를 묶지 않음으로써, 양쪽 기판을 슬라이드시켜서 왕복시키는 것을 반복했을 때에 동축케이블이 단선에 이를 때까지의 왕복 슬라이드 회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동축케이블의 만곡에 대한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U자의 만곡 시작점으로부터 양쪽 5㎜의 범위를 묶지 않음으로써, 동축케이블의 만곡에 대한 내구성이 한층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에서 묶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묶여 있지 않은 개소가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에 부가되는 굽힘의 부하를 전체적으로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만곡위치를 불문하고, 동축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동축케이블은, 산발하지 않는 정도로 간헐적으로 묶여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동축케이블이, 6㎜이상의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묶여 있음으로써, 굽힘의 부하를 방출하기 쉬우며, 1O㎜이상의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묶여 있으면 굽힘의 부하를 한층더 방출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실 또는 테이프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틈을 두고 감겨서 묶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에서 묶는 구조와 같이, 동축케이블에 부가되는 굽힘의 부하를 전체적으로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통형상으로 형상기억된 나선형상의 테이프에 의해 틈을 두고 묶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에서 묶는 구조와 같이, 동축케이블에 부가되는 굽힘의 부하를 전체적으로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통형상으로 형상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묶은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한, 테이프에는, 접착성을 가지며 동축케이블에 접착되는 것과, 비접착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지만, 구부렸을 때에 동축케이블이 테이프에 대해서 미끄러져 긴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부하를 방출하기 쉬운 관점에서, 접착되지 않은 테이프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통형상의 편조 슬리브에 의해 피복되어서 묶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접착테이프와 같이 동축케이블을 접착하지 않고 동축케이블이 긴쪽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운 상태로 묶일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자체를 편평화시켜서, 묶은 개소를 편평화시켜서 다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는,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하네스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기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동축케이블 하네스로서, 굽힘성에 관련되는 기계적 신뢰성, 기기 내에 필요로 하는 공간의 감소, 임피던스 매칭 및 EMI특성에 관련되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단말기기는,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기는, 상술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를, 휴대단말에 탑재되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는 기판의 접속에 적용함으로써, 소형이며, 또한 고밀도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는, 상하의 기판을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양쪽 기판을 연결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가 굽힘성에 관련되는 기계적 신뢰성이 우수하며, 상하부 기판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공간이 작고, 임피던스 매칭 및 EMI특성에 관련되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로 적층되어서 슬라이드하는 2개의 기판의 접속에 FPC를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양쪽 기판의 틈새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관련되는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b)는 측면도;
도 2(a)는 상하부의 기판을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b)는 측면도;
도 3(a)는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단면도;
도 4(a)는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에 커넥터를 2열로 분류해서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b)는 측면도, 도 4(c)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수용부의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를 적용한 휴대전화를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휴대전화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가 2계통 적용된 양쪽 기판을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b)는 양쪽 기판을 슬라이드시킨 상태 를 도시한 평면도;
도 8(a)는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기판의 한쪽 면에 직접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b)는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기판의 양쪽 면에 직접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동축케이블을 간헐적으로 묶은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2개의 다발로 분류하여 1개의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에 장착한 커넥터의 긴쪽방향과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직교한 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12는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에 장착한 접지바의 긴쪽방향과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직교한 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13은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U자의 만곡 시작점에 대한 긴쪽방향 양쪽이 묶여 있지 않은 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14는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U자의 만곡 시작점에 대한 긴쪽방향 양쪽이 묶여 있지 않은 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15는 동축케이블을 테이프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묶은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동축케이블을 실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묶은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동축케이블을 나선형상의 테이프에 의해 묶은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동축케이블을 편조 슬리브에 의해 묶은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9는 플렉서블 프린트기판을 이용한 배선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1: 상부 기판
12: 하부 기판 13: 수용부
13a: 오목부(수용부) 13b: 돌기(수용부)
20: 동축케이블 하네스 21a, 21b: 단부
23: 번들링 테이프(테이프) 24: 동축케이블
25, 25a, 25b: 커넥터 26: 접지바
27: 실 28: 나선형상의 테이프
29: 편조 슬리브 30: 휴대전화(휴대단말기기)
31: 상부 케이스 32: 하부 케이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축케이블 접속구조(10)는, 상하로 적층해서 배치되어 전후(도 1, 도 2의 좌우방향)로 슬라이드하는 2개의 기판(11, 12) 사이를 복수 개(20 ~ 60개)의 동축케이블(24)을 포함한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 의해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양쪽 단부(21a, 21b)를 제외하고 복수의 동축케이블(24)이 묶여 있으며,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되도록 양쪽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기판(11, 12)의 평면시(平面視)방향에 있어서의 U자 형상으로서 양쪽 기판(11, 12) 사이에 배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는 다른 형태로서, 동축케이블(24)이 긴쪽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묶여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은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양쪽 단부(21a, 21b)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이며, 도 2는 양쪽 단부(21a, 21b)가 가장 근접한 상태이다. 기판(11, 12)의 슬라이드 스트로크는, 예를 들면 30㎜에서 60㎜정도이다.
동축케이블(24)은, 중심축에 직교하는 직경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중심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중심도체, 내부절연체, 외부도체, 외피를 가지는 구성이며, 각각의 단부(21a, 21b)에는 단말처리가 실시되어서, 외부도체, 내부절연체, 중심도체가 단계적으로 소정길이씩 노출되어 있다. 또,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는,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 이외에, 외부도체가 없는 절연케이블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동축케이블(24)의 개수를 적게 표시해서 간략화하고 있다.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평면도에서 보면 기판의 폭방향(도 1(a)의 양쪽 화살표 W의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기판의 폭이 수㎝이므로, 이 방향의 굽힘직경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한쪽 단부(21a)가 슬라이드방향에 대해서 상부 기판(11)의 오른쪽(도 1에 있어서 상부쪽)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다른 쪽 단부(21b)를 슬라이드방향에 대 해서 하부 기판(12)의 왼쪽(도 1에 있어서 하부쪽)으로 접속된다.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지만,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도 5의 수용부(13) 참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U자의 폭(직선부분의 간격)이 좁을수록 바람직하다.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대략 기판(11, 12)의 평면을 따라서 구부림으로써,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는 충분한 굽힘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FPC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FPC는 양쪽 기판(11, 12)의 사이에서 구부러지므로, 그 굽힘직경을 확보하기 위해서 양쪽 기판(11, 12)의 틈새를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양쪽 기판(11, 12)의 틈새를 FPC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크게 취할 필요가 없어서, 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24)을 번들링 테이프(23)에 의해 묶여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 단면과 같은 두께 치수 h1을 가능한 한 작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들링 테이프(23), 예를 들면 불소수지테이프나 PET테이프, 고무재 등을,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24)에 나선형상으로 감아서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형성한다. 양쪽 단부(21a, 21b)를 제외하고, 전체에 번들링 테이프(23)를 감을 수도 있지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묶을 수도 있다. 기판(11, 12)이나 수용부(13)(도 5 참조)의 벽면과 접촉할 때에는 테이프 등을 감아서 묶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에 의해, 마찰에 대한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케이스의 벽면 등과의 슬라이딩성의 점에서는 마찰계 수가 낮은 번들링 테이프(예를 들면, PTFE, PFA, FEP, ETFE 등의 불소수지테이프)를 동축케이블의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나선형상으로 감는 것이 좋으며, 유연성의 점에서는 간헐적으로 묶는 것이 좋다. 또한, 번들링 테이프(23)를 나선형상으로 감는 대신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를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축케이블(24)로서는, 예를 들면 AWG(American Wire Gage)의 규격에 의한 AWG42보다도 가느다란 극세 동축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구부러지기 쉬워서, 양쪽 기판(11, 12)이 슬라이드할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24)를 묶어서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형성했을 때에,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두께 h1(도 3(c) 참조)을 얇게 형성할 수 있어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10)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WG42의 극세 동축케이블의 외경은 약 0.3㎜이므로 높이방향으로 6층으로 해도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두께는 2㎜이내가 된다. 한편, FPC에서는 특허문헌 1의 도 5(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9)와 같이, 상하의 기판 사이에 FPC를 둘로 접도록 구부리기 위해서, 기판 틈새의 높이를 3㎜이상 확보해야 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이용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10)는, 상하로 적층되어서 슬라이드하는 2개의 기판(11, 12)의 접속에 FPC를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양쪽 기판(11, 12)의 틈새를 작게 할 수 있다.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20 내지 60의 동축케이블(24)을 포함한 것이다. 동축케이블(24)이 AWG42의 극세이며, 동축케이블 하네스(20)가 20개의 동축케이블(24)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면이 원에 가까운 형상의 다발로서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형성하면 그 외경(두께)은 약 1.7㎜이며, 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U자 형상으로 배치하면 그 U자의 폭은 5㎜이내로 수용할 수 있다. 심수(동축케이블(24)의 개수)의 증가에 의해 U자의 폭도 확대되지만, AWG42의 동축케이블(24)을 60개 묶었다 해도 그 U자의 폭은 10㎜이내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송해야 할 정보량이 많은 기기에는, 40개 이상의 동축케이블(24)을 포함한 동축케이블 하네스(20)가 사용된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24)을 묶은 복수(여기에서는 2개)의 다발(20a, 20b)을 병렬해서, 다시 번들링 테이프(23)를 감아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두께 h2( < h1)를 한층더 감소시킬 수 있어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10)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동축케이블(24)의 개수가 증가해도 다발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으므로, 이 형태는 특히 유효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일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는, 커넥터(25)를 장착해서 기판(11, 12)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복수의 다발로 묶는 경우, 동축케이블(24)의 단말을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분류해서, 각각의 다발(20a, 20b)마다 공통되는 커넥터(25a, 25b)를 장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2개의 다발(20a, 20b)의 길이가 다르지만 거의 동일한 길이로 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다발(20a, 20b)을 1개의 공통되는 커넥터(25)에 접속할 수도 있다. 다발(20a, 20b)을 또한 묶지 않고 양자를 1개의 커넥터에 접속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 12)에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소정의 폭에 의해 수용되는 수용부(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3)로서 직사각형상의 오목부(13a)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쪽 기판(11, 12)의 상대적인 슬라이드에 수반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 형상의 변형을, 수용부(13) 내에서 실행시키므로, 동축케이블(24)이 기판(11, 12)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부품이나, 기판(11, 12)의 근방에 있는 전기부품 등에 동축케이블 하네스(20)가 접촉되거나 걸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양쪽 기판(11, 12)이 원활히 슬라이드할 수 있다. 혹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 12) 위에 돌기(13b)를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해서 벽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부(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a)는 휴대단말기기의 예로서 슬라이드형의 휴대전화를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슬라이드형의 휴대전화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휴대전화(30)에는, 상술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10)가 적용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30)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 케이스(31) 및 하부 케이스(32)를 가지고 있으며, 양쪽 케이스(31, 32)에는, 상술한 기판(11, 12)이 각각 탑재되어 있으며, 그들은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전화(30)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의 기계적 신뢰성과 전기적 특성이 양립된다. 또, 양쪽 기판의 틈새를 얇게 해서 휴대전 화(30)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의 휴대전화의 슬라이드 스트로크를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정도, 상하의 기판 사이의 간격을 2㎜이하로, 기판 사이의 전기접속에 필요한 배선 수용부의 폭을 20㎜이하, 나아가서는 10㎜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접속구조(10) 및 이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한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부위와 공통되는 부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 의해서 상하의 기판(11, 12)을 접속하는 경우를 예시했는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이용해서 양쪽 기판(11, 12)을 접속할 수도 있다. 도 7(a)는 양쪽 기판(11, 12)의 적층을 최대로 한 상태(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b)는 양쪽 기판(11, 12)의 적층을 최소로 한 상태(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커넥터(25a, 25b)를 기판(11, 12)에 접속하는 개소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U자 형상으로 할 수 있는 한, 기판(11, 12) 위의 임의의 개소로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단부(21a, 21b)에 커넥터(25(25a, 25b))를 장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동축케이블(24)을 기판(11, 12)에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축케이블(24)을 기판(11, 12)에 직접 장착하는 경우에는, 동 축케이블(24)의 단말의 중심도체를 기판(11, 12)의 접속단자에 납땜에 의해 접속하면 된다. 기판(11, 12)의 한쪽 면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으며(도 8(a)), 기판(11, 12)의 단부에 직접 장착하는 경우는 양쪽 면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도 8(b)). 상부 기판(11)에 접속할 때는, 그 하부 면에, 하부 기판(12)에 접속할 때는 그 상부 면에 장착한다. 직접 장착에 한정하지 않고 커넥터 등에 의해 기판(11, 12)에 접속할 때에도 기판(11, 12)의 양쪽 면에 접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하네스에는, 외부도체를 가지지 않은 절연전선을 적절히 혼재시킬 수 있다. 절연전선을 접지로서 사용하는 것이나, 절연전선을 급전선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기판(11, 12)에의 접속 개소(커넥터(25), 기판에 직접 장착)에 있어서의 동축케이블(24)의 방향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지만, 접속 개소의 동축케이블(24)의 방향을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의 직선부분의 방향과 다르게 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단부(21a, 21b)에 장착한 커넥터(25)의 긴쪽방향과,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도 11의 좌우방향)이 직교하지 않고,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단부(21a, 21b)가 기판(11, 12)에 직접 장착되고, 각 단부(21a, 21b)에 각각 장착된 접지바(26)의 긴쪽방향과,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 향(도 12의 좌우방향)이 직교하지 않고,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접지바(26)는, 각 동축케이블(24)이 단말처리되어서 노출한 외부도체에 공통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기판(11, 12)의 접지단자에 접속된다.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경우는, 접속 개소의 동축케이블(24)의 방향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의 직선부분의 방향과 직교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로서, 단부(21a, 21b)에서 각 케이블(24)이 구부러지는 각도는 임의이다. 단, 단부(21a, 21b)에서 각 케이블(24)이 거기까지의 방향(하네스의 U자의 직선방향)과 30도 이상을 이루도록 구부러지기 위해서는, 커넥터(25) 또는 접지바(26)와 U자의 직선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묶인 개소에서 커넥터(25) 또는 접지바(26)까지의 각 동축케이블(24)의 길이가 각각 조정된다. 그것에 의해, 단부(21a, 21b)에 있어서의 각 동축케이블(24)의 길이는, 굽힘의 바깥쪽에 있는 것일수록 길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1형태는, 이와 같이 각 케이블의 길이를 다르게 해서 조정하여 기판(11, 12)에 대한 커넥터(25) 또는 접지바(26)의 방향, 즉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단부를 소망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기판 위에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장착하는 각도나 방향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즉, 기판(11, 12)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이 형태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는, 단부에서 동축케이블(24)을 구부리는 각도에 의해 계산된 필요길이의 각 동축케이블(24)을 준비하고, 커넥터(25) 또는 접지바(26)를 각 동축케이블(24)에 장착할 때에, 결정된 길이에 따라서 각 동축케이블(24)을 배열한다. 커넥터(25) 또는 접지바(26)를 장착함으로써 상호의 위치가 결정된 각 동축케이블(24)을, 테이프 등으로 묶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일단부에 커넥터(25)가 복수 개 장착되는 경우에도, 각 커넥터(25) 또는 각 접지바(26)의 긴쪽방향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지 않고, 커넥터(25) 또는 접지바(26)와 상기 직선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 케이블(24)이 묶인 개소에서 상기 커넥터까지의 각 동축케이블(24)의 길이가 각각 조정되어 있어도 된다.
1개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일단부에서 동축케이블(24)을 복수의 군으로 분류해서 각 군마다 커넥터(25)나 접지바(26)가 장착되는 경우, 또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가 복수의 동축케이블(24)의 다발을 다시 묶은 것으로서, 각 다발마다 커넥터(25)나 접지바(26)가 장착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단부(21a, 21b)를 제외한 부분이 번들링 테이프(23)에 의해 묶여 있는 형태를 예시했는데, 동축케이블(24)을 묶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동축케이블(24)은, 전체를 피복하도록 묶지 않아도 되며, 기판(11, 12)을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하네스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부분적으로 묶으면 된다. 기판(11, 12)을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동축케이블(24)이 기판(11, 12)이나 기판(11, 12)에 형성된 벽면과 접촉하는 개소는, 테이프 등을 감아서 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번들링 테이프(23)에는, 접착성을 가지며 동축케이블(24)에 접착되는 것 또는 비접착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는데, 구부렸을 때에 동축케이블(24)이 번들링 테이프에 대해서 미끄러져 긴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굽힘에 의한 부하를 방출하기 쉬우므로, 비접착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상하부의 기판(11, 12)에 접속해서, 양쪽 기판(11, 12)의 적층이 최대가 되는 위치(도 2의 상태)에서 양쪽 기판(11, 12)의 적층이 최소가 되는 위치(도 1의 상태)까지 양쪽 기판(11, 12)을 슬라이드시켜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여, 슬라이드의 왕복회수(이하, 슬라이딩 회수)와 동축케이블(24)의 중심도체의 단선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동축케이블(24)의 만곡 시작점(U자 형상에 있어서의 직선부와 곡선부와의 경계점) 근방에서 동축케이블(24)을 묶지 않으면 단선까지의 슬라이딩 회수가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만곡 시작점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3㎜의 범위에서 동축케이블(24)을 묶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쪽으로 5㎜의 범위에서 동축케이블(24)을 묶지 않으면 한층더 바람직한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이 이유는 이하와 같다고 사료된다.
동축케이블 하네스(20)가 구부러지면 만곡부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길이의 차가 발생한다. 그때에 각 동축케이블(24)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면, 안쪽의 동축케이블(24)이 이완되어서 길이의 차를 흡수한다.
그러나, 테이프를 감는 등 해서 동축케이블(24)을 묶으면, 각 동축케이블(24)이 구속되어서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이동하기 어려우며, 길이의 차를 흡수하지 못하고, 만곡부의 양쪽 단부에서 동축케이블(24)에 굽힘 응력이 걸린다. 즉, 굽힘의 부하는 동축케이블(24)의 만곡 시작점(U자 형상에 있어서의 직선부와 곡선 부와의 경계점)에 집중되기 쉽다. 기판(11, 12)을 여러 번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굽힘 응력에 의한 부하가 집중되는 개소에서 동축케이블(24)의 중심도체 등이 파단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런 연유로, 굽힘 응력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 즉 만곡 시작점 근방은 동축케이블(24)을 묶지 않고 구속하지 않는 것이 좋다.
휴대전화는, 통상, 상하의 케이스가 닫힌 상태(단축된 상태)이거나 열린 상태(신장된 상태)이거나 중 어느 하나이므로, 휴대전화(30) 등에서 사용되는 기판(11, 12)에서는, 통상,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양쪽 단부(21a, 21b)가 가장 근접한 상태이거나, 혹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이다. 이 상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양쪽 단부(21a, 21b)가 가장 근접한 상태, 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양쪽 단부(21a, 21b)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 중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도 13 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의 만곡 시작점(A, B)의 근방에서는 동축케이블(24)을 묶지 않고 놓아두면, 거의 굽힘에 의한 응력을 받지 않게 되며,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굽힘에 대한 기계특성(단선까지의 슬라이딩 회수)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AWG42 ~ 46의 동축케이블(24)을 사용해서 동축케이블 하네스(20)를 형성했을 경우, 원호길이(22)의 전체를 번들링 테이프(23)에 의해 묶은 형태에서는, 기판(11, 12)의 슬라이드를 5만 회 정도 실행하면, 동축케이블(24)의 중심도체가 파단된다. 동축케이블(24)을 묶지 않은 범위를, U자의 만곡 시작점(A, B)에 대한 긴쪽방향 양쪽 3㎜의 범위로 했을 경우에는, 기판(11, 12)의 슬라이드를 10만 회 실행해도 동축케이블(24)의 중심도체가 파단되지 않고, 묶지 않은 범위를 만곡 시작점(A, B)에 대한 긴쪽방향 양쪽 5㎜의 범위로 했을 경우에는, 기판(11, 12)의 슬라이드를 15만 회 실행해도 동축케이블(24)의 중심도체가 파단되지 않는다.
또한,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하네스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상태에서 U자 형상에 있어서의 곡선부의 일부분은, 번들링 테이프(23) 등에 의해 묶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 시작점 근방을 묶지 않은 형태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단부가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도 기판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단부에서 각 동축케이블(24)이 몇 개의 군으로 분류되어서 각 군마다 커넥터에 장착 또는 접지바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동축케이블(24)의 다발이 다시 묶여서 동축케이블 하네스(20)로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4)이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에서 묶여 있으면, 묶여 있지 않은 개소가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24)에 부가되는 굽힘의 부하를 전체적으로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24)의 만곡위치를 불문하고, 동축케이블(2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축케이블(24)을 간헐적으로 묶음으로써,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양쪽 단부(21a, 21b)가 가장 근접한 상태와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만곡 시작점 근방을 묶지 않은 형태를 실현하기 쉽다.
각 동축케이블(24)은, 하네스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산발하지 않는 정도로 간헐적으로 묶여 있으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 시작점을 사이에 두고 3㎜의 범위에서는 묶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간헐적으로 묶는 경우의 간격은 6㎜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10㎜이상의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묶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번들링 테이프(23)에 의해 묶는 형태를 도시했는데, 실로 묶어도 되며, 접착제를 적하해서 일체화시키도록 묶어도 된다.
또,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4)이, 번들링 테이프(23)(도 15 참조) 또는 실(27)(도 16 참조)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틈을 두고 감겨져서 묶여 있어도 된다. 도 15 및 도 16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서는, 도 9와 같이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에서 묶는 구조와 같이, 동축케이블(24)에 부가되는 굽힘의 부하를 전체적으로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번들링 테이프(23) 또는 실(27)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감은 개소의 양쪽 단부에서는, 감기의 이완이 생기지 않도록, 접착성을 지니는 번들링 테이프(23)에 의해 묶어 두면 된다.
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4)을, 통형상으로 형상기억된 나선형상의 테이프(28)에 의해 틈을 두고 묶여 있어도 된다. 나선형상의 테이프(28)는, 띠형상의 번들링 테이프(23)를 통형상에 맞춰서 형상기억시킨 것이나, 통형상의 부재에 나선형상의 칼집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튜브를 나선형상으로 재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서는, 도 9와 같이 간헐적으로 복수 개소에서 묶는 구조와 같이, 동축케이블(24)에 부가되는 굽힘의 부하를 전체적으로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나선형상의 테이프(28)는 통형상으로 형상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동축케이블(24)을 묶은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묶는 경우도, 형상기억되어 있는 테이프나 튜브를 동축케이 블(24)에 피복하는 것이 소정의 피치로 테이프나 실을 감는 것보다도 작업효율이 높다.
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4)을 통형상의 편조 슬리브(29)에 의해 피복해서 묶어도 된다. 편조 슬리브(29)는, 예를 들면 금속박 실이나 화학섬유를 통형상으로 편조시킨 것을 사용하면 된다. 도 18의 동축케이블 하네스(20)에서는, 접착테이프와 같이 동축케이블(24)을 접착하지 않고 동축케이블(24)이 긴쪽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운 상태로 묶을 수 있다. 또, 슬리브 자체를 편평한 형상으로 하면 묶은 부분을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평화하기 쉬워져서, 수용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24)을 직경 1.9㎜의 단면 원형으로 묶은 것에 번들링 테이프(23)를 감았을 경우에는, 외경이 2.3㎜가 되며, 그것을 가압해서 편평하게 하면, 높이 1.8㎜, 폭 2.6㎜가 된다. 한편, 동축케이블(24)을 직경 1.9㎜의 단면 원형으로 묶은 것을 편조 슬리브(29)에 의해 피복했을 경우에는, 외경이 2.1㎜가 되며, 그것을 가압해서 편평하게 하면, 높이 1.3㎜, 폭 2.8㎜가 된다.
도 9, 도 15 내지 도 18에서는, 커넥터(25)의 길이방향의 방향이 동축케이블(24)의 길이방향(U자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과 평행인 경우, 즉 단부에서 각 동축케이블(24)이 90도 구부러져 있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들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동축케이블(24)의 길이가 다르며, 묶인 개소에서 상기 커넥터(25)까지의 각 동축케이블(24)의 길이가 각각 조정되어 있다. 또, 커넥터(25)의 방향은 상술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25)의 길이방향이 동축케이블(24)의 길이방 향과 직교해도 된다.
단부가 커넥터에 장착되지 않고, 접지바에 장착되어서 기판에 직접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동축케이블 하네스(20)도, 각 동축케이블(24)의 묶는 방법은 단부가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경우와 같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는,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한쪽 단부(21a)에 커넥터(25)를 장착해서 기판(11)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부(21b)를 기판(12)에 직접 장착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개소의 동축케이블(24)의 방향을 동축케이블 하네스(20)의 U자의 직선부분의 방향과 다르게 해서, 또한, 도 9, 도 13 ~ 도 18에 도시한 각종의 묶는 형태를 적절히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6년 5월 23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원2006-143382)에 의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2개의 기판을 가지고, 동축케이블을 이용해서 이들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등으로서 유용하며, 휴대전화 등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9)

  1. 상하로 적층해서 배치되어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2개의 기판을 적어도 1개소에서 묶인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동축케이블 하네스(harness)에 의해 접속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로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가 상기 기판의 슬라이드방향에 직교하는 상기 기판의 폭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공통되는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복수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가, 상기 기판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각각 상기 2개의 기판 폭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쪽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동축케이블이, AWG42보다도 가느다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를 소정의 폭 만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가, 복수 개의 동축케이블을 묶은 복수의 다발을 묶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적어도 일단부쪽에서, 상기 커넥터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 형상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지 않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직선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묶인 개소에서 상기 커넥터까지의 각 동축케이블의 길이가 각각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직접 장착된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단부에 접지바(ground bar)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바의 긴쪽방향과 상기 U자 형상의 직선부분을 따르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지 않고, 상기 접지바와 상기 직선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묶인 개소에서 상기 접지바까지의 각 동축케이블의 길이가 각각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가장 근접한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중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단부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U자 형상에 있어서의 직선부와 곡선부의 경계점으로부터 양쪽 3㎜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묶여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쪽 단부가 가장 근접한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중 상기 동축케이블 하네스의 양단부가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U자 형상에 있어서의 직선부와 곡선부의 경계점으로부터 양쪽 3㎜의 범위 내에서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묶여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이, 6㎜이상의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묶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이, 실 또는 테이프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틈을 두고 서로 떨어져서 감겨서 묶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이, 통형상으로 형상기억된 나선형상의 테이프에 의해 틈을 두고 서로 떨어져서 묶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이, 통형상의 편조 슬리브에 의해 피복되어서 묶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18. 제 11항, 제 12항 또는 제 14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19. 제 1항 내지 제 12항 또는 제 14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축케이블 접속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기.
KR1020087004683A 2006-05-23 2007-05-21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 KR101001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43382 2006-05-23
JPJP-P-2006-00143382 2006-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182A KR20080038182A (ko) 2008-05-02
KR101001804B1 true KR101001804B1 (ko) 2010-12-15

Family

ID=3872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683A KR101001804B1 (ko) 2006-05-23 2007-05-21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77363B2 (ko)
KR (1) KR101001804B1 (ko)
CN (1) CN101341726B (ko)
TW (1) TWI373989B (ko)
WO (1) WO2007136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3293A1 (en) * 2007-10-30 2010-09-30 Fujikura Ltd. Cable wiring structure of sliding-typ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iring harness
JP5173537B2 (ja) * 2007-11-12 2013-04-03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JP5172285B2 (ja) 2007-11-14 2013-03-27 株式会社フジクラ ハーネス一体型スライドヒンジ及びスライド型電子機器
JP2010092620A (ja) * 2008-10-03 2010-04-22 Sumitomo Electric Ind Ltd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527189B (zh) * 2008-03-06 2013-11-06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细径同轴电缆束及其制造方法
TWI412197B (zh) * 2008-03-06 2013-10-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細徑同軸纜線線束及其連接構造與製造方法
KR100989478B1 (ko) * 2008-05-15 2010-10-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미세동축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휴대폰
JP5238364B2 (ja) * 2008-06-03 2013-07-17 株式会社フジクラ 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電子機器および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の配線方法
JP4725754B2 (ja) * 2008-09-26 2011-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WO2010092803A1 (ja) * 2009-02-12 2010-08-19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および電子機器
JP5177054B2 (ja) * 2009-03-30 2013-04-0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JP5170033B2 (ja) * 2009-08-20 2013-03-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基板付き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
TWI543209B (zh) * 2009-09-18 2016-07-21 Bundled soft circuit cable
JP5133329B2 (ja) * 2009-11-30 2013-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EP2334040B1 (en) * 2009-12-09 2012-10-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F communication between parts
US8279611B2 (en) 2009-12-09 2012-10-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Flexible cable having rectangular waveguide formed therei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JP2011199766A (ja) * 2010-03-23 2011-10-06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30020122A1 (en) * 2010-04-30 2013-01-24 Advanced Flexible Circuits Co., Ltd. Cable bundling structure in slidable engagement with cable
TW201137898A (en) * 2010-04-30 2011-11-0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Cable bundling structure capable of relatively sliding to engage with cable
TWI430530B (zh) 2010-08-02 2014-03-11 A cable - like flexible circuit cable with a waterproof section
TWI409005B (zh) * 2010-12-13 2013-09-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帶有基板之細徑同軸電線線束
US9048521B2 (en) 2011-03-24 2015-06-02 Etegent Technologies, Ltd. Broadband waveguide
US9182306B2 (en) 2011-06-22 2015-11-10 Etegent Technologies, Ltd. Environmental sensor with tensioned wire exhibiting var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TWI503848B (zh) * 2012-07-11 2015-10-1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Differential mode signal transmission module
WO2015099884A2 (en) 2013-11-01 2015-07-02 Etegent Technologies Ltd. Composite active waveguide temperature sensor for harsh environments
WO2015066494A2 (en) 2013-11-01 2015-05-07 Etegent Technologies Ltd. Broadband waveguide
US10852277B2 (en) 2014-04-09 2020-12-01 Etegent Technologies, Ltd. Active waveguide excitation and compensation
TWI574479B (zh) * 2015-11-23 2017-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有載片的伸縮裝置、載片以及排線
US20200149980A1 (en) 2017-04-10 2020-05-14 Etegent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active mechanical waveguide sensor with damping
CN108012519B (zh) * 2017-12-15 2020-05-08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导电布以及贴合导电布的方法
CN110324060B (zh) * 2018-03-30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324458B (zh) * 2018-03-30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324457B (zh) * 2018-03-3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324460B (zh) * 2018-03-3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US11316276B2 (en) * 2019-08-27 2022-04-26 2J Antennas Usa, Corporation Trifurcated antenna radiator and circuitous transmission line assembly
EP4324056A1 (en) * 2021-04-12 2024-02-21 Conductix, Inc. Internally sprung shu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492U (ja) * 1982-01-06 1983-07-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通電機構
US4781615A (en) * 1987-08-31 1988-11-01 Amp Incorporated Cable terminating cover retention system
JPH0883650A (ja) * 1994-09-13 1996-03-26 Mitsubishi Cable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
JP4456696B2 (ja) * 1999-07-06 2010-04-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素線、同軸ケーブル、及び同軸ケーブルバンドル
DE60106839T2 (de) * 2000-06-30 2005-12-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ktronisches Gerät mit zusammenklappbarer Anzeigevorrichtung
JP2004222173A (ja) * 2003-01-17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JP2004259672A (ja) * 2003-02-27 2004-09-16 Smk Corp 同軸コネクタ
JP2004362880A (ja) * 2003-06-03 2004-12-24 Shoji Kinoshita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ピンと細径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2005302417A (ja) * 2004-04-08 2005-10-27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5322462A (ja) * 2004-05-07 2005-11-17 Fujikura Ltd 極細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ケーブルのアセンブリ
JP2005354772A (ja) * 2004-06-09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ケーブル支持装置
JP4217670B2 (ja) * 2004-08-06 2009-02-04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装置
JP4661428B2 (ja) * 2005-07-26 2011-03-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41726B (zh) 2013-11-27
JPWO2007136040A1 (ja) 2009-10-01
WO2007136040A1 (ja) 2007-11-29
CN101341726A (zh) 2009-01-07
KR20080038182A (ko) 2008-05-02
JP4577363B2 (ja) 2010-11-10
TW200816882A (en) 2008-04-01
TWI373989B (en) 201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804B1 (ko)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
US8063310B2 (en) Electronic device and harness for wiring electronic devices
KR101028951B1 (ko) 다심케이블과 그 제조방법
JP4661428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構造
KR101213026B1 (ko) 케이블과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집속 구조체
US8210867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axial harness
JP2010232182A (ja) リボン状の端を有する可撓性相互接続ケーブル
EP2383753A1 (en) Harness for electronic device wiring and electronic device
US7934947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movable casings connected by an U-shaped wire harness
KR20120088531A (ko)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14003A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
KR200466631Y1 (ko) 소경 동축 케이블 하네스
JP2009224142A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70033B2 (ja) 基板付き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
US20110280526A1 (en) Electrical Cable Having Return Wires Positioned Between Force Wires
JP2011181201A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9761Y1 (ko) 세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KR101178008B1 (ko) 기판 부착 소직경 동축 전선 하니스
JP2010218832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1060466A (ja) 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及び基板付き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
JP5229198B2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1665B1 (ko)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JP4268022B2 (ja) コネクタ接続端子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接続構造
JP2010045724A (ja) 電子機器
TW201225756A (en) Fine-diameter coaxial electronic wire harness connected to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