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665B1 -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 Google Patents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665B1
KR101171665B1 KR1020100125736A KR20100125736A KR101171665B1 KR 101171665 B1 KR101171665 B1 KR 101171665B1 KR 1020100125736 A KR1020100125736 A KR 1020100125736A KR 20100125736 A KR20100125736 A KR 20100125736A KR 101171665 B1 KR101171665 B1 KR 10117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diameter
coaxial cable
diameter coaxial
cable harness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480A (ko
Inventor
다케키 이시모토
야스히토 마스다
노부유키 야마자키
진 사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0012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6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20Cables having a multiplicity of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하우징끼리의 양호한 슬라이드를 확보하면서 얇은 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를 제공한다. 복수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이 평면 형상으로 배열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로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끼리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일체화된 복수의 플랫부(31)와, 플랫부(31)의 사이에 마련되어 평면 내에서 교대로 역방향으로 굴곡되는 복수의 굴곡부(41 내지 43)를 갖는다.

Description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A SMALL DIAMETER COAXIAL CABLE HARNESS, AND A SMALL DIAMETER COAXIAL CABLE HARNESS WITH A SUBSTRATE}
본 발명은 소직경 동축 케이블을 평면에 배열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하니스의 양단부가 기판에 접속된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에 관한 것이다.
상대 이동하는 하우징 사이를 접속하는, 복수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포갠 2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사용 상황에 따라 2개의 하우징을 슬라이드시켜서 전체의 길이를 신축시킨다.
이 종류의 휴대 전화에서, 하니스는 각각의 하우징에 마련된 기판끼리를 접속한다. 하니스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만곡시키거나(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는 S자 형상으로 만곡시켜(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휴대 전화에 수용되어 있다.
국제공개번호 : 제 WO 2007/136040 호 일본공개특허공보 : 제 2009-17377 호
그런데, 휴대 전화나 소형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서, 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서로 슬라이드되는 하우징에 각각 수용되는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동축 케이블 하니스의 수용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한편, 가일층의 기능의 고도화에 수반하여, 동축 케이블의 수는 증가하고, 하니스의 다발의 직경이 커지는 경향에 있다.
따라서, 얇은 수용부에 동축 케이블 하니스를 수용하면, 하우징과 하니스의 마찰에 의해 하우징끼리의 슬라이드가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하니스의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때문에, 수용부를 얇게 하여 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끼리의 양호한 슬라이드를 확보하면서 얇은 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는, 복수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이 평면 형상으로 배열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로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을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플랫부와,
상기 플랫부 사이의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노출 부분을,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역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플랫부에서, 상기 플랫부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는 동일 방향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굴곡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플랫부에서, 당해 플랫부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가 당해 플랫부의 폭의 5배 내지 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는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 이외에, 절연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는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 이외에, 광섬유, 또는 절연 케이블과 광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굴곡부에서, 당해 굴곡부를 형성하는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은, 배열 폭방향 중 한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으로부터 다른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을 향해 점차 길어지고, 상기 한쪽 측의 부분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굴곡부에서, 당해 굴곡부를 형성하는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은 대략 균등한 길이로 되고, 배열면의 표리(表裏)가 반대로 되도록 비틀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는,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상하로 포개어져 직선 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2개의 하우징 내에 마련된 각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에 의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을 평면 형상으로 배열했기 때문에, 하니스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랫부의 사이의 굴곡부가 교대로 역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 내에서 굴곡부를 용이하게 구부리고 펴서 하니스 전체를 신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얇은 수용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하니스를 신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에 의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의 수용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하우징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를 수용한 하우징에서는, 수용부 내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의 원활한 신축이 가능하고,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접속 구조의 기계적 신뢰성과 전기적 특성의 양립이 도모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에 따른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조립된 하우징의 평면도로서, 하우징끼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의 (b)는 그 측면도,
도 2의 (a)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조립된 하우징의 다른 평면도로서, 하우징끼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그 측면도,
도 3의 (a)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조립된 휴대 전화의 사시도로서, 휴대 전화의 하우징끼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휴대 전화의 다른 사시도로서, 하우징끼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의 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조립된 하우징의 평면도로서, 하우징끼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하우징의 다른 평면도로서, 하우징끼리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a)은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를 기판의 일면에 직접 부착한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를 기판의 양면에 직접 부착한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광섬유를 포함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의 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에 따른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2개의 기판(11, 12)을 접속한다. 기판(11, 12)은 상하로 포개어져 배치되고, 전후(도 1, 도 2의 좌우방향)로 상대적으로 수평 이동한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평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10 내지 60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구비한다.
기판(11, 12)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 등의 기기의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는 하우징(13, 14) 내에 각각 조립되어 있다. 이 휴대 전화(10)에서는, 한쪽의 하우징(13)에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다른쪽의 하우징(14)에 키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양단부(21a, 21b)가 가장 근접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양단부(21a, 21b)가 가장 멀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기판(11, 12)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거리, 즉 하우징(13, 14)끼리의 슬라이드 스트로크(S)는 예를 들어 30㎜ 내지 80㎜ 정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 하우징(13, 14)의 폭(W)은 예를 들어 약 60㎜이고, 슬라이드 스트로크(S)는 예를 들어 약 40㎜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각 단부(21a, 21b)는 커넥터(25)를 설치하여 성단(成端) 처리함으로써, 기판(11, 12)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커넥터(25)를 각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에 설치하는 방향이나 커넥터(25)를 각 기판(11, 12)에 설치하는 위치는 임의이다. 커넥터(25)는 각 단부(21a, 21b)에 1개 설치하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복수의 군으로 나누어 각 군마다 복수의 커넥터(25)에 설치해도 좋다.
도 4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플랫부(31)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병렬 피치가, 커넥터(25)에서의 병렬 피치보다 짧은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 플랫부(31)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병렬 피치는, 커넥터(25)에서의 병렬 피치와 같아도 좋다.
각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은 중심축에 직교하는 직경방향의 단면에서,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중심 도체, 내부 절연체, 외부 도체, 외피를 갖는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각각의 단부(21a, 21b)에서는 단말 처리가 실시되어, 외부 도체, 내부 절연체, 중심 도체가 단계적으로 소정 길이씩 노출하고 있다.
또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에는, 복수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 이외에, 외부 도체가 없는 소직경 절연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면에서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수를 적게 도시하여 간략화하고 있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평면 형상으로 배열된, 예를 들어 10 내지 40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갖는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복수의 플랫부(31)를 갖는다. 플랫부(31)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그 길이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간헐적으로 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랫부(31) 사이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은 일체화되지 않고 노출되며, 평면 내에서 굴곡되어 굴곡부(41 내지 43)를 형성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굴곡부를 3개 갖지만, 굴곡부가 적어도 2개 있으면, 하우징의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신축 가능하다.
한쪽의 하우징(13)에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수용 가능한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30)는 하우징(14)과 대향하는 하우징(13)의 면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마련되어 있다. 수용부(30)는 하우징(14)과 대향하는 하우징(13)의 면에 가이드 벽을 형성함으로써 마련해도 좋다. 가이드 벽은 하우징(13)과 하우징(14)의 사이에 있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일단부(21a)가 하우징(13) 내의 기판(11)에 고정되고,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타단부(21b)가 다른쪽의 하우징(14) 내의 기판(12)에 고정되어 있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타단부(21b)측은, 하우징(13)과 대향하는 하우징(14)의 면에 형성된 구멍부(도시 생략)에 통과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3)의 이면(裏面)[하우징(14)과 대향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우징(13, 14)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우징(13, 14)끼리가 포개지는 중첩 부분을 제외한 개소에, 수용부(30)를 막는 덮개(34)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 덮개(34)에 의해, 하우징(13, 14)을 개방했을 때에, 수용부(30)의 노출이 억제된다. 또한, 덮개(34)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덮개(34)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우징(14)의 구멍부에 대응하는 덮개(34)의 부분에 슬릿(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양단부(21a, 21b)가 수용부(30)의 일측부측[도 1의 (a)와 도 2의 (a)에서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3, 14)의 길이방향으로 2번 왕복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배선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3, 14)을 개방한 상태(도 1의 상태)에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하우징(13, 14)의 길이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부(41, 43) 및 굴곡부(41, 43) 사이에서 타방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굴곡부(42)가 형성된 파형의 형상으로 수용된다.
각 굴곡부(41 내지 43)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길이는, 각각 배열 폭방향에서의 한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로부터 다른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향해 점차 길게 되어 있다. 각 굴곡부(41 내지 43)는 길이가 짧은 쪽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이 내측이 되도록 굴곡된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각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은, 하우징(13, 14)을 폐쇄한 상태(도 2의 상태)에서도, 파형의 형상이 유지되는 길이를 갖고 있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각 단부(21a, 21b)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길이도, 하우징(13, 14)의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신축 가능하도록, 배열 폭방향에서의 한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로부터 다른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향해 점차 길게 되어 있다. 어느 쪽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길게 할 것인지는, 하우징(13, 14) 사이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파형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길이가 짧은 쪽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이 내측이 되도록 굴곡되는 점은, 단부(21a, 21b)도 굴곡부(41 내지 43)도 마찬가지이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플랫부(31)는, 평면 형상으로 배열시킨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양측으로부터 수지 테이프(36)를 붙임으로써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일체화시켜 구성되어 있다. 수지 테이프(36)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외피가 PFA(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퍼플루오르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인 경우는, PFA에 대해 양호한 접착력을 갖는 실리콘계의 접착제에 의해 수지 테이프(36)를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및 도 5에서는 직사각형인 수지 테이프(36)를 도시하였지만, 수지 테이프(36)는 사다리꼴이나 평행사변형이어도 좋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의 굴곡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걸쳐 사변(斜邊)을 갖고, 굴곡부의 외측에 이어지는 변(邊)과 상기 사변의 각도가 예각이 되는 사다리꼴이나 평행 사변형의 수지 테이프로 플랫부를 형성하면, 직사각형의 수지 테이프를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 수지 테이프에 고정되지 않는 굴곡부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길이의 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플랫부(31) 내에서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이 서로 밀착하고 있어도, 밀착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플랫부(31) 내에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서로 밀착시키는 경우, 평면 형상으로 배열시킨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끼리를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시켜도 좋고, 또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끼리의 외피를 열융착시켜 일체화하여도 좋다. 열융착하는 경우,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외피로서, 열융착성이 양호한 ETFE(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로서는, 예를 들어 AWG(American Wire Gauge)의 규격에 따른 AWG42보다도 가는 극세(極細)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구부러지기 쉽고, 기판(11, 12)이 슬라이드할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테이프 형상(평면 형상)으로 배열시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를 형성했을 때에,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AWG46의 가늚을 갖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단면 원형으로 묶었을 때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외경(두께)은,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40개 이용했을 경우에는 약 2.0㎜,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10개 이용했을 경우에는 약 1.0㎜가 된다. 이것에 비해,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테이프 형상으로 배열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두께가 약 0.5㎜가 되어 지극히 얇아지고, 약 0.5㎜의 높이의 수용부(30)에도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를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WG46의 가늚을 갖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10개 이용했을 경우, 플랫부(31)의 폭(d)은 약 2.5㎜이다. 플랫부(31)의 길이(l)는 약 15 내지 30㎜이다.
다음에, 하우징(13, 14)의 신축에 수반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13, 14)끼리를 폐쇄한 상태(도 2의 상태)로부터 하우징(13, 14)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켜 서서히 개방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양단부(21a, 21b)가 가까워짐으로써, 각 굴곡부(41 내지 43)의 굴곡률이 올라가고,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수용부(30) 내에서 굴곡부(41, 43)를 정점(頂点)으로 한 2개의 산을 갖는 파형 형상으로 된다.
또한, 하우징(13, 14)을 개방하면, 굴곡부(41, 43)를 정점으로 한 산의 높이가 서서히 커지고,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파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수용된다(도 1 참조). 수용부(30)는 이때에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를 수용 가능한 치수를 하우징(13, 14)이 길이방향에 관해서 갖는다.
이때,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각 굴곡부(41 내지 43)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길이가, 각각 한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로부터 다른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향해 점차 길어지고, 길이가 짧은 쪽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3, 1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각 굴곡부(41 내지 43)는 거의 반원형이 된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이 간극 없이 병렬하여 있는 경우, 외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과 내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길이의 차이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직경]×[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수-1)×π가 된다.
하우징(13, 14)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각 굴곡부(41 내지 43)의 외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길이가 남는다. 각 굴곡부(41 내지 43)의 내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길이는 예를 들어 수㎜이다. 외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은 상술한 차이만큼 내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보다도 길다.
플랫부(31)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l)는 인접하는 굴곡부의 동일 방향에서의 길이(r)보다도 길다. 플랫부(31)의 길이(l)는 굴곡부의 길이(r)의 2 내지 4배가 바람직하다.
하우징(13, 14)끼리를 개방한 상태(도 1의 상태)로부터 하우징(13, 14)을 서서히 폐쇄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양단부(21a, 21b)가 멀어짐으로써, 각각의 굴곡부(41 내지 43)의 굴곡률이 내려가고, 굴곡부(41, 43)를 정점으로 한 산의 높이가 낮아진다(도 2의 상태).
반대로, 하우징(13, 14)끼리를 폐쇄한 상태(도 2의 상태)로부터 하우징(13, 14)을 서서히 개방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양단부(21a, 21b)가 가까워져, 각각의 굴곡부(41 내지 43)의 굴곡률이 올라가고, 플랫부(31)끼리가 평행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도 1의 상태).
이와 같이, 하우징(13, 14)을 개폐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수용부(30) 내에서의 평면 내에서 얽히는 일 없이 원활하게 신축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에 의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이 평면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랫부(31) 사이의 굴곡부(41 내지 43)가 교대로 역방향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평면 내에서 굴곡부(41 내지 43)를 구부리고 펴서 전체를 용이하게 신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얇은 수용부(30)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를 신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WG46의 가늚을 갖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10개 배열한 경우, 플랫부(31)의 폭(d)은 2.5㎜가 된다. 하우징(13, 14)을 개방한 상태에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단말 사이의 폭방향 거리(D)를 약 15㎜로 할 수 있다. 하우징(13, 14)의 스트로크(S)를 30㎜로 하면, 각 플랫부(31)의 길이(l)를 플랫부(31)의 폭(d)의 5 내지 15배, 예를 들어 약 20㎜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 14)을 폐쇄한 상태에서, 각 굴곡부(41 내지 43)의 각도(θ), 즉 서로 이웃하는 플랫부(31)가 형성하는 각도(θ)는 약 40°가 된다.
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를 기판에 접속한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에 의하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수용부(30)의 두께를 얇게 하여 하우징(13)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0) 내에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원활한 신축이 가능하고,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접속 구조의 기계적 신뢰성과 전기적 특성의 양립이 도모된다.
따라서, 하우징(13)에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는 구조의 휴대 전화(10)에서도, 하우징(13)에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수용부(3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우징(14)에 큰 부품 실장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많은 부품의 실장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당한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변형예는, 굴곡부(41 내지 43)에서의 각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길이를 대략 균등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에서는, 그 굴곡부(41 내지 43)에서, 서로 이웃하는 플랫부(31)가 표리(表裏) 반대가 되도록 180°비틀어져 있다.
이 구조의 경우도,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는, 하우징(13, 14)의 개폐에 수반하여, 비틀어진 굴곡부(41 내지 43)에서 원활하게 굴곡된다. 하우징(13, 14)끼리를 개방한 상태[도 5의 (a)의 상태]에서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수용부(30) 내에서 접어지고, 하우징(13, 14)끼리를 폐쇄한 상태[도 5의 (b)의 상태]에서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가 수용부(30) 내에서 파형 형상으로 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단부(21a, 21b)에 커넥터(25)를 설치하여 성단 처리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기판(11, 12)에 직접 부착하여 성단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기판(11, 12)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는, 병렬시킨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단말을 기판(11, 12)에 대해서 필름 등으로 임시 고정하여 피치를 고정하고,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단말의 중심 도체를 기판(11, 12)의 접속 단자에 납땜으로 접속하면 좋다.
또한, 외부 도체에 접지 바아(26)를 접속하고, 그 반대측으로부터 다른 접지 바아(27) 또는 가압 부재(27)를 배치하여, 각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도, 피치를 고정할 수 있다.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은 기판(11, 12)의 일면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고[도 6의 (a) 참조], 기판(11, 12)의 단부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는 기판(11, 12)의 양면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다[도 6의 (b) 참조]. 위의 기판(11)에 접속할 때는 기판(11)의 하면에, 아래의 기판(12)에 접속할 때는 기판(12)의 상면에,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접속한다. 커넥터(25) 등을 거쳐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기판(11, 12)에 접속할 때도, 기판(11, 12)의 양면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단부를, 커넥터(25) 대신에 예를 들어 금속박 등의 배선 패턴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FPC:Flexible Printed Circuits)이나 경질 기판 등의 중계 기판에 접속하고, 이 중계 기판을 기판(11, 12)에 마련한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도체를 갖지 않는 소직경 절연 케이블을 적당히 혼재시킬 수 있다. 소직경 절연 케이블은 접지나 급전선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51)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의 단부는, 데이터 변환기(52)를 구비한 커넥터(25)의 페룰 및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 부품(53)에 접속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기(52)는 커넥터(25) 상에 없어도 좋다.
광섬유(51)로서는, 직경 85㎛의 유리섬유를 외피로 피복하여 외경 125㎛로 하고, 또한 그 외주를 오버코트 층에 의해 덮은 외경 220㎛의 기기내 배선용의 광섬유를 이용하면 좋다. 이 광섬유(51)에 의하면, 허용 구부림 직경이 약 1㎜로 극히 작고, 좁은 개소에의 배선도 가능하다.
그리고, 광섬유(51)를 이용하면, 고속 대용량 전송이 가능해져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의 개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광섬유(51)를 이용하면, 40개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을 8개로 할 수 있고, 따라서 합계 10개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하니스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광섬유(51)를 포함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에 의하면, 그 폭치수를 대폭 작게 할 수 있고, 하우징(13, 14)의 개폐에 수반하는 신축성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직경 동축 케이블(24)이 AWG46의 가늚을 갖는 경우, 광섬유(51)를 포함한 10개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20)에서는, 플랫부(31)의 폭(d)을 약 2.5㎜로 할 수 있다.
11, 12 : 기판 13, 14 : 하우징
20 :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24 : 소직경 동축 케이블
30 : 수용부 31 : 플랫부
41 내지 43 : 굴곡부 51 : 광섬유

Claims (11)

  1. 복수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이 평면 형상으로 배열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에 있어서,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을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플랫부와,
    상기 플랫부 사이의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노출 부분을,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역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랫부에서, 상기 플랫부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는 동일 방향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굴곡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랫부에서, 상기 플랫부의 길이방향에서의 길이가 상기 플랫부의 폭의 5배 내지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 이외에, 절연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 이외에, 광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 이외에, 절연 케이블과 광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굴곡부에서,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는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은, 배열 폭방향 중 한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으로부터 다른쪽 측의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을 향해 점차 길어지고, 상기 한쪽 측의 부분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굴곡부에서,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는 상기 소직경 동축 케이블의 부분은 균등한 길이로 되고, 배열면의 표리(表裏)가 반대로 되도록 비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상하로 포개어져 직선 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2개의 하우징 내에 마련된 각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10. 제 7 항에 기재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상하로 포개어져 직선 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2개의 하우징 내에 마련된 각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11. 제 8 항에 기재된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가, 상하로 포개어져 직선 형상으로 슬라이드하는 2개의 하우징 내에 마련된 각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KR1020100125736A 2010-12-09 2010-12-09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KR10117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36A KR101171665B1 (ko) 2010-12-09 2010-12-09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36A KR101171665B1 (ko) 2010-12-09 2010-12-09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80A KR20120064480A (ko) 2012-06-19
KR101171665B1 true KR101171665B1 (ko) 2012-08-06

Family

ID=4668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736A KR101171665B1 (ko) 2010-12-09 2010-12-09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6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9766A (ja) 2006-12-22 2008-07-10 Fuji Xerox Co Ltd 光電複合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9283550A (ja) 2008-05-20 2009-12-03 Fujikura Ltd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の配線方法
JP2010244803A (ja) 2009-04-03 2010-10-28 Sumitomo Electric Ind Ltd 複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0466A (ja) 2009-09-07 2011-03-24 Sumitomo Electric Ind Ltd 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及び基板付き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9766A (ja) 2006-12-22 2008-07-10 Fuji Xerox Co Ltd 光電複合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9283550A (ja) 2008-05-20 2009-12-03 Fujikura Ltd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の配線方法
JP2010244803A (ja) 2009-04-03 2010-10-28 Sumitomo Electric Ind Ltd 複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0466A (ja) 2009-09-07 2011-03-24 Sumitomo Electric Ind Ltd 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及び基板付き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80A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804B1 (ko) 동축케이블 접속구조, 그것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 하네스, 및 휴대단말기기
US8063310B2 (en) Electronic device and harness for wiring electronic devices
JP5172285B2 (ja) ハーネス一体型スライドヒンジ及びスライド型電子機器
US201200089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optical fibers in flexible circuits
US7406763B2 (en) Method of producing multiconductor cable harness
KR10100411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들을 배선하기 위한 하니스
US8210867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axial harness
KR20120088531A (ko)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243293A1 (en) Cable wiring structure of sliding-typ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wiring harness
KR101171665B1 (ko)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및 기판이 붙어 있는 소직경 동축 케이블 하니스
JP2009224142A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66631Y1 (ko) 소경 동축 케이블 하네스
JP5515377B2 (ja) 複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3953B2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0466A (ja) 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及び基板付き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
TWI430718B (zh) 細徑同軸纜線線束及帶有基板之細徑同軸纜線線束
JP2009141627A (ja) スライド型電子機器の配線構造及びスライド型電子機器
KR20180003656U (ko) 플랫 케이블
KR101178008B1 (ko) 기판 부착 소직경 동축 전선 하니스
JP5170033B2 (ja) 基板付き細径同軸電線ハーネス
JP5229198B2 (ja) 細径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1244177B1 (e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ble to the same
CN102568667A (zh) 细径同轴电缆束及带基板的细径同轴电缆束
TW201225756A (en) Fine-diameter coaxial electronic wire harness connected to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