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797B1 - 펜더 프로텍터 구조 - Google Patents

펜더 프로텍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797B1
KR101001797B1 KR1020080114931A KR20080114931A KR101001797B1 KR 101001797 B1 KR101001797 B1 KR 101001797B1 KR 1020080114931 A KR1020080114931 A KR 1020080114931A KR 20080114931 A KR20080114931 A KR 20080114931A KR 101001797 B1 KR101001797 B1 KR 10100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width direction
vehicle width
fender protect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435A (ko
Inventor
마꼬또 다께우찌
히또시 니또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1Mud-guards made of non-conventional material, e.g. rubbe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1Under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펜더 패널의 휠 아치부의 둘레 방향 중간부에 측방향 외측으로부터 작용한 외력에 대한 강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한 펜더 프로텍터 구조를 얻는 것이다.
펜더 프로텍터(20)에 보강 빔부(24, 25)를 배치한다. 보강 빔부(24, 24)는 차폭 방향 내측의 차체측에의 내부 고정부(22, 22A)로부터 펜더 패널(1)의 휠 아치부(1W)의 둘레 방향 중간부(1Wm)에 대향하는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모서리부(20S)에까지 형성된다.
펜더 패널, 휠 아치부, 펜더 프로텍터, 보강 빔부, 내부 고정부, 외부 고정부

Description

펜더 프로텍터 구조{FENDER PROTECTOR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208514호 공보(특허문헌 1)는 펜더 패널의 타이어 하우스에 대응하는 부분에 휠 아치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휠 아치부와 차체 내판 사이에서 차륜의 외측을 덮도록 펜더 프로텍터를 설치한 자동차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펜더 패널에 관하여, 휠 아치부의 둘레 방향 양단부에 대해서는 차체측에의 고정점을 설정하기 쉽지만, 둘레 방향 중간부에 대해서는 차체측에의 고정점을 설정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휠 아치부의 둘레 방향 중간부에서 측방향 외측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강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서는, 펜더 프로텍터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리브를 배치한다. 또한, 이 리브를 펜더 패널의 내면에 접촉시켜 휠 아치부의 둘레 방향 중간부에서 강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0851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구조에서는, 리브가 펜더 프로텍터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펜더 프로텍터의 리브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면(예를 들어, 그 리브보다 차폭 방향 내측의 부분에서의) 강성이 부족하기 쉽다. 이 결과, 휠 아치부의 둘레 방향 중간부에 측방향 외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강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펜더 패널의 휠 아치부의 둘레 방향 중간부에 측방향 외측으로부터 작용한 외력을 수용하는 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한 펜더 프로텍터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 빔부를 펜더 프로텍터에 형성한다. 보강 빔부는 차폭 방향 내측의 차체측에의 내부 고정부로부터 펜더 패널의 휠 아치부의 상부에 대향하는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펜더 패널의 휠 아치부의 둘레 방향 중간부에 측방향 외측으로부터 가해진 외력을, 상기 보강 빔부를 이용하여 차체측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에 대한 지지 강성이 향상되어 펜더 패널의 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1은 펜더 프로텍터 구조를 포함하는 차체 전방부 좌현측의 분해 사시도, 도2는 펜더 프로텍터 구조의 하면도, 도3은 펜더 프로텍터의 상면도, 도4는 펜더 프로텍터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펜더 프로텍터를 외측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6은 펜더 프로텍터를 외측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7은 도3의 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 중, FR은 차량 전방, UP는 차량 상방, WO는 차폭 방향 외측을 도시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이드 실(2, side sill)의 전방 단부로부터 프론트 필러(3)를 상방을 향해 설치한다. 그리고, 좌우의 프론트 필러(3) 사이[도1에서는 좌측 프론트 필러(3)만 도시]에 프론트 컴파트먼트(FC)와 차실(R)을 구획하는 대시 패널(4)을 접합한다. 또한, 프론트 필러(3)의 전방에는 후드 리지 보강재(5)를 통해 후드 리지 멤버(6)를 돌출 설치하고, 후드 리지 보강재(5)의 상측에 대시 사이드 멤버(7)를 결합한다.
또한, 프론트 컴파트먼트(FC)의 차폭 방향 양측의 하부에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8)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8)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브래킷(9)에 서브프레임(미도시됨)을 배치한다. 또한, 그 서브프레임에 프론트 서스펜션의 아암(미도시됨)을 배치한다.
그리고, 프론트 사이드 멤버(8)의 차폭 방향 외측에 스트럿 타워(10)를 설치한다. 스트럿 타워(10)의 상단부를 후드 리지 보강재(5)의 내측에 결합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 구조는 전술된 차체 골격 구조에 설치된 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 프로텍터 구조는 차체 전방부 측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펜더 패널(이하, 단순히 펜더 패널이라 함)(1)과, 펜더 프로텍터(20)를 구비한다.
차체 외판의 일부를 이루는 펜더 패널(1)은 프론트 타이어 하우스(TH)의 차폭 방향 외측을 덮도록 복수점에서 상기 차체 골격 구조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부 설치부(1a)를 대시 사이드 멤버(7)의 상면(7a)에, 전방 단부 설치부(1b)를 후드 리지 보강재(5)의 전단부 측면(5a)에, 하단부 설치부(1c)를 프론트 필러(3)의 하단부 측면(3a)에, 하부 후단부 설치부(1d)를 프론트 필러(3)의 하단부 후방면(3b)에, 상부 후단부 설치부(1e)를 프론트 필러(3)의 중간부 후방면(3c)에, 또한 후방부 상측 설치부(1f)를 프론트 필러(3)의 중간부 측면(3d)에, 각각 볼트(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또한, 도1에서 펜더 패널(1)의 주위에 도시된 화살표는 볼트의 조임 방향을 나타낸다.
펜더 패널(1)의 하단부에는 휠 아치부(1W)가 형성된다. 휠 아치부(1W)는 양호하게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1로부터, 이 휠 아치부(1W)의 둘레 방향 중간부(1Wm)에는 차체측에의 설치점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펜더 프로텍터(20)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대략 반원호 형상의 패널 형상으로 성형되고, 펜더 패널(1)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차륜(미도시됨)의 외주를 소정 간격을 두고 덮는다. 펜더 프로텍터(20)에 의해 차륜이 튀어오른 진흙이나 빗물 등을 막아낼 수 있다.
펜더 프로텍터(20)에는 이를 차체측에 고정하는 복수의 내부 고정부(22, 22A, 22B, 22C, 20f, 20r)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고정부(22, 22A, 22B, 22C, 20f, 20r)는 각각 차체측의 일부[도7에서는 플랜지부(5F)]와 상하로 중첩하여 클립(C)에 의해 차체와 고정한다.
펜더 프로텍터(20)의 상측 중앙부에는, 스트럿 타워(10)를 끼워 맞추는 절결부(21)를 형성한다. 또한, 제1 내부 고정부(22)를 이 절결부(21)의 차폭 방향 외측의 측모서리부(21a)의 대략 중앙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제2 내부 고정부(22A)를 제1 내부 고정부(22)로부터 차량 후방에 소정 간격(L)을 두고 배치한다. 또한, 내부 고정부(20f, 20r)를 펜더 프로텍터(20)의 전후단부에 배치한다.
또한, 복수의 외부 고정부(23, 23A, 23B)를 펜더 프로텍터(20)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모서리부(20S)에 설치한다. 외부 고정부(23, 23A, 23B)는 펜더 패널(1)의 휠 아치부(1W)의 둘레 방향 중간부(1Wm)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고정부(23, 23A, 23B)를 펜더 패널(1)의 일부[도7에서는 플랜지부(1F)]와 상하로 중첩하여, 클립(C)에 의해 외부 고정부(23, 23A, 23B)와 펜더 패널(1)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들 외부 고정부(23, 23A, 23B)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부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외부 고정부(23, 23A, 23B)에서는 단부 모서리부(20S)가 하방으로 오목하게 배치되어 펜더 프로텍터(20)의 외주벽(20a)과 외부 고정부(23, 23A, 23B)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펜더 프로텍터(20)에 보강 빔부(24, 25)를 배치 한다. 보강 빔부(24, 25)는 차폭 방향 내측의 차체측에의 내부 고정부, 즉 제1 및 제2 내부 고정부(22, 22A)로부터 펜더 패널(1)의 휠 아치부(1W)의 둘레 방향 중간부(1Wm)에 대향하는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모서리부(단부)(20S)에까지 형성된다.
제1 내부 고정부(22)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신장하는 보강 빔부(24)는 내부 고정부(22)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내부 고정부(22A)로부터 신장하는 보강 빔부(25)는 경사 전방으로 신장하고, 보강 빔부(25)와 제1 내부 고정부(22)로부터 경사 후방으로 신장하는 보강 빔부(24E)는 외부 고정부(23B)를 향해 모인다(접근한다).
또한, 펜더 프로텍터(20)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모서리부(20S)에 형성된 외부 고정부(23, 23A, 23B)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 25 중 어느 2개)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끼이도록 배치된다. 즉, 외부 고정부(23)는 보강 빔부(24A, 24B)의 차폭 방향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고정부(23A)는 보강 빔부(24C, 24D)의 차폭 방향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고정부(23B)는 보강 빔부(24E, 25)의 차폭 방향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26, 26A)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 25 중 어느 2개)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끼워져 있는 단부 모서리부(20S) 중, 외부 고정부(23, 23A, 23B)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다. 경사면(26, 26A)은 외주벽(20a)의 일반면과 외부 고정부(23, 23A, 23B)의 표면 형성 위치와의 단차만큼 차폭 방향 외측 단부 모서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다.
그리고, 보강 빔부(24, 25)는 위로 볼록한 비드로서 형성된다. 즉,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 프로텍터(20)의 이면(하면)을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한다. 또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도5,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상면)으로 돌출시킨다.
여기서, 펜더 프로텍터(20)의 단면 구조에 대해 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드 리지 어퍼 패널(5b)을 하방으로 연장한다. 후드 리지 어퍼 패널(5b)은 폐단면 구조가 되는 후드 리지 보강재(5)의 이너측을 형성한다. 연장부(5c)의 하단부를 차폭 방향 외측에 단면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플랜지부(5F)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5F)와 내부 고정부(22)를 중첩한 후 클립(C)으로 고정한다. 또한, 후드 리지 어퍼 패널(5b)의 하부를 서스펜션 스프링 서포트(10a)과 접합한다. 서스펜션 스프링 서포트(10a)는 스트럿 타워(10)의 상단부면을 형성한다.
펜더 패널(1)의 휠 아치부(1W)의 주연부를 차 내측으로 절곡하여 플랜지부(1F)를 형성한다. 이 플랜지부(1F)와 펜더 프로텍터(20)에 형성된 외부 고정부(23, 23A, 23B)를 중첩한 후 클립(C)으로 고정한다. 또한, 도7은 내부 고정부(22), 보강 빔부(24C) 및 외부 고정부(23A)를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내부 고정부(22A), 보강 빔부(24A, 24B, 24D, 24E, 25) 및 외부 고정부(23, 23B)도 대략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빔부(24, 25)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에 세로 벽부(27)를 형성한다. 이 세로 벽부(27)와 펜더 패널(1) 사이의 소정 폭(S)의 간극에 완충체로서의 발포 수지(28)를 개재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에 따르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 패널(1)에 측방향 외측으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외력(F)이 입력되면, 그 외력(F)에 의해 펜더 패널(1)은 차폭 방향 내측으로 휘려고 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펜더 프로텍터(20)에 보강 빔부(24, 25)를 형성한다. 보강 빔부(24, 25)는 차폭 방향 내측의 차체측으로의 내부 고정부(22, 22A)로부터 펜더 패널(1)의 휠 아치부(1W)의 둘레 방향 중간부(1Wm)에 대향하는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까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력(F)(하중)을 보강 빔부(24, 25)를 통해 차체측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F)에 대한 강성을 높여 펜더 패널(1)의 휠 아치부(1W)의 둘레 방향 중간부(1Wm)의 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를 형성한다. 보강 빔부(24A 내지 24E)는 내부 고정부(22)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확장된다. 이에 의해, 보강 빔부(24A 내지 24E)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둘레 방향 중간부(1Wm)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배치된다. 또한, 보강 빔부(24)에 의해 펜더 프로텍터(20)의 강성이 높아져 휠 아치부(1W)의 휨 변형이 억제되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외부 고정부(23, 23A, 23B)를 사이에 끼우도록 복수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 25 중 어느 2개)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외부 고정부(23, 23A, 23B)가 강성이 높은 보강 빔부(24A 내지 24E, 25 중 어느 2개)에 의해 끼워지기 때문에, 외부 고정부(23, 23A, 23B)의 강성을 높여 펜더 프로텍터(20)와 펜더 패널(1)의 설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보강 빔부(24E, 25)를 형성한다. 보강 빔부(24E, 25)는 차폭 방향 내측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내부 고정부(22, 22A)로부터 휠 아치부(1W)의 둘레 방향 중간부(1Wm)에 대향하는 위치로서의 외부 고정부(23B)를 향해 모이도록(접근하도록) 신장한다. 즉, 복수 세트의 보강 빔을 설치하였다. 이로 인해, 외력(F)을 이들 2개의 보강 빔부(24E, 25)를 통해 복수의 내부 고정부(22, 22A)에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펜더 프로텍터(20)의 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 25 중 어느 2개)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사이에 펜더 프로텍터(20)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모서리부(20S)의 경사면(26, 26A)을 형성한다. 즉, 굴곡 형상이 되기 때문에, 단부 모서리부(20S)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빔부(24, 25)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서의 세로 벽부(27)와 펜더 패널(1) 사이에 완충체로서의 발포 수지(28)를 개재시킨다. 이로 인해, 이 발포 수지(28)에 의해 외력(F)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펜더 프로텍터(20)와 펜더 패널(1)을 직접 접촉시키기만 한 구성에서는, 진동 입력 등에 수반하여 마찰음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발포 수지(28)를 끼움 지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체로 서는, 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이나 부직포 등 완충 기능을 갖는 다른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빔부(24, 25)를 위로 볼록한 비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보강 빔부(24, 25)를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빔부(24, 25) 내의 홈 형상 공간부에 하방으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펜더 패널(1)과 펜더 프로텍터(20)를 결합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방으로부터 보면, 외부 고정부(23, 23A, 23B)를 끼움으로써 2개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 25 중 어느 2개)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보강 빔부(24A 내지 24E, 25 중 어느 2개)에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을 삽입하여 펜더 프로텍터(20)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고정부(23, 23A, 23B)와 펜더 패널(1)을 클립(C)으로 고정하는 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또한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어 펜더 패널에 배치하는 펜더 프로텍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 구조를 포함하는 차체 전방부 좌현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 구조의 하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의 상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를 외측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펜더 프로텍터를 외측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7은 도3의 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다.

Claims (8)

  1. 펜더 패널과,
    상기 펜더 패널의 차폭 방향 내측에 차륜의 외주를 간격을 두고 덮는 패널 형상의 펜더 프로텍터와,
    상기 펜더 프로텍터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상기 펜더 패널의 휠 아치부의 상부에 대향하는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보강 빔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빔부는 차폭 방향 내측에 상기 펜더 프로텍터에 고정되도록 하는 내부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고정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 형상으로 확대되는 복수의 보강 빔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빔부는 상기 펜더 프로텍터의 차폭 방향 외측에 상기 펜더 패널과 고정되도록 하는 외부 고정부를 갖고,
    상기 외부 고정부가 복수의 보강 빔부의 사이에 배치된 차량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내부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 빔부를 복수 세트 설치한 차량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 프로텍터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 모서리부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보강 빔부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된 차량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빔부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와 상기 펜더 패널 사이에 완충체를 개재시킨 차량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빔부에 차량 상방으로 볼록한 비드가 형성된 차량의 펜더 프로텍터 구조.
KR1020080114931A 2007-12-17 2008-11-19 펜더 프로텍터 구조 KR101001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324479 2007-12-17
JP2007324479A JP4450064B2 (ja) 2007-12-17 2007-12-17 フェンダープロテクタ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435A KR20090065435A (ko) 2009-06-22
KR101001797B1 true KR101001797B1 (ko) 2010-12-15

Family

ID=4034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931A KR101001797B1 (ko) 2007-12-17 2008-11-19 펜더 프로텍터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9392B2 (ko)
EP (1) EP2072379B1 (ko)
JP (1) JP4450064B2 (ko)
KR (1) KR101001797B1 (ko)
CN (1) CN101462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7721B2 (en) * 2009-08-17 2012-01-03 Honda Motor Co., Ltd. Reinforcement bracket and related methods for on-line painting
FR2950854B1 (fr) * 2009-10-05 2015-06-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artie avant de vehicule dotee d'une piece de fermeture de montant de baie multifonction.
JP4996665B2 (ja) * 2009-10-19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とフェンダーパネルの取付け車体構造
JP5741209B2 (ja) * 2011-05-20 2015-07-01 スズキ株式会社 スプラッシュカバー取付構造
JP5312535B2 (ja) * 2011-07-30 2013-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CN102530099A (zh) * 2011-12-31 2012-07-0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后轮鼓包与后地板及后纵梁的焊接结构
KR101361372B1 (ko) * 2012-06-18 2014-0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펜더패널 조립 장치
WO2014030592A1 (ja) * 2012-08-21 2014-02-2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クラッシュボックス及び自動車車体
US9428121B2 (en) * 2012-11-29 2016-08-30 Techstyles, Inc. Acoustic wheel well liner
DE102014107609B3 (de) * 2014-05-28 2015-10-29 Wegu Gmbh Leichtbausysteme Kotflügel aus Kunststoff mit direkt angeformtem, gegenüber einem Hauptbereich des Kotflügels auslenkbarem Schmutzfänger
US11021120B2 (en) 2014-11-24 2021-06-01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Uniform deceleration unit
US11097782B2 (en) 2014-11-24 2021-08-24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Sill beam uniform deceleration unit
WO2016085950A1 (en) * 2014-11-24 2016-06-02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Uniform deceleration unit
US9394005B1 (en) * 2015-02-12 2016-07-19 Autoliv Asp, Inc. Foot well intrusion defl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WO2016194233A1 (ja) * 2015-06-05 2016-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US11040680B2 (en) 2016-04-21 2021-06-22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Uniform deceleration unit crash box
US9718501B1 (en) * 2016-06-23 2017-08-01 Harry Blake Manley Fender integrated aerodynamic mud, rock and splash guard
JP6477762B2 (ja) * 2017-03-28 2019-03-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WO2019028608A1 (en) * 2017-08-07 2019-02-14 Psa Automobiles Sa FRONT BODY FRAME OF VEHICLE FRONT BODY
TWM562255U (zh) * 2018-03-21 2018-06-21 Shi Fu Man 易於收納與運送之車輛擋泥板結構
EP3781444A4 (en) * 2018-04-16 2021-11-17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EVEN DECELERATION UNIT
US10882564B2 (en) * 2019-02-27 2021-01-05 Nissan North America, Inc. Wheel housing liner assembly
CA3067977A1 (en) * 2019-04-26 2020-10-26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Guard assembly and vehicle having same
US11648892B2 (en) * 2020-06-01 2023-05-16 Inoac Corporation Noise reflector, fender liner, and silenc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888U (ko) * 1985-12-12 1987-06-22
JPS6343985U (ko) * 1986-09-08 1988-03-24
JP2007223397A (ja) * 2006-02-22 2007-09-06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プロテクタ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680A (ja) * 1983-09-09 1985-04-02 Nissan Motor Co Ltd フエンダプロテクタ
JPS60259574A (ja) * 1984-06-01 1985-12-21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における鋼板と取付部品の接合部の防錆方法
DE3539146A1 (de) * 1985-11-05 1987-05-14 Ford Werke Ag Radhausauskleidung fuer kraftfahrzeuge
JP2755518B2 (ja) * 1992-02-25 1998-05-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フェンダ
US5613710A (en) * 1995-06-12 1997-03-25 Waner; Alan R. Dual rear wheel fender liner
US5829786A (en) * 1996-06-25 1998-11-03 Dahl; Roger S. Fiberglass fender with yieldable mounting means
JPH11208514A (ja) 1998-01-21 1999-08-03 Suzuki Motor Corp フェンダ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JP3543711B2 (ja) * 1999-12-24 2004-07-2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のフェンダーライナ
JP2001260944A (ja) * 2000-03-17 2001-09-26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フェンダプロテクタ構造
IT1320370B1 (it) * 2000-05-26 2003-11-26 San Valeriano S P A Pannello termoformato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US20070029840A1 (en) * 2003-09-05 2007-02-08 Kees Marijnissen Energy absorbing vehicle fender
US7497509B2 (en) * 2005-03-08 2009-03-03 Toyoda Gosei Co., Ltd. Exterior component
JP4690946B2 (ja) 2006-06-02 2011-06-01 株式会社東芝 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の作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8037335A (ja) * 2006-08-09 2008-02-21 Kojima Press Co Ltd フェンダーライナーの衝撃吸収機構
JP4950621B2 (ja) * 2006-11-06 2012-06-13 林テレンプ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プラッシュシール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888U (ko) * 1985-12-12 1987-06-22
JPS6343985U (ko) * 1986-09-08 1988-03-24
JP2007223397A (ja) * 2006-02-22 2007-09-06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プロテクタ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2555B (zh) 2011-03-23
EP2072379B1 (en) 2011-06-08
JP4450064B2 (ja) 2010-04-14
US20090152901A1 (en) 2009-06-18
EP2072379A1 (en) 2009-06-24
KR20090065435A (ko) 2009-06-22
CN101462555A (zh) 2009-06-24
JP2009143469A (ja) 2009-07-02
US7909392B2 (en)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797B1 (ko) 펜더 프로텍터 구조
JP6112083B2 (ja) 車体前部構造
JP5515778B2 (ja)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JP5879938B2 (ja) 車両後部の側部パネルの補強構造
JP6919518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KR20150016609A (ko) 펜더 지지부 구조
JP6160278B2 (ja) 車両前部構造
KR102189197B1 (ko) 차량 하부 구조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JP2019089507A (ja) 車両後部構造
JP2014196066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CN112677924B (zh) 车辆的前部结构
JP4556172B2 (ja) 車体後部構造
JP4978253B2 (ja) フェンダカバー構造及び車体前部構造
JP5830452B2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2011148464A (ja)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JP2020090112A (ja) 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17185902A (ja) 車両用フード
JP5618329B2 (ja) 車両の車体上部構造
JP6101722B2 (ja) 車室前部用支持体
JP6941635B2 (ja) 車両前部構造
CN111942477B (zh) 汽车的发动机罩支承构造
CN110758570B (zh) 用于车辆的翼子板结构
JP4989754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996038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