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419B1 -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및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및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419B1
KR101001419B1 KR1020080063959A KR20080063959A KR101001419B1 KR 101001419 B1 KR101001419 B1 KR 101001419B1 KR 1020080063959 A KR1020080063959 A KR 1020080063959A KR 20080063959 A KR20080063959 A KR 20080063959A KR 101001419 B1 KR101001419 B1 KR 101001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pdated
map data
map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43A (ko
Inventor
아끼노리 아사하라
겐지 나까
미찌오 모리오까
히로까즈 이나요시
다까나리 다나바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0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59Differential updating map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89Transmission of selected map data, e.g. depending on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96Transmission of map data from central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지도 데이터 갱신 시에 네비게이션 기능의 정지 시간을 적게 한다. 지도 데이터를 배신하는 서버와,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으로서, 서버는 갱신 전후의 지도 데이터의 차분 데이터를 영역마다 기록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요구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의 차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동 단말기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갱신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를 구비하고, 수신한 차분 데이터에 의해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동안에 지도 데이터가 취득되는 경우에, 취득되는 지도 데이터가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로부터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지도 배신 서버,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외부 기억 장치, 판독 장치, 메모리

Description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및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MAP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MAP DATA UPDATING METHOD}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서버측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일부가 갱신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측에서 일부 지역의 변화분만의 지도 데이터가 갱신되면, 적절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갱신 대상의 지역에 새롭게 도로가 건설된 경우에, 지도 데이터가 갱신된 지역에 포함되는 도로와, 지도 데이터가 미갱신으로서, 갱신 대상의 지역과 인접하는 지역에 포함되는 도로가 접속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경된 도로를 더듬어 가서, 기존의 도로에 접속할 때까지의 지역까지 갱신 지역을 넓힘으로써 도로의 접속성을 보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전국의 지도 데이터에 변경 정보를 반영시키면, 방대한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고, 갱신 처리의 실행 중에는 지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요로 된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필요로 된 시점에서 갱신 하고, 지도의 변경 부분만을 갱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전국분의 지도 데이터의 갱신이 완료되지 않아도, 적어도 필요한 지역분의 지도 데이터의 갱신이 완료되어 있는 것을 보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724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20524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로의 접속성을 유지 가능한 범위까지 갱신 지역을 확대함으로써, 지역을 한정한 갱신이라도 도로의 접속성을 보증할 수 있다. 그러나, 확대된 갱신 지역은, 반드시 동시에 갱신되어야만 하므로, 갱신 대상의 영역이 광범위에 걸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많은 갱신 시간을 필요로 한다. 갱신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지도 데이터를 참조할 수 없으므로, 지도 데이터를 장시간 참조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갱신이 필요로 된 시점에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기 때문에, 갱신 처리의 실행 중이라도 지도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갱신 단위로 되는 지역마다 파일을 작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본 전국을 수㎞ 단위로 분할하면 수만 이상의 파일을 관리할 필요가 있어, 지도 데이터의 참조 시에 큰 부하가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데이 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이하, 「DBMS」)을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DBMS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를 고속으로 참조하기 위해서는, 파일의 어느 부분에 어느 지역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색인 정보(인덱스)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갱신 대상의 영역이 광범위에 걸치는 경우에는, 인덱스의 갱신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결과적으로 지도 데이터를 장시간 참조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DBMS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서, 인덱스의 생성에 많은 처리 시간을 요하는 경우라도 지도 데이터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형태에서는, 지도 데이터를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서버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지도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 갱신 전의 상기 지도 데이터와 갱신 후의 상기 지도 데이터와의 차분 데이터가 영역마다 기록되는 차분 데이터 기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로부터 배신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갱신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될 때까지 저장되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갱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요구받은 경우에는, 상기 갱신 대상의 영역의 차분 데이터를 상기 차분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로부터 배신된 차 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기입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도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로부터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가 갱신 중이라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은 지도 배신 서버(11) 및 단말기(12)를 포함한다. 지도 배신 서버(11) 및 단말기(12)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접속된다. 지도 배신 서버(11)는 지도 데이터를 단말기(12)에 배신한다. 단말기(12)는 배신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도 정보를 표시하고,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한다.
지도 배신 서버(11)는 연산 처리 장치(110), 입출력 장치(111), 기억 장치(112) 및 통신 장치(113)를 포함한다.
연산 처리 장치(110)는 CPU(105) 및 메모리(106)를 포함한다. CPU(105)는 메모리(106)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106)는 CPU(105)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106)는 휘발성 메모리이어도 되고, 불휘발성 메모리 이어도 된다. 또한, 메모리(106)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입출력 장치(111)는 입력 장치(101) 및 출력 장치(102)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101)는 지도 배신 서버(11)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키보드 등이다. 출력 장치(102)는 지도 배신 서버(11)의 관리 정보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이다.
기억 장치(112)는 외부 기억 장치(103) 및 판독 장치(104)를 포함한다. 외부 기억 장치(103)는 지도 배신 서버(11)에 의해 배신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외부 기억 장치(103)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이다. 판독 장치(104)는 DVD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내는 장치이다. 또한, 기억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통신 장치(113)는 네트워크 IF(107)를 포함한다. 지도 배신 서버(11)는 네트워크 IF(107)를 통하여, 네트워크(120)에 접속된다.
CPU(105), 메모리(106), 입력 장치(101), 출력 장치(102), 외부 기억 장치(103), 판독 장치(104) 및 네트워크 IF(107)는 내부 버스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120)는 무선 기지국(121)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장치(122)를 구비한 단말기(12)에 의해 접속된다.
단말기(12)는 연산 처리 장치(131), 통신 장치(132), 현재 위치 계측 장치(133), 기억 장치(134) 및 입출력 장치(135)를 포함한다.
연산 처리 장치(131)는 CPU(141) 및 메모리(142)를 포함한다. CPU(141)는 메모리(14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142)는 CPU(141)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142)는 휘발성 메모리이어도 되고, 불휘발성 메모리 이어도 된다. 또한, 메모리(14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통신 장치(132)는 네트워크 IF(143) 및 무선 통신 장치(12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IF(143)는 무선 통신 장치(122)를 통하여, 네트워크(120)에 접속된다.
현재 위치 계측 장치(133)는 단말기(12)의 현재 위치를 계측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에 의해서, 단말기(12)의 현재 위치가 계측된다.
기억 장치(134)는 외부 기억 장치(146) 및 판독 장치(147)를 포함한다. 외부 기억 장치(146)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외부 기억 장치(146)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장치 등이다. 판독 장치(147)는 DVD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내는 장치이다. 또한, 기억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입출력 장치(135)는 입력 장치(144) 및 출력 장치(145)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144)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동 등, 단말기(12)를 조작하고, 또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14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등이다. 출력 장치(145)는,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 주변의 지도 정보 등을 표시한다. 출력 장치(145)는, 예를 들면 LCD 디스플레이 등이다. 또한, 음성에 의해서 정보를 출력하여도 된다.
CPU(141), 메모리(142), 입력 장치(144), 출력 장치(145), 외부 기억 장치(146), 판독 장치(147), 네트워크 IF(143) 및 현재 위치 계측 장치(133)는 내부 버스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지도 배신 서버(11)의 연산 처리 장치(110)는 차분 데이터 생성부(216) 및 배신 데이터 선별부(214)를 포함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216) 및 배신 데이터 선별부(214)는 연산 처리 장치(110)에 포함되는 메모리(106)에 기억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216) 및 배신 데이터 선별부(214)는 CPU(105)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지도 배신 서버(11)의 기억 장치(112)는 차분 데이터 기록부(215)를 포함한다. 차분 데이터 기록부(215)는, 기억 장치(112)의 외부 기억 장치(103)에 저장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216)는 CPU(105)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최신의 지도 데이터와, 갱신 전의 지도 데이터의 차분 데이터를 추출하고, 차분 데이터 기록부(215)에 축적한다. 축적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새로운 도로의 추가, 제한 속도의 변경, 또는 신규 점포 등의 변경 정보이다. 또한, 축적된 차분 데이터는 CPU(105)에 의해 배신 데이터 선별부(214)가 처리됨으로써, 단말기(1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선별 및 배신된다. 또한, 차분 데이터 기록부(215)는, 초기 상태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차분 데이터 기록부(215)에 저장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차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지도 배신 서버(11)는 통신 장치(113)에 서버 통신부(213)를 포함한다. 전술한 축적된 차분 데이터는 서버 통신부(213)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기(12)에 배신된다.
단말기(12)는 통신 장치(132)에 단말 통신부(212)를 포함한다. 단말기(12)는 단말 통신부(212)를 통하여,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배신된 차분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 기억 장치(146)에 저장한다.
단말기(12)의 연산 처리 장치(131)는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 지도 데이터 검색부(204),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5), 차분 데이터 취득부(206),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부(207), 어플리케이션 감시부(208),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209) 및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를 포함한다.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 지도 데이터 검색부(204),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5), 차분 데이터 취득부(206),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부(207), 어플리케이션 감시부(208),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209) 및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는 연산 처리 장치(131)의 메모리(14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이다.
단말기(12)의 기억 장치(134)는 데이터베이스(202) 및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02)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02)는 기억 장치(134)의 외부 기억 장치(146)에 저장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배신된 차분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될 때까지,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기억 장치(146)에 저장되어도 되지만, 생성되는 갱신 완료 데이터가 작은 경우 또는 연산 처리 장치(131)의 메모리(142)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메모리(142)에 저장되어도 된다.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는 배신된 차분 데이터에 의해 갱신되는 범위인 파급 범위를 판정한다. 지도 데이터 검색부(204)는 이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5)는 이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경로 유도(經路誘導) 등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하거나 한다. 차분 데이터 취득부(206)는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차분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부(207), 어플리케이션 감시부(208),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209),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 및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는 갱신 완료 데이터 관리부(201)를 구성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관리부(201)는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배신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부(207)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및 배신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 완료 지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어플리케이션 감시부(208)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감시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209)는 요구된 갱신 완료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는 갱신 완료 지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한다.
지도 데이터에 포함되는 도로 데이터는 도로에 대응하는 링크와, 교차점에 대응하는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데이터 구조에 의해 저장되어 있고, 링크 및 노드마다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의 영역은, 예를 들면 사각형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에 대해 식별자(identifier)가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서는, 영역마다 지도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 분할된 영역을 에리어로 하고, 각 영역의 식별자를 에리어 ID로 한다. 또한, 에리어는 사각형이 아니어도 되고, 다각형(polygon) 또는 원형 등이어도 된다. 또한,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에리어의 변경 정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운용 개시 후라도 에리어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크기로 지도를 분할함으로써, 각 용도에 적합한 단위로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지를 포함하는 에리어만의 갱신, 또는 경로를 포함하는 에리어만의 갱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3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300)은 에리어마다 도로 및 교차점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300)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지도 배신 서버(11)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한 테이블 구조를 포함한다.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300)은 에리어 ID(301), 링크 데이터 컬럼(302) 및 노드 데이터 컬럼(303)을 포함한다. 에리어 ID(301)는 에리어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저장한다. 링크 데이터 컬럼(302)은 도로에 대응하는 링크 데이터를 저장한다. 노드 데이터 컬럼(303)은 교차점 또는 도로 종별의 변화점에 대응하는 노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링크 데이터 컬럼(302)에 저장된 정보는, 1개 이상의 링크 데이터(305)의 정보가 바이너리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링크 데이터(305)는 링크 ID, 도로 종별, 도로의 폭원, 형상점수, 형상점 데이터, 시점 노드 ID 및 종점 노드 ID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1개의 컬럼에 복수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작성한 바이너리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동시에 액세스될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동시에 읽어낼 수 있다.
링크 ID는 링크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저장된다. 도로 종별은 고속 도로 등의 도로의 종별이 저장된다. 도로의 폭원은 도로의 폭이 저장된다. 형상점수, 형상점 데이터, 시점 노드 ID 및 종점 노드 ID는 링크의 형상 및 접속 상황을 특정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노드 데이터 컬럼(303)에 저장된 정보는 링크 데이터 컬럼(302)과 마찬가지로, 노드 데이터(304)가 바이너리 형식(binary format)으로 저장되어 있다. 노드 데이터(304)는 노드 ID, 좌표 x, 좌표 y, 접속 링크수 및 접속처 링크 ID를 포함한다.
노드 ID는, 노드를 특정하는 식별자가 저장된다. 좌표 x 및 좌표 y는 노드의 위치의 좌표가 저장된다. 접속 링크수 및 접속처 링크 ID는,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링크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복수의 도로(링크)에 공통의 노드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복수의 도로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로의 접속 상황에 기초하여,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다익스트라법 등의 공지의 경로 탐색 방법에 의해 탐색할 수 있다.
단말기(12)는 입출력 장치(135)를 통하여 이용자로부터 지정된 에리어의 지도 갱신을 요구받으면,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지정 에리어를 최신의 정보로 갱신하기 위해 필요한 차분 데이터를 지도 배신 서버(11)에 요구한다. 이하,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에리어를 갱신 대상 에리어로 한다. 단말기(12)는 지도 배신 서버(11)에 의해 취득된 차분 데이터를 읽어내고, 취득된 차분 데이터에 포함되는 도로 또는 교차점의 갱신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에리어 단위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한 경우에, 이용자가 지정한 범위 밖이라도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도로가 지도 데이터에서도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기(12)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또한, 변경 전 및 변경 후의 동일한 도로의 지도 데이터가 2중으로 등록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갱신 대상 에리어 밖까지 접속되는 도로는, 적어도 갱신 대상 에리어 이외의 도로까지 접속되도록 지도 데이터가 갱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도 배신 서버(11)는 에리어간의 도로의 접속이 절단되지 않도록 차분 데이터를 배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서는, 정기적으로 지도 데이터가 갱신되고, 갱신되는 지도 데이터는 이하의 2개의 조건을 충족한다. 제1 조건으로서는, 현실에 변경되어 있지 않은 도로의 링크 ID 및 교차점의 노드 ID는, 각 버전간에서 동일한 것이다. 제1 조건에 의해, 도로 데이터의 차분을 적절하게 취득할 수 있다. 제2 조건으로서는, 모든 에리어의 지도 데이터에서, 도로가 다른 에리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1개의 에리어의 지도 데이터로 경로 탐색을 실행하면, 적어도 하나는 경로가 존재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갱신되 는 지도 데이터에 부여된 일련 번호를 버전 번호로 한다. 또한, 버전 번호(Version Number)가 큰 것일수록 후에 갱신된 지도 데이터로 한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를 에리어마다 갱신하는 수순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서, 개요를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전 1의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버전 1의 지도 데이터는, 갱신 전의 지도 데이터로 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전 2의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버전 2의 지도 데이터는, 최신의 지도 데이터로 한다.
버전 1의 지도 데이터와 버전 2의 지도 데이터를 비교하면, 버전 1의 지도에 포함되는 링크(401)가 삭제되고, 링크(402) 및 링크(403)가 추가되어 있다. 따라서, 차분 데이터는 링크(401)의 삭제, 링크(402)의 추가 및 링크(403)의 추가로 된다.
여기서, 차분 데이터 중으로부터,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어 있는 링크끼리가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도 갱신 데이터로 한다. 예를 들면, 제1 지도 갱신 데이터는, 링크(403)의 추가이다. 또한, 제2 지도 갱신 데이터는, 링크(401)의 삭제 및 링크(402)의 추가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대상 에리어의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는, 갱신 전의 지도 데이터에 대해, 갱신 대상 에리어에 포함되는 지도 갱신 데이터를 적용하면, 도로의 접속성을 보증할 수 있다.
여기서, 현시점의 단말기(12)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는, 버전 1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지도 배신 서버(11)에는, 최신의 지도 데이터인 버전 2의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에리어 ID=4의 에리어를 갱신 대상 에리어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부의 에리어가 갱신된 후의 상태의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지도 갱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링크(403)가 에리어 ID=4의 에리어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1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갱신을 반영시킬 필요가 없다. 한편, 제2 지도 갱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에리어 ID=4의 에리어에 포함되는 링크가 갱신되므로, 단말기(12)에 저장된 데이터에 제2 지도 갱신 데이터를 반영시킨다. 이 때, 제2 지도 갱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에리어 ID=2 및 에리어 ID=3에 에리어에 대해서도 갱신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1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가 지도 갱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갱신되므로, 각 버전의 에리어마다, 적용된 지도 갱신 데이터 및 동시에 갱신되는 에리어가 지도 배신 서버(11)에 유지되어 있다. 각 에리어의 버전마다의 갱신 정보의 일례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에리어 단위 지도 갱신 데이터 관리 테이블(5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에리어 단위 지도 갱신 데이터 관리 테이블(500)은, 각 에리어의 버전마다 레코드가 작성된다. 에리어 단위 지도 갱신 데이터 관리 테이블(500)을, 차분 데이터 생성부(216)에 포함되어도 되고, 차분 데이터 기록부(215)에 포함되어도 된다.
에리어 단위 지도 갱신 데이터 관리 테이블(500)은 에리어 ID(501), 버전(502), 필요 지도 갱신 데이터 ID 리스트(503) 및 갱신 대상 에리어 ID 리스트(504)를 포함한다. 에리어 ID(501)는 에리어의 식별자이다. 버전(502)은 에리어의 버전을 나타내는 일련 번호이다.
필요 지도 갱신 데이터 ID 리스트(503)는 에리어 ID(501) 및 버전(502)에 의해 식별되는 에리어의 지도 데이터에 적용되어 있어야만 하는 지도 갱신 데이터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갱신 대상 에리어 ID 리스트(504)는 에리어 ID(501) 및 버전(502)에 의해 식별되는 에리어의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 동시에 갱신되는 에리어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단말기(12)는, 특정한 에리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하는 경우에는, 우선 유지하고 있는 지도 데이터의 버전 정보와 갱신 대상의 에리어 ID를 지도 배신 서버(11)에 송신한다. 지도 배신 서버(11)는 갱신 대상 에리어 ID 및 버전 정보를 수신하면, 에리어 단위 지도 갱신 데이터 관리 테이블(500)을 참조하여, 단말기(1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적용 완료의 지도 갱신 데이터의 일람(적용 완료 갱신 데이터 리스트)을 작성한다.
다음으로, 지도 배신 서버(11)는 수신한 갱신 요구 대상 에리어 ID에 관련지어진 지도 갱신 데이터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그리고, 갱신 요구 대상 에리어 ID에 관련지어진 지도 갱신 데이터의 리스트로부터, 적용 완료 갱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지도 갱신 데이터를 제외함으로써, 갱신 요구 대상 에리어를 최신의 상태로 갱신하기 위해 필요한 지도 갱신 데이터의 일람을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단말기(12)로부터 지정된 에리어를 갱신하기 위해 필요한 지도 갱신 데이터만을 취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 단말기(1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말기(1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지도 데이터의 갱신 처리는 단말기(12)의 입력 장치(144)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등에 실행된다.
우선,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5)의 처리에 의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갱신 대상 에리어의 차분 데이터를 지도 배신 서버(11)에 요구한다. 배신된 차분 데이터를 수신하면,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를 실행한다.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모든 갱신 완료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2)에 반영하기 위한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를 실행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는, 모든 갱신 완료 데이터가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로부터 데이터베이스(202)에 전송 및 저장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갱신된 데이터가 대량인 경우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가 완료될 때까지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이라도, 갱신 완료 데이터 관리부(201)에 의해, 갱신 완료의 지도 데 이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지도 데이터 요구(615)를 접수하면, 갱신 완료 데이터 관리부(201)에 의한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 처리(612)에 의해,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검색한다.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로부터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요구된 지도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02),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 또는 데이터베이스(202) 및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로부터 취득된 지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지도 데이터로 하고, 도로의 접속성(road connection) 등을 보증한 상태에서 지도 데이터 대답(614)을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는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용 인덱스(701) 및 갱신 완료 데이터(702)를 포함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용 인덱스(701)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702)의 색인 정보를 저장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용 인덱스(701)는 갱신 완료 데이터(702)의 식별자와 갱신 완료 데이터(702)가 저장된 영역의 어드레스와의 대응 등을 포함하는, 갱신 완료 데이터를 고속으로 취득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지의 이분목 탐색 또는 선형 탐색 등의 검색 알 고리즘에 의해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용 인덱스(701)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의 식별자(703) 및 갱신 완료 데이터의 어드레스(704)가 포함된다. 갱신 완료 데이터의 식별자(703)는, 예를 들면 갱신 대상 에리어의 에리어 ID이다.
갱신 완료 데이터(702)는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대해,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배신된 차분 데이터가 적용된 지도 데이터이다.
갱신 완료 데이터는 갱신된 영역만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인덱스의 저장에 많은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덱스의 작성 및 갱신 데이터의 검색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갱신 완료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02)에 모든 데이터가 반영되면 소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말기(1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갱신 처리의 전체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지도 데이터의 갱신 처리는 단말기(12)의 CPU(141)에 의해, 메모리(142)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 처리됨으로써 실행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우선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801)를 실행한다.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801)는 차분 데이터 취득부(206)가 처리됨으로써 실행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부(207)를 처리함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를 실행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는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801)에 의해 취득된 차분 데이터와, 단말기(12)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갱신 완료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가 완료되면, 갱신 준비 완료 통지 처리(803)를 실행한다. 갱신 준비 완료 통지 처리(803)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는 모듈에, 갱신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처리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준비 완료 통지 처리(803)가 실행되면, 검색 대상의 지도 데이터를 갱신 완료 데이터로 절환한다. 그리고, 갱신 완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시키는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를 다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가 종료되면,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는 모듈에, 갱신 완료 통지 처리(805)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하고, 지도 갱신을 완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갱신 처리의 각 처리에서의 데이터의 갱신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지도 데이터 갱신 처리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영역으로서, 일시 기억 영역, 갱신 완료 데이터가 저장되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 및 갱신된 지도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2)가 사용된다. 또한, 일시 기억 영역은 메모리(142)에 의해 제공되는 기억 영역 이외에, 외부 기억 장치(146) 등에 의해 제공되는 기억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일시 기억 영역에의 지도 데이터는 파일로서 저장되어도 되고,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로 서 저장되어도 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우선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801)를 실행함으로써,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지도 갱신 데이터를 취득한다. 도 9의 참조 부호 901은,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지도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고,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에 대해, 차분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와 함께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차분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분 데이터는 갱신 파급 에리어 ID 리스트(1001)와 각 에리어의 에리어 차분 데이터(1002)를 포함한다. 에리어 차분 데이터(1002)는 에리어 ID 및 그 에리어의 차분 데이터가 저장된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에리어마다 차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각 에리어의 에리어 차분 데이터는 에리어 ID(1003)와 그 에리어에 대응하는 차분 데이터(1004)를 포함한다. 차분 데이터(1004)에는 대상 영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의 추가, 삭제 및 변경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차분 데이터(1004)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지도 데이터를 최신의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갱신 데이터(1013, 1014 및 1015)의 각 에리어의 차분 데이터를 추출하는 예를,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에서는, 갱신 파급 에리어 ID 리스트(1010)로부터 파 급 범위로 되는 에리어의 차분 데이터 저장 영역을 일시 기억 영역에 할당한다. 그리고, 할당된 차분 데이터 저장 영역에, 각 에리어의 차분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12)의 CPU(141)는, 우선 지도 갱신 데이터(1013)의 에리어1 차분 데이터(1011)를 저장하기 위해, 에리어1의 차분 데이터 저장 영역(1020)을 작성한다. 그리고, 지도 갱신 데이터(1013)에 포함되는 에리어1 차분 데이터(1011)를 에리어1의 차분 데이터 저장 영역(1020)에 기록한다. 에리어2 등 다른 갱신 파급 에리어의 차분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기록한다. 그리고, 지도 갱신 데이터(1014 및 1015)에 대해서도 갱신 파급 에리어에 대해 차분 데이터를 취득하고, 에리어마다의 차분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분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801)가 종료되고, 단말기(1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갱신 대상 에리어의 차분 데이터를 저장하면, 차분 데이터를 반영시킨 갱신 완료 데이터를 작성한다. 도 9의 참조 부호 902는, 갱신 대상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한 시점의 일시 기억 영역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의 참조 부호 903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된 갱신 대상 데이터에 차분 데이터를 적용한 후의 일시 기억 영역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의 수순에 대해, 전후의 처리와 아울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5)로부터 지도 데이터의 갱신 요구를 접수하면, 차분 데이터 취득부(206)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요구에 포함되는 지정된 갱신 대상의 지역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통신부(212)를 통하여 지도 배신 서버(11)에 필요한 차분 데이터를 요구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차분 데이터를 수신하면,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부(207)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데이터에 수신한 차분 데이터를 반영시킴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다. 갱신이 요구된 지역의 모든 갱신 완료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를 종료한다.
또한,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가 종료되기 직전에, 상주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감시부(208)의 처리에 의해,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파기하는 버퍼 파기 신호를 동작 중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송신한다. 모든 갱신 완료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에는, 갱신 전의 데이터가 아니라, 갱신 후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5)의 처리에서, 버퍼 파기 신호를 수신하면, 실행 중 어플리케이션이 유지하고 있는 지도 데이터를 파기한다. 그 후,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의 처리를 통하여 필요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필요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데이터의 흐름에 대해서는, 도 14 및 도 15에서 후술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가 종료되면,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를 실행하고,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를 개시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는 작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시킨다. 도 9의 최하단에, 갱신 완료 데이터를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로부터 데이터베이스(202)에 반영시키는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의 실행 중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도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기록되어 있는 갱신 완료 데이터를 응답한다. 이하,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의 데이터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는 단말기(12)의 CPU(141)에 의해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가 처리됨으로써 실행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5)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부하에 기초하여, 처리 부하가 작은 경우에, 데이터베이스(202)에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202)에 갱신 완료 데이터를 반영시킨다.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황에 따라서 갱신 완료 데이터가 모두 데이터베이스(202)에 전송될 때까지 실행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황은 어플리케이션 감시부(208)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정기적으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의 공지의 태스크 스케쥴링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및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를 병행하여 실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우선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와 병행하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황을 취득하는 어플리케이션 감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1301). 어플리케이션 감시 처리에서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처리 부하가 높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 감시 처리에서, 지도 데이터의 취득 요구에 대해서도 감시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도 데이터의 취득 요구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1303).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도 데이터의 취득 요구가 송신된 경우에는(스텝 1303의 결과가 「예」), 지도 데이터 검색부(204)를 처리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요구 데이터 검색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1305), 또한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취득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 요구 데이터 검색 처리에서, 갱신 파급 범위에 포함되는 지도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209)를 실행함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갱신 파급 범위 이외의 지도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어플리케이션 요구 데이터 검색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6에서 후술한다.
또한,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도 데이터의 취득 요구가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1303의 결과가 「아니오」),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처리의 부하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부하가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1304).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부하가 큰 경우에는(스텝 1304의 결과가 「예」), 데이터의 갱신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감시 처리로 되돌아간다(스텝 1301).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처리의 부하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1304의 결과가 「아니오」),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전송하고(스텝 1306A), 또한 데이터베이스(202)에 반영시킨다(스텝 1306B).
마지막으로, 단말기(12)의 CPU(141)는 모든 갱신 완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2)에 반영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1307). 갱신 완료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02)에 모두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1307의 결과가 「아니오」), 어플리케이션 감시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갱신 완료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02)에 모두 반영된 경우에는(스텝 1307의 결과가 「예」),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요구하는 처리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도 데이터 요구(1400)가 송신되면, 지도 데이터 검색부(204)를 실행한다. 지도 데이터 요구(1400)에는 요구된 지도 데이터의 영역의 지정 등이 포함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지도 데이터 검색부(204)가 실행되면, 지도 데이터 요구(1400)로부터 취득 대상의 지역의 에리어 ID를 추출한다. 그리고,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를 실행하여, 추출된 에리어 ID의 지도 데이터가 갱신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추출된 에리어 ID의 지도 데이터가 갱신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한편, 추출된 에리어 ID의 지도 데이터가 갱신 대상인 경우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209)를 실행하여,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를 검색하여,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때, 갱신 완료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 완료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도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처리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대상이 아닌 지도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비갱신 대상 지도 데이터(1501)를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의 처리에 송신한다. 한편,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로부터 갱신 완료 데이터(1500)가 송신된다. 갱신 완료 데이터(1500)는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209)의 처리를 경유하여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의 처리에 송신된다.
또한, 단말기(12)의 CPU(141)는 취득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의 처리에 송신하여도 된다.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211)의 처리에 갱신 완료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베이스(202)에 반영시킴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로부터의 지도 데이터의 읽어내기 횟수를 삭감할 수 있다.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의 처리에서, 수신한 비갱신 대상 지도 데이터와 갱신 완료 데이터를 결합하고, 지도 데이터 검색부(204)의 처리에 송신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어플리케이션에 결합된 지도 데이터(1502)를 송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데이터 검색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도 데이터의 요구를 접수하면,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를 실행함으로써,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갱신 파급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갱신 파급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포함되는 갱신 완료 데이터의 인덱스(701)를 참조하여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용 인덱스(7031)에 갱신 대상 에리어의 에리어 ID에 대응하는 갱신 완료 데이터의 어드레스(704)가 존재하면,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갱신 파급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정된다. 또한, 도 16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용 인덱스(703)는 에리어 ID에 대응한다.
또한,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2)에 전송된 데이 터는, 인덱스(1601)와 같이 인덱스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값이 "0000"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의 처리에서, 요구된 에리어의 갱신 완료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갱신 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기(12)는 이용자로부터의 지도 데이터의 갱신 지시를 접수하면, 갱신 처리를 개시한다(1701). 갱신 처리가 개시될 때까지는, 통상의 네비게이션 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단말기(12)는 지도 배신 서버(11)로부터 차분 데이터를 수신하고, 갱신 완료 데이터를 작성한다(1705). 이 때, 갱신 완료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는, 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증할 수 없으므로, 갱신 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네비게이션 처리가 실행된다(1702).
단말기(12)는 갱신 완료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취지가 어플리케이션 등에 통지되고,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2)에 전송하고, 인덱스의 갱신 처리가 개시된다(1706). 이 때, 단말기(12)는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203)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사용하고, 갱신 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네비게이션 처리가 실행된다(1703).
단말기(12)는 인덱스 갱신의 처리가 완료되고, 모든 갱신 완료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가 갱신 후의 데이터로 된다. 그 후, 단말기(12)는 갱신 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상의 네비게이션 처리를 실행한다(170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및 그 지도 데이터의 인덱스를 갱신하고 있는 동안이라도 네비게이션 기능을 정지할 필요가 없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면 천이와 처리 수순의 대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기(12)는 이용자로부터의 지도 데이터의 갱신 지시를 접수하면, 차분 데이터 취득 처리(801)가 실행된다. 이 때, 단말기(12)의 출력 장치(145)에는 차분 데이터의 취득 상황이 표시된다(1801).
단말기(12)는 갱신에 필요한 차분 데이터의 취득이 완료되면,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610)가 실행된다. 이 때, 단말기(12)의 출력 장치(145)에는 갱신 데이터가 작성되어 있다는 취지가 표시된다(1802). 또한, 이용자에게는 갱신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어떠한 처리가 실행되고 있다는 취지가 표시되어 있으면 되고, 차분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것을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면 된다.
단말기(12)는 갱신 완료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최신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지되고 있는 갱신 전의 데이터를 파기하고, 갱신 후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갱신 준비 완료 통지 처리(803)를 실행한다. 이 때, 단말기(12)의 출력 장치(145)에는, 갱신 후의 지도 데이터로 절환된다는 취지가 표시된다(1803).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준비 완료 통지 처리(803)에서,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지되고 있는 갱신 전의 데이터를 파기하고 있는 동안에 한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이 정지된다.
단말기(12)는 데이터베이스(202)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덱스를 생성하는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를 실행한다. 이 때, 단말기(12)의 출력 장치(145)에는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611)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진척 상황 등이 표시된다(1804). 이 단계에서, 최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고 있지만, 데이터베이스(202)의 갱신 처리 등의 영향에 의해, 처리 성능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기(12)는 지도 데이터의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갱신 완료 통지 처리(805)를 실행한다. 이 때, 단말기(12)의 출력 장치(145)에는 지도 데이터의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취지가 표시된다(1805).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202)의 인덱스 구축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이라도,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210)로부터 갱신 완료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갱신 후의 지도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갱신 전의 지도 데이터로부터 갱신 후의 지도 데이터로 절환하기 위해 버퍼를 클리어하는 타이밍 이외에서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네비게이션 기능의 정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차에 탑재하는 단말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휴대 전화 또는 PDA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완료 데이터를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완료 데이터에 대해서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과 동일하다. 또한,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에는, 도로 명칭 테이블(1901), 갱신 완료 도로 명칭 테이블(1902),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1903) 및 갱신 완료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1904)이 도시되어 있다.
도로 명칭 테이블(1901)은 에리어 ID, 링크 ID 및 명칭 데이터 컬럼을 포함한다. 명칭 데이터 컬럼에는 도로마다의 명칭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갱신 완료 도로 명칭 테이블(1902)은 도로 명칭 테이블(1901)과 동일한 구조이다.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190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과 동일한 구조이다. 갱신 완료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1904)은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1903)과 동일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DBMS를 이용하여 갱신 완료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갱신 전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단과 갱신 후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단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갱신 후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데이터 검색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우선 요구된 데이터의 종별을 판정한다(스텝 2001).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판정되는 데이터의 종별은 도로의 명칭 데이터와 에리어 데이터의 2종류이다. 단말기(12)의 CPU(141)는 판정된 데이터의 종별에 기초하여, 처리를 분기시킨다. 또한, 전술한 2종류 이외에 교통 규제 정보 등의 데이터의 종별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종별마다 처리를 분기시키면 된다.
단말기(12)의 CPU(141)는 데이터의 종별이 「명칭 데이터」인 경우에는(스텝 2001의 결과가 「명칭 데이터」), 갱신 완료 명칭 테이블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2002). 갱신 완료 명칭 테이블 검색 처리는 갱신 완료 도로 명칭 테이블(1902)로부터 요구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요구된 데이터가 갱신 완료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2004).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완료 데이터에 요구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2004의 결과가 「예」), 갱신 완료 데이터로부터 요구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갱신 완료 데이터에 요구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2004의 결과가 「아니오」), 도로 명칭 테이블(1901)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 2006).
한편, 단말기(12)의 CPU(141)는 데이터의 종별이 「에리어 데이터」인 경우에는(스텝 2001의 결과가 「에리어 데이터」), 갱신 완료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2003). 갱신 완료 명칭 테이블 검색 처리는, 갱신 완료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1904)로부터 요구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요구된 데이터가 갱신 완료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2005).
단말기(12)의 CPU(141)는 갱신 완료 데이터에 요구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2005의 결과가 「예」), 갱신 완료 데이터로부터 요구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갱신 완료 데이터에 요구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2004의 결과가 「아니오」),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1903)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 2007).
이와 같이, 요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에 대응하는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작성함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순을 공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DBMS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DBMS의 기능을 이용한 유연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에 링크 데이터 및 노드 데이터가 압축된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었지만, 제3 실시 형태 에서는 도로 데이터를 1링크 또는 1노드당 1레코드로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노드 데이터 테이블(2101) 및 링크 데이터 테이블(2102)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노드 데이터 테이블(2101) 및 링크 데이터 테이블(210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테이블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DBMS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요구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노드 데이터 및 링크 데이터가 테이블의 1레코드로서 관리되고 있는 경우에는, 노드와 링크의 각각에 대해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완료 노드 데이터 테이블(2201) 및 갱신 완료 링크 데이터 테이블(2202)을 구비한다.
갱신 완료 노드 데이터 테이블(2201)은 노드 데이터 테이블(2101)의 구조에 「처리 종별(Operation Type)」의 컬럼이 추가된 구조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갱신 완료 링크 데이터 테이블(2202)은 링크 데이터 테이블(2102)에 「처리 종별」의 컬럼이 추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처리 종별」의 컬럼에는 레코드의 「삭제」 또는 「추가」등의 처리의 내용이 기록된다.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 데이터 테이블(2101) 등의 테이블에 대해, DBMS에 의해 제공되는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경우에, 갱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갱신 완료 노드 데이터 테이블(2201) 등의 테이블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순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표(x, y)를 지정함으로써, 그 좌표를 포함하는 구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구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노드를 검색하는 경우, 노드 데이터 테이블(2101) 및 갱신 완료 노드 데이터 테이블(2201)의 양방에 대해 검색을 요구한다. 그리고, 노드 데이터 테이블(2101)로부터 취득된 결과에 대해, 갱신 완료 노드 데이터 테이블(2201)로부터 취득된 처리 종별에 기초하여, 추가, 삭제 또는 갱신 등의 처리를 실행하고, 갱신 완료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노드 데이터 또는 링크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정보에 대해, DBMS의 기능을 이용한 유연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전 1의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전 2의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일부의 에리어가 갱신된 후의 상태의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에리어 단위 지도 갱신 데이터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갱신 처리의 전체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갱신 처리의 각 처리에서의 데이터의 갱신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차분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요구하는 처리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처리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데이터 검색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지도 데이터 갱신 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화면 천이와 처리 수순의 대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요구 데이터 검색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노드 데이터 테이블 및 링크 데이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갱신 완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지도 배신 서버
12: 단말기
101: 입력 장치
102: 출력 장치
103: 외부 기억 장치
104: 판독 장치
105: CPU
106: 메모리
107: 네트워크 IF
110: 연산 처리 장치
111: 입출력 장치
112: 기억 장치
113: 통신 장치
120: 네트워크
121: 무선 기지국
122: 무선 통신 장치
131: 연산 처리 장치
132: 통신 장치
133: 현재 위치 계측 장치
134: 기억 장치
135: 입출력 장치
141: CPU
142: 메모리
143: 네트워크 IF
144: 입력 장치
145: 출력 장치
146: 외부 기억 장치
147: 판독 장치
201: 갱신 완료 데이터 관리부
202: 데이터베이스
203: 갱신 파급 범위 판정부
204: 지도 데이터 검색부
205: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06: 차분 데이터 취득부
207: 갱신 완료 데이터 생성부
208: 어플리케이션 감시부
209: 갱신 완료 데이터 검색부
210: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
211: 갱신 완료 데이터 전송부
212: 단말 통신부
213: 서버 통신부
214: 배신 데이터 선별부
215: 차분 데이터 기록부
216: 차분 데이터 생성부
300: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
500: 에리어 단위 지도 갱신 데이터 관리 테이블
1901: 도로 명칭 테이블
1902: 갱신 완료 도로 명칭 테이블
1903: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
1904: 갱신 완료 에리어 데이터 테이블
2101: 노드 데이터 테이블
2102: 링크 데이터 테이블
2201: 갱신 완료 노드 데이터 테이블
2202: 갱신 완료 링크 데이터 테이블

Claims (12)

  1. 지도 데이터를 배신(配信; distribute)하는 데이터 배신 서버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지도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 갱신 전의 상기 지도 데이터와 갱신 후의 상기 지도 데이터와의 차분 데이터가 영역마다 기록되는 차분 데이터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로부터 배신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갱신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될 때까지 저장되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갱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차분 데이터를 상기 차분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로부터 송신된 차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는 상기 차분 데이터의 일부를 기록한 것이며,
    상기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기입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도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로부터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데이터 기록부에는,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 영향을 받는 영역이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갱신 파급 영역으로서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차분 데이터, 및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갱신 파급 영역의 차분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의 영역에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 및 갱신 대상 이외의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병합하여,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가동 상황을 추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단말기의 가동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가동 부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전부 기입될 때까지는, 상기 취득 요구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전부 기입된 경우에는, 갱신 후의 지도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취지를 통지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7. 지도 데이터를 배신하는 데이터 배신 서버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갱신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지도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 갱신 전의 상기 지도 데이터와 갱신 후의 상기 지도 데이터와의 차분 데이터가 영역마다 기록되는 차분 데이터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로부터 배신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갱신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될 때까지 저장되는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갱신된 영역의 지도 데이터가 요구된 경우에는,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차분 데이터를 상기 차분 데이터 기록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로부터 송신된 차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는 상기 차분 데이터의 일부를 기록한 것이며,
    상기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기입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고,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입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도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로부터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신 서버는,
    상기 차분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 영향을 받는 영역을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갱신 파급 영역으로서 상기 차분 데이터 기록부에 기록하고,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차분 데이터, 및 상기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갱신 파급 영역의 차분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의 영역에 갱신 대상의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 및 갱신 대상 이외의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갱신 완료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병합하여, 상기 취득 요구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가동 상황을 추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감시부에 의해 추출된 상기 단말기의 가동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가동 부하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전부 기입될 때까지는, 상기 취득 요구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갱신 완료 데이터가 상기 갱신 완료 데이터 축적부에 전부 기입된 경우에는, 갱신 후의 지도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KR1020080063959A 2007-07-11 2008-07-02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및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KR101001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2018A JP5327497B2 (ja) 2007-07-11 2007-07-11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JPJP-P-2007-00182018 2007-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43A KR20090006743A (ko) 2009-01-15
KR101001419B1 true KR101001419B1 (ko) 2010-12-14

Family

ID=3979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959A KR101001419B1 (ko) 2007-07-11 2008-07-02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및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19095A1 (ko)
EP (1) EP2015025B1 (ko)
JP (1) JP5327497B2 (ko)
KR (1) KR101001419B1 (ko)
CN (1) CN101344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0984A1 (en) * 2004-03-12 2005-09-15 Browne Alan L. Active mirror assemblies
US7747258B2 (en) * 2005-02-04 2010-06-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sition determination with pre-session action
JP5308621B2 (ja) * 2006-10-05 2013-10-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4666066B2 (ja) * 2008-12-03 2011-04-06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データ利用装置
JPWO2010116513A1 (ja) * 2009-04-09 2012-10-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地図データ処理装置、地図データ処理方法、地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473181A (zh) * 2009-07-31 2012-05-23 三菱电机株式会社 设施检索装置
US8812015B2 (en) 2009-10-01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locating in conjunction with localized environments
US9140559B2 (en) * 2009-10-01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outing graphs for buildings using schematics
US8880103B2 (en) 2009-10-12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oor context information
US20110178705A1 (en) * 2010-01-15 2011-07-2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Filtering With Mobile Device Positioning In A Constrained Environment
JP5143149B2 (ja) * 2010-01-20 2013-02-1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地図情報配信方法および地図情報配信装置
US9389085B2 (en) 2010-01-22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Map handling for location based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localized environments
JP5402769B2 (ja) * 2010-03-24 2014-01-29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参照地図データ切替方法
US8775065B2 (en) * 2010-04-05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Radio model updating
JP5662729B2 (ja) * 2010-08-04 2015-0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地図データ配信方法
CN101976534B (zh) * 2010-11-01 2012-02-1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电子地图生成的方法及装置
CN102607576B (zh) * 2011-01-25 2015-10-21 北京四维图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航电子地图的差分数据产生方法及装置
US10631246B2 (en) * 2011-02-14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sk switching on mobile devices
JP2012208402A (ja) * 2011-03-30 2012-10-25 Denso Corp 地図更新システム、データ提供装置、情報端末、及び、データ生成装置
JP5435001B2 (ja) * 2011-09-28 2014-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データ配信装置、電子機器及び地図更新システム
CN102420822A (zh) * 2011-11-29 2012-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络文件传输方法及系统
CN103312875B (zh) * 2012-03-12 2015-03-25 联想(北京)有限公司 在移动终端上显示导航图的方法及装置
CN103575266B (zh) * 2012-08-06 2017-02-0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移动导航的方法、系统和gis服务器
US8959301B2 (en) * 2012-11-09 2015-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ssing data in a storage system
CN102968327B (zh) * 2012-12-14 2016-09-07 沈阳美行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增量更新的嵌入式poi数据增量更新方法
JP6006113B2 (ja) * 2012-12-28 2016-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ーナビケーション装置用地図配信サーバ、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道路差分データ生成方法
EP3876107A1 (en) * 2013-03-15 2021-09-08 Factual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movements of target entities
CN104102677A (zh) * 2013-04-15 2014-10-15 北京四维图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地图数据更新方法、装置及服务器
JP6136511B2 (ja) * 2013-04-16 2017-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差分データ配信装置、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差分データ配信方法
JP5860836B2 (ja) * 2013-05-10 2016-02-1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地図データ記憶装置、地図データ更新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42090B2 (ja) * 2013-06-12 2017-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更新装置、地図更新システム及び地図の更新管理方法
CN104239329B (zh) * 2013-06-18 2018-01-30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地图道路形状点数据的保存和加载方法及装置
CN103389101B (zh) * 2013-07-19 2015-12-23 武汉睿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层次结构的道路连通性检查方法
EP2863180A1 (en) * 2013-10-21 2015-04-22 Realtime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ally updating a navigation data while driving
KR101519020B1 (ko) * 2013-10-21 2015-05-12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주행 중 내비게이션 데이터의 부분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JP6246316B2 (ja) * 2014-02-21 2017-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情報処理装置、地図情報処理方法及び更新データの調整方法
JP6403407B2 (ja) * 2014-03-27 2018-10-10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データ更新方法、データ更新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5855781B2 (ja) * 2015-06-05 2016-02-0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005826B2 (ja) * 2015-11-04 2016-10-1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データ更新方法
JP2017156441A (ja) * 2016-02-29 2017-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7018150A (zh) * 2017-05-24 2017-08-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2324276B1 (ko) * 2017-11-30 2021-11-09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내비게이션의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JP7079620B2 (ja) * 2018-02-23 2022-06-02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履歴情報記憶装置、経路の算出方法、影響範囲配信システム
DE102018204293A1 (de) * 2018-03-21 2019-09-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Navigation eines Kraftfahrzeugs
KR102052953B1 (ko) * 2018-09-19 2019-12-09 주식회사 스트리스 네트워크형 모바일 센서 데이터 기록 장치
CN117149937A (zh) * 2023-10-31 2023-12-01 高德软件有限公司 地图更新方法、地图发布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88B1 (ko) * 2003-06-09 2006-03-07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7114422A (ja) * 2005-10-19 2007-05-10 Aisin Aw Co Ltd 地図情報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239B2 (ja) * 1991-09-12 1996-1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外部記憶装置システム
JP2000310543A (ja) * 1999-04-27 2000-11-07 Toyota Motor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1165671A (ja) * 1999-12-14 2001-06-22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6999956B2 (en) * 2000-11-16 2006-02-14 Ward Mullins Dynamic object-driven database manipulation and mapping system
US6847974B2 (en) * 2001-03-26 2005-01-25 Us Search.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data assimilation
US6937936B2 (en) * 2002-04-25 2005-08-30 Aisin Aw Co., Ltd. Navigation system
EP2463627B1 (en) * 2002-04-30 2017-07-19 Intel Corporation Navigation system using corridor maps
US20050015197A1 (en) * 2002-04-30 2005-01-20 Shinya Ohtsuji Communication type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method
JP3954454B2 (ja) * 2002-07-05 2007-08-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040391B2 (ja) * 2002-08-21 2008-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情報処理装置および地図情報配信センター
JP4416996B2 (ja) * 2002-11-01 2010-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情報処理装置および地図情報提供装置
JP4080307B2 (ja) 2002-11-27 2008-04-23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地図情報処理装置および地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4198321A (ja) * 2002-12-19 2004-07-15 Pioneer Electr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用の差分更新データ作成装置及び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ナビゲーション用の差分更新データセット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607092B2 (en) * 2003-05-20 2017-03-28 Excalibur Ip, Llc Mapping method and system
JP4842641B2 (ja) * 2003-08-22 2011-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地図表示方法及び地図表示装置
US7124143B2 (en) * 2004-05-10 2006-10-17 Hitachi, Ltd. Data migration in storage system
JP4339180B2 (ja) * 2004-05-18 2009-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データ更新装置
JP2005338687A (ja) * 2004-05-31 2005-12-08 Xanavi Informatics Corp 地図データ更新システム
JP4814507B2 (ja) * 2004-11-01 2011-11-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差分地図データ配信方法
US8229985B2 (en) * 2005-02-07 2012-07-24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a distributed file system having data objects mapped independent of any data object attribute
JP4531582B2 (ja) 2005-02-10 2010-08-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地図更新処理用データ作成方法、地図更新方法及び装置
CN101699546B (zh) * 2005-04-08 2012-05-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地图信息更新装置及地图信息更新方法
JP4839765B2 (ja) * 2005-10-04 2011-12-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機器、路線地図データ更新システム、及び、路線地図データ管理装置
KR100678921B1 (ko) * 2005-10-18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서버 환경에 적합한 디바이스를 클라이언트로 하여동기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88B1 (ko) * 2003-06-09 2006-03-07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7114422A (ja) * 2005-10-19 2007-05-10 Aisin Aw Co Ltd 地図情報配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5025A3 (en) 2010-03-03
CN101344400A (zh) 2009-01-14
JP2009020254A (ja) 2009-01-29
KR20090006743A (ko) 2009-01-15
EP2015025B1 (en) 2012-04-25
JP5327497B2 (ja) 2013-10-30
US20090019095A1 (en) 2009-01-15
EP2015025A2 (en) 2009-01-14
CN101344400B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19B1 (ko) 지도 데이터 배신 시스템 및 지도 데이터 갱신 방법
US7930100B2 (en)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map data updating program and map data updating terminal
JP5308621B2 (ja)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
US7688228B2 (en) Map data delivering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p delivering method
JP489751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データ更新システム
KR101136684B1 (ko) 데이터 갱신 시스템, 네비게이션 장치, 서버 장치, 및 데이터 갱신 방법
JP2013072787A (ja) 地図データ配信装置、電子機器及び地図更新システム
CN102944243A (zh) 一种地图数据可以增量更新的导航设备及方法
CN103186622B (zh) 一种全文检索系统中索引信息的更新方法以及装置
CN101965499B (zh) 使用动态高速缓存存储器的地图更新系统和地图更新程序
JP520139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データベース更新プログラム
CN104995671A (zh) 地图差分数据分发装置、车辆用导航装置以及地图差分数据分发方法
JP5388893B2 (ja) 地図データ配信サーバ、地図更新方法、及び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
US10161753B2 (en) In-vehicle apparatus and map data management system
JP5662729B2 (ja) 地図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地図データ配信方法
US92914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080079346A (ko) 맵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사용자 단말기
CN101319912A (zh) 导航系统的客户端、服务端、及其进行地图更新的方法
KR101637593B1 (ko) 지도 데이터의 부분 업데이트 시스템
JP4193392B2 (ja) 地図情報処理装置及び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
US10902655B1 (en) Editing cached map titles
JP3841776B2 (ja) 経路探索装置
CN111831231B (zh) 分区合并、分区拆分的方法及装置
JP2011215219A (ja) 孤立道路抽出装置
JP6403407B2 (ja) データ更新方法、データ更新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